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0646B1 -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46B1
KR910000646B1 KR1019870012463A KR870012463A KR910000646B1 KR 910000646 B1 KR910000646 B1 KR 910000646B1 KR 1019870012463 A KR1019870012463 A KR 1019870012463A KR 870012463 A KR870012463 A KR 870012463A KR 910000646 B1 KR910000646 B1 KR 91000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ound effect
delay time
value
mse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804A (ko
Inventor
박세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2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646B1/ko
Publication of KR89000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4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의 메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초기화 서브 흐름도 및 램번지 지정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키이 디코드(2) 과정의 구체 서브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음향 효과 수행 모드(15) 과정의 구체 서브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지연시간 가변 모드(16)과정의 구체 서브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돌비 음향 효과 모드의 지연시간 값 설정(19)과정의 구체 서브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메모리 세트모드(17)과정의 구체서브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디지탈 신호출력 연산 및 전송(7) 과정의 구체 서브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처리장치 200 : 롬
300 : 발진기 400 : 램
500 : 입출력장치 601 : 키이매트릭스부
602 :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 603 : 디스플레이 장치
604 : 데이타 전송기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Presence), 돌비(Dolby), 매트릭스(Matrix), 홀(Hall), 시뮬레이티드(Simulated) 음향 효과를 디지탈 신호 처리에 의해 현장감 넘치는 음으로 재생할 수 있는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효과 기능은 B, B, D(Backet Bridege Device)와 연산증폭기 등을 사용한 아나로그 회로를 이용하여 신호 지연에 의해 음향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키매트릭스 집적회로와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회로를 각각 별도로 구성시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B, B, D에 의한 방법은 신호를 지연할시 S/N비를 어느 정도 이상 증가시킬 수 없는 어려움이 있으며, 지연시간의 가변이 불가능하므로 폭넓은 지연시간의 범위에서 음향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키이구동용 및 디스플레이 구동용 집적 회로가 각각 별도로 요구되므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어 왔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컴을 사용하여 지연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디지탈 신호로 데이타 전송기에 출력시킴으로서 S/N비의 개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컴의 제어에 의한 키매트릭스 방식에 의해 지연시간의 범위를 넓게 확장시켜 단계적인 음향 효과의 지연시간의 증가, 감소 및 연속적인 지연시간의 증가, 감소를 자유자재로 가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키이구동 및 디스플레이 구동을 완전히 마이콤에 의한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시스템을 제어하므로써 여타 구동용 집적회로가 필요치 않으므로 원가 절감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의 구동을 위한 회로도로서, 소정 명령어를 받아 프로그램에 의해 음향 효과에 따른 각 모드를 처리하여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할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및 음향 효과에 따른 고정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롬(20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어클럭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발진기(3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될 프로그램 데이타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데이타를 램덤(Random)으로 가지는 램(40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주변장치와의 데이타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입출력장치(500)와, 상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어나 각종 데이타 및 제어키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이매트릭스부(601)와, 상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음향 효과 모드를 제어하는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와, 상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모드 및 처리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3)와, 상기 입출력장치(6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음향 효과 데이타를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기(604)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0), 발진기(300), 롬(200), 램(400), 입출력장치(500)의 구성은 통상의 마이컴(800)의 일반적인 구성이고, 상기 입출력장치(500)를 통해 각 주변장치(601-604)의 연결을 이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쉽게 연결할 수 있음을 밝혀 두며, 상기 키이매트릭스부(601),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 디스플레이 장치(603), 데이타 전송기(604)의 구성은 음향 효과 시스템(900)에 해당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의 메인(Main), 흐름도(Routine)이고, A, B, C, D, E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라벨(LABEL) 표시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초기화 서브 흐름도 및 램(RAM)번지 지정맵(MAP)도로서, 제3a도는 초기화 서브 흐름도이고, 제3b도는 지정램(RAM) 메모리 맵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키이 디코드(2) 과정의 구체 서브흐름도이고, F, G는 각 단계에서의 라벨(LABEL) 표시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음향 효과 수행모드(15) 과정의 구체 서브 루틴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지연시간 가변 모드(16) 과정의 서브흐름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돌비(DOLBY)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 지연시간 값 설정(19) 과정의 구체 서브 루틴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메모리 세트모드(17) 과정의 구체 서브 루틴이며, M은 각 단계에서의 라벨표시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의 디지탈 신호출력 연산 및 전송(7) 과정의 구체 서브흐름도이다.
