[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8446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463B1
KR100484463B1 KR10-2002-0052276A KR20020052276A KR100484463B1 KR 100484463 B1 KR100484463 B1 KR 100484463B1 KR 20020052276 A KR20020052276 A KR 20020052276A KR 100484463 B1 KR100484463 B1 KR 10048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signal
circuit
pixel
peri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832A (ko
Inventor
나까무라노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2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7Special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use of low carrier mobility technolog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과, 복수의 주사선(11)과, 복수의 화소 스위치와, 이들 화소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 PX와, 복수의 신호선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15)를 포함한다. 각 표시 화소 PX는 2종류 이상의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며, 주사선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발광 소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신호선 구동 회로(15)는 복수의 신호선(12)을 각각 소정 수의 신호선(12)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으로 구분하고, 발광 소자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에 기초하여, DA 컨버터를 통해 신호선 블록마다 외부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이것을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직렬 출력하는 변환 출력부(21)와, 이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선 블록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순차적으로 배분하는 신호선 전환 회로(23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화소가 발광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으로 발광하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발광 소자로서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기 EL 표시 장치가 경량, 박형, 고휘도라는 특징을 갖고 있는 점에서 휴대용 정보 기기의 모니터 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다. 전형적인 유기 EL 표시 장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의 주사선이 이들 표시 화소의 행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신호선이 이들 표시 화소의 열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화소 스위치가 이들 주사선 및 신호선의 교차 위치 근방에 배치된다. 각 표시 화소는 유기 EL 소자, 한쌍의 전원 단자 사이에서 이 유기 EL 소자에 직렬로 접속되는 구동 소자 및 이 구동 소자의 게이트 전압을 유지하는 용량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각 화소 스위치는 대응하는 주사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도통하여, 대응하는 신호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구동 소자의 게이트에 기입한다. 구동 소자는 이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응한 구동 전류를 유기 EL 소자에 공급한다.
유기 EL 소자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형광성 유기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박막인 발광층을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협지한 구조를 갖고, 발광층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이들을 재결합시킴으로써 여기자를 생성시키고, 이 여기자의 비활성 시에 발생하는 광 방출에 의해 발광한다. 애노드 전극은 ITO 등으로 구성되는 투명 전극이고, 캐소드 전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반사 전극이다. 이 구성에 의해, 유기 EL 소자는 10V 이하의 인가 전압에서도 100∼100000cd/m2 정도의 휘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유기 EL 표시 장치가 예를 들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으로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는 경우, 발광 효율 및 전류-휘도 특성과 같은 발광 특성이 이들 RGB 표시 화소간에서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표시 화소를 계조 데이터에 대응하여 똑같이 구동하면, RGB의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감마 보정에 의해 해소하고자 하면, 이들 표시 화소의 구동 회로의 규모가 증대되어, 휴대 정보 기기에의 내장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신호선에 대략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주사선과, 이들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점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스위치와, 복수의 화소 스위치에 의해 각각 선택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복수의 신호선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포함한 표시 장치로서, 복수의 표시 화소의 각각은, 외부로 방출하는 광의 주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고, 주사선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발광 소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신호선 구동 회로는 복수의 신호선을 각각 소정 수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으로 구분하고, 종류에 따른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에 기초하여, 신호선 블록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가지며,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직렬로 출력하는 변환 회로와, 변환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선 블록의 대응하는 신호선에 순차적으로 배분하는 신호선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의 신호선이 소정 수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으로 구분되고, DA 컨버터가 종류에 따른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에 기초하여, 신호선 블록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직렬로 출력하고, 신호선 선택 회로가 이 변환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신호선 블록의 대응하는 신호선에 순차적으로 배분한다. 이 경우, 각 신호선 블록마다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공통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환 출력부의 회로 규모가 대폭 감소되기 때문에, 계조 기준 전압 발생부의 규모가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기 위해 증대되어도,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 변환에서 서로 다른 발광 소자의 종류에 대하여 독립적인 감마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도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결부하여 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유기 EL 패널과 이 유기 EL 패널을 구동하는 외부 회로를 갖는다.
도 1은 이 유기 EL 패널(10)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유기 EL 패널(10)은, 유리 등의 절연 기판 상에서 표시부 DS를 구성하도록 대략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 PX, 이들 표시 화소 PX의 행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주사선(11), 이들 표시 화소 PX의 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선(12), 이들 주사선(11) 및 신호선(12)의 교차 위치 근방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스위치(13), 표시부 DS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주사선(11)을 구동하는 주사선 드라이버(14) 및 표시부 DS의 외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신호선(12)을 구동하는 신호선 드라이버(15)를 포함한다. 각 표시 화소 PX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중 어느 하나의 발광색으로 발광하는 유기 EL 소자(16), 한쌍의 전원 단자 VDD, VSS 사이에서 이 유기 EL 소자(16)에 직렬로 접속되며, 예를 들면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로 되는 구동 소자(17) 및 이 구동 소자(17)의 게이트 전압을 유지하는 용량 소자(18)로 구성된다. 전원 단자 VDD 및 VSS는 외부 전원 전압에 의해 예를 들면 +12.5V 및 0V의 전위로 설정된다. 표시 화소 PX는 각 행에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으로 발광하는 3종류의 유기 EL 소자(16)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구성되며, 발광 효율 및 전류-휘도 특성과 같은 발광 특성이 발광색에 의존하여 서로 다르다.
