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3794B1 -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794B1
KR100233794B1 KR1019910017087A KR910017087A KR100233794B1 KR 100233794 B1 KR100233794 B1 KR 100233794B1 KR 1019910017087 A KR1019910017087 A KR 1019910017087A KR 910017087 A KR910017087 A KR 910017087A KR 100233794 B1 KR100233794 B1 KR 10023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ulses
rows
amplitude
blan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661A (ko
Inventor
조오지프 쉘포오드 리스터 스티븐
테크 후이 예오 콜린
모슬리 앨런
Original Assignee
엠 비이 다블유 포프
마르코니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비이 다블유 포프, 마르코니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엠 비이 다블유 포프
Publication of KR92000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7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22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 G09G3/3629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 passive matrix using liquid crystals having memory effect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05Simultaneous scanning of several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5Waveforms comprising zero voltage phase or pa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를 시분할 다중 모드로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폭 2ts 의 귀선소거 펄스(41)에 뒤이어, n × ts (∵ n 은 정수)의 지연 후에 폭 ts 및 상기 귀선소거 펄스에 대해 반대극성의 기록 펄스(43)가 2tS의 간격으로 연속 행 어드레스 라인들에 인가된다. 폭 ts 의 쌍극 데이터 펄스 쌍들(49, 50 : 52, 53)은 열 어드레스 라인들에 인가됨으로써 데이터 펄스들이 ⅰ번째 행에 대한 귀선소거 펄스, 및 n의 홀수값들에 대해 i-(n+1)/2 행 그리고 n 의 짝수값에 대해 i-(n+2)/2 행에 인가된 기록 펄스와 일치한다. 디스플레이에 가변하는 그레이 레벨들을 얻기 위해 데이터 펄스 진폭은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구동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기구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 기구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귀선소거 및 데이터 펄스를 동시 적용한 결과 생기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귀선소거 및 데이터 펄스 사이의 타임 슬롯의 수에 대해 FLC 요소의 적절한 클린 스위칭의 최소 타임 슬롯 길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8도는 쌍극자 데이터 펄스의 쌍의 진폭(VD)에 대해 FLC 디스플레이를 통한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귀선소거 펄스 43 : 기록 펄스
49, 50, 52, 53 : 쌍극자 데이터 펄스
본 발명은 강유전성 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 FLC)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러한 장치의 액정 요소를 구동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성 액정에는 적용된 전계와 상호 작용하는 영구전기 쌍극자 (permanent electric dipole)가 있다. 따라서, 강유전성 액정 요소는 빠른 응답시간을 나타내며, 이러한 빠른 응답 시간이 강유전성 액정 요소가 디스플레이, 스위칭, 및 정보 처리 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유이다. 특히, FLC 디스플레이는 사무용에서 중요한 알파그래픽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alphagraphic flat panel displays)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FLC 요소가 응답하는 자극물은 dc 필드 이며, 그 응답은 인가된 전압(v) 및 그 전압이 가해지는 시간(t) 의 함수이다. 요소는 그 전극을 어크로스(across)하여 주어진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일 상태로 절환되고,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타 상태로 절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전체 dc 전압이 상당한 기간 동안 상기 요소를 어크로스 하여 인가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요소에는 충전 균형이 유지되고, 따라서 액정재의 분해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요소의 펄스 동작은 일 극성의 펄스에 바로 뒤이어 타 극성의 펄스가 따르는 형태로 이행되어서, 합성 dc 편파(resultant dc polarisation)가 없어야 한다.
