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80009139A -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 - Google Patents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139A
KR980009139A KR1019960026878A KR19960026878A KR980009139A KR 980009139 A KR980009139 A KR 980009139A KR 1019960026878 A KR1019960026878 A KR 1019960026878A KR 19960026878 A KR19960026878 A KR 19960026878A KR 980009139 A KR980009139 A KR 980009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particles
fine
wastewater treat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6955B1 (ko
Inventor
사토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사토시 아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시 아라이 filed Critical 사토시 아라이
Priority to KR101996002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955B1/ko
Publication of KR98000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폐수, 산업폐수 등을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 정화시키는데 사용하는 미립화(微粒化)된 목질입자(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가지화(市街地化 )되지 않는 지역 즉, 외딴 개인주택(전원형주택) 축산농장, 별장, 야영장, 공원의 공중변소, 골프장 등과 식품가공공장, 수산물가공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폐수 또는 산업폐수를 간단한 방법으로 경제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별도의 미생물 배양체(종균)를 사용하지 않고 항구적으로 폐수를 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은 붉은 참나무등 천연나무 목재를 미세한 입자로 만든 폐수가 모여지는 폐수처리탱크(槽)에 일정한 두께로 넣어두면 미립목질입자에 폐수 등에 기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서식하게되어 증식하여 배양되므로 음식물 찌꺼기 및 기타 오물이 현탁된 폐수가 고액(固液)분리 되면서 폐수에 함유된 동식물성 지방이나 탄수화물을 상기 미립목질입자에 있는 배양된 미생물이 섭취 분해하여 폐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
본 발명은 생활폐수, 산업폐수등을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 정화시키는데 사용하는 미립화(微粒化)된 목질입자(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구의 증가 및 산업화에 기인하여 환경오염에 따른 지구 환경 파괴가 전 지구적으로 인류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 되었다.
특히 거대도시에 있어서 생활 오수 및 산업폐수는 하천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므로서 자연 생태계 파괴 및 사람의 식수 확보에도 커다란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수질오염 대책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대규모 폐수처리 시설에 관한 연구에 관한 것이고 소규모 단위의 하수 및 산업폐수 처리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것이 현실정이다.
즉, 전국적으로 발생되는 폐수 중 극히 일부 정도만이 대규모 정화처리 시설로서 정화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그대로 하천 등에 방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폐수처리는 폐수중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미생물 배양제를 폐수처리 탱크에 투입하고 이에 따른 미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적정한 온도 및 수분을 별도의 물리적 방법을 동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폐수정화 처리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 되었는데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가지화(市街地化)되지 않는 지역 즉, 외딴 개인주택(전원형주택) 축산농장, 별장, 야영장, 공원의 공중변소, 골프장 등과 식품가공공장, 수산물가공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폐수 또는 산업폐수를 간단한 방법으로 경제적으로 정화할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별도의 미생물 배양체(종균)를 사용하지 않고 항구적으로 폐수를 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은 붉은 참나무 등 천연나무 목재를 미세한 입자로 만든 폐수가 모여지는 폐수처리탱크(槽)에 일정한 두께로 넣어두면 미립목질입자에 폐수 등에 기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어 증식하여 배양되므로 음식물 끼꺼기 및 기타 오물이 현탁된 폐수가 고액(固液)분리 되면서 폐수에 함유된 동식물성 지방이나 탄수화물을 상기 미립목질입자에 있는 배양된 미생물이 섭취 분해하여 폐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에 사용되는 미립목질입자는 붉은 참나무(日本原産) 등 특정종류 목재를 가는 조각으로 입자화(粒子化)하는 것으로 상기 목재는 셀롤로우스가 부피비율로 65∼80%, 리그닌이 부피비 10∼25%,펜토산이 부피비 5-10%정도 함유되는 목재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성분을 갖는 목재를 목재 분쇄기에 의하여 크기가 0.5mm∼5mm인 입자로 분쇄하여, 입자가 갖는 표면적(表面積)을 입자체(粒子??) 1g당 30㎡가 되도록 하여 입자의 공극율이 대략 75∼80%가 되는 미립목질입자를 조한다.
이와같은 미립목질입자를 폐수처리장의 폐수 탱크에 투입하면 폐수에 섞여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인 부유물(SS)이나, 고형의 탄소 유기물(단백질, 지방 등)이 걸러져 폐수의 고액분리(固液分離)가 폐수가 일차 정화된다.
이렇게 1차 정화된 폐수는 미립의 목질입자 사이를 지나 침하(沈下)하는데 여기에는 아직도 유기물질들이 콜로이드 상태 또는 용존물(DS)상태로 존재한다.
그런데 폐수탱크내에 투입된 폐수속에는 이비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微生物)이 상당량 서식하는 것이 일반이다.
따라서, 이들 미생물을 상기 미립목질입자에 부착하는데 이 미립목질입자는 미생물의 서식(棲息)에 적당한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극소 미생물들이 미립목질입자의 표면 및 공극사이에 서식하는데 이 미립목질입자는 상기 한바처럼 대부분이 셀롤로우스로 이루어져 있기에 폐수의 보온재 역할을 하므로서, 폐수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나 미립목질입자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존조건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미립목질입자에 서식하는 형기성 미생물의 번식을 크게 돕게되는 것이다.(일종의 활성 오니법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폐수탱크내에 미립목질입자를 투입하므로서 미립목질입자에서 미생물군이 대단히 많이 증식되어지므로서 미생물 덩어리(Floc)으로 성장된다.