각 화소 스위치(13)는 예를 들면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대응하는 주사선(11)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구동 소자(17)의 게이트에 인가함과 함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용량 소자(18)에 기입한다. 구동 소자(17)는 이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응한 구동 전류 Id를 유기 EL 소자(16)에 공급한다. 유기 EL 소자(16)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박막인 발광층을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 사이에 협지한 구조를 가지며, 발광층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이들을 재결합시킴으로써 여기자를 생성시키고, 이 여기자의 비활성 시에 발생하는 광 방출에 의해 발광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화소 스위치(13)를 구성하는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소자(17)를 구성하는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는, 그 반도체층에 다결정 실리콘막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 드라이버(14) 및 신호선 드라이버(15)는, 화소 스위치(13) 및 구동 소자(17)와 동일 공정에서 형성되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이용한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 혹은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동일한 절연 기판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주사선 드라이버(14)는 외부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주사 제어 신호를 수취하고, 이 수직 주사 제어 신호의 제어에 의해 1프레임 기간(lF)에서 순차적으로 복수의 주사선(11)에 주사 신호를 공급한다. 즉, 화소 스위치(13)는 각 주사선(11)마다 서로 다른 1수평 기입 기간에서 주사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신호선 드라이버(15)는 외부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수평 주사 제어 신호를 수취하고, 이 수평 주사 제어 신호의 제어에 의해 각 수평 주사 기간에서 디지털 영상 신호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순차적으로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들 계조 전압을 복수의 신호선(12)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각 행의 화소 스위치(13)는 대응하는 주사선(11)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신호에 의해 1수평 기입 기간에 도통 상태로 되고, 주사 신호가 다시 1프레임 기간 후에 공급될 때까지 비도통 상태로 된다. 구동 소자(17)는 이들 화소 스위치(13)를 통해 용량 소자(18)에 유지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응한 구동 전류 Id를 유기 EL 소자(16)에 각각 공급한다. 이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용량 소자(18)에 기입되어 소정 기간 유지되고, 영상 신호의 갱신 주기인 1프레임 기간(1F)마다 갱신된다.
도 2는 신호선 드라이버(15)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도 2를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선 드라이버(15)는, 3종류의 유기 EL 소자(16)의 발광 특성에 각각 할당되는 3개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1∼VRm, VG1∼VGm, VB1∼VBm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20), 각 소영역을 구성하는 소정 수의 표시 화소 PX에 대하여 공급되는 디지털 형식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표시 화소 PX에 대응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변환 출력부(21), 기준 전압 발생부(20)에 의해 발생되는 3개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1∼VRm, VG1∼VGm, VB1∼VBm 각각을 소정 타이밍에서 선택하는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선에 출력하는 신호선 전환 회로(23B)를 포함한다.
이 신호선 드라이버(15)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주사선 드라이버(14)로부터 출력되는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표시 화소 PX에 공급된다.
기준 전압 발생부(2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1∼VRm, VG1∼VGm, VB1∼VBm을 각각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R, 20G, 20B)를 갖는다. 전압 발생기(20R)는 기준 전원 단자 VRL 및 VRH 사이에 공급되는 적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적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R1∼VR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전압 발생기(20G)는 기준 전원 단자 VGL 및 VGH 사이에 공급되는 녹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G1∼VG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기준 전압 발생기(20B)는 기준 전원 단자 VBL 및 VBH 사이에 공급되는 청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B1∼VB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여기서,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기준 전압은 각각 유기 EL 소자(16)간의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을 해소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도록 선정된다.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는 선택적으로 고레벨로 설정되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VCONT2 및 VCONT3의 제어에 의해 이들 전압 발생기(20R, 20G, 20B)로부터의 적색, 녹색 및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을 전환한다.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1∼VR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3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은 기준 전압 전환 회로(23A)로부터 m개의 기준 전압 신호선을 통해 변환 출력부(21)에 공급된다. 또한, 이들 전환 제어 신호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 RGB 각 색에 대응한 기준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변환 출력부(21)는 복수의 소영역마다 설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변환 회로(24) 및 이들 변환 회로(24)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출력 회로(25)를 포함한다. 각 변환 회로(24)는 수평 주사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다음 단으로 전송하는 시프트 레지스터(24A), 이 시프트 레지스터(24)의 각 단의 출력에 의해 계조 데이터 DATA를 순차적으로 직렬 병렬 변환하여 래치하는 래치 회로(24B) 및 로드 신호 LOAD의 제어에 의해 래치 회로(24B)로부터 병렬적으로 출력되는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는 D/A 변환기(24C)를 포함한다. 이 D/A 변환기(24C)는, 소정 출력수만큼의 DAC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예를 들면 적색의 표시 화소 PX에 대한 계조 데이터 DATA가 공급되는 경우, D/A 변환기(24C)는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에 의해 선택되는 적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녹색의 표시 화소 PX에 대한 계조 데이터 DATA가 공급되는 경우, D/A 변환기(24C)는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에 의해 선택되는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청색의 표시 화소 PX에 대한 계조 데이터 DATA가 공급되는 경우, D/A 변환기(24C)는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에 의해 선택되는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한다. 각 출력 회로(25)에는 대응하는 소영역의 표시 화소에 대하여 D/A 변환기(24C)로부터 얻어지는 계조 전압을 각각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 증폭기(25A)가 각 DAC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출력 회로(25)의 각 출력 증폭기(25A)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선에 배분한다. 즉, 소정 수의 신호선, 여기서는 RGB 각 색에 대응하는 표시 화소 PX에 대응하는 신호선을 적어도 포함하는 3×n(n=1, 2, 3, …)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신호선 블록마다, 또한 DAC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소정 타이밍에서 대응하는 신호선을 선택하고,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선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신호선을 1신호선 블록으로 하고, 신호선 블록마다 스위치 회로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 스위치 회로는, 대응하는 신호선 블록의 신호선수에 대응한 수만큼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전환 제어 신호 ASW1, ASW2 및 ASW3의 제어에 의해 각 출력 증폭기(25A)에 대하여 3개의 대응하는 인접 신호선(12)을 전환한다. 즉, 여기서는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각 출력 회로(25)의 출력 증폭기(25A)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각각 선택하는 (모든 신호선수/1신호선 블록 내의 신호선수)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각 출력 회로(25)의 출력 증폭기(25A)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각각 선택하는 (모든 신호선수/1신호선 블록 내의 신호선수)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각 출력 회로(25)의 출력 증폭기(25A)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각각 선택하는 (모든 신호선수/1신호선 블록 내의 신호선수)개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도 3은 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가 각 행마다 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행에 대응하는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가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각 변환 회로(24)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기간 T1에서 순차적으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D/A 변환기(24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 변환기(24C)는 전압 발생기(20R)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각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는 출력 증폭기(25A)에 병렬적으로 공급한다. 이들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 변환기(24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 변환기(24C)가 전압 발생기(20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 증폭기(25A)에 병렬적으로 공급한다. 이들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각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순차적으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 변환기(24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 변환기(24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를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 증폭기(25A)에 병렬적으로 공급한다. 