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2771B1 -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771B1
KR100392771B1 KR10-2001-0082521A KR20010082521A KR100392771B1 KR 100392771 B1 KR100392771 B1 KR 100392771B1 KR 20010082521 A KR20010082521 A KR 20010082521A KR 100392771 B1 KR100392771 B1 KR 10039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utter
shaped member
driv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955A (ko
Inventor
호소카와다케시
나카무라도모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926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59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62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6427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킹 짐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6Cutting partly, e.g. cutting only the uppermost layer of a multiple-layer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검출한 테이프 종류에 기초하여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방법 및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절단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절단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절단 방법이 제공된다. 테이프 인쇄 장치는,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 또는 박리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고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 또는 박리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 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TAP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CUTTING DEVICE AND METHOD, AND TAPE PRIN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수상층(受像層)과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갖는 테이프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 가능한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및 절단 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상층과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형상 부재에 대해 박리층을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컷하는 하프 컷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9-314938호 공보에 기재된 라벨 프린터의 절단 장치는 박리층만을 컷하는 제1 절단날과, 수상층만을 컷하는 제2 절단날을 갖고,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하프 컷이나 풀 컷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하프 컷을 행할 수 있는 장치중에는, 상술한 수상층과 박리층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형상 부재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피인쇄 매체가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피인쇄 매체에 따라서는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는 것 또는 하프 컷을 행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전사 테이프 등과 같이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인쇄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다. 또, 자석층을 갖는 피인쇄 매체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하프 컷을 행함으로써 날을 손상시키므로(풀 컷을 행한 경우도마찬가지), 가위 등을 사용하여 절단해야만 했다.
그런데, 이러한 분명히 하프 컷을 행할 필요가 없는 피인쇄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종래는 절단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하프 컷이나 풀 컷 중 어느 한 절단 방법으로 컷하는지를 설정해야만 하여 번거로웠다. 또한, 절단 방법에 따라 컷 조작이 달라지므로, 조작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인쇄가 끝난 테이프형상 부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 가능한 절단 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테이프 인쇄 장치는 인쇄에 따라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인쇄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테이프 길이에 기초한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절단하거나, 수동에 의해 인쇄가 끝난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테이프 인쇄 장치는 여러 가지 재질이나 두께로 이루어지는 부재로 구성된 테이프형상 부재가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부재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서는 절단 불가능한 것 또는 절단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생각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자석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것을 절단함으로써 테이프 커터(날)를 손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테이프형상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위 등을 사용하여 절단해야만 해, 매우 번거로웠다. 또, 유저가 의도하지 않고 이러한 테이프형상 부재를 사용한 경우, 잘못하여 절단 처리를 행해 테이프 커터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검출한 테이프 종류에 기초하여 하프 컷을 행하는지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절단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절단 장치, 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절단 장치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체를 연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체를 덮고, 또한 개폐 덮개를 개방하여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박리지 부착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의 일례를 화면 표시로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박리지 없는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의 일례를 화면 표시로 나타낸 설명도,
도 8A, 8B는 도 1에 나타낸 테이프 인쇄 장치에 사용하는 테이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절단 가능한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의 일례를 화면 표시로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의 일례를 화면 표시로 나타낸 설명도,
도 13A ∼ 13C는 제2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 사용하는 테이프의 적층 구조 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A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면을 나타낸 상면도, 도 14B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14C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
도 15는 절단 가능한 테이프와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키보드
11 … 조작부 12 … 인쇄부
13 … 절단부 15 … 검출부
31 … 문자 키군 32 … 기능 키군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테이프 인쇄 장치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는 하프 컷 수단.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방법은 하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므로, 하프 컷을 행할 필요가 있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검출한 경우는 하프 커터를 구동하고, 하프 컷을 행할 필요가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검출한 경우는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는다. 즉,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유저는 그 때마다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테이프 전단부에 하프 컷을 행하므로 앞 여백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경우로서, 또한 앞 여백 길이가 프린트 헤드와 풀 커터 간의 거리보다 짧은 경우는, 통상 불필요분으로서 절단해 버리는 테이프 전단부의 프린트 헤드와 풀 커터 간의 거리분을 하프 컷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하프 컷을 행하는 경우에 반드시 소정 길이의 테이프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이유에 의해 소비해야 할 테이프 길이를 하프 컷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들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므로, 예를 들면 전사 테이프 등과 같이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나, 수상층에 두께가 있어 하프 컷을 할 수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검출한 경우는,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는다. 즉, 하프 컷을 행할 필요가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없으므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프 컷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에 관계없이,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지시가 되어도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하프 컷하는 등 필요없는 처리를 행하는 경우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프 컷 기능의 사용중 유저는 하프 컷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저에 대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므로, 유저는 하프 컷을 행하는지 또는 행하지 않는지의 설정이 되어 있는 것(설정이 변경된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상기 하프 컷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지시가 되어도 그 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사용하는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프 커터가 구동되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박리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하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박리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는 하프 컷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하면,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박리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박리층만을 컷하여 박리층을 벗겨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테이프형상 부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형상 부재로의 인쇄시에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 가능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절단 방법이 제공된다.
이들 절단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므로, 유저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에 따라 절단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절단 처리의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므로,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형상 부재를 잘못하여 절단하는 경우가 없다. 또,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한지 여부만을 검출하므로, 검출 대상물(테이프형상 부재의 재질)이나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두께 이하라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두께 이하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두께 이하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므로, 소정의 두께보다 두꺼운 테이프형상 부재를 잘못하여 절단하는 경우가 없다. 즉,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가 원인이 되어 테이프 커터가 테이프형상 부재에 물리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여, 그 결과 부재의 재질이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인 경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미리 장치측에서 규정한 재질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므로, 절단 불가능한 재질의 부재를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잘못하여 절단하는 경우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불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불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를 검출한 결과 부재의 재질이 소정의 절단 불가능한 재질인 경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미리 규정(기억)한 재질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절단 가능하나 새롭게 개발된 부재여서 아직 장치측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재질을 검출한 경우 등, 절단 가능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경도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경도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경도 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경도가 장치측에서 미리 규정한 소정의 경도 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잘못하여 경도가 높은 부재를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해 버려, 테이프 커터를 손상 또는 마모시키는 경우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점착도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점착도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점착도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점착도가 장치측에서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점착도 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잘못하여 점착도가 높은 부재를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해 버려, 테이프 커터에 부재의 일부가 접착하는 등 하여 날카로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도가 아닌 접착도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유저의 요구에 따라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에 관계없이,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유저로부터의 지시 내용에 관계없이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잘못하여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도록 지시한 경우에도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므로, 테이프 커터를 손상시키거나 마모시키거나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므로, 절단 장치의 사용중 유저는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 장치는 유저에 대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므로, 유저는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 여부의 설정이 행해진 것(설정이 변경된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 장치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된다.
