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4907B1 -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907B1
KR100304907B1 KR1019990006548A KR19990006548A KR100304907B1 KR 100304907 B1 KR100304907 B1 KR 100304907B1 KR 1019990006548 A KR1019990006548 A KR 1019990006548A KR 19990006548 A KR19990006548 A KR 19990006548A KR 100304907 B1 KR100304907 B1 KR 10030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value
air intak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850A (ko
Inventor
김경수
김영수
김인규
김양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907B1/ko
Priority to US09/512,374 priority patent/US6401708B1/en
Publication of KR2000005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23N5/242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18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 F23N2005/181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or fuel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rate of flow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4Measuring pressure
    • F23N2225/06Measuring pressure for determining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20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1/00Fail safe
    • F23N2231/26Fail safe for clogging ai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3/00Ventilators
    • F23N2233/06Ventilators at the air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4Fuel 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최초 프리퍼지과정에서는 물론 정상연소과정에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하나의 풍압감지스위치에 의해 감지하여 그 차압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의 막힘을 알아내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측에 두 개의 통풍구(101)(102)를 가지며, 상기 통풍구를 통한 압력값에 따라 스위칭되는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풍압감지스위치의 일측 통풍구(101)와 연소용 공기흡입팬(11)의 입구측을 유로로서 연통되게 연결하고,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의 타측 통풍구(102)와 연소용 공기흡입팬(11)의 출구측을 유로로서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차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로부터 입력받아 공기흡입측 또는 가스배출측의 막힘을 콘트롤러가 판단하도록 한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와 그에 따른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 device for operating of gas furnace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가스온풍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난방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최초 프리퍼지 과정에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차압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의 막힘을 알아내도록 한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온풍기는 연료인 가스를 연소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연소열을 이용해 찬공기를 더운공기로 열교환시키면서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기기로서, 본체(1)와,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고정된 팬하우징(2)과, 상기 팬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위해 송풍력을 제공하는 대류팬(3)과,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대류팬(3)의 회전에 따른 송풍력 제공시 본체(1) 내로 실내공기를 흡입시켜 주는 흡입그릴(4)과, 상기 팬하우징(2)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본체(1) 내부로 여러가지 구성품을 지지하기 위한 베리어(barrier)(5)와, 상기 베리어의 대류팬(3) 직상방에 고정되어 연료인 가스와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혼합가스가 연소되는 연소실(6)과, 상기 연소실에 고정되어 혼합가스가 연소실(6)에서 연소되도록 상기 혼합가스에 불꽂을 점화시켜 주는 버어너(7)와, 상기 버어너 내부로 연료인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8)과, 기기가 설치되는 실내의 벽면에 고정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실외측으로 흡입공(9a)이 형성된 공기흡기관(9)과, 일단이 상기 공기흡기관의 실내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버어너(7)에 연결되어 공기흡기관(9)을 통해 흡입된 연소공기를 버어너(7)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0)과, 상기 공기공급관과 버어너(7)의 연결부분에 설치되어 연소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팬(11)과, 상기 가스공급관(8)에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가스밸브(12)와, 상기 연소실(6)의 상부에 연결되어 본체(1) 내부로 흡입된 찬공기를 연소열에 의해 더운공기로 열교환시켜 주는 열교환기(13)와,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공기흡기관(9)을 관통한 상태로 실외로 노출되어 찬공기를 열교환시키고 난 배기가스(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가스배출관(14)과, 상기 본체(1)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 내의 열교환기(13)에 의해 열교환된 더운공기를 본체(1) 외부로 토출시켜 주는토출그릴(15)과, 상기 베리어(5)에 장착되어 기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러(1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를 실내의 적소에 지지시킨 상태로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 전면의 모드선택판넬부(17)에 구비된 난방모드를 선택하면, 먼저 연소조건이 정상인가를 판단한 다음 정상일 경우에는 외부 공기만이 기기 내부로 공급되고, 이 공급된 공기가 다시 배출되는 프리퍼지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한다.
