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80000225B1 -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225B1
KR880000225B1 KR1019830005958A KR830005958A KR880000225B1 KR 880000225 B1 KR880000225 B1 KR 880000225B1 KR 1019830005958 A KR1019830005958 A KR 1019830005958A KR 830005958 A KR830005958 A KR 830005958A KR 880000225 B1 KR880000225 B1 KR 88000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croll
crankshaft
oil
cr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150A (ko
Inventor
에이이찌 하자끼
히로 아끼 구노
나오시 우찌가와
다까히로 다무라
아끼라 무라야마
다까오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2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2Arrangements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밀폐형스크로울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축받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크랭크샤프트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크랭크 샤프트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챔버
2 : 고정스크로울 3 : 선회스크로울
4, 5 : 경판 6, 7 : 랩
8 : 슬라이딩축받이 9 : 크랭크샤프트
9a : 크랭크샤프트부 9b : 크랭크부
10 : 프레임 11 : 구르는축받이
12 : 슬라이딩축받이 13 : 전동기
14 : 오울덤링 15 : 오울덤키이
16 : 흡입파이프 17 : 토출구
18 : 토출파이프 19, 19A : 편심급유로
20 : 유실 21 : 급유홈
21A : 급유공 22 : 밸런스웨이트
23 : 환상홈 24 : 드러스트축받이
25 : 중간실 26 : 부시
27 : 원환상홈 28 : 급유공
29 : 급유홈 30 : 급유공
31 : 배유실 32 : 배유공
33 : 세공 34 : 급유공
35 : 급유홈 36, 37 : 구르는축받이
38 : 드로틀
본 발명은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는 고정스크로울에 대하여 이것에 맞물리는 선회스크로울을 크랭크샤프트에 의해서 외관상으로는 자전하지 않도록 선회시키고, 양스크로울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내의 유체에 펌프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런 종류이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는 선회스크로울에 걸어맞추는 크랭크부와 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부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크랭크샤프트의 지지구조는 대체적으로 구르는 축받이 형식의 것과 슬라이딩 축받이 형식의 것이 있다. 후자인 슬라이딩 축받이형식의 것으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57-762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즉, 선회스크로울에 설치한 제1슬라이딩 축받이에, 그랭크 샤프트이 크랭크부를 걸어맞추고, 프레임에 설치한 2개이 제2슬라이딩 축받이 및 제3슬라이딩 축받이에 의해서 크랭크샤프트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축받이 지지형식에 있어서는, 양스크로울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내의 유체압력의 작용에 의해, 크랭크샤프트는 슬라이딩 축받이 사이에 존재하는 틈사이의 범위내에서 기울어지며, 제각기의 축받이를 강하에 억누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크랭크샤프트는 각 슬라이딩 축받이의 단부(端部)에서 그 일편만이 맞닿게 되어 축받이 손실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 부분에서의 유막(油膜)의 반력(反力)이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으므로서, 각 축받이의 마모 및 녹아붙음(seizure)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또, 이와같은 일편만이 맞닿는 현상에 의해 슬라이딩 축받이와 크랭크샤프트와의 사이의 축받이 틈사이는 쐐기형상
Figure kpo00001