이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지시가 되어도 그 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사용하는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한 재질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테이프 커터가 구동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과,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과,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장치, 및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절단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테이프형상 부재의 인쇄시에 절단하는지 여부를 설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것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1 실시형태의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제2 실시형태의 절단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체를 나타낸 외관 구성이며, 도 2는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덮개체(8)를 연 상태의 외관 구성이며, 도 3은 테이프 인쇄 장치(1)의 덮개체(8)를 닫고, 또한 개폐 덮개(5)를 개방하여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상태의 외관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4)에 의해 외장을 형성한 장치 본체(2)와, 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로 구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2)는 장치 케이스(4)의 후부 좌측 상면에 부착된 창이 있는 개폐 덮개(5)와, 개폐 덮개(5)의 우측 옆에 설치되어 개폐 덮개(5)를 개폐 조작하는 개폐 버튼(6)과, 개폐 버튼(6)의 우측의 장치 케이스(4)의 상면에 설치된 트림부(7)와, 중간부에 부착되고 디스플레이(14)가 장착된 개폐 가능한 덮개체(8)와, 덮개체(8)의 앞쪽에서 장치 케이스(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 램프군(19)을 갖는 초승달형상부(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초승달형상부(9) 좌측의 장치 케이스(4) 상면에는 2개의 키로 이루어지는 노출 키군(10)이 배치되고, 노출 키군(10)과 동일 평면 상에 덮개체(8)에 개폐 가능하게 덮히는 키보드(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 덮개(5)의 내측에는 테이프 카트리지(C)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포켓(P)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유저가 개폐 버튼(6)에 의해 개폐 덮개(5)를 개방하고, 포켓(P)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후, 덮개체(8)를 열어 키보드(3)를 개방하고, 디스플레이(14)를 참조하면서 키보드(3)를 조작한다. 키보드(3)에 의해 원하는 문자 등(문자, 숫자, 기호, 간이 도형 등의 캐릭터)의 인쇄 정보를 입력하고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를 풀어 인쇄 헤드(122)에 의해 테이프(T)에 원하는 인쇄를 행하고, 인쇄가 끝난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수시로 외부로 송출된다. 원하는 인쇄가 완료하면, 여백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의 급송을 행한 후, 그 급송을 정지하고 테이프 배출구(22)에 형성된 풀 컷용 테이프 커터(132a)에 의해 급송한 테이프(T)를 절단한다.
또한, 이렇게 하여 형성한 테이프(T)의 단부를 트림부(7)에 의해 트리밍할 수도 있다. 즉, 유저는 장치 케이스(4)의 상면을 아래 비스듬한 방향으로 잘라낸 테이프 삽입 가이드(13)에 테이프(T)를 안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기동하는 트리밍 기구에 의해 테이프(T)의 단부를 성형 절단(각부를 R형상으로 모따기)할 수도 있다.
테이프(T)는 인쇄면이 되는 수상층(Ta)과, 그 뒷면측에 형성된 점착층(Tb)과, 또한 그 뒷면측에 형성된 박리층(T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8A 및 8B 참조).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은 관통구멍(55)의 위치에서 상호 겹쳐진 상태로 주행함과 동시에, 테이프(T)만이 외부로 배출되고 잉크 리본(R)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외부로 배출된 테이프(T)는 박리층(Tc)을 벗겨내어 접착 대상물에 접착된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층만의(점착층(Tb), 박리층(Tc)을 갖지 않는) 테이프(T′)도 사용 가능하다.
또, 장치 케이스(4)의 테이프(T)의 배출구(22)와는 반대측 위치에는 접속 단자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부(300)는 도면에 없는 AC 어댑터를 접속하기 위한 AC 어댑터 잭(292)과, 장치 본체(2)와 퍼스널 컴퓨터(PC)를 접속하는 도면에 없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잭(23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접속 단자부(300)는 테이프(T)의 배출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속한 케이블이나 AC 어뎁터의 코드가, 배출된 테이프(T)를 주워 올릴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테이프 인쇄 장치(1)는 배면을 아래로 한 세워진 자세에서도 PC에서 입력한 인쇄 데이터를 테이프(T)에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본체(2)와 PC를 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PC에서 입력·편집한 데이터를 테이프(T)에 인쇄할 수도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와 PC의 통신 접속 상태는 장치 본체(2)와 PC를 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통신 접속 대기 상태가 되고, 통신 키(18)의 ON 조작에 의해 통신 접속 가능 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테이프 인쇄 장치(1)를 PC와 통신 접속하는 경우, 키보드(3)는 특별히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8)에 은폐되게 된다.
노출 램프군(19)은 초승달형상부(9)의 중앙부에 설치된 복수의 표시 램프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표시 램프는 도시 좌측부터 인쇄 표시 램프(40), 전원 표시 램프(41), 하프 컷 표시 램프(42), 통신 표시 램프(43) 및 트림 표시 램프(44) 순으로 배열되고, 각종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점등·소등한다. 인쇄 표시 램프(40)는 테이프(T)에 인쇄중 및 인쇄가 끝난 테이프(T)를 풀 컷 동작중에 점등되고, 하프 컷 표시 램프(42)는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에 하프 컷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통신 표시 램프(43)는 후술하는 통신 키(18)가 ON의 상태일 때 점등되고, 트림 표시 램프(44)는트림부(7)에서 인쇄가 끝난 테이프(T)의 구석부를 성형 절단중에 점등된다.