상기 프리퍼지과정이 수행되고 나면, 본격적으로 연료인 가스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면서 상기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정상적인 연소를 본격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사용자에 의해 난방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연소조건이 정상일 경우에는 공기공급관(10)의 버어너(7) 연결부분에 설치된 공기흡입팬(11)이 베리어(5)에 장착된 콘트롤러(16)의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하는데, 이때 기기가 설치된 실내의 벽면에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실외측으로 흡입공(9a)이 형성된 공기흡기관(9)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공기흡기관의 실내측에는 공기공급관(1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외부 공기가 공기흡기관(9)의 흡입공(9a)을 통해 상기 공기흡기관(9) 내로 흡입된 다음 계속해서 공기공급관(10)을 통해 버어너(7)로 공급된다.
상기 버어너(7)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흡입팬(11)의 회전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버어너(7)에 형성된 슬릿공(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연소실(6)로 들어간 다음 계속해서 열교환기(11)를 지나 가스배출관(14)을 통해 다시 실외로 빠져나가는 프리퍼지 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한다.
상기에서 프리퍼지 과정을 수분동안 수행하는 것은, 연소실(6) 내에 남아있는 잔존가스를 외부로 완전히 배출시켜 후술하는 정상적인 연소 수행 과정에서 연료인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상기 연소실(6)에서 초기 연소될 때 잔존가스에 의한 연소실의 폭발 위험성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하여 프리퍼지 과정이 수행되고 나면, 공기흡입팬(11)은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기흡기관(9)에 형성된 흡입공(9a)을 통해 상기 공기흡기관(9) 내로 흡입된 다음 공기공급관(10)을 통해 버어너(7)로 공급됨과 동시에 가스공급관(8)에 설치된 가스밸브(12)가 콘트롤러(16)의 제어신호를 받아 열리므로 연료인 가스가 버어너(7)로 공급되고, 이 공급되는 가스는 노즐(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분출된 다음 연소공기에 실려 버어너(7)에 형성된 슬릿공을 통해 연소실(6)로 분사되는데, 이때 도시하지 않은 점화수단이 작동하여 가스와 연소공기의 혼합가스에 불꼿을 점화시켜 주므로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실(6)에서 연소되는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연소실(6)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면, 연소열이 발생되고 이 연소열은 상기 연소실(6)의 상부에 연결된 열교환기(13)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열교환기를 가열시킨 다음 일단이 열교환기(1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공기흡기관(9)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된 가스배출관(14)을 통해 실외로 빠져나가는데, 이때의 가스배출관은 배출되는 연소열에 의해 뜨거워져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작용에서 공기흡기관(9)에 형성된 흡입공(9a)을 통해 상기 공기흡기관(9)으로 흡입되는 연소공기는 열교환되어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고, 이로인해 높은 온도로 열교환된 연소공기가 공기공급관(10)을 통해 버어너(7)로 계속 공급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연소공기에 실려 연소실(6)에서 연소되는 혼합가스의 연소효율이 높아져 완전연소가 가능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연료인 가스가 연소실(6)에서 연소될 때 본체(1) 내에 고정된 팬하우징(2) 내의 대류팬(3)이 콘트롤러(16)의 제어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므로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력이 발생되고, 이에따라 실내의 공기가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흡입그릴(4)을 통해 본체(1) 내부로 흡입된 다음 대류팬(3)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1) 내의 상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본체(1) 내로 흡입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13)를 지남에 따라 상기 공기는 연소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더운 공기로 바뀌어진 다음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15)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이 토출되는 더운 공기로 인해 난방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일반적인 가스온풍기에 있어서는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이 여러가지 요인(공기공기흡기관에는 공기흡입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가스온풍기를 사용하는 가을이나 겨울에 떨어지는 낙엽이 공기흡기관의 흡입공에 달라 붙거나, 바람에 날리는 종이 등이 공기흡기관의 흡입공에 달라 붙음)에 의해 막혔거나 혼합가스의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이 여러가지 요인(주변에 널어놓은 빨래감이 바람이 날려 가스배출관에 걸려있거나, 가스배출관 내로 빗물이 스며들었거나, 비사용 계절에 새나 쥐등이 가스배출관 내에서 서식하였거나)에 의해 막혔을 경우 후술하는 바와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서 연소를 수행할 때 가스공급량에 비해 공기공급량이 현저히 줄어들므로 공기와 가스의 혼합비가 맞지않아 혼합가스가 연소실에서 불완전연소되고, 상기 불완전연소가 일어나게 되면 연소실 내부에 연소되지 않은 생가스가 누적되게 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있음은 물론 배기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이 배기가스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98-38517호로 가스난방기의 풍압검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되었는 바, 이는 공급되는 풍압을 감지하기 위한 풍압감지스위치를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 및 출구측중 어느 한곳에 설치하여 상기 풍압감지스위치에 의해 감지된 풍압과 대기압의 차이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9)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알아내도록 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풍압감지스위치의 제1통풍구를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에 연결하고 제2통풍구를 대기상에 오픈시킨 상태로 상기 풍압감지스위치를 설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을 P1이라 하고, 출구측의 압력을 P2라 할 때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9)이 막혔을 경우에는 P1은 정상상태에서 보다 감소함에 따라 결국 상기P1과 대기압의 차압(ΔP)은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하나의 스위칭신호를 콘트롤러(16)가 받아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공기흡기관(9)의 막힘을 알아내지만 반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14)이 막혔을 경우에는 P1은 정상상태에서 보다 증가함에 따라 결국 상기 P1과 대기압의 차압(ΔP)은 감소하므로 이에 따른 하나의 스위칭신호를 콘트롤러(16)가 받아 계속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알아내지 못한다.
