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3580B1 - 자동차의 캔버스톱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캔버스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580B1
KR930003580B1 KR1019890010598A KR890010598A KR930003580B1 KR 930003580 B1 KR930003580 B1 KR 930003580B1 KR 1019890010598 A KR1019890010598 A KR 1019890010598A KR 890010598 A KR890010598 A KR 890010598A KR 930003580 B1 KR930003580 B1 KR 93000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opening
vehicle body
link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40A (ko
Inventor
사또시 구보다
다까히도 요꼬우찌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60J7/06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using folding arms sliding in longitudinal tracks for supporting the soft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캔버스톱
제 1 도는 루우프위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의 실시예에 관한 캔버스톱차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루우프위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의 실시예에 관한 캔버스톱차를 도시한 사시도.
제 3 도는 실시예에 관한 캔버스톱차를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간략종단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V-V선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가이드레일과 링크부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제 7 도는 링크부재와 프론트하아드보오드와의 부착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 8 도는 캔버스부재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 9 도는 가이드레일, 1쌍의 링크부재, 장식부재 및 보오드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 10도는 제 9 도의 X-X선 단면도.
제 11도는 루우프위치에서부터 뒤창유리(8) 아래쪽 위치까지의 캔버스부재 및 보오드부재의 이동궤적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루우프 3 : 개구부
4 : 캔버스부재 11a,11b : 가이드레일
35a,35b : 링크부재 51 : 차체
52a,52b : 링크부재
본 발명의 자동차의 캔버스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캔버스톱에는, 일본국 실개소 61-3052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루우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상에 가요제(可
Figure kpo00001
製) 캔버스부재를 차체전후방향으로 변위동작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캔버스부재의 후단부를 상기 개구부후단부에 고정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것에 있어서는 캔버스부재의 전(前)단부를 차체 전후방향으로 변위동작시키면, 개구부가 캔버스부재에 의해서 개폐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캔버스톱에 있어서는, 캔버스부재를 개방해서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캔버스부재는 개구부후단부쪽에 모여서(예를들면 물결형상으로) 위치되게 되므로, 개구부의 일부가 캔버스부재로 덮혀져서, 개구부전체를 개방상태로 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승객의 개방감은 아직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또,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캔버스부재가 개구부후단부쪽에 모여서 위치하기 때문에, 캔버스부재는 루우프위로 돌출한 상태로 되고, 그 캔버스부재의 합침은 주행저항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객의 개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캔버스부재에 의거해서 주행저항을 저감시키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차체루우프의 개구부위에 있어서, 개구부 전(前)단부와 개구부후단부와의 사이를 신축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가요제 캐버스부재와, 상기 캔버스부재와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캔버스부재를,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 차체에 대해서 이간시키면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이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이라고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할 경우에는 캔버스부재를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개구부를 완전 개방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승객의 개방감은 현저하게 향상하게 된다.
또, 개구부를 개방상태로 할 경우에는 캔버스부재를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캐버스부재를 차체전방쪽에서 보아 차체에 의해서 감출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캔버스부재에 기인하는 주행저향을 저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캔버스부재를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는, 캔버스부재가 차체에 대해서 이간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캔버스부재의 이동시에는 상기 캔버스부재가 차체에 대해서 간섭하는(닿는) 일이 방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곡률이 큰 뒤창유리에 대해서 추운히 대처할 수 있고, 또한, 리어헤더에 대해서는, 이 리어헤더를 용이하게 타고 너을 수 있게 되고, 캔버스부재와 리어헤더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리어헤더를 차설안쪽으로 낮출 필요가 없어, 뒷좌석승객의 헤드클리어런스를 작게 하는 일은 없어진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차체루우프의 개구부위에 있어서, 개구부전단부와 개구부후단부와의 사이를 신축(伸縮)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가요제캔버스부재와, 상기 