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71267B1 -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 Google Patents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267B1
KR100271267B1 KR1019970706971A KR19970706971A KR100271267B1 KR 100271267 B1 KR100271267 B1 KR 100271267B1 KR 1019970706971 A KR1019970706971 A KR 1019970706971A KR 19970706971 A KR19970706971 A KR 19970706971A KR 100271267 B1 KR100271267 B1 KR 10027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nnel
elements
connecting element
side element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567A (ko
Inventor
귄터 블라제
Original Assignee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12086 external-priority patent/DE19512086C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5112105 external-priority patent/DE19512105C1/d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7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2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hut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그들의 각 단면이 서로 마주보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요소로 구성되는 안내채널에 관한 것이다. 이들 측면요소 사이에 에너지 전달체인이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가볍고 다용도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소음이 적게 발생되고 또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안내채널을 만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요소 (1) 는 치수 안정성이 있는 중공부로 되어 있고, 연결요소 (2) 는 측면요소 (1) 의 대향하는 두 단면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요소들은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또한 하부 구조체에도 고정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DUCT FOR AN ENERGY-FEED CHAIN}
위와 같은 안내채널은, 전기, 가스, 유체 등을 위한 유연성 공급라인을 내장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 전달체인을 이동 소비원까지 안내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안내채널은, 예컨데 플랜트 설비나 원료 취급등에서 에너지 전달체인이 장거리 이동경로룰 갖게 되는 경우에 특별히 사용되지만, 이러한 적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 소비원이 이동할 때, 적어도 한 방향으로 유연한 에너지 전달체인은 풀기 또는 재감기 운동에 의해 안내채널안에 놓이거나 또는 들려 올려지게 된다. 에너지 전달체인의 재감기 운동시 장거리를 이동할 때, 상부 스트랜드라고 하는 에너지 전달체인의 상부는, 안내채널 안에 놓여 있으며 하부 스트랜드로라고 하는 에너지 전달체인의 하부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게 된다. 에너지 전달체인의 연결요소가 안내체널에서 이동경로 중간에 장착되면, 상부 스트랜드는 에너지 전달체인의 이동경로의 절반을 하부 스트랜드 위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나머지 절반의 이동경로에서 에너지 전달체인의 이동을 원할히 하게 위해, 안내채널의 측벽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부 스트랜드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은 고정요소에 의해 논-슬립 (non-slip) 상태로 하부 구조체위에 배치된다. 하부 구조체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측면요소들에 대한 고정은 앵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각 앵글 브라켓은 단면들이 대향하고 있는 측면요소에 볼트체결로 고정되고 또한 하부 구조체에도 볼트체결로 고정되게 된다. 가끔 사용되는 상기 하부 구조체는 C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안내체널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로 배치된다. 앵글 브라켓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잠금너트는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C형 부재에 위치하며, 이렇게 해서 안내채널의 측면요소들 간의 틈새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U형 단면의 안내채널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알려져 있는 안내채널은 대부분 약 2mm 두께의 시이트 강으로 만들어지며, 강성을 높히기 위해 프로파일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측벽과 슬라이딩 레일에 관통공이 제공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레일 을 볼트체결로 안내채널의 측벽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채널의 단점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즉, 비교적 무거우며, 또한 측벽 중에서 안내채널을 보강하기 위해 접혀진 부위 또는 슬라이딩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볼트체결의 앵글 브라켓에 있는 예리한 선단부와 같이 바깥으로 돌출하는 부위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에너지 전달체인이 안내채널안에 급속히 놓임으로 인하여, 에너지 전달체인으로 공급받는 소비원의 급속한 이동은 심한 소음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안내채널의 적용범위는 대체로 플랜트 설비 분야에서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곳에 한정된다.