이들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각 신호선 블록의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각각 공급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신호선 블록마다 복수의 신호선을 전환하여 구동함과 함께, 각 표시 화소에 대응하는 색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전환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각 신호선 블록의 계조 데이터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공통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환 출력부(21)의 회로 규모가 대폭 감소되기 때문에, 계조 기준 전압 발생부(20)의 규모가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기 위해 증대되어도,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는다. 또한, 계조 데이터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유기 EL 소자(16)의 발광 특성에 할당된 3개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계조 전압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이 변환에서 서로 다른 발광 특성에 대하여 독립적인 감마 보정을 행하여, RGB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 변환 출력부(21), 신호선 전환 회로(23B)가 표시부 DS와 함께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기준 전압 발생부(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로부터 독립된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와 함께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변환 출력부(2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 및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와 함께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런데, 제1 실시예에서는, 신호선 선택 회로(23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소영역에서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에 대응하는 신호선이 각각 동시에 선택되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각 표시 화소 PX의 구동 소자(17)의 게이트는 화소 스위치(13)가 오프 상태로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부유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게이트 배선과 용량 결합한 인접하는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적색 화소용, 녹색 화소용 및 청색 화소용 신호선(12)이 수평 주사 기간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구동되면, 화면 양 단부의 신호선(12)을 제외하고 적색 화소용 신호선(12)은 2회, 녹색 화소용 신호선(12)은 1회, 청색 화소용 신호선은 0회로, 수평 주사 기간마다 전위가 변동하게 되어 본래의 계조 전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들 신호선(12)이 상술한 순서로 구동되면, 인접하는 신호선으로의 영상 신호의 기입에 의해, 복수의 신호선(12)의 전위가 불균일하게 변동되기 쉽다. 이 전위 변동을 전체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8의 (b)-1, (b)-2, (c)-1, (c)-2, (d) 또는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이들 신호선(12)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접하는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균일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도 9에서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DAC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 DATA1, DATA2, …가 공급된다. 또한,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가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스위치군 SS1, SS2, …를 갖는다. 이들 스위치군 SS1, SS3, SS5, …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되고,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1∼VR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3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 각각을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된 대응하는 DAC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군 SS2, SS4, SS6, …은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되고,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3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1∼VR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 각각을 변환 출력부(21)의 대응하는 변환 회로(24)에 공급한다. 즉, 스위치군 SS1, SS3, SS5, …와 스위치군 SS2, SS4, SS6, …은 서로 역상이 되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전환한다.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스위치군 DDl, DD2, …를 갖는다. 스위치군 DDl, DD3, DD5, …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며,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며,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각 스위치군 DD1, DD2, …는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적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고,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녹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고, 또한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청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각각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한다. 즉, 스위치군 DD1, DD3, DD5, …와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서로 역상이 되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용의 신호선(12)을 각각 전환한다.
도 10은 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DATA2, …가 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신호선 블록에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이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또한, 이것과 병행하여, 이것에 인접하는 신호선 블록에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및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가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각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여 각각 재배열된 계조 데이터 DATAn이 공급되고, 래치 회로(24B)에 의해 각 기간 T1, T2, T3에서 래치된 계조 데이터 DATAn이,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D/A 변환기(24C)의 각 DAC에 공급된다.
각 변환 회로(24)의 홀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홀수단째의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R)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홀수단째의 DAC가 전압 발생기(20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홀수단째의 출력 증폭기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홀수단째의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 변환기(24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홀수단째의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한편, 각 변환 회로(24)의 짝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짝수단째의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을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짝수단째의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짝수단째의 DAC가 전압 발생기(20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아날로그 형식의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짝수단째의 신호선 블록에서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짝수단째의 DAC가 전압 발생기(20R)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을 출력 증폭기(25A)에 의해 증폭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1수평 주사 기간에서 복수의 신호선(12)이 구동되면, 후속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각 반대로 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1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다음 프레임 기간(수직 주사 기간)에 대해서도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각각 반대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신호선(12)이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전위 변동을 저감할 수 있는 순서로 구동된다. 또한,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의 상승 타이밍은 신호선(12)이 도 8의 (b)-1, (b)-2, (c)-1, (c)-2 및 (d)에 도시하는 순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호선 블록을 3×n개의 인접 신호선(여기서는 n=1)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수의 신호선에 의해 신호선 블록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DAC에 대하여 각 색의 전압 발생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의 스위치군을 1조 구비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1수평 주사 기간에 복수의 신호선(12)을 구동할 때, 신호선의 구동 순서를 최적화함으로써 부유 상태에 의한 전위 변화의 횟수를 줄이고, 또한 이들 신호선(12)의 구동 순서를 소정의 수직 주사 기간 및 수평 주사 기간의 적어도 한쪽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 이외에 기입 전압이 변동되는 화소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접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균일화함과 함께 전압 발생기를 색간에서 공통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9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도 11에서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감마 특성이 거의 동일한 발광 재료를 이용하는 색간에서, 예를 들면 적색용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공통화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가 적색 및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RB) 및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G)를 갖는다. 전압 발생기(20RB)는 기준 전원 단자 VRBL 및 VRBH 사이에 공급되는 적색 및 청색용 전원 전압을 계조 데이터 DATA의 계조수 m에 대응하여 저항 분할함으로써 적색 및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RB1∼VRB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전압 발생기(20G)는 기준 전원 단자 VGL 및 VGH 사이에 공급되는 녹색용 전원 전압을 계조 데이터 DATA의 계조수 m에 대응하여 저항 분할함으로써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G1∼VG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여기서, 적색 및 청색용과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기준 전압은 각각 유기 EL 소자(16)간의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을 해소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도록 선정된다.
