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3361B1 -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361B1
KR0183361B1 KR1019970001374A KR19970001374A KR0183361B1 KR 0183361 B1 KR0183361 B1 KR 0183361B1 KR 1019970001374 A KR1019970001374 A KR 1019970001374A KR 19970001374 A KR19970001374 A KR 19970001374A KR 0183361 B1 KR0183361 B1 KR 018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filter
valv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67A (ko
Inventor
정덕수
김창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7000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361B1/ko
Publication of KR97001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75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special nozzle arrangements, e.g. for a swirling effect or a directional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세척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즐형 분사구(1a, 1b)를 통해서 수도관에 연결되고 하부면 중앙부에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a)가 형성되고 주연 방향 하단에 필터 세척시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a)가 형성된 정수통(2)과, 이 정수통(2) 내의 물을 정수하여 정수통의 배출구(2a)를 통해서 배출하도록 배치된 세라믹 튜브(3)와, 밸브(6d) 및 적절한 관을 통해서 정수통(2)에 연결되고 주연 방향 하단에 배출구(11b)를 갖춘 저장통(4)을 포함한다. 또한,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밸브(6a)를 거쳐 수도관에 연결되고 주연 방향 하단부에 배출구(11c)를 갖춘 역세척통(5)과, 이 역세척통(5) 안에 들어 있고 밸브(6d) 및 적절한 관을 통해서 정수통의 배출구(2a)에 연통된 수축 및 확장가능한 백(8)을 포함한다. 이로써, 수돗물만에 의한 낮은 수압으로도 필터를 역세척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 정수 장치
본 발명은 필터 세척 시스템이 구비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 장치에 장착된 필터에 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분사하여 세척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의 여과 방식으로는 자연 여과식, 이온교환식, 역삼투압식, 활성탄 여과식, 합성수지 필터식, 세라믹 필터식 등 여러 가지가 채택되고 있다.
그 중 상품화되어 있는 자연 여과식 정수기는 대기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수 속도가 낮고, 미세한 입자나 중금속과 암모니아성 질소들을 여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필터로 사용하는 천연산 제올라이트를 천연에서 채취하므로 원료 공급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 기공률이 일정하지 않고 양이온 교환 능력이 정수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온교환식은 물 속에 녹아 있는 철분, 납, 구리 등의 금속 이온을 전기적으로 분리, 제거하는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되어 있는 이온은 제거할 수 있으나 대전되어 있지 않은 미생물이나 입자들은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역삼투압식은 물에 일정한 압력을 가한 뒤 특수 제작된 반투막을 통과시켜 분자량이 작은 순수한 물만 통과시키고 분자량이 큰 불순물 등을 여과하는 방식으로,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있으나, 물의 맛을 좋게 하거나 인체에 필요한 요소인 칼륨이나 망간 등의 무기 원소까지 완전히 걸러내며 여과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숯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여과 기능이 큰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 여과식은 철분, 트리할로메탄, 합성 세제, 농약 등의 냄새는 제거할 수 있으나 미생물이나 중금속과 같은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정수기는 상기에 설명한 여과 방식을 2 내지 3개 혼용하는 혼합 여과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여과 방식에서의 또 한가지 단점은 정수기의 사용 중에 필터를 세척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를 일정 기간 사용하면 필터에 오염물이 쌓여 정수 능력이 떨어지므로 필터를 교환해야 한다. 또한, 한번 사용한 필터는 재생할 수 없어서 폐기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산업 폐기물을 유발하는 것도 큰 단점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정수기에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정수기로, 이는 필터의 기공 크기를 조절하여 인체에 필요한 무기물 이온은 통과시키고 유해한 이물질과 미생물을 여과하는 것인데 이미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또한,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사용 중에 필터를 역세척하는 시스템도 개발되었다. 이러한 정수기는 여과 또는 농축의 용도로 산업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역세척 시스템은 역세척하기 위해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역세척 수압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어 규모가 매우 크고 값이 비싸기 때문에 가정용이나 소규모 요식업소에서 사용하는 데에는 경제성이 없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얻을 수 있는 수도로부터의 정상 수압만을 이용하여 역세척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의 역세척 세라믹 정수기도 개발되었으나, 이 정수기는 정상적인 수압인 3 kgf/cm2 이상에서는 역세척이 가능하지만, 고지대 또는 아파트의 고층과 같이 수압이 3 kgf/cm2 보다 낮은 지역에서는 역세척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기의 사용 중에 필터가 정수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도의 수압만을 이용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에 의해 필터를 세척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도의 수압을 이용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과 역세척 시스템을 병행하여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트 분사 시스템이 장착된 정수 장치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이 장착된 정수 장치의 개략도.