또한, 독일특허 41 40 910 C1 호에는 일반적인 안내채널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 안내채널의 측면요소는 플라스틱 코어 또는 주름부를 사이에 두고 있는 얇은 메탈 페이싱 시이트로 되어 있다. 측면요소들은 쇄기로 지지부에 고정된다. 이때 측면요소의 탄성 때문에, 클램핑 효과가 향상되며, 그 결과 측면요소는 지지부에 고정되면 탄성변형이 되는데, 이는 측면요소가 그 본래의 강성을 거의 갖지 않음을 뜻한다. 옆으로 돌출한 쇄기는 외부에서 힘을 받으면 뜻하지 않게 풀어지는 수가 있으며, 또한 옆으로 돌출하는 하부 구조체와 함께 많은 돌기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들 돌기부는 교란효과를 줄 수 있으며 또한 그 때문에 안내채널이 근본적으로 매끈한 외측표면을 갖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그들의 각 단면이 서로 마주보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요소로 구성되는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에 관한 것으로, 이들 측면요소 사이에 에너지 전달체인이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도 1 은 안내채널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선 A-A 을 따라 취한 안내채널의 단면도.
도 3 은 연결요소의 제 1 부분의 전면도 (좌측), 측면도 (중간) 및 상면도 (우측).
도 4 는 연결요소의 제 2 부분의 전면도 (좌측), 측면도 (중간) 및 상면도 (우측).
도 5 는 단부캡의 전면도 (좌측), 측면도 (중간) 및 상면도 (우측).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다용도가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에너지 전달체인의 이동시 소음을 적게 내고 또한 우수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안내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목적은, 상기 측면요소는 치수 안정성이 있는 중공부로 되어 있고, 상기 연결요소는 측면요소의 대향하는 두 단면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요소들은 상기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또한 하부 구조체에도 고정되는 구성으로 달성된다. 이 결과, 측면요소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고정요소 및/또는 슬라이딩 레일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요소들을 측면요소의 중공부안에 쉽게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밖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는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내측 및 외측 표면이 매끈한 안내채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장애요소가 되는 돌기부가 생기지 않음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좋은 외관을 얻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안내채널의 적용범위가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비록 반드시 필요한 사항은 아니지만, 측면요소의 전 길이에 걸쳐 중공부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채널은 U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단체(one piece)로 만들 수도 있다. 측면요소를 중공부로 구성하면, 중량이 줄어들며 또한 강성이 커지게 되며 비교적 작은 공간만 필요로 하는 측벽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전달체인의 이동시 소음도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조립도 아주 간단해지는데, 왜냐하면, 측면요소들을 연결요소를 써서 동시에 서로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하부 구조체에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연결요소들을 예컨데 슈유(shoe) 형태 또는 설부-그루브 조인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요소는 측면요소의 단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파지티브 및/또는 논파지티브(non positive) 요소에 의해 측면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요소는 그의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뻗게 되는데, 이로써 측면요소를 원하는 길이로 자른 후 이 측면요소의 단면에 연결요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채널의 길이를 원하는 대로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측면요소를 길게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중공부에는 몇 개의 챔버가 있는데, 이들 챔버는 측면요소의 길이방향으로 뻗으며 측면요소의 내측 및 외측 벽을 연결시켜주는 치수가 안정된 스트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스트러트는 동시에 보강부로서의 기능도 하게 되며, 바람직하게 수평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상기 챔버는 한 측면에서 열릴 수 있으며 측면요소의 정부 또는 단면에서 절개부를 갖는다. 그러나, 안내채널을 조립할 때 챔버가 폐쇄되도록 만드는 것이 좋다. 상기 스트러트는 또한 측면요소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요소들은 고정작업시 연결요소로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들 연결요소는 측면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끼워맞춤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안내채널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해지며 인접한 측면요소들의 단면 영역에서의 측방 오프셋을 피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프셋이 발생하면 안내채널 안에서 에너지 전달체인이 급속히 이동할 때 심한 교란이 발생하게 된다. 측면요소들의 정렬은, 예컨데, 이들 측면요소에 있는 충분히 긴 그루브 또는 돌기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그루브 또는 돌기부는 연결요소에 있는 돌기부 또는 그루브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요소는, 측면요소의 단면에 마련된 공동부에 꼭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는 페그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연결요소들을 측면요소에 간단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측면요소들 간의 정렬도 간단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요소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내채널을 조립할 때 각 부분은 예컨데 페그로 측면요소에 고정되며, 맞은 편 단부에는 다른 부분과 겹쳐 고정요소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고정요소를 푼 후에, 측면요소를 안내채널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측면요소를 안내채널로 부터 분리해 낼 수 있는데, 이는 안내채널을 전 길이에 걸쳐 분해하지 않고도 측면요소들을 조립 및/또는 분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안내채널이 긴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또한, 연결요소의 겹침영역에 의해 측면요소들의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측면요소의 조립이 쉬워진다.