의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인하여 특히 밀폐형의 스크로울 압축기에 있어서는 윤활유 속에 섞여있는 냉매가스가 상술한 쐐기형상의 축받이 틈안에 체류하므로서, 이 축받이 틈부분의 윤활유의 점성을 저하시켜 상술한바와 같이 각 축받이의 마모 및 녹아붙음을 일으키는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의 축받이에의 일편만이 맞닿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축받이 손실의 증가 및 축받이의 마모, 녹아 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폐한 챔버내에 고정스크로울과 선회스크로울로써 이루어진 압축요소를 그 상부에, 또 하부에는 전동기부를 배치하고,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부를 선회스크로울에 연결하며, 샤프트부를 프레임에 받치게하여 프레임과 선회스크로울과의 사이에 토출압력과 흡입압력과의 중간의 압력을 갖는 중간압실을 구비한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에 있어서, 전기한 샤프트부를 프레임에 있어서 크랭크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 구르는 축받이와 크랭크부에서 멀어지는 위치에 설치한 슬라이딩 축받이로써 지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복적과 이점 및 특징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에 있어서, 1은 내부에 챔버(1A)를 형성하는 하우징이고, 2는 고정스크로울이며, 3은 선회스크로울이다. 고정스크로울(2)과 선회스크로울(3)과는 서로가 원판성의 경판(4), (5)과 이것에 직립하여 형성한 소용돌이 형상의 랩(6), (7)등을 구비하고, 이들의 랩(6), (7)을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맞물려져 있다. 선회스크로울(3)에는 그 하면축에 슬라이딩축받이(8)가 장착되어있다. 이 슬라이딩 축받이(8)에는 크랭크샤프트(9)의 샤프트부(9a)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는 크랭크부(9b)가 걸어 맞추어져 있다. 크랭크샤프트(9)의 샤프트부(9a)는 그 상부를 프레임(10)에 장착한 구르는 축받이(11)및 그 하부를 슬라이딩축받이(12)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크랭크샤프트(9)는 전동기(13)에 의해서 회전된다. 이 크랭크샤프트(9)의 회전에 의해 선회스크로울(3)은 오울덤링(oldham's ring)(14)과 오울덤키이(15)에 의해서 선회운동을 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자전은 저지된다. 이 운동에 의해 흡입파이프(16)에서 흡입한 냉매가스는 선회스크로울(3)과 고정스크로울(2)과의 내부에서 압축되고, 토출구(17)에서 챔버(1)내에 방출되며 토출파이프(18)에서 토출된다. 양스크로울(2), (3)에 의해 가두어진 유체의 압축작용에 의해 선회스크로울(3), 슬라이딩 축받이(8)및 그랭크샤프트(9)의 크랭크부(9b)를 통해서 샤프트부(9a)에 작용하는 하중은 구르는 축받이(11)및 슬라이등 축받이(12)에 의해서 받아 저지된다. 크랭크샤프트(9)내에는 그 상부로 감에 따라 샤프트부(9a)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량이 크게되는 편심급유로(19)와 샤프트부(9a)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한 급유로(1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급유로(19), (19A)는 크랭크샤프트(9)의 회전에 의해 챔버(1) 저부의 기름을 원심펌프작용에 의해 빨아올려 각 축받이(8), (11), (12)에 공급한다.
각, 축받이(8), (11), (12)의 상세한 구조 및 이들에 대한 급유 구조를 제2도를 참조여 설명하겠다. 도면에 있어서 선회스크로울(3)의 슬라이딩 축받이(8)에 대한 급유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즉, 편심급유로(19)의 원심폄프작용에 의해서 챔버(1) 저부의 기름을 빨아올려서 크랭크샤프트(9)의 크랭크부(9b) 상단과 슬라이딩 축받이(8)와 선회스크로울(3)등에 의해서 구획형성된 유실(油室)(20)로 유도한다. 유실(20)로 유도된 기름은 편심급유로(19)에 연통하는 급유공(21A)을 통해서 크랭크샤프느(9)의 크랭크부(9b)의 외주면에 측방향으로 설치한 급유홈(21)을 통과하며 또 유실(20)로 유도된 기름은 슬라이딩 축받이(8)와 크랭크부(9b)의 틈 사이를 통과하여 선회스크로울(3)의 슬라이딩 축받이(8)와 크랭크부(9b)등을 윤활한다. 슬라이딩 축받이(8)을 윤활한 기름은 크랭크샤프트(9)의 크랭크부(9b)와 밸런스 웨이트(22)와의 접속부에 설치한 완상홈(23)을 통과하여 슬라이딩 축받이(8)의 하부에 일체로 성형한 드러스트축받이(24)를 윤활한 다음, 프레임(10)과 선회스크로울(3)로써 구획 형성되는 중간실(25)로 배출된다.
크랭크샤프트(9)의 샤프트부(9a)를 지지하는 구르는 축받이(11)에의 급유는 구르는 축받이(11)의 하단과 슬라이딩 축받이(12)의 상단과의 중간위치에 설치한 급유부에서 행한다. 즉, 프레임(10)에 장착하 부시(bush)(26)의 하부에 원환상홈
Figure kpo00002
(27)을 설치하고, 편심급유로 (19)에 의해서 빨아올린 기름을 편심급유로(19)에 통하는 급유공(28)을 통해서 원환상홈(27)으로 유도하여 부시(26)와 샤프트부(9a)와의 틈사이를 통해서 행한다. 또 샤프트부(9a)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단을 부시(26)의 상단에서 위쪽까지 뻗는 축방향의 급유홈(29)을 설치하고, 편심급유로 (19)에 의해서 빨아올린 기름을 편심급유로(19)에 통하는 급유공(30)을 통해서 축방향의 급유홈(29)으로 유도하여 행한다. 원환상홈(27)에 공급된 기름은 챔버 아래쪽의 냉매가 구르는 축받이(11)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 기능을 다하고 있다. 이 구르는 축받이(11)를 윤활한 기름은 중간실(25)에 배출된다. 부시(26)에 공급된 기름의 일부는 부시(26)의 하단에서 샤프트부(9a), 프레임(10), 슬라이딩 축받이(11)및 슬라이딩 축받이(12)에 의해서 구획형성되는 배유실(排油室)(31)에 배출된 다음 프레임(10)에 설치한 배유공(32)을 통해서 챔버(1)에 배출된다.
