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자동차등의 차량에 장비되어서 승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시이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시에 웨빙(webbing)을 권취하는 리일(real)축의 회전을 정지시켜 웨빙이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이트 밸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등의 차량에 장비되는 시이트 벨트 러트랙터는 차량에 큰 감속도가 작용했을 경우와 같은 긴급시에 승무원의 관성이동에 의한 웨빙이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는 웨빙을 권취하는 리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리일축의 잠금장치의 한가지로서 예컨데 미국 특허 제4,796,918호 명세서 및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리일축 및 그 리일축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에 톱니를 형성하는 동시에,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했을 때 리일축이 이동하게 되어서 그 톱니가 프레임의 톱니에 계합하므로써 리일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프레임잠금형식의 잠금장치가 있다. 이 프레임잠금형식의 잠금장치는 톱니가 프레임에 형성되므로써 상기한 톱니를 보유한 특별한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비교적 경량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잠금장치는 현재자동차등의 차량에 요구되고 있는 경량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바와 같이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하여 리일축의 회전을 저지하므로써 웨빙의 인출을 저지하려고 할 때, 리일축에 권취되어 있는 잉여의 웨빙이 인출력에 의하여 감아죄이므로 그 감아죔에 의해 웨빙이 인출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리일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클램프(clamp)장치에 의하여 웨빙을 죄어 정지시키므로써 웨빙의 늘어남을 방지하도록 한 시이트 벨트 리트렉터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되어 있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는 리일축에 형성된 래치트휘일(latchet wheel)의 톱니에 폴을 계지시키므로써 리일축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연동부재에 의하여 이 폴의 움직임에 연동시켜서 클램프장치를 작동하므로써 웨빙을 정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전기한 미국 특허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잠금장치를 구비한 리트랙터는 리일축에 설치된 톱니가 프레임의 톱니에 맞물려서 리일축의 회전이 정지될 때 리일축의 톱니 및 프레임의 톱니에 각각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다. 이 까닭에, 그들 톱니의 폭을 크게 형성하여 톱니에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톱니에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하는 대책으로 리일축의 톱니의 두께 및 프레임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여 톱니의 맞물림폭을 크게 하거나, 또는 프레임과는 별개체로 한 톱니를 프레임에 부착하여 보강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의 대책에 있어서는 중량에 증대하는 문제가 있고, 또 후자의 대책에 있어서는 보강재를 필요로하는 까닭에 부품수가 많아질 뿐아니라 보강제의 부착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정수가 증대되어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프레임잠금형식의 잠금장치는 리일축의 양끝에 설치된 톱니가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톱니에 동시에 맞물리게 하지 않으면 않되는데, 실제로는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맞물리게 하는 것이 어려우며 한쪽만 맞물리는 것이 많다. 더욱 상세하게는 리일축이 이동하므로써 리일축측의 톱니와 프레임측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좌우 양측에서 동시에 맞물리도록 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 그리고, 톱니가 한쪽만 맞물렸을 때에는 그 맞물린 톱니에 응력이 집중하므로 더 한층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필연적으로 리트랙터의 크기가 대형화되어 중량이 증대해진다.
또, 웨빙의 감아죔에 의한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프레임장금형식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가 이미 제안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웨빙의 클램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제안되어 있는 클램프장치는 리일축에 형성된 래치트휘일의 톱니에 제2연동부재의 계지폴을 계지시켜서 래치트 휘일의 회전력을 제2연동부재로부터 제1연동부재를 통하여 클램프장치에 전달하여 크램프장치를 작동하고 있으므로, 리일축이 이동하므로써 리일축측의 톱니와 프레임측의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있는 전기한 프레임잠금형식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 그대로 단순하게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 이 클램프장치는 리일축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폴, 리일축의 회전력을 취하는 제2연동부재, 그 회전력을 제2연동부재로부터 클램프장치에 전달하는 제1연동부재 및 폴의 동작과 제2연동부재의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질 뿐 아니라 이와 같이 많은 부품을 조합해야하므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잠금형식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도 웨빙을 정지시키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밖에도 맞물림의 확실성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부품수 및 조립작업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경량이고 또한 저렴하며 간단한 구조인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1의 발명은 웨빙을 권취하는 리일추과 그 리일축의 양끝을 회동자재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 및 리일축사이에 설치되어 통상시에는 리일축의 회동을 허용하고 필요시에는 작동하여 리일축이 조금이라도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잠금장치와,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가해졌을 때 작동하는 감속도 감지장치와, 통상시에는 전기한 리일축의 회동과 동기하여 회동하면서 그 감속도 감지장치의 작동으로 전기한 리일축과 상대회동하므로써 전기한 잠금장치를 작동하는 잠금작동장치와, 전기한 웨빙을 정지시키는 클램프장치와, 전기한 잠금장치의 작동에 연동하여 전기한 클램프장치를 작동하는 연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전기한 잠금장치가 전기한 프레임의 전기한 리일축 일단측에 소정량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제1피계합부를 보유하고 있는 잠금링과, 전기한 리일축의 일단측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에 전기한 제1피계합부와 계합가능한 제1계지부를 보유하여 통상시에는 전기한 제1계합부가 전기한 제1피계합부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비계합위치에 유지되는 동시에 전기한 필요시에는 전기한 제1계지부가 전기한 제1피계합부와 계합되는 계합위치로 회동하는 제1계합부재와, 전기한 프레임의 전기한 리일축 타단측에 설치된 제2피계합부와 전기한 리일축의 타단측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전기한 제2피계합부와 계합가능한 제2계지부를 보유하여 통상시에는 전기한 제2계합부가 전기한 제2피계합부와 계합되어 있지 않은 비계합위치에 유지되는 동시에 전기한 필요시에는 제2계합부가 전기한 제2피계합부와 계합되는 계합위치로 회동되는 제2계합부재를 구비하고, 전기한 클램프장치가 전기한 웨빙을 압압하는 클램프부재와 그 클램프부재의 압압력을 받는 힘받이 부재를 보유하고, 그 클램프부재의 압압력으로 전기한 웨빙을 전기한 클램프부재와 전기한 힘받이부재 사이에 협압(挾壓)하므로써 그 웨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고, 전기한 연동부재가 전기한 잠금링에 계합되는 동시에 전기한 클램프장치에 계합되어 전기한 잠금링에 전달되는 전기한 리일축의 회전력을 전기한 클램프부재에 전달하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2의 발명은 전기한 잠금링의 내주면에 전기한 제1피계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기한 잠금링의 외주면이 전기한 프레임에 형성된 원형상 구멍에 접동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감합되어 있고, 또 전기한 원형상구멍의 내주면에는 오목부 및 돌기의 어느 한쪽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기한 외주면에는 오목부 및 돌기의 어느 다른쪽이 형성되어 있고, 전기한 오목부의 둘레방향 길이가 전기한 돌기의 둘레방향 길이보다 소정량 길게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전기한 오목부내에 돌기가 위치하도록 전기한 잠금링이 전기한 원형상구멍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3의 발명은 클램프부재가 토글링크(toggle link)기구로 이루어진 레버와, 그 레버의 선단에 설치되어 소정수의 톱니를 보유하는 톱니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기한 아암이 전기한 잠금링과 전기한 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또 전기한 클램프부재가 전기한 아암에 의하여 전기한 레버가 잠금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전기한 톱니가 전기한 웨빙을 몰아넣은 후, 전기한 레버가 전기한 웨빙의 인출력에 의해서만 잠금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전기한 웨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자동잠금(self lock)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는 제1계합부재의 제1계지부가 회동하여 잠금링의 제1피계합부에 계합되면 리일축의 웨빙인출방향의 회동력이 잠금링에 전달되어 잠금링이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잠금링의 회동이 아암을 통하여 클램프장치의 크램프부재에 전달되어 클램프부재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이 클램프부재와 힘받이부재 사이에 협압되어 웨빙이 정지된다. 이리하여 웨빙의 인출이 저지되게 된다.
또, 클램프부재와 힘받이부재 사이의 협압력이 불충분하여 웨빙이 인출될려고 하면, 리일축이 회동하여 그 리일축의 회동력이 제1계합부재를 통하여 잠금링에 전달되고 잠금링이 다시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잠금링의 초기위치로부터 총회동력이 소정량에 달하면 그 잠금링의 회동력이 정지되어 리일축이 정지된다. 이리하여 웨빙의 인출이 확실하게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는 제1계합부재가 리일축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기능과 리일축의 회동력을 아암을 통하여 클램프부재에 전달하는 기능을 보유하게 되므로서, 제1계합부재의 작동에 연동되어서 리일축의 회동력을 클램프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부품수가 적어지는 동시에 잠금링에 형성되는 전달기구의 부품을 제어하는 캠(cam)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달기구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잠금링의 가공이 용이하게 될 뿐아니라,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가 경량이고 또한 저렴한 것으로 된다.
특히,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는 잠금링의 외주면이 프레임의 원형상구멍의 내주면에 안내되어서 접동하도록 되는 까닭에 잠금링의 회전이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것으로 된다.