상기 측면요소는 L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면서 에너지 전달체인의 하부 스트랜드를 위한 지지대로서 기능하는 짧은 다리를 갖추고 있다. 또한, 측면요소의 상단부에는 안내채널의 내부로 부터 떨어져 형성된 영역이 있기 때문에, 안내채널의 내부단면은 윗쪽을 향해 넓어지고 있으며, 이 결과 에너지 전달체인을 안내채널안에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쉬워지게 된다.
측면요소의 단면에 단부캡이 제공되므로, 측면요소의 중공챔버는 외부로 부터 시일링되고, 중공부에 오염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된다. 중공챔버의 시일링으로 소음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캡은 측면요소를 지지체상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측면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측면요소의 단면에 마련된 공동부에 꼭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는 페그가 상기 단부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의 겹칩영역 및/또는 단부캡은 L형 단면을 취하며, 상기 짧은 다리는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고, 안내채널을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요소들이 짧은 다리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측면요소는 연결요소 및/또는 단부캡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요소가 L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요소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결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연결요소 및/또는 단부캡의 겹칩영역이 측면요소의 외측벽의 외곽면과 편평하게 놓이면, 안내채널은 단지 작은 공간만 필요하게 되며 안내채널의 외측을 지나가는 물체는 안내채널에 있는 어떠한 외향돌출 돌기부와 간섭을 할 수 없게 된다.
연결요소와 단부캡은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측면요소를 압출된 알루미늄으로 만들면, 중공부의 제조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안정성과 최대한의 중량감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중공부는 플라스틱,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다른 재료로도 만들 수 있다.
방음재를 측면요소의 공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공동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채울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을 측면요소의 내측벽에 고정하기 위해,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는 측면요소의 벽에, 다른 고정요소가 없이 슬라이딩 레일의 측방 돌기부가 결합하게 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써 슬라이딩 레일의 취급이 간단해진다. 특히, 이는 안내채널의 내측면에 돌기물이 없이 편평하게 만들 수 있음을 뜻한다. 슬라이딩 레일의 돌기부는 예컨데 스냅-인 캠 또는 별개의 스터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잠금너트 등을 측벽안에 끼울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레일은 파지티브 또는 논파지티브 고정요소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관통공이 생기지 않게 하고 우수한 절음성 (sound insulation) 얻기 위해서는, 측벽의 리세스를 함몰부 형태로 만드는 것이 좋다. 측면요소를 중공부로 구성하면 중공챔버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으며, 우수한 안정성과 절음성을 갖는 안내채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연결요소의 단면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함몰부를 측면요소의 전 길이를 따라 형성하면, 안내채널의 측면요소를 압출가공과 같은 연속성형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레일의 위치는 특정 지점에 마련된 관통공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는데, 이로써 필요하다면 슬라이딩 레일을 안내채널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어, 가변적인 상황에도 간단하게 맞출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레일을 슬라이딩 스탑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이 훅크형 돌기부로 그 안에 결합되는 언더컷부를 측벽에 형성된 리세스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슬라이딩 레일을 간단하고 신속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상기 측면요소는 슬라이딩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여러 높이에서 수개의 리세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높이의 체인링크로 이루어진 에너지 전달체인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에너지 전달체인에 적합한 높이에서 슬라이딩 레일을 안내채널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전달체인이 바뀌는 경우에 안내채널을 쉽게 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어떤 높이에서 함몰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레일은 다른 높이에 있는 함몰부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이로써 이들 함몰부에는 불순물이 쌓이지 않게 된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2 에는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의 한 분편(segment)이 도시되어 있다. 이 안내채널은, 연결요소 (2) 에 의해 하부 구조체 (3) 상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한 측면요소 (1) 를 갖는다. 안내채널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하부 구조체는 C형 단면을 가지며, 연결요소 (2) 와 작용하는 볼트 (4) 들이 상기 구조체의 길이방향 슬릿안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측면요소 (1) 의 간격을 무단계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측면요소 (1) 는 중공의 L형 단면을 가지며, 측면요소 (1) 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스트러트 (strut: 5) 에 의해 몇 개의 중공 챔버로 분할되어 있다. 측면요소 (1) 의 짧은 다리는 상기 하부 구조체 (3) 와 접촉하며 에너지 전달체인의 하부 스트랜드를 위한 지지대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에너지 전달체인의 상부 스트랜드는 도 2 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측면요소 (1) 의 내측벽에는 함몰부 (6) 가 있는데, 이 함몰부안에는 상부 스트랜드를 위한 지지대로서 기능하는 레일 (7) 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측면요소 (1) 의 전길이에 걸쳐 형성된 몇 개의 함몰부 (6) 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해서, 슬라이딩 레일 (7) 을 측면요소 (1) 의 짧은 다리로 부터 상이한 간격으로 훅크결합할 수 있다. 스트러트 (5) 는 함몰부 (6) 가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데, 이로써 중공부가 그의 가장 좁은 단면 영역에서 안정되게 된다.
