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15612Y1 -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612Y1
KR0115612Y1 KR2019950010740U KR19950010740U KR0115612Y1 KR 0115612 Y1 KR0115612 Y1 KR 0115612Y1 KR 2019950010740 U KR2019950010740 U KR 2019950010740U KR 19950010740 U KR19950010740 U KR 19950010740U KR 0115612 Y1 KR0115612 Y1 KR 0115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oor panel
vehicle
cross memb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30U (ko
Inventor
윤영규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0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612Y1/ko
Publication of KR960037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면부에 프론트판넬(10:FRONT PANEL)의 일측상부가 차량의 전면유리(70)에 취부되고, 상기 프론트판넬(10:FRONT PANEL)의 일측타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내삽되어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일측부에 취부되며,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 하단부에 프론트크로스멤버(50)와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하단부에 취부되는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와 지지부(56)를 감싸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을 취부하여 상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과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용착부에 폐단면이 형성되므로,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의 강성이 향상됨은 물론 취부부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어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론트크로스멤버(50)와 플로어판넬(30:FLOOR PANEL) 분리되는 것을 억제 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 고안의 정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론트판넬 20:로우얼프론트판넬 .
30:플로어판넬 50:프론트크로스멤버
55:취부부 56:지지부
70:전면유리
본 고안은 버스나 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의 하단부에 취부되어지는 플로어판넬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전방에 취부되는 로우얼프론트판넬에 프론트크로스멤버와 프로어판넬를 함께 취부하여 충격하중에 대한 저항응력이 향상 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는, 제1도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부에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일측상부가 차량의 전면유리(70)에 취부되고, 상기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일측타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내삽되어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일측부에 취부되며,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부는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가 취부되며, 상기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지지부(56)에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취부되어 진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에 취부된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하단부에 취부된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지지부(56)에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일측부가 접하며 용착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는,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하단부에 일측이 취부된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단부에 취부된 흐론트크로스멤버(50)의 지지부(56)에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의 일측단부가 용착되는 것에 의해서만 상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설치됨에 따라 충돌사고등에 의하여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용착부위가 분리되어 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론트판넬의 하단부에 일측상단부가 취부된 로우얼프론트판넬의 타측하단부에 취부되는 프론트크로스멤버의 취부부와 지지부를 감싸며 플로어판넬을 용착시켜, 충격하중에 의한 저항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도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면부에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일측상부가 차량의 전면유리(70)에 취부되고, 상기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일측타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내삽되어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일측부에 취부되며,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 하단부에 프론트 크로스멤버(50)와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취부되는 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하단부에 취부되는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와 지지부(56)를 감싸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취부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프론트판넬(10:FORNT PANEL)의 하단부에 일측상단부가 용착된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단 하단부에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와 지지부(56)를 감싸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의 일측부가 용착되어, 상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과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용착부에 폐단면이 형성되므로,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의 강성이 향상됨은 물론 취부부의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므로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론트크로스멤버(50)와 플로어판넬(30:FLOOR PANEL)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프론트판넬(10:FRONT PANEL)의 하단부에 일측상단부가 용착된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단 하단부에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와 지지부(56)를 감싸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의 일측부가 용착되며, 플로어판넬(30:FLOOR PANEL)과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용착부위에 폐단면을 형성하여, 충격하중에 대한 저항응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취부부의 강성도 동시에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전면부에 프론트판넬(10:FRONT PANEL)의 일측상부가 차량의 전면유리(70)에 취부되고, 상기 프론트판넬(10:FRONT PANEL)의 일측타단부는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절곡되며 내삽되어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일측부에 취부되며,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 하단부에 프론트크로스멤버(50)와 플로어판넬(30:FLOOR PANEL)이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우얼프론트판넬(20)의 타측하단부에 취부되는 프론트크로스멤버(50)의 취부부(55)와 지지부(56)를 감싸며 플로어파넬(30:FLOOR PANEL)이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KR2019950010740U 1995-05-19 1995-05-19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KR0115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40U KR0115612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40U KR0115612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30U KR960037230U (ko) 1996-12-16
KR0115612Y1 true KR0115612Y1 (ko) 1998-04-23

Family

ID=1941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740U KR0115612Y1 (ko) 1995-05-19 1995-05-19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02B1 (ko) * 2012-09-14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부와 플로어부 조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02B1 (ko) * 2012-09-14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체부와 플로어부 조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30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561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취부구조
KR200234180Y1 (ko) 자동차의차체보강구조
KR012707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0142396Y1 (ko) 자동차 도어의 임펙트 바
KR200201346Y1 (ko) 자동차의 범퍼프레임과 후면판넬의 설치구조
KR200149395Y1 (ko) 차량용 리어 도어의 측단부 구조
KR0127070B1 (ko) 충돌대응 자동차의 도어부 구조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0114630Y1 (ko) 자동차의 프론트판넬 취부구조
KR0127072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970002214Y1 (ko) 자동차용 센터필라의 내부설치구조
KR0160035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충격흡수구조
KR0114628Y1 (ko) 차량의 측부 보강판 설치구조
KR200155528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회전방지용 브라켓트 구조
KR0115624Y1 (ko) 중간기둥과 백판넬의 취부구조
KR970000614Y1 (ko) 자동차의 앞차체 보강구조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100262167B1 (ko) 자동차 도어부의 보강구조
KR20020088746A (ko) 자동차의 루프판넬과 사이드아웃판넬의 연결구조
KR19980041726U (ko) 자동차용 루프(roof) 보강구조
KR19980055084U (ko) 자동차 범퍼의 사이드부 지지구조
KR970005987A (ko) 차량용 와이퍼의 취부구조
KR19980049863U (ko) 강성을 향상시킨 언더바디 크로스 멤버
KR19980045436U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로워 서포트 센터 멤버 형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5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