액정 요소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열되며, 적절한 행렬 선(row and column lines)에서 에너지 동작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시분할 다중방식(time-division multiplexing)은 행(스트로브) 라인에 순차적으로 펄스를 주기적으로 인가하고, 그와 동시적으로, 열(데이터) 라인에 펄스를 인가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FLCD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파형은 그러한 디스플레이의 명암비 및 프레임 타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파형은 강유전성 LCD 의 상용성 개발에 큰 영향을 갖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FLCD 구동 기구에서 발생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a)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 행에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파형(1)은 진폭(VS)을 갖는 포지티브 펄스(2)와 그 바로 뒤에 따르는 동일한 진폭의 네가티브 펄스(3)를 포함하는 것이다. 지연(4) 후에 진폭(VS)동 다른 네가티브 펄스(5)가 오고 그에 바로 뒤이어 진폭(VS)의 포지티브 펄스(6)가 따른다. 제1(b)도는 “비선택”열의 파형(7)의 대응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부분은 진폭(VD)의 포지티브 펄스(8) 바로 다음에 네가티브 펄스(9)가 오고, 지연(10) 후에 네가티브 펄스(11) 바로 다음에 포지티브 펄스(12)가 오는 것이다. 펄스(9, 11, 12)는 모두 진폭(VD)을 갖는다. 상기 펄스(8, 9, 11, 12)는 펄스(2, 3, 5, 6)와 동기화 되고 그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다. 타 행용의 대응열의 파형 부분은 지연 기간(10) 중에 발생할 것이다. 다르게는, “선택”열 파형(13)의 대응하는 부분이 펄스(8, 9, 11, 12)에 대한 반대 극성의 펄스(14-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구는 필요한 스위칭을 달성하는데 2세트의 쌍극자 펄스를 사용하며, 따라서 “4-슬롯”기구라고 칭하게 된다. 상기 기구는 저 명암비 및 긴(長) 프레임 타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임 타임은 “펄스폭(ts1)×슬롯 수×디스플레이에 행의 수”로 주어진다. 프레임 타임은 열의 전극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2세트의 행의 전극을 평행하게 구동하여 2등분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에 예시된 영국 특허공보 제 2,208,559A호에 개시된 “2-슬롯”기구를 사용하여 현저하게 감소된 프레임 타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트로브 동작(행) 신호(제2(a)도)는 진폭(VS)의 포지티브 펄스(20)와 그에 뒤따르는 진폭(VS′)의 네가티브 펄스(21)를 포함하며, 진폭(VS′)은 진폭(VS)보다 작은 것이다. 이것은 프레임 기간 중에 발생하는 단1쌍의 스트로브 펄스이다. 대응 데이터(열)의 신호 부분은, 기록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포지티브 펄스(22)에 뒤이은 네가티브 펄스(23(제2(b)도) 또는, 네가티브 펄스(24)에 뒤 따르는 포지티브 펄스(25)(제2(c)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펄스(22-25)는 모두 진폭(VD)(제2도의 “VD”와 동일할 필요 없음)을 갖는다. 각 펄스의 폭은 “tS2”이다.
스트로브 펄스(20, 21)가 다른 진폭을 가지므로, 어드레스된 액정 요소에 인가된 잔류 dc 레벨이 있을 것이며, 상기 상태로서 이러한 사실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 프레임 기간의 펄스(20) 개시부와 펄스(21)의 단부 와의 사이에 스트로브 라인에는 소량의 dc 전압(VG)이 인가되어진다. 필요 전압(VG)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에서 N 은 행의 수 이다.
