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367B1 -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9367B1 KR930009367B1 KR1019880701349A KR880701349A KR930009367B1 KR 930009367 B1 KR930009367 B1 KR 930009367B1 KR 1019880701349 A KR1019880701349 A KR 1019880701349A KR 880701349 A KR880701349 A KR 880701349A KR 930009367 B1 KR930009367 B1 KR 930009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punch
- raw material
- ring
- hydraul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1/00—Chemical after-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2—Apparatus for baking hollow articles, waffles, pastry, biscui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과립곡류로부터 가압성형 식품등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쌀, 옥수수, 밀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가열 압축한 다음 팽창시켜 케이크 또는 크래커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a) 소정의 수직위치로 조절이 가능한 상부 고정가열금형판(7)과, 상부금형판(7)과 일체로 된 링부재(일부분이 중공다이의 형태로 된) 또는 링금형요소가 상단위치로 이동되어 이 링금형요소의 적절한 작동수단에 의해 상부금형판에 대해 긴밀하게 압착되면서 금형캐비티의 링 측벽을 형성시키는 가동링금형요소로 된 링요소에 의해 금형캐비티를 형성시키는 상부금형(40)과, 상기 상부금형(4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위치되어서 금형이 개방되므로써 이 개방된 캐비티속으로 과립원료를 주입시킬 수 있는 하부위치와, 상기 상부금형속으로 들어가 이 상부금형의 바닥에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주입된 과립원료를 압착시키는 상부위치사이에서 상기 상부금형(40)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하부가동열금형요소(펀치(5)형태로)로 이루어진 가열금형과,(b) 상기 펀치(5)가 아래로 내려왔을 때 과립원료의 일정량을 상기 이 펀치(5)위에 주입하고, 이 원료가 압축제조 완료 후 생산물을 방출시키도록 된 공급수단,(c) 공급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고 금형의 가열을 조절하는 조절수단,(d) 하부구동금형의 승, 하강 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동조절수단으로 이루어져, 과립원료가 펀치헤드로 주입되는 펀치(5)의 하단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원료가 상, 하 금형사이에 생긴 밀폐된 금형캐비티 속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가열, 압축되는 상단위치로 펀치를 연속적으로 상승시킨 후, 펀치(5)를 계속 밀폐상태로 있는 금형캐비티내의 상, 하단 위치사이의중간위치로 내림으로써 가압, 가열된 원료가 순간적으로 팽창되게 하고, 상기 압축되었던 원료가 완전히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위치에 잠시 정체한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펀치를 최하단 위치로 내려 금형의 아래쪽의 바깥으로 빠져나오게 하여 소정량의 새로운 원료를 투입하고 새로운 가압성형공정이 다시 시작하도록한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절수단이 직선으로 배열되어 상호작동하는 2개의 유압실린더(11)(12)로 구성된 유압구동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유압실린더(11)(12)의 작동피스톤(11')(12')이 소정의 순서 및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고, 조절가능하게 제어된 스트로크의 거리를 넘어 변위작동하도록 되어, 상기 유압유니트의 구도축(14)이 원하는 바의 순차에 따라 전, 후진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펀치(5)의 일련적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구동축(14)이 가동펀치(5)를 직접 또는 펀치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6)를 통해 구동시키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유압실린더(11)(12)중 제 1 유압실린더(11)는 펀치를 그 상단 압축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유압실린더(12)는 펀치를 요구되는 팽창위치로 이동하도록 펀치의 하강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 실린더(12)의 가동피스톤의 스트로크를 조절하여 정확한 팽창두께를 한정하며, 상기 실린더(11)(12)의 변위길이의 시작위치에 해당하는 피스톤(11')(12')위치내에서 펀치(5)를 일시 고정시켜주기 위한 안정된 순간멈춤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재(16)의 가동구동축(14)에 별도의 스위치수단이 구비되어 장치프레임의 고정부재위에 부착된 반대편 접촉스위치요소(25)(26)와 연동작동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스위치수단은 펀치(5)가 상단 압축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 1 실린더(11)의 피스톤(11') 이동한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며, 또한 조절가능한 변수 즉, 시간, 행정길이, 유압피스톤과 보조수단의 동작순서를 모니터하도록 중앙조절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가능한 변수는 적당한 프로그램 디스크에 의해 상기 중앙조절장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유압시스템(3)과 슬라이딩 할 수 있는 펀치축(6)에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상부아암(17)과, 장치프레임의 고정축(21)에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하부아암(18)으로 이루어진 2개의 동력전달부재(16)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아암(17)(18)이 힌지 연결부(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유압구동유니트의 구동축(14)과 함께 고정 또는 연결블록몸체(23)를 형성시키며, 상기 유압구동 유니트는 장치프레임의 고정축(13)에 지지로드(14')를 매개하여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고정몸체내에서 