캔버스부재와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 캔버스부재를, 뒤창유리 사이에 있어서 상기 뒤창유리의 최후단부와 간섭하지 않은 위치까지 차체에 대해서 이간시키면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제 1발명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고, 동시에 뒤창유리의 곡률이 크고, 후부필러 외판면과 리어창유리 최후단부포인트와의 거리가 있어도 캔버스부재를 차체에 간섭하는 일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전후 1쌍의 요동가능한 복수개의 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제1, 제 2발명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발생하고,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2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차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일단부가 안내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캔버스부재에 지지되는 제 1링크부재와, 이 제 1 링크부재보다도 길게 되고,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상기 루우프의 개구부 후단부보다도 차체후방쪽에서 차폭방향을 요동축심방향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캔버스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제 2 링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제 3발명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이 발생하고, 동시에, 캔버스부재를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킴에 있어서는, 2개의 링크부재와 가이드레일을 사용함으로서, 캔버스부재를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동개시직전의 캔버스 부재의 형상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다시,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캔버스부재를 루우프위치로 되돌렸을 때에는, 즉시 개구부의 폐쇄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개구부의 개폐를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도 ~ 제 11도에 있어서, (1)은 캔버스톱차로서, 이 캔버스톱차(1)의 루우프(2)에는 장방형상의 개구부(3)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3)는, 제 1도,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버스부재(4)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루우프(2)에는, 제 2도,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 주연부에서 플랜지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중 차폭방향 양쪽에 있어서의 플랜지부(5a,5b)는, 개구부(3) 전단부에 있어서의 프론트헤더(6)에서부터 개구부(3) 후단부에 있어서의 리어헤더(7)를 가로질러 뒤창유리(8)쪽으로 연장되고, 그 뒤창유리(8)쪽에서는 이 뒤창유리(8)의 측연부를 따르면서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양플랜지부(5a),(5b)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9a),(9b) 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양가이드레일(9a),(9b)은 개구부(3) 전단부쪽에서부터 개구부(3) 후단부의 중간까지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이 각 가이드레일(9a),(9b)의 안내흠(10a),(10b)은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폭방향 아쪽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양플랜지부(5a),(5b)에는 또,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레일(9a),(9b)보다도 차폭방향 바깥쪽에서 가이드레일(11a),(11b)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양가이드레일(11a),(11b )은, 제 3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3) 전단부에서부터 리어헤더(7)를 가로질러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까지 뻗어 있으며, 이 리어헤더(7)보다보 차체후방쪽에 있어서의 뒤창유리(8)쪽에서는, 이 뒤창유리(8)의 측연부를 따르기 때문에, 이 양가이드레일(11a),(11b)은,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즉, "八"모양으로 뻗어 있다. 이 각 가이드레일(11a),(11b)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칸막이벽부(12)에 의해서 상하 2단의 안내흠(13), (14)이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안내흠(13),(14)은 차폭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이 각 가이드레일(11a),(11b)의 상부벽부(15)에는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6)는 리어헤더(7)보다도 차체전방쪽에 있어서의 개구부(3) 후단부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절결부(16)에 향하도록 해서, 윗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체후방쪽으로 뻗은 안내경사판(17)이 칸막이벽부(12)와 상부벽부(1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양플랜지부(5a),(5b)에는,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팩(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랙(18)은, 가이드 레일(11a),(11b)보다도 차폭방향 바깥쪽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1a),(11b)의 절결부(16) 위치에 거의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루우프(2)위에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양가이드레일(11a),(11b)의 안쪽에서 상기 양플랜지부(5a),(5b)에 걸쳐져서 보오드부재(19)가 재치되어 있다. 