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차량탑재용 CD플레이어 등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름이 작은 디스크와 지름이 큰 디스크를 디스크 구동부에 장전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위치결정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탑재용의 CD플레이어에서는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디스크가 디스크 이송기구에 의하여 내부로 송입된다. 이 디스크의 중심이 디스크 구동부의 턴테이블에 설치되고, 또한 클램퍼에 의하여 디스크가 클램프되어 회전구동되고 픽업에 의하여 정보가 재생된다.
최근에는 공통의 차량탑재용 CD플레이어에 있어서, 직경 12㎝의 CD와 직경 8㎝의 싱글 CD쌍방의 재생이 가능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직경이 다른 각각의 디스크 중성을 디스크 구동부의 턴테이블 상에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한 다른 직경의 디스크를 위치 결정하는 기구를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일본국 특원평 3-339672호에서 제안했다. 이 출원의 발명의 개요를 제20도와 제2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부호 100은 차량탑재용 CD플레이어의 박스체이고, 이 박스체(100)의 도면 우측부분이 디스크의 삽입구(101)로 되어 있다 직경 12㎝의 지름이 큰 디스크(D1)와, 8㎝의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는, 모두 상기 삽입구(101)로부터 박스체(100)내로 삽입된다. 박스체(100)내의 삽입구(101)의 내측에는 모터로 정역 구동되는 삽입배출롤러(102)와, 이 삽입배출롤러(102)로 디스크를 협지하는 핀치롤러(103)(또는 슈우)가 설치되어 있고, 디스크(D1 또는 D2)는 삽입배출롤러(102)의 회전구동력에 의하여 도면 좌방향으로 송입되고, 또는 도면 우방향으로 배출된다. 또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배출롤러(102)는, 삽입되는 디스크(D1 또는 D2)에 당접하는 위치 (가)와, 디스크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는 위치 (나)로 이동된다.
박스체(100)의 내부에는 디스크 구동부(10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디스크 구동부(104)의 스핀들(105)에 턴테이블(106)이 설치되고, 지름이 큰 디스크(D1)와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는, 각각 턴테이블(106)상에 위치결정되어, 도시 생략한 클램퍼에 의하여 디스크가 턴테이블(106)상에 클램프된다.
또 박스체(100)내에는 지름이 큰 디스크(D1)를 위치 결정하는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 107b)과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를 위치 결정하는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송입될때에는 디스크 삽입경로를 횡당하는 자세 (다)가 되고,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삽입될때에는, 디스크 삽입 경로로부터 대피하는 (라)의 자세가 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선출원예에서는 양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공통으로 고정된 전환축(109)이 설치되고, 이 전환축(109)의 회동에 의하여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다)의 자세와 (라)의 자세로 회동된다.
상세하게는,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삽입될 때에는 (다)의 자세에서 위치결정핀(108b)이 로크되고, 지름이 큰 디스크가 삽입될때에는 스프링력을 거쳐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라)의 자세로 회동되고, 또, 디스크가 배출된 상태에서는 스프링력을 거쳐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다)의 자세로 회동된다.
이 종류의 플레이어에서는 최소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삽입배출롤러(102)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여 전환축(109)을 회동시켜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을 (라)와 (다)의 자세로 구동하도록 했을 경우, 디스크의 배출동작과 위치결정핀(108a, 108b)의 (다)방향으로의 회동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턴테이블(106)에 클램프되어 있던 지름이 큰 디스크(D1)를 배출하는 경우, 디스크(D1)의 클램프를 해제하고, 삽입배출롤러(102)에 의하여 디스크(D1)를 삽입구(10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 직후에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이 (라)의 자세에서 (다)의 자세로 회동하기 시작해 버린다. 전환축(109)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거쳐 회동 구동되기 때문에, 이때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스프링에 의하여 지름이 큰 디스크(D1)의 상면에 탄성적으로 압접되어, 그대로 디스크(D1)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서로 섭동하게 된다.
그 결과,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배출될 때마다, 위치결정핀(108a, 108b)과 섭동하게 되어, 디스크(D1)의 상면에 상처가 생기기 쉽게 된다
또, 위치결정핀(108a, 108b)을 개별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면, 디스크(D1)의 배출과, 위치결정핀(108a, 108b)과의 회동의 타이밍을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어, 위치결정핀(108a, 108b)이 디스크(D1)와 섭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별개의 솔레노이드 등을 설치했을 경우에는, 박스체내에 배치되는 구동원의 수가 많고, 또 구동회로의 수도 증가하여 조립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많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디스크 이송기구의 구동원에 의하여 위치결정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디스크가 디스크 구동부로부터 확실하게 배출된 후에 위치결정 부재가 이동하도록 하여, 디스크가 위치결정 부재에 의하여 손상되는 일 등을 방지한 디스크 위치결정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 구동부에 대하여 지름이 작은 디스크와 지름이 큰 디스크를 송입 또는 배출하는 디스크 공급기구와, 디스크의 삽입경로에 위치하여 지름이 작은 디스크를 디스크 구동부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부재와, 상기 디스크 이송기구와 동일 동력원을 사용하여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디스크 삽입경로로부터 대피한 제1의 위치로부터 삽입경로를 횡단하는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상기 구동기구에의 동력전달경로에는, 디스크 구동부 위로부터 배출되는 지름이 큰 디스크가 상기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후에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타이밍 설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수단에 있어서, 동력전달경로에는 디스크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과, 이 캠에 의하여 직선구동되고 또한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전환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에는 그 소정각도의 회전동안만 전환부재를 이동시키지 않는 타이밍 설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는, 타이밍 설정부의 회전위상을 거친 후의 캠의 회전에 의하여 전환부재가 구동되는 동안에 이 전환부재와 맞물려 회동하는 구동기어와, 위치결정 부재의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하여 소정각도 회동되어 이 회동각도에 의하여 위치결정 부재를 제1의 위치로부터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종동기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수단에서는, 지름이 큰 디스크와 지름이 작은 디스크가 모터등에 의하여 구동되는 디스크 이송기구에 의하여 디스크 구동부 상에 공급되고, 또 재생등이 완료한 디스크는 이 디스크 이송기구에 의하여 삽입구로 배출된다. 지름이 작은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때에 그 경로상에 위치결정 부재가 대향하고. 지름이 작은 디스크는 이 위치결정 부재에 당접하여 디스크 구동부상에 위치결정되어 장전된다. 이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디스크 이송기구의 구동원과 동일 동력에 의하여 디스크 삽입경로로부터 대피하는 제1의 위치와 삽입경로를 횡당하는 제2의 위치로 이동시켜진다. 그리고, 지름이 큰 디스크가 배출될 때에는, 동력전달경로에 설치된 타이밍 설정부에 의하여 위치결정 부재의 이동이 지연되고, 지름이 큰 디스크가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를 완전하게 통과한 후에 위치결정 부재가 제2의 위치로 이동시켜진다.
