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8798B1 -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798B1
KR910008798B1 KR1019850007829A KR850007829A KR910008798B1 KR 910008798 B1 KR910008798 B1 KR 910008798B1 KR 1019850007829 A KR1019850007829 A KR 1019850007829A KR 850007829 A KR850007829 A KR 850007829A KR 910008798 B1 KR910008798 B1 KR 91000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s
glycopeptide
4glcnac
oligosaccharides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269A (ko
Inventor
네세르 쟝-리샤르
뷔르슈 삐에르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 아노님
앙드레제이 레드지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 아노님, 앙드레제이 레드지옹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6000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6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I형 섬모(fimbriae)를 갖는 병원성균에 대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그 유효성분으로서 당펩티드 및/또는 올리고당류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들 유효성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인자가 이식되어 동물 조직내에서 번식하는 것이 가능한 점막성 막의 상피세포에 병인자가 접착함으로써 대부분의 자연 감염이 시작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I형 섬모″라 알려진 단백질 구조를 갖는 세균에 의한 감염 과정에서 이들 세균이 ″만노스 민감성″이라 불리는 동물 세포에 접착하는데, 세포막의 표면에서 일부분의 당결합을 형성하는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인 복잡한 당염군인 특이 수용제를 상기 구조가 인식한다.
I형 섬모를 갖는 균이 기니아 피그에서 상피 세포에 접착하는 현상과 적혈구 응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이 막수용체의 특이적 구조와 유사한 특정 올리고당류의 존재에 의해 억제되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참고 N. Firon, I. Ofeck N. Sharon, Carbohydr. Res. 120(1983), 235~249). 따라서 세균을 문제의 올리고 당류에 우선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들 올리고 당류는 합성하거나 또는 효소 결핍증 환자의 요에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비슷한 경우로, 유럽 특허공고 89940호 Gal α1→3Gal의 구조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인데, 화학적으로 수득한 이 조성물은 어린 돼지의 장세포에 에스케리키아 콜리 K88+가 접착하는 것을 시험관내에서 억제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성분으로서 효소 반응에 의하여 수득한 식물 또는 동물 유래 당펩티드 및/또는 올리고 당류를 함유하고 I형 섬모에 의해 인식되는 정상 수용체를 대신할 수 있어, 이들 섬모를 갖는 병원성균이 동물 세포에 접착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I)의 당펩티드 및/또는 올리고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kpo00001
식중 R1은 수소원자, 4GlcNAc β1→ASN 잔기 또는 4GlcNAc
Figure kpo00002
잔기(식중 R′ 및 R″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아미노산 잔기 또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R2,R3및 R4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수소원자, 만노스 잔기 또는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을 나타낸다.
I형 섬모를 갖는 병원성균으로는 에스케리키아콜리,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에, 살모넬라 티피무륨, 시겔라 플렉스네리등의 병원성 균주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식(I)에서, 4GlcNAc β1→ASN은 4 위치에서 말단 글루코사민에 결합된 2-데옥시 글루코오스 고리를 나타내는데, 이는 2위치에 아세틸아미노기를 함유하고 아미노산 또는 폴리펩티드 사슬에 의해 치환 가능한 아스파라긴에 1위치에서 β-배위로 결합되어 있다.
병원성 콜리형 장내균의 접착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것으로는, 식중 R1이 4GlcNAc β1→ASN 또는 4GlcNAc
Figure kpo00003
(식중 R′ 및 R″는 상기 정의와 동일하다)이고; R3및 R4가 수소원자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만노스 잔기인 일반식(I)의 당펩티드가 대표적이다.
병원성 콜리형 장내균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올리고당류는, R1,R3및 R4가 수소원자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만노스 잔기인 일반식(I)의 올리고당류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유래 당단백질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시키고, 수득한 당펩티드에 엔도-β-N-아세틸글루코 사미니다아제 H를 작용시켜 당펩티디를 올리고당류로 전환시키고, 수득한 당펩티드 또는 올리고당류를 두만노스 잔기 사이의 α1→2 결합만을 우선적으로 절단하기 위하여 엑소-α-만노시다아제로 조절 분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리고만노시드가 풍부한 저장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 분말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원료로 이용할 수 있다. 탈지 콩(soya bean 또는 bean)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탈지 분말을 알칼리성 pH(8~9)에서 추출하고, pH 4.5~5에서 당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침전시킴으로써(참고.(1) M.Shemer, H.L.Creinin, R.E. Mc Donald W.E. Irwin, Cereal chem. 55(1978). 383~391. (2) A. Pusztai W.B. Watt, Biochem, Biophys. Acta 207(1979). 413~431) 콩(soya bean) 당단백질 7S 또는 콩(bean) 당단백질 Ⅱ가 풍부한 분리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펩티드를 얻기 위해서, 당단백질이 풍부한 분획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시킨다(참고. F. Yamauchi, M. Kawase, M. Kanbe K. Shibazaki, Agr. Biol. Chem. 39(1975), 873~878).
