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2951Y1 -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951Y1
KR200152951Y1 KR2019950022096U KR19950022096U KR200152951Y1 KR 200152951 Y1 KR200152951 Y1 KR 200152951Y1 KR 2019950022096 U KR2019950022096 U KR 2019950022096U KR 19950022096 U KR19950022096 U KR 19950022096U KR 200152951 Y1 KR200152951 Y1 KR 200152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oor
impact bar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643U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2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951Y1/ko
Publication of KR970008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9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2Reinforcement elements including foams or expand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의 중앙에 도어 프론트 글래스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도어 프론트 글래스와 아우터 패널의 일측에 임팩트바가 취부되고 임팩트바의 후면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브라켓트를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의 후면에 패드를 취부하되 상기 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홀을 형성하여 브라켓트의 결합공과 일치시킨후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차량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측면 충돌시 내부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가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B-B 선을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임팩트바 200 : 브라겟트
300 : 패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형성되는 패드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아우터 패널과 도어 프론트 글래스 사이의 하단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의 소정위치에 브라켓트를 설치하여 볼트에 의해 패드를 취부함으로 차량의 측면충돌시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측면에 도어(1)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1)에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1)의 외측에는 아우터 패널(10)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패널(10)의 일측 하단부(11)에는 인너 패널(20)의 하단부(21)가 결합되어 형성 된 것이며, 상기 인너 패널(20)의 후면에는 도어 트림(30)이 취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패널(10)과 인너 패널(20)의 중간에 도어 프론트 글래스(40)가 취부되고, 상기 도어 프론트 글래스(40)의 하단부 양측에는 스티프너(50)가 취부되며 상기 스티프너(50)와 도어 프론트 글래스(40)의 사이에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1)의 보강구조를 사용되는 패드(60)를 끼워서 취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패드(60)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재질은 폴리우레탄 또는 플로프로필렌 발포재이므로 그 특성상 자동차의 부품의 취부방식(볼트,너트 스냅등)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 어렵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형성되는 패드의 취부구조는 상기 보강구조로 사용되는 패드(60)가 스티프너(50)와 도어 프론트 글래스(40) 사이에 끼워서 취부하게 됨으로서 차량의 충격시(도어를 열고 닫을때) 또는 측면 충돌시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럼으로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차량의 사고시 차량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의 아우터 패널과 도어 프론트 글래스 사이의 하단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의 소정위치에 브라켓트를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트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게 패드에 홀을 형성하여 후면에 취부하고 볼트에 의해 결합함으로 보다 간단하게 패드를 취부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내부에 탑승한 승원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형성되는 패드의 취부구조는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1)의 아우터 패널(10)과, 인너 패널(20)의 중앙에 도어 프론트 글래스(40)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도어 프론트 글래스(40)와 아우터 패널(10)의 일측에 임팩트바(100)가 취부되고 임팩트바(100)의 후면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 결합공(210),(220)을 형성한 브라켓트(200)를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200)의 후면에 패드(300)를 취부하되 상기 패드(300)의 상부와 하부에 홀(310),(320)을 형성하여 브라켓트(200)의 결합공(210),(220)과 일치시킨후 볼트(400)와 너트(50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어(1)의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프론트 글래스(40)와 아우터 패널(10)의 일측에 차량의 측면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임팩트바(100)가 취부되고, 상기 임팩트바(100)의 후면부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용접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 결합공(210),(220)을 형성한 브라켓트(200)가 취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200)의 후면에 패드(300)를 취부하되 상기 패드(300)의 상부와 하부에 홀(310),(320)을 형성하여 브라켓트(200)의 결합공(210),(220)과 일치시킨후 볼트(400)와 너트(50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럼으로 차량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패드(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측면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차량의 측면 충돌시 내부에 탑승한 승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의 중앙에 도어 프론트 글래스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도어 프론트 글래스와 아우터 패널의 일측에 임팩트바가 취부됨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바의 후면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상부와 하부에 결합공을 형성한 브라켓트를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트의 후면에 패드를 취부하되 상기 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홀을 형성하여 브라켓트의 결합공과 일치시킨후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2019950022096U 1995-08-24 1995-08-24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52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096U KR200152951Y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096U KR200152951Y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643U KR970008643U (ko) 1997-03-27
KR200152951Y1 true KR200152951Y1 (ko) 1999-08-02

Family

ID=1942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096U Expired - Lifetime KR200152951Y1 (ko) 1995-08-24 1995-08-24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9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643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00269484B1 (ko) 차량의 루프패널 충격흡수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200147061Y1 (ko) 차량의 후부 차체 구조
KR0133768B1 (ko) 자동차 전면기둥의 하부구조
KR0129214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모듈캐리어
KR200142632Y1 (ko) 자동차의 도어 충격흡수구조
JPH0986171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0134011B1 (ko) 자동차 도어의 외측판넬 보강구조
KR200188438Y1 (ko) 자동차의 카울 프론트 판넬의 보강구조
KR0173620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바디의 임팩트 바 결합구조
KR100357401B1 (ko) 자동차용 전면기둥
KR0114625Y1 (ko) 자동차용 앞차체 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0131508B1 (ko) 도어의 보강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KR100381540B1 (ko) 자동차용 보조범퍼의 설치구조
KR20014516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용 보강부재
KR0114629Y1 (ko) 차량의 측부 보강판 설치구조
KR19980048512U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 하단 취부 구조
KR19980022076A (ko) 리어 펜더 패널 보강장치
JPH0495546A (ja) 車室前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KR20030083202A (ko) 임펙트바 보강브라켓을 구비한 차량의 사이드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82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24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5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