또, 디스크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동력의 전달경로에는, 캠이 설치되고, 이 캠의 회전위상에 의하여 타이밍설정부가 형성되고, 이 타이밍 설정부에 의하여 전환부재의 동작이 지연되고, 이에 의하여 위치결정 부재가 제2의 위치로 이동하는 시기가 늦게 설정된다.
또,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에서는 상기 캠의 타이밍 설정부를 경과한 후의 회전위상에 의하여 전환부재가 소정량 이동되고, 이 전환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를 거쳐 위치결정 부재가 제2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차량탑재용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이송장치 및 동력전환장치를 나타낸 박스체의 측면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 1은 차량탑재용 디스크 장치의 박스체이다. 이 박스체(1)의 내부에는, 디스크 구동부(6)가 탄성부재를 거쳐 설치되어 있다. 제9도는 이 디스크 구동부(6)를 제3도의 aX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디스크 구동부(6)에는 지름이 큰 디스크(D1) 또는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설치되는 턴테이블(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2)은 디스크 구동부(6)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부(6)에는 클램프암(3)이 축(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클램프암(3)의 선단부에는 지름이 큰 디스크(D1) 또는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를 턴테이블(2)상에 위치결정하여 설치하는 클램퍼(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퍼(5)는 디스크(D1 또는 D2)가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하여 턴테이블(2) 방향으로 압접된다. 또 통상은 클램퍼(5)와 턴테이블(2)이 자력에 의하여 서로 끌어당기게 되도록 구성되고, 이 흡착력에 의하여 디스크(D1 또는 D2)가 턴테이블(2)과 클램퍼(5)로 협지된다.
또 디스크 구동부(6)에는 턴테이블(2)에 설치된 디스크(D1 또는 D2)에 대향하여 광학적으로 정보의 재생을 행하는 광학식 픽업(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차량탑재용 디스크 장치는 도면 우측이 디스크(D1또는 D2)의 삽입구이다.
이 삽입구측에는, 박스체(1)의 내측면에 지지된 축(11)이 고정되고, 이 축(11)에 롤러브래킷(12)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브래킷(12)은 박스체(1)의 측판(도면 앞쪽의 측판)(1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이 롤러브래킷(12)과 일체로 접어구부러진 연결판(12a)에 의하여, 다른 쪽의 측판(도면 안쪽의 측판)의 내측에 설치된 롤러브래킷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제5도에는 롤러브래킷(12)과 연결판(12a)의 평면형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 연결판(12a)의 도면 우단부는 위쪽으로 접 齋맏管??있고, 이 접어구부러진 부에, 장전된 디스크의 도시 우단부에 대향하는 차폐판(1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차폐판(12b)은 박스체(1)내에 송입되어 턴테이블(2)까지 가이드되는 도중의 디스크가 도면 우측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롤러브래킷(12)의 도면 우단부와 박스체(1)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8)이 걸려져 있고, 롤러브래킷(12)은 이 스프링(18)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상기 롤러브래킷(12)의 선단부에는 긴구멍(12c)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구멍(12c)내에 롤러축(13)의 단부 외주에 설치된 슬리브(14)가 삽통되고 있다.
또, 이 슬리브(14)는 박스체(1)의 축판(1a)에 형성된 원호홈(1b)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원호홈(1b)은 그 좌측에 설치된 기어축(15)을 중심으로 한 소정반경의 원호궤적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롤러축(13)에는 삽입배출롤러(16)가 고정되어 있다(삽입배출롤러(16)의 평면형성은 제5도 참조). 롤러브래킷(12)이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 롤러축(13)은 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제1도와 제3도에 나타낸 원호궤적(A)에서 회동하려고 하나, 롤러축(13)은 슬리브(14)를 거쳐 롤러브래킷(12)의 峨만?12c)내에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축(13)은 긴구멍(12c)내를 섭동하여 상기 원호홈(1b)에 따라, 기어축(15)을 중심으로한 원호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박스체(1)내에는, 삽입배출롤러(16)의 위쪽에 대향하는 롤러슈우(19)가 설치되어 있고,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홈(1b)에 가이드되어 롤러축(13)이 상승하면 삽입배출롤러(16)는 상기 스프링(18)의 가세력에 의하여 롤러슈우(17)에 압접하고, 디스크(D1 또는 D2)는 삽입배출롤러(16)와 롤러슈우(17)와의 사이에 협압된다.
롤러브래킷(12)의 도시우측의 하부에는 핀(21)에 의하여 구동링(22)이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링크(22)의 선단에는 제어핀(23)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제어핀(23)은, 박스체(1)의 측판(1a)에 형성된 가이드홈(1c)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c)은 직선부(a)와 원호부(b)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체(1)의 바닥부에는 모터(M)가 설치되어 있다. 박스체(1)의 측판(1a)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기어축(15)에는 지름이 작은 기어(26), 지름이 큰 기어(27) 및 지름이 중간인 기어(28)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3개의 기어(26, 27, 28)는 일체로 되어 회동한다.
상기 모터(M)의 출력축에 설치된 웜기어(25)는 상기 지름이 작은 기어(26)와 맞물려 있다. 또, 상기 롤러축(13)의 단부에는 종동기어(29)가 고정되어 있고, 이 종동기어(29)가 상기 지름이 큰 기어(27)와 맞물려 있다. 모터(M)의 동력이 웜기어(25)에 의하여 지름이 작은 기어(26)에 전달되면, 지름이 작은 기어(26), 지름이 큰 기어(27), 중간 지름의 기어(28)가 일제히 회전하고, 이 동력은 지름이 큰 기어(27)로부터 종동기어(29)에 전달되고, 이 종동기어(29)와 일체인 롤러축(13) 및 삽입배출롤러(16) ?구동된다. 단, 종동기어(29)와 롤러축(13)과의 사이에는 슬라이딩 클러치가 개재하고 있고, 삽입배출롤러(16)에의 부하가 클때에는, 이 슬라이딩 클러치에서 종동기어(29)와 롤러축(13)이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박스체(1)의 측판(1a)에는 동력전달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력전달기구(40)는 상기 모터(M)의 동력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환레버(31)에 전달하고, 이 전환레버(31)를 (B)-(C)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것이다.