이들 증식된 미생물 덩어리는 폐수에 섞여있는 유기물질을 영양물질로 하여 섭취 분해하므로서 폐수내에 있는 오니가 분해 제거되어 폐수가 정화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은 세균, 원생동물로 구성되는데 상기 미생물을 플록 형성세균으로 알려진 주오글로에아 라미제라(Zoogloea ramigera)사상체를 형성하는 스페로틸러스 네이탄스(Sphearotilus natans)가 주류를 이루고 그밖에 아크로모막터(Achromobacter), 알카리젠스(Alcaligenes), 바실러스(Bacillus), 후라보박테리아(Flauobacterium), 시우도모나스(Phseudomonas)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생동물에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섬모충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미생물은 유기물 분해시 산소를 필요로 하고 호기성 미생물과 유기물 분해시 산소가 없어도 되는 혐기성 세균으로 혼성체이다.
이상과 같은 세균 및 원생동믈이 미립목질입자에 의하여 증식된 미생물군 플록(Floc)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폐수에 유기물로 섞여있는 오니(汚泥)를 소화 분해하는데, 그 기작을 살펴보면 증식된 미생물 플록을 갖고 있는 미립목질입자가 들어있는 폐수탱크에 폐수가 투입되면 상기한 바처럼 폐수가 미립목질입자를 통과하면서 부유물등 고형물이 걸려 고액분리를 행하여 고상의 오니(SS등)을 일단 비침전 콜로이성 유기물이 용해된 액상체와 분리하며 이렇게 분리된 고형물은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40∼50%인 것으로 미립목질입자에서 증식되어 다량서식하는 미생물군 플록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때 고형물 분해하는 호기성 미생물이며 중온균인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고 이들 초기성 중온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이 분해될 때 상당량의 열이 발생되는데 이들 열을 부유된 미립 목질입자에 전달되어 고형물 오니 또는 유기물이 콜로드 상태 또는 용존상태로 있는 걸러진 폐수에 2차 전달되어 이 폐수가 보온되는데 이 열은 미립목질입자 등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미생물군 플록중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돕게 된다.
즉, 이들 혐기성 미생물은 고온(대량 20。C이상)에서 소화 대사작용이 활발한 세균인데 호기성미생물의 활동의 결과 및 미립목질입자의 보온효과로 인하여, 본발명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을 사용한 폐수탱크내의 미립목질입자 체내의 온도가 70。C정도까지 상승되기에,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왕성해지므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폐수에 섞여있는 유기물질이 분해 소화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의 주된 원리는 폐수를 생물학적처리(生物學的處理)로서 정화하는 것인데, 상기 호기성 미생물의 호기성 대사는 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중 탄수화합물과 질소화합물을 섭취하여 분해하는데 호기성 미생물은 탄소화합물(CxHyO2)는 산소(O2)를 섭취하여 탄산칼슘(Co2)와 물(H2O)로 분해되면서 에너지(Q)를 (호흡)이 에너지의 일부를 이용 새로운 원형물 질소화합물을 섭취 질산염 또는 암모니아로 분해하면서 에너지를 얻고 새로운 원형물질을 얻는 것으로, 이 호기성 미생물의 호기성 대사를 통하여 폐수중 유기물은 BOD로 표현되는 탄소유기물 제거 및 질산화가 이루어지므로서 폐수는 정화되는 것이다.
상기 혐기성 미생물의 혐기성 대사는 산소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대사로서, 유기믈질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섭취되면 미생물체, 탄산가스,메탄가스, 암모니아,황화수소 등으로 발생되고, 혐기성 미생물에는 혐기성 분위기를 좋아하는 보통 혐기성 미생물과 절대 혐기성 미생물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미립목질 입자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의 경우 보통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고분자 유기믈 흡수분해가 이루어진다 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혐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질을 3단계에 걸쳐 섭취 분해하는데 첫단계에서 고분자 유기물은 간단한 유기물로 액화 또는 가수분해 한 다음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의 생성물이 초산, 아초산등 저분자 중간 생성물로 분해된다.
그리고 마지막단계에서 이를 유기물들이 메탄가스나 탄산가스 등의 간단한 최종 생성물로 변하게 된다.