또한,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가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스위치군 SS1, SS2, …를 갖는다. 이들 스위치군 SS1, SS2,…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B1∼VR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적색 및 청색용과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을 신호선 블록에 할당된 대응하는 DAC에 공급한다.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스위치군 DD1, DD2, …를 갖는다. 스위치군 DD1, DD3, DD5, …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고,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고,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각 스위치군 DDl, DD2, …는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적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고,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녹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며, 또한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청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각각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한다. 즉, 스위치군 DD1, DD3, DD5, …와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서로 역상이 되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용의 신호선(12)을 각각 전환한다.
도 12는 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DATA2, …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 대하여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는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이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또한, 이것과 병행하여,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는,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및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가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각 변환 회로(24)의 홀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홀수단째의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R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B1∼VRBm을 참조하여 적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R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B1∼VR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한편, 각 변환 회로(24)의 짝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R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B1∼VR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R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B1∼VRB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1수평 주사 기간에서 복수의 신호선(12)이 구동되면, 후속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각 반대로 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1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다음 프레임 기간(수직 주사 기간)에 대해서도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각각 반대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신호선(12)이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전위 변동을 저감할 수 있는 순서로 구동된다. 또한,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의 상승 타이밍은 신호선(12)이 도 8의 (b)-1, (b)-2, (c)-1, (c)-2 및 (d)에 나타내는 순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수평 주사 기간에 복수의 신호선(12)을 구동할 때, 신호선의 구동 순서를 최적화함으로써 부유 상태에 의한 전위 변화의 횟수를 줄이고, 또한 이들 신호선(12)의 구동 순서를 소정의 수직 주사 기간 및 수평 주사 기간의 적어도 한쪽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전압이 변동되는 화소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 발생부(20)에서, 전압 발생기(20RB)에 의해 발생되는 계조 기준 전압군이 적색 및 청색용의 계조 데이터의 D/A 변환에 공통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신호선 드라이버(15)의 규모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접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균일화하는 한편 서로 다른 색간에서 전압 발생기를 공통화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압 발생기를 적색 및 녹색에 대하여 공통화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각 신호선 블록이 3×2개(6개)의 신호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9에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도 13에서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가 적색 및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각각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RG)와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B)를 갖는다. 전압 발생기(20RG)는 기준 전원 단자 VRGL 및 VRGH 사이에 공급되는 적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적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R1∼VRm을 발생하고, 또한, 기준 전원 단자 VRGL 및 VRGH 사이에 공급되는 녹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G1∼VG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전압 발생기(20B)는 기준 전원 단자 VBL 및 VBH 사이에 공급되는 청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B1∼VB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여기서, 적색 및 녹색용과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기준 전압은 각각 유기 EL 소자(16)간의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을 해소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도록 선정된다.
또한,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의 스위치군 SS1, SS2, …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스위치군 SS1, SS3, SS5, …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되고,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1∼VR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3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적색 및 청색용과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을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된 대응하는 변환 회로(24)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군 SS2, SS4, SS6, …은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할당되고,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G1∼V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3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1∼VR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적색 및 청색용과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을 변환 출력부(21)의 대응하는 DAC(24C)에 공급한다.
도 14는 신호선 드라이버(15)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신호선 드라이버(15)에서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DATA2, …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적색 화소 R1용, 녹색 화소 G1용, 청색 화소 B1용, 적색 화소 R2용, 녹색 화소 G2용 및 청색 화소 B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이 수평 주사 기간으로부터 수평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수평 기입 기간을 6분할한 기간 T1, T2, T3, T4, T5, T6에서 각각 공급된다. 또한, 이것과 병행하여, 청색 화소 B4용, 녹색 화소 G4용, 적색 화소 R4용, 청색 화소 B3용, 녹색 화소 G3용, 적색 화소 R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가 기간 T1, T2, T3, T4, T5, T6에서 각각 공급된다.
예를 들면 신호선 블록의 홀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 R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는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 R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적색 화소 R1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 G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 변환기(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 G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녹색 화소 G1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 B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 B1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 B1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4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 R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5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이 기간 T5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4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는 전압 발생기(20R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 R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적색 화소 R2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5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 G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6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6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5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 G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녹색 화소 G2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6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 B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7에서 DAC 변환기(24C)에 공급한다. 기간 T7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6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 B2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 B2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한편, 예를 들면 신호선 블록의 짝수번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 B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는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 B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 B4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 G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 G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녹색 화소 G4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 R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적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 R4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적색 화소 R4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4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 B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5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5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4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는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 화소 B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청색 화소 B3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5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 G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6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6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5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G1∼V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 G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녹색 화소 G3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6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 R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7에서 DAC(24C)에 공급한다. 기간 T7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6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24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기준 전압 VR1∼VR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 R3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서 적색 화소 R3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1수평 주사 기간에서 복수의 신호선(12)이 구동되면, 후속하는 1수평 주사 기간마다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각 반대로 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1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다음 프레임 기간(수직 주사 기간)에 대해서도 1수평 주사 기간마다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각각 반대로 설정된다. 또한,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4,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5,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6의 상승 타이밍을 설정해도 된다.