블록대 블록으로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유압실린더(11)(12)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유압실린더(11)는 그 피스톤(1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 2 실린더(12)와 구동축(14)과 함께 몸체가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한편 상기 제 2 실린더(12)의 피스톤(12')은 팽창을 제어하고, 제 2 실린더(12)는 구동축(14)을 직접 작동시키면서, 상기 피스톤(12')의 초기위치와 스트로크길이가 펀치의 팽창위치 및 성형케이크의 팽창두께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린더(11)의 피스톤(11')은 상기 동력전달부재(10')와 장치의 반대쪽 고정부재에 장착된 종단스위치요소(25)(26)와 함께 구동 펀치(5)의 상단압축위치를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금형(40)이 별개로 작동가능한 푸싱부재(24)를 갖추고 있고, 이 푸싱부재(24)는 핀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이 푸싱부재(24)가 작동하지 않을 때 이 푸싱부재(24)의 외면이 상부벽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됨과 더불어 상기 푸싱부재가 삽입 안착되는 상기 상부벽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도록 상부금형벽에 설치되어, 상기 펀치(5)가 금형속에 위치한 팽창위치에서 부터 금형아래에 위치한 하단위치로 물러나왔을때 상기 펀치(5)위에 있는 성형제품을 금형바깥으로 밀어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16)와 함께 고정 또는 슬라이딩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시키는 유압실린더축의 선단부가 연결조인트 속으로 슬라이딩되어 들어가거나 이 연결조인트에 고정부착된 분리가능 슬리이브가 둘러싸도록 배치된 축선단부 보다 충분하게 직경이 큰 환형보강 슬리브(27)로 이루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세 개의 서로 결합 작동하는 요소, 즉, 상부고정금형(40), 유압으로 작동되는 펀치(5) 및 별도의 작동수단을 갖춘 가동링금형(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링금형(41)을 상부고정금형(40)에 대해 긴밀하게 압착시켜 가동펀치(5)를 수밀상태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 금형캐비티를 형성시키는 상단위치와, 펀치가 하단위치로 내려왔을 때 상기 링금형(5)이 펀치의 헤드를 지나 아래쪽으로 내려가 링금형(5)의 윗면이 펀치헤드의 윗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하단위치 사이에서 상, 하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금형(40)과, 링금형(41) 및 하부금형(펀치 : 5)이 여러개 배치되고, 상기 여러개의 펀치(5)가 1개의 공통유압구동시스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고정가열상부금형(40)과, 가동링금형(41) 및 이 링금형에 수밀상태로 수용되어지도록 된 가동가열펀치(5)로 구성되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금형요소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결합작동하여 과립원료를 가압가열하여 금형캐비티로 부터 쉽게 빼낼 수 있는 일정한 형태의 압착성형품을 만드는 밀폐금형체임버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금형은 펀치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링금형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서 다음과 같은 사이클의 작동 즉,(a) 상기 링금형(41)이 상단위치에서 상부고정금형(40)에 대해 밀착되어 금형캐비티를 형성시키고, 펀치(5)가 상기 상승된 링금형(41)의 하단 아래에 있게되는 하단위치에 위치하며, 이펀치헤드에 소정량의 과립원료가 공급된다.(b) 상기 펀치(5)가 상단위치로 상승되어 금형캐비티를 만들고 상기 상부금형(40)과 펀치헤드사이에 밀폐체임버를 형성시켜 과립원료를 압착시킨다.(c) 상기 가압가열된 원료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펀치(5)를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링금형(41) 내부에서 팽창위치로 하강시키는데,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팽창된 성형물을 다시 소정량 만큼 압착시키기 위해 편치를 약간 상승시킬 수 있다.(d) 상기 링금형(41)을 그 윗면이 펀치헤드의 윗측과 동일높이 또는 그 아래에 있게되는 하단위치로 내리고, 상기 펀치(5)가 그 하단 위치로 내려왔을때 상기 펀치(5)로부터 성형물을 방출시킨다.(e) 펀치(5)를 약간 더 아래쪽으로 내려 펀치헤드가 아래쪽으로 내려간 링금형(41)의 윗면 아래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펀치헤드의 윗쪽에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게 하여 이 요홈에 소정량의 과립원료를 투입한다.(f) 상기 링금형(41)을 상기 (a)과정에서 설명한 상단위치로 다시 상승시킨다. 는 과정으로 작동하는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 과립곡류, 특히, 쌀, 옥수수, 밀등과 이들의 혼합물을 가압하여 구운다음 팽창시킨 케이크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소정량의 과립곡류를 금형속으로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주입된 원료를 소정시간동안 가압, 가열시키는 단계, 상기 가압된 곡류를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성형물로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방출시키는 단계를 되풀이하여 과립원료로 크래커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까지에 기재된 구동 및 조절수단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원료 크래커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BE8700173A BE1000311A4 (nl) | 1987-02-25 | 1987-02-25 |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de bereiding van onder druk gebakken en geexpandeerde voedingsprodukten. |
BE8700173 | 1987-02-25 | ||
PCT/BE1988/000005 WO1988006425A1 (en) | 1987-02-25 | 1988-02-22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rackers of granular materi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700314A KR890700314A (ko) | 1989-04-24 |