도3은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세라믹 튜브 필터의 상세도.
도4는 노즐형 분사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0a, 10b, 10c: 노즐형 분사구 2: 정수통
2a: 배출구 3: 세라믹 튜브
3a: 필터막 3b: 세라믹 지지체
4: 저장통 5: 역세척통
6a, 6b, 6c, 6d, 6e: 밸브 7: 유입구
8: 백 11a, 11b, 11c: 배출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공급되는 노즐형 분사구(1a, 1b),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2a), 필터 세척시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a)가 마련된 정수통(2)과, 내부의 세라믹 지지체(3b)와 그 위에 코팅된 필터막(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출구가 그 내부에 오도록 정수통(2)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라믹 튜브(3)와,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제1배출구(2a)와 연통하고 정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11b)를 갖춘 저장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이 공급되는 노즐형 분사구(1a, 1b),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2a), 필터 세척시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a)가 마련된 정수통(2)과, 내부의 세라믹 지지체(3b)와 그 위에 코팅된 필터막(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출구가 그 내부에 오도록 정수통(2)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라믹 튜브(3)와,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제1배출구와 연통하고 정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11b)를 갖춘 저장통(4)과, 제2밸브(6a)를 거쳐 물의 공급원과 연통하고 제4배출구(11c)를 갖춘 역세척통(5)과, 이 역세척통(5) 안에 들어 있고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배출구(2a)에 연통된 수축 및 확장가능한 백(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가 마련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트 분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트 분사 시스템이 장착된 정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 정수 장치에는, 정수통(2), 세라믹 튜브(3), 저장통(4)이 구비되어 있다. 정수통(2)은 대략 원통형의 통으로서, 그 내부에는 세라믹 튜브(3)가 들어 있다. 또한, 정수통(2)은 노즐형 분사구(1a, 1b)에 의해 수도관에 연결되어 있고, 그 중앙 하부에는 저장통(4)에 연결되는 배출구(2a)가 형성되어 있고 주연 방향 하단에는 배출구(11a)가 마련되어 있다. 저장통(4)도 대략 원통형의 통으로서, 그 상부에는 정수통(2)에서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주연 방향 하단에는 배출구(11b)가 마련되어 있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정수통(2) 내에 들어 있는 세라믹 튜브(3)는 원통 형상을 취하는 세라믹 지지체(3b)와 그 외측면에 코팅된 필터막(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라믹 튜브(3)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정수통(2)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기밀하게 끼워지는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정수통(2) 내의 물은 세라믹 튜브(3)의 반경 방향으로만 유동하게 된다. 또한, 세라믹 필터(3)의 중앙부는 상기 정수통(2)의 배출구(2a)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제트 분사용 노즐형 분사구는 노즐형 분사구 2개를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정수통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설치되며, 분사구 3개 및 4개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최상단과 최하단 및 정수통을 각각 2등분 및 3등분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또한, 분사구들이 주연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일례로 분사구를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120°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제트 분사를 위한 노즐형 분사구로는 한국 믿다무아사에서 판매하는 BN 4 - PT 1/8(제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이 장착된 정수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의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는, 역세척통(5)과 이 역세척통 안에 들어 있는 수축 및 확장가능한 백(8)을 더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구성을 취한다. 역세척통(5)은 밸브(6a)를 거쳐서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역세척통(5) 안에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백(8)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백은 밸브(6d) 및 적절한 관을 통해서 정수통(2)에 연결되어 있다. 정수 작동 시에 정수된 물을 정수통(2)으로부터 밸브(6d)를 통해서 역세척통(5) 내의 백(8) 안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역세척 작동 시에는 밸브(6a)를 통해서 역세척통(5) 안에 수돗물을 공급하여 이 수돗물의 수압에 의해 백(8) 안에 들어 있는 정수된 물을 다시 정수통(2) 안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정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정수 작동 시에는 정수통(2)의 배출구(6b)를 폐쇄하고 배출구(6d)를 개방한다. 그러면, 수도관으로부터의 수돗물은 밸브(6a)를 거쳐 노즐형 분사구(1a, 1b)를 통해서 정수통(2) 안에 분사되어 유입된다. 정수통(2) 안에 수돗물이 차면서 내부의 수압이 상승되어 세라믹 튜브(3) 외측의 필터막을 통해서 물이 여과 및 정수되어 세라믹 튜브(3) 내부에 유입되며, 이 정수된 물은 정수통(2)의 배출구(2a)로부터 밸브(6d)를 통해서 저장통(4)에 유입된다.