비록, 제2도의 종래 기구는 제1도 기구의 프레임 타임의 절반을 가질 수 있는 것이지만, 제2도 기구에 의해 달성되는 명암비는 제1도 기구에 의해 획득되는 명암비와 대체로 유사하며, 그리고 예를 들어 ≤5 : 1 정도로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종래 기구가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트로브 신호(30)(제3(a)도)는 진폭(VS)의 네가티브 펄스(31)와 진폭(VS)의 포지티브 펄스(32)를 포함하는 것이다. 대응하는 “비선택”열 신호 부분(33)(제3(b)도)은 펄스(31) 바로 직전에 발생하는 네가티브 펄스(34)와 그에 뒤따르며 펄스(31)와 정렬된 포지티브 펄스(35)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 포지티브 펄스(36)에 뒤이어 펄스(32)와 정렬된 네가티브 펄스(37)가 따른다. “선택”열 신호 부분(38)(제3(c)도)은 펄스(34-37)와 각각 정렬되고 그와 반대 극성을 갖는 펄스(39-42)도 포함되는 것이다. 모든 펄스(34-37, 39-42)는 진폭(VD)(제1도 또는 제2도의 “VD”와 동일할 필요 없음)을 가지며, 각각의 펄스는 각각의 펄스(31, 32)와 마찬가지로 폭(tS3)을 갖는 것이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를 비교한다면 tS1% tS2〉tS3임이 밝혀진다. 그러므로, 제3도의 기구는 짧은 펄스 폭으로 작동하며, 짧은 스위칭 타임 및 높은 명암비의 이점이 있지만 긴 프레임 타임을 초래하는 4-슬롯 기구인 단점을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구는 높은 명암비 또는 짧은 프레임 타임을 이룰 수 있기는 하지만 양쪽이 모두 바람직한 특징을 함께 달성할 수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히 높은 명암비와 상당히 짧은 프레임 타임을 함께 달성할 수 있는 강유전성 액정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의거, 강유전성 액정 요소의 행 및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시분할 다중 모드로 구동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에서는 진폭(VB) 및 펄스 폭(2tS)의 귀선소거(歸線消去) 전압 펄스에 뒤이어 n x tS(여기에서 n은 정수임)의 지연 후에, 진폭(VW), 폭(tS) 및 귀선소거 전압 펄스에 대해 반대 극성의 기록 전압 펄스가 “2ts”의 간격으로 연속 행동에 인가되며; 그리고 0을 포함하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진폭(| VD|)이며, 각각 펄스폭(tS) 인 쌍극자 데이터 펄스 쌍의 열 어드레스 라인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펄스는 ⅰ번째 행에 대한 귀선소거 펄스 및 n 의 홀수값에 대해 i-(n+1)/2 행 그리고 n 의 짝수값에 대해 i-(n+2)/2 행에 인가된 기록 펄스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의거, 강유전성 액정 요소의 행 및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시분할 다중 모드로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진폭(VB) 및 펄스 폭(2ts)의 귀선소거(歸線消去) 전압 펄스에 뒤이어 n x tS(여기에서 n은 정수임)의 지연 후에, 진폭(VW), 폭(tS) 및 귀선소거 전압 펄스에 대해 반대 극성의 기록 전압 펄스가 “2ts”의 간격으로 상기 요소의 연속 행에 인가하는 수단과; 0을 포함하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진폭(| VD|)이며, 각각 펄스폭(tS) 인 쌍극자 데이터 펄스 쌍의 열 어드레스 라인에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펄스가 ⅰ번째 행 용 귀선소거 펄스, 및 n 의 홀수값에 대해 i-(n+1)/2 행 그리고 n 의 짝수값에 대해 i-(n+2)/2 행에 인가된 기록 펄스와 일치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구동 기구에서 “ⅰ번째”행에 대한 스트로브 신호(40)(제4(a)도)가 폭(2tS) 및 진폭(VB)의 포지티브 귀선소거 펄스(41) 및 그에 뒤따르는 폭(tS) 의 지연 기간(42) 및 그 다음의 폭(tS) 및 진폭(VW) 의 네가티브 기록 펄스(43)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펄스는 2tS× 행의 수(N) × (n+1)tS(여기에서 n은 타임 슬롯의 수)에 의해 주어진 프레임 타임 후에 반복되는 것이다. 예시된 경우에는 n=1 이다. 펄스는 dc 레벨(VG)에 의해 옵셋되며, 여기에서 VG
으로 주어진다.
“j 번째”행에 대해, 스트로브 신호(44)(제4(b)도)는, 펄스(41, 43)와 각각 동일하지만 그 펄스에 대한 기간(2tS) 만큼은 지연된 일 쌍의 펄스(45, 46)를 포함하는 것이다.