(0)-(77)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키 위한 설정 명령 각 단계를 표시한 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의 콘트로러의 마이컴(800)은 원칩(One chip)으로 가능하고 일반적인 범용 디바이스(Device)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원칩 마이콤이라고 보면, 마이컴(800)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에 의하여 음향 효과 시스템(900)의 키이 매트릭스부(601)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 디스플레이 장치(603), 데이타 전송기(604)를 제어하며,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이 구성되도록 하는 중요 부분들을 모두 제어한다. 키이매트릭스부(6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프로그램에 의하여 판단한 후 그에 적합한 출력 신호를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 디스플레이 장치(603), 데이타 전송기(604) 등을 통해 내보낸다.
즉, 전원 연결후에 마이콤(800)은 제2도에서 초기화 설정 명령을 (0)과정에서 수행하여, 각부를 초기상태로 한다. 상기 (0)과정의 초기 조건에 의하여 "PRESENCE" 음향 효과 모드를 수행키 위해 (5) 과정에서 "오프" 이외의 모드 수행하는 설정명령을 수행한 후, 지연시간의 제어를 위해 (7) 과정에서 디지탈 데이타의 연산 및 전송을 수행한다. 이어서 (8)과정에서 지연 시간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루틴을 수행하고, 라벨(A)로 간다. 여기에서 키매트릭스부(601)에서 새로운 키이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1) 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의해 판별한 후 키이가 입력되면 (2)과정의 키이디코드 명령을 수행한 후, (4)과정에서 오프(OFF)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4) 과정에서 오프 모드는 음향 효과가 없는 모드이므로 디스플레이가 필요치 않게 되어 (6) 과정에서 오프모드 수행을 한후 계속해서 새로운 키이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한편, (3)과정의 처리는 오프모드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라벨(A)로 가며, 오프 이외의 음향 효과 모드에서는 (8)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수행명령을 수행한 후 다시 라벨(A)로 돌아간다. 상기 초기화 설정 명령의 처리 (2)과정을 제3a도의 초기화 흐름도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화 흐름도(제3a도)에서는 (9)과정에서 램(400)의 특정 번지를 지운다. 즉, 제3b도의 메모리 맵을 0080-00CO번지와 00CF-00FF 번지만 모두 클리어시키고, 00CO-00CF번지는 클리어 시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외부전원 차단후에도 백업 장치에 의하여 램(400) 번지의 내용은 지워지지 않도록 하여 외부전원이 온(ON) 후에도 00CO-00CF번지의 램(400)의 내용은 그대로 유지해야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번지에는 메모리 세트시킨 지연시간 데이타 값이 저장되어 필요시 이 데이타 내용을 읽어내어서, 다시 다른 데이타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설정명령(10)은 디지탈 음향 효과시스템의 초기 출력을 만족시키는 명령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 초기음향 효과 모드는 "PRESENCE" 음향 효과이다. 따라서 설정명령(10)을 수행후 <제2도>의 라벨(B)로 간다. 제2도의 오프 이외의 모드 수행(5)이 제4도의 음향 효과수행모드(15), 지연시간 가변모드(16), 메모리세트모드(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도의 (1)과정에서 키이 입력이 있으면 (2)과정에서 상기 입력키의 디코딩을 수행하고 제2도의 키이 입력 및 키이 디코딩은 제4도와 같이 실행되는데, 라벨(A)에서 (1)과정에서 키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13)과정에서 키이가 디코딩되는데, 중앙처리장치(100)가 입력된 키이의 기능을 판단한 후 (14), (15), (16), (17) 과정과 같이 오프모드(14), 음향 효과 수행모드(15), 지연시간 가변모드(16), 메모리 세트모드(17)로 구분하여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제5도를 참조하여 제4도에서 설정된 음향 효과 수행모드(15) 처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도의 (15)과정의 음향 효과 수행모드(15)는 "PRESENCE", "DOLBY", "MATRIX", "HALL", "SIMULATED"의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값을 (18)-(22)과정에서 설정하고, (23-27) 과정에서 상기 각 음향 효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토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설정명령(18)에서는 "PRESENCE"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지연시간 값을 설정하며, 설정명령(19)에서는 "DOLBY"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 지연시간값을 설정하며, 설정명령 (20), (21), (22)에서는 각각 "MATRXI", "HALL", "SIMULATED"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 지연시간값을 설정한다.