또,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 클램프부재가 자동잠금작용을 할 때까지는 연동부재인 리일축의 회전력을 클램프부재에 전달하지만, 클램프부재가 자동잠금작용을 하게 되면 아암이 리일축의 회전력을 클램프부재에 전달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암을 경량부재로 형성할 수가 있게 되어 그 만큼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는 더 한층 경량이 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의 실시에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로서, 제1도는 그 중앙부분이고 제2도는 좌측부분이며 또 제3도는 우측부분이다. 그리고, 제1도의 선 A1, B1, C1, D1과 제2도의 선 A2, B2, C2, D2가 각각 정합되고, 제1도의 선 F1, E1, C1, G1, H1과 제3도의 선 F3, E3, C3, G3, H3각각 정합되어지므로써 이 실시예의 전체적인 분해사시도가 구성된다. 또, 제4도 내지 제6도는 이 실시예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가 조립된 상태를 표시하고, 제4도는 커버를 해체한 상태의 시이트 벨트 리트래터의 우측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V-V선을 따르는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 부세력부여장치(5)를 해체한 상태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부분좌측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하듯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1)는 좌·우측벽(2a,2b)를 보유한]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좌·우벽(2a,2b)은 연결부재(2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프레임(2)은 보강되고 있다. 또, 제7도에 표시하듯이 우측벽(2a)에는 원형상의 구멍(2d)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우측벽(2a)의 구멍(2d)내주면에는 6개의 오목부(2f)가 원주방향을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벽(2a)에는 4개의 계지구멍(2k,2m,2n,2r), 원호형상의 안내구멍(2p)가 후술하는 웨빙안내구멍(22)의 축을 지지하는 원호형상홈(2s)과 후술하는 클램프장치(25)의 클램프부재(26)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하는 레버핀(30)(제5도에 표시)이 관통하는 구멍(2u)과, 후술하는 아암(24)의 회동축이며 또한 한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비틀림스프링(29)을 지지하는 레버스크류(31)가 관통 고정설치 된 구멍(2v)과 이 비틀림스프링(29)의 한끝이 계지되는 구멍(2w)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제8도에 표시하듯이 좌측벽(2b)에는 원형상의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좌측벽(2b)에 있어서 구멍(2e)의 내주면에는 전원주에 걸쳐서 소정수의 산형상의 톱니(2g....)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톱니(2g)는 웨빙인출방향(a)으로 대면하는 면이 비교적으로 급한 경사면으로 있는데 반하여 웨빙권취방향(β)으로 대면하는 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좌측벽(2b)에는 3개의 계지구멍(2h,2i,2j)과 원호형상의 안내구멍(2q), 그리고 후술하는 웨빙안내구멍(22)의 축을 지지하는 원호형상홈(2t) 및 클램프부재(25)의 회동축을 회동자재하게 지지하는 구멍(2x)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좌측벽(2b)의 톱니(2g)에는 후술하는 조인트핀(19)의 한쪽끝이 연결되고 또한 한쪽끝이 리일축(4)의 플랜지형상부(4c)에 형성된 제5오목감부(4x)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다른쪽끝이 제4오목감부(4u)에 배치된 계지부로 되어 있는 백업폴(20)에 계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3도에 표시하듯이 이 백업폴(20)은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고, 부채의 사북 부분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관통구멍(20a)을 보유한 보스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부채의 사북과 부채의 사부과 반대측인 끝부에는 풀부(20c)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폴부(20c)의 선단에는 프레임(2)의 좌측벽(2b)의 톱니(2g)에 계합가능한 톱니(2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백업폴(20)의 부착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우측벽(2a)의 구멍(2d)에는 잠금링(23)의 외주면의 일부가 거의 빈틈없고 회동자재하게 감입되어 있다. 제9도에 표시하듯이, 잠금링(23)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전원주에 걸쳐서 소정수의 산형상의 톱니(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경우, 톱니(23a)는 웨빙인출방향(α)으로 대변하는 면이 비교적 급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웨빙권취방향(β)으로 대면하는 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동 도면(c)에 표시하듯이 잠금링(23)의 외주면은 좌측과 우측의 지름이 다른 단면으로서 계단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좌측외주면(23b)은 소경의 외주면으로 되어 있고, 우측외주면(23c)은 대경의 외주면으로 되어 있다. 좌측외주면(23b)의 지름은 우측벽(2a)의 구멍(2d)의 지름과 대략 같거나 혹은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외주면(23b,23c)에는 6개의 돌기(23d)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23d)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우측벽(2a)의 오목부(2f)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소정량(η)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외주면(23c)에는 후술하는 아암(24)에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3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23e)는 아암(24)에 설치된 연결핀(24a)(제27도에 표시)이 결합되는 홈(23f)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링(23)은 좌측외주면(23b)이 우측벽(2a)의 구멍(2d) 내에 거의 빈틈없고 회동자재하게 결합된다. 그 경우, 6개의 돌기(23d)가 각각 오목부(2f)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오목부(2f)의 원주방향길이가 돌기(23d)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소정량(η)만큼 길게 되어 있으므로, 이 소정량(η)에 따라 결정되는 회동각 만큼 잠금링(23)은 우측벽(2a)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잠금링(23)의 톱니(23a)는 한쪽끝이 후술하는 리일축(4)의 플랜지형상부(4b)에 형성된 제3오목감부(4n)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끝이 제2오목감부(4i)에 배치되어 계지부로 되어 있는 메인폴(17)에 계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1도에 표시하듯이, 이 메인폴(17)은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고 부채의 사북 부분에 관통구멍(17a)을 보유한 보스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부채의 사북 부분과 반대측 끝부에는 폴부(17c)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폴부(17c)의 선단에는 프레임(2)의 우측벽(2a)에 조립설치된 잠금링(23)의 톱니(23a)에 계합가능한 톱니(17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메인폴(17)의 부착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우측벽(2a)의 톱니(2g), 잠금링(23)의 톱니(23a), 메인폴(17) 및 백업폴(20)에 의하여 후술하는 리일축(4)이 조금이라도 웨빙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잠금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하듯이, 프레임(2)의 좌우측벽(2a,2b) 사이에는 웨빙(3)을 궈취하는 리일축(4)이 배설되어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이 리일축(4)은 중앙에 웨빙권취부(4a)와, 이 웨빙권취부(4a)의 좌우양끝에 형성된 웨빙(3)을 권취 안내하는 원형상의 플랜지형상부(4b,4c)와 플랜지형상부(4b)의 중심부에 설치도어 축방향 바깥으로 돌출된 제1회전축(4d)과, 플랜지형상부(4c)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제1회전축(4d)과 동축인 제2회전축(4e)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빙권취부(4a)에는 웨빙(3)을 권취 가능하게하기 위하여 웨빙(3)의 선단을 삽입하고 계지하는 경(徑)방향의 관통구멍(4f)이 뚫어져 있다. 이 관통구멍(4f)의 일단부측이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써 이 관통구멍(4f)은 단(段)부(4g)를 보유한 단이 있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이 단부(4g)에 웨빙(3)의 선단이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우측의 플랜지형상부(4b)에는 폴스프링(18)(제1도에 표시)이 수용된 제1오목감부(4h)와, 메인폴(17)(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21도에 표시)의 폴부(17c)가 배치된 제2오모감부(4i)와, 이 메인폴(17)의 폴부(17c)에 가해지는 하증을 받는 하중받이면(4j)이 형성된 하증받이부(4k)와, 조인트핀(19)이 회전가능하게 유삽되는 축방향의 관통구멍(4m)과, 이 관통구멍(4m)의 끝부에 형성된 관통구멍(4m)과 동심원형인 제3오목감부(4n)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오목감부(4h,4i,4n)가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가장자리부(4p)의 면과 비교하여 가장깊게 축방향으로 파여 있고, 하증받이부(4k)의 면은 플랜지형상부(4b)의 오주가장자리부(4p)의 면과 비교하여 각 오목감부(4h,4i,4n)보다 얇게 축방향으로 파여 있다. 따라서 제2오목감부(4i)와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가장자리부(4p)의 제1오목감부(4h)형상부의 사이,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가장자리부(4p)와 하증받이부(4k)의 사이 및 제2오목감부(4i)와 하증받이부(4k)의 사이에는 각각 계단부(4q,4r,4s)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증받이면(4j)은 관통구멍(4m)과 동심원인 소정길이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면에 리일축(4)이 좌·우측벽(2a,2b) 사이에 배설되었을 때, 리일축(4)을 우측벽(2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우측안내부(4t)가 원주방향으로 3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우측안내부(4t)는 좌·우측벽(2a,2b)의 구멍(2d,2e)을 쉽게 통과하지 못할 것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우측안내부(4t)는 소정수의 톱니(4t1)보유하고 있고, 이들 톱니(4t1)는 좌·우측벽(2a,2b)에 형성된 톱니(23a,2g)와 닮은꼴이면서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톱니(4t1)가 톱니(23a) 또는 톱니(2g)와 꼭들어 맞추어 졌을 때, 우측안내부(4t)를 보유한 플랜지형상부(4b)는 구멍(2d) 및 구멍(2e)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회전축(4d)의 선단은 소정부(4d1)로 되어 있고, 이 소경부(4d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기어제1커버(13)의 소공(13n)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된다.
