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1682B1 - 비상점멸등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점멸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682B1
KR0151682B1 KR1019960007617A KR19960007617A KR0151682B1 KR 0151682 B1 KR0151682 B1 KR 0151682B1 KR 1019960007617 A KR1019960007617 A KR 1019960007617A KR 19960007617 A KR19960007617 A KR 19960007617A KR 0151682 B1 KR0151682 B1 KR 015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state
emergency
signal
se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903A (ko
Inventor
다이 이시하라
가츠후미 나가토메
요시미츠 이시다
가즈나리 이시구로
노리오 다카하시
미츠오 호리에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이데 이사오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이데 이사오, 도요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6003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6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비상점멸등 장치에 있어서,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방향으로 각변위이동하면, 엘리베이터(54)는 화살표(X)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때, 가동접점(62)은 또한 변위되어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와 접촉하며, 그 결과 해저드 스위치가 온되어 방향지시등을 바상점멸 상태로 설정한다. 비상점멸상태에 있어서,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 방향과 실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턴 스위치는 온되어 비상점멸상태를 전기적으로 해제한다. 비상점멸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기구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스티어링 휠 부근에 컨트롤 레버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비상점멸상태는 비상점멸상태에서 방향지시상태로의 전환시에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Description

비상점멸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콕피트(cockpit)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상점멸등 장치의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중립상태로 유지된 좌우측 전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우측전환상태로 이동된 좌우측 전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레버 홀더에 의해 구동되는 접점 전환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중립상태로 유지되는 해저드(hazard),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패싱 상태로 이동된 해저드,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디머(dimmer) 상태로 이동된 해저드,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해저드 상태로 이동된 해저드,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5도의 화살표(Z1) 방향에서 본 해저드,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화살표(Z2) 방향에서 본 해저드,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를 제어하는 처리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에 있어서 비상점멸등태의 설정/해제 및 방향지시상태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의 타이밍 챠트.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에 있어서, 방향지시등을 비상점멸상태에서 방향지시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순서의 타이밍 챠트.
제14도는 컨트롤 레버의 선단부의 해저드 전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를 제어하는 다른 처리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처리회로에 대한 동작 순서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컨트롤 레버 54 : 변위부재
66 : 패싱 고정접점 68a, 68b : 해저드 고정접점
74 : 핀 78, 84, 88 : 스위치
96 : 비상점멸상태신호홀딩회로 98, 100 : 방향지시신호홀딩회로
120 : 해저드 스위치 122 : 턴 스위치
126R, 126L : 방향지시등 130, 136 : 개폐기구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의 설정조작을 행하는 컨트롤 레버와 일체화된 해저드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는 비상점멸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 레버를 조작하여 방향지시등을 온 상태로 설정하는 때에 해저드 스위치 기구를 조작하여 비상점멸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비상점멸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 및 정차 중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폭을 다른 차에 대하여 나타내기 위한 차폭등(side lamp), 야간 주행시의 전조등(head lamp) 및 좌우전환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지시등이 있다. 이들 조명장치는 스티어링 휠 주변에 설치된 컨트롤 레버 등에 의해 온/오프된다.
방향지시등은 또한 고장 또는 사고 등의 비상시에 차량이 정차중임을 다른 차에게 나타내는 비상점멸등으로서도 기능을 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칼럼에 설치된 해저드 스위치를 조작하면, 좌우측 비상점멸등, 즉, 좌우측 방향지시 등을 동시에 점멸하여 가까이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에게 본 차량이 정차중임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해저드 스위치의 배치 구조에 있어서, 해저드 스위치가 스티어링 휠과 소정 간격을 두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비상시에 차량을 정지시키려고 할 경우, 해저드 스위치를 신속하게 조작할 수 없어서 비상점멸 등을 순조롭게 온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저드 스위치와 기타 조명장치를 조작하는 컨트롤 레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비상정지상태를 해제하고 통상의 주행상태로 조작할 때 드라이버는 해저드 스위치를 오프하여 비상점멸 상태를 해제한 후, 컨트롤 레버를 조작하여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이러한 연속 스위치 조작은 번잡하다.
