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8185B1 -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185B1
KR910008185B1 KR1019890007856A KR890007856A KR910008185B1 KR 910008185 B1 KR910008185 B1 KR 910008185B1 KR 1019890007856 A KR1019890007856 A KR 1019890007856A KR 890007856 A KR890007856 A KR 890007856A KR 910008185 B1 KR910008185 B1 KR 910008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spring
open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740A (ko
Inventor
김천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185B1/ko
Priority to US07/456,559 priority patent/US5038238A/en
Priority to JP1345005A priority patent/JPH0823956B2/ja
Publication of KR9100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발췌도.
제3a, b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 2 : 하우징
4 : 로딩암 5 : 연결기어
6 : 구동기어 7 : 기어
8 : 회동기어 10 : 캠
11 : 작동레버 14 : 링크
15 : 작용경사면 16 : 개방기어
20 : 고정구 23 : 덮개
25 : 개방스프링 26 : 안내봉
27 : 도어 28 : 이동홈
29 : 작동리브 30 : 지지구
31 : 버튼 33 : 닫힘레버
35 : 고정봉 36 : 테이프가세트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 등에 있어서, 화면이나 음질등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의 도어를, 테이프카세트의 로딩 및 인로딩 동작시에 작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프의 동작시 또는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도어가 닫혀있을 경우 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테이프레코더등에 있어서는 미세한 조정으로서 화면이나 음질등을 조절하는 미세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조정부의 노브들은 약한 힘에도 쉽게 조정되기 때문에 이들의 조정된 상태를 보호하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어를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는 항시 가벼운 수동작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 이외에 유아들도 쉽게 상기 도어를 개폐할 수 있었고 유아들이 이미 조정된 조정노브들을 마음대로 조작함에 따라 조정상태가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했으나, 현금에 이르기까지 도어의 개폐와 조정부의 보호및 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강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어를 테이프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시에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시기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하여 조정부를 보호하며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딩암(4)에 캠(10)을 형성하고 이 캠(10)으로서 도어(27)의 열림수단을 구동시키며 이 열림수단에는 탄력수단을 구비하여 도어(27)에 연결시키고 도어(27)의 일방에는 도어 닫힘수단을 구비하여 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테이프카세트의 삽입으로 로딩암(4)이 구동기어(6)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로딩이 이루어지면 이의 캠(10)이 상기 열림수단을 구동시키게 '되고 열림수단에 의하여 도어(27)가 열리게 됨과 동시에 테이프카세트는 로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카세트가 로딩완료되고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레코더를 구성시켜 테이프를 주행시키며 테이프의 주행시 열려진 도어내부의 조정노브들을 이용해서 각종 기능을 조정,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정이 완료되면 닫힘수단을 작동시켜 도어(27)를 닫게되는데, 이를 탄력수단에 의해서 원활하게 동작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서 도어가 닫히면 이는 테이프카세트를 다시 로딩시키지 않는 한 열리지 않게되므로 도어내부의 조정부를 보호할 수 있고 또 조정상태를 그대로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들에 의하면, 판넬(1)에 설치된 하우징(2)에는 로딩홈(3)과 로딩암(4)이 설치되고 이에 연결기어(5)와 구동기어(6)가 탄력설치되며 이들은 공지의 것이다. 상기의 연결기어(5)에는 기어(7)를 맞물리게 설치하고 기어(7)에는 열림수단을 구동시키는 회동기어(8)를 스프링(9)로 탄력설치한다.
상기 열림수단은 로딩암(4)의 캠(10)에 연결되는 작동레버(11)와 링크(14) 및 개방기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11)와 링크(14)는 서로 유동 가능하게 장공(12)으로 연결시키고 작동레버(11)는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되며 링크(14)의 하방 선단에는 작용경사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개방기어(16)에는 고정홈(17)와 안내홈(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14)와 스프링(16)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고정홈(17)에는 탄력편(19)이 설치되며 안내홈(18)에는 고정홈(21)과 조정부(22)를 가진 고정구(20)를 설치하되, 이의 고정홈(21)에는 개방스프링(25)의 내측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조정부(22)는 상기 탄력편(19)에 탄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0)와 개방기어(16)에는 개구부(24)를 가진 덮개(23)를 덮도록 설치하고, 상기 개방스프링(25)의 일단은 상기 덮개(23)의 개구부(24)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개방스프링(25)의 선단에는 안내봉(26)이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어(27)의 이동홈(28)에 삽입된다. 도어(27)의 내측 하방에는 작동리브(29)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선단은 상기 링크(14)에 선단에 접촉되고 링크(14)에 의하여 동작된다.