KR930009367B1 true KR930009367B1 (ko) | 1993-10-02 |
Family
ID=388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701349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9367B1 (ko) | 1987-02-25 | 1988-02-22 |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102677A (ko) |
EP (1) | EP0359740B1 (ko) |
KR (1) | KR930009367B1 (ko) |
AT (1) | ATE66352T1 (ko) |
AU (1) | AU617102B2 (ko) |
BE (1) | BE1000311A4 (ko) |
DE (1) | DE3864401D1 (ko) |
WO (1) | WO19880064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8801432A (nl) * | 1988-06-03 | 1990-01-02 | Johannes Van Woerden | Machine voor het vervaardigen van gepofte voedingsproducten. |
ES2123519T3 (es) * | 1990-11-19 | 1999-01-16 | Real Foods Pty Ltd | Aparato para cocinar. |
US5467693A (en) * | 1991-01-24 | 1995-11-21 | Van Den Berghe; Rene | Production of granular crackers |
WO1992012646A1 (en) * | 1991-01-24 | 1992-08-06 | Berghe Rene Van Den | Improved apparatus for granular cracker production |
US5490998A (en) * | 1994-01-31 | 1996-02-13 | Kim; Ki I. | Method for preparing grain cake health soup |
IT1271723B (it) * | 1994-12-05 | 1997-06-04 | Barilla Flli G & R |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aggregati di cereali su scala industriale |
US5562021A (en) * | 1995-08-16 | 1996-10-08 | Slanik; Josef | Device for preparing grain cakes |
WO1997041733A1 (de) * | 1996-05-03 | 1997-11-13 | Fvp Formverpackung Gmbh | Backzange und backautomat |
US5755152A (en) * | 1996-12-19 | 1998-05-26 | Hunt-Wesson, Inc. | Popcorn cake machine |
CA2227043C (en) | 1997-02-26 | 2001-08-07 | The Quaker Oats Company | Process for preparing a hand-held snack item, and the product thereof |
GB2344504B (en) * | 1998-12-08 | 2002-10-16 | Masterfoods S A Nv | Puffed cereal cakes |
US6569481B1 (en) | 1999-03-29 | 2003-05-27 | The Quaker Oats Company | Method for making a puffed food starch product |
US6136361A (en) * | 1999-12-09 | 2000-10-24 | Sbjr Restauran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nd baking food |
RU2265373C2 (ru) * | 2000-06-30 | 2005-12-10 | Дзе Квакер Оутс Компани | Вспученный пищевой крахмальный продукт,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
GB2370529A (en) * | 2001-01-02 | 2002-07-03 | Mars Uk Ltd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ereal cakes |
US6805888B2 (en) | 2001-06-22 | 2004-10-19 | The Quaker Oats Company | Method for preparing a puffed grain food product and a puffed grain food product |
GB2399274A (en) | 2003-03-11 | 2004-09-15 | Mars Inc | Expanded starchy cake baking apparatus |
EP1561385A1 (en) * | 2004-02-03 | 2005-08-10 | Incomec-Cerex | Production of expanded food crackers |
US20060088641A1 (en) * | 2004-09-01 | 2006-04-27 | Jungle Enterprises, Llc | Method for mass producing whole-seed cracker |
US7444928B2 (en) * | 2005-05-06 | 2008-11-04 | Delice Co., Ltd. |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
US8119181B2 (en) * | 2007-03-27 | 2012-02-21 | Frito-Lay North America, Inc. | Process for producing nut-based expandable pellets and nut-based snack chips |
KR101030073B1 (ko) | 2010-05-31 | 2011-05-11 | 코코 인터내셔널 주식회사 | 뻥튀기 제조장치 |
WO2014084422A1 (ko) * | 2012-11-30 | 2014-06-05 | 주식회사 파코엔지니어링 | 퍼프 칩 머신 |
US10051944B2 (en) * | 2015-07-17 | 2018-08-21 | Leslie McClellan | Cosmetic powder repairing device |
US11291226B1 (en) | 2017-10-09 | 2022-04-05 | The Hershey Company | Crispy pressed snacks with inclusions |
US11191294B1 (en) | 2019-05-14 | 2021-12-07 | Ideal Snacks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food products with improved hydraulic controls |
US11589606B1 (en) | 2019-05-14 | 2023-02-28 | Bfy Brands,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food products with improved heating components |
BE1027309B1 (nl) * | 2019-10-11 | 2020-12-16 | Incomec Cerex Nv | Hydraulische controle voor een bakinrichting voor voeding |