이 보오드부재(19)는 상기 가이드레일(9a),(9b)의 후단부와 개구부(3) 후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오드부재(19)위에는, 제 3도, 제 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가이드레일(20a),(20b)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 가이드레일(20a)은 상기 가이드레일(9a)에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0b)은 상기 가이드레일(9b)에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양가이드레일(20a),(20b)의 안내흠(21a),(21b)은 가이드레일(9a),(9b)과 마찬가지로, 차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이 보오드부재(19)는 후술하는 1쌍의 링크부재(52a),(52b)에 연결되어 있고, 이 보오드부재(19)는 루우프(2)위에서는 변위동작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캔버스부재(4)는, 개구부(3)의 폐쇄시에는, 제 1도, 제 3도 (제 3도에서는 골조만 도시함)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우프(2)위에 설치된다. 이 캔버스부재(4)는, 이미 알고 있는 바와같이, 제 3도, 제 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레더톱어셈블리(Leather top assembly)(22)와, 이 레더톱어셈블리(22)의 안쪽에 부착되는 시일링레더어셈블리(23)와, 이 시일링레더어셈블리(23)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뼈대(24~28)와, 레더톱어셈블리(22)의 전단부쪽에 부착되는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와, 레더톱어셈블리(22)의 후단부쪽에 부착되는 리어하아드보오드(30)로 구성되어 있다[제 3도에서는, 레더톱어셈블리(22)와 시일링레더어셈블리(23)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함]. 이 캔버스부재(4)는, 그 리어하아드보오드(30)가 보오드부재(19)의 후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는 상기 양가이드레이(11a),(11b)의 윗면에 걸쳐서 재치되어 있다. 캔버스부재(4)의 뼈대(25)와 (27)의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9a),(9b),(20a),(20b)의 안내흠(10a),(10b),(21a),(21b)에 변위동작가능하게 지지되고, 뼈대(24),(26),(28)의 양단부는 가이드레일(9a),(9b),(20a),(20b)위에 결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캔버스부재(4)는,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를 차체뒷쪽을 향해서 변위동작시키면 제 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물결형상으로 되어 주름이져서 보오드부재(19)위에 놓이게 되고, 개구부(3)의 일부가 종래와 같이 개방되게 된다. 또,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를 차체앞쪽으로 변위동작시켜서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하게 하면, 캔버스부재(4)는 펴지고, 개구부(3)는, 제 1도,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쇄되게 된다.
상기 각 가이드레일(11a),(11b)에는, 제 6도,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 ㄷ자형상의 이동체(31)가 변위동작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이동체(31)의 안쪽측면에는 1쌍의 가이드핀(32)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 1쌍의 가이드핀(32)은,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11a),(11b) 하단의 안내흠(14)에 변뒤동작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이동체(31)에는 도시를 생략한 드라이브유니트의 케이블(33),(34)이 연결되어 있고, 그 드라이브유니트의 구동력에 의해서 이동체(31)는 테이블(33),(34)을 게재해서 가이드레일(11a),(11b)을 변위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이동체(31)에는,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크부재(35a),(35b)가, 그 일단부에서 요동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링크부재(35a),(35b)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대항하는 1쌍의 링크부(36),(37)와, 이 양링크부(36),(37)를 연결하는 연결부(38)로 되어 있다. 링크부(36)에는, 그 안쪽면에서 핀(39)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 핀(39)은 연결부(38)보다도 이 링크부(36)의 일단부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 링크부(36)에는, 그 일단부와 상기 핀(39)과의 사이에서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40)에는 안내로울러(41)가 안쪽에서 지지되어 있다. 링크부(36)의 일단부와 이동체(31)와의 지지는, 지지핀(42)을 개재해서 행해지고 있고, 링크부(36)는 지지핀(42)에 상대회전불가능하게 부착되고, 이동체(31)는, 지지핀(42)에 상대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핀(42)에는, 또, 피니언(43)이 상대회전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피니언(43)은, 링크부(36)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부(37)의 일단부와 이동체(31)와의 지지도 도시를 생략한 지지핀에 의해서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지고 있고, 또, 그 지지핀에는 스프링(44)이 장착되고, 그 스프링(44)에 의해서 링크부재(35a),(35b)가 이동체(31)에 대해서 기립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링크부재(35a),(35b)의 상기 핀(39)은, 상기 가이드레일(11a),(11b)의 절결부(16)보다도 차체전방쪽에서는 가이드레일(11a),(11b)의 상단쪽의 안내흠(13)에 변위동작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이동체(31)의 이동에 의하여 그 핀(39)이 절결부(16)에 향하였을 때에는 상기 피니언(43)이 상기 랙(18)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 이동체(31)가 차체후방쪽으로 더욱 이동하였을 때는, 링크부재(35)는, 랙(18)과 피니언(43)과의 맞물림관계 및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서 기립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반대로, 링크부재(35)가 기립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동체(31)를 차체앞쪽으로 이동시키면, 랙(18)과 피니언(43)과의 맞물림관계에 의해서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쓰러지고, 핀(39)은 안내홈(13)에 절결부(16)를 통해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35a),(35b)의 타단부는,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착브래킷(45), 지지플레이트(46)를 개재해서 상기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에 지지되어 있다. 