또, 노출 키군(10)의 상기 2개의 키는 서로 근접하여 배치한 좌측의 전원 키(17)와 우측의 통신 키(18)이다. 전원 키(17)는 장치 본체(2)의 전원을 ON-OFF 조작 가능하게 하는 키이며, 또 통신 키(18)는 PC와의 통신 접속을 ON-OFF 조작 가능하게 하는 키이다.
다음으로, 제어계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14)를 갖고 유저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1), 인쇄 헤드(서멀 헤드)(122)나 테이프 급송부(120)를 갖고 포켓(P)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12), 인쇄 후의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절단부(13), 각종 센서를 갖고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5), 각종 드라이버를 갖고 각 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270), 및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치 케이스(4)의 내부에는 인쇄부(12), 절단부(13), 검출부(15) 등의 외에, 도면에 없는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도시 생략한 전원 유닛 외에, 구동부(270)나 제어부(20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전원 유닛은 도면에 없는 AC 전원에 접속된 AC 어댑터가 접속되는 상술한 AC 어뎁터 잭(292)이나 외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니켈카드뮴 전지 등의 도면에 없는 전지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14)를 구비하고 있다. 키보드(3)에는 알파벳 키군, 숫자 키군, 및 외국글자를 불러내어 선택하기 위한 외국글자 키군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31) 외에,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키군(32) 등이 배열되어 있다. 일본어 입력 가능한 타입의 장치인 경우는, 문자 키군(31)에는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등의 가나 키군이 포함된다. 기능 키군(32)에는 인쇄 실행을 지시하는 「인쇄」키 외에,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일본어 입력 가능한 타입의 장치인 경우는 한자 변환을 포함한다)에, 표시되어 있는 선택지를 선택하는 「선택」키, 커서 위치(도 6 D12 등 참조)의 문자를 삭제하거나 각종 기능의 조작중에 조작의 취소를 행하는 「삭제」키, 다음에 입력되는 캐릭터 위치나 조작의 대상이 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K)를 이동하기 위한 「커서」키(「↑」, 「↓」, 「→」, 「←」) 등이 포함된다. 또,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에 하프 컷을 행하도록 지시하는 「하프 컷」키도 포함된다.
또한, 당연히 이들 키 입력은 일반적인 키보드 등과 마찬가지로, 각 키 입력마다 개별적으로 키를 설치하여 입력해도 되고, 시프트 키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보드(3)는 여러 가지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14)는 횡방향(X방향) 약 6cm × 종방향(Y방향) 4cm의 장방형 형상의 내측에, 96도트×64도트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표시 화면(45)을 갖고, 유저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고 캐릭터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시인(視認)하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하거나 할 때 등에 사용된다.
테이프 급송부(120)는 테이프를 송출하는 급송 모터(121)를 구비하고, 급송 모터(121)의 선단에는 도면에 없는 검출 개구가 형성된 원반이 고착되어 있다.또한, 그 검출 개구에 면하도록 포토 센서 등을 갖는 회전 속도 센서(141)가 설치되어 있어, 급송 모터(12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200)에 보고한다.
인쇄부(12)에는 개폐 덮개(5)의 내측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P)이 설치되어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C)는 이 개폐 덮개(5)를 개방한 상태로 포켓(P)에 대해 착탈된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부에 일정한 폭(4.5mm ∼ 48mm 정도)의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수용되어 있으며, 또 포켓(P)에 설치된 헤드 유닛에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뒷면에 작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포켓(P)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42)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절단부(13)는 테이프(T)를 절단하는 풀 컷용 테이프 커터(132a)와, 테이프(T)의 수상층(Ta) 및 점착층(Tb)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용 테이프 커터(하프 커터)(132b)와, 임의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 수동에 의해 테이프 커터(132a, 132b)를 절단 동작시키는 풀 컷용 컷 버튼(133a), 하프 컷용 컷 버튼(133b)과, 정해진 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테이프 커터(132a, 132b)를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모드 설정에 의해 자동/수동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수동 컷의 경우, 인쇄가 완료된 시점에서 유저가 장치 케이스(4)에 설치된 컷 버튼(133a, 133b)을 누름으로써, 테이프 커터(132a, 132b)가 작동하여 테이프(T)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다. 또, 자동컷의 경우, 인쇄가 종료하여 여백분만큼 테이프가 급송되고, 그것이 정지함과 동시에 커터 모터(131)가 구동되어 테이프(T)의 절단이 행해진다.
또, 모드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는, 후술하는 테이프 식별 센서(142)에 의해 테이프 종별을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에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이 행해진다. 이 경우의 하프 컷이란, 박리층(박리지)(Tc)을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테이프(T)에 박리지(Tc)만을 남긴 컷을 실시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테이프(T)는 슬릿이 들어간 탭형상의 것이 형성된다(도 8A 참조).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검출부(15)는 상술한 회전 속도 센서(141), 테이프 식별 센서(1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상에 맞추어 이들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구동부(270)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71)와, 헤드 드라이버(272)와, 모터 드라이버(27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271)는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 지시에 따라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14)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드라이버(272)는 제어부(200)의 지시에 따라 인쇄부(12)의 인쇄 헤드(122)를 구동한다. 또, 모터 드라이버(273)는 인쇄부(12)의 급송 모터(121)를 구동하는 급송 모터 드라이버(273d)와, 절단부(13)의 커터 모터(131)를 구동하는 커터 모터 드라이버(273c)를 갖고, 동일하게 제어부(200)의 지시에 따라 각 모터를 구동한다.
제어부(200)는 CPU(210), ROM(220), 캐릭터 제너레이터 ROM(CG-ROM)(230), RAM(240), 주변 제어 회로(P-CON)(250)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60)에 의해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 외에, 캐릭터 일람 테이블, 색 변환 테이블 및 문자 수식 테이블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CG-ROM(230)은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준비되어 있는 기호, 도형 등의 비트 맵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어, 문자 등을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대응하는 비트 맵 데이터를 출력한다.
