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70004507Y1 -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07Y1
KR970004507Y1 KR92026243U KR920026243U KR970004507Y1 KR 970004507 Y1 KR970004507 Y1 KR 970004507Y1 KR 92026243 U KR92026243 U KR 92026243U KR 920026243 U KR920026243 U KR 920026243U KR 970004507 Y1 KR970004507 Y1 KR 970004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electronic products
front panel
push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92026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645U (ko
Inventor
정낙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26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07Y1/ko
Publication of KR940018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록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힌지부분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판넬 2 : 도어
3 : 아암 3a : 록킹공
4 : 보스 5 : 스프링
6 : 푸쉬버튼 7 : 스프링
8 : 힌지 10 : 록킹부재
11 : 축 12 : 누름편
13 : 록깅편 14 : 스톱퍼
20 : 탄성부재 21 : 지지부
22 : 고정부
본 고안은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전자제품의 전면판넬에 설치되는 콘트롤부의 기능선택 스위치등을 보호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수행됨과 동시에 조립구조가 간단해져 제품의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수상기 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VCR)등과 같은 전기, 전자제품은 본체의 전면판넬에 콘트롤부가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부에는 전기, 전자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기능선택 스위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콘트롤부의 기능선택 스위치를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매우 높아 제품의 기능이 상실될 염려를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콘트롤부에 도어를 설치하여 기능선택 스위치를 보호하고, 상기 도어는 힌지에 의해 조립되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개폐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는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를 잡고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취급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부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키기 위해 푸쉬 버튼을 장착하여 원터치방식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푸쉬 버튼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편이 슬라이딩 되어 록킹편을 동작시키고, 상기 록킹편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록킹편의 조립이 번거로우며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조립부품수가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록깅부재가 힌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어 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부의 기능선택 스위치등을 보호하기 위한 도어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고, 조립구조 및 공정이 간단해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조립부품수가 감소되어 제품의 생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전기 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원터치 방식에 의해 개폐시킴에 있어서 ; 록킹공을 갖는 아암이 형성되며, 하측끝단에는 일측이 트인 보스가 형성되어 스프링이 내장되는 도어와; 상기 전면판넬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 버튼과; 상기 푸쉬 버튼의 작동에 의해 중앙의 누름편이 눌려져 전면판넬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누름편의 한쪽끝단에는 도어의 록킹공에 록킹되도록 록킹편이 형성되며 다른쪽 끝단에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누름편에 소정의 탄력이 부여되도록 'ㄷ'자 형태의 지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이 힌지축에 끼워지며 그 양측 끝단은 연장되어 전면판넬의 한쪽끝단에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기, 전자제품의 전면판넬(1)에는 힌지(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어 개폐되는 도어(2)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2)의 일측면에는 록킹공(3a)을 갖는 아암(3)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2)의 하측끝단에 한쪽이 트인 보스(4)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4)의 중앙에는 스프링(5)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1)상에는 푸쉬 버튼(6)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푸쉬 버튼(6)은 전면판넬(1)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스프링(7)이 조립된다.