측면요소 (1) 의 상단부에는 안내채널로 부터 떨어져 형성된 영역 (8) 이 있으며, 따라서 안내채널의 내부단면은 윗쪽을 향해 넓어지고 있는데, 이로써 에너지 전달체인을 안내채널안에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쉬워지게 된다.
안내채널의 측면요소 (1) 는 하부 구조체 (3) 와 나란하게 접하는 편평한 외측벽을 갖고 있다. 또한, 연결요소 (2) 의 상이한 부분들을 서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요소도 측면요소 (1) 의 외측벽과 나란히 편평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채널에는 밖으로 향하는 돌기부가 전혀 없게 되며, 그 결과 최소한의 공간만 필요하게 된다. 측면요소 (1) 를 중공부으로 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종래의 안내채널에 비해 현저한 절음효과는 상기 중공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충진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안내채널을 연속적인 U형 단면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측면요소 (1) 의 짧은 다리 사이에 덮개판을 삽입하여 바닥쪽으로 안내채널을 폐쇄할 수도 있다.
측면요소 (1) 는 저중량과 적은 제조비를 위해 압출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측면요소 (1) 들의 인접한 끝면들과 접촉하는 연결요소 (2) 는 도 3,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도 3 의 좌측에 도시된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의 전면도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부분은 L형으로 되어 있다. 제 1 부분 (9) 의 전면 윤곽은 측면요소 (1) 의 내부 및 외부 윤곽에 맞게 되어 있다.
측면도 (도 3 의 중간) 및 상면도 (도 3 의 우측)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에는 페그 (14) 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페그는 각 측면요소 (1) 에 있는 대응 공동부안에 꼭맞게 끼워맞춤됨으로써,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을 측면요소 (1) 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의 짧은 다리에는 관통공 (10) 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안에 볼트 또는 다른 고정요소가 삽입되어 서부 구조체 (3) 에 고정된다.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에는, 외측면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L형 영역 (11) 이 있으며, 이렇게 해서, 도 4 에 도시된 연결요소의 제 2 부분 (15) 의 L형 몸체가 상기 후방 영역 (11) 과 겹칠 수 있게 된다. 후방 영역 (11) 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웨브 (12) 가 있는데, 이 웨브는 연결요소 (2) 의 제 2 부분 (15) 의 대응 리세스 (17) 안에 꼭맞게 끼워맞춤된다.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중 도시된 형태의 영역이 제 2 부분 (15) 과 겹침으로써, 연결요소의 부품들간에 안정된 결합이 보장된다.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의 측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 - 도 3 참조 (중간) - 제 1 부분 (9) 에는 두 개의 관통공 (13) 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은 연결요소 (2) 의 제 2 부분 (15) 의 대응 관통공 (19) 과 정렬할 수 있는데, 따라서 연결요소 (2) 의 제 1, 2 부분의 겹침영역을 볼트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부분 (9, 15) 은 스냅인 캠 (snap-in cam) 등으로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연결요소 (2) 의 제 2 부분 (15) 은 L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의 몸체는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의 후방 영역 (11) 에 맞게 되어 있는데, 다시 말해,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과 제 2 부분 (15) (내측 및 외측부) 은 동일한 윤곽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윤곽은 측면요소 (1) 의 윤곽과도 일치하게 된다. 대응하는 제 1 부분 (9) 을 결합하면, 하부 구조체 (3) 와 작용하는 리세싱된 고정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공 (16) 이 연결요소 (2) 의 제 2 부분 (15) 의 짧은 다리에 생기게 된다. 상기 관통공 (16) 은 안내채널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제 1 부분 (9) 의 관통공 (10) 으로 부터 소정의 거리로 떨어져 배치된다. 