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5909B1 -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909B1
KR0155909B1 KR1019950037434A KR19950037434A KR0155909B1 KR 0155909 B1 KR0155909 B1 KR 0155909B1 KR 1019950037434 A KR1019950037434 A KR 1019950037434A KR 19950037434 A KR19950037434 A KR 19950037434A KR 0155909 B1 KR0155909 B1 KR 015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external
signal
external signal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36A (ko
Inventor
양승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909B1/ko
Publication of KR97002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신호 입력부에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추가하여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멀티 로봇 중의 특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판넬 또는 PLC;, 상기 조작 판넬 또는 PLC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는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조작판넬로부터 선택된 로봇을 구동시키고, 로봇 제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 및 멀티의 로봇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는 외부신호 입력부에서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하나 더 추가함으로써 로봇 선택신호에 의한 제어 로봇의 변경시 발생하는 이전의 외부신호에 의한 잘못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갑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당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플로우챠트도이다.
본 발명은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간의 간섭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신호 입력부에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추가하여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제1도는 종래의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조작판넬과 PLC 등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로봇 제어기에 보내어 한 대 이상의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보인다.
제1도에 나타낸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멀티 로봇 중의 특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판넬 또는 PLC(10), 조작판넬 또는 PLC(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는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12b),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12b)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조작판넬로부터 선택된 로봇을 구동시키고, 로봇 제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12a), 및 멀티 로봇(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봇 제어부(12a) 및 외부 신호 입력부(12b)를 총칭하여 로봇 제어기(12)라고 한다.
제1도에 도시된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조작판넬 또는 PLC(10)를 조작하여 로봇 제어기(10)에서 선택된 로봇(14)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면, 로봇 제어기(10)내의 로봇 제어부(10a)는 이 신호를 외부 신호 입력부(10b)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고 선택된 로봇(16)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판넬 또는 PLC(14)을 이용하여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으로서, 서보 온, 원점 복귀, 기동, 정지, 일시 정지 등의 동작을 지시하고, 로봇을 선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종래의 외부 신호 제어 처리 시스템은 한 개의 제어기로 한 대 이상의 로봇을 구동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외부 입력 신호부(12b)는 접점의 수가 고정되어 있고, 멀티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로봇 선택 신호를 조작하여 해당 로봇을 선택한 후, 필요한 동작을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접점의 특성을 살펴보면, 로봇 접점 신호가 변경되더라도 이전에 조작된 접점 신호는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로봇이 이전에 선택된 로봇에 대한 외부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할 대상의 로봇을 변경하기 이전에 외부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어할 대상의 로봇을 변경하기 이전에 외부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로봇의 외부 신호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가 멀티 로봇 중의 특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판넬 또는 PLC; 상기 조작판넬 또는 PLC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는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조작판넬로부터 선택된 로봇을 구동시키고, 로봇 제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 및 멀티의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로봇의 외부 신호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의 접점 중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이 온이면 로봇 구동에 관련된 외부 신호를 무시하는 외부 신호 접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로봇의 외부 신호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외부 신호를 점검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해야 할 때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의 접점 온 및 오프단계의 결과로부터 해당 로봇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한 개의 제어기로 한 대 이상의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의 블럭도인 종래 기술의 외부 신호 입력부에 외부 신호세트 접점을 추가하여 구성한다.
제2도에 나타낸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은 제 1도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멀티 로봇 중의 특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판넬 또는 PLC(20), 조작판넬 또는 PLC(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는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22b),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22b)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조작판넬로부터 선택된 로봇을 구동시키고, 로봇 제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22a), 외부 신호 세트 접점(12c) 및 멀티 로봇(14)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봇 제어부(12a) 및 외부 신호 입력부(12b)를 총칭하여 로봇 제어기(12)라고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외부신호 입력부의 접점 중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이 온이면 로봇 구동에 관련된 외부 신호를 무시하는 외부 신호 접점(21c)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조작판넬 또는 PLC(22)을 조작하여 로봇 제어부(20a) 및 외부 신호 입력부(20b) 및 외부 신호 접점(20c)으로 구성되어 있는 로봇 제어기(20)에로 로봇 (24)을 구동하기에 필요한 신호를 보내고, 로봇 제어기(20)의 로봇 제어부(20a)는 이 신호를 외부 신호 입력부(20b)를 통하여 받아 해석하고 선택된 로봇(24)을 제어하는 전체적인 신호의 흐름은 종래의 기술과 일치하나 외부 신호 입력부(20b)에 외부 신호 세트(20c)접점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제어할 로봇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이 접점 신호를 우선 온 시킨 후 원하는 로봇을 선택하고 필요한 접점 신호를 조작하게 하여 로봇의 선택시 발생되는 이전의 외부 신호 상태에 의한 영향을 막을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멀티 로봇을 구동시키는 외부 제어 신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는 해당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 예의 플로우챠트도이다.