이 전환레버(31)는 박스체(1)의 바닥부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B)-(C)방향으로 섭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전환레버(31)의 도면 오른쪽부에는 절곡편(31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절곡편(31a)에는 구동홈(31b)이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환레버(31)가 제1도의 위치로부터 (C)방향으로 거리(La)만큼 이동했을 때에 상기 구동홈(31b)이 구동링크(22)에 설치된 제어핀(23)에 감합하고, 그후,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Lb만큼 구동됨으로서 구동링크(22)를 거쳐 롤러브래킷(12)이 회동구동된다.
전환레버(31)의 포지션인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B)측으로 이동하고 있을때가 디스크(D)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고,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측으로 이동하고 있을때가 디스크 구동부(6)에서 디스크의 클램프가 완료된 상태이다. 제19도는 전환레버(31)의 (B)-(C)방향으로의 이동기리와 이 이동에 따른 각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동도면(b)에서는 전환레버(31)가 제1도의 위치에서 (C)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롤러브래킷(12)이 구동되기 시작하기까지의 거리(La)와 롤러브래킷(12)의 회동에 의하여 삽입배출롤러(16)가 제3도에 나타낸 위치까지 하강하기까지의 전환레버(31)의 이동량(Lb)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환레버(31)는 구동링크(22)를 거쳐 삽입배출롤러(16)를 상하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구동제어도 행한다. 예를 들면 전환레버(31)가 제1도의 위치로부터 (C)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도의 디스크 장전 완료 위치에 이르는 동안에 이 전환레버(31)의 이동력에 의하여, 클램프암(3)이 축(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클램퍼(5)에 의하여 디스크(D)가 턴테이블(2)에 클램프된다. 반대로 전환레버(31)가 제3도의 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도의 위치에 이르는 동안에, 클램 종?3)이 상승하여, 클램퍼(5)가 턴테이블(2)로부터 분리되어 디스크(D)의 클램프가 해제된다. 제19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31)가 구동될때에, 클램퍼(5)가 하강 또는 상승할때의 타이밍은, 상기 삽입배출롤러(16)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타이밍과 거의 동일하고, 클램프암(3)을 구동하고 있을때의 전환레버(31)의 이동량은 거의 Lb이다.
또, 턴테이블(2) 및 클램프암(3)이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6)는, 박스체(1)내에서 오일댐퍼나 에어댐퍼 등의 탄성부재를 거쳐 지지되어 있고, 제3도에 나타낸 디스크 재생시에는, 디스크 구동부(6)가 상기 댐퍼등에 의하여 부상지지된 상태가 되어, 차체진동이 디스크(D)의 재생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디스크(D)를 장전 또는 배출할때에는 디스크 구동부(6)가 박스체(1)의 내부에 로크되어, 디스크가 확실하게 장전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환레버(31)는 이 로크기구도 동작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낸 디스크 재생상태로부터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도에 나타낸 위치에 이르는 동안에, 상기 로크기구가 전환레버(31)에 의하여 구동되어, 디스크 구동부가 박스체(1)내에서 로크된다.
제19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31)가 제3도에 나타낸 디스크 재생위치로부터 (B)방향으로 맨먼저 Lc만큼 이동했을때에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동작이 행하여진다. 반대로 제1도의 상태로부터 디스크 재생모드로 이행할때,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이동할때의 최후의 Lc의 거리 이동에 의하여 상기 로크기구의 로크가 해제된다.
여기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브래킷(12)을 구동하는 구동링크(22)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핀(23)이 구동홈(31b)에 계지되어 가이드홈(1c)의 직선부(a)를 따라 우측방향으로 거리(Lb)만큼 이동되었을때, 구동링크(22)를 거쳐 삽입배출롤러(16)가 하강되고, 반대로, 제어핀(23)이 직선부(a)를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될때 삽입배출롤러(16)가 상승된다. 또 가이드홈(1c)의 원호부(b)는 제3도에 나타낸 위치에 있는 핀(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궤적이기 때문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배출롤 ?16)가 하강한 후에, 다시 전환레버(31)가 거리(Ld)만큼 이동하여 제어핀(23)이 원호부(b)내를 이동하는 동안, 롤러브래킷(12)은 구동되지 않는다.
제19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크기구에 의하여 디스크 구동부(6)를 부상상태로부터 로크시키거나 또는 로크해제시킬때의 전환레버(31)의 이동(Lc)은, 제어핀(23)이 원호부(b)내를 이동하고 있는 거리(Ld)내이다. 즉, 전환레버(31)가 제1도의 삽입대기상태로부터 (C)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클램퍼(5)가 하강하여 삽입배출롤러(16)의 하강이 완료하고, 디스크 구동부(6)에의 디스크 장전이 완료한 후에, 디스크 구동부(6)의 로크해제가 개시된다. 반대로 전환레버(31)가 제3도의 디스크 클램프 상 쨌觀壙?(B)방향으로 이동할때에는, 전환레버(31)가 맨먼저 Lc만큼 이동하여 디스크 구동부(6)가 로크된 후에 클램퍼(5)가 상승하여 디스크 클램프가 해제되고, 또한 삽입배출롤러(16)가 상승한다.
