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9307B1 - 지폐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07B1
KR910009307B1 KR1019870001818A KR870001818A KR910009307B1 KR 910009307 B1 KR910009307 B1 KR 910009307B1 KR 1019870001818 A KR1019870001818 A KR 1019870001818A KR 870001818 A KR870001818 A KR 870001818A KR 910009307 B1 KR910009307 B1 KR 91000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banknotes
pressing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10A (ko
Inventor
오사무 고바야시
히로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가다 마지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오가다 마지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Publication of KR87000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12Devices relieving the weight of the pile or permitting or effecting movement of the pile end support during piling
    • B65H31/14Spr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수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주요부의 횡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지폐 집적박스내의 주요부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왕복기구가 최대로 평행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폐 삽입구 3 : 반송로
4 : 지폐 반송벨트 7 : 누름판
12,120 : 지폐 집적박스 13a,13b : 지폐 유지용 채널부재
14 : 지폐 압축판 15 : 콘스탄트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등의 환전기에서 사용되는 지폐, 상품권 등의 종이류(이하, 간단히 지폐라 한다)의 수납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폐수납장치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개략적인 구조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송출 수단에 의해 송출된 지폐를 면방향으로 눌러 지폐 유리판(50)과 지폐 멈춤 리브(또는 채널부재)(51)사이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예를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60-77287호).
이와같은 종래의 지폐 수납장치에서의 지폐 유지판(50)은 스프링(52)등의 힘에 의해서 항상 지폐 멈춤 리브(51)을 향해서 눌러져 있다. 따라서, 지폐의 수납 매수가 많아지면 스프링 힘의 반력이 커져서 지폐 누름수단(53)에는 그 스프링 힘에 대항하는 만큼의 누르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스프링(52)의 힘은 지폐 매수가 없을 때, 즉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에도 충분히 누르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때문에 지폐 수납매수가 증가하였을 때의 지폐누름수단(53)의 동력부(모터 M2)에는 최대 수납매수에 대응한 스프링 반력과 필적하는 큰 토오크를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 수납매수를 많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간단히 수납상자의 용적을 크게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모터 M2를 대형화하여 토오크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지폐를 수납할 때마다 지폐의 주위가 수납상자의 내면(특히 바닥면)과 접촉하여 이동하므로, 지폐누름수단(53)은 그 접촉에 의한 마찰에 대항해서 누르는 힘도 상기 스프링 힘에 대항하는 누르는 힘에 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접촉에 의한 마찰은 지폐의 수납매수가 많아질수록 커지며, 그만큼 지폐누름수단(53)의 누르는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지폐누름수단용의 동력장치와 기구가 대형으로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많은 지폐를 수납하고자 하여도 동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단순히 수납상자를 크게 하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지폐의 접촉에 의한 마찰은 지폐의 주위(특히 아래끝)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특히, 빈번한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지폐의 주위가 닳아 유통에 지장을 준다는 중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지폐 식별 수단에 의해 정이라고 판별된 진짜 지폐를 지폐 수납장치로 반송하는 지폐송출수단, 지폐 수납장치에 정지된 지폐를 면방향으로 누르는 지폐누름수단, 지폐누름수단과 대향하는 쪽에 마련한 지폐폭보다 폭이 좁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와 그 채널부재의 방향으로 항상 눌려지는 지폐압축판을 구비하여 지폐를 지폐유지용 채널 부재와 지폐압축판사이에 끼우는 지폐 수납장치에 있어서, 지폐수납공간의 주위에 여러개의 스피링을 배치하고, 각 콘스탄트 스프링의 인출단을 상기 지폐압축판의 축면부에 부착하여 고정하고, 그 콘스탄트 스프링에 의해 항상 일정한 누르는 힘으로 그 지폐압축판을 상기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의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납지폐의 가장자리가 콘스탄트 스프링의 인출면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폐가 지폐 수납장치에서 정지하면, 지폐누름부재가 가동하고, 그 지폐누름부재는 지폐압축판에 의한 반대방향의 누르는 힘에 대항해서 지폐를 수납실로 민다. 밀려진 지폐는 휘어지면서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사이를 통과해서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와 지폐압축판사이에 형성되는 지폐수납공간내로 유도된다. 그후, 지폐누름부재가 원상태로 되돌아가면 지폐는 지폐압축판과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사이에 끼워진다.
