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50005364B1 -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364B1
KR950005364B1 KR1019920017050A KR920017050A KR950005364B1 KR 950005364 B1 KR950005364 B1 KR 950005364B1 KR 1019920017050 A KR1019920017050 A KR 1019920017050A KR 920017050 A KR920017050 A KR 920017050A KR 950005364 B1 KR950005364 B1 KR 95000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escue operation
voltage
load
conver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907A (ko
Inventor
이제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364B1/ko
Publication of KR940006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회생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a),(b)의 제2도에서 비교기의 입,출력 파형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출운전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서 하중 검출부의 상세 블록도.
제6도는 제4도에서 컨버터제어부, 인버터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제7도는 제4도에서 운전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제8도는 부하상태 그래프.
제9도는 본 발명의 구출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버터 20 : 인버터
30 : 카 40 : 카운터 웨이트
50 : 하중검출부 60 : 운전제어부
70 : 컨버터 제어부 80 : 인버터 제어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 제어회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컨버터 제어를 행하지 않고, 부하 상태에 따라 운전방향을 결정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운전하는데 적당하도록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1)와, 상기 컨버터(1)의 출력전압을 평활시키는 콘덴서(C)와, 상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2)와, 상기 인버터(2)의 출력 상전압에 따라 구동되어 카(3)를 구동시키는 유도전동기(IM)와, 상키 카(3)의 평형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4)와, 상기 카(3)의 부하상태에 따라 기동 지령 미 속도 지형을 출력하는 운전제어부(5)와, 상기 운전 제어부(5)에서 출력되는 속도 지령과 전류 검출기(CT)의 전류 검출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인버터(2)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6)와, 상기 콘덴서(C)의 전압 레벨을 기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회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회생 제어부(7)와, 상기 회생제어부(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항(R)을 상기 콘덴서(C)에 병렬로 접속/개방되게 하는 트랜지스터(Q)로 고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종래 시스템의 작용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 제어부(5)는 컨버터(1)와 인버터 제어부(6)의 이상을 감지하는 내부 워치독 타이머의 동작을 검출하여 그 컨버터(1)와 인버터(2)의 고장 유무를 검출하게 되는데, 고장이 없을 경우, 인버터 제어부(6)에 속도지령을 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속도지령을 입력받을 인버터 제어부(6)는 기준전압 지령과 직류전압 검출값의 오차에 따라 전류 지령값을 연산하고, 그 전류 지령값과 입력전원의 실제 전류값에 따라 유도전동기(IM)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회생 제어부(7)는 콘덴서(C)의 양단에 걸리는 직류전압(Vdc)을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 직류전압(Vdc)이 기준전압(Vref)보다 높으면 고전위를 출력하고 낮으면 저전위를 출력하여 이로부터 제3도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며, 이 파형의 고전위에 의하여 회생 트랜지스터(Q)가 온될 때, 그 직류전압(Vdc)은 회생 저항(R)에서 소모된 에너지량 만큼 감소되고, 상기 파형의 저전위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가 오프된다.
엘리베이터의 카운터웨트(4) 무게는 ˝1/2정격부하+카 자중˝으로 결정되므로 정격부하의 50%에 상당하는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 카(3)와 카운터 웨이트(4)는 평형을 이루게 되어 브레이크를 석방시켜도 카(3)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카(3)보타 카운터 웨이트(4)쪽이 더 무거운 상태(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을 할 경우, 불평형에 해당하는 만큼의 기계적 에너지는 인버터(2)를 통해 콘덴서(C)에 충전되고, 상기 컨버터(1)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한방향으로만 전류가 흘러 즉, 입력전원측에서 콘덴서(C)측으로 전류가 흐르고 그 콘덴서(C)에서 입력전원측으로 전류가 흐를 수 없기 때문에 그 콘덴서(C)의 내압을 고려하여 어느 일정전압 이상이 되면 회생 트랜지스터(Q)를 턴온시켜 회생저항(R)을 통해 상기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된 것을 다시 열에너지로 소모시킨다.
반대로 카운터 웨이트(4)보타 카(3)쪽이 더 무거운 상태에서 하강운전을 할 경우에도 상기 회생 저항(R)을 통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출운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컨버터 제어회로의 고장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엘리베이터카가 비상 정지된 후, 가동 불가능 상태로 되어 카내의 승객이 갇히게 되므로 승객에게 불안감을 주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상태를 검출한 후, 그 부하 상태에 따라 상승/하강 운전을 수행하거나 구출 운전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정지명령을 내리는 구출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출운전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한시키는 컨버터(10)와, 상기 컨버터(10)의 출력전압을 평활시키는 콘덴서(C11)와, 상기 콘덴서(C11)의 출력전압을 공급받고,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도전동기(IM11)의 상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20)와, 상기 인버터(20)의 출력 상전압에 따라 고동되어 카(30)를 주행시키는 유도전동기(IM11)와, 상기 카(30)의 평형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카운터 웨이트(40)와, 상기 카(30)의 하중을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신호롤 변환 출력하는 하중 검출부(50)와, 상기 하중 검출부(50)에서 출력되는 부하상태 정보를 공급받아 기동 지령 및 속도 지령을 출력하는 운전 제어부(60)와, 상기 컨버터(10)의 입, 출력 및 운전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기동지령신호를 공급받아 컨버터(10)의 고동을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70)와, 상기 운전 제어부(60)에서 출력되는 속도 지령과 전류검출기(21)의 전류검출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인버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80)로 구성하였다.