상술한 제4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제3 실시예과 마찬가지로 1수평 주사 기간에 복수의 신호선(12)을 구동할 때, 신호선의 구동 순서를 최적화함으로써 부유 상태에 의한 전위 변화의 횟수를 줄이고, 또한 이들 신호선(12)의 구동 순서를 일정 수직 주사 기간 및 일정 수평 주사 기간의 적어도 한쪽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전압이 변동되는 화소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 발생부(20)에서, 전압 발생기(20RG)의 기준 전압 단자 VRGH, VRGL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을 가변으로 하여, 적색 화소 및 녹색 화소용 계조 기준 전압군을 각각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선 드라이버(15)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접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균일화함과 함께, 발광색 간에서 전압 발생기의 공유화를 더욱 진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한 제3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감마 특성이 거의 동일한 발광 재료 R과 B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R과 G가 거의 동일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문에, 도 15에서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복수의 화소 PX는 행 방향에서 적색, 청색, 녹색이라는 순서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는, 감마 특성이 거의 동일한 발광 재료를 이용하는 색간에서, 여기서는 적색용 및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공통화하고, 청색용의 계조 전압군을 독립적인 것으로 하며, 또한 1컬러 화소의 배열순은 적색, 청색, 녹색 화소의 순서로 되고, 청색용의 화소가 1컬러 화소의 중앙에 오도록 배치된다. 즉, 청색용 화소에 접속하는 신호선은, 1컬러 화소의 양방에 인접하는 적색용 화소에 접속하는 신호선 및 청색용 화소에 접속하는 신호선 사이에 배치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가 적색 및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RG)와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전압 발생기(20B)를 갖는다. 전압 발생기(20RG)는 기준 전원 단자 VRGL 및 VRGH 사이에 공급되는 적색 및 녹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적색 및 녹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RG1∼VRG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전압 발생기(20B)는 기준 전원 단자 VBL 및 VBH 사이에 공급되는 청색용 전원 전압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청색용 계조 기준 전압군, 즉 m개의 기준 전압 VB1∼VBm을 발생하는 분압 회로이다. 여기서, 적색 및 녹색용과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기준 전압은 각각 유기 EL 소자(16)간의 화이트 밸런스 및 계조의 혼란을 해소하는 감마 보정을 행하도록 선정된다.
또한,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가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2조의 스위치군 SS1, SS2를 갖는다. 이들 스위치군 SS1, SS2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이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RG1∼VRG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VCONT2가 고레벨일 때에 기준 전압 VB1∼VBm을 선택하는 m개의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며, 적색 및 녹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과 청색용의 계조 기준 전압군의 각각을 신호선 블록에 할당된 대응하는 DAC(24C)에 공급한다.
신호선 전환 회로(23B)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는 스위치군 DD1, DD2, …를 갖는다. 스위치군 DD1, DD3, DD5, …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고,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각각 할당되고, 각각 전환 제어 신호 ASW1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전환 제어 신호 ASW2가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 및 전환 제어 신호 ASW3이 고레벨일 때에 출력 회로(25)에 대하여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각 스위치군 DD1, DD2, …는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적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고,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청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하며, 또한 출력 회로(25)로부터 얻어진 녹색용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각각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한다. 즉, 스위치군 DD1, DD3, DD5, …와 스위치군 DD2, DD4, DD6, …은 서로 역상이 되도록 적색, 청색 및 녹색 화소용의 신호선(12)을 각각 전환한다.
도 16은 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DATA2, …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디지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에 대하여 공급된다. 구체적으로는,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는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 및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이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또한, 이것과 병행하여,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는,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 및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가 각각 기간 T1, T2, T3에서 공급된다.
각 변환 회로(24)의 홀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홀수단째의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G1∼VRGm을 참조하여 적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G1∼VR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1을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한편, 각 변환 회로(24)의 짝수단째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기간 T1에서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2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2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l 및 ASW1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는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G1∼VRGm을 참조하여 녹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녹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이 기간 T2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청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3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3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가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B)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B1∼VBm을 참조하여 청색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청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또한 기간 T3에서는, 래치 회로(24B)가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래치하고, 로드 신호 LOAD에 응답하여 기간 T4에서 DAC에 공급한다. 기간 T4에서는,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3이 고레벨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DAC가 전압 발생기(20RG)로부터의 계조 기준 전압군 VRG1∼VRGm을 참조하여 적색 화소용의 계조 데이터 DATA2를 계조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 회로(25)에 공급한다. 이 계조 전압은 출력 회로(25)에 의해 증폭되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신호선 블록의 적색 화소용의 대응하는 신호선(12)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1수평 주사 기간에서 복수의 신호선(12)이 구동되면, 후속하는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각 반대로 되고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어, 1화면의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다음 프레임 기간(수직 주사 기간)에 대해서도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계조 데이터, 계조 기준 전압군의 선택 순서, 신호선 선택 순서가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각각 반대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신호선(12)이 도 8의 (c)-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위 변동을 저감할 수 있는 순서로 구동된다. 또한, 전환 제어 신호 VCONT1 및 ASW1, 전환 제어 신호 VCONT2 및 ASW2, 전환 제어 신호 VCONT3 및 ASW3의 상승 타이밍은 신호선(12)이 도 8의 (b)-1∼(c)-2에 나타내는 순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마다 구동 순서를 바꾸어, 도 8의 (d),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선 전환 회로(23B)의 접속 관계를 변경하여,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을 행해도 된다.