다음에 상기 동력전달기구(4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4도는 주로 동력전달기구(40)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일부단면도, 제7도는 동력전달기구(40)를 박스체(1)의 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제7도 등에 있어서, 부호 1d는 박스체(1)의 일부로 되어 있는 기구지지판이다. 이 기구지지판(1d)은 제1도 등에 나타낸 박스체(1)의 측판(1a)의 의축에 간격을 두거나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는 기구지지판(1d)과 박스체(1)의 측판(1a)이 일체이더라도 좋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구지지판(1d)의 내측에는, 타이밍 레버(41), 전환기어(42), 원판캠(43)이 순서대로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다. 제6도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캠(43)에는 링상보스(43a)가 형성되어 이 보스(43a)가 전환기어(42)의 중심구멍(42a)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기구지지판(1d)에 고정된 지지축(44)이 원판캠(43)의 중심구멍(43b)에 삽입되어 있다. 이 지지구조에 의하여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이 각각 독립하여 지지축(4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기어(42)의 기구지지판(1d)측의 면에는 링상보스(42b)가 형성되고, 이 링상보스(42b)가 기구지지판(1d)에 닿음으로서 전환기어(42)와 기구지지판(1d)과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타이밍 레버(41)는 이 간극내에 개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기어(42)는 제1도 등에 나타낸 상기 중간지름기어(28)와 맞물려 있다.
원판캠(43)의 더 안쪽에는, 레버구동암(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구동암(45)의 상단의 지지구멍(45a)은, 기구지지판(1d)에 설치된 지지축(49)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구동암(45)의 하단에는 구동편(45b)이 설치되고, 이 구동편(45b)이 상기 전환레버(31)에 형성된 홈(31c)에 계합되어 있다. 레버구동암(45)의 암 선단에는 폴로우핀(45c)이 설치되고, 이 폴로우핀(45c)이, 원판캠(43)의 내측표면에 형성된 캠홈(43c)내에 이동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원판캠(43)이 회전하면, 캠홈(43c)의 環璨?따라 레버구동암(45)이 지지축(49)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구동되고, 그 요동방향에 따라, 상기 전환레버(31)가 (B)방향 또는 (C)방향으로 구동된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환기어(42)의 배면에는 지지돌기(42c)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레버(41)에 형성된 구멍(41a)은 이 지지돌기(42c)에 삽통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타이밍레버(41)는 전환기어(42)와 함께 지지측(4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또 타이밍레버(41)는 전환기어(42)에 대하여 지지돌기(42c)를 중심으로 하여 섭동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타이밍레버(41)에는, 주위에 롤러(46)가 회전자유롭게 외장(外裝)된 타이밍핀(47)이 설치되어 있고, 이 타이밍핀(47)은 전환기어(42)에 형성된 긴구멍(42d)내를 통과하여 원판캠(43)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전환기어(42)의 배면에는 돌기(42e)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42e)와 타이밍레버(41)의 자유단과의 사이에 스프링(48)이 걸쳐지고, 이 스프링(48)의 가세력에 의하여 타이밍레버(41)는 지지돌기(42c)를 중심으로 하여 제7도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제1도등에서는 시계방향)으로 가세 품?있다. 또 타이밍레버(41)의 자유단 부근에는 하방향으로 뻗는 해제돌기(4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구지지판(1d)에는 전환기어(4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1쌍의 해제핀(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레버(41)에 형성되어 있는 해제돌기(41b)는, 어느 타이밍일때에 상기 해제핀(51)과 당접하고, 해제돌기(41b)의 경사면에 의하여 타이밍레버(41)는 지지롤기(42c)를 중심으로 하여 제7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제3도 등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어지게 된다.
상기 전환기어(4)의 긴구멍(42d)의 외주위치에는, 침강(沈降) 가이드홈(42f)이 형성되어 있다. 또 원판캠(43)의 외주면의 1개소에는 기동홈(4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레버(41)는 스프링(48)에 의하여 제7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규제가 없는 경우에는, 이 스프링(48)의 가세력에 의하여 타이밍핀(47) 및 롤러(46)가 상기 기동홈(43d)내로 떨어져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판캠(43) 보다도 더욱 박스체 안쪽의 위치에는 트리거레버(1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리거레버(56)는 박스체(1)의 상부를 덮는 커버(70)에 설치된 지지핀(57)을 지정으로 하여 수평면 방향으로 회동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스프링(58)에 의하여 제7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트리거레버(56)에는 폐쇄판(56a)과 그 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섭동판(56b)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트리거레버(56)의 자유단에는 자성체제의 흡착부재(59)가 핀(59a)에 의하여 회동자유롭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핀(57)이 설치된 커버(70)에는 상기 흡착부재(59)에 대향하는 전자석(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리거레버(56)는 스프링(58)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세력에 의하여 섭동판(56b)은 상기 전환기어(42)의 내측표면에 접촉하고, 이 접촉상태인 채 전환기어(42)가 회전한다. 전환기어(42)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위상 즉 침강가이드홈(42f)이 상향의 회전위상이 되면 섭동판(56b)이 이 침강가이드홈(42f)내에 빠져들어가고, 이때 폐쇄판(56a)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의 개구부(원판캠(43)의 외주면이 잘리는 부분)를 폐쇄한다 따라서, 긴구멍(42d)으로부터 돌출하여 전환기어(42)와 함께 회동하는 타이밍핀(47)은, 기동홈(43d)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원판캠(43)의 외주면에서 폐쇄판(56a)의 위를 통하여 그대로 외주면을 이동하도록 한다.
또, 제7도 이외의 회전위상에서 섭동판(56b)이 전환기어(42)의 내표면을 섭동하고 있을때(침강 가이드홈(42f)에 들어가 있지 않을때)에는, 트리거레버(56)는 제5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진 상태가 되어, 상기 흡착부재(59)가 전자석(60)의 철심(60a)에 접촉 또는 약간의 간극으로 대향하게 된다. 이때 전자석(60)의 코일에 통전하면, 흡착부재(59)는 철심(60a)에 흡착된다. 흡착부재(59)가 철심(60a)에 흡착되면 전환기어(42)의 침강가이드홈(42f)이 섭동판(56b)에 대향 ?회전위상이 되어도, 섭동판(56a)은 침강가이드홈(42f)내에 들어가지 않고, 폐쇄판(56a)에 의하여, 원판캠(43)의 기동홈(43d)은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에는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내에 들어가고, 그후는 전환기어(42)와 함께 원판캠(43)이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에 의하여 지름이 작은 디스크를 위치결정하는 기구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박스체(1)의 내부에는, 디스크 구동부(6)가 댐퍼 등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부상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체(1)의 상부를 덮는 커버(70)에는, 절곡편(70a, 70a)이 설치되고 이 절곡편(70a, 70a)에 형성된 지지구멍(70b, 70b)에 전환축(71)이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전환축(71)에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고정되어 있다. 전환축(71)의 대략 90도 회동에 의하여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은 (라)의 수평자세와 (다)의 수직자세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수직자세 (다)일때, 삽입구로부터 보내진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에 닿아 위치 결정되고, 이때 지름이 작은 디스크(D2)의 중심이 턴테이블(2) 상에 위치 결정된다.