RAM(기억 장치)(240)은 전원 키(17)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오프로 되어도, 기억한 데이터를 유지해 두도록 도면에 없는 백업 회로에 의해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으며, 각종 레지스터군(241)이나, 유저가 키보드(3)로부터 입력한 문자 등의 캐릭터 데이터를 기억하는 캐릭터 데이터 영역(242), 표시 화면(45)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43), 인쇄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44), 그림그리기 등록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그림그리기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5) 외에, 인쇄 이력 데이터 영역(246)이나 기타 색 변환 버퍼 등의 각종 변환 버퍼 영역(247) 등의 영역을 갖고, 제어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5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완함과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가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가지 계시(計時)를 행하는 타이머(251) 등도 P-CON(250) 내의 기능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P-CON(250)은 검출부(15)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3)와 접속되고, 검출부(15)로부터의 상술한 각종 검출 신호 및키보드(3)로부터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내부 버스(260)에 취입함과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6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구동부(270)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 구성에 의해, ROM(220)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P-CON(250)을 통해 각종 검출 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여, CG-ROM(230)으로부터의 비트 맵 데이터, RAM(24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P-CON(250)을 통해 구동부(27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 화면(45)의 표시 제어 등을 행함과 동시에, 인쇄 헤드(122)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으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식별 센서(142)에 의해 테이프 종별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의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컷 모드의 설정은 「수동 모드」가 아니라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테이프(T)(테이프 카트리지(C))는 전원을 ON으로 한 후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또, 테이프 종별의 검출은 박리지(박리층)(Tc)를 갖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전원이 ON이 되면 소정의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S11). 여기서, 전회(前回)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원을 OFF로 했을 때, 「하프 컷 ON」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는, 하프 컷의 설정이 「하프 컷 ON」인채로 유지된다. 한편, 전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원을 OFF했을 때, 「하프 컷 OFF」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는, 하프 컷의 설정이 「하프 컷 OFF」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하프 컷 ON」의 상태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초승달형상부(9)의 중앙부에 설치된 하프 컷 표시 램프(이하, 「하프 컷 LED」라 한다)(42)는 점등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유저에 의해 「하프 컷」키가 눌러지면(S12 : Yes) 하프 컷 LED(42)는 소등되고, 「하프 컷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S13, 도 6 D13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 테이프(T)가 장착되고(S14, 이 경우 테이프(T)는 박리지(Tc)가 부착된 것이어도 되고, 박리지(Tc)가 없는 것이어도 된다), 「인쇄」키가 눌러지면(S15) 인쇄에 앞선 하프 컷은 행해지지 않고, 인쇄를 행한 후 테이프(T) 후단의 풀 컷만이 행해진다(S16, 도 8B 참조).
한편, 유저에 의해 「하프 컷」키의 누름이 행해지지 않았던 경우로서(S12 : No), 그 후 박리지(Tc)가 부착된 테이프(T)가 장착된 경우는(S17), (그 후, 「하프 컷」키가 눌러지지 않고(S18 : No)) 「인쇄」키가 눌러지면(S19),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 하프 컷을 행한다(S20, 도 8A 참조). 이렇게 하프 컷을 행함으로써, 박리지(Tc)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상으로 절단된 테이프(T)의 단부를 각각 양 손으로 잡고, 수상층(Ta)측을 윗쪽으로 하여 하프 컷부를 볼록하게 굽히면 하프 컷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된다. 즉, 박리층(Tc)을 박리되기 쉽게 함으로써, 유저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프 컷 후 인쇄가 행해지고, 테이프(T) 후단의 풀 컷이 행해진다.
그런데, 유저에 의해 박리지(Tc)가 부착된 테이프(T)가 장착된 후(S17), 「하프 컷」키가 눌러진 경우는(S18 : Yes), 하프 컷 LED(42)가 소등되고, 「인쇄」키가 눌러지면(S15), 인쇄를 행한 후 풀 컷만을 행한다(도 8B 참조).
또, 유저에 의해 박리지(Tc)(및 점착층(Tb))가 없는 테이프(T)(테이프(T′) : 도 8B 참조)가 장착된 경우는(S21), 하프 컷 LED(42)을 소등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하프 컷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S22, 도 7 D21 참조). 여기서, 「하프 컷」키가 눌러지지 않고(S23 : No) 「인쇄」키가 눌러지면(S15), 인쇄를 행한 후 풀 컷만을 행한다(S16). 한편, 「하프 컷」키가 눌러진 경우는(S23 : Yes) 설정 변경이 무효라는 취지를 표시한다(S24, 도 7 D24 참조). 이것은 박리지(Tc)가 없는 테이프(T)(테이프(T′))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 후, 「인쇄」키가 눌러지면(S15), 인쇄를 행한 후 풀 컷만을 행한다(S16).
또한, 테이프(T)의 송출중에 테이프(T)(카트리지(C))가 이탈되어, 인쇄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T)(카트리지(C))의 교환시(개폐 덮개(5)를 열 때)에는 전원이 끊어져 버리도록 구성된 장치의 경우는, 전원 ON의 직후에 테이프종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박리지가 부착된 테이프(T)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술한 (S18) 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박리지가 없는테이프(T′)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술한 (S2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T)의 교환시에는 전원이 끊어져 버리도록 구성된 장치에서의 하프 컷 기능 설정 처리를 도 6 및 도 7의 화면 표시(45)를 참조하여 조작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박리지(Tc)가 부착된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지(Tc)가 부착된 테이프를 장착한 후 전원 키가 ON이 되면, 텍스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11). 또한, 화면 표시(45)중의 「①」은 텍스트 첫 번째줄의 입력인 것을 나타낸다. 또, 이 때 하프 컷 LED(42)를 점등하고 있다.
여기서, 텍스트 「야마다 타로」가 입력되고(D12), 또한 「하프 컷」키가 눌러지면 하프 컷 LED(42)를 소등함과 동시에, 「하프 컷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13). 「하프 컷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1 ∼ 2초 표시하면,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14). 이 상태에서 또한 「하프 컷」키가 눌러지면 하프 컷 LED(42)를 점등함과 동시에, 「하프 컷 ON」으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15).