부착브래킷(45)은 핀(47)을 개재해서 링크부재(35a),(35b)의 타단부에 지지되어 있고, 그 부착브래킷(45)에는 지지플레이트(46)가 볼트(48)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46)는, 차폭방향 안쪽을 향해서 뻗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핀(49)이 위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핀(49)에 대응해서,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에는 슬라이딩구멍(50)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구멍(50)은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폭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슬라이딩구멍(50)에 상기 핀(49)이 끼워 맞추어지므로서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는, 핀(49)에 대해서 차폭방향으로 변위동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핀(49)에는 머리부(49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머리부(49a)에 의해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의 핀(49)으로부터의 이탈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보오드부재(19)와 차체(51)는, 제 3도, 제 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쌍의 링크부재(52a),(52b)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부재(52a)(52b)는, 상기 링크부재(35a),(35b)보다도 길게 되고, 리어헤더(7)보다도 차체후방쪽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11a),(11b)을 따르면서 뻗어 있다. 이 링크부재(52a),(52b)의 일단부는 가이드레일(11a),(11b)의 후단부쪽에서 차체(51)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요동축심 방향은 차폭방향으로 되어 있다. 한편, 링크부재(52a),(52b)의 타단부는 보오드부재(19)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1싸의 링크부재(52a),(52b)에는 제 9도, 제 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식부재(53)가 장착되어 있다. 장시부재(53)는, 1쌍의 통형상의 덮개부(54a),(54b)와, 이 양자(54a),(54b)를 연결하는 연결부(55)로 되어 있다. 덮개부(54b)는 링크부재(52b)를 따라서 뻗어 있고, 이 덮개부(54b)는 차체바깥쪽으로 지지구(56)를 개재해서 링크부재(52b)에 부착되어 있다. 이 덮개부(54b)는, 링크부재(52)가 차체(51)쪽으로 쓰러져 있을때, 즉 보오드부재(19)가 루우프(2)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51)에 접촉해서, 링크부재(52b)와 가이드레일(11b)을 덮게 되고, 마찬가지로, 덮개부(54a)는 링크부재(52a)에 지지구를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고, 이 덮개부(54a)는, 보오드부재(19)가 루우프(2)위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링크부재(52a)와 가이드레일(11a)을 덮게 된다. 그리고 1쌍의 링크부재(52a),(52b)가 요동하였을 때에는 장식부재(54a),(54b)도 거기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드라이브유니트(도시생략)에 의해서 케이블(33),(34)을 개재해서 이동체(31)를 차체뒤쪽으로 이동시키면, 링크부재(35a),(35b)는 가이드레일(11a),(11b)에 안내되면서 차체뒷쪽으로 이동하고,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도 차체뒷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캔버스부재(4)는 차차로 좁아지게 되고, 뼈대(25)와 (27)의 양단부는 보오드부재(19)와의 가이드레일(20a),(20b)의 안내흠(21a),(21b)에 들어가고, 뼈대(24),(26),(28)는 이 가이드레일(20a),(20b)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제 4도 참조). 이에 의해서, 개구부(3)는 종래와 같이 일부가 개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또 이동체(31)를 차체뒷쪽으로 이동시키면, 링크부재(35a),(35b)의 핀(39)이 제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결부(16)에 향하는 동시에 피니언(43)이 랙(18)에 맞물리게 되고, 링크부재(35a),(35b)는 스프링(44)의 가압력, 이동체(31)의 이동에 따르는 피니언(43)과 랙(18)과의 맞물림관계에 의해서 제 6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하고, 이 링크부재(35a),(35b)의 기립상태는, 안내로울러(41)와 가이드레일(11a),(11b) 상부벽부(15)와의 접촉관계에 의해서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제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버스부재(4)가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를 개재해서 링크부재(35a),(35b)에 의해서 들어올려지며, 보오드부재(19)가 이 캔버스부재(4)의 뼈대(25),(27)를 개재해서 들어올겨지게 되고, 링크부재(35a),(35b)도 보오드부재(19)의 동작에 따라서 기립동작되게 된다. 이 결과, 캔버스부재(4)는, 리어헤더(7)의 차체전방쪽에서 이 리어헤더(7)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더욱 이동체(31)를 가이드레일(11a),(11b)을 따라서 차체후방쪽으로 이동시키면, 링크부재(35a),(35b)는, 상기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1a),(11b)을 따라서 뒤창유리(8)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링크부재(35a),(35b)는 제 11도중, 시계방향으로 요동해서 차차로 쓰러진다. 이 때문에, 캔버스부재(4) 및 보오드부재(19)는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까지 이동되게 되고, 그 사이, 제 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캔버스부재(4)는, 차체(51)에 대해서 이간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루우프(2)위의 개구부(3)의 개방시에는, 캔버스부재(4)를 개구부(3) 후단부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이 캔버스부재(4)를 제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서, 루우프(2)위의 개구부(3)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개구부(3)의 개방시에 캔버스부재(4)를 뒤창유리(8)쪽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캔버스부재(4)를 차체전방쪽에서 보아 차체(51)에 숨길 수 있게 되어, 주행저항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캔버스부재(4)를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에, 캔버스부재(4)를 차체(51)에 대해서 이간시킴으로서, 차체(51)와 캔버스부재(4)[시일링레더어셈블리(23)]가 간섭하는(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동시에, 캔버스부재(4)는 리어헤더(7)도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되어, 리어헤더(7)와 닿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리어헤더(7)를 차실 안쪽으로 낮추는 일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뒷좌석 승객의 헤드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일은 없어진다.