이 경우, 지폐압축판에 의한 누르는 힘은 콘스탄트 스프링에 의해 지폐수납량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된다. 또, 이때 지폐의 가장자리가 콘스탄트 스프링의 인출면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하면, 지폐압축판의 이동에 따라서 콘스탄트 스프링도 인출되며, 또한 원 위치로 되돌아가므로 각 지폐의 가장자리는 항상 콘스탄트 스프링위의 같은 위치에 지지되게 되어 다른 부재와의 마찰은 없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종 단면도이며, 이 지폐장치의 본체는 상하로 긴상자이다. 지폐 삽입구(1)은 상자의 앞면(도면에서는 좌측면)의 아래쪽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커버(2)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지폐를 삽입구(1)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부에는 삽입구(1)에 연결되어 긴쪽방향으로 지폐를 반송하는 L자형 반송로(3)이 마련되어 있다. 이 L자형 반송로(3)의 삽입구(1)부근의 짧은 쪽의 직선부분에는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자기 헤드 H1,H2가 마련되어 있다. 자기 헤드 H1,H2는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1쌍으로 마련되어 지폐 인쇄 잉크에 함유된 자기성분을 검출한다. 삽입구(1)부근에는 지폐가 투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지폐 센서 S1이 마련되어 있다.
지폐 반송로(3)에는 1쌍의 지폐 반송벨트(4)와 이 벨트(4)를 구동하기 위한 반송용 모터 M1과 이 모터 M1의 회전을 벨트(4)에 전달하기 위한 폴리(5),(6)이 마련되어 있다. 위쪽의 1쌍의 풀리(5)에 모터 M1의 회전이 전달되면, 아래쪽의 1쌍의 풀리(6)이 따라서 회전한다. 아래쪽의 풀리(6)은 L자형 반송로의 모서리에 마련되고, 위쪽의 풀리(5)는 L자형 반송로의 상단에 마련되어 L자형 반송로(3)의 모서리에서 긴쪽의 직선부분으로 벨트(4)가 연장되어 이 사이에서 지폐에 대하여 구동력이 미치게 된다. 반송용 모터 M7ω회전 위치에 동기해서 전기적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펄스 발생기 RPG가 마련되어 있고, 이 펄스신호는 자기 헤드 H1,H2의 출력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식별을 행할 때에 지폐 위치 어드레스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지폐표면의 자기분포는 지폐상의 각 어드레스 위치에 대응해서 특정한 패턴을 나타내고, 이 패턴에 의해 돈의 종류마다 지폐의 진위를 판정할 수가 있다. R1,R2,R3,R4는 종동 로울러이다.
L자형의 반송로(3)의 긴쪽의 직선부분의 한쪽의 측면(반송벨트(4)의 쪽)에는 지폐 집적 동작을 행하기 위한 왕복기구가 마련된다. 이 왕복기구는 반송벨트(4)에 의해서 보내져온 지폐를 그 면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판(7)과 이 누름판(7)을 모터 M2의 회전에 따라서 왕복 운동시키는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즉, 모터 M2의 회전축에 편심해서 마련된 1쌍의 편심 캠(8)과 한쪽끝이 누름판(7)에 지지되고, 다른쪽끝이 긴 구멍(9a),(9b)를 거쳐서 고정축(10a),(10b)에 부착된 1쌍의 링크 봉(11a),(11b)가 마련되어 있으며, 모터 M2의 회전에 따라서 캠(8)이 편심회전하여 링크 봉(11a),(11b)를 누르고, 이것에 의해 누름판(7)이 면방향으로 평행이동된다. 누름판(7)은 스프링(21)에 의해서 항상 캠(8)쪽으로 눌려지게 되어 있고, 캠(8)의 편심운동에 따라서 누름판(7)이 왕복 운동한다.