상기 판넬(1)에는 닫힘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판넬(1)의 내측에 지지구(30)를 설치하여 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버튼(31)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30)의 하방 힌지부(32)에는 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는 닫힘레버(33)를 설치하며 닫힘레버(33)의 상부는 상기 버튼(31)에 하부는 상기 링크(14)의 작용경사면(15)에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구성하며, 판넬(1)의 일측하방에 고정봉(35)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36은 데이프카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는 도어(27)가 닫혀있고 로딩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테이프카세트(36)를 하우징(2)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는 각 부품과 수단들이 동작되지 않고 테이프카세트(36)만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카세트(36)가 완전히 삽입되면 하우징(2)에 설치된 로딩스위치와 로딩모터(도시되지 않았음)가 구동되어 구동기어(6)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는 연결기어(5)를 회동시켜 이에 탄력설치된 로딩암(4)를 로딩홈(3)에서 이동시켜 제3b도와 같이 테이프카세트(36)를 로딩시킨다.
이와 같이 로딩암(4)이 회동되어 테이프카세트(36)의 로딩이 완료될 때 로딩암(4)에 형성된 캠(10)에 의하여 열림수단인 작동레버(11)가 작동하게 되며 작동레버(11)는 링크(14)를 레코더 내측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들은 장공(12)에 의하여 원활하게 작동된다. 링크(14)가 회동되면 이의 선단이 도어(27)에 돌출형성된 작동리브(29)를 밀어 이를 판넬(1)의 고정봉(35)에서 이탈시키게 되고 도어(27)는 작동리브(29)의 밀림동작으로 열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기어(5)에 맞물린 기어(7)가 회동하여 이에 스프링(9)으로 탄력설치된 회동기어(8)가 덮개(23)내의 개방기어(16)를 회동시키며 이는 스프링(161)을 인장하면서 회동되고 개방스프링(25)은 이의 안내봉(26)이 도어(27)의 이동홈(28)을 따라 당겨지므로 덮개(23)의 개구부(24)를 통하여 인출되며 개방기어(16)와 개방스프링(25)은 모두 인장력을 가지게 된다. 이때 개방스프링(25)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구(20)는 탄력편(19)에 접촉된 조정부(2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이 조정부(22)를 가진 고정구(20)는 제2도에서와 같이 개방기어(16)의 안내홈(18)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 조정부(22)의 회전으로서 개방스프링(25)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27)가 완전히 개방되고 테이프카세트(36)가 제3b도와 같이 로딩완료되면 테이프를 타수단으로 주행시켜 화면이나, 음성을 재생하게 되며 이때 화질 또는 음질을 도어(27)내부의 판넬(1)에 설치된 조정노브등을 이용해서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이들을 보호하고 조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27)를 다시 닫게 되는데, 이때는 제4도에서와 같이 판넬(1)의 지지구(30)에 설치된 버튼(31)을 누르면 이의 선단이 닫힘수단인 닫힘레버(33)의 상부를 밀게되며 닫힘레버(33)는 스프링(34)을 누르면서 힌지부(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이의 하단이 상기 링크(14)의 작용경사면(15)을 누르게 함으로서 도어(27)의 작동리브(29)를 밀고있던 링크(14)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27)와 작동리브(29)는 해방된 상태로 되며 도어(27)는 인장되었던 개방스프링(25)의 인장력으로 닫히게 되고 작동리브(29)는 다시 판넬(1)의 고정봉(3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도어의 개폐는 완료되며 테이프카세트(36)를 이젝트시키기 위하여 언로딩동작을 시키게 되면 상기의 로딩암(4)와 열림 및 닫힘수단은 모두 상기의 역으로 작동하여 복귀되지만 링크(14)는 장공(12)에 의하여 거의 동작되지 않고 도어(27)가 다시 열리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27)내의 조정부를 보호하고 또 조정부의 조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재차 테이프카세트의 로딩을 행하지 않으면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테이프카세트의 로딩시에만 도어를 개방시켜 화질 또는 음질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프카세트의 로딩동작시 이외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므로서조정상태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유아들의 장난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4)

