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1708B1 - 전자파아노등의건반 - Google Patents

전자파아노등의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708B1
KR100391708B1 KR1019960003855A KR19960003855A KR100391708B1 KR 100391708 B1 KR100391708 B1 KR 100391708B1 KR 1019960003855 A KR1019960003855 A KR 1019960003855A KR 19960003855 A KR19960003855 A KR 19960003855A KR 100391708 B1 KR100391708 B1 KR 10039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ammer
support
rubbe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290A (ko
Inventor
리노 라그니
Original Assignee
파타르 에스. 알.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타르 에스. 알. 엘. filed Critical 파타르 에스. 알. 엘.
Publication of KR96003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형 부분과 평탄 부분을 구비하는 판금(sheet metal)으로 제작된 지지체로 이루어지고, 특정 피벗 소자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키와 동수의 해머를 설치하여 적당하게 형태를 이루고 균형이 맞추어진 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키를 받는 해머의 부분을 작은 단부를 가지는 고무제의 소자로 피복하여, 키가 눌러져 키 안쪽의 추력(thrust) 소자가 상기 단부라 접촉하게 될 때, 연주자가 종래의 피아노를 연주할 때 느끼는 해머가 휴지 위치로 돌아가는 감촉과 유사한 근소한 해방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KEYBOARDS FOR ELECTRONIC PIANO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연주가의 손가락에 키를 통한 실제로 전달되는 탄주감(彈奏感)이 종래 피아노의 건반의 것과 매우 유사한 새 건반을 얻기 위한 전자 피아노 건반의 개선점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음악을 만들고 다양한 연주에 이용되며, 또한 전자 피아노를 자유자재로 응용할 수 있게 하는 정교해지는 전자공학 덕분에, 전자 피아노는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전자 건반의 주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연주시의 키의 탄주감과 발생된 소리와 관련하여 비용과 성능 사이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것이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로 전자 건반이 종래 피아노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거의 같은 느낌을 연주가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키는 균형이 잡혀 있어, 눌렀을 때 너무 쉽게 내려가서도 안되고, 동시에 잘 눌러지지 않아도 안되고 연주가로 하여금 편안하도록 해야 한다.
건반의 특징과 관련된 또다른 중요한 요소는, 반복적이고 빠른 속도로 연주시 원하는 소리를 변셩시킬 수 있는 원치않는 키의 복귀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특징들 외에, 적은 비용과 우수한 성능 사이에 조화를 잘 이루는 피아노 건반을 제작하는 것이다.
제 1도는 판금 지지체의 횡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 기술된 기지체의 부분 평면도.
제 3도는 해머의 판금 지지체의 횡단면도와 다른 상세부를 나타내는 도면.
제 4도는 A-A 선의 건반의 단면도.
제 5도는 B-B 선의 건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2 : 최초의 U-자형 부분
3 : 폭이 넓은 쪽 4 : 폭이 좁은 쪽
5 ∼ 9 : 펠트와 고무 스트립 10 : 구멍이 있는 소자
12 : 하우징 13, 14 : 소자(클램프)
15 : 원통형 핀 16, 17 : 슬롯(slot)
18 : 해머 19 : 고무 스트립(strip)
20 : 소자 21 : 추축핀에 가장 가까운 부분
22 : 키 23 : 슬롯 관통 부분
24 : 고무 소자 25 : 단부(step)
26 : 거꾸로 된 V-자형 시트(seat) 27 : 페룰(ferrule)
28 : 추축핀 29 : 탭(tab)
30 : 브래킷(bracket) 31 : 접점(contacr)
32 : 인쇄 회로(printed circuit) 33, 34 : 나사
본 건반은 한쪽 단부가 U-자형이고 중간부는 편형하며 다른 단부는 L-자형인 판금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로 구성된다.
상기 U-자형 부분의 외측에는 그것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키가 놓여지는 위치가 되는 고무로 피복된 갈고리(hook) 형태의 소자가 있다.
고무와 펠트의 2개의 스트립은 상기 U-자형 소자의 단부와 평행하게 연장하고 또다른 고무와 펠트 스트립은, 상기 금속 지지체의 U-자형 부분의 내측에 해머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해머가 치게 되는 위치로 온다. 이들 고무와 펠트 스트립은 키-스트로크(stroke)와 키의 처음 위치로의 복귀시 양쪽 음의 소음(消音)과 약음화(弱音化)의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체의 편평한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슬롯이 나 있는데, 이는 독특한 형상을 한 해머를 끼워 넣어 상기 키를 추측으로 고정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해머의 추축점(pivot point)에 핀이 있는데, 이는 지지체에 만들어진 상기 슬롯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한 구멍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특히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해머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고상기 추축핀 위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머와 일체를 이루는 키의 완전한 편위(偏位)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 동시에 그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연주자로 하여금 종래 피아노와 유사한 탄주감을 갖도록 하는 방법으로 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태가 만들어지고 균형이 맞추어져 있다.