본 발명의 복적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비상점멸등의 설정상태를 다른 조명장치의 설정상태로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는 비상점멸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방향지시등의 설정조작을 행하는 컨트롤 레버에 의해 방향지시등의 설정을 위한 조작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컨트롤 레버를 조작할 때에 방향지시등을 비상점멸등으로서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하는 비상점멸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지시등을 점멸하여 비상점멸상태를 설정한 후, 방향지시등에 공급된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하고 방향지시등을 점멸하여 방향지시상태를 설정하는 비상점멸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예로서 나타낸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하기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콕피트를 도시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점멸등 장치에 있어서, 스터어링 휠(10)의 사프트 부분에 앞유리 와이퍼 및 조명장치를 조작하는 컨트롤 유닛(12)이 설치되어 있다. 앞유리 와이퍼는 컨트롤 유닛(12)의 컨트롤 레버(14)에 의해 조작될 수 있고, 조명장치는 컨트롤 유닛(12)의 컨트롤 레버(16)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방향지시등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램프(20L, 20R)를 구비하는 각종 인디케이터를 지지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8)이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L) 방향으로 상향으로 변위시키면, 좌측 방향지시등이 점멸되고, 화살표(R) 방향으로 하향으로 변위시키면, 우측 방향지시등이 점멸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P) 방향으로 당기면, 다른 차에 대하여 추월하라는 뜻을 전달하는 것이며,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D) 방향으로 당기면, 전조 등의 상향상태와 하향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 방향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18)을 향해 변위시키면, 좌우측 방향지시등이 동시에 계속적으로 점멸하는 비상점멸상태로 되는데, 다른 차에 대하여 비상 정차임을 전달한다.
조명장치를 조작하는 컨트롤 유닛(12)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컨트롤 유닛(12)은 제2도~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지시등을 조작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2도~제4도에 있어서, 컨트롤 레버(16)는 레버 홀더(22)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24)를 통해 삽입되고, 핀(26)에 의해 레버 홀더(22)에 지지되는 단부를 갖고 있다. 레버 홀더(22)는 컨트롤 유닛(12)의 케이싱(28)에 수납되어 있다. 레버 홀더(22)는 컨트롤 레버(16)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단부를 가로질러 상기 아치형 면과 소정 간격진 아치형 면(30a)과 상기 아치형 면(30a)과 동심으로 아치형 면(30a)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고서 뻗어 있는 한 쌍의 아치형 면(30b, 30c)을 구비하고 있다. 핀(26)은 아치형 면(30b 및 30c) 및 컨트롤 레버(16)를 통해 뻗어 있다. 아치형 면(30a, 30b 및 30c)은 케이싱(28)의 대응면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유지되므로, 레버 홀더(22)는 케이싱(28)내에서 각 운동가능하다. 레버 홀더(22)는 케이싱(28)의 단부(32a, 32b)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케이싱(28) 내에서의 레버 홀더(22)의 각운동을 한정하기 위해 아치형 면(30a)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있는 한 쌍의 단부(34, 34b)를 갖고 있다.
각 단부(34, 34b)에 인접하여 레버 홀더(2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공동에 턴 클릭 핀(36a, 36b)이 수납되어 있다. 턴 클릭 핀(36a, 36b)은 각각의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용하여, 외측단부가 레버 홀더(2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케이싱(28)은 각각 턴 클릭 핀(36a, 36b)을 수용하는 내벽면에 형성되어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L; 제1도 참조)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유지하는 한 쌍의 제1리세스(38a,38b)와, 각각 턴 클릭핀(36a,36b)을 수용하는 내벽면에 형성되어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L; 제1도 참조)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유지하는 한 쌍의 제2리세스(38c, 38d)와, 각각 턴 클릭 핀(36a, 36b)을 수용하는 내벽면에 형성되어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R; 제1도 참조)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유지하는 한 쌍의 제3리세스(38e, 38f)를 구비하고 있다.
턴 드라이브 샤프트(40)는 턴 클릭 핀(36b)에 인접하여 레버 홀더(22)의 코너에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드라이브 샤프트(40)는 케이싱(28)내에 배치된 턴 콘택트 홀더(42)와 맞물려 있다. 턴 콘택트 홀더(42)는 케이싱(28)에 고정된 턴 고정접점(44a, 44b, 44c)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턴 가동접점(46)을 지지한다. 턴 가동접접(46)은 컨트롤 레버(16)가 각각 중립위치, 화살표(L)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 및 화살표(R) 방향으로 변위된 위치로 존재하면 턴 고정접점(44a, 44b, 44c)과 접촉유지된다.
좌우측 방향지시등 또는 전조등을 패싱, 상향/하향 및 해저드 상태로 설정하는 기구는 제5도~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해저드 클릭 핀(48)은 레버 홀더(22)에 의해 지지되는 컨트롤 레버(16)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해저드 클릭 핀(48)은 통상 해저드 스프링(50)에 의해 컨트롤 레버(16)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레버 홀더(22)의 내면에는 해저드 클릭 핀(48)과 인접하게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L, R)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화살표(H) 방향(제1도 참조)으로 핀(26)을 중심으로 각 운동하면, 해저드 클릭 핀(48)은 경사면(52)과 맞물려서, 해저드 스프링(50)의 바이어스에 의해 컨트롤 레버(16)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킨다.