또, 제12도에 표시하듯이 좌측의 플랜지형상부(4c)에는 백업폴(20)(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23도에 표시)의 폴부(20c)가 배치된 제4오목감부(4u)와, 이 백업폴(20)의 폴부(20c)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면(4v)이 형성된 하중받이부(4w)와, 조인트핀(19)이 회전가능하게 유삽된 축방향의 관통구멍(4m)과, 그 관통구멍(4m)의 끝부에 형성된 관통구멍(4m)과 동심원형인 제5오목감부(4x)가 설치되어 있다. 제4 및 제5오목감부(4u,4x)가 플랜지형상부(4c)의 오주가장자리부(4y)의 면과 비교하여 가장 깊게 축방향으로 파여 있고, 하중받이부(4w)의 면은 플랜지형상부(4c)의 외주가장자리부(4y)의 면과 비교하여 각 오목감부(4u,4x)보다 얇게 축방향으로 파여 있다. 따라서 제4오목감부(4u)와 플랜지형상부(4c)의 외주가장자리부(4y) 사이와, 플랜지형상부(4c)의 외주가장자리부(4y)와 하증받이부(4w)의 사이 및 제4오목감부(4u)와 하증받이부(4w)의 사이에는 각각 계단부(4z,4A,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중받이면(4v)은 관통구멍(4m)과 동심원인 소정길이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형상부(4c)의 외주면에 리일축(4)이 좌·우측벽(2a,2b) 사이에 배설되었을 때, 리일축(4)을 좌측벽(26)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좌측안내부(4D)가 원주방향으로 3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측안내부(4D)는 좌·우측벽(2a,2b)의 구멍(2d,2e)을 쉽게 통과하지 못할 것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좌측안내부(4D)는 소정수의 톱니(4D1)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톱니(4D1)는 좌·우측벽(2a,2b)에 형성된 톱니(23a,2g)와 닮은꼴이면서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톱니(4D1)가 톱니(23a) 또는 톱니(2g)와 꼭들어 맞추어 졌을 때, 좌측안내부(4t)를 보유한 플랜지형상부(4c)는 구멍(2d) 및 구멍(2e)를 통과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플랜지형상부(4c)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2회전축(4e)의 선단부(4e1)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접속부(4e2)는 단면이 각(角)형(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0도로 명확하듯이, 관통구멍(4m)은 플랜지형상부(4b,4c)를 관통할 뿐 아니라 중앙의 웨빙권취부(4a)까지도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즉 관통구멍(4m)은 리일축(4)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좌측벽(2b)에는 리일축(4)에 웨빙(3)의 권취력을 부여하는 부세력부여장치(5)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3도 그리고 제5도에 표시하듯이, 우측벽(2a)에는 시이트 벨트 잠금작동장치(6)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차량의 소정의 감속도가 작용되었을 때, 이 감속도를 감지하여 시이트 벨트 잠금작동장치(6)를 동작시키는 감속도감지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듯이, 부세력부여장치(5)는 나선형스프링으로 된 파워스프링(8)의 내측끝(8a)이 연결되어 스프링력이 가해지는 푸시(9), 파워스프링(8)의 외측끝(8b)이 고정되는 동시에 이 파워스프링(8)을 수용하는 스프링케이스(10) 및 스프링케이스(10)에 부착되어 파워스프링(8)을 덮는 커버(11)로 구성되어 있다.
제13도에 표시하듯이, 푸시(9)의 중심부에는 리일축(4)의 제2회전축(4e)의 접속부(4e2)가 감입가능한 관통구멍(9a)이 축방향으로 뚫어져 있다. 이 관통구멍(9a)의 단면형상은 제2회전축(4e)의 접속부(4e2)가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인 각(角)형으로 되어 있다. 또, 푸시(9)에는 그 외주면에 4개의 단면이 U자형상의 홈(9b,9c,9d,9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 중에서, 홈(9b)와 홈(9d) 및 홈(9c)와 홈(9e)가 각각 푸시(9)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홈에는 스프링핀(12)(제2도에 표시)이 관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푸시(9)에는 스프링(8)의 내측끝(8a)이 감입. 계지되는 계지홈(9f)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푸시(9)는 그 구멍(9a)에 제2회전축(4e)의 접속부(4e2)가 감입되므로써 그 제2회전축(4e)에 상대회전 불능하게 감합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프링(8)의 스프링력이 푸시(9)를 통하여 리일축(4)이 웨빙(3)의 권취방향(β)으로 항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14도에 표시하듯이, 스프링케이스(10)는 대략 중심부에 리일축(4)의 제2회전축(4e)의 접속부(4e1)가 유삽되는 구멍(10)이 뚫어져 있는 동시에 스프링핀(12)이 관통하는 한쌍의 작은 구멍(10b,10c)이 구멍(10a)을 끼고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스프링케이스(10)의 외주끝부근방에는 스프링(8)의 외측끝(8b)이 계지되는 계지부(10d)가 설치되어 있다.
제15도에 표시하듯이, 커버(11)는 대략 중앙부에 리일축(4)의 제2회전추(4e)의 선단부(4e1)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하는 구멍(11a)이 뚫어져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핀(2)이 관통되는 한쌍의 작은구멍(11b,11c)이 구멍(11a)을 끼고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커버(11)의 끝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는 3개의 계지돌기(11d,11e,11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지돌기(11d,11e,11f)는 각각 프레임(2)의 좌측벽(2b)에 천설된 대응하는 계지구멍(2h,2i,2j)에 감입계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부세력부여장치(5)가 프레임(2)의 좌측벽(2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그런데,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를 조립할 때에는 부세력부여장치(5)를 소조립상태(Subassemably)로 하여 미리 조립하고, 이 소조립상태를 프레임(2)의 좌측벽(2b)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경우, 부세력부여장치(5)를 소조립상태로한 상태에서는 리일축(4)에 항상 스프링력을 웨빙권취방향(β)으로 부여하도록 하는 까닭에 파워스프링(8)을 웨빙인출방향(α)으로 소정량 감은 상태로 유지해둘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하여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스프링핀(12)이 사용되고 있다.
제16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듯이, 이 스프링핀(12)은 탄성선재를 절곡하여서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회전저지아암(12a,1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부세력부여장치(5)의 소조립상태에서 파워스프링(8)이 되감기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이들 회전저지아암(12a,12b)을 제2도에 표시하듯이 스프링커버(11)의 작은 구멍(11b,11c), 푸시(9)의 홈(9b,9d)또는 홈(9c,9e)의 어느한편, 스프링케이스(10)의 작은구멍(10b,10c)에 관통시키므로써, 파워스프링(8)이 되감기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제1도 및 제3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 벨트 잠금작동장치(6)는 풀레임(2)의 우측벽(2a)에 고정되는 잠금기어제1커버와 잠금기어(14)와 이 잠금기어(14)에 요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관성체(15)와 잠금기어(14) 및 관성체(15) 사이에 배설되는 조절스프링(16)과 리일축(4)의 제1오목감부(4h)내에 수용되고, 리일축(4) 및 메인폴(17) 사이에 축설(縮設)되는 풀 스프링(18)과, 리일축(4)의 축방향구멍(4m)을 관통하는 조인트핀(19)과, 프레이(2)의 우측벽(2a)에 감합지지되어 잠금기어제1커버(13) 잠금기어(14), 관성체(15), 메인폴(17), 조인트핀(19) 및 감속도감지장치(7)를 덮는 잠금기어제2커버(2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 벨트리트렉터(1)는 웨빙(3)을 안내하는 웨빙안내구멍(22)을 구비하고 있다.
제17도 및 제18도에 표시하듯이, 잠금기어제1커버(13)는 프레임(2)의 우측벽(2a)에 서로 접하는 측의 면에 링형상부재(13a)를 보유하고 있고, 이 링형상부재(13a)이 내주면에는 둘레 전체에 걸쳐서 소정수의 톱니(13c,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주면에 있는 톱니(13c)는 삼각형의 산(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α)으로 대면한 면이 대략 직면으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웨빙권췌방향(β)으로 대면한 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제17도에 표시하듯이 잠금기어제1커버(13)의 프레임(2)의 우측벽(2a)에 서로 접하는 측의 면에는 3개의 계지돌기(13d,13e,13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계지돌기(13d,13e,13f)가 우측벽(2a)에 형성된 계지구멍(2k,2m,2n)에 각각 감합되어 잠금기어 제1커버(13)가 프레임(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제18도에 표시하듯이 잠금기어 제1커버(13)의 계지돌기(13d,13e,13f)축의 면과 반대측의 면을 개구하여 감속도감지장치(7)의 수용부(13g)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13g)이 내측벽에는 감속도감지장치(7)를 제18도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고 또 고정지지하는 한쌍의 안내부재(13h,13i)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부재(13h,13i)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안내부재(13h,13i)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받침대형상의 오목감부(13j,13k)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감부(13j,13k)의 양측벽(13j1,3j2,13k1,13k2)은 각각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장금기어제1커버(13)의 계지돌기축의 면과 반대측의 면사이에 환상의 톱니(13c)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원형의 측벽(13m)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벽(13m)의 중심위치, 즉 환상의 톱니(13c)의 중심위치에는 작은구멍(13n)이 천설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13n)에는 리일축(13)에 있어서 제1회전축(4d)의 선단소경부(4d1)가 빈틈없이 유감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1회전축(4d)가 작은구멍(Bn)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잠금기어(14)는 제19도(a)에 표시하듯이 원형의 평판부(14a)와 이 평판부(14a)의 외주 끝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14b)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저(14b)의 외주면에는 소정수의 톱니(14c,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톱니(14c)는 삼각형의 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경우 웨빙인출방향(α)으로 대면한 면이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웨빙권취방향(β)으로 대면한 면은 거의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동 도면(α) 및 (β)에 표시하듯이, 평판부(14a)인 동 도면(b)에 있어서 좌측면(플랜저(14b)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쪽의 면)에는 조건스프링(16)의 한쪽끝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부재(14d)가 입설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이부재(14d)에는 스프링안내부(14e)가 평판부(14a)에 평행하게 입설되어 있다, 또, 평판부(14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성체(15)가 요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14f)에 인접된 원호형상의 이탈방지부재(14g)가 입설되어 있다.
동 도면(c)에 표시하듯이, 이 탈방지부재(14g)의 선단에는 계지폴(14g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지폴(14g1)은 상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축(14f)을 향하여 극히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성체(15)가 축(14f)에 감합될 때, 관성체(15)는 계지폴(14g1)의 경사면을 압압하므로 이탈방지부재(14g)가 축(14f)가 이탈방지부재(14g) 사이이 간극을 약간 벌리도록 탄성변형하고, 이것에 의하여 관성체(15)는 이 계지폴(14g1)에 둘러싸인 공간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관성체(15)는, 제9도(c)에 보듯이 상방이나 축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계지폴(14g1)에 의하여 그 축방향이동이 저지되므로 축(14f)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계지폴(14g1)의 돌출량이 근소하여 관성체(15)와 계지폴(14g1)은 가볍게 계합되므로 관성체가 축(14f)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약간의 외력을 가해지면 관성체(15)는 계지폴(14g1)을 뛰어 넘어 축(14f)으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 이탈방지부재(14g)에 의하여 관성체(15)의 축(14f)에 대한 착탈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관성체(15)가 축(14)에 확실하게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된다.