한편, 상기 푸쉬 버튼(6)의 작동에 의해 전면 판넬(1)의 힌지(8)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록킹부재(10)와 축(11)이 끼워져 설치되며, 이때 상기 전면판넬(1)의 힌지(8)는 한쪽이 트여 축(11)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상기 록킹부재(10)의 중앙에는 누름편(1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12)의 한쪽끝단에는 도어(2)의 록킹공(3a)에 록킹되도록 록킹편(13)이 형성되며, 다른쪽끝단에는 록킹부재(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록킹편(13)과 스톱퍼(14)는 누름편(1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0)의 누름편(12)에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탄성부재(20)의 중앙에는 상기 누름편(12)을 누르는 'ㄷ'자 형태의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의 양측은 힌지(8)에 끼워져 조립되며, 그 양측끝단은 일자 형태로 연장되는 고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2)은 전면판넬(1)의 일끝단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전면판넬(1)상에 노출된 푸쉬버튼(6)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푸쉬 버튼(6)의 작동에 의해 록킹부재(10)의 누름편(12)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10)는 힌지(8)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록킹부재(10)의 회전에 의해 록킹편(13)이 도어(2)의 록킹공(3a)으로 부터 해제되면 상기 도어(2)는 보스(4)에 내장된 스프링(5)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푸쉬 버튼(6)의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록킹부재(10)의 누름편(12)을 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20)의 지지부(21)가 상기 누름편(12)에 탄성력을 계속해서 부여해 줌으로써, 상기 록킹부재(10)는 원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록킹부재(10)의 회전각도는 전면판넬(1)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스톱퍼(14)에 의해 제한되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도어(2)를 다시 닫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2)의 록킹공(3a)이 록킹편(13)상에 위치될 때, 상기 록킹편(13)이 밀려난 후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어 록킹공(3a)으로 록킹됨으로써, 도어(2)의 개폐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 및 공정이 간단해지고, 조립부품수가 감소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는 제3도에서와 같이 도어(2)의 보스(4)에 스프링(5)이 내장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보스(4)내에서 스프링력이 발생되어 도어(2)의 동작이 더욱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2)의 조립시 전면판넬(1)과 도어(2)의 측면사이의 간격이 밀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외부로부터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는, 푸쉬 버튼의 작동에 의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부여 받는 록킹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어의 개폐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조립구조 및 공정이 간단해져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조립부품수가 절감되어 제품의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기, 전자제품의 콘트롤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원터치 방식에 의해 개폐시킴에 있어서, 록킹공(3a)을 갖는 아암(3)이 형성되며, 하측끝단에는 한쪽이 트인 보스(4)가 형성되어 스프링(5)이 내장되는 도어(2)와 ; 상기 도어(2)일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 버튼(6)과 ; 상기 푸쉬 버튼(6)의 작동에 의해 중앙의 누름편(12)이 눌려져 전면판넬(1)의 힌지(8)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누름편(12)의 한쪽끝단에는 도어(2)의 록킹공(3)에 록킹되도록 록킹편(13)이 형성되며, 다른쪽끝단에는 스톱퍼(14)가 형성되는 록킹부재(10) ; 상기 누름편(12)에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ㄷ"자 형태의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양측이 힌지(8)에끼워지며 그 양측끝단은 연장되어 전면판넬(1)의 일끝단에 고정되도록 고정부(22)가 형성되는 탄성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92026243U 1992-12-23 1992-12-23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243U KR970004507Y1 (ko) 1992-12-23 1992-12-23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6243U KR970004507Y1 (ko) 1992-12-23 1992-12-23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645U KR940018645U (ko) 1994-07-30
KR970004507Y1 true KR970004507Y1 (ko) 1997-05-12

Family

ID=1934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6243U Expired - Fee Related KR970004507Y1 (ko) 1992-12-23 1992-12-23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645U (ko) 199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0448349Y1 (ko) 접촉 시소 스위치 장치
KR0139884Y1 (ko) 가전기기의 도어 록크장치
KR20200117677A (ko)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910008185B1 (ko) 도어 개폐장치
KR200177241Y1 (ko) 전기·전자제품의 전면 도어 개폐장치
KR950008224Y1 (ko) 가전제품 도어 개폐 장치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KR960001212B1 (ko) 전기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920001804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60004357Y1 (ko) 전기,전자제품의 도어 개폐 장치
KR930000860Y1 (ko) 전기, 전자 제품의 스위치 고정장치
KR0121589Y1 (ko) 두개의 관절을 갖는 노브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0125474B1 (ko) 데크의 도어 개폐장치
KR920000053Y1 (ko) 전지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42337Y1 (ko) 이중버튼장치
KR900001231Y1 (ko) 가전제품 문 개폐 장치
KR970004292Y1 (ko) 냉장고도어 개폐장치
KR0122457Y1 (ko) 자동판매기의 콘트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100346722B1 (ko) 텔레비젼 세트의 a/v잭 개폐용 도어장치
KR900003458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vcr) 판넬도어 개폐장치
KR96000682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장치
KR200185989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도어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12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2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09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709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