즉, BOD로 표현되는 탄소화합물의 분해제거 및 탈질화가 혐기성 미생물의 대사작용으로 성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작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본 발명에 따른 미립목질입자체에 서식하여 증식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려면 적정의 산소와 적당한 온도 및 적정의 수분이 필요한데 폐수탱크내에 폐수가 투입될 때 폐수유입구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폐수가 떨어지면서 폐수탱크내 폐수의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대사)에 필요한 적정량의 산소를 용존시키도록 하며 적당한 온도는 미생물이 유기믈 분해하면서 발생시키는 일부를 이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립목질입자체가 폐수탱크의 부유되므로 폐수를 보온(保溫)시키므로서 혐기성 미생물의 생존 번식조건을 유효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미생물의 생존, 번식을 위한 적정의 수분을 상기한 바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의 공극율이 75∼80%이므로 미립목질입자체가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게 되므로 미립목질입자 내에 특히 혐기성 미생물이 생존 하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리 및 기작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폐수탱크내에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특별히 미생물을 배양한 미생물체를 투입하지 않고 미립의 목질입자만을 투입하면 미생물이 미립목질 입자에 의해 배양되어 배양된 미생물이 폐수의 유기물질을 분해 소화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경제적이고 폐수탱크내에서 미립목질입자가 부유되므로 미립목질입자체가 층을 이루므로 폐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발산을 막기 때문에 그만큼 폐수처리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미립목질입자의 수명이 오래가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폐수를 정화할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한 바처럼 종래의 폐수처리 방법에 비하여 간단한 설비로서, 폐수를 정화하도록 되어 있기에 도시화되지 않는 지역에서 비교적 소규모로 발생되는 주로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폐수를 정화할수 있기에 그만큼 활용범위가 넓다 할수 있겠다.

Claims (1)

  1. 셀롤로우스 부피비 65∼80%,리그닌이 부피비 10∼25%,펜토산의 부피비 5∼10%인 목재를 크기 0.5mm∼5mm인 미립목질입자로 분쇄하여 다수개의 미립목질입자인 미립목질입자체 1g당 총표면적이 30㎡가 되도록 한 미립목질입자체를 폐수가 모이는 폐수탱크에 투입하여 폐수에 섞인 유기물을 미립목질입자에서 배양서식되는 미생물이 소화분해 하도록한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6878A 1996-07-03 1996-07-03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10024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78A KR100246955B1 (ko) 1996-07-03 1996-07-03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78A KR100246955B1 (ko) 1996-07-03 1996-07-03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139A true KR980009139A (ko) 1998-04-30
KR100246955B1 KR100246955B1 (ko) 2000-03-15

Family

ID=1946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878A KR100246955B1 (ko) 1996-07-03 1996-07-03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22B1 (ko) * 2006-05-04 2007-07-06 대한주택공사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용 목질 바이오칩과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60B1 (ko) * 1999-05-11 2002-04-01 염규진 수차형 회전생물접촉방식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000024596A (ko) * 2000-02-22 2000-05-06 김경목 우드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및 슬러지 발효법
JP2002045876A (ja) * 2000-07-31 2002-02-12 Juyou:Kk 循環式水洗トイレにおける浄化槽の構造
KR20050113310A (ko) * 2004-05-25 2005-12-02 유림환경건설(주) 폐표고목의 생물막목편을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방법
KR102551196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순수 비타민 c를 안정화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51199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고농도 비타민 c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810B2 (ja) * 1992-09-09 1996-09-25 株式会社東洋製作所 高濃度有機排水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122B1 (ko) * 2006-05-04 2007-07-06 대한주택공사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용 목질 바이오칩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6955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en et al. Advanced integrated wastewater pond systems for nitrogen removal
McCarty The development of anaerobic treatment and its future
Xi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synchronous treatment of sewage and sludge by two vermifiltrations using an epigeic earthworm Eisenia fetida
Dhall et al. Biodegradation of sewage wastewater using autochthonous bacteria
CN101665310B (zh) 人工湿地处理污水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污水处理装置
KR20190003816A (ko) 폐수 처리 시설들에 의해 생성된 슬러지 감소 시스템 및 방법
CN104528947B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改性生物酶木炭填料
CN1391436A (zh) 畜牧系统中的废水纯化
Wang et al. Addressing the role of earthworms in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by analyzing biofilm modification through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CN101701197B (zh) 新型微生物菌群组合剂及其混合培养基
WO1990001465A1 (en) A process for the micro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and a microorganism for use in said process
KR980009139A (ko) 미립목질입자(微粒木質粒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廢水處理方法)
KR100778543B1 (ko) 유기성 축산분뇨의 자원화방법 및 그 장치
US6238564B1 (en) Sludge treatment method
KR100237972B1 (ko) 폐수처리용 액체미생물 처리제
CN108410754B (zh) 一种高盐重金属难降解有机废水处理及抗菌除臭的高效jm菌技术
CN1328192C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的综合处理方法
Nasr Treatment and reuse of sewage sludge
JP2006051493A (ja) 下水または有機性廃水スラッジ処理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KR19980019537A (ko) 회전원판법에 있어서 하수처리의 질소, 인 제거방법 (Method of eliminating nitrogen(N) and phosphorus(P) from drainage disposal in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process)
KR100291240B1 (ko) 회전원판법에 있어서 하수 및 오·폐수 처리의 질소, 인 제거방법
KR20100129108A (ko) 복합발효법에 의한 생쓰레기의 분해 및 소실 방법
JP2006212612A (ja) 複合微生物体系の複合微生物動態系解析における複合発酵法を用いた養豚糞尿分解消失処理方法
JP2000079384A (ja) 廃棄物化学生物処理システム
CN1305787C (zh) 一种污水综合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