상술한 제5 실시예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1수평 주사 기간에 복수의 신호선(12)을 구동할 때, 신호선의 구동 순서를 최적화함으로써 부유 상태에 의한 전위 변화의 횟수를 줄이고, 또한 이들 신호선(12)의 구동 순서를 소정의 수직 주사 기간 및 수평 주사 기간의 적어도 한쪽에서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전압이 변동되는 화소를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 발생부(20)에서, 전압 발생기(20RG)에 의해 발생되는 계조 기준 전압군이 적색 및 녹색용의 계조 데이터의 D/A 변환에 공통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신호선 드라이버(15)의 규모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 변환 출력부(21), 신호선 전환 회로(23B)가 표시부 DS와 같이 표시 패널(10)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기준 전압 발생부(2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로부터 독립된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와 함께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변환 출력부(21)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전압 발생부(20) 및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23A)와 함께 구동 회로 기판(30)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선 선택 회로(23B)는 각 소영역에서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녹색 화소에 대응하는 신호선이 각각 동시에 선택되도록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각 표시 화소 PX의 구동 소자(17)의 게이트는 화소 스위치(13)가 오프 상태로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부유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게이트 배선과 용량 결합한 인접 신호선(12)의 전위 변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적색 화소용, 청색 화소용 및 녹색 화소용 신호선(12)이 수평 주사 기간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구동되면, 화면 양 단부의 신호선(12)을 제외하고 적색 화소용 신호선(12)은 2회, 청색 화소용 신호선(12)은 1회, 녹색 화소용 신호선은 0회로, 수평 주사 기간마다 전위가 변동하게 되어, 본래의 계조 전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들 신호선(12)이 상술한 순서로 구동되면, 인접하는 신호선으로의 영상 신호의 기입에 의해, 복수의 신호선(12)의 전위가 불균일하게 변동되기 쉽다. 이 전위 변동을 전체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8의 (b)-1∼(e)에 도시한 어느 하나의 순서로 이들 신호선(12)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신호선(12)이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전위 변동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순서로 구동된다. 예를 들면 도 8의 (b)-1 또는 (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수직 주사 기간마다 또는 1수평 주사 기간마다 구동 순서를 반대로 하지 않는 경우라도, 전위 변동의 영향을 2회 받게 되는 화소를 없앨 수 있다.
당 분야의 업자라면 부가적인 장점 및 변경들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광의의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술된 상세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발명적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인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변환 출력부, 신호선 전환 회로 및 표시부를 내장한 표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변환 출력부, 신호선 전환 회로 및 표시부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 및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변환 출력부 및 신호선 전환 회로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및 변환 출력부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신호선 전환 회로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용 신호선의 전위가 변동되는 횟수와 이들 신호선의 구동 순서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신호선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신호선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신호선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신호선 드라이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신호선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제5 실시예에서 기준 전압 발생부,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변환 출력부, 신호선 전환 회로 및 표시부가 내장된 표시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변환 출력부, 신호선 전환 회로 및 표시부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 및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변환 출력부 및 신호선 전환 회로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7에 도시한 기준 전압 발생부,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및 변환 출력부가 내장된 구동 회로 기판을 신호선 전환 회로가 내장된 표시 패널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기 EL 패널
11 : 주사선
12 : 신호선
13 : 화소 스위치
14 : 주사선 드라이버
15 : 신호선 드라이버
16 : 유기 EL 소자
17 : 구동 소자
18 : 용량 소자
20 : 기준 전압 발생부
20R : 전압 발생기
20G : 전압 발생기
20B : 전압 발생기
21 : 변환 출력부
23A : 기준 전압군 전환 회로
23B : 신호선 전환 회로
24 : 변환 회로
24A : 시프트 레지스터
24B : 래치 회로
24C : D/A 변환기
25 : 출력 회로
25A : 출력 증폭기
30 : 구동 회로 기판
DS : 표시부
PX : 표시 화소
R : 적색 화소
G : 녹색 화소
B : 청색 화소
VDD : 전원 단자
VSS : 전원 단자
Id : 구동 전류
VR1∼m : 계조 기준 전압군
VG1∼m : 계조 기준 전압군
VB1∼m : 계조 기준 전압군
DATA : 계조 데이터
VRL : 기준 전압 단자
VRH : 기준 전압 단자
VGL : 기준 전압 단자
VGH : 기준 전압 단자
VBL : 기준 전압 단자
VBH : 기준 전압 단자
VCONT1∼3 : 전환 제어 신호
ASW1∼3 : 전환 제어 신호
T1∼6 : 기간
LOAD : 로드 신호
DAC : D/A 컨버터
SS1∼6 : 스위치군
DD1∼6 : 스위치군

Claims (17)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대략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주사선과, 이들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점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화소 스위치에 의해 각각 선택되는 복수의 표시 화소와, 상기 복수의 신호선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선 구동 회로를 포함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소 각각은, 외부로 방출하는 광의 주파장이 각각 다른 2종류 이상의 발광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사선 방향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발광 소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신호선을 각각 소정 수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호선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군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선 블록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가지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서 직렬로 출력하는 변환 회로와,
    상기 변환 회로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상기 신호선 블록의 대응하는 신호선에 순차적으로 배분하는 신호선 선택 회로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소는, 외부로 방출하는 광의 주파장이 서로 다른 3종류의 표시 소자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블록은, 상기 소정 수로서 3의 자연수배의 상기 신호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서로 다른 계조 기준 전압군을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표시 화소를 3종류의 표시 화소의 중앙에 배치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표시 화소에 대응한 신호선을 3종류의 표시 화소에 대응한 신호선의 중앙에 배치하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짝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는 DA 컨버터에 제1 전압 발생기를 접속하고, 홀수번째의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는 DA 컨버터에 제2 전압 발생기를 접속하는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제1 전압 발생기 혹은 제2 전압 발생기 중 어느 한쪽을 각 신호선 블록에 대응하는 DA 컨버터에 접속하는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 회로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용으로 3종류의 계조 기준 전압군을 각각 발생하는 3개의 기준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선택 회로가 상기 기판 상에 내장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A 컨버터가 상기 기판 상에 더 내장되는 표시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회로가 상기 기판에 더 내장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기가 상기 기판에 더 내장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선택 회로는, 각 수평 주사 기간에서, 최초의 선택 기간에 인접하는 신호선 블록의 인접 신호선에 동시에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선택 기간에 이어지는 다음 선택 기간에서는 각 신호선 블록 내에서 인접하는 신호선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선택 회로의 신호선 선택 순서는 소정 수평 주사 기간마다 역전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선택 회로의 신호선 선택 순서는 수직 주사 기간마다 역전되는 표시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선택 회로의 신호선 선택 순서는 각 수평 주사 기간마다 역전되고, 또한 각 수직 주사 기간마다 역전되는 표시 장치.