L자형의 반송로(3)의 직선부분의 다른쪽에는 상기 왕복기구에 의해서 눌려진 폐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박스(12)가 마련되어 있다. 집적박스(1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폐의 가로폭보다도 약간 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세로로 긴 지폐 유지용 채널부재(13a),(13b)에 의해서 입구를 형성하고 있으나, 지폐의 표면 크기에 대응한 넓이의 지폐압축판(14)가 채널부재(13a),(13b) 및 누름판(7)과 평행으로 마련되어 있다. 채널부재(13a),(13b)는 고정되어 있으며, 지폐압축판(14)는 판면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평행이동이 가능하다. 지폐수납공간의 주위(즉, 박스(12)의 안쪽둘레면)에 있어서 채널부재(13a),(13b) 부근의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좌우 2곳과 아래쪽의 2곳)에는 콘스탄트 스프링(15)의 감기축(15a)가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이 각 콘스탄트 스프링(15)의 인출단은 지폐압축판(14)의 좌우측면과 아래면에 마련된 부착부재(14a)에 고정되어 있다(제3도 참조). 콘스탄트 스프링(15)의 작용에 의해서 지폐압축판(14)는 어떤 위치에 있어도 항상 일정하게 누르는 힘으로 채널부재(13a),(13b)의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콘스탄스 스프링(15)의 인출면은 지폐(22)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그 지폐(22)를 지지하고 있다. 또, 지폐(22)의 가장자리는 콘스탄트 스프링(15)이외의 부재에는 접하고 있지 않다.
채널부재(13a),(13b)의 반송로(3)부근의 일부가 절단되어 그곳에 지폐를 보낼때에는 보조하기 위한 종동 로울러(16),(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로울러(16),(17)은 스프링(18),(19)의 작용에 의해 항상 벨트(4)쪽으로 눌려져 있으며 벨트(4)의 움직임에 따라서 반송되어 오는 지폐를 벨트(4)와의 사이에 끼우고 회전한다.
대기상태에서 왕복기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로써, 누름판(7)은 집적박스(12)에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이 누름판(7)과 채널부재(13a),(13b)사이의 공간이 지폐의 통로로 되어 있다.
L자형 반송로(3)의 모서리에는 레버(20)이 마련되어 있고, 그 한쪽끝이 통로내에 돌출하고 있다. 레버(20)은 정방향(수입방향)으로 진출하는 지폐에 밀려서 자동적으로 통로 밖으로 밀려나도록 되어 있으나, 역방향의 지폐에는 스토퍼로 된다. 이 레버(20)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 S2가 마련되어 있고, 지폐 진행중에 레버(20)이 2점쇄선(20')와 같이 통로 밖으로 나왔을 때는 ″ON″하고, 통로내로 되돌아갔을 때는 ″OFF″한다.
지폐가 삽입된 것을 센서 S1이 검출하면, 반송로 모터 M1이 정회전하여 삽입 지폐를 반송로(3)에 따라서 정방향으로 반송한다. 그 과정에서 자기 헤드 H1,H2의 출력에 따라서 진위를 판정하여 가짜지폐인 경우는 모터 M1을 역회전하여 즉시 반환한다. 최종적으로는 진짜지폐라고 판정되어 반송된 삽입지폐의 뒤쪽끝이 레버(20)을 통과하여 스위치 S2가 ″ON″에서 ″OFF″로 전환될 때, 진짜 지폐신호가 외부의 이용장치로 출력되어 투입 매수의 계수에 이용된다. 그리고, 소정시간후에 모터 M1의 정회전이 정지되어 삽입 지폐는 누름판(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모터 M2를 정회전하여 지폐박스(12)내에 수입하는 집적동작을 행한다. 모터 M2의 회전축에는 캐리어 스위치 S3이 마련되어 집적 동작시에 그 모터 M2를 1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 모터 M2의 1회전에 따라서 편심 캡(8)이 1회전하여 누름판(7)을 1왕복 운동시킨다.