또,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체(1)의 안쪽에는 지름이 큰 디스크(D1)를 위치결정하는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과 107b)이 설치되어 있어,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삽입구로부터 보내졌을 때, 디스크(D1)가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 107b)에 닿고, 그 중심부가 턴테이블(2) 상에 위치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과 107b)은 클램프암(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9도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축(71)의 단부에는, 종동기어로서의 섹터기어(72)와 스프링걸이암(7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환레버(31)의 좌단에는 스프링걸이핀(7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걸이핀(74)과 상기 스프링걸이암(73)의 구멍(73d)에 토션스프링(75)의 각각의 암(75a, 75b)의 선단이 계지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이동한 시점에서는, 토션스프링(75)이 스프링걸이암(73)에 대하여 f1방향의 힘을 가하고, 따라서 전환축(71)에 설치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수직자세 (다)에서 안정된 방향으로 가세된다. 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클램프 완료상태에서,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75)에 의하여 스프링걸이암(73)에 f2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따라서, 이때에는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수평자세 (라)에서 안정되는 방향으로 가세된다.
상기 박스체(1)의 측판(1a)에는, 구동기어부재(80)가 축(81)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부재(80)는, 부분기어(82와 83)가 접합되어 있다. 제1도 및 제13도 (a)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환레버(31)의 도시 좌단부분의 상변에는 랙(3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랙(31d)과 상기 한쪽의 부분기어(82)의 톱니부(82a)가 맞물리기 가능한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또, 제13도 (a)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기어(82)에는 톱니부(82a)의 톱니선단의 가장자리부에 연속하는 섭동 ?8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3도 (a)등에서는, 다른쪽의 부분기어(83) 및 그 톱니부(83a)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3도 (b)등은 이 부분기어(83)의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부분기어(82)와는 별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부분기어(83)의 톱니부(83a)는, 상기 섹터기어(72)에 맞물릴 수 있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또, 구동기어부재(80)에는 스프링걸이핀(8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스프링걸이핀(84)과, 박스체(1)의 측판(1a)에 고정원 핀(85)과의 사이에 중립스프링(코일스프링)(86)이 걸쳐져 있다. 제1도, 제3도 및 제13도(a)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어부재(80)의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기어부재(80)는 중립스프링(86)에 의하여 중립자세에서 안정되는 방향으로 가세된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구동부(6)의 새시(6a)의 상면에는 훅(91)이 축(9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훅(91)은 디스크 구동부(6)에 설치된 모터동력에 의하여 회동 구동된다. 그리고, 이 훅(91)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한쪽의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b)의 선단에 설치된 계지돌기(90)가 (다)의 자세로 훅(91)의 홈(91a)에 유지되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이 로크된다. 이 로크는 삽입되는 것이 지름이 작은 디스크(D2)이라고 검지되었을 때에 행하여지고, 지름이 큰 디스크(D1)라고 검지되었을 때에는 훅(91)은 구동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동력전달기구(40)에 의한 동력전달의 전환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1도 (a) 내지 (d)는 동력전달기구(40)에 있어서의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의 회전위상을 나타내고, 제12도 (a) 내지 (d)는 원판캠(43)이 회전할때 캠홈(43c)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구동암(45)의 요동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1도와 제12도는 모두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은 방향에서 동력전달기구(40)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M)의 동력은 웜기어(25)로부터 지름이 작은 기어(26)에 전달되고, 이 지름이 작은 기어(26)와 함께 회전하는 중간 지름의 기어(28)로부터 전환기어(42)에 전달된다. 디스크(D)가 삽입될때에는, 모터(M)의 동력에 의하여 전환기어(42)는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F)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또 디스크(D)가 배출될때에는, 모터(M)의 동력에 의하여 전환기어(42)는 제3도에 있어서 시계방향((E)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전환기어(42)가 (F)방향으로 회전구동될때에는 같은 모터(M)의 동력에 의하여 종동기어(29) 및 삽입배출롤러(16)가 마찬가지로 (F)방향으로 구동되고,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회전 구동될때에는, 종동기어(29)와 삽입배출롤러(16)가 마찬가지로 (E)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도의 상태에서는, 원판캠(43)은 제11도 (a)에서 나타낸 위상이고, 제12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구동암(45)에 설치된 폴로우핀(45c)은 원판캠(43)의 캠홈(43c)의 개시단의 홈부(d)에 감입하여, 원판캠(43)과 레버구동암(45)이 로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레버구동암(45)의 구동편(45b)이 계합하고 있는 전환레버(31)는 ,(B)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원판캠(43)은 그 자세인 채 폴로우핀(45c)에 의하여 로크되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모터(M)가 시동하면, 전환기어(42)만이 (F)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전환기어(42)가 (F)방향으로 회전할때, 스프링(48)에 의하여 가세된 타이밍레버(41)에 설치된 타이밍핀(47)은 전환기어(42)의 긴구멍(42d)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원판캠(43)의 외주면에 압접되고, 타이밍핀(47)의 외주에 설치된 롤러(46)가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전동한다. 모터(M)가 시동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5도의 제7도에 나타낸 전자석(60)의 코일에는 통전되지 않고, 트리거레버(56)는 스프링(58)에 의하여 항상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이 가세력에 의하여 섭동판(56b)이 전환기어(42)의 내측표면에 당접하여, 전환기어(42)의 회전에 의하여 섭동판(56b)의 선단과 전환기어(42)의 표면이 항상 섭동하고 있다. 또 전환기어(42)가 대략 360도 회전할때마다 섭동판(56b)이 전환기어(42)의 침강 가이드홈(42f)내에 들어가고, 이 들어간 때에만 섭동판(56b)의 하측에 설치된 폐쇄판(56a)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의 개구부에 들어가 이것을 폐쇄한다(제8도의 상태).