또, 평판부(14a)에는 제1스토퍼(14h) 및 제2스토퍼(14i)가 입설되어 있으며 평판부(14a)의 중앙에는 통형상의 회전축(14j)이 축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또, 이 통형상의 회전축(14j)의 구멍에는 리일축(4)의 제1회전축(4d)이 관통되고, 회전축(14j)은 이 제1회전축(4d)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평판부(14a)에는 이 평판부(14a)를 관통하는 소정형상의 제1, 제2 및 제3캠구멍(14k,14m,14n)이 각각 천설되어 있다. 동 도면(b)에 표시하듯이, 이들 제1, 제2 및 제3캠구멍(14k,14m,14n)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이들 캠구멍에 끼워지는 캠공이(cam follower)가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또한 캠구멍 둘레가장자리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평판부(14a)보다도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및 제3캠구멍(14m,14n)의 캠형상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캠구멍(14k)은 회전축(14j)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동 도면(b)에 있어서 평판부(14a)의 우측면(플랜지 (14b)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쪽의 면)에는 풀스프링(18)의 한쪽끈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부재(14p)가 입설되어 있고, 이 스프링받이부재(14p)가 평판부(14a)에 평행하게 입설되어 있다.
제20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15)는 평판에서 대략 C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구멍(15a)을 보유한 보스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쪽끝부에는 계지폴(15c)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쪽끝에는 조절스프링(16)이 다른쪽끝이 지지되면 안내되는 스프링받이부(15d) 및 스프링안내부부(15e)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하듯이 이 관성체(15)는 구멍(15a)을 잠금기어(14)의 축(14f)에 감합하므로써 요동자재하게 잠금기어(14)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14g)의 계지폴(14g)에 관성체(15)의 보스부(15b)가 계지되므로써, 관성체(15)가 축(14f)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제4도에 표시하듯이 조절스프링(16)은 관성체(15)가 축(14f)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된 상태로 록기어(14) 및 관성체(15)의 양안내부(14e,15e)에 감합되어서, 스프링받이부재(14d)와 스프링받이부(15d) 사이에 축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절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관성체(15)는 잠금기어(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항상부재되어 있어 통상시에는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제1스토퍼(14h)에 당접된 위치에 유지된다. 또, 관성체(15)가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조절스프링(1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전되었을 때 제2점점선으로 표시하듯이 제2스토퍼(14i)에 당접된 위치가 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하듯이, 시이트벨트 리트랙터(1)를 조립한 상태에서는 잠금기어제1커버(13)의 톱니(13c)가 록기어(14)의 환상의 플랜지(14b)의 내측이고 이 플랜지(14b)의 관성체(15)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관성체(15)가 통상시에는 제4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제1스토퍼(14b)에 당접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계지폴(1Sc)은 톱니(13c)로부터 이탈된 비계합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관성체(15)가 제4도에 2점점선으로 표시한 제2스토퍼(14i)에 당접된 위치에 있을 때에 계지폴(15c)은 톱니(13c)와 계합가능한 위치로 된다.
계지폴(1Sc)이 이 계합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잠금기어(14)가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하면, 계지폴(1Sc)이 톱니(13c)에 계합되어 잠금기어(14)는 그 이상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계지폴(15c)이 계합가능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기어(14)가 웨빙권취방향(β)으로 회전하면, 계지폴(15c)이 톱니(13c)의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서 조절스프링(16)에 대향하여 이동하여 톱니(13c)를 빠져 나오므로 잠금기어(14)는 웨빙권취방향(β)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7)의 보스부(17b)가 리일축(4)의 플랜지형상부(4b)의 제3오목감부(4n)에 회동가능하게 되도록 감합되어 있으므로 따라서 메인폴(17)은 보스부(17b)를 중심으로 리일축(4)에 대하여 요동자제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에, 메인폴(17)은 플랜지형상부(4b)에 형성된 단부(4g)에 당접되므로써 그 이상 (α)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되는 동시에 플랜지형상부(4b)에 형성된 단부(4r)에 당접되므로써 그 이상(β)방향으로 회동이 저지되게 되어 있다. 즉, 이들 단부(4g,4r)는 각각 메인폴(17)이 (α)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 역활을 한다. 또, 메인폴(17)은 단부(4g)에 당접된 상태에서는 그 선단의 톱니(17d)가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완전히 내측으로 위치하며, 또 단부(4g)에 당접된 상태에서는 톱니(17d)가 플랜지형상부(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듯이 프레임(2)의 우측벽(2a)의 톱니(23a)에 계합되는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풀부(17c)의 톱니(17d)와 반대편의 끝에는 하중전단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전달부(17e)는 관통구멍(17a) 및 보수부(17b)와 동심인 원으로 이루어진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이 메인폴(17)은 그 보스부(17b)가 리일축(4)의 제3오목감부(4n)에 회전가능하게 감합되므로서 우측 플랜지형상부(4b)에 부착된다. 메인폴(17)이 우측 플랜지형상부(4b)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풀부(17c)가 제2오목감부(4i)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중전달부(17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j)가 당접하게 된다. 이 경우, 하중전달부(17e) 및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j)모두가 동일동심원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중전단부(17e)는 메인폴(17)의 위치에 관계없이 하중전달부(17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j)에 항상 당접된다.
이와 같이 하중전달부(17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j)에 당접되므로써, 메인폴(17)의 풀부(17c)에 가해지는 하중(w) 이동 도면(b)에 표시하듯이 하중전달부(17e)로부터 하중받이면(4j)에 전달되어서 리일축(4)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중지지구조에 있어서 하중점인 톱니(17d)와 하중전달부(17e)가 비교적 근접하고 있으므로 메인폴(17)에 구부러짐이 거의 작용하지 않고 대부분 압축만 작용하게 된다 그 뿐아니라, 하중전달부(17e)와 하중받이면(4j)이 면접촉하므로, 하중이 넓은 면적으로 리일축(4)에 전달되도록 되어서 하중이 분산되므로 발생되는 응력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메인폴(17)의 강도가 종래의 메인폴에 비하여 작아도 되므로 메인폴(17)을 수지등의 비교적 가벼운 재료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메인폴(17)의 하중전단부(17e)가 반대측의 면에는 원주형상의 캠공이(17f)가 돌설되어 있고, 이 캠공이(17f)는 잠금기어(14)의 제3캠구멍(14n)에 끼워져서 이 제3캠구멍(14n)을 따라 안내되게 되어 있다.
폴스프링(18)은 리일축(4)의 제1오목감부(4h)에 수용되는 동시에 잠금기어(14)의 스프링안내부(14g)에 감합되어 제1오목감부(4h)의 벽면과 스프링받이부(14p)사이에 축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폴스프링(18)은 메인폴(17)을 리일축(4)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α)으로 하상부세하고 있다. 따라서, 이 폴스프링(18)의 부세력에 의하여 메인폴(17)은 통상시에 플랜지형상부(4b)에 형성된 단부(4g)에 당접되어 있다.
제22도에 표시하듯이, 조인트핀(19)은 그 본체(19a)가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19a)의 동 도면(a)에서 알수 있듯이 우측 끝에는 본체(19a)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아암(1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암(19b)의 선단에는 단면이 원형상인 캠공이(19b)의 선단에는 단면이 원형상인 캠공이(19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공이(19c)를 잠금기어(14)의 제2캠구멍(14m)내에 감입되어 이 제2캠구멍(14m)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19a)의 다른쪽 끝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축부(19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19d)는 후술하는 백업풀(20)의 한쪽끝에 형성된 구멍에 상대회동불능하게 감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캠공이(19c)가 제2캠구멍(14m)에 안내되어 아암(19b)이 회동했을 때, 본체(19a)가 회전되고, 이 본체(19a)의 회전이 백업폴(20)에 전달되어 백업폴(20)이 제2캠구멍(14m)에 안내되는 캠공이(19c)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2도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0)의 보스부(20b)가 리일축(4)의 플랜지 형상부(4c)의 제5오목감부(4x)에 회동가능하게 감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백업폴(20)은 보스부(20b)를 중심으로 리일축(4)에 대하여 요동자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백업폴(20)은 플랜지형상부(4c)에 형성된 단부(4z)의 외주가장자리부(4y)의 끝에 위치하는 부분(4z1)에 당접되므로써 그 이상(α)방향으로 회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플랜지형상부(4b)에 형성된 단부(4A)에 당접되므로써 그 이상(β)방향으로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들 단부(4Z1, 4A)는 각각 메인폴(7)이 (α)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 역활을 한다.
그리고, 백업폴(20)은 단부(4Z1)에 당접된 상태에서는 그 선단의 톱니(20d)가 플랜지형상부(4c)이 외주면보다 완전히 내측으로 위치하고, 또 단부(4A)에 당접된 상태에서는 톱니(20d)가 플랜지 형상부(4c)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좌측벽(2b)의 톱니(2g)에 계합되는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폴부(20c)의 톱니(20d)와 반대편의 끝에는 하중전단부(20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하중전단부(20e)는 관통구멍(20a) 및 보스부(20b)와 동심인 원으로 이루어진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0)이 좌측 플랜지형상부(4c)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폴부(20c)가 제4오목감부(4u)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중전단부(20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v)에 당접되게 된다. 그 경우, 하중전달부(20e)는 백업폴(2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하중전달부(20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 (4v)에 항상 당접된다.