컨트롤 레버(16)의 단부와 인접하는 엘리베이터(54, 변위부재)는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H 및 P(D))방향으로 변위될 때 화살표(X 및 Y)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54)는 스프링(55a, 55b; 제10도 참조)에 의해 케이싱(28)내에 유지되며, 스탭형 핀(56)을 지지하고, 스텝형 핀(56)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동접점(62; 제9도 참조)은 스텝형 핀(56)의 단부(58)에 형성되어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된다. 스텝형 핀(56)은 케이싱(28)에 형성된 홀(64)에 끼워 맞춰지며, 홀(64)의 주변부에는 가동접점(62)과 대향하게 패싱 고정접점(66)이 형성되어 있다.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은 가동접점(62)과 엘리베이터(5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컨트롤 레버(16)가 중립위치로 되어 있으면, 가동접점(62)은 패싱 고정접점(66)과 해저드 고정접점(66)과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H) 방향으로 변위되면, 가동접점(62)은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과 접촉한다.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P(D)) 방향으로 변위되면, 가동접점(62)은 패싱 고정접점(66)과 접촉한다. 가동접점(62)과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은 결합하여 스위치기구를 구성한다.
시프터 핀(74, 제10도)은 홀더(70) 및 스프링(72)에 의해 엘리베이터(54)에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54)로부터 돌출하는 요동성단부를 갖고 있다. 시프터 핀(74)의 요동성 단부는 핀(76)에 의해 케이싱(28)에 각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디머 홀더(28)의 단부에 형성된 2개의 리세스(80a, 80b) 중 하나와 맞물려 있다. 디머 클릭 핀(84)은 디머 홀더(78)의 대향단부에 설치되어 스프링(82)에 의해 돌출되어 있다. 디머 클릭 핀(84)은 고정접점(87)을 통해 케이싱(28)에 지지되어 있는 디머 가동접점(88)에 대하여 인접하게 유지되는 단부를 구비한다. 고정접점(87)을 중심으로하여 요동가능한 디머 가동접점(88)은 디머 클릭 핀(84) 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디머 고정접점(90a, 90b)은 각각의 디머 가동접점(88)의 대향단부와 대향하게 케이싱(28)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되면, 디머 가동접점(88)은 디머 고정접점(90a)과 접촉하고,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D) 방향으로 변위되면, 디머 가(88)은 디머 고정접점(90b)과 접촉한다.
제11도는 컨트롤 유닛(12)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좌우측 방향지시등을 제어하는 처리회로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회로는 전원부(92),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4, 96, 98, 100), 채터링 방지회로(102, 104, 106), OR 게이트(108, 110, 112), D플립플롭(114) 및 증폭기(116, 118)로 구성되어 있다. 전조등을 패싱 및 상향/하향 상태로 제어하는 처리회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부(92)는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93)의 온조작에 따라 스타트 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13)에 접속되어 있다. 스타트 신호는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4) 및 OR 게이트(108)를 통해 D플립플롭(114)의 리세트 단자에 공급된다. 채터링 방지회로(102)에는 해저드 스위치(12)로부터의 해저드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해저드 신호는 채터링 방지회로(102) 및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6)를 통해 D 플립플롭(114)의 클록단자에 공급된다. 채터링 방지회로(104, 106)에는 각각 턴 스위치(122)로 부터의 좌우측 방향지시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좌우측 방향지시신호는 각각 채터링 방지회로(104, 106), 모노스테이블 멀리바이브레이터(98, 100) 및 OR 게이트(108)를 통해 D 플립플롭(114)의 리세트 단자에 공급되며, 또한 채터링 방지회로(104, 106) 및 OR 게이트(110, 112)를 통해 각각 증폭기(116, 118)에 공급된다. OR 게이트(110, 112)에는 D 플립플롭(114)으로부터의 Q 출력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증폭기(116, 118)는 OR 게이트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각각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턴 릴레이(124)에 공급한다. 턴 릴레이(124)는 증폭기(116, 118)로부터의 증폭신호에 의거하여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을 온/오프 제어한다.
