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8537Y1 -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37Y1
KR200188537Y1 KR2020000001428U KR20000001428U KR200188537Y1 KR 200188537 Y1 KR200188537 Y1 KR 200188537Y1 KR 2020000001428 U KR2020000001428 U KR 2020000001428U KR 20000001428 U KR20000001428 U KR 20000001428U KR 200188537 Y1 KR200188537 Y1 KR 200188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layer
filtration
backwashing
pipe
filter s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선집
Original Assignee
유성기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기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기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업용수 및 정수 처리뿐만 아니라 산업용 폐수의 회수처리에 사용되는 압력식 여과장치로서 원활한 역세정을 통하여 오염된 여과사층을 역세하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과장치는 역세정의 경우 여과사층에 쌓인 오염물질(부유물질)이 터널(tunnel)현상으로 부분적으로 역세가 이루어져 찌꺼기가 전량 배출되지 못하므로 여과사층이 오염되거나 미생물이 증식되어 처리수에 나쁜 영향을 주며, 아울러 여과사층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여과불능의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부에는 입수관(1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출수관(120)이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와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여과사층(130), 굵은 모래층(140), 자갈층(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여과탱크(100)로 구성된 여과장치로서 상기 원추형 여과탱크(100)의 상부 일측 벽면에는 분사노즐(170)이 부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170)은 상기 출수관(120)으로부터 분리된 파이롯트관(180)에 의해 직접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파이롯트관(180)의 소정 부위에는 역세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첵크밸브(190)가 설치되어 역세과정에서 탱크내에 부착되거나 여과사 속에 끼어 제거되지 않는 끼꺼기를 말끔히 제거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Pressure-type filter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verse-washing efficiency}
본 고안은 공업용수 및 정수 처리뿐만 아니라 산업용 폐수의 회수처리에 사용되는 압력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활한 역세정을 통하여 오염된 여과사층을 역세하도록 함으로서 여과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과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식 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여과탱크(8)의 상부에는 입구관(1)과 상기 입구관(1)에 체결된 상부 살수기(2)와 상기 상부 살수기(2)의 아래쪽으로 여과사층(3)과 왕사층(4), 자갈층(5) 및 하부집수판(6)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하부에는 출구관(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탱크(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여과장치는 여과시 입구관(1)을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가 상부 살수기(2)를 통하여 공급되면 여과사층(3)을 통하여 왕사층(4), 자갈층(5)을 지나게 되며, 하부집수판(6)을 통하여 배수되는 여과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정상운전에 있어서 여과기의 통과 유속은 9 - 10 m/hr 로서 입구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유량이 갑자기 넓은 공간으로 유출 확산될 때와 상부 살수기(2)를 통과하여 탱크내 면적에 골고루 확산되어 여과사층(3)을 통과할 때 많은 여과저항을 받았다.
즉 여과기의 여과탱크(8)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많은 여과저항이 발생하여 여과속도가 느리므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세정의 경우 출구관(7)으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정상운전의 역순으로 진행되는데 여과사층(3)에 쌓인 오염물질(부유물질)이 터널(tunnel)현상으로 부분적으로 역세가 이루어져 찌꺼기가 전량 배출되지 못하므로 여과사층이 오염되거나 미생물이 증식되어 처리수에 나쁜 영향을 주며, 아울러 여과사층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여과불능의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세 행정시 여과탱크의 상부 프리보드(free board)에 유효공간이 생기므로 오염물질이 전량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여과기의 탱크 구조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등록 실용신안 제 96964호를 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의 기능을 더욱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역세 효율을 보다 현저히 향상하여 장치의 기능으로 보다 강화한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역세정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여과장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여과탱크 110: 입수관
120: 출수관 130: 여과사층
140: 굵은 모래층 150: 자갈층
160: 하부집수판 170: 분사노즐
180: 파이롯트관 190: 첵크밸브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부에는 입수관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출수관이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와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여과사층, 굵은 모래층, 자갈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여과탱크로 구성된 여과장치로서 상기 원추형 여과탱크의 상부 일측 벽면에는 분사노즐이 부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출수관으로 부터 분리된 파이롯트관에 의해 직접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파이롯트관의 소정 부위에는 역세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첵크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여과탱크(10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을 이루며, 상부와 하부의 선단부에는 각각 입수관(110)과 출수관(120)을 구비하였다.
