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294Y1 -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294Y1
KR900003294Y1 KR2019870006007U KR870006007U KR900003294Y1 KR 900003294 Y1 KR900003294 Y1 KR 900003294Y1 KR 2019870006007 U KR2019870006007 U KR 2019870006007U KR 870006007 U KR870006007 U KR 870006007U KR 900003294 Y1 KR900003294 Y1 KR 90000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witch
light
transparent
push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302U (ko
Inventor
요시야 다카하시
코이치로 스다
카츠미 이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17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9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제2도는 비스듬한 위치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바라볼 때의 광로를 나타내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비스듬한 위치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바라볼 때의 광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푸쉬버튼블럭의 사시도.
제5도는 비스듬한 위치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바라볼 때의 광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푸쉬버튼스위치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푸쉬버튼 블럭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PCB
3 : 스위칭검출기 3a : 전극패키지
3b : 탄성체 4 : LED
5 : 작동판넬 6, 16, 26 : 버튼블럭
7, 17, 27 : 불투명블럭 8, 18, 28 : 투명블럭
17a, 27a, 18a, 28a : 배면 17b, 27b : 전면
18b, 28b : 저면 18c, 28c : 상단면
28e : 하부 28f : 상부
본 고안은 탁상용 전화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쉬버튼에 내장된 발광체를 넓은 각도에 결쳐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된 발광표시형 푸쉬버튼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의 ON-상태를 표시하도록 발광부가 내장되어져 있는 푸쉬버튼스위치는,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가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푸쉬버튼스위치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다.
즉, 제1도는 종래의 통상적인 발광표시형 푸쉬버튼스위치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인바, 각각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측면(도시되지 않음)이 고정결합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함) (2) 및 작동판넬(5)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 판넬(5)은 케이스(1)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기록된 작동명령을 전달하는 페이퍼플레이트(paperplate)와 같은 정보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는 작동판넬(5)과 케이스(1)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푸쉬버튼 스위치는 상기 전자기기상에 장착되면서, 케이스(1)와 장동판넬(5)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설치되도록 된 버튼블럭(6)과, PCB(2)상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 블록(6)을 지지하는 스위칭검출기(3) 및, 스위칭검출기(3) 및, 스위칭검출기(3)에 인접하여 PCB(2)상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이하 LED)(4)로 구성되고, 상기 버튼블럭(6)은 상, 하방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되면서 그 하부에 플랜지(9)가 형성되어 케이스(1)면과 접촉됨으로써 버튼블럭(6)의 상방구동이 제한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위칭검출기(3)는 PCB(2)상에 설치된 2개 전극을 갖는 전극 패키지(3a)와, 이 전극패키지(3a)상에 장착되어 버튼블럭(6)의 저면을 접촉시켜주는 원추형 탄성체(4b)로 구성되는 바, 상기 원추형탄성체(3b)는 고무로 형성되면서 그 상단내부에는 도전성고무소자(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버튼블럭(6)은 상하방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하방으로 눌리거나, 또는 상기 탄성체(3b)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버튼블럭(6)이 스위치를 턴온시키도록 눌려지게 되면 원추형탄성체(3b)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전극패키지(3a)의 두전극을 도전성 고무소자로 연결시켜 주게 되고, 그에 따라 LED는 ON-상태를 표시하도록 발광하게 된다.
또한, 버튼블럭(6)은 불투명블럭(7)과, 상기 불투명블럭(7)에 부착되고 직각프리즘으로 형성된 투명블럭(8)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불투명블럭(7)은 원추형 탄성체(3b)상에 배치되어지고, 투명블럭(8)은 LED(4) 바로 위에 배치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에서 버튼블럭(6)을 눌러주게 되면 ON-상태가 되고, 버튼블럭(6)을 다시한번 눌러주게 되면 OFF-상태가 되는데, 상기 ON-상태에서는 LED가 빛을 발하여 투명블럭(8)의 저면을 비추게 되고, 이 빛은 투명블럭(8)을 통해 그 상단면(8c)으로부터 방사되어지게 된다.
이때 스위치가 전화기와 같은 탁상용 기기에 사용되게 되면 사용자는 일정 경사각을 가지고 상단면(8c)을 관측할 수 있게 되는바, 이때의 상기 경사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넬(5)면에 대해 약 45°정도가 된다.
상기 작용을 제2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LED(4)에서 주사된 빛은 광로(K-K')를 따라 투명블럭(8)에 입사되어 그 저면에서 굴절되고, 굴절된 빛은 광로(L-L')를 따라 투명블럭(8)을 지나면서 그 내면에서 반사된 다음 투명블럭(8)의 상단면(8c)에서 방사된다.