즉 상기 타이밍핀(47)은 긴구멍(42d)으로부터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침강가이드홈(42f)과 거의 같은 위상에서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 상을 통과하려고 할때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홈(43d)이 폐쇄판(56a)에 의하여 막히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핀(47)은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이동하여, 기동홈(43d)을 막는 폐쇄판(56a)상을 이동함으로서 기동홈(43d)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그대로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이동한다 즉 제1도의 상태에 ?모터(M)의 동력에 의하여 전환기어(42)가 (F)방향으로 시동되어도, 당초는 원판캠(43)이 회동하지 않고, 전환기어(42)만이 회전하여, 전환기어(42)와 함께 이동하는 타이밍핀(47)은 기동홈(43d)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이동한다.
상기의 회전을 계속하고 있을 때에는, 삽입배출롤러(16)와 롤러슈우(7)로 디스크(D1 또는 D2)가 협지되고, 삽입배출롤러(16)의 (F)방향의 연속회전에 의하여 디스크(D1 또는 D2)는 박스체(1)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도중의 어느 타이밍 즉, 이 실시예에서는 지름이 큰 디스크(D1)의 경우에는 이것이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 107b)에 닿은 시점, 또 지름이 작은 디스크(D2)의 경우에는 이것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에 닿은 시점(제2도에 나타낸 시점)에서 제5도와 제7도에 나타낸 전자석(60)에 통전된다.
이 통전에 의하여, 흡착부재(59)는 전자석(60)의 철심(60a)에 흡착된다. 즉, 제5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60)의 철심(60a)에 접촉하거나 좁은 간격으로 대향하고 있는 흡착부재(59)가 철심(60a)에 흡착되어, 트리거레버(5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환기어(42)의 회전에 의하여 침강가이드홈(42f)이 섭동판(56b)의 위치에 오더라도 이 섭동판(56b)이 침강가이드홈(42f)내에 들어가는 일 없이 폐쇄판(56a)에 의하여 기동홈(43d)은 폐쇄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긴구멍(42d)으로부터 돌출하는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의 위치로 이동하면, 타이밍레버(41)를 가세하고 있는 스프링(48)의 힘에 의하여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내에 들어간다(제2도와 제11도(b)참조). 따라서 이후의 전환기어(42)의 (F)방향의 회전에 원판캠(43)이 추종하고, 嬖픔?43)이 함께 (F)방향으로 회전한다.
전환기어(42)와 원판캠(42)이 함께 (F)방향으로 회전하는 최초의 단계에서, 폴로우핀(45c)은 원판캠(43)의 캠홈(43c)의 홈부(d)로부터 빠져나와 직선상의 기동부(e)내를 통과한다(제2도 (b)참조). 이때 레버구동암(45)은 (F)방향으로 작은 각도 회동되어, 레버구동암(45)의 구동편(45b)에 의하여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짧은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 전환레버(31)의 이동거리를 제19도에서는 L1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2도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폴로우핀(45c)이 기동부(e)의 중단에 이동하여, 전환레버(31)가 상기 L1의 거리만큼 (C)방향으로 이동하면, 폴로우핀(45c)이 캠홈(43c)에서 지지축(4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타이밍 설정부(f)내를 이동한다. 이때는 폴로우핀(45c)이 타이밍 설정부(f)를 이동할 뿐으로 전환레버(31)는 정지한 그대로이다. 이 전환레버(31)가 정지하고 있을때의 전환기어(42) 및 원판캠(43)의 회전각도를 제12도 (c)에서 부호 θ로 나타내고 있다. 제19도 (e)에서는 전환레 ?31)가 L1만큼 (C)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정지하고 있을때의 시간을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의 회전각도(θ)로 나타내고 있다.
제12도 (b)에서 (c)사이에 원판캠(43)이 θ만큼 회동하면, 폴로우핀(45c)은 캠홈(43c)의 종단구동부(g)에 들어간다. 그 후에 원판캠(43)이 (F)방향으로 각도 α만큼 회동할 때에, 레버구동암(45)이 (F)방향으로 크게 구동되고, 구동편(45b)에 의하여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의 전환레버(31)의 (C)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제19도에서 L2로 나타내고 있다. 이 L2의 거리는 최초로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기동될 때의 거리(L1)보다도 2배 이상 길어져 있다.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이 제12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θ+α)의 각도 만큼 회전하여,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의 이동이 완료하면, 제11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레버(41)에 설치된 해제돌기(41b)가, 기구지지판(1d)에 설치된 해제핀(51)에 닿아, 타이밍레버(4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출되고, 타이밍핀(47)은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나와 원판캠(4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폴로우핀(45c)은 캠홈(43c)의 종단구동부(g)의 종단부에 계합하여, 이 상태에서 원판캠(43) 및 레버구동암(45)이 로크된다. 따라서 제11도 (c)와 제12도 (d) 및 제3도에 나타낸 각도에서 원판캠(43)의 회동은 정지하고, 전환기어(42)만이 (F)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나와 약간의 각도 만큼 회동한 시점에서 모터(M)가 정지하고, 전환기어(42)가 정지한다. 이것이 제3도에 나타낸 디스크 클램프 완료상태이다. 또한 제5도와 제7도에 나타낸 전자석(60)은 이 시점까지 계속 통전되고, 제3도의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통전이 정지하고, 트리거레버(56)가 자유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3도의 디스크 클램프 상태로부터 모터(M)에 의하여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모터(M)에 의하여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구동되면, 전환기어(42)와 함께 타이밍레버(41)가 함께 회동하고, 이 타이밍레버(41)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밍핀(47)이 원판캠(43)의 외주면을 이동한다. 이때에는, 최초부터 전자석(60)에는 통전되지 않고, 트리거레버(56)는 자유상태이다. 이때의 당초의 원판캠(43)의 회전위상은 제3도에 나타낸 각도이고, 기동홈(43d)은 폐쇄판(56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약간 회동한 시점에서 타이밍레버(41)를 가세하고 있는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하여 타이밍핀(47)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내에 들어간다(제11도 (c)참조).
그후는 전환기어(42)의 회전에 원판캠(43)이 추종하여 (E)방향으로 회전한다.