상기 출수관(120)의 일 측에는 별도의 파이롯트관(180)이 분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롯트관(180)의 소정 위치에는 역세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첵크밸브(1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탱크(100)는 중앙부분이 넓고 상부와 하부측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여과사층(130), 굵은 모래층(140), 자갈층(150)과 하부집수판(1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추형 여과탱크(100)의 상부 일측 벽면에는 분사노즐(170)이 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170)은 상기 출수관(120)으로부터 분리된 파이롯트관(180)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170)의 분사방향은 일측 원주방향을 향하도록 하므로서 역세과정에서 역세수를 일측방향으로 강력하게 회전되도록 하므로서 부유 찌꺼기의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관(120)을 통하여 역세수를 압송하면 역세수 중 일부는 여과사층(130), 굵은 모래층(140), 자갈층(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여과장치를 거꾸로 통과하면서 여과장치내에 끼인 찌꺼기를 상부로 끌어올리게 되며, 동시에 일부의 역세수는 출수관(120)의 일측에 분리된 파이롯트관(180)을 통하여 분사노즐(170)에 공급되어 강력하게 분사되면서 여과장치 내부의 물을 소용돌이 치게 하므로서 상부에 떠오르는 부유물질을 회전시켜 중앙으로 모이도록 함과 아울러 여과탱크(100)의 내부 벽면에 부착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첵크밸브(190)는 파이롯트관(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역세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과기능시에는 파이롯트관(180)을 완전하게 막히도록 하므로서 모든 처리수가 여과장치를 통과될 수 있도록 하며, 반드시 역세시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여과장치의 역세과정에서 탱크내에 부착되거나 여과사 속에 끼어 제거되지 않는 끼꺼기를 말끔히 제거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공업용수처리를 비롯하여 하수처리, 폐수의 3차 처리 재이용 등 비교적 고농도의 오탁원수 처리가 가능하고 모래의 이용으로 모래여과기, 카본필터, 이온교환수지장치 등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압력식 여과기(Pressure filter)나 중력식 여과기(Gravity filter)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는 입수관(11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출수관(120)이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분이 넓으며, 상부와 하부측으로 단면이 각각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여과사층(130), 굵은 모래층(140), 자갈층(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여과탱크(100)로 구성된 여과장치로서 상기 원추형 여과탱크(100)의 상부 일측 벽면에는 분사노즐(170)이 부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노즐(170)은 상기 출수관(120)으로부터 분리된 파이롯트관(180)에 의해 직접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파이롯트관(180)의 소정 부위에는 역세수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첵크밸브(19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2020000001428U 2000-01-19 2000-01-19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88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28U KR200188537Y1 (ko) 2000-01-19 2000-01-19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28U KR200188537Y1 (ko) 2000-01-19 2000-01-19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37Y1 true KR200188537Y1 (ko) 2000-07-15

Family

ID=1963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4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8537Y1 (ko) 2000-01-19 2000-01-19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05B1 (ko) * 2022-12-29 2023-12-2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소형생물 정밀여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05B1 (ko) * 2022-12-29 2023-12-20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소형생물 정밀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7B2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US6638422B1 (en) Liquid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embodying filtration particles having specific gravity less than liquid being filtered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158765B1 (ko)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KR20120082852A (ko) 자동 역세척 사이클을 구비하는 물 여과 장치
CN211097838U (zh) 一种反冲洗过滤器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6355715U (zh) 一种多重过滤的防堵过滤池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CN206526559U (zh) 一种上流式自清洗过滤器
EP2251071A1 (de) Rückhaltesystem für Wasser-Schlammgemische bei Rückspülprozessen an Filteranlagen
KR200188537Y1 (ko)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KR200206446Y1 (ko) 오수정화장치
CN112876004A (zh) 水厂运行系统及其工艺方法
KR200430295Y1 (ko) 세척수 회수가 가능한 여과사 골재 선별장치
KR950007383Y1 (ko) 여과 및 역세정 효율을 증대한 압력식 여과장치
KR200159128Y1 (ko) 고도처리용 상향류 복합층 여과장치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102792324B1 (ko) 자체세정 기능과 유량조절 기능이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218448Y1 (ko) 스크린을 겸비한 여과장치
CN222658061U (zh) 一种石英砂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1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1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2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