누름판(7)이 지폐 압축판(14)쪽으로 근접할 때, 반송로내의 지폐를 밀면서 채널부재(13a),(13b) 사이를 통과하고(이때, 지폐는 휘어지면서(13a),(13b)사이를 통과한다), 지폐를 지폐 압축판(14)로 밀면서 콘스탄트 스프링(15)의 힘에 대항해서 지폐 압축판(14)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채널부재(13a),(13b)와 지폐 압축판(14)사이에는 공간이 생겨 눌러진 지폐는 그 공간으로 들어간다. 제4도에는 왕복기구가 최대로 평행이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편심 캠(8)은 정확하게 1/2회전하고 있다. 편심 캠(8)이 나머지 1/2을 회전할 때, 누름판(7)은 화살표 A의 역방향으로 되돌아가고, 지폐 압축판(14)는 콘스탄트 스프링(15)의 힘에 의해서 채널부재(13a),(13b)쪽으로 눌러진다. 지폐의 양쪽이 채널부재(13a),(13b)에 맞닿으면 지폐 압축판(14)의 움직임이 멈추고, 부재(13a),(13b)와 지폐 압축판(14)사이에서 지폐를 압축하여 유지한다. 누름판(7)은 유지된 지폐를 박스(12)내에 남기고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해서 박스(12)내의 채널부재(13a),(13b)와 지폐 압축판(14)사이에 많은 수의 지폐(22)가 집적된다.
그리고, 박스(12)의 상부에 래치식으로 마련된 위쪽덮개(24)를 (24')와 같이 약간 들어올리면, 도시하지 않은 축을 지점으로 하여 박스(12)를 (12')와 같이 적당히 기우릴 수가 있어 내부의 집적 지폐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가 있다. 또, 비스듬히 기우린 박스(12)를 재차 수납장치 본체에서 떼어내어 교환할 수도 있다. 이 박스(12)에 관련해서 도시하지 않은 안전 스위치가 수납장치 본체쪽에 마련되어 있는 박스(12)가 (12')와 같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것 또는 본체에서 떼어내어진 것을 검지하고, 그때에는 모터 M1,M2의 구동을 정지하여 지폐의 투입을 금지한다. 또, 모터 M2의 회전에 따라서 박스(12)내로의 지폐 집적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는 지폐가 추가 투입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모터 M2의 회전시에 삽입구(1)의 센서 S1이 지폐를 검지한 경우는 반송용 모터 M1의 회전을 금지하여(또는 모터 M을 역회전하여)지폐의 투입을 금지하도록 한다.
지폐 집적박스(12)이 집적지폐가 가득차게 된 경우는 그 이후의 지폐의 수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폐의 삽입을 금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가득참 검출수단을 마련하여 가득찬 것을 검출할 때에는 반송용 모터 M1의 회전을 금지하거나, 또는 삽입구(1)의 센서 S1이 삽입 지폐를 검지하였을 때, 모터 M1을 역회전해서 자동 반환하도록 하면 좋다. 가득참 검출수단으로써는 박스(12)내의 소정의 가득찬 것을 검출하는 위치에 센서를 마련하거나, 또는 집적용 모터 M2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린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집적량이 최대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집적량이 최대로 된 것을 검출하는 방법등이 고려된다. 모터 M2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걸린 것은 캐리어 스위치 S3이 소정시간 이상 ″ON″을 계속하였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즉, 집적량이 한계에 달하였기 때문에, 지폐 압축판(14)가 그 이상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모터 M2의 회전이 도중에서 정지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모터 M2를 역회전해서 제1도와 같은 대기상태로 되돌려주면 좋다.
제5도는 콘스탄트 스프링(15)의 감기축(15a)의 부착장소를 변경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콘스탄트 스프링(15)의 감기축(15a)는 채널부재(13a),(13b)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지폐 압축판(14)는 채널부재(13a),(13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프링(15)의 인출단을 부착하였기 때문에, 압축판(14)의 좌우측면과 아래면에 마련되는 부착부재(14b)의 길이는 필요로하는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즉, 압축판(14)의 면에서 부착부재(14b)의 스프링 인출단 부착 위치까지의 거리가 스프링 감기축(15a)의 채널부재(13a),(13b)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되어있다.