또한, 제 2 부분 (15) 은 제 1 부분 (9) 의 웨브 (12) 가 꼭맞게 끼워맞춤되는 리세스 (17) 와, 측면에서 두 개의 페그 (18) 를 갖고 있으며, 이들 페그는 제 2 부분 (15) 의 고정을 위해 측면요소 (1) 의 대응 공동부안에 꼭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10, 16) 안에 있는 고정요소를 풀면, 연결요소 (2) 의 제 1 부분 (9) 과 접해 있는 측면요소 (1) 는 안내채널의 내부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제 2 부분 (15) 의 관통공 (16) 안에 있는 고정요소가 노출되며 대응하는 측면요소 (1) 를 분리하기 위해 이 고정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요소 (2) 의 부분들에 형성된 관통공 (10, 16) 은 안내채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데, 물론 이렇게 하면 안내채널의 길이방향으로 연결요소 (2) 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측면요소 (1) 를 안내채널의 길이방향에 가로질러 슬라이딩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인접한 측면요소 (1) 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분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측면요소 (1) 를 하부 구조체 (3) 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가 안내채널의 내부를 향하는 연결요소 (2) 의 짧은 다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측면요소 (1) 의 외측벽을 넘어 돌출하는 고정요소는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부 구조체 (3) 의 폭을 안내채널의 폭에 맞게 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단부캡 (20) 의 윤곽도 마찬가지로 측면요소 (1) 의 윤곽에 맞게 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캡의 한 단면에는 세 개의 페그 (21) 가 제공되어 있다 (도 5 의 좌측 참고). 이들 페그는 측면요소 (1) 의 대응 공동부에 꼭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다. 그리고, L형 단부캡 (20) 의 짧은 다리에는 관통공 (22)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안에 고정요소가 삽입되어 하부 구조체 (3) 에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안내채널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요소 (1) 의 단부를 단부캡 (20) 을 통해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요소 (2) 와 단부캡 (20) 의 부분들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일 (7) (도 2 참조) 은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가지며, 이 레일의 측방면들 중 긴 것은 측면요소 (1) 에 대한 위치고정을 위한 접촉영역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짧은 웨브가 있는 훅크형 돌기부 (7a) 가 윗 가장자리와 나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영역의 상단에 위치해 있다. 상기 짧은 웨브는 슬라이딩 레일 (7) 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 (6) 와 훅크결합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 (7) 은 훅크형 돌기부 (7a) 를 삽입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측방 접촉영역의 높이는, 슬라이딩 레일 (7) 이 가장 밑에 있는 함몰부 (6) 에 결합될 때 상기 접촉영역의 바닥 가장자리가 언더컷부 또는 측면요소 (1) 와 접촉하도록 정해진다. 측면요소 (1) 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함몰부 (6) 가 제공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 (7) 은 이 함몰부 (6) 안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함몰부안에서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측면요소 (1) 를 연속 성형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면요소
2 : 연결요소
3 : 하부 구조체
4 : 볼트
5 : 스트러트 (strut)
6 : 함몰부
7 : 슬라이딩 레일
7a : 훅크형 돌기부
8 : 후방 영역
9 : 연결요소의 제 1 부분
10 : 관통공
11 : 후방 영역
12 : 웨브
13 : 관통공
14 : 페그
15 : 연결요소의 제 2 부분
16 : 관통공
17 : 리세스
18 : 페그
19 : 관통공
20 : 단부캡
21 : 페그 (peg)
22 : 관통공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그들의 각 단면이 서로 마주보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측면요소로 구성되며, 이들 측면요소 사이에 에너지 전달체인이 길이방향으로 놓일 수 있는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에 있어서,
    상기 측면요소 (1) 는 치수 안정성이 있는 중공부로 되어 있고, 상기 연결요소 (2) 는 측면요소 (1) 의 대향하는 두 단면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요소들은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또한 하부 구조체에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요소 (1) 들은 고정작업시 연결요소 (2) 에 의해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이들 연결요소는 측면요소 (1) 들이 개별적으로 끼워맞춤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 (2) 는, 측면요소 (1) 의 단면에 마련된 공동부에 꼭맞게 끼워맞춤될 수 있는 페그 (14, 18) 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안내채널.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 (2) 는 측면요소에 각기 고정될 수 있는 두 부분 (9, 15) 으로 되어 있고, 각 부분의 맞은 편 단부에는 다른 부분의 것과 겹치게 되는 영역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요소 (1) 는 L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면서 에너지 전달체인의 하부 스트랜드를 위한 지지대로서 기능하는 짧은 다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단부캡 (20) 들이 상기 측면요소 (1) 의 단면들에 제공되며, 이들 단부캡은 측면요소 (1) 의 단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7.