이는 키이 매트릭스부(601)를 통해 입력되는 키이 데이타를 입출력장치(500)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될시 중앙처리장치(100)가 상기 과정에서 체킹하여 음향 효과 수행 모드이면 상기 모드중에서 "PRESENCE", "DOLBY", "MATRIX", "HALL", "SIMULTED"에 대한 코드인가를 체킹한다. 상기 음향 효과 해당 모드에 따라 음향 효과 모드별로 제3b도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0)의 내부램이나 램(400)의 소정영역에 "PRESENCE"의 음향 효과 모드시(18) 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을 설정한 후 입출력장치(500)를 통해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0)로 (23)과정에서 "PRESENCE"모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에서 "PRESENCE" 음향 효과를 발생하도록 한다.
"DOLBY"모드시 상기와 같은 방법을 (19)과정에서 상기 제3b도와 같은 램 영역에 "DOLBY" 음향 효과 모드의 초기 지연값을 설정한 후 (24)과정에서 입출력장치(500)를 통해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로 "DOLBY"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DOLBY" 음향 효과를 발생하도록 한다. (20), (25) 과정의 "MATRIX" 음향 효과와 (21), (26) 과정의 "HALL" 음향 효과(22), (27) 과정의 "SIMULATER" 음향 효과도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넓은 범위의 음향 효과가 가능토록 하기 위해 지연시간의 가변을 할 수 있다. 이는 제4도의 (16)과정의 지연시간 가변설정 모드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제6도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6)과정에서 상기 입력되는 명령어 데이타로부터 L, R채널에 따른 시간증가, 감소모드여부를 체킹한다. 상기 체킹결과에 따라 "L"채널의 지연시간 증가 모드이면 (28) 과정에서 "L"채널의 지연시간 증가모드를 제3b도와 같은 램영역에 설정하고, 그리고 "L"채널의 지연시간 감소모드이면 (34)과정에서 "L"채널의 지연시간 감소모드를 설정하며 "R"채널의 지연시간 증가 또는 감소모드에 따라 (40, 46) 과정에서 "R"채널의 지연시간 설정모드를 각각 실행한다.
상기 (28) 과정에서 "L"채널의 지연시간 증가모드가 설정되면 (29)과정에서 10°자리 값이 0인가를 판단하여 10°자리의 값이 0이면 (31)과정에서 10' 자리값 증가명령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0) 과정에서 10°자리값 증가 명령을 수행한 후 (32)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이 90msec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설정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지연시간값이 90msec보다 크면 (33)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을 90msec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34) 과정에서 "L"채널의 지연시간 감소모드가 설정되면 (34)과정에서 10°자리값이 "O"인가를 판단하여 10°자리 값이 0이면 (37)과정에서 10'자리값을 감소 및 10°자리값을 "9"로 설정하는 명령을 수행한 후 라벨(J)로 가며, "O"가 아니면 (36) 과정에서 10°자리값을 감소하는 명령을 수행하며, 이어서 (38) 과정에서 지연 시간값이 1msec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이때 지연시간값이 1msec보다 작으면 (39)과정에서 설정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지연값을 1msec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40)과정에서 "R"채널 지연시간 증가 모드가 설정되면 (41)과정에서 10°자리값이 "O"인가를 체크하여 0이면 10'자리값을 증가시키고 10°자리값이 0이 아니면 (42)과정에서 10°의 자리값을 증가시킨 후 (44)과정에서 지연값이 90msec보다 큰가를 체킹한다.