KR10-2002-0052276A 2001-09-04 2002-08-31 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84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67518 2001-09-04
JPJP-P-2001-00267518 2001-09-04
JP2002024729A JP4191931B2 (ja) 2001-09-04 2002-01-31 表示装置
JPJP-P-2002-00024729 200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32A KR20030020832A (ko) 2003-03-10
KR100484463B1 true KR100484463B1 (ko) 2005-04-22

Family

ID=2662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2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4463B1 (ko) 2001-09-04 2002-08-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91937B2 (ko)
JP (1) JP4191931B2 (ko)
KR (1) KR100484463B1 (ko)
TW (1) TW558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3749A (ja) * 2002-03-18 2003-09-26 Seiko Epson Corp 信号伝送装置及び信号伝送方法、電子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4037498A (ja) * 2002-06-28 2004-02-0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04053715A (ja) * 2002-07-17 2004-02-19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とそのγ補正方法
AU2003259503A1 (en) * 2002-09-27 2004-04-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crystal active matrix array device
EP1556851A2 (en) * 2002-10-31 2005-07-27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GB0227356D0 (en) * 2002-11-23 2002-12-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JP2004279482A (ja) * 2003-03-12 2004-10-07 Sharp Corp 表示装置
JP4363881B2 (ja) * 2003-04-10 2009-11-11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325716A (ja) * 2003-04-24 2004-11-18 Sharp Corp カラー画像表示のための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7095407B1 (en) * 2003-04-25 2006-08-2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a graphics display system
KR100742063B1 (ko) * 2003-05-26 2007-07-23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류생성공급회로 및 표시장치
JP2004354625A (ja) * 2003-05-28 2004-12-16 Renesas Technology Corp 自発光表示装置及び自発光表示用駆動回路
JP4304585B2 (ja) * 2003-06-30 2009-07-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流生成供給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電流生成供給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JP4103079B2 (ja) * 2003-07-16 2008-06-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流生成供給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電流生成供給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WO2005045798A1 (en) * 2003-11-10 2005-05-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r display device
JP2005148679A (ja) * 2003-11-20 2005-06-09 Sony Corp 表示素子、表示装置、半導体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JP2005222030A (ja) * 2004-01-05 2005-08-18 Seiko Epson Corp 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270731B (en) * 2004-01-19 2007-01-11 Sharp Kk Display apparatus
JP4199141B2 (ja) * 2004-02-23 2008-12-17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511218B2 (ja) 2004-03-03 2010-07-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ドライバ,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用プログラム
JP2005284037A (ja) * 2004-03-30 2005-10-13 Sony Corp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回路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4239095B2 (ja) * 2004-03-30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回路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4674443B2 (ja) * 2004-04-09 2011-04-20 ソニー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16188A (ja) * 2004-04-28 2005-11-10 Sony Corp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回路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5116970A1 (en) * 2004-05-17 2005-12-08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device
JP4016968B2 (ja) 2004-05-24 2007-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a変換器、データ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5338421A (ja) 2004-05-27 2005-12-08 Renesas Technology Corp 液晶表示駆動装置および液晶表示システム
KR100658616B1 (ko) * 2004-05-3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패널과 구동 방법
TWI238374B (en) * 2004-06-17 2005-08-21 Au Optronics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isplay luminance compensating device thereof, and compensating method thereof
US7317433B2 (en) * 2004-07-16 2008-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ircuit for driv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ircuit
JP4152420B2 (ja) 2004-07-21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
JP4676183B2 (ja) * 2004-09-24 2011-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階調電圧生成装置,液晶駆動装置,液晶表示装置
JP2006267999A (ja) * 2005-02-28 2006-10-05 Nec Electronics Corp 駆動回路チップ及び表示装置
KR100696693B1 (ko) * 2005-04-13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96691B1 (ko) * 2005-04-13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26077B1 (ko) * 2005-05-02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마 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WO2006132361A1 (ja) * 2005-06-10 2006-12-14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4830367B2 (ja) * 2005-06-27 2011-12-07 ソニー株式会社 階調表現デバイスの駆動方法
KR100635509B1 (ko) * 2005-08-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66640B1 (ko) * 2005-09-15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US8111358B2 (en) * 2005-09-20 2012-02-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4786996B2 (ja) * 2005-10-20 2011-10-0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EP1788548A1 (en) * 2005-11-16 2007-05-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Display method in a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TWI319557B (en) * 2006-01-06 2010-01-11 Himax Tech Ltd A data driver
JP5130633B2 (ja) * 2006-03-02 2013-01-3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271969A (ja) * 2006-03-31 2007-10-18 Canon Inc カラー表示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装置
EP1873744A1 (en) * 2006-06-30 2008-01-02 Deutsche Thomson Brandt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moled) device
JP4259551B2 (ja) * 2006-08-08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5403860B2 (ja) 2006-10-10 2014-0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2008197278A (ja) * 2007-02-09 2008-08-28 Eastman Kodak Co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0865329B1 (ko) * 2007-03-29 2008-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신호 제어 방법
US8300032B2 (en) * 2007-09-05 2012-10-30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data to driver of display
JP4627078B2 (ja) * 2007-10-25 2011-02-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と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JP5638181B2 (ja) 2007-11-09 2014-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39774A (ja) * 2007-12-10 2009-06-25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000288B1 (ko) * 2008-07-08 2010-12-1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감마전압생성기 및 상기 감마전압생성기를 구비하는 dac