효소에 의한 분해는 산성, 중성 또는 알칼리성 pH에서 활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효소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곰팡이 유래, 미생물 유래(예, 프로나아제, 알칼라아제), 식물성 유래(예, 브로멜린, 피신, 파파인) 또는 동물성 유래(예, 트립신, 펩신, 판크레아틴)일 수 있다.
당펩티드에서 올리고당류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첫째 구현예에서, 일반식(I)의 두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 사이의 β1→4 결합을 우선적으로 절단하여 R1을 H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상기 분해물을 엔도-β-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아제 H로 처리한다.
상기 올리고당류의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을 단축하면 그 활성을 높일 수 있는데, 그것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째 구현예의 바람직한 변형 방법에서는, 두 만노스 잔기 사이의 α1→2 결합을 우선적으로 절단하는 효소인 엑소-α-만노시다아제를 이용하여 올리고당류를 조절 처리한다(참고. T. Tai, K. Yamashita, M. Ogata-Arakawa, N, Koide, T. Muramatsu, S. Iwashita, Y. Inoue A. Kobata, J. Biol. Chem. 250(1975), 8569~8575).
첫째 구현예에서 수득한 것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생성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둘째 구현예에서는 상기 당펩티드를 엑소-α-만노시다아제를 이용하여 조절 처리하여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을 단축시킨다. 한편, 이 당펩티드를 엔도 H로 처리하여 대응 올리고 당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I형 섬모를 갖는 박테리아의 감염에 의한 질병, 보다 특별하게는 에스케리키아 콜리등의 콜리형 장내균에 의한 위장 장해의 예방, 치료 또는 진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투여용 제제로 공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장내투여의 경우, 유효 성분을 시럽, 환, 캡슐, 정제, 당의정, 용액, 서스펜션, 에멀션 또는 수성매질을 가하여 재조제할 수 있는 분말을 조제할 수 있는데, 분유 등의 식품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피장 투여를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멸균된 무발열성인 용액 또는 서스펜션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국부 투여를 위해서는, 예를들어 안과적으로 응용하는 경우 용액, 에어로졸, 연고 또는 고약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병원성균의 진단, 확인 또는 분리를 위한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고분자 지지체에, 바람직하게는 공유결합시켜 지지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콘택트 랜즈 처리용 용액 또는 에멀션의 형태로서 표면 소독제로 이용 가능하다.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의 양은 0.1~90중량%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며,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각각 중량부 및 중량%이다.
하기 실시예 1~3에서, 일반식(I)의 유효성분의 구조는 하기 특성으로 확인한다.
a) 출발 당단백질의 당염조성물을 분석하면 오직 두 종류의 단당류 성분, 즉 만노스 및 글루코사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들 두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올리고 당류는 폴리펩티드 사슬의 아스파라긴의 질소에 결합되어 있고(N-글리코시드 결합), 따라서 이 올리고당류의 ″엔도″부분은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kpo00004
b) 모든 당펩티드 기질이 엔도-β-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아제 H(엔도 H)에 의해 완전 분해되는 사실은 이 화합물이 상기 효소적 분해반응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구조에 해당함을 증명한다 [참고 Tarentino, R. B. Trimble F. Maley, Methods in Enzymology(V. Ginsburg, ed., Academic Press, New York), 50(1978) 574~580.
Figure kpo00005
상기 두 구조가 완전히 일치함으로써 제안된 일반 구조를 일반식으로 만들 수 있다.