상기 (44)과정에서 90msec보다 크면 (45)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을 90msec로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46)과정에서 "R"채널지연시간 감소모드가 설정되면 (47)과정에서 10°자리값이 0인가를 체킹하여, 여기서 0이면, (49)과정에서 10'자리값을 감소시키고 10°자리값을 "9"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47)과정에서 10°자리값이 0이 아니면 (48)과정에서 10°자리값을 감소시켜 (50)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이 1msec보다 작은가를 체킹한다. 여기서 작을시 (51)과정에서 지연시간값을 1msec로 설정한다.
상기 지연시간값을 1msec-90msec를 제한한 것은 이러한 지연시간 범위에서 디지탈 음향 효과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7도는 제5도의 지연시간 가변모드에서 "DOLBY" 음향 효과 모드인 경우 지연시간 범위를 제한하는 흐름도인데, "DOLBY"음향 효과의 지연시간은 1msec-90msec범위로 하지 않고, "DOLBY"음향 효과에서, 본 발명은 신호 지연시간을 10msec-30msec로 제한한다.
(52)과정에서 "DOLBY" 음향 효과인지를 체크하여 "DOLBY" 음향 효과가 아니면 라벨(G)로 가고, "DOLBY"음향 효과 모드이면 (53)과정에서 지연시간이 10msec-30msec인가를 판단하여, 이 조건을 만족하면 라벨(G)로 가고, 만족치 않으면 (54)과정에서 "L"채널 증가모드인가를 체킹한다. 상기 (54)과정에서 "L"채널 증가모드가 아니면 (56)과정에서 "L"채널 감소모드인가를 체킹한다. 상기 (56)과정에서 "L"채널 감소모드가 아니면 (58)가정에서 "R"채널 증가모드인가를 판단하여 "R"채널증가 모드가 아니면 (60) 과정에서 "R"채널지연 시간값 10msec로 설정하고, 상기 (58)과정에서 "R"채널 증가모드이면 (59) 과정에서 "R"채널지연 시간값을 30msec로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56)과정에서 "L"채널 감소 모드이면 (57)과정에서 "L"채널 지연시간값을 10msec로 설정하고 상기 (54)과정에서 "L"채널 증가 모드이면 (55) 과정에서 "L"채널 지연시간값을 30msec로 설정한다.
제4도에서 (17)과정의 메모리 세트 모드이면 제8도의 메모리 세트모드(61)로 들어가게 되는데 (62)과정에서 프리세트키이 명령인가를 상기 (62)과정에서 판단하여 프리세트 키이 명령이면 (63)과정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연시간값을 제2도의 메모리맵중 00CO-00CF 사이의 특정 번지에 저장한다. 상기 (62)과정에서 프리세트 키이 명령이 아니면, (64)과정에서 "DOLBY"음향 효과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64)과정에서 "DOLBY"음향 효과 모드일때 (65)과정에서 특정 램(400)번지의 지연시간값이 10msec-30msec 범위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65)과정에서 만족하지 않으면 제2도의 라벨(D)로 행하여 (8)과정의 디스플레이 명령을 수행하여 메모리 세트 모드 명령을 받아 들이지 않게되고, 상기 (64)과정에서 "DOLBY"음향 효과 명령이 아니거나, (65)과정에서 "DOLBY"음향 효과 명령에서 설정명령을 만족하면 (66)과정에서 특정의 램(400)번지에 저장된 지연시간값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라벨(G)로 간다.