다음으로, 박리지(Tc)가 없는 테이프(T)(테이프(T′))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지(Tc)가 없는 테이프(T)(테이프(T′))를 장착한 후 전원 키를 ON으로 하면, 자동으로 「하프 컷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21). 또, 이 때 하프 컷 LED(42)는 소등되어 있다. 또한, 이것을 1 ∼ 2초 표시하면,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22).
여기서, 텍스트 「야마다 타로」가 입력되고(D23), 「하프 컷」키가 눌러지면 하프 컷 불가능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설정 변경이 무효라는 취지를 표시한다(D24). 이것을 1 ∼ 2초 표시한 후,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2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하프 컷 방법에 의하면, 테이프(T)의 종별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인쇄에 앞서 테이프(T)의 선단부에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는 테이프(T)(박리지(Tc)가 존재하지 않는 것 등)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하프 컷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을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박리지(Tc)를 갖는 테이프(T)를 사용하는 경우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하프 컷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프 컷 LED(42)에 의해 하프 컷이 행해지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통지하거나, 하프 컷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는 표시 화면(45)에 그 취지가 표시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테이프(T)의 종별은 테이프 카트리지(C)의 뒷면에 형성된 구멍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판별하는 것으로 했으나, 테이프 카트리지(C)에 식별 테이프를 접착하는 등(예를 들면, 박리지(Tc)가 부착된 테이프의 경우에는 검은 색의 식별 테이프를 접착하고, 박리지(Tc)가 없는 테이프의 경우에는 흰 색의 식별 테이프를 접착하는 등) 하여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T)의 검출은 박리지(Tc)가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했으나, 박리지(Tc)의 유무뿐만 아니라 테이프(T)의재질 등, 테이프(T)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박리지(Tc)가 부착되어 있어도 자석층을 갖는 등, 하프 컷을 행함으로써 날을 손상시키는 테이프(T)를 검출한 경우는, 하프 컷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풀 컷도 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잘못하여 컷을 행하여 날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수상층(Ta)에 두께가 있어 하프 컷할 수 없는 테이프를 검출한 경우도, 하프 컷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프 컷을 행할 필요가 없는 테이프형상 부재에 대해 하프 컷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하프 컷에 필요한 테이프 선단부의 불필요 부분(테이프의 선단부(Tp)보다 도시 좌측 부분 : 도 8A 참조)을 없앨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하프 컷용 테이프 커터(132b)는 수상층(Ta) 및 점착층(Tb)을 절단하는 것인데, 박리층(Tc)만을 컷함으로써 박리층(Tc)을 벗겨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하프 컷용과 풀 컷용의 2종류의 커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커터로 하프 컷과 풀 컷의 절단이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하프 컷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절단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절단 방법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절단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절단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절단 장치 및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절단 방법은, 하기의 구성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노출 램프군(19)은 하프 컷 표시 램프(42)를 대신하여, 자동 절단 표시 램프(42′)를 포함한다. 자동 절단 표시 램프(42)는 자동적으로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자동 절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키보드(3)의 기능 키군(32)에는 「인쇄」키, 「선택」키, 「삭제」키, 「커서」키 등의 외에, 자동적으로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자동 절단 기능 설정의 ON-OFF를 지시하는 「자동 절단」키도 포함된다.
또, 도 14A 및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폭을 식별할 수 있도록, 뒷면에 작은 복수의 구멍(35)이 형성되고, 포켓(P)에는 이 구멍(35)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폭 검출 센서(143)가 설치되어 있어, 이에 의해 테이프(T)의 폭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51)의 저면에는 수납된 테이프(T)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 두께, 색 등의 정보를 바코드화한 바코드 테이프(BT)가 접착되어 있으며, 포토 센서 등의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에 의해 이들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준 테이프의 경우, 테이프 정보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55㎛두께), 아크릴계 수지(20㎛두께), 상질지(40㎛두께)의 재질 및 두께 정보, 테이프 색의 흰 정도, 리본 색의 검은 정도의 기타 정보가 포함된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 수용되는 테이프(T)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면이 되는 수상층(Ta)과, 그 뒷면에 형성된 점착층(Tb)과, 또한 그 뒷면에 형성된 박리층(Tc)으로 이루어지고, 인쇄 후 박리층(Tc)으로부터 수상층(Ta) 및 점착층(Tb)을 박리하여 접착 대상물에 접착하여 사용된다.
절단부(13)의 테이프(T)를 절단하는 풀 컷용 테이프 커터(132a)와, 테이프(T)의 수상층(Ta) 및 점착층(Tb)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용 테이프 커터(132b)에 의한 풀 컷, 하프 컷 각각의 절단 방법에 의한 절단 결과는 도 13A 및 13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모드 설정에 의해 자동/수동을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자동 컷의 경우는 하프 컷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하프 컷용 테이프 커터(132b)가 구동되고, 특히 절단 방법의 지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는 풀 컷용 테이프 커터(132a)가 구동된다.
또, 모드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는, 후술하는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에 의해 테이프 종별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커터 모터(131)를 구동하는지 여부의 설정이 행해진다. 즉, 테이프 종류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풀 컷 및 하프 컷의 양 절단 처리를 행하는지 여부가 설정된다. 또한, 풀 컷, 하프 컷으로 나누어 절단 처리를 행하는지의 여부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T)의 재질이나 두께는 절단 가능한 것이나, 1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프 컷을 행해도 의미가 없는 테이프(T)를 검출한 경우, 풀 컷은 행하지만 하프 컷은 행하지 않는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검출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속도 센서(141), 테이프 식별 센서(142)외에,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상에 맞추어 이것을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 내의 ROM(220)의 제어 데이터 영역(222)에는 캐릭터 일람 테이블, 색 변환 테이블 및 문자 수식 테이블 외에 절단 가능한 테이프 재질 일람 테이블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CPU(21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테이프(T)의 절단도 제어한다.