필터 세척 작동 시에는 밸브(6b)를 개방하고 밸브(6d)를 폐쇄한다. 이렇게 하면, 저장통(2) 내에 분사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이 세라믹 튜브(3)의 외벽 부분인 필터막에 충돌하여 필터를 세척하게 되고, 필터를 세척한 물이 밸브(6b)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필터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밸브(6b)를 폐쇄하고 밸브(6d)를 개방하여 정수 작동을 계속한다.
도2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의 정수 작동은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 밸브(6d)를 조절하여 정수된 물을 저장통(4) 또는 백(8)에 보낼 수 있다.
세척 시에는 밸브(6d)를 조절하여 백(8)과 정수통(2) 사이의 관을 연통시키고 밸브(6b)를 개방한다. 그 다음에, 밸브(6a)를 조절하여 수돗물이 노즐형 분사구(1a, 1b)와 역세척통(5)의 유입구로 흐르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수돗물이 노즐형 분사구(1a, 1b)를 통해서 저장통(2) 내의 세라믹 튜브의 필터막(3a)에 분사되어 필터막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수돗물이 유입구(7)를 통해서 역세척통(5) 안에 유입되며, 이때의 수압에 의해 백(8) 안에 저장되어 있던 정수된 물이 밸브(6d)를 거쳐 정수통(2) 내의 세라믹 튜브(3) 내부로 유입되고 세라믹 튜브 외측의 필터막을 통해서 배출되면서 필터막에 끼어 있는 오물 또는 이물질을 보다 강력하게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의 표면 또는 내부에 낀 오염물의 제거를 위해 역세척을 실시할 경우, 수돗물은 역세척통 상단(7)에서 유입되어 백(8) 안의 정수된 물을 가압하여 정수 방향과 역으로 필터를 통과하게 하며, 동시에 분사구(1a, 1b)에서 수돗물이 강하게 분사되어 필터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물 분사에 의한 충격과 정수통에 발생한 와류로 신속하게 제거한다. 세척에 사용된 물은 정수통 하단의 밸브(6b)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된다.
(실시예)
나노미터 단위의 입자까지 여과할 수 있는 튜브 형태(직경 35㎜, 길이 150㎜)의 세라믹 필터를 사용한 정수 장치에 본 발명의 역세척 제트 분사 시스템을 이용해 역세척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압이 3 kgf/cm2 이상인 경우;
역세척 전의 정수량은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정수기의 정수량과 동일하였다.
1회 역세척 후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정수기는 90%까지만 정수량이 회복된 반면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된 정수기는 98%까지 정수량이 회복되었다.
역세척 횟수를 거듭하면서 정수량이 회복되는 정도는 제트 분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발생하여,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정수기의 경우 5회의 역세척 후에 정수량이 최초 정수량의 50% 이하로 감소하였으나,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된 정수기의 경우는 20회 역세척 후에도 최초 정수량의 50% 이상의 정수 능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2) 수도압이 2.5 kgf/cm2 이하인 경우;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되지 않은 정수기의 경우 역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된 경우는 완전히 역세척되어 정수 능력이 회복되었다.
(3) 기타;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된 경우는 역세척으로 필터에서 떨어져 나간 오염물이 정수통에 발생한 와류에 의해 정수통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 상기한 효과에 의해서 제트 분사 시스템이 부착된 정수기에서는 세라믹 필터의 수명이 제트 분사 시스템이 없는 경우보다 2배 이상 연장되었다.