추축을 지나 나아가는 해머 부분을 작은 단부가 특징인 성형 고무 소자로 피복하여 연주자가 키를 완전히 눌렀을 때, 종래 피아노 특유의 해머가 휴지 위치로 돌아갈 때의 감촉을 연주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앞의 것보다 더 작고 세로축을 따라 상기 추축핀 지지체에 평행으로 만들어진 또다른 세트의 슬롯이 있는데, 이는 그 안쪽에 연질 고무로 피복된 접점이 있어 키의 하측에 있는 브래킷으로 눌려지면, 인쇄 회로에 의해 전자 피아노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의 연질 고무 소자는 인쇄 회로와의 접점으로서 동작하고, 또 키를 처음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금속 지지체의 편평한 부분의 단부에 키를 처음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고, 키를 꽉 조이는 페룰로서 효과가 있는 고무제 스트립을 설치하며, 각 키의 한쪽편에 상기 고무 스트립에 평행한 세로선을 따라 추축핀을 배치시킨다. 상기 키를 고정하는 페룰에는 탭을 설치하여 상기 슬롯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키의 상기 지지체의 고정시킬 수 있고, 공장에서의 키의 조립과 분해를 신속히 행하며, 나중의 건반 보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도와 제 2도에서 전자 피아노 건반은 금속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1)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1)는 먼저 U-자형 부분(2)으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것에 가깝게 2개의 수직 소자로, 폭이 넓은 쪽(3)이 바깥으로 폭이 좁은 쪽(4)이 안쪽으로 향하게 고정된다. 양쪽 다 플라스틱 또는 그와 유사한 재료로 피복되고, 키의 스트로크와 끝나는 것을 부드럽게 하는 시트의 역할을 한다.
상기 시트 소자(3, 4) 근처에, 상기 지지지체(1)의 양측에 배치한 고무와 펠트 스트립(5, 6, 7, 8)을 설치하고, 또다른 고무와 펠트 스트립(9)이 지지체(1)의 상기 U-자형 부분의 내부에 놓여 있는데, 이는 키의 스트로크 복귀가 끝나는 것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해머(18)를 상기 지지체(1) 위에 만들어지고 구멍이 뚫린 소자(10)로 지지된 슬롯(16, 17)을 통해 삽입한다. 즉, 상기 해머는 원통형 핀(15)으로 선회 고정된다. 하우징(12)에는 키에 의해 눌러질 때 상기 지지체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소자(13, 14)에 나사 또는 유사한 소자에 의한 조임에 의해 지지체(1)와 일체로 된 인쇄 회로를 누르는 연질 고무로 피복된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고무 스트립(19)을 소자(20)에 평행하게 배치하면 원통형 핀에 의해 키의 제 2 추축핀을 형성한다. 상기 해머(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10) 안에 만들어진 구멍 내부에 끼워진 원통형 핀에 의해, 판금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 제작된 지지체(1)에 고정된다. 상기 해머(18)는 상기 추축핀에 가장 가까운 부분(21)이 키(22)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고, 한편 상기 슬롯(17)을 관통하는 부분(23)이 상기 지지체(1)의 사익 U-자형 부분(2)의 안쪽에서 종단(終端)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무 스트립(9) 상에 정지시키도록 모양이 되어 있다.
상기 해머의 상기 부분(21)을 단부(25)가 특징인 고무 소자(24)로 둘러싼다. 상기 키가 거꾸로 된 V-자형 시트(26)에 의해 상기 고무 소자(24)를 눌렀을 때, 상기 단부(25)는 키가 완전히 내려가 해방(escapement) 위치에 이르게 될 때, 연주자로 하여금 종래 피아노와 유사한 감각인 가벼운 해방감을 느끼게 한다.