또한 풍압감지스위치의 제1통풍구를 대기상에 오픈시키고 제2통풍구를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출구측에 연결한 상태로 상기 풍압감지스위치를 설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을 P1이라 하고, 출구측의 압력을 P2라 할 때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14)이 막혔을 경우에는 P2는 정상상태에서 보다 증가함에 따라 결국 상기 P2와 대기압의 차압(ΔP)은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하나의 스위칭신호를 콘트롤러가 받아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알아내지만 반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9)이 막혔을 경우에는 P2는 정상상태에서 보다 감소함에 따라 결국 상기 P2와 대기압의 차압(ΔP)은 감소하므로 이에따른 하나의 스위칭신호를 콘트롤러(16)가 받아 계속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공기흡기관(9)의 막힘을 알아내지 못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풍압감지스위치를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9)의 막힘만을 알아낼 수 있었고, 풍압감지스위치를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출구측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14)의 막힘만을 알아낼 수 있었으므로 하나의 풍압감지스위치를 이용해서는 공기흡기관(9)의 막힘과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동시에 알아낼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 즉, 공기흡기관(9)의 막힘과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동시에 알아내기 위해 풍압감지스위치를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하여도 되지만 이렇게 할 경우에는 풍압감지스위치의 갯수 증가로 인하여 제작비용이 증가됨과 함께 구조적으로도 복잡해지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난방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최초 프리퍼지과정에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을 하나의 풍압감지스위치에 의해 감지하여 그 차압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의 막힘을 알아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양측에 두 개의 통풍구를 가지며, 상기 통풍구를 통한 압력값에 따라 스위칭되는 풍압감지스위치를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풍압감지스위치의 일측 통풍구와 연소용 공기흡입팬의 입구측을 유로로서 연통되게 연결하고, 상기 풍압감지스위치의 타측 통풍구와 연소용 공기흡입팬의 출구측을 유로로서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차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풍압감지스위치로부터 입력받아 공기흡입측 또는 가스배출측의 막힘을 콘트롤러가 판단하도록 한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형태에 따르면, 프리퍼지상태를 인식하는 제1단계와;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비교하는 제3단계와;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프리퍼지과정이 종료된 다음으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 그때부터의 시간(T1)을 측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값(TS)과 비교하는 제6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클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에러표시를 한 다음 기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2단계로 되돌아가는 제7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가스온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가스온풍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를 갖는 가스온풍기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풍압감지스위치의 스위칭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이 모두 막히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풍압감지스위치의 스위칭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흡기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도
도 4c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풍압감지스위치의 스위칭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스배출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도
도 5a는 가스온풍기를 구성하는 공기공급유로의 압력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로서,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이 모두 막히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도
도 5b는 가스온풍기를 구성하는 공기공급유로의 압력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로서, 공기흡기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도
도 5c는 가스온풍기를 구성하는 공기공급유로의 압력분포를 설명하기 위한요부확대도로서, 가스배출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도
도 6은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의 막힘정도에 따라 공기공급유로의 공기공급팬 입,출구측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선도
도 7은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의 막힘정도에 따라 공기공급유로의 공기공급팬 입,출구측 차압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공기흡입팬 100. 풍압감지스위치
101. 제1통풍구 102. 제2통풍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를 갖는 가스온풍기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풍압감지스위치의 스위칭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가스온풍기를 구성하는 공기공급유로의 압력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의 막힘정도에 따라 공기공급유로의 공기공급팬 입,출구측 압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선도이고, 도 7은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의 막힘정도에 따라 공기공급유로의 공기공급팬 입,출구측 차압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제어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온풍기 운전제어장치는 공기 흡입팬(11)의 입구측의 공기 공급관(10)과 연통되는 제 1 관로(110)와, 공기 흡입팬(11)의 출구측의 공기 공급관(9)과 연통되는 제 2 관로(120),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관로(110,120)와 각각 연결되는 풍압 감지 스위치(100)로 이루어진다.