원판캠(43)이 전환기어(42)에 추종하여 (E)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 최초의 시점에서는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구동암(45)의 구동편(45b)에 의하여 전환레버(31)가 L2만큼 (B)방향으로 구동되고, 그후 캠홈(43c)의 타이밍 설정부(f)에 의하여, 원판캠(43)이 θ만큼 회전하는 사이, 전환레버(31)는 정지한다. 폴로우핀(45c)이 타이밍 설정부(f)내의 종단에 달하여 기동홈(e)으로 이동하면,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L1만큼 구동되어 제12도 (a)에 나타낸 위상으로 되돌아가고, 이 시점에서 홈 ?d)에 폴로우핀(45c)이 들어가서 원판캠(43)과 레버구동암(45)이 로크된다. 이때 제11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레버(41)의 해제돌기(41b)가 해제핀(51)에 닿고, 타이밍레버(41)가 반경외측으로 밀려나와, 타이밍핀(47)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회전할때에는, 전자석(60)에의 통전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트리거레버(56)는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나온 후는 전환기어(42)만이 (E)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고, 타이밍핀(47)이 다음에 원판캠(43)의 기동홈(43d)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트리거레버(56)를 가세하고 있는 스프링(58)의 힘에 의하여 섭동판(56b)이 전환기어(42)의 침강가이드홈(42f)에 들어가서, 폐 酬?56a)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홈(43d)을 페쇄하고, 타이밍핀(47)은 기동홈(43d)내에 들어가지 않고 원판캠(43)의 주위를 계속 회전한다. 즉, 원판캠(43)이 제12도 (d)로부터 동도면(a)의 위상으로 되돌아가면, 그후는 전환기어(42)만이 회전하고, 소정의 회전수 만큼 회전한후, 즉 디스크가 배출된 기점에서 모터(M)가 정지한다.
다음에 제9도와 제10도에 나타낸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의 동작 및 디스크의 삽입과 배출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3도 내지 제18도는 위치결정 부재의 구동기구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a)는 구동기어부재(80)의 한쪽의 부분기어(82)와, 전환레버(31)에 형성된 래크(31d)와의 맞물림 관계를 나타내고, (b)는 부분기에(83)와 섹터기어(72)와의 맞물림 관계를 별개로 나타내고 있다.
[디스크의 삽입동작]
먼저, 디스크(D1 또는 D2)가 삽입되면, 삽입 검지부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제1도의 대기상태로부터 동력전달기구(40)의 전환기어(42)가 (F)방향으로 시동하고, 삽입배출롤러(16)가 같은 (F)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삽입배출롤러(16)와 롤러슈우(17)로 협지된 디스크(D1 또는 D2)가 도시 좌방향으로 들어간다. 이때 아직 전환레버(31)는 (B)방향으로 이동한 채 움직이지 않고, 제13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75)은 스프링걸이암(73)을 f1방향으로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지름이 작은 위치 甦ㅗ?108a와 108b)은 수직자세 (다)가 되어 있다.
여기에서 삽입된 것이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라고 검지되었을 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래크(91)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b)의 선단의 계지돌기(90)가 래크(91)의 홈(91a)에 유지되고,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이 수직자세 (다)로 로크된다. 따라서 삽입배출롤러(16)의 (F)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송입된 지름이 작은 디스크(D2)는,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에 닿아, 그 중앙부가 턴테이블(2)상에 위치결정된다. 이 위치결정된 상태는, 제20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또, 삽입된 것이 지름이 큰 디스크(D1)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훅(91)이 구동되지 않고,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과 108b)은 로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배출롤러(16)에 의하여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송입되면 그 외주부가 제13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자세로 되어있는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에 닿는다. 디스크(D1)의 삽입 제공력에 의하여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이 밀리고, 전환축(71)과 함께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은 (라)방향으로 회전 홱?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이 (라)방향으로 회전되면, 토션스프링(75)의 가세력의 작용방향이 변하여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은 (라)의 수평자세로 안정된다. 이와 같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와 108b)이 (라)방향으로 피하여 그 방향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지름이 큰 디스크(D1)는 그대로 박스체내에 삽입되어, 클램프암(3)의 하면에 고정된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 107b)에 닿고, 디스크 중앙부가 턴테이블(2)상에 위치 결정된다.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에 닿아 위치결정되고, 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지름이 큰 위치결정핀(107a, 107b)에 닿아 위치결정된 시점에서 동력전달기구(40)의 전자석(60)이 흡착되고, 그후의 전환기어(42)의 회전으로는, 트리거레버(56)의 폐쇄판(56a)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을 폐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환기어(42)의 (F)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과 계합하여 원판캠(43)이 (F)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 磯? 원판캠(43)의 캠홈(43c)의 기동홈(e)에 의하여, 전환레버(31)는 먼저 제19도에 나타낸 L1의 거리만큼 (C)방향으로 이동 구동되고, 그후 캠홈(43c)의 타이밍설정부(f)에 의하여 전환레버(31)가 정지하여 원판캠(43)만이 회전하고, 다시 그후 캠홈(43c)의 종단구동부(g)에 의하여 전환레버(31)가 L2만큼 구동되어 제3도의 상태가 된다. 또한 그 동안 디스크(D1 또는 D2)는 위치결정핀(108a, 108b 또는 107a, 107b)에 닿아 있고, 또한 종동기어(29)는 (F)방항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종동기어(29)와 롤러축(13)과의 사이는 슬라이딩 클러치에 의하여 슬라이딩이 생긴다.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거리(L1과 L2)만큼 이동하는 동안, 제13도와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레버(31)의 래크(31d)는 부분기어(82)의 섭동면(82b)을 섭동할 뿐이고, 중립스프링(86)에 의하여 당겨져 있는 구동기어부재(80)의 회전각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15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75)의 가세방향은 f2방향으로 변하여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수평자세 (라)의 방향으로 가세된다.
제15도에 나타낸 시점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송입될 때에는, 이 디스크(D1)에 밀리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이미 (라)의 자세로 회동하여 안정되어 있다. 반대로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제9도에 나타낸 훅(91)에 의하여, 토션스프링(75)의 가세방향에 관계없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수직자세 (라)로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디스크(D2)의 경우에는,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훅(91)을 구동하여 로크를 해제하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토션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하여 (라)방향으로 튀어오르게 된다. 이 로크를 해제하는 타이밍은, 제19도에 있어서 클램프암(3)이 하강하여 클램퍼(5)에 의하여 디스크(D2)가 턴테이블(2)상에 클램프된 후의 Le의 기간의 소정의 시기이다.