이와 같이 하중전달부(20e)가 리일축(4)의 하중받이면(4v)에 당접되므로써, 백업폴(20)의 풀부(20c)에 가해지는 하중(w)이동 도면(b)에 표시되듯이 하중전달부(20e)로부터 하중받이면(4v)에 전달되어서 리일축(4)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다. 전기한 메인폴(17)과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하중지지구조는 하중점인 톱니(20d)와 하중전달부(20e)가 비교적 근접해 있으므로 백업폴(20)에는 구부러짐이 거의 작용되지 않고 대부분 압축만 작용하게 된다 그 뿐아니라, 하중전달부(20e)와 하중받이면(20j)이 면접촉하므로 하중이 광(光)면적으로 리일축(4)에 전달되어 하중이 분산되며 발생하는 응력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백업폴(20)의 강도가 종래의 백업폴에 비하여 작아도 되므로 백업폴(17)을 수지등의 비교적 가벼운 재료로 형성할 수가 있다.
제24도에 표시하듯이, 감속도감지장치(7)는 케이스(7a)와, 그 케이스(7a)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되는 레버(7b)와, 케이스(7a)에 수용되어 통상시에는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있는 동시에, 차량에 소정이상의 감속도가 발생되었을 때 2점쇄선의 위치로 요동하는 관성체(7c)를 구비하고 있다.
제25도에 표시하듯이, 케이스(7a)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변부에는 관성체(7c)의 재치부(7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7a)의 앞벽(7e) 및 뒷벽(7f)에는 각각 단면이 받침대 형상인 계합돌조(契合突條)(7g,7h)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도로(7g,7h)의 양측벽(7g1,7g2,7h1,7h2)은 안내부재(13h,13i)의 오목감부(13j,13k)의 양 측벽(13j1,13j2,13k1,13k2)과 동일한 경사각인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동 도면(a)에서 명확하듯이 계합돌조(7g)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는 경사면(7g3)으로 되어있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다른편 계합돌조(7h)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도 같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 계합돌조(7g,7h)는 잠금기어제1커버(13)에 있는 안내부재(13h, 13i)의 오목감부(13j,13k)에 감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레버(7b)의 후단은 케이스(7a)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레버(7b)의 전단은 잠금기어(14)톱니(14c)에 계합가능한 계지폴(7i)이 설치되어 있다.
제26도에 표시하듯이, 관성체(7c)는 하부에 가운체가 비어있는 원통의 소질량부(7i)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소질량부(7i)의 위에 이것보다도 대경이며 가운데가 찬절두원받침대형상인 대질량부(7k)가 형성되어 있다. 대질량부(7k)의 외주측면의 경사각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성체(7c)가 최대로 요동했을 때 앞벽(7e)의 내면에 대략 일치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 대질량부(7k)의 위에는 원추형상인 작동돌기(7m)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성체(7c)의 상부를 하부보다 무거운 질량으로 하므로써 관성체(7c)의 감속도의 감기를 한층더 민감하게 할 수가 있다.
제24도에 표시하듯이, 이와 같이 구성된 관성체(7c)전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7a)의 재치부(7d)에 재치된다. 재치부(7d)에 재치된 관성체(7c)의 통상상태는 실선으로 표시했듯이 재치부(7d)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하고, 그 상부의 작동돌기(7m)의 상단이 레버(7b)에 형성된 절두원추받침대형상의 오목부(7n)에 갑입되어 있다. 이 통상상태의 레버(7b)는 실선으로 표시한 대략 수평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 실선위치에서의 레버(7b)는 계지폴(7i)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에 계합되지 않은 비계합위치가 된다.
차량에 소정의 크기의 감속도가 작용되면 관성체(7c)는 2점쇄선으로 표시했듯이 대질량부(7k)의 외주면이 앞벽(7e)의 내면에 거의 당접될 때까지 기울어지게 된다. 이 관성체(7c)의 기울어짐에 의하여 작동돌기(7m)가 레버(7b)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므로 레버(7b)는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회동한다.
2점쇄선 위치에서의 레버(7b)는 계지폴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에 계합된 계합위치가 된다.
그런데, 관성체(7c)에는 작동돌기(7m)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작동돌기(7m)에 의하여 관성체(7c)의 작은 경사에도 레버(7b)의 회동행정이 크게 돈다. 이것에 의하여, 레버(7b)의 아암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감속감지장치(7)를 콤펙트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속도가지장치(7)는 제24도에 표시하듯이 계합돌조(7g,7h)를 수용부(13g)에 있는 안내부재(13h,13i)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감합시키므로써, 수용부(13g)내에 수용된다. 그 경우, 전기한 바와 같이 계합돌조(7g,7h)의 일단부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계합돌조(7g,7h)의 오목감부(13j,13k)에 감합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양 계합돌조(7g,7h)의 돌출 끝에 있어서의 상하의 측벽(7g1,7g2,7h1,7h2)간의 길이(a)가 오목감부(13j,13k)이 계합돌조(7g,7h)의 돌출끝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상하의 측벽(13j1,13j2,13k1,13k2)간의 거리(b)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계합돌조(7g,7h)가 오목감부(13j,13k)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수용부(13g) 및 케이스(7a)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스(7a)는 안내부재(13h,13i)에 비교적 견고하게 지지된다. 특히, 계합돌조(7g,7h) 및 오목감부(13j,13k)의 측벽이 각각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안내부재(13h,13i)와 계합돌조(7g,7h)사이에 쐐기효과를 얻을 수 있어 케이스(7a)는 안내부재(13h,13i)에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1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의 상방에 있는 프레임(2)에는 필요할 때 웨빙(3)을 협압하여 웨빙(3)의 신장을 방지하는 클램프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장치(25)는 웨빙(3)을 압압하는 클램프부재(26)와, 이 클램프부재(26)의 압압력을 받아서 클램프부재(26) 사이에 웨빙(3)을 견고하게 협압하는 힘받이부재(27)를 구비하고 있다.
제27도에 표시하듯이, 클램프부재(26)는 좌우측벽(2a,2b)에 요동자재하게 가설된 레버(26a)와, 이 레버(26a)의 자유단에 소정각도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웨빙(3)을 협지하는 소정수의 파(波)형상의 톱니(26b)를 보유한 톱니부재(26c)로 구성되어 있고, 또 레버(26a)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안내구멍(2p,2g)을 따라서 안내되는 레버스크류(31)(제5도에 표시)가 삽입고정되는 구멍(26d)(제27도에서는 좌측면 구멍만이 도면에 표시 : 우측면 구멍도 편의상 동일부호로 설명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부재(26)는 후술하는 힘받이부재(27) 사이에 웨빙(3)을 협압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경우 클램프부재(26)는 그 회동에 따라서 압압력이 증대되는 토글링크(toggle link)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 동도면(b)에 표시하듯이, 힘받이부재(27)는 소정수의 파형상의 톱니(27a)를 보유한 톱니부재(27b)와, 이 톱니부재(27b)를 유지하는 홀더(27c)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홀더(27c)는 프레임(2)의 힘받이부(2y)에 부착되어 웨빙안내구멍(22)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안내유지부재(28)(제1도 및 제4도에 표시)에 상하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프레임(2)의 힘받이부(2y)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강성이 높아졌지만, 이 힘받이부(2y)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램프부재(26)와 힘받이부재(27) 사이에 웨빙(3)이 협압되었을 때 클램프부재(26)의 압압력에 의하여 약간타성변형되며 그 탄성력이 힘받이부재(27)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힘받이부(2y)의 타성력에 의하여 웨빙(3)은 클램프부재(26)와 힘받이부재(27) 사이에 강고하게 협압되게된다.
또, 레버(26a)의 레버스크류(31)에 있어서의 우측벽(2a)이 안내구멍(2p)을 관통하여 외방으로 돌출된 돌출부(31a)(제5도에 표시)오, 잠금링(23)의 연결부(23e)를 연결하는 아암(24)이 우측벽(2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8도에 표시하듯이, 이 아암(24)은 대략 3각형상의 본체(24a)를 보유하고 있어 이 본체(24a)의 하나의 다리부는 잠그링(23)의 홈(23f)에 감합되는 연결핀(32)(제4도에 표시)을 감합지지하는 구멍(24b)이 설치되고, 다리부의 다른한개는 우측벽(2a)의 구멍(2v)에 감입고정된 피벗핀(33)(제5에 표시)에 유삽되어 피벗핀(33)을 중심으로 아암(24)을 회동자재하게 하는 구멍(24c)이 설치되며, 나머지 다리부는 후술하는 클램프부재(26)에 설치된 축에 계합되는 계합홈(24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아암(24)에는 비틀림스프링(29)의 일단이 계지되는 계지축(24e)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틀림스프링(29)은 피벗핀(33)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링(23)의 소경의 외주면(23b)을 우측벽(2a)의 구멍(2d)에 감합시켜진 상태로 잠금링(23)의 연결부(23e)의 홈(23f)에 아암(24)에 설치된 연결핀(32)을 계합시키는 동시에, 아암(24)의 계합홈(24d)을 우측벽(2a)의 안내구멍(2p)에 관통하여 외방으로 돌출한 레버스크류(31)의 돌출부(31a)에 계합시킨다. 또 구멍(24c)에 감합된 피벗(33)에 지지된 비틀림스프링(29)의 일단을 우측벽(2a)의 구멍(2w)에 계지하는 동시에, 그 타단을 비틀림스프링(29)을 소정량 비틀은 상태로 아암(24)의 계지축(24e)에 계지한다.