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상기 제 1 관로(110)는 상기 공기 흡입팬(11)의 입구측과 동일한 압력(P1)을 가지며,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 2 관로(120) 또한 상기 공기 공급팬(11)의 출구측와 동일한 압력(P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관로(110,120)는 상기 풍압 감지 스위치(100)의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차압 감지 수단(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로(110,120)의 압력즉, 상기 공기 공급팬(11)의 입출구 압력(P1,P2)에 의한 차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방모드 선택시 공기공급관(10)에 설치된 공기흡입팬(11)이 회전함에 따라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가 공기흡기관(9)을 통해 흡입된 다음 공기공급관과 버어너(7)를 연속적으로 통해 연소실(6) 내로 공급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는 열교환기(13)와 가스배출관(14)를 연속적으로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온풍기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제1통풍구(101)와 제2통풍구(102)를 가지며, 상기 제1,2통풍구(101)(102)를 통한 공기압력값에 따라 스위칭되도록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비하여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을 상기 제 1 관로(110)를 이용하여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의 제1통풍구(101)에 연결함과 함께 공기공급유로중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출구측을 상기 제 2 관로(120)를 이용하여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의 제2통풍구(102)에 연결하여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를 통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차에 따라 발생된 전기신호에 의해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콘트롤러(16)가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제1통풍구(101)와 제2통풍구(102)는 외형을 이루는 스위치몸체(105)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몸체 내에는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이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몸체(105) 내의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 사이에는 제1,2통풍구(101)(102)를 통한 압력전달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1,2고정접점(103)(104)에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도록 가동접점(106)이 스프링(107)으로 탄력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몸체(105) 내의 가동접점(106) 하방에는 상기 가동접점을 지지하면서 가동접점(106)의 이동량에 따라 수축되도록 고무지지편(108)이 설치되어 있다.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6)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풍압감지 스위치(10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직접적으로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작동상의 안정성을 위해 상기 콘트롤러(16)가 상기 풍압감지 스위치(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신호와 비교함으로서 막힘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16)는 소정의 시간측정수단과 연동하여 계속적으로 막힘 상태를 판단하면서, 상기 시간측정수단에 의해 계산되는 일정 시간후에 막힘상태를 재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공기 공급관(9)이나 가스 배출구(14)가 막히는 경우에도 상기 가스 온풍기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또한 가스 온풍기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콘트롤러(16)에서 판단된 공기 공급관(9) 또는 가스 배출관(14)의 막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 수단으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문자 표시부, 시각적 효과를 위한 점등, 청각적 효과를 위한 부저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의 운전 제어장치는 프리퍼지상태를 인식하는 제1단계와;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16)에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16)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비교하는 제3단계와;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프리퍼지과정이 종료된 다음으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 그때부터의 시간(T1)을 측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값(TS)과 비교하는 제6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클 경우에만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모드선택판넬부(17)에 에러표시를 한 다음 기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2단계로 되돌아가는 제7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할 경우 이때의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재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에 재입력하는 제8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재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재비교하는 제9단계와;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재인식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계속해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에서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재인식하였을 경우 그때부터의 시간(T2)을 재측정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재측정된 시간값(T2)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값(TS)과 비교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재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클 경우에만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모드선택판넬부(17)에 에러표시를 한 다음 강제소화를 실시하면서 종료하고, 재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8단계로 되돌아가는 제13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동작된다.