제5도에 도시한 부착부재(14b)에 제1도에 도시된 부착부재(14a)보다도 긴 것이며, 그만큼 집적박스(120)은 대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콘스탄트 스프링(15)의 수는 좌우 2개, 아래면에 2개를 합친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또는 3개 또는 5개이상이라도 좋다. 또, 콘스탄트 스프링(15)전부가 지폐(22)의 가장자리에 접해서 이것을 지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예를 들면 아래면의 콘스탄트 스프링)만 지지하고 있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압축판을 콘스탄트 스프링에 의해 지폐유지용 채널부재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였으므로, 콘스탄트 스프링의 누르는 힘을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힘으로 비교적 작게 할 수가있어 이에 따라 지폐 누름수단의 동력부(모터 M2)의 토오크를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다. 즉, 콘스탄트 스프링의 비교적 작은 누르는 힘에 대응해서 지폐 누름수단은 지폐의 지폐 매수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비교적 작고 일정하게 누르는 힘으로 지폐를 누르면 되기 때문에, 작은 구동력의 지폐 누름수단을 이용해서 대용량의 지폐 수납장치의 사용이 가능하게 될뿐만 아니라, 수납량의 변경(소용량을 대용량으로, 또는 그 반대로)도 단순히 수납박스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특히 구동력의 설계변경을 요하지 않고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납한 지페를 콘스탄트 스프링의 인출면에 의해서 지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납 지폐는 콘스탄트 스프링과 함께 이동하며, 그 때에는 마찰이 생기지 않고, 또한 수납박스내의 다른면과는 마찰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마찰에 의한 지폐 가장자리가 손상될 염려도 없어지게 된다.

Claims (2)

  1. 지폐 식별 수단에 의해 진위가 판별된 진짜 지폐를 수납장치에 반송하는 지폐 송출 수단, 지폐 수납장치에 정지한 지폐를 면 방향으로 누르는 지폐 누름수단, 지폐 누름수단과 대향하는 쪽에 마련된 지폐폭보다 폭이 좁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폐 유지용 채널부재(13a),(13b), 그 채널 부재의 방향으로 항상 눌려지는 지폐 압축판(14)를 구비하여 지폐를 지폐 유지용 채널부재와 지폐 압축판 사이에 끼우는 지폐 수납장치에 있어서, 지폐 수납공간의 주위에 여러개의 콘스탄트 스프링(15)를 배치하여 각 콘스탄트 스프링의 인출단을 상기 지폐 압축판(14)의 측면부에 부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콘스탄트 스프링(15)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누르는 힘으로 상기 지폐 압축판(14)를 상기 지폐 유지용 채널부재(13a,13b)의 방향으로 누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수납되는 지폐의 가장자리가 상기 콘스탄트 스프링(15)의 인출면으로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장치.
KR1019870001818A 1986-03-17 1987-03-02 지폐수납장치 KR910009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57161A JPH0742028B2 (ja) 1986-03-17 1986-03-17 紙幣収納装置
JP57161 1986-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10A KR870009310A (ko) 1987-10-24
KR910009307B1 true KR910009307B1 (ko) 1991-11-09

Family

ID=1304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18A KR910009307B1 (ko) 1986-03-17 1987-03-02 지폐수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09966A (ko)
JP (1) JPH0742028B2 (ko)
KR (1) KR910009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761A (en) * 1988-08-31 1992-01-2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Sheet storing apparatus for sheets ejected from a copying machine
KR900011591A (ko) * 1989-01-24 1990-08-01 고바야시 쥰 지편반송장치 부착 프린터
GB8918699D0 (en) * 1989-08-16 1989-09-27 De La Rue Syst Thread detector assembly
US5076413A (en) * 1990-07-13 1991-12-31 General Signal Corporation Multiple bill escrow and storage apparatus
US5195739A (en) * 1991-02-01 1993-03-23 Nippon Conlux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US5357314A (en) * 1992-01-29 1994-10-18 Fuji Photo Film Co., Ltd. Film accumulator and film accumulator/holder
GB9207929D0 (en) * 1992-04-10 1992-05-27 Ncr Int Inc Apparatus for loading sheets into a receptacle
US5366212A (en) * 1992-04-27 1994-11-22 Roll Systems, Inc. Web-fed sheet stacker and separator
JP2966197B2 (ja) * 1992-05-29 1999-10-25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KR970005397B1 (ko) * 1992-07-29 1997-04-16 가부시끼가이샤 닛뽄곤락스 지폐처리장치
JPH06150106A (ja) * 1992-11-05 1994-05-31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装置
US5372361A (en) * 1992-11-13 1994-12-13 Japan Cash Machine Co. Ltd. Bill handling apparatus with exchangeable pusher for stacker
JP3118099B2 (ja) * 1992-12-03 2000-12-1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H06325241A (ja) * 1993-05-11 1994-11-25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US5388817A (en) * 1993-10-06 1995-02-14 Gameax Corporation Note stacker mechanism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US5443253A (en) * 1993-11-12 1995-08-22 Omation Corporation Remitt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US5803227A (en) * 1995-06-06 1998-09-08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Bill stacker