[실시예 1]
a) 당단백질 : 탈티콩(soya bean) 분말을 0.5밀리몰 Na2SO3용액으로 추출하고(pH 8.0), pH5.7에서 침전시켜 제1분획(11S가 풍부한 분획)을 제거하고, pH 4.5에서 다시 침전시킨 후 동일 pH에서 두 번 세척함으로써 7S가 풍부한 분획을 수득한다.
b) 당펩티드 : 톨루엔이 존재하는 트리스-HCℓ 완충용액(0.05몰, pH 8.0) 2ℓ에 용해시킨 30g의 단백질을 40℃에서 600mg의 프로나아제 E(Merck AG)로 24시간동안, 그 후에 300mg의 효소로 48시간동안 처리함으로서 단백질 분획의 효소적 분해를 실시한다. 이 용액을 여과하고, 다우엑스 50W-X8(R)(Dowex 50W-X8(R)) 수지(H+형)를 이용하여 용출시키고, 세척용수에 당염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수지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합한 분획을 앰버라이트 IRA 400(R)수지(COO3 --형)를 이용하여 중화함으로써 당펩티드를 분리한다. 최종 용액을 농축시키고 냉동 건조시키고, 생성물을 세파덱스 G-25(R)컬럼에서 분획 정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정제한다. 이 공정의 총수율은 88%(당펩티드 혼합물에 존재하는 만노스의 최종량을 토대로 함)이다. 수득한 혼합물의 당염 조성물을 분석하면(참고. J.R. Neeser T. F. Schweizer, Anal, Biochem (1984)) N-아세틸글루코사민 매 2단위당 평균 7.6단위의 만노스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 올리고당류 : 상기에서 수득한 당펩티드는 글루코사미니다아제 H(엔도 H, 세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에 의하여 완전하게 분해된다. 이 특성은 대응 올리고당류를 수득하는 방법의 원리이다 : 10ml의 시트레이트-인산 완충용액(pH 6.0, 10밀리몰)에 7.5mg의 올리고만노시드를 함유하는 당펩티드 시료를 용해하고, 생성된 용액에 100밀리단위의 엔도 H(단위는 제작자에 의해 정의됨) 및 0.5ml의 톨루엔을 가한다. 37℃에서 24시간동안 보온한 후, 효소를 열변성시킨다. 수득한 가수분해물을 조생성물의 형태 그대로 혈구응집 시험에 이용한다(참고. 실시예 4). 동일한 가수분해물을 앰버라이트 MB 3(R)수지(H+및 OH-형)로 처리하여 올리고당류를 수득한다 : 즉 수지를 가한 후, 교반하고 수지를 경사분리해낸 후 세척수에서 당염이 사라질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하고 합한 분획을 농축시킨다. 이렇게 하여 정제한 올리고당류를 분석해 보면 85% 만노스를 함유하는 생성물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1단위당 7~8단위의 만노스가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올리고 당류의 효소적 가수분해 및 분리의 총수율이 실질적으로 정량적임을 알 수 있다. 엔도 H에 의한 분해의 결과로 수득한 조생성물 및 정제된 올리고 당류의 혼합물을 각각 고수율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HPTLC) 분석하면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 효소적 분해에 의해 GlcNAc-(Man)6(18%), GlcNAc-(Man)7(26%) 및 GlcNAc-(Man)8(56%)[Man은 만노스 잔기이다]의 구조에 대응하는 세 개의 다른 생성물을 수득하는데, 이 탄수화물은 모두 출발 당펩티드에서 유래한 것이다.
[실시예 2]
a) 당단백질 : 연마한 탈지 제비콩(파세올루스 불가리스)의 분말을 pH 9.0에서 추출하고 pH 5.0에서 산성수로 투석하고, 생성된 당단백질 분획의 침전물을 분리하여 pH 8.0에서 재용해함으로써 당단백질 Ⅱ가 풍부한 분획을 제조한다. 합한 상층액을 두 번 원심분리하고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당단백질 Ⅱ가 풍부한 분획을 수득한다.
b) 당펩티드 : 콩(soya-bean) 당단백질 7S를 분해시킨 방법(실시예 1b)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백질 분획의 효소적 분해를 실시한다. 수득한 혼합물의 당염 조성물을 분석하면(참고. J.R. Neeser T.F. Schweizer, Anal. Biochem.(1984), N-아세틸글루코사민 2단위당 평균 7.8단위의 만노스가 존재함을 알수 있다.