제5도는 제4도에서 하중 검출부(50)의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30)의 하중을 검찰하는 하중검출 소자(51)와, 상기 하중 검출 소자(51)의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활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 운전 제어부(60)측으로 출력하는 아날로그(A)/디지탈(D) 변환부(52)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6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버터(10) 제어를 통해 직류전압은 교류 리액터에 의하여 승압됨과 아울러, 일정 전압으로 유지되고, 불평형 부하에 상당하는 기계적 에너지가 인버터(20)를 통해 콘덴서(C11)에 축적되어 상기 승압된 일정 전압보다 높게 되면, 컨버터 제어부(70)에서 회생 제어용 트랜지스터(Q11)를 턴온시킴에 따라 입력전원측으로 전류가 흘러 직류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컨버터 제어부(70)에 고장이 발생되면 회생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현재 카(30)의 위치가 도어존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 도어존에 해당되면, 구출운전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그 구출운전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출운전 완료 플래그가 세트되어있지 않으면 정지 지령을 내린다.
상기에서 카(30)가 도어존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부하를 확인하여 평형상태인 50% 부하를 기준으로 해서 50%이상의 부하상태에서는 카(30)가 카운터 웨이트(40)측보다 무겁기 때문에 회생이 발생되지 않도록 카(30)를 상승방향으로 운전시키고, 반대로 50% 이하의 부하상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30)쪽 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하강방향으로 운전시킨다.
이 후, 상기와 같이 결정된 운전 방향으로 저속 구출운전을 시작하고, 구출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출운전 플래그를 TPM시키게 되는데, 이 저속구출운전은 카(30)가 최기층의 도어존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 후, 구출 운전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구출운전 완료 플래그를 세트시킴과 아울러, 카(30)의 운전을 정지시켜 재가동 불가능 플래그를 세트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상태를 검출한 후, 그 부하 상태에 따라 상승/하강 운전을 수행하거나 구출 운전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정지명령을 내리는 구출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컨버터 제어회로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승객이 카에 갇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컨버터 제어부(70)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 카(30)가 도어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도어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구출운전 플래그 및 구출운전 완료 플래의 세트 여부를 확인하여 정지 지령을 내리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도어존에 위치하고 있지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카(30)의 부하를 검출하여 50%이상의 부하상태에서는 카(30)를 상승방향으로 운전시키고, 50% 이하의 부하상태에서는 카(30)를 하강방향으로 운전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KR1019920017050A 1992-09-18 1992-09-18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050A KR950005364B1 (ko) 1992-09-18 1992-09-18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050A KR950005364B1 (ko) 1992-09-18 1992-09-18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07A KR940006907A (ko) 1994-04-26
KR950005364B1 true KR950005364B1 (ko) 1995-05-23

Family

ID=1933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050A Expired - Fee Related KR950005364B1 (ko) 1992-09-18 1992-09-18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975A1 (ko) * 2019-03-06 2020-09-10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975A1 (ko) * 2019-03-06 2020-09-10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CN113474275A (zh) * 2019-03-06 2021-10-01 Ls电气株式会社 电梯的应急运转控制装置及方法
CN113474275B (zh) * 2019-03-06 2023-01-06 Ls电气株式会社 电梯的应急运转控制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907A (ko) 199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0148B (fi) Hätäohjauksen käsittävä vaihtovirtamoottorin ohjausjärjestelmä
CN1083392C (zh) 用于控制电梯系统紧急操作的方法和装置
US7882937B2 (en) Elevat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US5241255A (en) Failure detector for regeneration power absorbing means
JPS6356183A (ja) エレベ−タ駆動用インバ−タ
KR100214686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겸용 역률 개선장치
JPH0378355B2 (ko)
EP3159202A1 (en) Vehicle-use control device
JPH08169658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US7813847B2 (en) Electric car controller
GB2121557A (en) A.C. lift control system
US5276292A (en) Operation check device of dynamic brake circuit for elevator
JP2005126171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KR950005364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JPH0724237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停電時着床装置
JP466384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7079A (ja) エレベータ用インバータの速度制御装置
KR10021840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212097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16244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8157161A (ja) 停電時の交流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H07267525A (ja) エレベータ用インバータ装置
JPH0132127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137788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3194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5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52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