특히, CPU(210)에서 테이프(T)의 절단을 제어하는 경우는,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에 의해 테이프(T)의 재질 및 두께(두께 합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재질이 제어 데이터 영역(222)에 기억된 절단 가능한 재질에 적합한지 여부 및 검출한 두께 합계가 소정의 절단 가능한 두께(200㎛)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만으로 구성되고, 또한 소정의 두께 합계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커터 모터 드라이버(273c)를 통해 커터 모터(131)를 구동한다.
여기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에 의해 테이프 정보를 검출하고(장착된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 및 소정의 두께 합계(200㎛) 이하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 절단 기능의 ON-OFF 설정을행하는 것이다. 장착된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재질만으로 구성되고, 또한 두께 합계가 200㎛ 이하인 경우에만, 「자동 절단 기능 ON」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한다. 즉, 절단 불가능한 재질이 포함되어 있을 때는 테이프의 두께에 관계없이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하고, 또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재질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두께 합계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야광 테이프(리셉터 테이프)의 경우, 절단 가능한 재질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두께 합계가 252㎛이므로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한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의 전체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컷 모드의 설정은 「수동 모드」가 아니라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테이프(T)(테이프 카트리지(C))는 전원을 ON으로 한 후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 절단 가능한 테이프(T)를 「절단 가능 테이프(T1)」,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를 「절단 불가능 테이프(T2)」라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해 전원이 ON이 되면 소정의 초기 서정을 행한다(S111). 여기서, 전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원을 OFF로 했을 때 「자동 절단 기능 ON」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는, 자동 절단 기능의 설정을 「자동 절단 기능 ON」인 채로 유지한다. 한편, 전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원을 OFF로 했을 때 「자동 절단 기능 OFF」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는, 자동 절단 기능의 설정을 「자동 절단 기능 OFF」로 한다. 여기서는, 전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전원을 OFF로 했을 때, 「자동 절단 기능 ON」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었던 것으로서, 자동 절단 기능을 「자동 절단 기능 ON」의 상태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초승달형상부(9)의 중앙부에 설치된 자동 절단 표시 램프(이하, 「자동 절단 LED」라 한다)(42′)를 점등시킨다.
여기서, 유저에 의해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면(S112 : Yes) 자동 절단 LED(42′)는 소등되고,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S113, 도 11 D113 참조). 또한, 이 상태에서 테이프(T)가 장착되고(S114, 이 경우 테이프(T)는 절단 가능한 것이어도 되고, 절단 불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인쇄」키가 눌러지면(S115) 인쇄만이 행해지고, 테이프(T)의 절단은 행해지지 않는다(S116). 이 경우, 유저는 가위 등을 사용하여 테이프(T)를 절단한다.
한편, 유저에 의해 「자동 절단 기능」키가 눌러지지 않았던 경우로서(S112 : No) 그 후 절단 가능한 테이프(T1)가 장착된 경우는(S117), (그 후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지 않고(S118 : No)) 「인쇄」키가 눌러지면(S119), 테이프(T)의 자동 절단을 행한다(S120). 또한, 이 경우 자동 절단이란 하프 컷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하프 컷을 행하고, 특별히 절단 방법의 지정이 행해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풀 컷을 행한다.
또, 유저에 의해 절단 가능한 테이프(T1)가 장착된 후(S117) 「자동 절단」키가 눌러진 경우는(S118 : Yes), 자동 절단 LED(42)를 소등하고, 유저에 의해 「인쇄」키가 눌러지면(S115), 인쇄만을 행하고 자동 절단은 행하지 않는다(S116).
또, 유저에 의해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가 장착된 경우는(S121), 자동 절단 LED(42′)를 소등함과 동시에,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S122, 도 12 D21 참조). 여기서,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지 않고(S123 : No)), 「인쇄」키가 눌러지면(S115) 인쇄만을 행하고, 자동 절단은 행하지 않는다(S116). 한편, 「자동 절단」키가 눌러진 경우는(S123 : Yes), 설정 변경이 무효라는 취지를 표시한다(S124, 도 12 D24 참조). 이것은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가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못하여 절단 처리를 행해버려 테이프 커터(132)가 손상되거나 마모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유저에 의해 「인쇄」키가 눌러지면(S115), 인쇄만을 행하고 자동 절단은 행하지 않는다(S116).
또한, 테이프(T)의 송출중에 테이프(T)(카트리지(C))가 이탈되어, 인쇄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T)(카트리지(C))의 교환시(개폐 덮개(5)를 열 때)에는 전원이 끊어져 버리도록 구성된 장치의 경우는, 전원 ON의 직후에 테이프종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원 ON의 직후에 절단 가능한 테이프(T1)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술한 (S118) 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술한 (S12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T)의 교환시에는 전원이 끊어져 버리도록 구성된 장치에서의 자동 절단 기능 설정 처리를 도 11 및 도 12의 화면 표시(45)를 참조하여 조작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절단 가능한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가능한 테이프를 장착한 후 유저에 의해 전원 키가 눌러지면, 텍스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111). 또한, 화면 표시(45)중의 「①」은 텍스트 첫 번째줄의 입력인 것을 나타내고, 그것에 표시된 밑줄은 캐릭터의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K)이다. 또, 이 때 자동 절단 LED(42′)를 점등하고 있다.
여기서, 텍스트 「야마다 타로」가 입력되고(D112), 또한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면 자동 절단 LED(42′)를 소등함과 동시에,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113).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1 ∼ 2초 표시하면,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114). 이 상태에서 또한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면, 자동 절단 LED(42′)를 점등함과 동시에, 「자동 절단 기능 ON」으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115).
다음으로,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장착한 후 유저에 의해 전원 이 눌러지면,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했다는 취지를 표시한다(D121). 또, 이 때 자동 절단 LED(42′)는 소등되어 있다. 또한, 이것을 1 ∼ 2초 표시하면,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122).