상술한 중간실(25)에 배출된 기름은 선회스크로울(3)에 설치된 세공(細孔)(33)을 통해서 양스크로울(2), (3)의 맞물리는 부에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중간실(25)은 토출압력과 흡입압력과의 중간의 압력으로 된다. 따라서, 구르는 축받이(11)와 선회스크로울(3)의 슬라이딩축받이(8)에의 급유는 토출압력과 중간압력등에 의한 차압과 편심급유로(19)의 원심펌프작용에 의해서 행하여 진다.
크랭크샤프트(9)의 샤프트부(9a)를 지지하는 하측의 슬라이딩 축받이(12)에의 급유는, 편심급유로(19A)에 의해서 빨아올려진 기름을 편심급유로(19A)에 통하는 급유공(34)및 이것에 통하고, 또한 샤프트부(9a)의 의주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설치한 급유홈(35)에 공급하므로서 행하여 진다. 이 슬라이딩축받이(12)를 윤활한 기름은 이 슬라이딩축받이(12)의 상단에서 배유실(31), 배유공(32)을 통해서 챔버(1A)에 배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축받이(12)의 하단에서 챔버(1A)에 배출된다.
상술한 축방향의 급유홈(21), (29), (35)및 급유공(30), (34)은 크랭크샤프트(9)의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압력의 하중방향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랭크샤프트(9)를 전동기(13)에 의해 회전시키면, 선회스크로울(3)은 고정스크로울(2)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행하고, 흡입파이프(16)로서 흡입한 냉매가스를 내부에서 압축하여 토출파이프(18)에서 토출한다. 이와같은 압축과정중에 있어서, 양스크로울(2), (3)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공간내의 유체의 총합압력 P가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선회스크로울(3), 슬라이딩 축받이(8)를 통해서 크랭크샤프트(9)의 크랭크부(9b)에 작용하다. 이로인하여, 크랭크샤프트는 구르는 축받이(11)와 슬라이딩 축받이(12)내에서 기울어진다. 이 결과, 구르는 축받이(11)에는 하중 F3이 작용하고, 또 슬라이딩 축받이(12)에는 하중 F4이 작용한다. 하중의 작용점을 각 축받이의 중간점으로 하고, 하중 P와 하중 F3의 작용점간의 거리를 13, 하중 F3과 하중 F4과의 작용점간의 거리를 l4로 하면, 하중 F3, F4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3
지금, 종래에 있어서의 선회스크로울의 슬라이딩 축받이에 작용하는 총합압력 P의 작용점과 크랭크축의 샤프트부의 상축받이에의 하중작용점과의 거리(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거리 l3에 상당하는 거리)를 l1으로 하고, 전기한 크랭크축의 샤프트부에 있어서의 상축받이에서의 하중작용점과 하축받이에의 하중작용점과의 거리(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거리 l4에 상당하는 거리)를 l2로 한다. 그리고, 구르는 축받이(11)의 축받이폭은 종래의 샤프트부의 상측의 슬라이딩 축받이의 그것보다 작으므로, 본원발명과 종래와의 하중작용점간의 거리 l1, l2, l3, l4의 관계는 l3〈l1, l42로 되며,
Figure kpo00004
으로 되므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르는 축받이(11)에 작용하는 하중 F3과 슬라이딩 축받이(12)에 작용하는 하중 F4은 작아진다. 이 결과, 축받이 손실을 작게할 수 있다. 또, 구르는 축받이(11)의 축받이 틈사이는 종래의 샤프트부에 있어서의 상측의 슬라이딩 축받이와 그 샤프트부와의 틈사이보다 작게할 수 있으므로 크랭크샤프트의 기울어짐을 작게할 수 있다. 이 결과 슬라이딩 축받이(8), (12)의 한쪽맞닿음에 의한 축받이 손실을 작게할 수 있다. 더구나 구르는 축받이(11)에의 급유부가 스크로울에서 발생하는 유체압력에 의해서 경사구동하는 샤프트부(9a)의 경사구동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시(26)와 샤프트부(9a)와의 사이에서는 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크랭크 샤프트(9)의 기울림이 작고, 슬라이딩 축받이(8)의 한쪽맞닿음이 작아지므로 한쪽맞닿음에 의한 슬라이딩 축받이(8)의 마모를 작게할 수 있다. 이로인하여 구르는 축받이(11), 슬라이딩 축받이(8)에서 배출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배유량이 증대하고, 밸런스 웨이트(22)의 교반손실(攪拌損失)이 증대하며, 중간압의 증대헹 의한 고정스크로울(2)에 대한 선회스크로울(3)의 억누르는 힘이 증대하여 경판(4), (5)의 접동(摺動) 손실이 증대하는 일은 없다. 챔버(1A) 저부의 기름에는 토출가스 압력에 의해 냉매가 녹아 들어 있으며, 또 기름의 온도는 토출가스의 온도와 거의 동등하다. 부시(26)에 공급된 기름은 위쪽으로 감에 따라 압력이 저하하여 중간압으로 되지만 이때 기름속의 냉매가 가스로 되어 석출(析出)되고, 윤활유의 기름온도가 저하됨과 함께 기름속에 녹아든 냉매의 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구르는 축받이(11)에 급유되는 기름의 점도는 높아진다. 이로 인하여 구르는 축받이(11)의 유막이 두께가 커지며 3개의 축받이(8), (11),(12)중에서 제일 큰 하중이 작용하는 구르는 축받이(8)의 마모를 작게할 수 있다. 슬라이딩 축받이(12)에 작용하는 하중은 3개의 축받이(8), (11), (12)중에서 제일 작고 마모 역시 작으므로 크랭크샤프트(9)의 기울어짐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크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도면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부호의 것은 동일한 부분이다. 