ⅰ번째 행에 대한 열의 “비선택”신호(48)(제4(c)도)는 네가티브 펄스(49) 및 그에 바로 뒤따르는 포지티브 펄스(50)를 포함하는 것이다. 펄스(49)는 ⅰ번째 열에 대한 기록 펄스(43)와 귀선소거 펄스(41) 사이에 기간(42)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펄스(50)는 기록 펄스(43)와 일시적으로 정렬을 이루는 것이다. 선택열의 신호(51)(제4(d)도)는 펄스(49, 50)와 폭 및 타이밍이 동일하고 극성이 반대인 펄스(52, 53)를 포함하는 것이다. 모든 펄스(49, 50, 52, 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진폭( | VD|) 및 기간(tS)을 갖지만 그와 다르게, “선택”펄스는 “비선택”펄스와 다른 진폭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선택”또는 “비선택”신호에 대해 0 의 d.c. 레벨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동 신호는 진폭(VB) 및 폭(2tS) 의 행 귀선소거 펄스; 폭(tS) 의 기록 펄스; 귀선소거 펄스와 기록 펄스 사이에 n 타임 슬롯의 간격 즉, n x tS(여기에서 n은 정수 ≥ 1); ⅰ번째 행에 대한 기록 펄스는 j 번째 행의 귀선소거 펄스와 중첩(여기에서 n은 홀수값에 대해 j= i+(n+1)/2 이고, n의 짝수값에 대해 j = i+(n+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도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n=1 즉, 기간(42)은 tS이다.
제5도는 n=9에 대한 대응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ⅰ번째 행의 라인 구동 신호(56)의 귀선소거 펄스(54)와 기록 펄스(55)와의 사이에는 9tS의 지연이 있다. 제4도에서처럼 비선택 열의 파형(제5(c)도)은 네가티브 펄스(57) 및 그에 뒤따르며 기록 펄스(55)와 일시적으로 정렬되는 포지티브 펄스(58)를 포함하는 것이다. 선택 열의 파형(59)(제5(d)도)은 펄스(57, 58)와 각각 극성이 반대인 펄스(60, 61)를 포함한다. (i + 1)번째 행에 대한 스트로브 신호(62)(제5(b)도)는 그 상승구간이 펄스(54)의 하강구간과 일치하는 귀선소거 펄스(63) 및 그 펄스(63)로부터 주기(9tS) 만큼 이격된 네가티브 기록 펄스(64)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펄스(55, 64) 사이에는 2tS의 시간 지연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 타임은 (2tSx N) + 10tS로 주어진다.
제4도 및 제5도의 스트로브 신호(40, 5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dc 불균형이 피해지도록 귀선소거 및 기록 펄스의 진폭 및 폭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파형은 dc 전압(VG) 으로 옵셋 된다.
제6도는 ⅰ행에 대한 열의 “비선택”데이터 펄스(49, 50)(제6(b)도)가 j 행에 대한 동시 인가된 귀선소거 펄스(45)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합성 파형(60)은 제6(c)도에 도시되어 있다. 열의 “선택”데이터 펄스(52, 53)에 대해 발생하는 파형은 제6(d), (e), (f)도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펄스는 파형의 형상을 단순히 수정하는 것이며, 평균 전압의 크기를 변경시키지 않으므로, 귀선소거 펄스의 유효 구동 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7도는 행의 귀선소거 펄스와 기록 펄스 사이의 타임 슬롯의 개수(n)에 대한 최소 수용 가능한 펄스 폭으로 이루어진 2개 곡선(67, 68)을 나타내며, 여기에서 n은 0부터 10 범위의 곡선(67)은 짝수의 타임 슬롯에 관한 것이고, 곡선(68)은 홀수의 타임 슬롯에 관한 것이다. 이 곡선은 타임 슬롯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평이 됨으로써, n을 9이상 증가시킴에 의해 펄스폭 감소에 있어 적은 개선이 얻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짝수보다는 홀수의 타임 슬롯을 사용함으로써 펄스폭 감소에 있어 더 양호한 성능이 얻어짐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n의 짝수값에 대한 기록 펄스 후에 오는 쌍극자 데이터 펄스의 하강 절반부에 의해 발행된 분열 효과에 기인한다.