상기 제4단계에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모드선택판넬부(17)에 에러표시를 한 다음 기기의 운전을 곧바로 종료하지 않고 제5단계와 제6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7단계에서 기기의 운전을 종료하거나, 상기 제10단계에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 이를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모드선택판넬부(17)에 에러표시를 한 다음 기기의 운전을 곧바로 정지시키지 않고 제11단계와 제12단계를 수행한 다음 제13단계에서 기기의 운전을 종료하거나 하는 것은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9) 및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14)이 순간적으로 막혔다가 다시 막힘이 해제되었을 때(일예로 낙엽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공기흡기관을 수초정도 막았다고 할 때)에도 기기의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운전 단계에서 제7단계 이후의 단계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지만, 포함이 된다면 기기의 운전이 정상연소상태로 수행될 때도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의 막힘을 알아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난방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연소조건이 정상일 때 먼저 프리퍼지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프리퍼지상태를 콘트롤러(16)가 인식하게 되면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압력감지스위치(100)가 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16)에 입력하고,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16)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비교하여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함과 함게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프리퍼지과정이 종료된 다음으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칭 신호값(S1)으로는 '0' 또는 '1'이 사용되며, 상기 설정 신호값(Ss)은 상기 '0' 또는 '1'중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설정 신호값(Ss)이 '0'으로 설정되너 설명되며, 이에 따라 '0'ㅇ; 출력되면 막힌상태, '1'이 출력되면 정상을 의미한다.
즉, 예를들어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스프링(107)의 탄성력값이 40이고, 공기흡기관(9)과 가스배출관(14)이 모두 막히지 않았을 경우 공기공급유로의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값(P1)은 -16, 출구측의 압력값(P2)은 22로 설정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07)의 탄성력값 및 상기 압력값들(P1,P2)은 특정 가스 온풍기의 사양에 따라 설정된 값이며, 상기 가스 온풍기의 사양이 변화함에 따라 각각의 값들간의 상기 설정된 상호 관계를 유지하며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기관(9)과 가스배출관(14)이 모두 막히지 않고 정상적일 경우에는 도 5a와 같이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 압력(P1)과 출구측 압력(P2)의 차압(ΔP)은 40이므로 결국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제1통풍구(101)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입구측 압력(P1)인 -16에 스프링력인 40을 더한 24가 되지만 제2통풍구(102)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출구측 압력(P2) 그대로인 22가 됨에 따라 도 4a와 같이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가동접점(106)은 고무지지편(108)의 지지를 받으면서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되어 제1고정점점(103)에 접촉되는 스위칭이 이루어 지는데, 이때에는 1이라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된다.
또한 공기흡기관(9)만 막혀있을 경우(여기서는 100% 막혔다고 한다)에는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이 모두 감소하지만 그 감소폭은 입구측이 출구측에 비해 훨씬 커 도 5b와 같이 상기 입구측의 압력값(P1)이 -60으로 떨어짐과 함께 출구측의 압력값(P2)은 0으로 떨어지므로 입구측 압력(P1)과 출구측 압력(P2)의 차압(ΔP)은 60이 되고, 결국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제1통풍구(101)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입구측 압력인 -60에 스프링력인 40을 더한 -20가 되지만 제2통풍구(102)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출구측 압력 그대로인 0이 됨에 따라 도 4b와 같이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가동접점(106)은 고무지지편(108)의 지지력을 받으면서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2고정접점(104)에 접촉되는 스위칭이 이루어 지는데, 이때에는 0이라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출관(14)만 막혀있을 경우(여기서는 100% 막혔다고 한다)에는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이 모두 증가하지만 그 증가폭은 출구측이 입구측에 비해 훨씬 커 도 5c와 같이 상기 입구측의 압력값(P1)이 0으로 올라감과 함께 출구측의 압력값(P2)은 60으로 올라가므로 입구측 압력(P1)과 출구측 압력(P2)의 차압(ΔP)은 공기흡기관(9)만이 막혔을 때와 마찬가지로 60이 되고, 결국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제1통풍구(101)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입구측 압력인 0에 스프링력인 40을 더한 40이 되지만 제2통풍구(102)를 통해 스위치몸체(105) 내로 들어가는 압력은 상기 출구측 압력 그대로인 60이 됨에 따라 도 4c와 같이 풍압감지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가동접점(106)은 고무지지편(108)의 지지력을 받으면서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되어 제2고정접점(104)에 접촉되는 스위칭이 이루어 지는데, 이때에도 공기흡기관(9)만이 막혔을 때와 마찬가지로 0이라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이 모두 막혀있지 않았을 경우 1이라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되고,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라도 막혀있을 경우 0이라는 하나의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되었다면, 상기 콘트롤러는 