외부 신호를 점검해야 할지를 판단한다.(30단계)
상기 30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해야 할 때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오프시킨다.(32단계)
상기 30단계의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온시킨다.(34단계)
상기 32단계 및 34단계의 결과로부터 해당 로봇을 점검한다.(36단계)
또한, 사용자가 한 대 이상의 로봇을 동시에 구동할 때 조작판넬의 출력 접점 중 로봇을 선택하는 접점을 사용하기 전에 추가된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먼저 온상태로 출력하게 함으로써 조작판넬의 출력 접점중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온시키면 외부 신호를 점검하지 않고,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오프시키면 외부 신호를 점검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할 대상의 로봇을 변경하기 위해 로봇 선택 접점을 조작한 후, 해당 로봇을 제어할 접점들의 신호를 변경시킨 후 외부 신호 세트 접점 신호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로봇의 외부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는 외부 신호 입력부에서 외부 신호 세트 접점을 하나 더 추가함으로써 로봇 선택 신호에 의한 제어 로봇의 변경시 발생하는 이전의 외부 신호에 의한 잘못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멀티 로봇의 외부 신호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멀티 로봇 중의 특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 판넬 또는 PLC; 상기 조작 판넬 또는 PLC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받는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해석하여 처리하며, 조작판넬로부터 선택된 로봇을 구동시키고, 로봇 제어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로봇 제어부; 및 멀티의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제어 신호 입력부의 접점 중 외부 신호 세트접점이 온이면 로봇 구동에 관련된 외부 신호를 무시하는 외부신호접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3. 멀티 로봇의 외부 신호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점검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해야 할 때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오프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외부신호를 점검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세트 접점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의 접점 온 및 오프단계의 결과로부터 해당 로봇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로보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KR1019950037434A 1995-10-26 1995-10-26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015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34A KR0155909B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434A KR0155909B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36A KR970020336A (ko) 1997-05-28
KR0155909B1 true KR0155909B1 (ko) 1998-12-15

Family

ID=1943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434A KR0155909B1 (ko) 1995-10-26 1995-10-26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9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36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1739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高アイドル設定スイッチ及びその操作方法
JPS61249732A (ja) 数値制御装置で制御される機械の手動運転方式
KR0155909B1 (ko) 멀티 로봇의 외부제어 시스템에서 입력신호 간의 간섭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930010165B1 (ko) 모터구동제어장치 및 그 운전방법
JPH01134605A (ja) 数値制御装置
US4972310A (en) Sequence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JPH0871979A (ja) 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
JP2577003B2 (ja) 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H0546229A (ja) ロボツトの制御装置
KR0176554B1 (ko) 위치결정유니트를 이용한 자동화설비 시스템 제어방법
JP2019195852A (ja) 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KR19980036603A (ko) 무인 자동차 변속 제어장치
KR0150947B1 (ko) 키조작을 간소화한 연속서치방법 및 장치
JP3018790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970005557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콘트롤러의 디버그 운전방법
KR960001834Y1 (ko)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JPH08241105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8286717A (ja) 数値制御装置
JPH08328793A (ja) 機械制御装置
JP3346100B2 (ja) 機械制御装置
JP2953925B2 (ja) 駆動部品の制御装置
KR910000646B1 (ko)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JPH0828032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015398B2 (ja) アンテナ駆動装置
JPH06250729A (ja) 複数の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教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