여기서, 텍스트 「야마다 타로」가 입력되고(D123) 「자동 절단」키가 눌러지면, 절단 불가능 테이프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설정 변경이 무효라는 취지를 표시한다(D124). 이것을 1 ∼ 2초 표시한 후, 화면은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옮겨간다(D125). 또한, 도 11 및 도 12에서 텍스트 「야마다 타로」의 입력은 임의이며, 자도 절단 기능의 설정과는 특별히 관계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장치 및 절단 방법에 의하면, 테이프(T)의 정보(테이프(T)의 재질 및 두께)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테이프(T)를 절단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자동 절단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절단 처리의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테이프 커터를 손상시키거나 마모시키거나 하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잘못하여 절단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 절단 가능한 테이프(T1)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저의 지시에 따라 자동 절단을 행하지 않도록 설정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자동 절단 LED(42′)에 의해 자동 절단이 행해지는지 여부를 유저에게 통지하거나 자동 절단 기능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에는, 표시 화면(45)에 그 취지가 표시되므로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컷 모드의 설정은 「자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수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서도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사용하는 경우는 절단 처리를 행할 수 없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설정된 컷 모드에 관계없이 잘못하여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절단해버려, 테이프 커터(132)를 손상시키거나 마모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 절단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를 검출한 경우)에는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위치를 나타내는 절단선(도시 점선)을 인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위 등을 사용하여 테이프를 절단하는 경우, 유저는 적절한 절단 위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 폭이 넓은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절단선을 따라 똑바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보기좋은 인쇄물(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 「자동 절단 기능 OFF」로 설정한 후(도 10 S112, S113) 테이프(T)를 장착한 경우(도 10 S114)는,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것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 절단을 행하지 않는(도 10 S116) 것으로 했으나, 여기서 절단 가능한 테이프(T1)가 장착된 경우는 자동 절단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유저의 지시에 관계없이, 테이프(T)의 종류에 따라 자동 절단 기능의 설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잘못하여 지시를 내린 경우라도, 테이프(T)의 종류에 맞는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 테이프(T)의 검출은 테이프(T)의 재질 및 두께를 검출하는 것으로 했으나, 테이프(T)의 재질만을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테이프(T)를 구성하는 부재의 경도나 점착도에 관한 정보를 바코드 테이프(BT)에 기록해 두고, 이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 검출된 테이프(T)를 구성하는 부재의 경도나 점착도가 규정하는 경도나 점착도 이하이면 자동 절단을 행하도록 설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잘못하여 경도나 점착도가 높은 테이프(T)를 절단해 버려, 테이프 커터를 손상시키거나 날카로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테이프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는 것보다도 검출하는 정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테이프(T)의 두께(두께 합계)만을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도 15 「절단 가능한 테이프(T1),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의 일례」이중선 부분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T)의 두께 합계가 200㎛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면 되므로, 검출하는 정보량을 대단히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검출 대상물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장착된 테이프(T)가 절단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절단 가능한 것인지 여부)만을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도 15 파선부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 대상물을 바코드 테이프(BT)가 아니라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뒷면에 형성된 작은 복수의 구멍으로 하는 등, 검출 대상물이나 이것을 검출하는 검출 기구(예를 들면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테이프 인쇄 장치(1)측에서는, 절단 가능한 재질만을 규정(기억)하고 있고, 그 기억한 재질만이 검출된 경우에 「절단 가능」한 재질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했으나, 장치측에서는 「절단 불가능」한 재질만을 규정(기억)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새롭게 개발된 절단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테이프(T)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장치측에서는 이 재질을 「절단 불가능」이라고는 규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절단 가능」한 재질이라고 바르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절단 가능」한 재질만을 규정한 경우는, 테이프(T)의 개발에 대해 장치측의 대응이 늦어지면, 절단 가능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테이프 부재를 절단하지 않도록 설정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나, 「절단 불가능」한 재질만을 규정한 경우는 그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억 용량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절단 가능」 및 「절단 불가능」의 모든 재질에 관한 정보를 규정(기억)해 두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 테이프(T)의 정보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저면에 붙여진바코드 테이프(BT)를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에 의해 읽어냄으로써 검출하는 것으로 했으나, 절단 가능한 테이프(T1)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흰 색, 또 절단 불가능한 테이프(T2)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은 색 등 색을 구분한 식별 테이프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테이프 정보 검출 센서(145)를 복수 개 나란히 설치하여, 테이프 카트리지(C)의 소정 위치에 붙여진 복수의 반사 시일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테이프(T)의 두께나 절단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 등, 비교적 정보량이 적은 정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한 테이프 종류에 기초하여 하프 컷을 행하는지 여부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조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별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절단함으로써 테이프 커터를 손상시키거나 마모시키거나 하는 테이프형상 부재를 잘못하여 절단해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7)

  1.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는 하프 컷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컷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에 관계없이,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유저에 대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컷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7.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수상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박리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하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방법.
  9. 수상층과 박리층을 갖는 테이프형상 부재의 폭방향에 대해, 하프 커터를 사용하여 해당 테이프형상 부재의 박리층만을 절단 가능한 하프 컷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하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하프 커터를 구동하여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급송 방향 전방측에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박리층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하는 하프 컷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10.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 가능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두께 이하라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경도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경도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경도 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점착도를 검출하는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부재의 점착도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점착도 이하인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에 관계없이,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을 통지하는 설정 내용 통지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유저에 대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내용이 변경된 경우, 그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절단 불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지시 수단에 의한 지시 내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장치.
  22.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 가능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 수단, 상기 테이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 및 상기 테이프 커터 구동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절단 장치,
    및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
  23. 테이프 커터에 의해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가 절단 가능하다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두께가 미리 규정한 소정의 두께 이하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테이프형상 부재를 구성하는 부재의 재질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가능한 재질이라고 검출된 경우에만,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커터를 구동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부재의 재질이 미리 규정한 소정의 절단 불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만, 테이프커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방법.