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의 겹칩영역 및/또는 단부캡은 L형 단면을 취하며, 상기 짧은 다리는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고, 안내채널을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요소들이 짧은 다리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안내채널의 내측에 슬라이딩레일 (7) 이 배치되며, 안내채널의 내부로 향하는 측면요소 (1) 의 벽에는 리세스 (함몰부 (6)) 가 제공되어 있고, 슬라이딩 레일 (7) 의 측방돌출 부분이 상기 리세스안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9. 제 8 항 있어서, 측면요소 (1) 의 내측벽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 (함몰부 (6)) 에 언더컷부가 있고, 슬라이딩 레일 (7) 이 훅크형 돌기부 (7a) 에 의해 상기 언더컷부안에 훅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채널.
KR1019970706971A 1995-04-03 1996-04-03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271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112086 DE19512086C1 (de) 1995-04-03 1995-04-03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19512105.8 1995-04-03
DE19512086.8 1995-04-03
DE1995112105 DE19512105C1 (de) 1995-04-03 1995-04-03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567A KR19980703567A (ko) 1998-11-05
KR100271267B1 true KR100271267B1 (ko) 2000-12-01

Family

ID=2601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9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1267B1 (ko) 1995-04-03 1996-04-03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19836A (ko)
EP (1) EP0819225B1 (ko)
JP (1) JP3092945B2 (ko)
KR (1) KR100271267B1 (ko)
CN (1) CN1076454C (ko)
AU (1) AU5269196A (ko)
BR (1) BR9604850A (ko)
CA (1) CA2217190C (ko)
PL (1) PL178542B1 (ko)
RU (1) RU2138708C1 (ko)
WO (1) WO1996031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0067U1 (de) * 1996-06-07 1996-08-29 Igus Spritzguß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51147 Köln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DE19730548C1 (de) * 1997-07-17 1998-12-10 Igus Gmbh Führungsrinnenkonstruktion
DE29907452U1 (de) * 1999-04-19 1999-08-05 Igus Spritzguß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51147 Köln Montagewinkel und Distanzstück zur Befestigung von Führungsrinnen
DE20101656U1 (de) 2001-01-30 2001-04-19 Igus Spritzguß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51147 Köln Führungsrinne
JP2005102359A (ja) * 2003-09-22 2005-04-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ライドドア用導電路のガイド装置
RU2267845C1 (ru) * 2004-05-14 2006-01-10 Ильдус Сибагатуллович Бикбов Гибкий короб-тракт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ей и шлангов
KR100938426B1 (ko) * 2009-07-22 2010-01-22 씨피시스템(주) 케이블 베어를 유도하는 시스템형 가이드
RU2457372C1 (ru) * 2010-11-03 2012-07-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эколюкс" Храповой механизм антимоскитной рулонной системы
RU2489631C2 (ru) * 2011-09-16 2013-08-10 Валерий Павлович Максимов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комплекс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EP2575225A1 (en) * 2011-09-27 2013-04-03 Findalto S.r.l. Energy chain duct
WO2014077846A1 (en) 2012-11-19 2014-05-22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Flexible sensor support for tire inspection
DE102013226954B4 (de) * 2013-12-20 2019-01-03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Bearbeitungsmaschine zur Werkstückbearbeitung