JP5324174B2 (ja) * 2008-09-26 2013-10-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00078386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소스 라인 구동 방법
TWI410053B (zh) * 2009-10-15 2013-09-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多段式轉換之數位-類比轉換器
JP2011112728A (ja) * 2009-11-24 2011-06-09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CA2687631A1 (en) * 2009-12-06 2011-06-06 Ignis Innovation Inc Low power driving scheme for display applications
KR101818213B1 (ko) 2011-04-08 2018-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642230B2 (ja) * 2013-05-13 2014-1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5810143B (zh) * 2014-12-29 2018-09-2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数据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和有机发光显示器
WO2018173280A1 (ja) 2017-03-24 2018-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200135110A1 (en) * 2017-03-24 2020-04-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JP2018200343A (ja) * 2017-05-25 2018-12-2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7141241B2 (ja) * 2018-05-17 2022-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0910834B (zh) 2019-12-05 2021-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源极驱动器、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CN114144826B (zh) * 2020-05-19 2025-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测试方法和裂纹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583A (ja) * 1990-06-29 1992-02-2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20000003327A (ko) * 1998-06-27 2000-01-15 전주범 Pdp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위한 전압가변장치
KR20010100788A (ko) * 2000-02-18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표시 장치와 계조 보정 데이터 작성 방법
KR20010109140A (ko) * 2000-05-30 2001-12-08 니시가키 코지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323A (ja) * 1990-09-27 1992-05-08 Nec Corp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CA2112431C (en) * 1992-12-29 2000-05-09 Masato Yamanobe Electron sour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950029830A (ko) * 1994-04-19 1995-11-24 가네꼬 히사시 액정 디스플레이 셀
US6067066A (en) * 1995-10-09 2000-05-23 Sharp Kabushiki Kaisha Voltage output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WO1997036281A1 (en) * 1996-03-25 1997-10-02 Rainbow Displays, Inc. Tiled, flat-panel displays with color-correction capability
KR100205371B1 (ko) * 1996-03-26 1999-07-01 구자홍 액정의 다계화 구동회로
US5982424A (en) * 1997-04-23 1999-11-09 Scientific-Atlanta, Inc. CCD camera with adaptive compression control mechanism
US6377249B1 (en) * 1997-11-12 2002-04-23 Excel Tech Electronic light pen system
JP3472473B2 (ja) * 1998-03-25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6608612B2 (en) * 1998-11-20 2003-08-19 Fujitsu Limited Selector and multilayer interconnection with reduced occupied area on substrate
JP2000311587A (ja) * 1999-02-26 2000-11-07 Canon Inc 電子放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2401B2 (ja) * 2000-03-31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表示装置
TW493152B (en) * 1999-12-24 2002-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nic device
TW526464B (en) * 2000-03-10 2003-04-01 Sharp Kk Data transfer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signal line driving circuit, active-matrix substrate
US20020135553A1 (en) * 2000-03-14 2002-09-26 Haruhiko Nagai Image display and image displaying method
JP2001343941A (ja) * 2000-05-30 2001-12-14 Hitachi Ltd 表示装置
JP3594125B2 (ja) * 2000-07-25 2004-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Da変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駆動装置
JP2002055662A (ja) * 2000-08-11 2002-02-20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514854B (en) * 2000-08-23 2002-12-21 Semiconductor Energy Lab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GB0209502D0 (en) * 2002-04-25 2002-06-05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river circuits
GB2389951A (en) * 2002-06-18 2003-12-24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river circuits for active matrix OLED displays
JP4304585B2 (ja) * 2003-06-30 2009-07-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流生成供給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電流生成供給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5031430A (ja) * 2003-07-14 2005-02-03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JP5152448B2 (ja) * 2004-09-21 2013-02-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素駆動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583A (ja) * 1990-06-29 1992-02-2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20000003327A (ko) * 1998-06-27 2000-01-15 전주범 Pdp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위한 전압가변장치
KR20010100788A (ko) * 2000-02-18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표시 장치와 계조 보정 데이터 작성 방법
KR20010109140A (ko) * 2000-05-30 2001-12-08 니시가키 코지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57051A (ja) 2003-05-30
KR20030020832A (ko) 2003-03-10
TW558700B (en) 2003-10-21
US7091937B2 (en) 2006-08-15
US20030043132A1 (en) 2003-03-06
JP4191931B2 (ja)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463B1 (ko) 표시 장치
KR100670134B1 (ko) 전류 구동형 디스플레이 소자의 데이터 구동 장치
US86435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a sink current generator that generates an initialization current corresponding to bit values of initialization data
KR100600350B1 (ko) 역다중화 및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053528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782277B2 (en) Display device having demultiplexer
JP4982702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2010266848A (ja) El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3029816A (ja) 表示装置
US2005027025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demultiplexer
JP2003076334A (ja) 表示装置
KR20050002635A (ko) 전류생성공급회로 및 표시장치
KR100536535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072398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look-up tab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834387B (zh) 用於發光二極體面板的驅動電路及其發光二極體面板
CN117275393A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以及显示面板
US8094097B2 (en) Data line driving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data line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881229B1 (ko) Pm-oled패널의 휘도간섭 보상 회로
KR20090107509A (ko)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707619B1 (ko) 데이터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70080881A (ko) 표시 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590032B1 (ko) 전류 구동형 디스플레이 소자의 데이터 구동 장치
KR100670135B1 (ko) 전류 구동형 디스플레이 소자의 데이터 구동 장치
JP4941426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