여기서, 광로(K-L-M, K'-L'-M')는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광로를 한정해 주게 되는 바, 즉 상단면(8c)에서 방사된 광로(M, M') 사이의 간격(0)이 상단면(8c)의 넓이에 따른 가시폭(P)보다 매우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45°의 경사각으로 바라볼 경우 상단면(8c)에서 방사되는 빛을 관측하기가 어려워지게 되고, 특히 주변영역이 밝은 곳에서는 관측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단면(8c)에서 방사된 빛이 불확실하게 보여지는 여건속에서 사용자가 스위치의 상태를 오판할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보다 넓은 광각으로 빛을 방사하도록 함으로써 탁상용기기와 같이 통상의 경사각으로 바라보도록 된 스위치에서 보다 넓은 경사각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푸쉬버튼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넓은 광각을 가지면서도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되어질 수 있는 푸쉬버튼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광각에 걸쳐 빛을 방시시켜 줄 수가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스위치의 빛을 관측하여 그 상태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푸쉬버튼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푸쉬버튼스위치는 스위치상태를 ON-상태에서 OFF-상태로 교번시켜 줄 수 있도록 구동되어지는 버튼 블록으로 구성되며, 버튼 블록은 프리즘으로 형성된 투명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블럭은 그 배면의 적어도 일부가 전방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 스위치는 버튼블럭의 구동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칭검출기와, 스위치가 ON-상태일 경우 버튼블럭의 저면을 비추도록 스위칭검출기에 상응하여 활성화되는 LED와 같은 광원으로 구성되는 바, 스위치가 ON상태일 경우 광원은 활성화되어 투명블럭으로 인가되어질 빛을 주사시켜 주게 되고, 그 빛은 배면에서 반사되어 상단면으로 안내되어진 다음 투명블럭을 통과하여 광각에 걸쳐 상단면으로부터 방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스듬한 위치에서 경사각을 가지고 스위치의 상단면을 관측할 경우에도 방사되어진 빚이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처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3, 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전자기기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에 고정결합된 PCB(2) 및 상기케이스(1)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 작동판넬(5)로 구성되는 바, 여기서 푸쉬버튼스위치는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되면서 스위칭검출기(3)와 PCB(2)상에 장착된 LED(4) 및 스위치의 상태를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교번적으로 변화시켜 주도록 구동될 수 있는 푸쉬버튼블럭(16)으로 구성되어, 상기 푸쉬버튼블럭(16)이 케이스(1)와 작동판넬(5)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PCB(2)와 스위칭검출기(3), LED(4) 및 작동판넬(5)은 제1, 2에 동일부호로 표시된 것과 실제로 동일하다.
푸쉬버튼블럭(16)은 불투명블럭(17)과, 상기 불투명 블록(17)에 일체로 부착된 투명블럭(18)으로 구성되는 바, 여기서는 블록(17, 18)의 저면외주면에 플랜지(19)가 형성되어 케이스(1) 면과 접촉되도록 됨으로써 버튼 블록(16)의 상향운동을 제한해 주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투명블럭(18)은 공기에 대해 1.49의 굴절률을 가지는 아크릴수지로 만들어진 프리즘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블럭(17)의 배면(17a)과 전면(17b) 및 블록(17, 18)의 상단면과 저면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배면(17a)의 상부는 전방으로 다수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와 작동판넬(5)에 형성된 관통공내에 버튼블럭(16)을 설치하기가 쉬워지도록 하였고, 또 투명블럭(18)의 배면(18a) 또한 전방으로 완만하게 기울어져 있는데, 그 경사각(β)은 투명블럭(18)의 상단면(18c)과 저면(18d)의 수직선에 대해 약 10°정도로 나타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버튼블럭(16)을 동작시켜 스위치를 ON-상태로 절화시켜 주게 되면 LED(4)가 빛을 발하여 투명블럭(18)의 저면(18b)을 비춰주게 되고, LED(4)에서 주사된 빛은 투명블럭(18)을 토과하여 그 상단면(18c)으로부터 방사되어지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가 탁상용 전화기에 사용될 경우 얼마간의 경사각(α)을 가지고 관측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는 통상 작동판넬(5)면에 대해 약 45°정도로 나타난다.
상기 작용을 제3도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LED(4)의 빛은 광로(X-X'_를 따라 투명블럭(18)의 저면(18b)을 통해 입사되고, 이 빛은 저면(18b)에서 광로(Y-Y')를 따라 굴절된 다음 배면(18a)에서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상단면(18c)에서 광로(Z-Z')를 따라 굴절된 다음 그 상단면(18c)으로부터 방사된다.