상기 (2)과정에서 키이 디코드가 완료되면 (4)과정에서 "오프"인가를 체크한다. 상기 (4)과정에서 "오프"모드이면 (6)과정에서 "오프"모드를 수행하고 "오프"모드가 아니면 (5)과정에서 "오프"이외의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5)과정 수행후 (7)과정의 디지탈 데이타 연산 및 전송을 실행한다. 이에 대해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9도의 디스플레이 되고자하는 지연시간값을 계산하여, 디지탈 데이타값을 마이컴(800)의 중앙처리장치(100), 입출력장치(500)을 지나 전송 포트로 출력시켜 제1도의 데이타 전송기(604)로 출력시킨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 출력은 한번 명령으로 8비트밖에 전송시킬 수 없으므로 "L"채널 하위 바이트, "L"채널 상위 바이트, "R"채널 하위 바이트, "R"채널 상위 바이트 순으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67)과정에서 "L""R"채널의 지연시간 데이타 값을 계산한 후 (68)과정에서 "L"채널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69)과정에서 "L"채널 하위 바이트 데이타를 출력하고, (70)과정에서 "L"채널 하위바이트 데이타가 출력완료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데이타 출력이 완료되면 (71)과정에서 "L"채널 상위 바이트 데이타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L"채널 상위 바이트 데이타 출력이 완료되면 (73)과정에서 "L"채널 제어신호 클리어 및 "R"채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74)과정에서 "R"채널 하위 바이트 데이타를 출력한 후 (75) 과정에서 "R"채널 하위 바이트 데이타 출력 완료 여부를 체킹하여 완료되면 (76)과정에서 "R"채널 상위 바이트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R"채널 상위 바이트 데이타 출력 완료 여부를 체킹한 후 완료되면 제2도의 라벨(D)로 가서 제2도의 (8)과정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시행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마이컴을 이용한 디지탈 음향 효과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지연신호의 전송을 디지탈 신호로 전송 및 제어가 가능하며, S/N비 및 디스토션(Distortion)의 향상으로 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의 추가가 가능한 장점과 마이컴 제어에 의해 각 음향 효과 모드 제어하므로 키이구동용 및 디스플레이 구동용 IC가 필요치 않고 키이도 푸쉬 스위칭 대신 택트(TACT)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의 다운을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 회로에 있어서, 소정 명령어를 받아 프로그램에 의해 음향 효과에 따른 각 모드를 처리하여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할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및 음향 효과에 따른 고정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롬(20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제어클럭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발진기(30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될 프로그램 데이타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데이타를 랜덤(Random)으로 가지는 램(40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와 주변장치와의 데이타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입출력장치(500)와, 상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어나 각종 데이타 및 제어키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이매트릭스부(601)와, 상 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음향 효과 모드를 제어하는 음향 효과 모드 제어기(602)와, 상기 입출력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모드 및 처리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3)와, 상기 입출력장치(6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음향 효과 데이타를 전송하는 데이타 전송기(604)로 구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2. 디지탈음향 효과 처리방법에 있어서, 디지탈 음향 효과를 처리하기 위해 특정번지의 메모리 번지를 지우고 초기출력 만족 및 프리센스 음향효과를 세트시켜 초기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초기 조건에 의해 오프 모드 이외의 단순히 프레센스 모드를 수행하도록 지연시간을 연산하고 전송하며 지연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과정과, 키입력 유무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키입력이 없을시 음향 효과가 없는 오프 모드를 체크하여 오프 모드가 아닐시 디스플레이하며 키입력이 있을시 입력된 키를 디코딩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디코딩한 키입력으로 부터 오프 모드를 체크하여 오프모드시 오프 모드를 수행하며 오프 모드가 아닐시 오프 모드 이외의 음향 효과 수행 및 지연시간 가변과 메모리 세트 모드의 설정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 명령 처리에 따른 디지탈 데이타를 연산 및 전송하며 처리에 따른 상태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음향 효과 처리가 프리센스, 돌비, 매트릭스, 홀, 시뮬레이트 음향 효과 모드에 따라 초기 지연시간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모드초기지연값을 설정에 따라 각 모드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지연시간 