OR 게이트(110, 112), D 플립플롭(114), 증폭기(116, 118) 및 턴 릴레이(124)는 결합하여 방향지시등설정수단으로서 작용하며, OR 게이트(108)는 비상점멸상태 해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해저드 스위치(120)는 제9도에 도시된 가동접점(62) 및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으로 구성된다. 턴 스위치(122)는 제4도에 도시된 턴 고정접점(44a, 44b, 44c) 및 턴 가동접점(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12) 및 상기 컨트롤 유닛(12)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방향지시등(126L, 126R)을 온/오프 제어하는 처리회로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제12도를 참조하여, 비상점멸상태의 설정/해제 및 방향지시등 상태의 설정을 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그니션 스위치(93)가 온되면, 전원부(92)로부터의 스타트 신호가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4) 및 OR 게이트(108)를 통해 D 플립플롭(114)의 리세트 단자에 공급되어 Q출력신호가 로우(low) 상태로 된다. OR 게이트(110, 112) 및 증폭기(116, 118)를 통해 턴 릴레이(124)로 공급된 제어신호가 오프로 되기 때문에, 좌우측 방향지시등도 또한 오프상태로 된다.
다음에는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된다. 즉, 컨트롤 레버(16)를 제5도의 중립위치로부터 핀(26)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H) 방향으로 각변위시켜서 제8도에 도시된 위치로 변위시킨다. 케이싱(28)내에 수납된 엘리베이터(54)가 컨트롤 레버(16)의 단부의 변위에 따라 스프링(55a, 55b)의 바이어스에 의해 화살표(X)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스텝형 핀(56)에 의해 엘리베이터(54)에 지지된 가동접점(62)이 변위되어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된다.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될 때 생성되는 해저드 신호는 채터링 방지회로(102) 및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6)를 통해 D 플립플롭(114)의 클록단자에 공급된다. 해저드 신호에 따라, D 플립플롭(114)은 Q출력신호를 하이(high) 상태로하여, OR 게이트(116, 118)를 통해 증폭기(116, 118)로 공급된다. 증폭기(116, 118)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턴 릴레이(124)로 공급하여,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을 온/오프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해저드 클릭 핀(48)이 레버 홀더(22)의 경사면(52)에 대해 탄성적으로 눌려진다.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지 않으면, 컨트롤 레버(16)는 해저드 스프링(50)의 바이어스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이 온/오프되는 비상점멸상태에 있어서, 컨트롤 레버(16)를 다시 화살표(H)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되어 해저드 설정신호를 D 플립플롭(114)의 클록단자에 공급한다. D 플립플롭(114)으로부터의 Q 출력신호가 로우상태로 되어, 방향지시등(126L, 126R)이 소등된다. 그리하여 비상점멸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비상점멸상태를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R)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우측 방향지시등(R)만이 온/오프되어, 해당 차량의 우측방향상태를 다른 차에게 인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컨트롤 레버(16)를 제2도에 도시된 중립위치로부터 화살표(R; 제3도)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레버 홀더(22)가 핀(26)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턴 클릭 핀(36a, 36b)이 케이싱(28)의 각각의 리세스(38e, 38f)에 맞물려서, 컨트롤 레버(16)가 화살표(R) 방향으로의 변위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홀더(22)의 코너에 설치된 턴 드라이브 샤프트(40)가 턴 콘택트 홀더(42)를 화살표(R)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가동접점(46)이 턴 고정접점(44c)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11도에 도시된 턴 스위치(122)는 우측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된다.
턴 스위치(122)에 의해 생성된 우측방향지시신호는 채터링 방지회로(104) 및 OR 게이트(110)를 통해 증폭기(116)로 공급된다. 증폭기(116)는 제어신호를 턴 릴레이(124)에 공급하여, 우측방향지시등(126R)만을 온/오프 제어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L)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우측 방향지시등(126R)이 오프되고, 좌측 방향지시등(126L)이 유사한 방법으로 온/오프 된다.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을 비상점멸상태에서 방향지시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제13도와 관련하여 후술할 것이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H)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되어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을 온/오프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R)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턴 스위치(122)가 우측 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된다. 턴 스위치(122)에 의해 생성된 우측방향지시신호는 채터링 방지 회로(104),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96) 및 OR 게이트(108)를 통해 D 플립플롭(114)의 리세트 단자로 공급되며, 또한 채터링 방지회로(104)를 통해 OR 게이트(110)로 공급된다. D 플립플롭(114)으로부터의 Q출력신호는 로우상태로 되고, OR 게이트(110, 112)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각각 하이 및 로우상태로 된다. 따라서, 증폭기(116)만이 제어신호를 턴 릴레이(124)로 출력한다. 비상점멸상태는 해제되고 우측방향지시등(126R)만이 온/오프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L)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우측방향지시등(126R)이 오프되고, 좌측 방향지시등(126L)이 온/오프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에서 방향지시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비상점멸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므로 드라이버는 비상점멸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필요가 없고, 비상점멸상태의 설정조직을 행하는 컨트롤 레버(16)를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저드 스위치(120)의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은 컨트롤 유닛(12)의 케이싱(28)내에 배치되며,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R, L)방향과 실제로 직교하는 화살표(H)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비상점멸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드 스위치(120)의 스위치 기구는 컨트롤 레버(16)의 선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관형절연부재(127)가 컨트롤 레버(16)내에 설치되고, 접점부재(128a)가 관형절연부재(127)를 통해 연장되며, 다른 접점부재(128b)가 관형절연부재(127)에 끼워 맞춰진다. 도전성 링(130)은 접점부재(128b)에 끼워 맞춰진다. 해저드 노브(132; 변위부재)는 컨트롤 레버(16)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도전성 코일 스프링(134)은 해저드 노브(132)와 링(130) 사이에 배치된다. 해저드 노브(132)는 코일 스프링(134)과 접촉상태로 유지되고 접점부재(128a)와 소정간격을 두고 있는 도전성 코일 스프링(136)에 의해 접점부재(128a)부터 분리되어 있다.