IT1277765B1 (it) * 1995-06-26 1997-11-12 Mec L A R Di Lonati Lorenzo & Dispositivo accatastatore ed incassatore di banconote con possibilita' di restituzione delle stesse
US5829673A (en) * 1996-04-04 1998-11-03 Coin Acceptors, Inc. Modular cash box
US5756985A (en) * 1996-04-04 1998-05-26 Coin Acceptors, Inc. Cash box system for bill validator
EP1051692B1 (en) 1998-01-07 2007-04-04 MEI, Inc. Flexible media stacking and accumulating device
GB2338704B (en) 1998-06-23 2002-12-31 Mars Inc Banknote stacking apparatus
JP3658268B2 (ja) * 2000-03-01 2005-06-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4559647B2 (ja) * 2001-03-21 2010-10-13 株式会社サトー スタッ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546881B1 (en) 2001-08-29 2003-04-15 Coin Acceptors, Inc. Expandable cash box
US6851540B2 (en) * 2001-12-17 2005-02-08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Paper currency collection detection arrangement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EP1323655A1 (en) 2001-12-28 2003-07-02 Mars Incorporated Sheet stacking apparatus comprising a pusher with extendible lateral portions
JP4223735B2 (ja) * 2002-05-15 2009-02-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ES2214949B2 (es) * 2002-07-31 2006-02-01 Jofemar, S.A. Aparato para la validacion y almacenaje de billetes.
JP4246537B2 (ja) * 2003-04-23 2009-04-02 アルゼ株式会社 紙葉取扱装置
JP4332379B2 (ja) * 2003-07-29 2009-09-1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06244367A (ja) * 2005-03-07 2006-09-1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4454025B2 (ja) * 2005-06-17 2010-04-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EP2076459A2 (en) * 2006-10-18 2009-07-08 Talaris Holdings Limited Document handling apparatus
CN101659358B (zh) * 2008-08-27 2012-03-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压纸装置
EP2963623B1 (de) * 2014-07-04 2022-08-3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Geldkassette mit einer beweglichen Bodenwanne
TWI601681B (zh) * 2017-02-17 2017-10-11 鴻發國際科技股份有限公司 文件儲存組件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648C (ko) *
US1166017A (en) * 1914-11-07 1915-12-28 Joseph E Smyth Company Stacker mechanism.
US2659907A (en) * 1952-08-20 1953-11-24 Donnelley & Sons Co Machine for forming bundles of signatures
US3148879A (en) * 1961-08-31 1964-09-15 Ibm Stacking apparatus
US3655186A (en) * 1970-12-14 1972-04-11 Ardac Inc Stacker for paper currency
US3811549A (en) * 1973-05-10 1974-05-21 Bobst Fils Sa J Apparatus for handling a flow of boxes
JPS5227700A (en) * 1975-03-31 1977-03-02 Takamisawa Saibaneteitsukusu:Kk Paper money housing device in changer or the like
US4474366A (en) * 1983-01-03 1984-10-02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Article stac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15461A (ja) 1987-09-22
KR870009310A (ko) 1987-10-24
JPH0742028B2 (ja) 1995-05-10
US4809966A (en) 198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9307B1 (ko) 지폐수납장치
KR910009120B1 (ko) 지폐 장치
CN107871357B (zh) 纸币堆积装置
EP3366622A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handling method
EP0900758B1 (en) An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KR910009306B1 (ko) 지폐 수납 장치
US7708273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3292013B2 (ja) 紙幣収納装置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0130494B1 (ko) 지폐수납장치
JPS62290671A (ja) 紙葉類の積層収納機構
JPH0437474B2 (ko)
JP3772041B2 (ja) 紙幣収容装置
JPH0731746B2 (ja) 紙幣装置
JPH0317738B2 (ko)
KR101170564B1 (ko) 종이매체 저장장치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KR2006004259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JPS632942Y2 (ko)
KR20037427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KR20070122007A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수납인입부 반송장치
KR101853024B1 (ko) 금융 자동화기기
JP6248699B2 (ja) 紙幣識別装置
JPS63479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10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7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10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9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