또, 이 경우, 2개의 링크부재(35a),(52a)[(35b),(52b)]와 가이드레일(11a)[(11b)]을 사용해서 캔버스부재(4)를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개시 직전의 캔버스부재(4)의 형상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다시, 개구부(3)를 폐쇄하기 위하여 캔버스부재(4)를 루우프(2)위치로 되돌렸을 때에는, 즉시, 개구부(3)의 폐쇄조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개구부(3)의 개폐를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리어헤더(7)보다도 차체전방쪽으로 랙(18)과 피니언(43)을 사용해서 링크부재(35a),(35b)를 활실하게 기립시키고, 캔버스부재(4)를 리어헤더(7)보다도 윗쪽에 위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캔버스부재(4)에 의한 리어헤더(7)의 타고넘음을, 닿는 일없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뒤창유리(8)의 형상에 따라서, 가이드레일(11a),(11b)은 뒤창유리(8)쪽에 있어서는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차폭방향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나, 프론트하아드보오드(29)가 지지플레이트(46)위의 핀(49)에 대해서 차폭방향으로 변위동작 가능함으로, 링크부재(35a),(35b)는 가이드레일(11a),(11b)을 따라서 루우프(2)의 위치와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루우프(2)위치와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캔버스부재(4)의 이동을, 가이드레일(11a),(11b)이 상기한 바와 같은 배치를 취하고 있어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뒤창유리(8)의 아래쪽 위치에서는, 양가이드레일(11a),(11b)간의 확대된 거리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캔버스부재(4)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8)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의 캐너스부재(4)의 이동을, 캔버스부재(4)를 보오드부재(19)에 얹어서 행함으로, 이 동시에, 가요제의 캔버스부재(4)를 흐트러뜨리는 일없이 취급할 수 있게 되고, 이 캔버스부재(4)의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8)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오드부재(19)가 루우프(2)위에 위치해 있을때, 즉, 루우프(2)위의 개구부(3)가 폐쇄해 있을때 또는 개구부(3) 일부가 개방해 있을 때에는, 링크부재(52a),(52b)에 연동해서, 장식부재(53)가 가이드레일(11a),(11b)과 링크부재(52a),(52b)를 덮어 감추게 된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11a),(11b)의 안내홈(13,14)에 의한 주행풍류의 말려들어감을 방지할 수있는 동시에 물침입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외관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제1, 제2, 제3,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승객의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캔버스부재에 기인하는 주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루우프위치와 뒤창유리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캔버스부재의 이 동시에는, 캔버스부재가 차체에 대해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뒤창유리의 곡률이 켜서, 후부필러외판면과 뒤창유리 최후단부 포인트에 거리가 있어도 캔버스부재가 차체에 간섭하는 일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2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캔버스부재의 이 동시에, 이 캔버스부재를 대략 수평형상으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동개시직전의 캔버스부재의 형상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재차,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하여 캔버스부재를 루우프위치로 되돌렸을 때에는, 즉시, 개구부의 폐쇄조직을 행할 수 있어, 개구부의 개폐를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차체의 루우프(2)의 개구부(3)에 있어서, 개구부(3) 전단부와 개구부(3) 후단부와의 사이를 신축해서, 상기 개구부(3)를 개폐하는 가요제캔버스부재(4)와, 상기 캔버스부재(4)와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캔버스부재(4)를, 루우프(2)위치와 뒤창유리(8) 아래쪽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에 대해서 이간시키면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전후 1쌍의 요동가능한 복수개의 링크부재(35a),(35b),(52a),(52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차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a),(11b)과, 이 가이드레일(11a),(11b)에 일단부가 안내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캔버스부재에 지지되는 제 1링크부재(35a),(35b)와, 이 제 1링크부재(35a),(35b)보다도 길게 되고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상기 루우프(2)의 개구부(3) 후단부보다도 차체 후방쪽에서 차폭방향을 요동축심방향으로 해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캔버스부재(4)에 지지되어 있는 제2링크부재(52a),(52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캔버스톱.