가변 처리가 지연시간 가변 설정명령에서 L, R채널의 지연시간 증가/감소 모드 명령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L, R채널 지연시간 증가/감소 모드 명령 설정에서 10°자리가 제로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R, L채널 증가 모드에서 10°자리 값이 제로일 때 10'의 자리를 증가하고 제로가 아닐 때 10°자리값을 증가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단계에서 지연 시간값을 90msec에서 체크하여 90msec로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LR채널 감소모드에서 10°자리값이 제로일 때 10'자리값을 감소하고 10°자리값을 "9"로 설정하며 10'자리 값이 제로가 아닐 때 10°자리값을 감소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 단계로 부터 지연 시간값을 1msec에서 체크하여 1msec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1msec와 90msec설정단계에서 돌비음향 효과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돌비음향 효과 모드에서 지연시간값이 10-30msec범위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지연시간 10-30msec범위가 아닐시 L/R채널 증가 감소 모드를 체크하여 증가 모드일 때 채널 지연값을 30msec로 설정하고 감소 모드인 10msec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 세트 처리라 프리세트 키입력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세트 키가 입력시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지연값을 특정 메모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프리세트 키입력이 없을시 돌비 음향 효과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돌비 음향 효과시 특정 메모리 번지값이 10-30msec범위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돌비 음향이 아니거나 10-30msec 범위에 해당될 때 특정 메모리 번지영역의 지연시간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012463A 1987-11-05 1987-11-05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Expired KR91000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463A KR910000646B1 (ko) 1987-11-05 1987-11-05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463A KR910000646B1 (ko) 1987-11-05 1987-11-05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04A KR890008804A (ko) 1989-07-12
KR910000646B1 true KR910000646B1 (ko) 1991-01-31

Family

ID=1926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463A Expired KR910000646B1 (ko) 1987-11-05 1987-11-05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6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804A (ko)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646B1 (ko) 디지탈 음향 효과 처리회로 및 방법
US5241646A (en) Systems for changing hardware parameters using sub-CPU for sensing specialized key inputs and main CPU for changes
KR0167644B1 (ko) 다수의 통신 전송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US4831572A (en) Polynomial vector arithmetic operation control system
US4404556A (en) Bit expansion circuit
US56921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icrocomputer in an emulation mode to access an external peripheral
JPH07160392A (ja) キーコード可変キーボード
KR100357177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명령해석장치
KR920006289B1 (ko) 자기동조제어기에서의 부프로세서 제어방법
KR10042960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960009467B1 (ko) 홈버스 대응 가전제품 시뮬레이션 방법
KR970005559B1 (ko) 피엘씨의 접점 온/오프 제어회로
CN1082205C (zh) 模拟键盘按键于遥控器的方法和装置
KR100298164B1 (ko) 모듈화된 위성방송 수신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900700937A (ko) 래더 프로그램으로 동작할 수 있는 순서 제어기
KR950012121B1 (ko) 입출력 시뮬레이션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KR100275210B1 (ko) 시스템 콘솔의 특수키 제어방법
JP2000330879A (ja) 入出力チャネル試験方法および装置
KR0186202B1 (ko)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KR0154827B1 (ko) 자동 디스플레이 온 및 오프장치
KR100279500B1 (ko) 페이저의 정보 저장방법
KR100324317B1 (ko) 시리얼 프로그램 제어회로
KR100203349B1 (ko) 가변적으로 수신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수신처리장치
KR910012888A (ko) 자기동조제어기의 시스템 제어방법
JPH076461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デバッグ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2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