첨부 도면은 키(22)를 상기 판금(1)에 상기 페룰(27)에 의해 추축핀(28)으로 확실히 고정시켜, 키의 운동을 뒤따르는데 필요로 하는 일정한 진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페룰(27)에는 키 위의 슬롯으로 삽입되고, 상기 키의 신속한 조립과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탄성력이 있는 탭(29)이 있다. 키를 눌렀을 때, 브래킷(30)을 연질 탄성 고무로 피복한 접점(31) 위로 밀어 붙이고, 그 아래에 상기 접점을 프로그램에 따라 바꾸는 인쇄 회로가 있다. 상기 인쇄 회로(32)는 상기 지지체(1)의 하측면에 배치되고, 나사(33, 34) 또는 그 유사물에 의해 클램프(13, 14)에 나사 고정되어 지지물과 일체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의 복귀는 다수의 소자를 서로 완성시키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 첫번째는 금속 같은 무거운 재료로 제작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 그 초기 위치로 항상 복귀하며 키를 그것이 해방되면 바로 초기 위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완전히 균형이 맞추어진 해머(18)이지만, 상기 고무 스트립(19)의 기능과 함께, 상기 브래킷(30)에 의해 키를 위쪽 방향으로 미는 접점들의 고무 피복의 기능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키를 가만히 두면 3개의 다른 위치에서 행해지는 위쪽 방향의 운동을 받기 쉽지만, 스트로크의 아래쪽 방향의 단부는 상술한고뭉화 펠트 스트립(5, 6, 7, 8, 9)에 의해 잡음이 줄어든다; 이 모든 장치들이 키의 탄주감을 종래 피아노의 그것과 유사하게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반복되고 빠른 키의 스트로크 동안에, 점프(jump)에 필적할만한 바람직하지 않은 복귀를 방지한다. 그것은 불쾌한 감촉을 전달하는 것외에, 연주자가 얻고자 하는 음을 변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 기술된 메카니즘은 모든 건반의 키들에 대해 동일하지만, 반음 높은(sharp) 키는 보통 키의 스트로크 시트(3)와 비교해 더 안쪽을 향해 있는 스트로크 시트(4)의 단부를 가지기 때문에, 전체 건반의 키에 대해 종래의 피아노와 같은 탄주감을 전달한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에 대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이 상술한 결점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확실한 건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Claims (6)

  1. U자형 부분과 평탄 부분을 구비하는 판금으로 제작된 지지체로 이루어지고, 특정 피벗 소자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키와 동수의 해머를 설치하여 적당하게 형태를 이루고 균형이 맞주어진 키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키를 받는 해머의 부분을 작은 단부를 가지는 고무제의 소자로 피복하여, 키가 눌러져 키 안쪽의 추력 소자가 상기 단부와 접촉하게 될 때, 연주자가 종래의 피아노를 연주할 때 느끼는 해머가 휴지 위치로 돌아가는 감촉과 유사한 근소한 해방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눌러졌을 때 연질의 고무로 피복된 접점을 그 하부 표면상에 배치된 작은 브래킷으로 눌러 전기 접촉으로 음을 발생시기는 것외에, 키가 해방되었을 때 그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아노의 인쇄회로를 상기 지지체의 하측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배부(背部)를 상기 지지체의 추축 위에 놓여진 고정용 페룰에 의해 꽉 조이고 상기 배부에 탄성 탭을 설치하여 키의 조립, 분해를 신속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 고정용 페룰의 기부(基部), 키가 그 해방시에 그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사용되는 연질의 고무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와 펠트의 스트립을 상기 키와 해머의 시트에 배치하여, 키의 스트로크의 끝을 완충시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피아노 등의 건반.