c) 올리고당류 :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당펩티드를 엔도 H를 이용하여 완전 분해한다. 올리고당류의 효소적 가수분해 및 분리는 콩(soya-bean)의 당펩티드의 분해에서와 동일한 방법(실시예 1c)으로 실시한다. 이 경우 HPTLC 분석을 하면, GlcNAc-(Man)5(5%), GlcNAc-(Man)6(10%), GlcNAc-(Man)7(26%), GlcNAc-(Man)8(15%) 및 GlcNAc-(Man)9(44%)의 구조에 해당하는 5종류의 다른 생성물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 및 2의 생성물로부터 환원된 구조의 당펩티드 및 올리고당류를 수득하기 위하여 Man α1→2 결합, 특히 Man α1→3Man 결합을 우선적으로 절단하는 α-만노시다아제(카나발리아, 카나발리아 유래, 시그마 제품)을 이용한다.
콩(soya-bean) 당단백질 7S(실시예 1b)로부터 수득한 350mg의 올리고만노시드를 함유하는 당펩티드시료를 75ml의 시트레이트 완충용액(0.01몰, pH 4.5)에 용해하고 생성된 용액에 190단위의 α-만노시다아제(카나발리아 유래, 단위는 제작자에 의해 정의됨)를 가한다. 25℃에서 1시간동안 보온한 후, 혼합물을 끓이고, 냉각시키고 여과한다. 여과액을 동결 건조한다. 동결건조한 생성물은 조생성물의 형태 그대로 혈구 응집 반응시험(실시예 4)에 이용할 수 있다. 당펩티드 혼합물 및 만노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세파덱스 G-25(R)컬럼에서 정제할 수도 있다.
생성물의 당염 조성물을 분석하면(참고. J.R. Neeser T.F. Schweizer, Anal, Biochem. (1984)), N-아세틸글루코사민 2단위당 4.8단위의 만노스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식물성 유래 대응 올리고당류에서 상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생성물을(실시예 1c 및 2c) HPTLC 분석하면, 식 GlcNAc-(Man)5에 해당하는 화합물이 수득한 혼합물의 주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기니아 피그에서의 이.콜리 균주의 접착에 의한 혈구 응집 반응에 대한 당펩티드 및 올리고 당류의 억제작용 혈구 응집 반응시험 및 혈구 응집 억제 반응시험에서는 이.콜리의 두 접착 균주를 이용한다 : 즉 이.콜리16375(Univ. Klinik fur Kinderheikunde, Innsbruck) 및 균주 이.콜리 0119. K69, L74-30(K69)의 임상분리물을 이용한다. 이들 세균을 식염수(0.9% NaCl)로 세척하고 현탁액의 농도를 109세균/ml가 되도록 조절한다(광학적 밀도 측정법).
기니아 피그 적혈구를 1%의 농도로 식염수에 현탁한다. 25μl의 세균 현탁액, 50μl의 적혈구 현탁액 및 25μl의 식염수(각각의 경우에 억제인자를 전혀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각종 농도에서 시험한다)를 혼합함으로써 혈구 응집 반응 및 혈구 응집 억제 반응시험을 실시한다. 4℃에서 2시간동안 방치한 후 결과를 측정한다.
결과를 하기 표 I에 나타내었다 :
[표 I]
Figure kpo00006
표 I의 범례 :
a) 혈구 응집 완전 억제반응에 의해 생성된 최종 혼합물의 최소 억제 농도.
b) 생성물 당염 조성물의 분석에 의해 유도된 일반식을 갖는 억제인자의 이론적 농도(혼합물인 경우).
c) 아스파라긴에 결합된 탄수화물에 해당하는 생성물 GP IV 및 V는 문헌 [T.Tai, K.Yamashita, M. Ogata-Arakawa, N.Koide, T. Muramatsu, S. Iwashita, Y. Inoue A. Kobata, J. Biol. chem.250(1975), 8569~8575]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수득하고, 분리하고 명명한다. 오발부민에서 수득한 당펩티드의 혼합물이 거기에 해당한다.(참고. 상동).
d) 합성 생성물은 한스 파울젠 교수(Institut fur Organische Chemie and Biochemie der Universitat Hamburg)에 의해 제공된 것이다.
n. t.는 시험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외에도 식물성 당펩티드가 병원성 장내 균주인 이.콜리 086.K61, B74-10 및 0111.K58, B75-44에 의해 유발된 기니아 피그에서의 적혈구 응집 반응에도 탁월한 억제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인체 구강 세포에 대한 장내병원성균 이.콜리 16375의 접착 및 접착 억제작용]
실험실 구성원의 입에서 도말표본을 채취하여 세포를 수집하고 이를 인산-완충 생리식염수 [NaCl 0.15몰, 인산 0.01몰, (PBS)]로 4번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106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한다. 장내 병원성 세균인 임상 분리물 16375의 이.콜리를 PBS로 두 번 세척하고 2×109세균/ml의 농도로 희석한다.
