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067Y1 -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067Y1
KR970004067Y1 KR2019910022397U KR910022397U KR970004067Y1 KR 970004067 Y1 KR970004067 Y1 KR 970004067Y1 KR 2019910022397 U KR2019910022397 U KR 2019910022397U KR 910022397 U KR910022397 U KR 910022397U KR 970004067 Y1 KR970004067 Y1 KR 970004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heet member
sheet
cutting to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2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417U (ko
Inventor
마사아키 나카야마
마사유키 오오카와
쥰이치 사이토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후지무라 마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후지무라 마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6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6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plate-like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ly on chip-form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절삭공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바이트를 표시하는 측면도이타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바이트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바이드를 표시학는 측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바이드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본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공구본체 21 : 립부작시이트부
22 : 시이트부재 23 : 드로우어웨이립
본 고안은, 바이트 밀링커터 등의 드로우어웨이식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이라고 약청함)과 탑부착시이트부 사이에 시이트부재를 개재시킨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절삭공구로서,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레버록식의 바이트가 알려져 있다.
이 도면에 표시하는 바이트는, 공구본체(1)의 선단부에 팁부착시이트부(2)를 형성함과 동시에, L자형상으로 굴곡한 클램프레버(3)와, 이 클램프레버(3)를, 그 굴곡부를 지지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클램프나사(4)를 설치하고 클램프레버(3)의 헤드부(5)와 팁(6)의 구멍(7)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팁(6)을, 시이트부재(8)를 개재하여 팁부착시이트부(2)에 압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4도에 표시하는 것은 클램프온식의 바b1트이며, 이 바이트는, 공구본체(10)의 선단부에 팁부착시이트부(11)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팁부착시이트부(11)에 시이트부재(12)를 나사(13)에 의하여 설치하고, 시이트부재(12) 상에 을려진 팁(14)을 클램프압착부재(15) 및 클램프나사(16)로 압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어떠한 바이트에 있어서도, 시이트부재(8), (12)는, 팁(6), (14)보다도 경도가 낮은 초경합금 또는 고속도강 등의 고경도재료로 구성된 소모공구의 일종으로서, 스스로 마모 또는 악화되므로, 공구본체(1), (10)의 손상마모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바이트에 있어서는, 시이트부재가 초경합금 등의 유연성이 없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삭가공중에 팁에 작용하는 진동이 시이트부재에 전달하기 쉽다.
그러므로, 심한 진동, 예컨대 불규척적인 미소진동이 발생했을 때 등은 시이트부재도 심하게 진동하며, 그 결과, 팁이 결손되기 쉬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절삭공구가 갖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구본체의 마모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불규칙적인 미소진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팁의 결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절삭공구는, 시이트부재를, 팁측보다도 팁부착시이트부측의 경도가 작아지도륵 적어도 2층구조로 한 것이다.
이 경우에, 시이트부재의 드로우어웨이팁측의 층(層)은 초경합금 또는 초고압소결체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의 바이트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표시하는 바이트는, 공구본체(20)의 선단부에 팁부착시이트부(21)가 형성되고, 이 팁부착시이트부(21)에, 시이트부재(22)를 개재하여 팁(23)이 올려짐과 아울러, 이들 시이트부재(22) 및 팁(23)이 클램프압착부재(24) 및 클램프나사(25)에 의하여 팁부착시이트부(21)에 압착고정되는 것으로, 이상의 점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3도의 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시이트부재(22)는, 팁(23)측과 팁부착시이트부(21) 측에서 재질이 다른 2충구조로 되어 있다.
즉, 팁부착시이트부(21)측의 제1층(22a)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연질금속으로 구성되고, 팁(23) 측의 제2층(22b)은 초경합금 또는 고속도강 등의 고경도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층(22a)의 두께는 제2충(22b)의 두께 보다도 얇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절삭공구에 있어서는, 팁(23)에 작용하는 진동이나, 충걱이 시이트부재(22)에 전달되어, 시이트부재(22)가 진동하려고 하면, 시이트부재(22)의 제1층(22a)이 탄성변형 혹은 소성변형하므로서 진동이 흡수되고, 이것에 의하여 팁(23)의 진동도 소멸한다.