KR1019960003855A 1995-02-20 1996-02-16 전자파아노등의건반 KR100391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95U000031 1995-02-20
IT1995RM000031U IT235571Y1 (it) 1995-02-20 1995-02-20 Perfezionamenti alle tastiere per pianoforti elettronici e simil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290A KR960032290A (ko) 1996-09-17
KR100391708B1 true KR100391708B1 (ko) 2003-10-11

Family

ID=1140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855A KR100391708B1 (ko) 1995-02-20 1996-02-16 전자파아노등의건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696340A (ko)
EP (1) EP0727766B1 (ko)
KR (1) KR100391708B1 (ko)
CN (1) CN1121676C (ko)
AT (1) ATE203848T1 (ko)
DE (1) DE69614161T2 (ko)
DK (1) DK0727766T3 (ko)
ES (1) ES2162014T3 (ko)
GR (1) GR3036987T3 (ko)
IT (1) IT235571Y1 (ko)
PT (1) PT727766E (ko)
TW (1) TW3086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3799A (en) * 1996-10-24 1998-06-09 Baldwin Piano & Organ Co., Inc. Simulated escape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JP3262164B2 (ja) * 1999-06-29 2002-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30234B2 (en) 2002-06-19 2005-08-16 Lanny Davis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JP4085008B2 (ja) * 2003-01-23 2008-04-30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楽器
JP5114992B2 (ja) * 2007-03-26 2013-01-09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用の鍵盤装置
JP5045331B2 (ja) * 2007-09-21 2012-10-1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7750222B2 (en) * 2007-09-21 2010-07-06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10078789A (ja) * 2008-09-25 2010-04-08 Yamaha Corp 鍵盤装置
JP5228743B2 (ja) * 2008-09-25 2013-07-0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5169680B2 (ja) * 2008-09-25 2013-03-2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5169681B2 (ja) * 2008-09-25 2013-03-2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5228742B2 (ja) * 2008-09-25 2013-07-0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5552260B2 (ja) * 2009-05-07 2014-07-1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AT510839B1 (de) 2011-02-21 2012-07-15 Fl Keys E U Tastenein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tasteninstrument
DE102012025907B3 (de) * 2011-09-29 2023-03-16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Hammer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Tasteninstrument
ITMI20122137A1 (it) * 2012-12-14 2014-06-15 Claudio Righetti Strumento musicale elettronico a tastiera con tasti pesati con meccanica a martello
JP6523019B2 (ja) * 2015-03-31 2019-05-29 ローランド株式会社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7280548B2 (ja) * 2018-10-17 2023-05-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
CN209993339U (zh) * 2019-05-07 2020-01-24 得理电子(上海)有限公司 琴键组件
FR3106017B1 (fr) 2020-01-07 2024-02-09 Adele H Piano é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69A (en) * 1899-03-03 1899-11-14 John Henry Bell Piano.
US4679477A (en) * 1985-06-20 1987-07-14 Charles Monte Percussive action silent electronic keyboard
US4901614A (en) * 1986-10-06 1990-02-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pparatus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830101B2 (ja) * 1988-12-28 1998-1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US5003859A (en) * 1989-02-16 1991-04-02 Charles Monte Percussive action modular electronic keyboard
US5204486A (en) * 1990-04-30 1993-04-20 Gold Star Co., Ltd. Keyboard device of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5243125A (en) * 1991-03-22 1993-09-07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cooperating jacks and hammers
JP2891080B2 (ja) * 1993-12-24 1999-05-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8682B (ko) 1997-06-21
ITRM950031U1 (it) 1996-08-20
EP0727766B1 (en) 2001-08-01
ES2162014T3 (es) 2001-12-16
DE69614161D1 (de) 2001-09-06
DE69614161T2 (de) 2002-05-16
EP0727766A3 (en) 1996-12-27
KR960032290A (ko) 1996-09-17
ITRM950031V0 (it) 1995-02-20
CN1156870A (zh) 1997-08-13
DK0727766T3 (da) 2001-11-12
PT727766E (pt) 2002-01-30
ATE203848T1 (de) 2001-08-15
EP0727766A2 (en) 1996-08-21
CN1121676C (zh) 2003-09-17
US5696340A (en) 1997-12-09
GR3036987T3 (en) 2002-01-31
IT235571Y1 (it)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708B1 (ko) 전자파아노등의건반
US6930234B2 (en)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JPH04347895A (ja) 鍵盤装置
JPH04347896A (ja) 鍵盤装置
JPH06230770A (ja) 電子楽器用鍵盤装置
JP3074797B2 (ja) 鍵盤装置
JP3384052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001159894A (ja) 鍵盤装置
JP2002006848A (ja) 鍵盤装置
JP2004246382A (ja) 鍵盤装置
US6060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keys of a musical keyboard instrument from a weighted action to synthesizer feel
JPH11212572A (ja) 鍵盤装置の駆動部構造
JP2569947B2 (ja) 鍵盤装置
JP3554624B2 (ja) ペダル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鍵盤楽器
JPH0922288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S6224309Y2 (ko)
US4658696A (en) Pedal keyboard operated musical instrument
JP3085032B2 (ja) ペダル鍵盤構造
JPH08110772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981119A (ja) 電子ピアノ等の鍵盤
JP3543519B2 (ja) 大正琴
KR970005025Y1 (ko) 전자악기의 건반
JPH04142595A (ja) 鍵盤装置
JPH0125998Y2 (ko)
JP2004246381A (ja) 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