VB, VW및 VD의 최적 값은 이용되는 강유전성 액정 물질과 셀 기술에 좌우될 것이다. 양호하게는, VB, VW및 VD가 서로 독립적으로 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2VB=VD이면 VG=0 이어서, 예를 들면 전압 옵셋이 필요치 않게 된다. 더욱이, 그래이(grey) 레벨이 없는 바이레벨(bilevel) 디스플레이에서 4VD=2VB=VW이도록 전압 레벨을 사용하면 양호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5개의 변수 즉, VD, VB, VW, VG및 tS보다는 단지 두 개의 변수 즉, VD, VB또는 VW및 tS만이 조정되면 되는 중요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 영국, 플레에 소재하는 BDH 회사에서 판매하는 SCE8 로 알려진 강유전성 액정을 포함하는 2㎛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한 VD, VB, VW, tS및 n 의 일반적인 값은 각각 10V, 20V, 40V, 80㎲, 및 9이다. 이러한 조합은 516라인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해 8 : 1의 명암비 와 83.4ms 의 프레임 타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만일, 열 전극(column electrodes)이 분할되고 행이 두 쌍의 256라인 으로 평행하게 구동되면, 프레임 타임은 41.8ms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의 종래 기구로도 유사한 명암비 및 tS의 값이 얻어지지만, 프레임 타임은 165.1ms 로서 거의 2배 정도 길다.
만일, 2VB≠VW이며, VG=(2VB-VW)N, N = 행의 수로 주어지는 dc 옵셋(VG)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다르게, VB및 VW의 극성은 모든 프레임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느 정도의 dc 효과를 상쇄시킨다. 이러한 것을 예를 들면 귀선소거 펄스(VB) 가 밝은 상태를 발생시키고 화소가 어두운 상태로 기록될 때 명암비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더욱이, 유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귀선소거 펄스(VB)는, 2VB=VW또는 옵셋 전압(VG)이 이용되는 때에 밝은 상태보다는 항상 어두운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는 쌍극자 데이터 펄스의 진폭(| VD|)의 변하는 값에 대한 FLC 디스플레이의 기록된 화소를 통한 광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광 투과율의 변화는 다수의 그레이 레벨이 디스플레이에 발생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8도에 도시된 18.8의 최대 명암비는 | VD| 의 값을 선택함에 의해 9개의 그레이 레벨이 획득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명암비는 일 그레이 레벨로부터 다음 그레이 레벨까지 √2 의 인자만큼 증가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예시되고 여기에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어드레스 동작 기구(addressing schemes)는 높은 명암비와 짧은 슬롯 타임을 제공한다. 더욱이, 2-슬롯 기구의 이점으로 인해 짧은 프레임 타임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이러한 인자는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업적인 개발에 유리한 것이다.