KR1019890010598A 1988-07-30 1989-07-26 자동차의 캔버스톱 Expired - Fee Related KR930003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91662A JPH06104418B2 (ja) 1988-07-30 1988-07-30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
JP63-191662 1988-07-30
JP88191662 1988-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40A KR900001540A (ko) 1990-02-27
KR930003580B1 true KR930003580B1 (ko) 1993-05-08

Family

ID=1627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598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3580B1 (ko) 1988-07-30 1989-07-26 자동차의 캔버스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52747A (ko)
JP (1) JPH06104418B2 (ko)
KR (1) KR930003580B1 (ko)
DE (1) DE3925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2210A (en) * 1989-03-24 1993-09-07 Mazda Motor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roof of a vehicle
DE4314717C2 (de) * 1993-05-04 1997-07-31 Webasto Karosseriesysteme Fahrzeugdach mit einem zumindestens teilweise aus flexiblem Verdeckstoff bestehenden Verdeck
DE4481036T1 (de) * 1994-07-05 1997-05-07 Asc Inc Sonnenschutz für das Dach eines Automobils
US5572967A (en) * 1994-08-26 1996-11-12 Three Star Enterprises, Inc. Variable roller valv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538051A1 (de) * 1995-10-12 1997-04-17 Hs Products Ag Systemtechnik U Faltbares Dach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faltbaren Dachflächenteil
DE19604855B4 (de) * 1996-02-10 2006-04-13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Verdeck für Personenkraftwagen mit Fließheck
DE19616971A1 (de) * 1996-04-27 1997-10-3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einer Dachöffnung
DE19634299A1 (de) * 1996-08-24 1998-02-26 Motoren Werke Mannheim Ag Gasmotor mit Walzen-Drehschieber
DE19638846C2 (de) * 1996-09-21 1999-04-08 Baur Engineering Gmbh Cabriolet mit starren Dachrahmen
DE19731330C2 (de) * 1997-07-22 2000-10-12 Micro Compact Car Smart Gmbh Verdeck für ein Fahrzeug
DE19927237C1 (de) * 1999-06-15 2000-09-28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Fahrzeugdach
DE19942426C2 (de) * 1999-09-06 2001-10-04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Verdeckmechanik eines Faltdaches für ein Cabriolet
DE19942428C2 (de) * 1999-09-06 2001-11-22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
FR2810590B1 (fr) * 2000-06-27 2003-01-24 Webasto Systemes Carrosserie Dispositif de guidage d'une lunette arriere escamotable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dispositif
DE10138370C2 (de) * 2001-08-04 2003-10-16 Daimler Chrysler Ag Kraftwagen mit einem Dach mit Schiebeverdeck
DE10140234A1 (de) * 2001-08-22 2003-03-13 Karmann Gmbh W Cabriolet-Fahrzeug mit einem zumindest bereichsweise flexiblen Dach
US6497448B1 (en) * 2001-11-20 2002-12-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arward closur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DE10248346B3 (de) * 2002-10-17 2004-01-22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DE10248344A1 (de) * 2002-10-17 2004-05-06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DE10332944B3 (de) * 2003-07-19 2005-05-04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
DE102005006033A1 (de) * 2005-02-10 2006-08-17 Wilhelm Karmann Gmbh Verbundmaterial für ein faltbares Fahrzeugdac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materials
US7320499B2 (en) * 2005-10-27 2008-01-22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Movable roof drive system
DE102006007815B3 (de) * 2006-02-17 2007-10-25 Webasto Ag Fahrzeugdach
US7828364B2 (en) * 2007-03-19 2010-11-09 Mark Edward Causey Durable soft-top vehicle cover
US7938483B2 (en) * 2007-05-24 2011-05-10 Specialty Vehicle Acquisition Corp. Movable vehicular roof
FR2921870A1 (fr) * 2007-10-03 2009-04-10 Heuliez Sa Toit avec couverture souple.