본 발명의 제트 분사 시스템은 오염된 필터에 물을 강하게 분사하여 줌으로써 필터를 세척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역세척 방식의 정수기에 부착시킴으로써 역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약 2.5 kgf/cm2 이하의 낮은 수압에서도 역세척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역세척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필터나 정수통에 잔류하는 오염물을 제트 분사 시스템에 의해서 발생한 강한 와류가 신속하고 거의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세척 시스템을 갖는 정수 장치의 작동 방식은 매우 간단하여 기존의 역세척 기능이 없는 정수기 또는 수도압을 이용한 역세척 정수기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정용 정수기에 아주 적합하며, 사용 용량이 큰 요식업소나 호텔 등에서도 필터의 규격을 크게 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기 모터에 의한 역세척 정수 장치를 대신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물이 공급되는 노즐형 분사구(1a, 1b),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2a), 필터 세척시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a)가 마련된 정수통(2)과, 내부의 세라믹 지지체(3b)와 그 위에 코팅된 필터막(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출구가 그 내부에 오도록 정수통(2)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라믹 튜브(3)와,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제1배출구(2a)와 연통하고 정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11b)를 갖춘 저장통(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형 분사구가 2개 이상이며 이들이 주연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노즐형 분사구가 정수통(2)의 상하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4. 물이 공급되는 노즐형 분사구(1a, 1b),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2a), 필터 세척시의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a)가 마련된 정수통(2)과, 내부의 세라믹 지지체(3b)와 그 위에 코팅된 필터막(3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배출구가 그 내부에 오도록 정수통(2)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라믹 튜브(3)와,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제1배출구와 연통하고 정수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구(11b)를 갖춘 저장통(4)과, 제2밸브(6a)를 거쳐 물의 공급원과 연통하고 제4배출구(11c)를 갖춘 역세척통(5)과, 이 역세척통(5) 안에 들어 있고 제1밸브(6d)를 거쳐 정수통(2)의 배출구(2a)에 연통된 수축 및 확장가능한 백(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노즐형 분사구가 2개 이상이며 이들이 주연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노즐형 분사구가 정수통(2)의 상하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KR1019970001374A 1997-01-18 1997-01-18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KR018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74A KR0183361B1 (ko) 1997-01-18 1997-01-18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74A KR0183361B1 (ko) 1997-01-18 1997-01-18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67A KR970015467A (ko) 1997-04-28
KR0183361B1 true KR0183361B1 (ko) 1999-04-01

Family

ID=1949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74A KR0183361B1 (ko) 1997-01-18 1997-01-18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51B1 (ko) * 2008-01-16 2008-05-29 (주)에스제이베스텍 수질 정화 및 살균용 필터장치
KR101156638B1 (ko) * 2010-09-01 2012-06-14 주식회사 겅호 분수대용 살균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955B1 (ko) * 2002-01-17 2005-05-31 주식회사 지앤지환경기술 고온 응축수 재이용 방법
CN117018731B (zh) * 2023-10-08 2024-01-05 集贤金达科技有限公司 一种煤焦油回收用油渣分离装置及分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551B1 (ko) * 2008-01-16 2008-05-29 (주)에스제이베스텍 수질 정화 및 살균용 필터장치
KR101156638B1 (ko) * 2010-09-01 2012-06-14 주식회사 겅호 분수대용 살균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67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46B1 (ko) 정수기 세정 방법
US4711723A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WO2014103854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逆洗浄方法
CA2362107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0183361B1 (ko)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JP7574122B2 (ja) 洗浄システム
KR100433754B1 (ko) 정수처리용 이온교환수지 세정 방법
KR101973738B1 (ko) 침지막과 가압막을 이용한 세라믹 막여과 공정의 세정 방법
KR970009642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 장치
JPH04114722A (ja) 有機物を含む液の濾過方法
KR200296368Y1 (ko) 이중필터 구조를 갖는 필터카트리지
JP2002028649A (ja) 流体浄化装置
CN210457522U (zh) 一种可再生的净水前置过滤装置
CN213012233U (zh) 一种用于净水器中的过滤芯
JP2001162112A (ja) 多孔質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る流体浄化方法ならびに流体浄化装置
CN212334685U (zh) 一种自清洗净水器
JP3247429B2 (ja) 浄水器
JP3453518B2 (ja) 多孔質セラミック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る流体浄化方法ならびに装置
RU2686199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RU90351U1 (ru) Мембран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3690986B2 (ja) 水貯留池の清掃方法及び装置
KR100699039B1 (ko) 반영구적 정수장치
KR200188537Y1 (ko)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1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5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