이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인 0과 비교하는데, 이때 상기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인 0과 같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6)는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 막혔다고 판단하여 이때부터 시간(T1)을 측정하고, 상기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인 0과 같지 않았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6)는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라도 막히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프리퍼지가 종료된 후에 혼합가스에 점화를 실시하여 정상연소를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콘트롤러(16)가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 막혔다고 판단하여 이때부터 시간(T1)을 측정하면, 이 측정된 시간은 콘트롤러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TS)과 비교되고, 상기 공기흡입팬(11)의 전후단의 압력차를 재감지하여 이를 콘트롤러(16)에 출력하여 콘트롤러(16)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값(S1)과 설정신호값(Ss)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s)내에서 다위시간당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S1)와 설정신호(Ss)가 계속적으로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상태라 판단하고, 상기 설정시간(Ts)내에서 단위시간당 입력되는 스위치신호값(S1)과 설정 신호값(Ss)이 단 한번이라도 다르면 정상상태라고 판단한다. 만일 이상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운전을 종료하게 되는데, 상기 모드선택판넬부(17)의 에러표시수단으로는 디스플레이되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시각적효과를 위한 점등이나 청각적효과를 위한 부저를 동시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정상연소가 수행되었다면, 기 설명된 바와같이 풍압스위치(100)가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 압력(P1)과 출구측 압력(P2)을 재감지하여 그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를 콘트롤러에 다시한번 입력시키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이 모두 막혀있지 않다면 1이라는 스위칭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라도 막혀있다면 0이라는 스위칭신호가 입력된다.
이와같이 하여 1이라는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되었거나 0이라는 스위칭신호가 콘트롤러(16)에 입력되었다면, 상기 콘트롤러는 이 재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인 0과 비교하는데, 이때 상기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인 0과 같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6)는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 막혔다고 판단하여 이때부터 시간(T2)을 재측정하고, 상기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인 0과 같지 않았을 경우에는 콘트롤러(16)는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라도 막히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계속해서 정상연소를 수행한다.
상기 과정에서 콘트롤러(16)가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 막혔다고 판단하여 이때부터 시간(T2)을 재측정하면, 이 재측정된 시간은 콘트롤러(16)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TS)과 비교되고, 이때의 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크면 상기 공기흡기관(9) 및 가스배출관(14)중 어느 한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모드선택판넬부(17)에 에러표시를 한 다음 곧바로 강제소화를 거쳐 운전을 종료함과 함께 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으면 기 설명된 과정에서와 같이 풍압감지스위치(100)에 의해 공기흡입팬(11)을 기준으로 공기공급유로의 입구측 압력(P1)과 출구측 압력(P2)을 재비교하는 과정으로 되돌아 가는데, 상기 모드선택판넬부(17)의 에러표시수단으로는 기 설명된 바와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나의 풍압감지스위치만을 사용하더라도 기기를 사용하는 과정(정상연소가 이루어지기 전인 프리퍼지과정에서는 물론 정상연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기관이 막혀있거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관이 막혀있을 경우 이를 사용자가 알아낼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도 간단해짐과 함께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풍압감지스위치와 더불어 콘트롤러를 사용함으로서 실질적인 막힘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 온풍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5)

  1. 공기 흡입팬 입구측 공기공급관의 소정 위치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흡입팬의 입구와 동일한 압력값을 갖는 제 1 관로;
    상기 공기 흡입팬의 출구측 공기공급관의 소정 위치와 연통되며 상기 공기 흡입팬의 출구와 동일한 압력값을 갖는 제 2 관로;
    양측에 상기 제 1 및 제 2 관로와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통풍구를 가지며, 그 내부에 발생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로 압력값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풍압감지 스위치;
    상기 풍압감지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며, 막힘상태를 판단하여 가스온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공급관 및 가스배출관의 막힘상태 모두를 검출하며, 막힘상태 검출시에도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기설정값과의 비교과정을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막힘상태를 실제적으로 판단하는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 및 가스배출관의 실제적인 막힘상태를 상기 콘트롤러가 판단했을 때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에러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에러표시수단으로는 모드선택판넬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에러메시지와 함께 시각적효과를 위한 점등과 청각적효과를 위한 부저를 동시에 사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4. 프리퍼지상태를 인식하는 제1단계와;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비교하는 제3단계와;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프리퍼지과정이 종료된 다음으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 그때부터의 시간(T1)을 측정하는 제5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값(TS)과 비교하는 제6단계와;