DE202014100481U1 (de) 2014-02-04 2014-05-06 Igus Gmbh System und Koppel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nkoppeln einer fahrbaren Maschine, insbesondere eines Container-Stapelkrans, an eine Fahrversorgung, sowie Kupplung hierfür
DE202014103562U1 (de) * 2014-07-31 2014-09-11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DE202020101247U1 (de) * 2020-03-06 2021-06-09 Igus Gmbh Vertikal-Führungsrin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003A (en) * 1972-09-07 1973-12-18 Measurex Corp Cable carrier with removable plastic links
SE8200148L (sv) * 1982-01-13 1983-07-14 Stiebel Sven Michael Anordning vid en kedjekonstruktion med hallardon avsedda att uppbera och styra en eller flera flexibla energioverforande ledningar
US4690065A (en) * 1983-05-26 1987-09-01 Belanger, Inc. Automobile conveyor
DE3537961C1 (de) * 1985-10-25 1987-04-09 Kabelschlepp Gmbh Energieleitungstraeger
DE8811440U1 (de) * 1988-09-09 1988-11-10 Murr-Plastik Gmbh, 7155 Oppenweiler Ablegewanne
IT1239969B (it) * 1990-05-11 1993-11-27 Magitex Canalina per il supporto di una catena porta condutture e un apparato mobile per la pulizia di un impianto tessile
DE4015803C1 (en) * 1990-05-17 1991-11-21 Murrplastik Gmbh, 7155 Oppenweiler, De Link element for energy transfer chain - has height of cross-plate relative energy lines adjustable for compression of resilient packing elements and secure energy lines retention
DE4140910C1 (ko) * 1991-12-12 1993-02-25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US5649415A (en) * 1995-02-02 1997-07-22 Hubbell Incorporated Power supply chain and chain carri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38708C1 (ru) 1999-09-27
EP0819225A1 (de) 1998-01-21
AU5269196A (en) 1996-10-23
BR9604850A (pt) 1998-06-16
CA2217190C (en) 2001-08-21
CN1076454C (zh) 2001-12-19
JP3092945B2 (ja) 2000-09-25
EP0819225B1 (de) 1999-06-23
JPH10512136A (ja) 1998-11-17
US6119836A (en) 2000-09-19
WO1996031710A1 (de) 1996-10-10
PL178542B1 (pl) 2000-05-31
CN1179817A (zh) 1998-04-22
KR19980703567A (ko) 1998-11-05
PL322660A1 (en) 1998-02-16
CA2217190A1 (en) 199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267B1 (ko) 에너지 전달체인용 안내채널
US5319901A (en) Bifurcated column joint system for electrical transmission tower
US20030048048A1 (en) Switch cabinet frame structure
US4899870A (en) Reciprocating floor conveyor with snap-on floor members
US5711733A (en) Power transmission chain
JP3916566B2 (ja) 案内トラフ
US4866581A (en) Linear structural member having a drawn section and having weight-reducing slots
JP2004502617A (ja) コンベアのため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CA2275926C (en) Energy-supply chain
EP1275587B1 (de) Behälter aus Kunststoff
IE72208B1 (en) A modular frame for defining and profiling the edges of wells canalizations for openings in general
KR101596867B1 (ko) 용이한 부분 교체를 가능케 하는 칸막이 패널의 연결 설치구조
US6852052B2 (en) Guide channel
DE19512086C1 (de)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KR20000069673A (ko) 에너지 가이딩 체인
US5816389A (en) Conveyor mat built up of plastic modules and modules for such a conveyor mat
DE20317180U1 (de) Lärmschutzelement und Lärmschutzwand
WO1997002197A1 (en) Conveyor belt
DE29522353U1 (de) Führungsrinne für Energieketten
DE29502666U1 (de) Begehbare Planke, insbesondere Planke für den Gerüstbau
NL8702472A (nl) Dakconstructie.
WO2024133490A1 (en) Bridging device for a structural gap
GB2084532A (en) Improvements in scraper-chain conveyor pan sections
AT510485B1 (de) Aufsatz für eine schallschutzwand
WO2001010196A1 (en) Slotted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