이와 같이 잠금링(23), 아암(24) 및 비틀림스프링(29)을 설치하므로써 아암(24)은 비틀림스프링(29)의 복원력으로 스프링(29)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제4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웨징(3)의 인출방향(α))으로 회동부세된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레버(26a)에 부착된 레버스크류(31)가 안내구멍(2p)의 하단에 위치하고 클램프부재(26)는 회동가능범위의 최하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톱니부재(26c)의 톱니(26b)가 프레임측의 톱니부재(27b)의 톱니(27a)로부터 빠져나오므로 웨빙(3)은 하동 협압되는 일 없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또, 비틀림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결핀(32)을 통하여 잠금링(23)이 제4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부세되며, 통상시에는 외주면 각각의 돌기(23d)의 일단이 우측벽(2a)의 구멍(2d) 내주면이 대응하는 오목부(2f)의 일단에 당접되어 잠금링(23)이 그 이상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지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오목부(2f)의 타단과 돌기(23d)의 타단 사이에 소정길이(η)의 주방향간극이 형성된다.
또, 이상태에서는 좌측벽(2b) 톱니(2g)의 위상이 잠금링(23)이 톱니(23a)의 위상에 대하여 웨빙인출방향(α)쪽으로 소정각도(예컨대 3˚등)가 앞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톱니(23a,2g)는 3각형산형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톱니(23,2g)의 급경사면측의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폴(17) 및 백업폴(20)의 개개의 톱니(17d,20d)가 대응하는 톱니(23,2g)에 계합개시하는 대기(stand by) 위치에 캠구멍(14m,14n)에 의하여 유도된 후, 톱니(23,20d)가 톱니(23,2g)에 완전히 계합되는 잠금위치에 메인폴(17) 및 백업폴(20)을 회동시키는 것 같은 형사, 즉 메인폴(17) 및 백업폴(20)이 각각 리일축(4)에 대한 자동잠금작용을 하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자동잠금, 작용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것을 후술한다.
또, 제4도에 표시하듯이 힘받이부재(27)는 홀더스프링(34)에 의하여 항상하방으로 부재되어 있으며, 통상시에는 그 최하한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이 홀더스프링(34)은 띠형상의 스프링재로 형성되어 있고, 제29도에 표시하듯이 양 끝에 힘받이부재(27)을 암압하는 압압부(27a,27b)를 보유한 산(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메인폴(17)과 백업폴(20)의 동작에 대하여 제30도 및 제31도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제30도 및 제31도에 있어서 상측의 (I)는 메인폴(17)의 작동을 설명하고 하측의 (II)는 백업폴(20)의 작동을 설명한 것이다. 또, 제30도 및 제31도는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고, 메인폴(17)측에 있어서 톱니(23a), 계지폴(17d) 및 3개의 캠(14k,14m,14n)이 각각 동일 평면에 기재되어 있는 동시에 메인폴(17)축 및 백업폴(20)측도 제5도에 있어서 우측에서 본 상태가 기재되어 있다.
제30도에 있어서 폴스프링(18)(제30도에는 도면표시 않음: 제1도등을 참조)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일축(4)(제30도에는 조인트핀(19)의 본체(19a)가 관통된 관통구멍(4m) 및 이 리일축(4)에 설치된 메인폴(17)만을 도면표시함)이 잠금기어(14)(역시 제30도에 캠구멍(14k,14m,14n)만을 도면표시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β)방향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으므로 리일축(4)이 록기어(1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본체(19a)가 캠구멍(14k)의 상단가장자리에 당접될때까지 상대회동하여 동도면(가)에 표시한 것과 같은 통상상태로 된다.
이 통상상태에서는 조인트핀(19)의 캠공이(19)가 캠구멍(14m)이 상단가장자리에 당접되는 동시에 메인폴(17)의 캠공이(17f)가 캠구멍(14m)의 상단가장자리에 당접된다. 그리고, 메인폴(17)의 계지폴(17d)이 잠금링(23)의 톱니(23a)로부터 크게 떨어져 메인폴(17)의 계지폴(17d)의 톱니(23a)에 계합되지 않은 비계합위치가 된다. 또, 캠공이(19c,17f)가 캠구멍(14m,14n)상단가장자리에 각각의 당점위치함에 따라서 결정된 조인트핀(19)의 회전각에 따라서 백업폴(20)이 동 도면(가)가 표시한 위치가 된다. 즉, 백업폴(20)의 계지폴(20d)이 좌측벽(2b)의 톱니(2g)로부터 크게 떨어져 백업폴(20)도 계지폴(20d)이 톱니(2g)에 계합되지 않은 비계합위치가 된다.
리일축(4)은 그 제1회전축(4d)(제30도에서는 도면표시 않음 : 제10도를 참조)을 중심으로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한다.
즉, 본체(19a)가 관통하고 있는 관통구멍(4m)이 제1회전축(4d)을 중심으로 잠금기어(14)의 제1 내지 제3캠구멍(14k,14m,1n)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하면 동 도면(나)에 표시하듯이 본체(19a) 및 메인폴(17)의 보스부(17b)가 각각 제1캠구멍(14k)에 대하여 이 제1캠구멍(14k)을 따라서 하방으로 약간 상대이동한다.
동시에 캠공이(17f)도 제3캠구멍(14n)에 따라 하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그 경우, 제1캠구멍(14k)의 캠형상에 의하여 보스부(17b)가 도면에 있어서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3캠구멍(14n)의 캠형상에 의하여 캠공이(17f)가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캠공이(17f)의 좌측으로의 이동량이 보스부(17b)가 좌측으로 이동한 이동량보다 약간 큰 까닭에 메인폴(17)은 (β)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계지폴(17d)이 톱니(23a)에 접근한다.
또, 동시에 캠공이(19c)가 제2캠구멍(14m)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경우, 그2캠구멍(14m)의 캠형상에 의하여 캠공이(19c)가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아암(19c)은 본체(19a)를 중심으로 (α)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이 아암(19b)의 (α)방향으로 회동에 따라 본체(19a)도 (α)방향으로 약간 회동하는데, 리일축(4)이 (α)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으므로 본체(19a) 및 아암(19b)은 리일축(4)에 대하여 거의 상대 회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 도면 (나)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0)은 비계합위치에 유지된다.
동 도면(다)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다시 상대회동하면, 본체(19a) 및 보스부(17b)가 각각 제1캠구멍(14k)을 따라서 다시 하방 좌편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캠공이(17f)가 제3캠구멍(14n)에 따라 하방으로 다시 약간 이동한다. 이 캠공이(17f)가 좌편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진 재이동량이 보스부(17b)가 좌편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진 재이동량보다 큰 까닭에 메인폴(17)은 (β)방향으로 다시 약간 회동하여 계지폴(17d)이 톱니에 다시 약간 접근한다.
또, 동시에 캠공이(19c)가 제2캠구멍(14m)에 따라 하방 좌편으로 다시 약간 이동한다. 그 경우, 제2캠구멍(14m)의 캠형상에 따라 캠공이(19c)도 하방 좌편으로 약간 이동하므로 아암(19c)은 거의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리일축(4)이 (α)방향으로 다시 회동하고 있으므로 본체(19a) 및 아암(19b)은 리일축(4)에 대하여(β)방향으로 상대회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백업폴(20)은 리일축(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약간 상대회동하여 계지폴(20d)이 톱니(2g)에 접근한다.
동 도면 (라)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다시 상대회동하면, 메인폴(17)은 리일축(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다시 약간 회동하여 계지폴(17d)이 톱니(23a)에 한층더 가깝게 접근하게 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백업폴(20)이 (β)방향으로 다시 약간 회동하여 계지폴(20d)이 톱니(2g)에 접근한다.
제31도 (마)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이 록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다시 상대회동하면, 메인폴(17) 및 백업폴(20)은 각각 리일축(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다시 회동하므로 계지폴(17d)은 톱니(23a)에 계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또 백업폴(20)도 (β)방향으로 다시 약간 회동하여 계지폴(20d)이 톱니(2g)에 다시 한층 더 가깝게 접근하게 된다.
동 도면(바)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이 (α)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이루어진 상대회동에 의하여 계지폴(17d)이 톱니(23a)에 다시 설정량만큼 접근하며 그 이상은 톱니(23a)에 접근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로 리일축(4)의 (α)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이루어진 회동에 의하여 메인폴(17)의 톱니(17d)의 (α)방향으로 회동시 최전방에 있는 톱니(17d1)가 톱니(23a)의 급경사면에 당접한다. 이 메인폴(17)의 위치는 메인폴(17)의 톱니(17d)가 우측벽(2a)의 톱니(23a)에 계합개시하는 대기( standby)위치이다. 톱니(17d1)가 톱니(23a)의 급경사면에 당접된 후, 리일축(4)이 (α)방향으로 다시 회동하면 톱니(17d1)의 톱니끝이 톱니(23a)의 급경사면측에 의하여 톱니(23a)의 톱니뿌리쪽으로 유도되어 메인폴(17)이 (β)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동도면 (사)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의 (α)방향으로의 다시 이루어진 상대회동에 의하여 계지폴(17d)의 톱니끝이 톱니(23a)의 톱니뿌리에 당접하고, 메인폴(17)의 톱니(17d)는 우측벽(2a)의 톱니(23a)에 완전히 계합하여 메인폴(17)은 잠금위치가 된다. 이 메인폴(17)의 대기위치로부터 잠금위치까지의 운동은 캠구멍(14n)에 의해 실시된 것이 아니고 톱니(23a)의 금경사면측의 유도에 의하여 실시된 것으로서, 메인폴(17)은 리일축(4)에 대한 자동잠금작용을 실시한다.