드라이버가 해저드 설정시에 있어서 해저드 노브(132)를 컨트롤 레버(16)의 방향설정조직방향과 실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면, 코일 스프링(136)이 접점부재(128a)와 접촉하게 되므로, 접점부재(128a, 128b)는 코일 스프링(134)을 통해 서로 접촉한다. 제11도에 도시된 해저드 스위치(120)가 해저드 설정신호를 생성하여 좌우측방향지시등(126L, 126R)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한다.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여 전조등을 패싱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향 하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P)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컨트롤 레버(16)의 단부가 엘리베이터(54)를 화살표(Y)방향으로 밀어서 스텝형 핀(56)에 지지된 가동접점(62)이 패싱 고정접점(66)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처리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상향상태의 조명을 패싱상태로 일시적으로 발하기 위해 전조등을 점멸제어한다. 엘리베이터(54)가 스프링(55a, 55b)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드라이버가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지 않으면, 컨트롤 레버(16)는 스프링(55a, 55b)의 바이어스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되어 패싱 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컨트롤 레버(16)를 화살표(D)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컨트롤 레버(16)의 단부가 엘리베이터(54)를 화살표(Y) 방향으로 민다. 이 경우, 시프터 핀(74)이 디머 홀더(78)의 리세스(80a)내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디머 홀더(78)가 핀(7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디머 클록 핀(84)이 디머 가동접점(88)을 밀게 된다. 디머 가동접점(88)이 디머 고정접점(87)을 중심으로 경사져 움직여서, 디머 고정접점(87)이 디머 고정접점(90a)과 접촉하게 된다. 전조등은 상향 상태로 된다. 드라이버가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지 않으면, 컨트롤 레버(16)가 스프링(55a, 55b)의 탄성력에 의해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디머 가동접점(88)이 디머 클릭 핀(84)에 의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전조등이 계속해서 온/오프되어 상향 상태로 전환된다.
컨트롤 레버(16)를 다시 화살표(D) 방향으로 각변위시키면, 시프터 핀(74)은 디머 홀더(78)의 다른 리세스(80b)로 이동된다. 디머 홀더(78)는 핀(76)을 중심으로하여 회전된다. 디머 가동접점(88)은 디머 고정접점(87)을 중심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디머 고정접점(87)이 디머 고정접점(90b)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전조등이 하향 상태로 전환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도에 도시된 처리회로의 OR 게이트(108, 110, 112) 및 D 플립플롭(114)을 CPU(중앙처리장치; 138)로 대체하여, 입력단자(a1~a4)에 공급된 신호에 따라 출력단자(b1~b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제15도에 도시된 처리회로의 다른 세부사항은 제11도에 도시된 처리회로와 동일하다. CPU(138)의 동작순서는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38)는 해저드 스위치(120)의 온 여부를 판정하여(스텝(S10)),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되지 않은 상태이고 턴 스위치(122)가 우측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되면(스텝(S12)), CPU(138)는 제어신호를 출력단자(b1, b3)로 출력한다(스텝(S12)). 출력단자(b1)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우측방향지시등(126R)을 온/오프 제어하고, 출력단자(b3)로부터의 제어신호는 통신부(140, 142)를 통해 미터 유닛(144)의 CPU(146)로 공급되어 인디케이터 램프(20R)를 온/오프 제어한다. 해저드 스위치(20)가 온되지 않고 턴 스위치(122)가 좌측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되면(스텝(S16)), CPU(138)는 제어신호를 출력단자(b2, b3)에 출력한다(스텝(S18)). 출력단자(b)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좌측방향지시등(126L)을 온/오프 제어하고, 출력단자(b3)로부터의 제어신호는 통신부(140, 142)를 통해 미터 유닛(144)의 CPU(146)로 공급되어 인디케이터 램프(20L)를 온/오프 제어한다. 턴 스위치(122)가 오프되면 좌우측 방향지시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CPU(138)는 출력단자(b1~b3)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스텝(S20)), 좌우측방향지시등(126L, 126R) 및 인디케이터 램프(20R, 20L)는 오프상태로 된다.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되면(스텝S10), CPU(138)는 좌우측방향지시등(126L, 126R)이 현재 비상점멸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2). 비상점멸상태에 있는 경우, CPU(138)는 해저드 스위치(120)의 온 상태를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하는 명령으로서 해석하여 출력단자(b1~b3)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정지한다(스텝S24). 따라서,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 및 인디케이터 램프(20R, 20L)는 오프상태로 된다. 달리 설명하면, 해저드 스위치(120)는 한 번 온 조작으로 비상점멸상태를 설정하고, 두 번째 온 조작으로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한다.