이 실시예는 압축기의 용량이 크게 되고 선회스크로울(3)의 슬라이딩 축받이(8)에 작용하는 하중 P이 크며, 슬라이딩 축받이(8)의 마모에 의해 유량이 증대될 위험이 있을 경우에 유효하다. 이 실시예는 크랭크부(9b)와, 선회스크로울(3)과의 반경방향부에 구르는 축받이(36)를 장착하고, 선회스크로울(3)과 크랭크부(9b)의 상부와의 사이에 드러스트형의 구르는 축받이(37)를 배치한 것이다. 이들의 축받이(36), (37)에의 급유는 편심급유로(19)및 이들이 상단부에 설치한 드로틀(38)을 거쳐서 행하여 진다. 따라서, 크랭크부(9b) 상부의 유실(油室)(20)은 중간압으로 된다. 이로인하여 크랭크 샤프트(9)는 위쪽에 토출압과 중간압과의 차에 의한 드러스트 하중이 작용하고, 드러스트형의 구르는 축받이(37)에 의해서 이 하중을 받을수 있다. 드로틀(38)은 나사에 세공을 뚫은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구르는 축받이(37)에서 배출되는 유량은 드로틀(38)로써 규제되어 지며, 항상 일정한 배유량이 확보되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유량이 증대하고 교반 손실과 경판부의 접동 손실이 증대할 위험은 없다.
그리고,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0)의 하측의 축받이에 슬라이딩 축받이(12)를 사용하고 있는 이유는, 이것을 구르는 축받이로 하면 프레임(10) 하부의 지름이 커지며, 전동기(13)의 로우터의 카운터보어(counter bore) 혹은로우터 상부의 코일끝단의 내경을 크게하지 않을수 없고, 전동기(13)의 효울이 저하하며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환상홈(27)을 부시(26)에 설치했지만 샤프트부(9a)에 설치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받이 하중과 축받이의 한쪽맞닿음을 감소시킬수 있고, 또 이렇게하므로서 선회스크로울부의 축받이의 마모를 작게할수 있으며, 더구나 구르는 축받이의 급유부를 마모 발생이 적은 위치에 설치할수 있으므로 항상 축받이 및 스크로울의 경판부등의 손실을 적게하는 효과가 있음과 함께 축받이의 마모, 녹아붙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밀폐한 챔버내에 고정스크로울과 선회스크로울로써 이루어진 압축요소를 그 상부에, 하부에는 전동기부를 배치하고, 크랭크샤프트이 크랭크부를 선회스크로울에 연결하며, 샤프트부를 프레임에 지지하고, 프레임과 선회스크로울과의 사이에 토출압력과 흡입압력과의 중간의 압력을 갖는 중각압력실을 구비한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에 있어서, 전기한 샤프트부를 프레임에서 크랭크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 구르는 축받이와 크랭크부에서 멀어지는 위치에 설치한 슬라이딩축받이로써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설치한 구르는 축받이와 슬라이딩 축받이와의사이에 크랭크샤프트내의 편심급유로에 의해서 빨아올려진 윤활유를 이들의 축받이에 공급하는 급유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크랭크 샤프트의 크랭크부에 걸어맞추는 선회스크로울부에는 슬라이딩 축받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선회스크로울부의 슬라이딩축받이에의 급유는 편심급유로에 의해서 빨아올려진 윤활유를 크랭크부의 외주에 설치한 축방향의 홈을 통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부에 걸어맞추는 선회스크로울부에는 래디얼형의 구르는 축받이가 배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부에 걸어맞추는 선회스크로울부에는 드러스트형의 구르는 축받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7. 제5, 제6항에 있어서, 전기한 선회스크로울부의 축받이에는 크랭크 샤프트 내의 편심급유로에 의해서 빨아올려진 윤활유가 크랭크샤프트의 상부의 유실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KR1019830005958A 1982-12-22 1983-12-16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Expired KR880000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223770A JPS59115488A (ja) 1982-12-22 1982-12-22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の軸受装置
JP57-223770 1982-12-22
JP223770 1982-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150A KR840007150A (ko) 1984-12-05
KR880000225B1 true KR880000225B1 (ko) 1988-03-15

Family

ID=1680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958A Expired KR880000225B1 (ko) 1982-12-22 1983-12-16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551082A (ko)
JP (1) JPS59115488A (ko)
KR (1) KR880000225B1 (ko)
DE (1) DE3345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988A (ja) * 1985-08-16 1987-03-03 Hitachi Ltd 密閉形スクロ−ル圧縮機
JP2522775B2 (ja) * 1986-11-26 1996-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ル流体機械