또, 메인폴(17)의 톱니(17d)가 우측벽(2a)의 톱니(23a)에 완전히 계합한 상태에서, 백업폴(20)은 그 톱니(20d)의 (α)방향 회동시의 최전방에 있는 톱니(20d1)가 톱니(2g)의 급경사면에 당접한 상태로 되어서, 백업폴(20)의 톱니(20d)가 좌측벽(2b)의 톱니(2g)에 계합계시하는 대기위치로 된다.
동 도면 (아)에 표시하듯이, 리일축(4)의 (α)방향으로 다시 이루어진 상대회동에 의하여, 계지폴(17)은 톱니(23a)와 완전계합상태가 유지한다. 또, 백업폴(20)은 톱니(2g)의 급경사면에 유도되어서 메인폴(17)과 동일한 리일축에 대한 자동잠금작용을 하여 좌측벽(2b)의 톱니(2g)에 완전하게 계합하며 잠금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백업폴(20)에 있어서의 계지폴(20d)과 톱니(2g)와의 계합은 메인폴(17)에 있어서의 계지폴(17d)가 톱니(23a)와의 계합보다 약간 늦어지게 된다.
그리고, 메인폴(17)이 대기상태에서 자동잠금작용을 할 때 즉 메인폴(17)이 제31도 (바)로부터 동 도면 (사)로 이행할 때, 메인폴(17) 및 잠금기어(14)의 동작과 그들 동작과 그들 동작을 하게 하는 제3캠의 캠형상의 우측벼(2a)의 톱니(23a)의 형상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2도 (a) 및 (b)는 각각 제31도 (f) 및 (g)를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메인폴(17)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3캠구멍(14n)의 캠형상을 설명한다. 제30도(나)에 표시한 메인폴(17)의 비작동위치에서 캠공이(17f)는 제3캠구멍(14n)이 최상단 위치이다. 제3캠구멍(14n)의 캠형상으로서 먼저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이 캠공이(17f)가 제3캠구멍(14n)의 최상단위치로부터 이 제3캠구멍(14n)의 제1안내캠면(14n1)에 안내되어서 하강하도록 하고, 이 캠공이(17f)의 하강에 의하여 메인폴(17)이 제32도 (a)에 표시한 대기위치가 될 때까지 (β)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톱니(17d)가 우측벽(2a)의 톱니(23a)에 접근하는 캠형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 제3캠구멍(17f)의 형상으로서 캠공이(17f)가 제3캠구멍(14n)의 제32도(a)에 표시한 위치에 왔을 때,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다시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하여도 그때는 이미 제3캠구멍(14n)이 캠공이(17f)를 안내하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캠구멍(14n)의 캠형상을 설정하므로써, 제3캠구멍(14n)에 의해서는 톱니(17d)의 톱니끝이 톱니(23a)의 톱니뿌리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형상으로서 제32도 (a)로부터 (b)에 표시한 완전계합상태의 잠금위치로 이행할 때, 전기한 바와 같이 메인폴(17)은 톱니(23a)의 급경사면측의 작용에 의하여 자동잠금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 자동잠금작용시에 캠공이(17f)가 제3캠구멍(14n)의 제2안내캠면(14n2)을 통하여 잠금기어(14)(제32도에서는 제1 내지 제3캠구멍(14k,14m,14n)에서 표시하고 있다)를 약간 (β)방향으로 역회전시킨 것 같은 캠형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캠형상을 설정하므로써 메인폴(17)이 톱니(23a)로의 완전결합시에는 감속도감지장치(7)에 있어서 레버(7b)이 계지폴(7i)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된 자유(free)상태로 할 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엔드록(end lock)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3캠구멍(14n)은 캠공이(17f)를 제30도(a)에 표시한 캠구멍의 상단의 비작동으로부터 제31도 (바)에 표시한 대기위치로 유도하는 제1안내캠면(14n1)으로 이루어진 메인폴(17)의 작동제어부와, 캠공이(17f)와 제31도 (f)에 표시한 대기위치로부터 동 도면(g)에 이표시한 잠금위치로 이행할 때, 잠금기어 (14)에 캠공이(17f)로부터 작용력이 전달되어 잠금기어(14)를 웨빙권취방향으로 역회전시키는 제2안내캠면(14n2)으로 이루어진 잠금기어(14)의 역회전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우측벽(2a)의 톱니(23a)의 급경사면에 있어서는, 메인폴(17)이 제32도(a)에 표시한 대기상태로부터 동 도면(b)에 표시한 완전계합상태로 자동잠금작용을 할 수가 있도록 그 경사각도(θ)(제32도 (a)에 표시하듯이 톱니(23n)의 급경사면에 있어서의 톱니(17d1)와의 당접부(δ)와 메인폴(17)의 회전중심(ε)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톱니(23a)의 급경사면이 이루는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또 좌측벽(2b) 톱니(2g)의 급경사면의 경사각도도 백업폴(20)이 자동잠금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리일축(4)이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했을 때, 백업폴(2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캠구멍(14m)의 캠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캠구멍(14m)의 캠형상으로서는 제30도 및 제31도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0)은 메인폴(17)의 작동에 대하여 뒤늦게 메인폴(17)의 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실시하는 캠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이 제2캠구멍(14m)의 캠형상은 메인폴(17)이 제31도 (f)에 표시한 대기상태로로부터 동 도면(사)에 표시한 잠금상태로 이행했을 때, 즉 메인폴(17)이 자동잠금작용을 하여 잠금위치로 되었을 때 동도면(g)에 표시하듯이 백업폴(20)이 대기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제2캠구멍(14m)의 캠형상에 의하여 초기에 메인폴(17)은 그 계지폴(17d)이 우측벽(2a)의 톱니(23a)에 완전히 계합된 잠금위치가 되고, 그 후 뒤늦게 백업폴(20)은 그 계지폴(20d)이 좌측벽(2b)의 톱니(2g)에 완전계합된 잠금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먼저 한쪽 메인폴(17)의 계지폴(17d)을 톱니(23a)에 계합을 완료시킨후에 뒤늦게 계지폴(20d)을 톱니(2g)에 계합완료시키므로써 메인폴(17)과 톱니(23a)의 계합 및 백업폴(20)과 톱니(2g)의 계합을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계합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그들의 계합이 확실하게 실시되도록 한다.
웨빙(3)의 인출력이 해소되면 폴스프링(1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잠금기어(14)가 리일축(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메인폴(17) 및 백업폴(20)은 각각 캠구멍(14n) 및 캠구멍(14m)에 의하여 톱니(23a) 및 톱니(2g)로부터 공히 해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축(4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부세력부여장치(5)에 의하여 리일축(4)은 웨빙(3)의 권취방향으로 회동하여 웨빙(3)을 권취한다.
다음에 클램프장치(25)에 의한 웨빙(3)의 협압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3도 (a)에 표시한 통상상태로부터 차량충돌등의 긴급사태에 따라 차량에 큰 감속도가 작용하면 동 도면(b)에 표시하듯이 감속도감지장치(7)의 관성체(7c)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레버(7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계지폴(7i)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와 계합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이 감속도에 의하여 승무원이 그 관성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짐에 따라 웨빙(3)이 인출되어 리일축(4) 및 잠금기어(14) 모두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한다.
잠금기어(14)의 회전에 의하여 그 톱니(14c)가 즉시 계지폴(7i)에 계합하여 잠금기어(14)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리일축(4)만이 웨빙(3)의 인출방향으로 회전하며 리일축(4)과 잠금기어(14) 사이에 상대회전이 발생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기한 바와 같이 메인폴(17)이 잠금링(23)의 톱니(23a)쪽으로 회동한다.
또, 리일축(4)이 웨빙(3)의 인출방향(α)으로 회전하면, 전기한 바와 같이 제34도 (a)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7)이 톱니(23a)와 완전히 계합되는 잠금위치가 된다. 이 메인포(17)의 잠금위치에서는, 전기한 바와 같이 잠금기어(14)가 약간 역호전(즉 웨빙(3)의 권취방향(θ)로 회전)하므로 계지폴(7i)과 잠금기어(14)의 톱니(14c)의 계합이 벗겨지고, 계지폴(7i)은 본래의 비작동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잠금기어(14)가 자유상태로 된다
또, 리일축(4)이 웨빙(3)의 인출방향(α)으로 회전하면, 동 도면(b)에 표시하듯이 그 리일축(4)의 회전이 메인폴(17)을 통하여 잠금링(23)에 전달되어 잠금링(23)은 인출방향(α)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램프부재(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톱니부재(26c)가 프레임(2)측의 톱니부재(27b)쪽으로 접근하는 동시에 톱니부재(26c)의 최상위치에 있는 톱니(26b)가 웨빙(3)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톱니(26b)가 웨빙(3)에 물린 후에는 잠금링(23)의 회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웨빙(3)의 인출력으로 클램프부재(26)가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써 웨빙(3)은 양 톱니부재(26c,27b) 사이에 자동적으로 협압되도록 된다. 즉, 톱니(26b)가 웨빙(3)에 물린 후에는 클램프장치(25)가 웨빙(3)에 대하여 자동잠금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웨빙(3)이 정지된다.
또, 그 경우에 클램프부재(26)의 압압력에 의하여 프레임(2)의 힘받이부(2y)의 탄성복원력이 힘받이부재(27)에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3)은 양 톱니부재(26c,27b) 사이에 강고하게 협압되어서 웨빙(3)의 인출이 방지된다.