비상점멸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스텝S22), 해저드 스위치(120)의 온 상태가 유효하기 때문에(스텝S10), CPU(138)는 제어신호를 출력단자(b1~b3)로 출력하여(스텝S26),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 및 인디케이터 램프(20R, 20L)를 온/오프 제어한다. 그 결과, 좌우측 방향지시등(126L, 126R) 및 인디케이터 램프(20R, 20L)가 비상점멸상태로 설정된다.
비상점멸상태에 있어서, 턴 스위치(122)가 우측 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되는 경우(스텝S28), CPU(138)는 출력단자(b1~b3)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정지하여(스텝S24),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한다. 그 다음에, CPU(138)는 스텝(S10, S12, S14)의 처리를 행하여 우측방향지시등(126R) 및 인디케이터 램프(20R)를 온/오프 제어하여, 해당 차량이 우측방향으로 회전됨을 나타낸다. 비상점멸상태에 있어서, 턴 스위치(122)가 좌측 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으로 온되는 경우(스텝S30), CPU(138)는 제어신호를 출력단자(b1~b3)로 출력하는 것을 정지시켜서(스텝S24),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한다. 그 다음에, CPU(138)는 스텝(S10, S12, S16, S18)의 처리를 행하여 좌측 방향지시등(126L) 및 인디케이터 램프(20L)를 온/오프 제어하여, 해당차량이 좌측방향으로 회전됨을 나타낸다. 턴 스위치(122)가 오프되고 해저드 스위치(120)가 온되면(스텝S32), CPU(128)는 제어신호를 출력단자(b1~b3)로 출력하는 것을 정시시켜서(스텝S24),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상점멸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기구 및 다른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기구가 스티어링 휠 부근에서 컨트롤 레버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점멸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기구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성이 현저히 향상된 것이다. 또한, 비상점멸상태로부터 방향지시상태로의 전환을 행할 때, 비상점멸상태가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드라이버가 비상점멸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망각하는 위험을 당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점멸등을 장치는 조작성이 현저히 높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각종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방향지시등(126R, 126L)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버(16)와 함께 사용하는 비상점멸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버(16)와 결합되고 상기 컨트롤 레버(16)의 설정조작에 따라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방향지시상태로 설정하는 방향에 대해 실제로 직교하는 방향(H)으로 변위가능한 변위부재(54)와, 상기 변위부재(54)의 변위동작에 따라 접점을 폐쇄하여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칙 기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16)는 상기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여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방향지시상태로 설정하는 방향과 실제로 직교하는 방향(H)으로 설정한 후에 컨트롤 레버(16)를 중립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시키는 리턴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기구는 상기 컨트롤 레버(16)의 단부에 설치된 탄성부재(48, 50)와, 상기 탄성부재(48, 50)와 맞물릴 수 있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 레버(16)가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방향지시 상태로 설정하는 방향에 대해 실제로 직교하는 방향(H)으로 변위될 때 상기 탄성부재(48, 50)에 의한 상기 경사면(52)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컨트롤 레버(16)를 중립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비상점멸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조등을 상향 및 하향상태로 전환하는 핀(74)을 구비하는 스위치(78, 84, 88)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변위 부재(54)는 컨트롤 레버(16)를 상기 방향(H)과 반대방향(D, P)으로 변위시켜서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할 때 상기 스위치(78, 84, 88)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16)는 상기 컨트롤 레버(16)를 조작하여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방향지시상태로 설정하는 방향(R, L)을 따라 샤프트(26)를 중심으로 각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 등을 상향 및 하향상태로 전환하는 핀(74)을 구비하는 스위치(78, 84, 88)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재(54)는 컨트롤 레버(16)를 상기 방향(H)과 반대방향(D)으로 변위시켜서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할 때 상기 스위치(78, 84, 88)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재(54)는 상기 변위부재(54)의 변위동작에 따라 변위가능한 가동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기구(120)는 상기 변위부재(54)가 컨트롤 레버(16)에 의해 변위될 때 상기 가동접점(62)과 접촉될 수 있는 고정접점(66, 68a, 68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66, 68a, 68b)은 상기 컨트롤 레버(16)에 의해 상기 변위부재(84)가 한 방향(X)으로 