EP2632751B1 (en) * 2010-10-27 2019-10-02 Bestop, Inc. Openable roof for a vehicle
KR20150069262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노라마 선루프용 블라인드의 처짐방지장치
US9283833B2 (en) * 2014-02-11 2016-03-15 Webasto-Edscha Cabrio GmbH Top of a convertible vehicle having a roof cassette and a sealing arrangement
US11970051B1 (en) * 2021-10-29 2024-04-30 Daniel Romein Retractable Jeep™ top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0463A (en) * 1929-05-24 1932-05-31 Harry E Kaplan Automobile top
BE472406A (ko) * 1946-04-09
DE830001C (de) * 1950-03-25 1952-11-17 Gerhard Bahr Verdeck fuer Personenkraftwagen
US2694598A (en) * 1950-10-23 1954-11-16 Nash Kelvinator Corp Convertible top construction
FR2053488A5 (ko) * 1969-07-07 1971-04-16 Peugeot & Renault
IT8353471U1 (it) * 1983-06-16 1984-12-16 Pininfarina Ind Spa Copertura flessibile per autoveicoli a tetto apribile
JPS6226118A (ja) * 1985-07-27 1987-02-04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開閉屋根構造
JPS6231516A (ja) * 1985-08-05 1987-02-10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開閉屋根装置
JPH0777849B2 (ja) * 1986-08-29 1995-08-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キヤンバストツプ
JPS63162326A (ja) * 1986-12-26 1988-07-05 Nissan Motor Co Ltd 幌屋根付車両
JP2685182B2 (ja) * 1987-05-22 1997-1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40A (ko) 1990-02-27
JPH06104418B2 (ja) 1994-12-21
JPH0241925A (ja) 1990-02-13
DE3925150A1 (de) 1990-02-01
US5052747A (en) 1991-10-01
DE3925150C2 (ko) 199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580B1 (ko) 자동차의 캔버스톱
US5921613A (en) Arrangement for guiding a swing-out sliding door on a vehicle body
US4223483A (en) Closure hinge mechanism
EP1403111B1 (en) Sliding door structure for vehicle
US5718472A (en) Automotive slide roof system
US4530412A (en) Vehicle hood support and secondary latch
KR20020027621A (ko) 썬루프 시스템 및 썬루프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US5145231A (en) Roof structure of an automotive vehicle
US8075043B2 (en) Folding top with changeable tension in the cover
CN102470738B (zh) 用于车辆车顶的车顶组件
US6623070B2 (en) Roof arrangement for a vehicle
JP2008511500A (ja) 滑動式扉および衝撃の場合の滑動式扉の係留用手段を含む自動車
KR20040073576A (ko) 자동차의 리어 패널 작동 장치
US4611434A (en) Swingable sliding door for vehicles, particularly automotive vehicles
US7222908B1 (en) Automotive open air system
JP2009532259A (ja) オープンカー用ハードトップ折畳みルーフ
JP3657570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
JPH04297323A (ja) 車両の開閉ル−フ構造
JP3503419B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構造
JPH0630508Y2 (ja)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
JPH0343355Y2 (ko)
JP2597087Y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取付構造
JPH0215693Y2 (ko)
JP2975256B2 (ja) サンルーフ用のシェード装置
JPH0241927A (ja)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5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