또, 연질의 제1충(22a)이 팁부착시이트부(21)와 접촉하므로, 팁부착시이트부(21)의 약화나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경도가 높은 팁(23)과 접촉하는 제2층(22b)이 초경합금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이트부재(22) 자체의 마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절삭공구에 있어서는, 팁부착시이트부의 마모방지를 위하며, 시이트부재는 팁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되어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팁부착시이트(21)와 접촉하는 부분은 구리 등의 연질재이므로, 경도에 대한 제약은 받지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팁(23) 보다도 경도가 높은 초고압소결체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표시하는 절삭공구는 상기한 실시예와 거의 같지만, 시이트부재(20)의 구성이 제1도의 것과 다르다.
즉, 시이트부재(30)는, 팁부착시이트부(21)와 접촉하는 제1충(30a)이, 팁(23)과 점촉하는 제2층(30b)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또, 제1, 제2층(30a)(30b)의 재질은 제1도의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삭공구에서는, 연질재로 구성된 제1층(30a)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팁(23)에 작용하는 진동 및 충격을 한층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절삭공구에서는, 경질재로 구성된 제2층(22b)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제1층(22a)의 소성변형에 기인하는 치수의 오차가 적고,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어느 실시예도 제1, 제2층의 두께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로우어웨어팁을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절삭공구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시이트부재를 2층구조로 하고 있지만, 3층이상의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충이 서로 고착되어 시이트부재를 일체화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층의 재질을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하고 있지만, 주석 등의 다른 연질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층의 경도는 4∼45HB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이트부재를 팁측보다도 팁부착시이트측의 경도가 작게 되도록 적어도 2층구조로 한 것으로, 공구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불규칙한 미소진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팁의 결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공구본체의 팁부착시이트부(21)에 시이트부재를 개재하여, 드로우어웨이팁(23)이 장착한 절삭공구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부재(22)를, 드로우어웨이팁측 보다도 팁부착시이트부측의 경도가 작아지도록 적어도 2층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시이트부재(22)의 드로우어웨이팁측의 층을 초경함금 또는 고속도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KR2019910022397U 1991-02-25 1991-12-16 절삭공구 KR9700040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8879 1991-02-25
JP1991008879U JP2549492Y2 (ja) 1991-02-25 1991-02-25 切削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417U KR920016417U (ko) 1992-09-16
KR970004067Y1 true KR970004067Y1 (ko) 1997-04-29

Family

ID=1170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2397U KR970004067Y1 (ko) 1991-02-25 1991-12-16 절삭공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9492Y2 (ko)
KR (1) KR9700040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0533C2 (en) * 2016-02-12 2018-09-25 Plasmatrix Mat Ab Cutting tool assembly with controlled resilience using hyperelastic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601Y2 (ko) * 1986-09-11 1990-11-20
JPH0179513U (ko) * 1987-11-12 1989-05-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70806U (ja) 1993-09-24
JP2549492Y2 (ja) 1997-09-30
KR920016417U (ko) 199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174Y1 (ko) 쓰로우 어웨이식 절삭공구
KR100776555B1 (ko) 드릴링 공구 및 인덱서블 드릴 비트
WO1999000228A1 (en) Improved bandsaw
JPS62264808A (ja) 突切り又は溝切り工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切削用植刃
US20020184981A1 (en) Method of preventing tooth from continuously breaking in band saw blade, saw tooth structure of band saw blade used for the method and band saw blade with tooth having the same saw tooth structure
US4300862A (en) End milling tool
KR970004067Y1 (ko) 절삭공구
US5193945A (en) Cutting tool
JPS62166915A (ja) シエル型フライスカッターの取付方法
KR970004066Y1 (ko) 절삭공구
JP2004141970A (ja) ドリル
JP4011475B2 (ja) 切削工具
JP3249150B2 (ja) 切削工具
JP2556982Y2 (ja) 2段切り刃を有するセルフドリリングねじ
JPS60135564A (ja) 耐摩耗性金属摺動部材
JPH0871830A (ja) エンドミル
JP2000107923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サイドカッター
JP2728277B2 (ja) 鋸 刃
JP3230148B2 (ja) 穴明け工具
JP3060743B2 (ja) 転削工具
JPH07195228A (ja) 高硬度材加工用ブローチ工具
JPS621282Y2 (ko)
JPH04304907A (ja) 切削用工具
JPH0570808U (ja) ボーリングバーの装着構造
JP3379290B2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21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1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1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701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82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