변위될 때 상기 가동접점(62)과 접촉하여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해저드 고정접점(68a, 68b)과, 상기 컨트롤 레버(16)에 의해 상기 변위부재(54)가 다른 방향(Y)으로 변위될 때 상기 가동접점(62)과 접촉하여 전조등을 패싱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패싱 고정접점(6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전조등을 상향 및 하향 상태로 전환하는 핀(74)을 구비하는 스위치(78, 84, 88)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재(54)는 컨트롤 레버(16)를 상기 방향(H)과 반대방향(D)으로 변위시켜서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할 때 상기 스위치(78, 84, 88)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전조등을 상향 및 하향 상태로 전환하는 핀(74)을 구비하는 스위치(78, 84, 88)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재(54)는 컨트롤 레버(16)를 상기 방향(H)과 반대방향(D)으로 변위시켜서 상기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할 때 상기 스위치(78, 84, 88)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재(54)는 컨트롤 레버(16)를 축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컨트롤 레버(16)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기구(120)는 상기 변위부재(54)의 변위동작에 따라 접점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레버(16)에 설치된 개폐기구(130, 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2.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로 설정하는 비상점멸설정신호를 생성하는 해저드 스위치(120)와,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방향지시상태로 설정하는 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턴 스위치와, 각각 상기 비상점멸설정신호 또는 상기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방향지시등(126R, 126L)을 비상점멸상태 또는 방향지시상태로 설정하는 방향지시등 설정수단과, 상기 방향지시신호에 따라 상기 비상점멸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비상점멸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방향지시상태를 해제하는 상태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등 설정수단은 상기 비상점멸설정신호를 홀딩하는 비상점멸상태신호홀딩회로(96)와, 상기 방향지시신호를 홀딩하는 방향지시신호홀딩회로(98, 100)와, 상기 비상점멸상태신호홀딩회로(96) 또는 상기 방향지시신호홀딩회로(98, 100)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방향지시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회로(114)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해제수단은 상기 비상점멸상태신호홀딩회로(96) 및 상기 방향지시신호홀딩회로(98, 10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생성회로에 공급된 신호 중 연속공급된 한 신호를 우선적으로 공급하는 우선신호공급회로(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점멸상태신호홀딩회로(96) 및 상기 방향지시신호홀딩회로(98, 100)는 각각 모노스테이블 멀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신호공급회로(114)는 상기 비상점멸설정신호 및 상기 방향지시신호가 각각 공급되는 클록단자 및 리세트 단자를 구비하는 D 플립플롭(1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점멸등 장치.
KR1019960007617A 1995-03-20 1996-03-20 비상점멸등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51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60689 1995-03-20
JP6068995A JPH08253073A (ja) 1995-03-20 1995-03-20 非常点滅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903A KR960033903A (ko) 1996-10-22
KR0151682B1 true KR0151682B1 (ko) 1998-10-01

Family

ID=1314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617A Expired - Fee Related KR0151682B1 (ko) 1995-03-20 1996-03-20 비상점멸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9751A (ko)
JP (1) JPH08253073A (ko)
KR (1) KR0151682B1 (ko)
GB (1) GB2299211B (ko)
TW (1) TW387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3998B1 (fr) * 1998-09-28 2000-12-08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nostic du bon fonctionnement des lampes de feux de detresse d'un vehicule automobile
JP3727790B2 (ja) * 1998-11-19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2000208003A (ja) * 1999-01-19 2000-07-28 Tokai Rika Co Ltd レバ―スイッチ装置
US6239696B1 (en) * 1999-03-30 2001-05-29 New Holland North America, Inc. Signal light system for agricultural equipment
US6384351B1 (en) * 2000-03-23 2002-05-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Switch apparatus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FR2829071B1 (fr) * 2001-09-04 2005-08-05 Renault Module de commandes sous le volant
NL1020422C2 (nl) * 2002-01-23 2003-07-25 Robert Karel Gerard V Moosdijk Voertuig met waarschuwingssysteem.