    상기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클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에러표시를 한 다음 기기의 운전을 종료하고, 측정된 시간값(T1)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2단계로 되돌아가는 제7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할 경우 공기공급유로상에 설치된 공기흡입팬을 기준으로 입구측의 압력(P1)과 출구측의 압력(P2)을 재감지하여 두 압력(P1)(P2)의 차압(ΔP)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위칭신호(S1)를 콘트롤러에 재입력하는 제8단계와;
    상기 콘트롤러에 재입력된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을 콘트롤러에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신호값(SS)과 재비교하는 제9단계와;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같을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재인식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칭신호값(S1)이 설정신호값(SS)과 다를 경우에는 계속해서 정상적인 연소를 수행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에서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재인식하였을 경우 그때부터의 시간(T2)을 재측정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재측정된 시간값(T2)을 기 입력되어 있는 설정시간값(TS)과 비교하는 제12단계와;
    상기 재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클 경우에만 공기흡기관 및 가스배출관중 어느 한 곳이 막혀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에러표시를 한 다음 강제소화를 실시하면서 종료하고, 재측정된 시간값(T2)이 설정시간값(TS)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8단계로 되돌아가는 제13단계가 순차적으로 계속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19990006548A 1999-02-26 1999-02-26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04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48A KR100304907B1 (ko) 1999-02-26 1999-02-26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09/512,374 US6401708B1 (en) 1999-02-26 2000-02-25 Pressure sensing device in gas furn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48A KR100304907B1 (ko) 1999-02-26 1999-02-26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50A KR20000056850A (ko) 2000-09-15
KR100304907B1 true KR100304907B1 (ko) 2001-09-24

Family

ID=1957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548A KR100304907B1 (ko) 1999-02-26 1999-02-26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01708B1 (ko)
KR (1) KR1003049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845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8088843A1 (ko) * 2016-11-11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8883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9164115A1 (en) * 2018-02-26 2019-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1174C2 (nl) * 2002-07-29 2004-01-30 Itho B V Luchtbehandelings- en verwarmingsinstallatie.
US20070209653A1 (en) * 2003-03-06 2007-09-13 Exhausto, Inc. Pressure Controller for a Mechanical Draft System
US7275533B2 (en) * 2003-03-06 2007-10-02 Exhausto, Inc. Pressure controller for a mechanical draft system
ITTO20050818A1 (it) * 2005-11-18 2007-05-19 Cosmogas Srl Apparato di riscaldamento a gas con bruciatore a premiscelazione particolarmente una caldaia per uso domestico
US8109759B2 (en) * 2006-03-29 2012-02-07 Fives North America Combustion, Inc. Assured compliance mode of operating a combustion system
CN101582373B (zh) * 2008-05-13 2010-11-03 家登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充气设备与入气端口装置
CA2753028A1 (en) * 2009-02-20 2010-08-26 Frymaster L.L.C. Fryer having an angled frypot bottom
DE102009048405A1 (de) * 2009-10-06 2011-04-07 Honeywell Technologies S.A.R.L. Regeleinrichtung für Gasbrenner
US20110203569A1 (en) * 2010-02-23 2011-08-25 John Robert Weimer Boiler system stabilizing damper and flue control method
US10094591B2 (en) 2011-08-15 2018-10-09 Carrier Corporation Furnac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234341B (zh) * 2013-05-14 2015-03-18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烘干机风机工作状态的装置及烘干机
KR101601709B1 (ko) * 2014-04-22 2016-03-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JP6359991B2 (ja) * 2015-02-25 2018-07-18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の詰り検査方法
JP6674789B2 (ja) * 2016-02-12 2020-04-01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式水加熱装置