500μl의 세포 현탁액, 250μl의 세균 현탁액 및 250μl의 PBS(접착 측정용) 또는 억제인자(억제작용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종 농도를 만든다)를 혼합하여 배양한다. 환경 온도에서 30분간 천천히 회전시켜 혼합한다. PBS(5㎖)로 4번 세척한 후 도말포본을 수집하고 그람 염색을 실시한다. 각 세포당 접착된 세균의 수를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고, 각 시험마다 50세포를 분석한다. 결과를 하기 표 II에 나타내었다.
[표 II]
Figure kpo00007
[실시예 6]
[당펩티드를 고체 지지체에 고정]
프로나아재를 이용하여 분해하여 수득한 당펩티드(실시예 1b 및 2b)를 하기 방법에 따라 세파로스 겔에 고정시킬 수 있다 : CNBr로 활성화한 2g의 세파로스 6MB(R)(파마시아 파인 케미칼)을 HCℓ(1밀리몰, 400㎖)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한다. 동시에 콩(bean) 당단백질 Ⅱ에서 수득한 당펩티드(실시예 2b) 63mg(건조 중량, 25mg의 올리고만노시드를 함유한다)을 NaCl(0.5몰)-함유 NaHCO3완충용액(0.1몰, pH 8.3)에 용해한다. 당펩티드 용액과 현탁 겔을 환경온도에서 2시간동안 천천히 회전시켜 혼합한다. NaHCO3/NaCl 완충용액, 에탄올아민 용액(환경온도에서 2시간), NaHCO3/NaCl 완충용액, NaCl(0.5몰)-함유 아세테이트 완충용액(0.1몰, pH 4.0) 및 최종적으로 NaHCO3/NaCl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차례로 세척함으로써 겔이 당펩티드에 결합되도록 한다. 만노스 복량을 토대로 한 반응수율은 48%의 고정율이다.
[실시예 7]
[유효성분 구조에 대한 특이한 수용체를 갖는 세균을 확인하기 위한 진단시험]
a) 혈구 응집 반응 시험을 위하여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세균을 기니아 피그의 적혈구와 혼합한다. 동시에,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생성물의 용액을 가하여 비슷한 혼합물을 만든다(표 I에 따른 완전하게 억제작용을 할 수 있는 충분한 농도이어야 한다). 세균 현탁액에 의한 적혈구 응집 반응과, 유효성분을 가하여 그 반응을 억제시킨 것을 확인하는 것은 세균이 그 유효성분의 구조에 대한 특이적 수용체를 갖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b) 한편, 세균 현탁액과 당펩티드에 결합된 세파로스 겔(실시예 6)의 혼합물을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만들 수 있다. 15분간 배양한 후, 광학 현미경하에서 분석하면, 세균이 특이적 수용체를 갖는 경우 겔 입자를 덮고, 그 반대의 경우 입자가 세균을 전혀 고정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8]
[유효성분의 구조에 대한 특이적 수용체를 갖는 세균의 분리]
실시예 6에 따라 제조한, 당펩티드에 결합된 세파로스 겔을 컬럼에 유입시킨다. 세균 혼합물을 컬럼을 통과하도록 하면 겔에 결합된 당펩티드에 대한 특이적 수용체를 갖는 세균은 컬럼에 남는 한편 다른 세균은 직접 용출된다. 세척 후, 특이적 수용체를 갖는 세균을 순수한 형태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유효성분을 갖는 완충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한다.