JP4657198B2 (ja) * 2006-12-28 2011-03-23 東洋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ターンシグナル制御装置
US20090243882A1 (en) * 2008-04-01 2009-10-01 Willie Brown System and method for a manually operated vehicular hazard warning system
JP2013035462A (ja) * 2011-08-09 2013-02-21 Denso Corp 車載制御装置
CN103358984B (zh) * 2012-03-27 2016-03-30 武汉恒诺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转向灯警示灯智能控制方法
CN104332344A (zh) * 2014-11-20 2015-02-04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汽车组合开关变光结构
US10293744B1 (en) * 2016-06-23 2019-05-21 Jan H. Lovlie Automatic turn-signal system
CN107813705B (zh) * 2016-09-14 2022-06-14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汽车的危险指示灯开关组件
TWI619634B (zh) * 2016-12-09 2018-04-01 Compound locomotive parking light control module
JP7246976B2 (ja) * 2019-03-07 2023-03-28 東洋電装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JP7269758B2 (ja) * 2019-03-07 2023-05-09 東洋電装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BE1029193B1 (fr) * 2021-08-03 2022-10-06 Nicolai De Gorhez Maximilien Dispositif destine a eviter ou a limiter les consequences des carambolages sur routes et autorout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9789A (en) * 1951-07-12 1954-06-02 Hollins J R Automobile signalling circuits and switch therefor
GB733842A (en) * 1953-12-11 1955-07-20 Hollins J R Improvements in 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electric flashing signal lamps of motor vehicles
GB863927A (en) * 1958-04-10 1961-03-29 Signal Stat Corp Improvements in turn signalling systems for vehicles
USRE28479E (en) * 1969-06-18 1975-07-08 Combination turn-signal and hazard-warning system
US3914566A (en) * 1973-01-12 1975-10-21 Int Harvester Co Turn signal and hazard warning switch
US3934101A (en) * 1975-01-20 1976-01-20 Cherry Electrical Products Corporation Multiple circuit multiple switch having a pair of manually movable actuating elements
US4173013A (en) * 1978-02-21 1979-10-30 Joseph Spiteri Combination turn signal and hazard warning flasher with variable load
JPS6140043Y2 (ko) * 1979-03-10 1986-11-15
JPS642342Y2 (ko) * 1979-10-24 1989-01-19
DE3603820A1 (de) * 1986-02-07 1987-08-13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 fuer kraftfahrzeuge
US4739130A (en) * 1987-09-22 1988-04-19 Truck-Lite Co., Inc. Modular turn signal switch for heavy trucks
US5049706A (en) * 1990-05-25 1991-09-17 Rocher Daniel J Du Multifunction steering colum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05530D0 (en) 1996-05-15
JPH08253073A (ja) 1996-10-01
GB2299211A (en) 1996-09-25
TW387847B (en) 2000-04-21
KR960033903A (ko) 1996-10-22
US5739751A (en) 1998-04-14
GB2299211B (en) 1997-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682B1 (ko) 비상점멸등 장치
US4315117A (en) Electrical switch device
US4293743A (en) Combination switching means of lever type for motor vehicles
EP0976974B1 (en) Automobile headlight
JP2005138647A (ja) 車両用方向指示装置
JP2001508581A (ja) 車両用コラム装着スイッチアセンブリ
US4447683A (en) Automotive blinker or turn indicator switch
JPH0632170A (ja) コーナリング・ランプの点灯回路
EP1488955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KR100366215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CN222980335U (zh) 一种用于汽车灯光切换的组合开关结构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4319370B2 (ja) ディマースイッチ
KR20060067664A (ko) 자동차용 멀티 펑션 스위치
KR100440351B1 (ko) 칼럼at용시프트레버장치의시프트록기구
KR100192865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
KR200157127Y1 (ko) 비상등 작동시의 방향지시등 표시장치
JP4168783B2 (ja) ルーフランプのモード切り替え装置
US3379930A (en) Automotive lighting system
KR20030047309A (ko) 자동차의 방향지시 등화장치
JPS6319264Y2 (ko)
KR200158472Y1 (ko) 키 실린더의 플런져를 이용한 미등 및 안개등 제어장치
KR19990011429U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ES8707375A1 (es) Perfeccionamientos en conmutadores para el gobierno combinado de las luces indicadoras de direccion y de las luces de estacionamiento de un vehiculo automovil
KR20030018651A (ko) 자동차용 방향지시신호 자동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6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62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