클램프장치(25)의 자동잠금작용에 의한 웨빙(3)의 협압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웨빙(3)과 톱니부재(26c,27b)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웨빙(3)이 다시 인출되면, 잠금링(23)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제35도에 표시하듯이 잠금링(23)의 돌기(23d)의 타단이 우측벽(2a)의 오목부(2f) 의 타단에 당접하여 잠금링(23)이 그 이상 인출방향(α)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그 결과, 리일축(4)의 웨빙(3)의 인출방향(α)으로 회전이 완전히 그리고 또 확실하게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3)의 인출이 완전하게 정지된다. 또, 돌기(23d)의 타단이 오목부(2f)의 타단에 당접되므로써 잠금링(3)을 통하여 웨빙(3)의 인출력이 우측벽(2a)에 의해 확실하게 정지되게 된다.
웨빙(3)의 협압에 의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웨빙(3)의 인출력을 해소하면 홀더스프링(34)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힘받이부재(27)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에 복귀한다. 동시에 비틀림스프링(29)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아암(2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클램프부재(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동시에 잠금링(2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3)의 잠금이 해제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리트랙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되지 않은 통상상태]
이 상태에서는 감속도감지장치(7)의 관성체(7c)가 전방으로 경동하지 않으므로 레버(7b)는 제4도에 표시한 실선위치에 있고, 계지폴(7i)은 잠금기어(14)의 톱니(14c)으로부터 떨어진 비계합위치에 있다. 또, 그와 마찬가지로 관성체(15)의 계지폴(15c), 메인폴(17) 및 백업폴(20)도 각각 제4도 및 제6도에 표시하듯이 비계합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1)는 주로 부세력부여장치(5)의 작용에 의하여 실시된다. 즉, 이 부세력부여장치(5)의 파워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리일축(4)은 웨빙권취방향(β)으로 부세되어 웨빙(3)이 권취된다.
(시이트 벨트의 비장착상태)
이 상태에서는 웨빙(3)에 부착되어 있는 탱(tang)(도면표시 않음)과 버클부재(도면표시 않음)가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전기한 바와 같이 파워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3)을 권취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웨빙을 인출할 때의 상태)
웨빙(3)을 장착하기 위하여 승무원이 웨빙(3)을 인출하면, 이것에 따라서 리일축(4) 및 푸시(9)가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파워스프링(8)이 권취되어 간다.
(탱과 버클부재의 결합 후, 웨빙으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의 상태)
승무원이 탱과 버클부재를 결합한 시점에서, 웨빙(3)은 정규의 장착상태일 때의 인출길이보다도 여분으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승무원이 결합조작 후에 웨빙(3)을 놓으면, 파워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웨빙(3)은 승무원의 몸에 꼭 맞을 때까지 권치된다. 이 때, 웨빙(3)에 의하여 승무원에게 압박감을 주지않도록 파워스프링(8)의 스프링력이 알맞게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주행중에는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되지 않는 한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1)는 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되었을 때의 상태)
차량주행중에 급브레이크등에 의하여 차량에 소정치 이상의 감속도가 작용되면, 시이트 벨트 잠금작동장치(6) 및 감속도감지장치(7)가 모두 동작한다. 먼저 제1단계로서 감속도감지장치(7)의 관성체(7c)가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제4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경동하므로 레버(7b)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제4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가 된다. 이 때문에 레버(7b)의 계지폴(7i)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와 계합된 계합위치가 된다. 한편, 차량의 이 소정치이상의 감속도에 의하여 승무원이 전방으로 이동할려고 하는 까닭에 웨빙(3)이 인출되는데, 이 웨빙(3)의 인출에 의하여 리일축(4) 및 잠금기어(14)가 모두 인출방향(α)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잠금기어(14)의 톱니(14c)는 즉시 계지폴(7e)에 계합되므로 잠금기어(14)는 즉시 인출방향(α)으로의 회동이 정지된다. 이 결과, 리일축(4)만 인출방향(α)으로 계속 회동되므로 리일축(4)은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 리일축(4)의 (α)방향으로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제2단계로서 제30도 및 제31도에 표시하듯이 메인폴(17)이 리일축(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상대회동하여 톱니(23a)에 계합된 잠금위치가 된다 그 경우, 메인폴(17)이 대기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이행할 때, 잠금기어(14)가 웨빙권취방향(β)으로 웨빙권취방향(β)으로 약간 역회전하여 메인폴(17)과 톱니(23a)의 계합이 해제도니다. 메인폴(17)이 잠금위치가 되었을 때 백업폴(20)이 대기위치가 되고 그후 리일축(4)이 (α)방향으로 다시 상대회동하면, 메인폴(17)이 잠금위치가 되었을 때보다 늦게 백업폴(20)이 톱니(2g)에 계합되어 잠금위치가 된다.
또, 메인폴(17)의 잠금위치설정 후, 리일축(4)의 (α)방향으로의 다시 이루어진 상대회동에 의하여 잠금링(23)이 (α)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하여 클램프부재(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톱니부재(26c)가 프레임(2)측의 톱니부재(27b)에 접근하는 동시에 톱니부재(26c)의 톱니(26b)가 웨빙(3)에 맞물린다. 그 후, 클램프장치(25)는 자동잠금작용을 하며 웨빙(3)의 인출력에 의하여 웨빙(3)은 양 톱니부재(26c,27b)사이에 협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3)의 인출이 저지된다.
클램프장치(25)는 자동잠금작용에 의한 웨빙(3)의 협압력이 충분하지 않아 웨빙(3)이 다시 인출되면, 잠금링(23)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잠금링(23)의 돌기(23d)의 타단이 우측벽(2a) 오목부(2f)의 타단에 당접하여 잠금링(23)의 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리일축(4)의 (α)방향회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웨빙(3)의 인출이 확실하게 정지되는 동시에 클램프부재(26c)의 톱니부재(26c)와 톱니부재(27b) 사이에 웨빙(3)이 한층더 강고하게 협압된다. 따라서, 웨빙(3)의 권취나 웨빙(3)자체의 연신에 의한 웨빙(3)의 연장도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결과, 승무원은 웨빙(3)에 의하여 확실하고 또 견고하게 구속되어서 보호된다. 이 상태에서, 감속도감지장치(7)의 계지폴(7i)이 잠금기어(14)의 톱니(14c)로부터 해제되어 잠금기어(14)가 자유상태로 되므로 재차 웨빙(3)을 권취할 경우에 리일축(4)은 용이하게 웨빙(3)을 권취할 수가 있게 된다.
(웨빙에 급격하게 인출력이 작용되었을 때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웨빙(3)이 급격하게 인출되게 되므로 리일축(4), 잠금기어(14) 및 관성체(15)가 웨빙인출방향(α)으로 급격하게 회동할려고 한다. 그러나, 조절 스프링(16)의 스프링력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조절스프링(16)이 위축되어 관성체(15)가 관성지연을 일으킨다. 즉, 관성체(15)는 잠금기어(14)와 함께 웨빙인출방향(α)으로 공전(公轉)할 뿐 아니라 잠금기어(14)에 대하여 (β)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자전(自轉)한다.
이 관성체(15)의 자전에 의하여, 제4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듯이 계지폴(15c)에 제2스토퍼(14i)에 당접되는 계합위치로 이동하여 잠금기어 제1커버(13)의 톱니(13c)에 계합된다. 그 때문에, 관성체(15)의 공전과 록기어(14)의 웨빙인출방향(α)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리일축(4)만 웨빙인출방향(α)으로 회전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기한 바와 같이 리일축(4)은 자금기어(14)에 대하여 (α)방향으로 상대회동하게 된다.
이 리일축(4)의 (α)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전기한 경우와 동일하게 메인폴(17)이 회동하여 톱니(23a)에 계합되는 잠금위치가 되고, 그 후 뒤늦게 백업폴(20)이 톱니(2g)에 계합되는 잠금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리일축(4)은 웨빙인출방향(α)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또,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메인폴(17)이 잠금위치에 설정 후, 리일축(4)의 다시 이루어진 (α)방향으로의 상대회동에 의하여 잠금링(23)이 웨빙(3)의 인출방향(α)으로 회전하며, 잠금링(23)의 이 회전은 돌기(23d)의 타단이 오목부(2f)의 타단에 당접하므로써 정지된다. 이 결과, 웨빙(3)의 급격한 인출 및 신장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또, 이 경우에도 잠금기어(14)가 웨빙권취방향(β)으로 약간 역회전하므로써, 관성체(15c)의 계지폴(15c)가 잠금기어제1커버(13)의 톱니(13c)로부터 해제되어 잠금기어(14)는 자유상태가 되므로 재차 웨빙(3)을 권취할 경우 리일축(4)이 용이하게 웨빙(3)을 권취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전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6개의 오목부(2f)를 우측벽(2a) 구멍(2d)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6개의 돌기(23d)를 잠금링(23)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돌기를 구멍(2d)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또 오목부를 잠금링(23)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돌기 및 오목부는 다른 임의수 만큼 설치할 수도 있고, 그 경우 간격도 반드시 등간격으로 할 필요는 없다.
또,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부세력부여장치(5)는 안락장치(comfort device)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안락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부세력부여장치로 웨빙에 장력(tension)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무장력(tensionless)의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하듯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제1계합부재가 리일축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기능과, 리일축의 회동력을 아암을 통하여 클램프부재에 전달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제1계합부재의 작동에 연동하여 리일축의 회동력을 클램프부재에 전달하는 전달기구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잠금링에 형성된 전달기구의 부품을 제어하는 캠구멍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달기구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동시에 잠금링의 가공이 용이하게 될 뿐아니라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가 경량이고 또한 저렴한 것으로 된다.
특히,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잠금링의 외주면이 프레임의 원형구멍의 내주면에 안내되어 접동하도록 되는 까닭에 잠금링의 회전을 원활하고 또한 안정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클램프부재가 자동잠금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아암이 리일축의 회전력을 클램프부재에 전달하지 않아도 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아암은 경량한 부재로 형성 할 수가 있어서 그 만큼 시이트 벨트 리트랙터를 더욱더 경량으로 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