Claims (3)

  1.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식물성 유래 당단백질을 분해하고, 수득한 당펩티드를 엔도-β-N-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아제 H를 이용하여 올리고당류로 전환시키고, 수득한 당펩티드 또는 올리고 당류를 두 만노스 잔기 사이의 α1→2 결합을 우선적으로 절단하는 엑소-α-만노시다아제를 이용하여 조절 분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에 해당하는 당펩티드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8
    [식중 R1은 수소원자, 4GlcNAc β1→ASN 잔기 또는 4GlcNAc
    Figure kpo00009
    잔기 (R′ 및 R″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아미노산 잔기 또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나타낸다)를 나타내고 : R2,R3및 R4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수소원자, 만노스 잔기 또는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원료인 당단백질이 탈지 식물성 분말에서 분리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콩(soya-bean) 당단백질 7S 또는 콩(bean) 당단백질Ⅱ가 풍부한 분리물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활성 고분자 지지체를 당펩티드 용액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결합에 의해 고분자 지지체에 결합된 하기 일반식(I)의 당펩티드를 함유하는 I형 섬모(fimbriae)를 갖는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0
    [식중 R1은 4GlcNAc β1→ASN 잔기 또는 4GlcNAc
    Figure kpo00011
    잔기 (R′ 및 R″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아미노산 잔기 또는 폴리펩티드 사슬을 나타낸다)이고 R2,R3및 R4는 같거나 서로 다르며 수소원자, 만노스 잔기 또는 올리고만노시드 사슬을 나타낸다.]
KR1019850007829A 1984-10-26 1985-10-23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KR910008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5136/84A CH660557A5 (fr) 1984-10-26 1984-10-26 Composition anti-bacterienn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ses constituants actifs.
CH5136/84-6 1984-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269A KR860003269A (ko) 1986-05-21
KR910008798B1 true KR910008798B1 (ko) 1991-10-21

Family

ID=42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829A KR910008798B1 (ko) 1984-10-26 1985-10-23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39123A (ko)
EP (1) EP0179324B1 (ko)
JP (1) JP2566913B2 (ko)
KR (1) KR910008798B1 (ko)
AT (1) ATE68501T1 (ko)
AU (1) AU577411B2 (ko)
CA (1) CA1280987C (ko)
CH (1) CH660557A5 (ko)
DE (1) DE3584414D1 (ko)
ES (2) ES8800360A1 (ko)
FI (1) FI86081C (ko)
IL (1) IL76628A (ko)
NO (1) NO164719C (ko)
PT (1) PT81372B (ko)
ZA (1) ZA857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2880C (en) * 1986-10-17 1994-11-08 Takashi Adachi Plant cultivation method
EP0424454A1 (en) * 1988-07-12 1991-05-02 Aquaspersions Limited Combating of undesired organisms
US5258304A (en) * 1989-10-27 1993-11-02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removing microorganisms from surfaces with Type II endoglycosidase
EP0425016B1 (en) * 1989-10-27 1995-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microbial method and formulation employing type II endoglycosidase and antimicrobial agent
US5041236A (en) * 1989-10-27 1991-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microbial methods and compositions employing certain lysozymes and endoglycosidases
US5238843A (en) * 1989-10-27 1993-08-24 Genencor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cleaning a surface on which is bound a glycoside-containing substance
US5141925A (en) * 1990-04-23 1992-08-25 Trustees Of Tufts College Vivo methods for treating coccidiosis
US5718909A (en) * 1991-02-18 1998-02-17 Medscand Ab Sheet containing carbohydrate derivative for removal of E. coli
US5500206A (en) * 1994-04-29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actinomyces viscosus fimbriae
JP3576720B2 (ja) 1996-10-15 2004-10-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ダイアル操作装置
JP3061616B1 (ja) * 1999-04-09 2000-07-10 株式会社セラリカ野田 低カロリ―調製ロ―ヤルゼリ―
FR2802536B1 (fr) * 1999-11-23 2003-06-13 Chru Lille Oligomannosides de synthes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a la detection d'anticorps et a la prevention d'infections
ITMI20030391A1 (it) * 2003-03-04 2004-09-05 S I I T S R L Servizio Internaz Ionale Imballa Formulazioni anticarie a base di faseolamin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4773A (en) * 1976-01-01 1981-12-09 Kureha Chemical Ind Co Ltd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JPS5576818A (en) * 1978-12-06 1980-06-10 Hitoshi Ito Agent for improving hepatic function