KR10-2001-0082521A 2000-12-25 2001-12-21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KR100392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2654A JP4545922B2 (ja) 2000-12-25 2000-12-25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並びに切断方法
JPJP-P-2000-00392654 2000-12-25
JP2001062161A JP4566427B2 (ja) 2001-03-06 2001-03-06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JP-P-2001-00062161 2001-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955A KR20020052955A (ko) 2002-07-04
KR100392771B1 true KR100392771B1 (ko) 2003-07-25

Family

ID=2660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521A KR100392771B1 (ko) 2000-12-25 2001-12-21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85438B2 (ko)
KR (1) KR100392771B1 (ko)
CN (1) CN12008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6449B2 (ja) * 2001-12-14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4216833A (ja) * 2003-01-17 2004-08-05 Seiko Epson Corp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705785B1 (en) * 2003-02-06 2004-03-16 Richard White Apparatus for removing perforated side edge guide strips from printer paper
KR100569169B1 (ko) * 2003-02-13 2006-04-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인쇄 장치, 라벨 작성 방법, 및 기억매체
USD503423S1 (en) * 2003-09-29 2005-03-29 Brother Industries, Ltd. Tape printing machine
USD503193S1 (en) * 2003-09-29 2005-03-22 Brother Industries, Ltd. Tape printing machine
USD532038S1 (en) * 2004-04-22 2006-11-14 Able Systems Limited Printer
JP4609108B2 (ja) * 2004-04-22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処理装置、テープ処理装置のテープ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D108938S1 (zh) * 2004-07-26 2006-01-21 富士照相膠卷股份有限公司 沖印機
TWD109178S1 (zh) * 2004-09-07 2006-02-11 富士照相膠卷股份有限公司 沖印機
JP4404094B2 (ja) * 2004-09-30 2010-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4265533B2 (ja) * 2004-12-22 2009-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点字情報処理装置、点字情報処理方法、処理シート、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581677B2 (ja) * 2004-12-27 2010-1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ピーラー機能付きプリンタ
US7845259B2 (en) * 2005-07-14 2010-12-07 Provo Craft And Novelty, Inc. Electronic paper cutting apparatus
US20070012148A1 (en) 2005-07-14 2007-01-18 Robert Workman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US7930958B2 (en) 2005-07-14 2011-04-26 Provo Craft And Novelty, Inc. Blade housing for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USD544907S1 (en) * 2005-09-27 2007-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printer
TWI304020B (en) 2005-09-29 2008-12-11 Casio Computer Co Ltd Printer
USD546383S1 (en) * 2005-11-18 2007-07-10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hoto printer
USD545892S1 (en) * 2005-11-28 2007-07-03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Photo printer
JP4610528B2 (ja) * 2006-07-11 2011-0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A2740102A1 (en) * 2008-10-09 2010-04-15 Making Memories Hands free pattern creating device
US20110280999A1 (en) 2009-12-23 2011-11-17 Provo Craft And Novelty, Inc. Foodstuff Crafting Apparatus, Components, Assembly,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JP5857560B2 (ja) * 2011-09-12 2016-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ハーフカット装置、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ーの制御方法
USD736830S1 (en) * 2013-01-18 2015-08-18 Zih Corp. Animated operation indication icon for a printer display, display screen, computer display, electronic display, or the like
CN105142918B (zh) * 2013-03-21 2017-05-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带盒以及带输送装置
USD750703S1 (en) 2013-10-18 2016-03-01 Zih Corp. Printer housing
JP6208593B2 (ja) * 2014-02-14 2017-10-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
USD798379S1 (en) 2015-02-16 2017-09-26 Zih Corp. Printer
EP3075499B1 (en) * 2015-03-31 2017-11-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utting device and printer
JP2017117305A (ja) * 2015-12-25 2017-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判断装置、プログラム、判断装置における判断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7382024B2 (ja) 2019-12-27 2023-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12251928B2 (en) * 2021-09-30 2025-03-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ing device setting printing area, anchor area, and adhesive area in tape for performing half cut at boundaries therebetwe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26Y2 (ja) * 1987-11-28 1994-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剥離紙付き印字テープ切断機構を備えた印字装置
JPH0592629A (ja) * 1991-10-03 1993-04-16 Brother Ind Ltd 切断装置
JP2570091B2 (ja) * 1993-03-30 1997-01-08 マックス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
JPH08229887A (ja) * 1994-12-27 1996-09-10 Seiko Epson Corp 積層シートのカッ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314938A (ja) * 1996-05-23 1997-12-09 Casio Comput Co Ltd 切断装置
JP3843567B2 (ja) * 1997-12-15 2006-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
JPH11227276A (ja) * 1998-02-14 1999-08-24 Nippon Typewriter Co Ltd 長尺印字媒体の印字装置
JP3899656B2 (ja) * 1998-03-31 2007-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
JP3873162B2 (ja) 1999-09-20 2007-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字装置
JP3764974B2 (ja) * 1999-12-10 2006-04-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印字装置
JP2001270647A (ja) * 2000-03-24 2001-10-02 Casio Comput Co Ltd 印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85438B2 (en) 2003-07-01
KR20020052955A (ko) 2002-07-04
CN1383991A (zh) 2002-12-11
US20020090243A1 (en) 2002-07-11
CN1200818C (zh)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771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방법, 절단 장치 및 방법 및 절단장치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
EP0592198B1 (en) Tape printing device and tape cartridge used therein
CN101157308A (zh) 带条印字装置
JP4624611B2 (ja) キャラクタ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並びにキャラクタ入力装置のキャラクタ入力方法
US7249902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printing method
JP4489936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4114550A (ja) テープ印字装置
JPH10157235A (ja) 印字シートカートリッジ
JP4545922B2 (ja)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並びに切断方法
JP3960098B2 (ja) ラベル作成装置およびラベル作成装置のラベル作成方法
US6863458B2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data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4566427B2 (ja) 切断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CN100368204C (zh) 字符信息处理方法、字符信息处理装置、程序及存储介质
JP4185886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入力処理方法
JP3731749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3864066B2 (ja) テープ印刷装置
JP3041518B2 (ja) 印字装置
JP3002817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2000296646A (ja) テープ印字装置
JP3753573B2 (ja) 印字機器および印字制御方法
JP3091175B2 (ja) テープ印字装置
JP2008241955A (ja) ラベルテープ、テープ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JPH10157236A (ja) 印字シートカートリッジ
JPH10181132A (ja) 印字シートカートリッジ
JP2000280573A (ja) テープ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6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