US11583718B2 (en) * | 2020-07-22 | 2023-02-21 | Matthew Boyd Burkhardt | Hydraulic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99757A (en) * | 1949-09-16 | 1955-01-18 | Osakeyhtio Tebul Aktiebolag | Measuring and actuating device |
DE1290109B (de) * | 1967-10-21 | 1969-03-06 | Gewerk Eisenhuette Westfalia | Stempel fuer den Ausbau bzw. zur Abspannung im Streb/Streckenuebergang |
GB1192873A (en) * | 1968-05-11 | 1970-05-20 | Burgess Engineering Stoke On T | Apparatus for Moulding Paste into a Case of a Tart or the like |
JPS528953Y2 (ko) * | 1972-09-29 | 1977-02-24 | ||
US3949660A (en) * | 1974-01-21 | 1976-04-13 | Kuhlman Harvey G | Apparatus for forming shells of dough |
EP0006575B2 (fr) * | 1978-06-22 | 1986-04-23 | Gevaert, Omer | Dispositif pour la prépar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à base de céréales cuites et expansées |
JPS58854B2 (ja) * | 1979-06-06 | 1983-01-08 | 株式会社 アイリン | 玄米等穀類によるせんべいの製造方法 |
US4365547A (en) * | 1981-06-22 | 1982-12-28 | Formic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ess |
JPS6196952A (ja) * | 1984-10-16 | 1986-05-15 | Airin:Kk | 玄米等穀類や人造米、合成原料等によるぽんせんべい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 |
FR2577760B1 (fr) * | 1985-02-22 | 1987-02-20 | Lb Sa | Procede de fabrication de contenants consommables en forme de coupes ou similaires en pate a biscuit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
BE904631A (fr) * | 1986-04-18 | 1986-08-18 | Gevaert Omer |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a base de cereales cuites et expansees et produits obtenus. |
IL79939A0 (en) * | 1986-04-18 | 1986-12-31 | Omer Gevaert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food products from cooked and expanded cereals,and resulting products |
DE3702995A1 (de) * | 1987-02-02 | 1988-08-11 | Dieffenbacher Gmbh Maschf | Heizplattenpresse in fensterrahmenbauweise |
BE1001338A7 (fr) * | 1988-01-11 | 1989-10-03 | Bani Armin | Dispositif pour la preparation de biscuits de cereales expansees. |
-
1987
- 1987-02-25 BE BE8700173A patent/BE1000311A4/nl active
-
1988
- 1988-02-22 US US07/415,293 patent/US510267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2-22 WO PCT/BE1988/000005 patent/WO1988006425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88-02-22 AU AU13972/88A patent/AU617102B2/en not_active Ceased
- 1988-02-22 EP EP88902375A patent/EP035974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02-22 KR KR1019880701349A patent/KR93000936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8-02-22 AT AT88902375T patent/ATE66352T1/de active
- 1988-02-22 DE DE8888902375T patent/DE386440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E1000311A4 (nl) | 1988-10-18 |
ATE66352T1 (de) | 1991-09-15 |
EP0359740B1 (en) | 1991-08-21 |
DE3864401D1 (de) | 1991-09-26 |
US5102677A (en) | 1992-04-07 |
AU1397288A (en) | 1988-09-26 |
KR890700314A (ko) | 1989-04-24 |
AU617102B2 (en) | 1991-11-21 |
EP0359740A1 (en) | 1990-03-28 |
WO1988006425A1 (en) | 1988-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9367B1 (ko) | 과립원료의 크래커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8191467B2 (en) | Puffing apparatus for producing cereal crackers and methods thereof | |
US5376395A (en) | Cooking machine | |
US5755152A (en) | Popcorn cake machine | |
KR101269306B1 (ko) | 팽창된 크랙커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US5467693A (en) | Production of granular crackers | |
KR20160122366A (ko) | 텔레스코픽 식품 성형 장치 | |
WO1992012646A1 (en) | Improved apparatus for granular cracker production | |
KR102617488B1 (ko) | 누룽지 제조장치 | |
KR19990079239A (ko) | 식품 자동 팝핑장치 | |
CN114259077B (zh) | 一种食品链式成型方法 | |
JP2885313B2 (ja) | 膨化成形品製造装置 | |
KR100476678B1 (ko) | 아이스크림용 콘과자 제조장치 | |
CN117678651A (zh) | 一种龙珠茶叶自动化生产装置 | |
RU2179927C2 (ru) | 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есс для полусухого формования сырца кирпича в два этапа за один ход прессу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 |
JPS5935116Y2 (ja) | 飼料成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710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7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