일련의 동작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지름이 큰 디스크(D1) 또는 지름이 작은 디스크(D2)가 송입되어, 각각의 위치결정핀(107a, 107b 또는 108a, 108b)에 닿은 후 클램퍼(5)에 의하여 디스크가 클램프되나, 이 클램프되는 타이밍은 제19도 (a)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 동도면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배출롤러(16)가 하강하는 타이밍도 클램프와 동일하다. 즉, 전환레버(31)가 (C)방향으로 L1만큼 이동하고, 그후 θ의 각도만큼 원판캠(43)이 회전한 후, 다시 L2만큼 이동할 때에, 전환레버(31)의 도시 ?우단의 구동홈(31b)이 제어핀(23)에 닿고, 그후에 전환레버(31)가 Lb만큼 이동하는 동안에 구동링크(22)에 의하여 롤러브래킷(12)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삽입배출롤러(16)가 디스크로부터 떨어져 하강한다. 그리고, 지름이 작은 디스크(D2)의 경우에는 디스크 클램프가 완료하고, 삽입배출롤러(16)가 디스크로부터 떨어져 하강한 후에, 훅(91)에 의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 제19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퍼(5)에 의하여 디스크가 클램프되고, 또한 삽입배출롤러(16)가 하강한 후에, 전환레버(31)에 의하여 로크기구가 구동되고, 댐퍼에 의하여 부상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6)의 로크가 해제된다.
원판캠(43)이 제11도 (c)의 위상까지 회전한 후에 타이밍핀(47)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 전환기어(42)가 약간 회전하여 모터(M)가 정지한다.
[디스크 배출동작]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D1 또는 D2)가 장전되어 있을때, 디스크 이젝트 조작이 행하여지면, 모터(M)가 시동하여 종동기어(29)가 시계방향((E)방향)으로 구동되고, 삽입배출롤러(16)가 디스크(D)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하고, 동시에 동력전달기구(40)의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제3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전환기어(42)가 (E)방향으로 작은 각도가 회전하면, 제11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핀(47)이 원판캠(43)의 기동홈(43d)내에 들 載“? 원판캠(43)이 (E)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원판캠(43)의 캠홈(43c)의 형상에 의하여, 원판캠(43)이 회전하면, 먼저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거리(L2)만큼 직선적으로 구동된다. 제19도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댐퍼에 의하여 부상되어 있는 디스크 구동부(6)가 로크된다. 그리고 그 후에 제19도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퍼(5)에 의한 클램프가 해제되고, 다시 삽입배출롤러(16)가 상승하여, 디스크(D1 또는 D2)가 삽입배출롤러(16)와 롤러슈우(17)에 의하여 협지된다.
그리고 삽입배출롤러(16)에 의하여 디스크(D1 또는 D2)가 삽입구의 방향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여기에서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L2만큼 이동하는 사이에 있어서의, 전환레버(31)의 래크(31d)의 이동거리를 제15도 내지 제17도까지에 나타낸다. 그동안 래크(31d)와 부분기어(82)의 톱니부(82a)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구동기어부재(8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나, 부분기어(83)의 톱니부(83a)는 섹터기어(72)와 맞물림에는 이르지 않고, 따라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수평자세 (라) 그대로이다.
전환레버(31)가 L2만큼 이동한 후, 원판캠(43)의 캠홈(43c)의 타이밍 설정부(f)를 폴로우핀(45c)이 이동하기 때문에, 전환레버(31)는 정지하고,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은 그대로 각도 θ만큼 회전한다. 이 사이 삽입배출롤러(16)는 그대로 (E)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디스크(D1 또는 D2)는 삽입구 방향으로 계속 보내진다. 그리고, 지름이 큰 디스크(D1)의 경우, 원판캠(43)이 θ만큼 회전하는 사이에 디스크(D1)는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의 밑으로부터 빠져나온다.
그리고 캠홈(43c)의 타이밍 설정부(f)에 의하여 원판캠(43)이 각도 θ만큼 회전한 후, 전환레버(31)가 다시 (B)방향으로 거리 (L1)만큼 구동된다. 이 사이의 전환레버(31)의 래크(31d)의 이동을 제17도 내지 제18도에 나타낸다. 레크(31d)가 (B)방향으로 L1만큼 이동하는 동안, 래크(31d)와 구동기어부재(80)에 있어서의 부분기어(82)의 톱니부(82a)가 맞물려 구동기어부재(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부분기어(83)의 톱니부(93a)가 섹터기어(72)와 맞물려 전환축(71)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수직자세 (다)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수직자세 (다)가 되면, 토션스프링(75)의 가세력은 f1방향이 되어, 위치결정핀(108a, 108b)은 수직자세 (다)에서 안정된다.
전환레버(31)가 (B)방향으로 이동하여 전환기어(42)와 원판캠(43)의 위상이 제11도 (d)가 되면, 타이밍레버(41)의 해제돌기(41b)가 기구지지판(1d)의 해제핀(51)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타이밍핀(47)이 기동홈(43d)으로부터 빠져나와 그 후는 원판캠(43)이 정지하고, 전환기어(42)만이 (E)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대로 모터(M)의 동력에 의하여 종동기어(29)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삽입배출롤러(16)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디스크(D)는 도시한 우방향으로 배출되고, 디스크(D)가 완전하게 배출된 시점에서, 모터(M)가 정지하여, 배출삽입롤러(16) 및 전환기어(42)의 회전은 정지한다.
제19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수직자세 (다)로 되돌아 가기 전에, 원판캠(43)이 θ만큼 회전하고, 그동안 전환레버(31)가 작동하는 일 없이, 디스크가 계속 배출되기 때문에, 지름이 큰 디스크(D1)의 경우에 완전하게 위치결정핀(108a, 108b)의 밑으로부터 빠진 시점에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이 수직자세 (다)가 된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위치결정핀(108a, 108b)과 지름이 큰 디스크(D1)가 닿아 섭동하는 일 없이 디스크(D1)가 손상되는 일이 없 ?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판캠(43)의 캠홈(43c)에 의하여 레버구동암(45)을 제어하여, 전환레버(31)를 동작시키고 있으나, 원판캠(43)의 외주의 캠형상에 의하여 전환레버(31)를 제어하여도 종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밍 설정부에 의하여 지름이 큰 디스크가 위치결정 부재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후에, 위치결정 부재가 디스크 삽입경로를 횡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위치결정 부재에 의하여 지름이 큰 디스크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