Claims (12)

  1. 강유전성 액정 요소의 행 및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시분할 다중 모드로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진폭(VB) 및 펄스폭(2tS) 의 귀선소거 전압 펄스(41)에 뒤이어, n × tS의 지연 후에, 진폭(VW), 폭(tS) 및 상기 귀선소거 전압 펄스에 대해 극성이 반대인 기록 전압펄스(43)를 2tS의 간격으로 연속 행에 인가하는 단계와; ⅰ번째 행에 대한 귀선소거 펄스가 n 의 홀수값에 대해 i-(n+1)/2 행에 그리고 n의 짝수값에 대해 i-(n+2)/2 행에 인가된 데이터 펄스와 기록 펄스에 일치하도록, 각각의 펄스가 펄스 폭(tS)인, 0을 포함하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진폭(VD)의 쌍극 데이터 펄스(49, 50 : 52, 53) 쌍을 열 어드레스 라인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ⅰ및 n은 양의 정수이고, tS는 시간 기간이고, VB, VW및 VD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n 이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n 이 1부터 9까지의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n 이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n 이 0부터 10까지의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선소거 펄스(41) 및 상기 기록 펄스(43)의 극성은 디스플레이 동작 프레임이 교대로 되도록 역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크기(VG)의 옵셋 dc 전압을
    (N은 행의 수와 동일한 정수)
    이 되도록, 귀선소거 및 기록 펄스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귀선소거 및 기록 펄스(49, 50 ; 52, 53 ; 41, 43)의 진폭(VD, VB및 VW)은 무 그레이 레벨(no grey levels)을 가진 바이레벨(bilevel) 디스플레이에 사용용으로,
    에 각각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VD는 다양한 그레이 세이드(shade)가 획득되도록 가변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0. 강유전성 액정 요소의 행 및 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시분할 다중 모드로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진폭(VB) 및 펄스폭(2tS) 의 귀선소거 전압 펄스(41)에 뒤이어, n × tS의 지연 후에, 진폭(VW), 폭(tS) 및 상기 귀선소거 전압 펄스에 대해 극성이 반대인 기록 전압펄스(43)를 2tS의 간격으로 상기 강유전성 액정 요소의 연속 행에 인가하는 수단과; ⅰ번째 행에 대한 귀선소거 펄스가 n 의 홀수값에 대해 i-(n+1)/2 행 그리고 n의 짝수값에 대해 i-(n+2)/2 행에 인가된 데이터 펄스와 기록 펄스에 일치하도록, 각각의 펄스가 펄스 폭(tS)인, 0을 포함하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진폭(VD)으로 이루어진 쌍극 데이터 펄스(49, 50 : 52, 53) 쌍을 열 어드레스 라인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ⅰ및 n은 양의 정수이고, tS는 시간 기간이고, VB, VW및 VD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크기(VG)의 옵셋 dc 전압을
    가 되도록, 상기 귀선소거 및 기록 펄스를 가진 ⅰ번째 행에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귀선소거 펄스 및 상기 기록 펄스를 인가하는 수단은 디스플레이의 동작 프레임을 교대로 하기 위해 펄스 극성이 역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KR1019910017087A 1990-10-01 1991-09-30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3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21346.3 1990-10-01
GB9021346A GB2249653B (en) 1990-10-01 1990-10-01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61A KR920008661A (ko) 1992-05-28
KR100233794B1 true KR100233794B1 (ko) 1999-12-01

Family

ID=1068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0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3794B1 (ko) 1990-10-01 1991-09-30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60699A (ko)
EP (1) EP0479530B1 (ko)
JP (1) JPH05249434A (ko)
KR (1) KR100233794B1 (ko)
DE (1) DE69114985T2 (ko)
GB (1) GB2249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6422U (en) * 1992-01-29 2002-02-11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JP2808380B2 (ja) * 1992-04-17 199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間光変調素子の駆動方法
JP3634390B2 (ja) * 1992-07-16 2005-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電気光学素子
JP3489169B2 (ja) * 1993-02-25 2004-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657012B2 (ja) * 1993-03-17 2005-06-08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該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EP0632425A1 (en) * 1993-06-29 1995-01-04 Central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Addressing a matrix of bistable pixels
GB2293906A (en) 1994-10-03 1996-04-10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KR0145653B1 (ko) * 1994-12-01 1998-09-15 김광호 절전기능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
US5748277A (en) * 1995-02-17 1998-05-05 Kent State University Dynamic drive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US6154190A (en) * 1995-02-17 2000-11-28 Kent State University Dynamic drive methods and apparatus for a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EP0772067B1 (en) 1995-05-17 2002-04-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and circuit
JPH0954307A (ja) * 1995-08-18 1997-02-25 Sony Corp 液晶素子の駆動方法