AU6770981A (en) * 1980-01-28 1981-08-17 Svensson, S. E. Isolation of carbohydrates from cell tissue
AU561067B2 (en) * 1982-03-22 1987-04-30 Biocarb Ab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an oligosaccharide
AU561066B2 (en) * 1982-03-22 1987-04-30 Biocarb Ab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an oligosaccharide
EP0089940A1 (en) * 1982-03-23 1983-09-28 BioCarp AB Compositions for therapeutic or diagnostic use containing oligosaccharides
IT1168205B (it) * 1983-07-21 1987-05-20 Wellcome Italia Derivato di monsialo ganglioside dotato di attivita' antibatterica, antifungina ed antitumorale, composizioni che lo contengono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US4613589A (en) * 1985-08-19 1986-09-23 Abbott Laboratories D-manno-2-octulosonic acid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4613590A (en) * 1985-08-19 1986-09-23 Abbott Laboratories Amino D-manno-2-octulopyranosidonate containing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76628A (en) 1991-06-10
CA1280987C (en) 1991-03-05
FI854179A0 (fi) 1985-10-25
FI86081B (fi) 1992-03-31
EP0179324A2 (fr) 1986-04-30
EP0179324B1 (fr) 1991-10-16
ES8802458A1 (es) 1988-06-16
CH660557A5 (fr) 1987-05-15
JPS61103829A (ja) 1986-05-22
IL76628A0 (en) 1986-02-28
EP0179324A3 (en) 1988-05-18
NO164719B (no) 1990-07-30
ES548242A0 (es) 1987-11-01
KR860003269A (ko) 1986-05-21
DE3584414D1 (de) 1991-11-21
ZA857842B (en) 1986-05-28
PT81372B (pt) 1987-11-30
JP2566913B2 (ja) 1996-12-25
ES8800360A1 (es) 1987-11-01
FI854179L (fi) 1986-04-27
PT81372A (fr) 1985-11-01
ATE68501T1 (de) 1991-11-15
NO164719C (no) 1990-11-07
AU577411B2 (en) 1988-09-22
FI86081C (fi) 1992-07-10
ES557292A0 (es) 1988-06-16
NO854273L (no) 1986-04-28
AU4851485A (en) 1986-05-01
US4939123A (en) 199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798B1 (ko) 항균 조성물과 그 유효성분의 제조방법
Cohen et al. Salivary glycoproteins
Jolles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en egg-white lysozyme and lysozymes of different species
Grant et al. The Biosynthesis of Basement Membrane Collagen in Embryonic Chick Lens: I. DELAY BETWEEN THE SYNTHESIS OF POLYPEPTIDE CHAINS AND THE SECRETION OF COLLAGEN BY MATRIX-FREE CELLS
Shimizu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cin-like glycoprotein in human milk fat globule membrane
Keller et al.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isoenzymes of human parotid α-amylase
Tallman et al. Isolation and relationship of human hexosaminidases
Otulakowski et al. Proteolysis of sialoglycoprotein by Pasteurella haemolytica cytotoxic culture supernatant
Chen et al. Bovine transferrins: Sialic acid and the complex phenotype
Li et al.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activity of hypoglycemic peptides in whey hydrolysates from rubing cheese by-product
CN101413019A (zh) 一种酪蛋白糖巨肽的制备方法
JPS5932480B2 (ja) 新規な糖蛋白複合体
Von Nicolai et al. A newly discovered sialidase from Gardnerella vaginalis
US5198352A (en)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compositions from glycopeptides
Erickson et al. Interaction of purified brush-border membrane aminopeptidase N and dipeptidyl peptidase IV with lectin-sepharose derivatives
Percheron et al. Mammalian β-d-mannosidase and β-mannosidosis
Bourgerie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ndo-N-acetyl-beta-D-glucosaminidase from the culture medium of Stigmatella aurantiaca DW4
JPWO2020090357A1 (ja) O結合型糖ペプチドの製造方法
Aerts et al.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a soluble form of glucocerebrosidase from human urine with those of the membrane-associated tissue enzyme
US5047337A (en) Ceramide-glycanase
US20040185428A1 (en) Lectin protein prepared from korean marine crab philyra pisum,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the use thereof
JP3108767B1 (ja) chib2型キチナーゼの製造法
JP3732871B2 (ja) 複合糖質の製造方法
Araki et al. Characteristics of the oligosaccharide structure of jack bean α-mannosidase with some lectins
RU2668158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имиглюцераз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10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10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9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