DE102020110475A1 (de) * 2020-04-17 2021-10-21 Vaillant Gmbh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vorliegenden oder drohenden Blockade mindestens eines Strömungswegs
CN114963569B (zh) * 2022-05-30 2024-04-09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燃气热水炉控制方法及燃气热水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1025A (en) * 1979-07-12 1981-02-17 Honeywell Inc. Furnace control using induced draft blower and exhaust stack flow rate sensing
US4708636A (en) * 1983-07-08 1987-11-24 Honeywell Inc. Flow sensor furnace control
US4885573A (en) * 1987-08-12 1989-12-05 Gas Research Institute Diagnostic system for combustion controller
US5132500A (en) * 1991-02-11 1992-07-21 Micro Pneumatic Logic, Inc.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with sealed contacts
US5190452A (en) * 1992-04-27 1993-03-02 Robertshaw Controls Company Heat exchanger control system, control valve device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253635A (en) * 1992-04-29 1993-10-19 Canadian Gas Research Institute Gas-fired heater
US5456597A (en) * 1993-06-02 1995-10-10 Johnson Service Company Intelligen transient eliminator for an ignition system
US5331944A (en) * 1993-07-08 1994-07-26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speed inducer motor control method
US5612904A (en) * 1994-04-08 1997-03-18 Bunting; John E. Oil burner monitor and diagnostic apparatus
US5601071A (en) * 1995-01-26 1997-02-11 Tridelta Industries, Inc. Flow control system
US5993195A (en) * 1998-03-27 1999-11-30 Carrier Corporation Combustion air regulating apparatus for use with induced draft furnaces
US6109255A (en) * 1999-02-03 2000-08-29 Ga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the firing rate of furnace burners
JP2000304255A (ja) * 1999-02-19 2000-11-02 Rinnai Corp 強制給排気式燃焼装置の給排気筒閉塞検知装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3452B2 (en) 2016-11-10 2021-10-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US12209797B2 (en) 2016-11-10 2025-01-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WO2018088839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8088845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09906347A (zh) * 2016-11-10 2019-06-18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CN109906346A (zh) * 2016-11-10 2019-06-18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US11940200B2 (en) 2016-11-10 2024-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US11231219B2 (en) 2016-11-10 2022-01-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CN109906346B (zh) * 2016-11-10 2021-09-28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的控制方法
KR20180052994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035605B2 (en) 2016-11-11 2021-06-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defrost control
KR102725966B1 (ko) * 2016-11-11 202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88843A1 (ko) * 2016-11-11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549740B2 (en) 2018-02-26 2023-01-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WO2019164115A1 (en) * 2018-02-26 2019-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50A (ko) 2000-09-15
US6401708B1 (en) 200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907B1 (ko)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4221557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inadequate levels of combustion air at a flame
US8591221B2 (en) Combustion blower control for modulating furnace
JP3193316B2 (ja) 強制給排気式燃焼装置
US6907192B2 (en) Hybrid hotair heater
AU2003266778B2 (en) Hybrid hotair heater
KR0173829B1 (ko) 온풍난방기
KR0155464B1 (ko) 연소장치
KR100268001B1 (ko)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JP2001004136A (ja) 燃焼機器の着火制御装置
KR100287844B1 (ko) 가스온풍기의 운전 제어장치
JP3618579B2 (ja) 燃焼装置
KR0170171B1 (ko) 옥내설치형 연소장치
KR0159149B1 (ko) 연소장치 및 연소장치의 급배기구의 폐쇄검지방법
KR20000020090A (ko) 가스난방기의 풍압검지 장치 및 방법
JP3366394B2 (ja) 燃焼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KR100281069B1 (ko) 가스온풍기
KR940007182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KR950000931B1 (ko) 온풍난방기
KR940005118B1 (ko) 난방기의 연소제어장치
JP2650655B2 (ja) 温風暖房機
JP3167912B2 (ja) 温風暖房機
KR100854276B1 (ko) 열풍기의 점화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90847B1 (ko) 가스온풍기의 연소실 폭발 방지장치 및 방법
JP2566046B2 (ja) 温風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