GB2339321B (en) * 1995-11-06 2000-04-12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H09127483A (ja) * 1995-11-06 1997-05-1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GB2321754A (en) * 1997-01-31 1998-08-05 Sharp Kk Diffr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JPH10268265A (ja) * 1997-03-25 1998-10-0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US6268840B1 (en) 1997-05-12 2001-07-31 Kent Displays Incorporated Unipolar waveform drive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US6133895A (en) * 1997-06-04 2000-10-17 Kent Displays Incorporated Cumulative drive scheme and metho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53186B1 (ko) * 1997-07-02 2005-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강유전성액정표시장치및그구동방법
US6268839B1 (en) 1998-05-12 2001-07-31 Kent State University Drive schemes for gray scale bistable cholesteric reflective displays
US6204835B1 (en) 1998-05-12 2001-03-20 Kent State University Cumulative two phase drive scheme for bistable cholesteric reflective displays
US6320563B1 (en) 1999-01-21 2001-11-20 Kent State University Dual frequency cholesteric display and drive scheme
JP3918399B2 (ja) * 2000-04-28 2007-05-23 富士通株式会社 液晶素子
US7023409B2 (en) 2001-02-09 2006-04-04 Kent Displays, Incorporated Drive schemes for gray scale bistable cholesteric reflective displays utilizing variable frequency pulses
KR100685921B1 (ko) * 2001-10-13 2007-02-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
JP3982249B2 (ja) * 2001-12-11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KR100537609B1 (ko) * 2001-12-27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정확한 계조 표시를 위한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의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3336B (en) * 1985-04-03 1988-04-27 Stc Plc Addressing liquid crystal cells
GB2173629B (en) * 1986-04-01 1989-11-15 Stc Plc Addressing liquid crystal cells
JPS63116128A (ja) * 1986-11-04 1988-05-20 Canon Inc 光学変調装置
GB2208559B (en) * 1987-08-12 1991-09-04 Gen Electric Co Plc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evices
GB8720856D0 (en) * 1987-09-04 1987-10-14 Emi Plc Thorn Matrix addressing
NL8703040A (nl) * 1987-12-16 1989-07-17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besturen van een passieve ferro-elektrisch vloeibaar kristal weergeefinrichting.
GB8808812D0 (en) * 1988-04-14 1988-05-18 Emi Plc Thorn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021346D0 (en) 1990-11-14
EP0479530B1 (en) 1995-11-29
JPH05249434A (ja) 1993-09-28
EP0479530A2 (en) 1992-04-08
DE69114985D1 (de) 1996-01-11
EP0479530A3 (en) 1993-03-24
DE69114985T2 (de) 1996-04-18
KR920008661A (ko) 1992-05-28
US5260699A (en) 1993-11-09
GB2249653A (en) 1992-05-13
GB2249653B (en) 199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794B1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238903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5011269A (en) Method of driving a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matrix panel
CN1328615C (zh) 液晶显示设备及驱动lcd板的方法
US584453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ata signal generator, and method of addres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0337865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방법
US20090167964A1 (en) Video system including a liquid crystal matrix display with improved addressing method
KR100542686B1 (ko) 펄스 폭 변조 구동 방식을 이용한 다계조의 화상 표시 장치
EP0616311B1 (en) Matrix display device with two-terminal non-linear elements in series with the pixels and method for driving such
KR100268193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의구동방법
US201200135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bista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GB2208559A (en) Liquid crystal devices
KR20010023722A (ko) 다른 비디오 표준들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들을디스플레이하도록 적합된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
JPH04353823A (ja) 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H0695624A (ja) 反強誘電性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GB2262830A (en) Driving a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KR950005569B1 (ko) Stn 구동용 ic를 이용한 강유전성 액정의 구동방법 및 구동회로
EP1250694A2 (en) Anti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evices
JP2770981B2 (ja) マトリクス形強誘電性液晶パネルの駆動法
US5969703A (en) Multiplex addressing using auxiliary pulses
JPH0279816A (ja) アトリクス形強誘電性液晶パネルの駆動法
JPH0588646A (ja) 平面型表示デバイスのマトリツクス駆動方法
JPH05150750A (ja) 表示装置の駆動方式
JPH05100637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法
JPH05158018A (ja) 強誘電性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3-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gran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3-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9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