  1. 여러 가지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부를 가진 레코더에 있어서, 판넬(1)의 일방에 설치된 하우징(2)의 로딩암(4)에 캠(10)을 형성하고 이에 도어를 개방하는 열림수단과 탄력수단을 연결설치하여 테이프카세트의 로딩시에만 열림수단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여 열려진 도어는 다시 닫힘수단의 버튼조작에 따라 닫히도록 하여 조정상태를 보호,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딩암(4)의 캠(10)에 작동레버(11)와 작동경사면(15)을 가진 링크(14)를 연동되게 설치하고 하우징(2)의 일방에는 개방기어(16)를 탄력설치하며 이에 조정부(22)를 가진 고정구(20)와 개방스프링(25)이 덮개(23)내에 내장되도록 설치하고 도어(27)에는 작동리브(29)와 개방스프링(25)이 연결되는 이동홈(28)을 구비하여 열림수단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판넬(1)의 지지구(30)에 버튼(31)을 설치하고 지지구(30) 하방에는 힌지부(32)를 형성하여 이에 링크(14)의 작용경사면(15)에 접촉되는 닫힘레버(33)를 탄력설치하며 판넬(1)의 하방에는 도어(27)의 작동리브(29)가 고정된 고정봉(35)를 형성하여 닫힘수단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4. 하우징(2)의 일방에 설치되는 개방기어(16)에 고정구(20)와 개방스프링(25)을 설치하고 개방기어(16)의 고정홈(17)에는 탄력핀(19)을 설치하여 상기 개방스프링(25)의 탄력도를 조절토록 하고 도어는 상기 개방스프링(25)의 탄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KR1019890007856A 1989-06-08 1989-06-08 도어 개폐장치 KR910008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856A KR910008185B1 (ko) 1989-06-08 1989-06-08 도어 개폐장치
US07/456,559 US5038238A (en) 1989-06-08 1989-12-26 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door accessing adjusting controls to a tape recorder
JP1345005A JPH0823956B2 (ja) 1989-06-08 1989-12-28 ドア開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7856A KR910008185B1 (ko) 1989-06-08 1989-06-08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740A KR910001740A (ko) 1991-01-31
KR910008185B1 true KR910008185B1 (ko) 1991-10-10

Family

ID=192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856A KR910008185B1 (ko) 1989-06-08 1989-06-08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38238A (ko)
JP (1) JPH0823956B2 (ko)
KR (1) KR910008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972A (en) * 1989-12-07 1993-03-2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assette load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recorder
DE9408531U1 (de) * 1993-08-24 1994-07-21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97 Hamburg Schwenkvorrichtung für eine im Bereich der Einschiebeöffnung des Lademechanismus eines Magnetbandkassettengerätes vorgesehenen Abdeckklappe
JP3611986B2 (ja) * 1999-07-02 2005-01-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0766U (ja) * 1982-10-14 1984-04-2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響機器におけるカセツト挿入口のドア装置
US4623992A (en) * 1982-12-06 1986-11-1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Operating panel for electronic audio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38238A (en) 1991-08-06
JPH0312054A (ja) 1991-01-21
KR910001740A (ko) 1991-01-31
JPH0823956B2 (ja) 199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5955B2 (en) Computer bezel
KR017655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안착장치
KR910008185B1 (ko) 도어 개폐장치
US5103357A (en) Tape recorder including a device for opening a lid of tape cassette during the loading thereof
US5212359A (en) Multiple interface safety switch actuating mechanism
US4704651A (en) Cassette tape deck operating mechanism
JPH0334637B2 (ko)
JP3175627B2 (ja) 扉開閉装置
KR910000966Y1 (ko) 테이프레코더의 도어 개폐장치
JP4378836B2 (ja) パネル開閉装置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KR880000839B1 (ko) 캐리지 구동기구
KR910009147Y1 (ko) 도어 개폐 장치
RU2125742C1 (ru)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KR100261096B1 (ko) 브이시알도어개폐장치
KR0113058Y1 (ko) Ld에 도어
KR910001303Y1 (ko)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어댑터
KR200146576Y1 (ko) 브이시알 플랩도어 레버의 프리 텐셔닝 장치
KR200158384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록킹장치
KR0119528Y1 (ko) 비디오카세트 레코더 내장형 텔레비젼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JPH02289960A (ja) 可搬式記録再生装置
KR100240123B1 (ko) 탑로딩방식 씨디피
JPH0265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9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9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