이와 같이 LED(4)의 빛은 광로(X-Y-Z, X'-Y'-Z')를 따라 한정되면서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되는 바, 여기서 간격(Q)는 사용자가 경사각(α)을 가지고 스위치를 관측할 때 나타나는 상단면(18c)의 간격을 나타내게 되고, 이때 광로(Z, Z') 사이에 간격(R)이 간격(Q)과 거의 같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사용자가 방사되는 빛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의 상태를 오판할 가능성이 종래의 스위치의 경우보다 훨씬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5, 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푸쉬버튼블럭(26)은 불투명블럭(27)과 상기 불투명블럭(27)에부착된 투명블럭(28) 및 플랜지(29)로 구성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불투명블럭(27)은 실제로 제4도의 불투명블럭(17)과 동일한 것이며, 상기 투명블럭(28)은 저면(28b)과 상단면(28c)이 상호평행되면서 투명블럭(28)의 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28a)은 상부(28f)와 하부(28e)로 나눠지면서 그중 하부(28e)가 투명블럭(28)의 저면(28b)에 수직으로 형성되어진 반면, 상부(28f)는 하부(28e)에 대해 약 10°정도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실시예 구성의 작동상태는, LED(3)가 스위치가 ON-상태일 때 투명체(28)의 저면(28b)에 빛을 비추게 되고, 이 빛은 투명블럭(28)을 통과하여 그 상면(28c)으로부터 방사되며, 상기 스위치가 탁상용 전화기에 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있으면 제5도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넬면에 대해 약 45°의 경사가을 가지고 관측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보여질 빛의 범위가 제3도로 설명되어진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즉, 제3도의 배면(18a)과 제5도의 배면상부(28f)가 각각 10°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투명블럭(18, 28)에 입사된 빛은 같은 범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반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서 있을 경우 스위치는 작동판넬(5)면에 대해 약 70℃의 경사가으로 관측되어지게 되는 바, 이 경우의 광로는 제5도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서 LED(4)로부터 주사된 빛은 광로(X-X', U-U')를 따라 블록(28)에 입사되고, 저면(28b)에서 광로(Y-Y', V-V')를 따라 굴절되며, 광로(Y-Y')를 따라 굴절된 빛은 상부(28f)에서 반사되고, 상단면(28c)상에서 굴절된 다음 광로(Z-Z')를 따라 사용자의 방향으로 방사되어지게 되며, 광로(V-V')를 따라 굴절된 빛은 하부(28e)에서 반사되고, 상단면(28c)상에서 굴절된 다음 광로(W-W')를 따라 사용자의 방향으로 방사되어지게 된다.
제5도에서 간격(Q')은 사용자가 약 70°의 경사각을 가지고 바라볼 때 나타나는 상단면(28c)의 간격으로, 이와 같은 각도에서 상단면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광로(W,W')사이의 간격(R')과 광로(Z,Z')사이에 간격(R'')내에서 보여질 수 있는바, 보여질 수 있는 전체간격(R'+R'')이 간격(Q')에 비해 그다지 좁지 않으므로 방사된 빛은 명확하게 보여지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의 절환상태를 오판할 가능성을 낮춰주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배면(18a,28a)이 단일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나, 다수의 경사면을 가지는 형상을 변형시켜 줄 수도 있다.

Claims (2)

  1. 전자기기의 케이스(1)내에 설치된 PCB(2)상에 스위칭검출기(3) 및 LED(4)같은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판넬(5)에 설치된 불투명블럭(17,27)에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투명블럭(18,28)이 추가설치되어져 있는 푸쉬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투명블럭(18,28)의 배면(18a,28a)이 상단면(18c,28c)에 가까울수록 전면측으로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블럭(28)의 배면(28a)에는 상호 반사각이 다른 다수의 반사면(28e, 28f)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블럭.
KR2019870006007U 1986-04-30 1987-04-23 푸쉬버튼 스위치 Expired KR9000032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65913 1986-04-30
JP1986065913U JPH079315Y2 (ja) 1986-04-30 1986-04-30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302U KR870017302U (ko) 1987-11-30
KR900003294Y1 true KR900003294Y1 (ko) 1990-04-20

Family

ID=3090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007U Expired KR900003294Y1 (ko) 1986-04-30 1987-04-23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9315Y2 (ko)
KR (1) KR9000032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486B2 (ja) * 2011-09-30 2014-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ボタンスイッチの照明構造および該照明構造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617U (ja) * 1981-12-15 1983-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光式スイツチ
JPS60172239U (ja) * 1984-04-24 1985-11-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トツ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9315Y2 (ja) 1995-03-06
KR870017302U (ko) 1987-11-30
JPS62176920U (ko) 198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949A (en) Lighted electronic keyboard
RU2332743C2 (ru) Клавиатура и узел клавиатуры
US4737626A (en) Photoelectric touch panel having reflector and transparent photoconductive plate
US7086768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ed input device
JP5241812B2 (ja) スイッチ装置
US4924044A (en) Light emitting push button switch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60290685A1 (en) Multicolored lighting device and coordinate input device
JP6406053B2 (ja) 導光体および発光装置
JP2005032703A (ja) 照光装置および照光入力装置
KR950012199A (ko) 중간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광원으로 모니터를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KR900003294Y1 (ko) 푸쉬버튼 스위치
US5584555A (en) Light emitting push button
US12105297B2 (en) Optical mouse and light pipe thereof
JP3020639B2 (ja) キーボード
KR860002044A (ko) 터치 패널(Touch Pannel)입력장치
JP3257305B2 (ja) 照光式薄型キィーボード
JPH05234460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980010962A (ko) 전자제품 발광장치
JPH05290607A (ja) 表示灯カバー
KR200238025Y1 (ko)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TW201030788A (en) Keyboard device
SU1190515A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H08235961A (ja) 薄型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付表示パネル
JP2023170099A (ja) タッチ検出装置、検出高さ調整機構、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2579606Y2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4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4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1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