KR920003593B1 (ko) * 1988-02-19 1992-05-04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스크롤 유체기계
JP2766659B2 (ja) * 1988-02-19 199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流体機械
US4875838A (en) * 1988-05-12 1989-10-24 Tecumseh Products Company Scroll compressor with orbiting scroll member biased by oil pressure
US4928503A (en) * 1988-07-15 1990-05-29 American Standard Inc. Scroll apparatus with pressure regulation
US4997349A (en) * 1989-10-05 1991-03-05 Tecumseh Products Company Lubrication system for the crank mechanism of a scroll compressor
DE69121026T2 (de) * 1990-07-31 1996-12-19 Copeland Corp Schmiereinrichtung für Spiralmaschine
US5370513A (en) * 1993-11-03 1994-12-06 Copeland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oil circulation system
DE19736907A1 (de) 1997-08-25 1999-03-04 Isad Electronic Sys Gmbh & Co Elektrisch angetriebener Verdichter
JPH11351175A (ja) * 1998-06-08 1999-12-21 Denso Corp 電動圧縮機
US6146118A (en) * 1998-06-22 2000-11-14 Tecumseh Products Company Oldham coupling for a scroll compressor
JP3858743B2 (ja) * 2002-04-03 2006-12-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3731068B2 (ja) * 2002-06-05 2006-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US20080029279A1 (en) * 2006-08-01 2008-02-07 Louis Zuccarello Ground-working tool
JP5315933B2 (ja) * 2008-06-05 2013-10-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102817842B (zh) * 2011-06-09 2016-06-29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一种涡旋压缩机
CN102878081B (zh) * 2011-07-14 2016-05-04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WO2013007163A1 (zh) * 2011-07-14 2013-01-17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CN102493847B (zh) * 2011-11-16 2013-05-22 陈冬长 一种涡旋膨胀发电机及朗肯循环热电转换系统
WO2016189598A1 (ja) * 2015-05-22 2016-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6550645B2 (ja) 2015-05-29 2019-07-31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087141B1 (ko) * 2018-09-06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US11680568B2 (en) 2018-09-28 2023-06-2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oil management system
US11125233B2 (en) 2019-03-26 2021-09-2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oil allocation member
FR3116572B1 (fr) * 2020-11-23 2022-11-18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Un compresseur à spirales comportant un système de lubrification pourvu d’un agencement d’agitation d’huile
US12092111B2 (en) 2022-06-30 2024-09-17 Copeland Lp Compressor with oil pum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5799A (en) * 1967-12-18 1971-12-01 Krauss Maffei Ag Rotary positiv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4199308A (en) * 1978-10-02 1980-04-22 Arthur D. Little, Inc. Axial compliance/sealing means for improved radial sealing for scroll apparatus and scroll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S56126691A (en) * 1980-03-12 1981-10-03 Hitachi Ltd Scroll fluid machine
JPS5776201A (en) * 1980-10-31 1982-05-13 Hitachi Ltd Oil feed device for scroll hydraulic machine
JPS57148089A (en) * 1981-03-09 1982-09-13 Sanden Corp Scroll type compressor
JPS57173503A (en) * 1981-04-17 1982-10-25 Hitachi Ltd Oil feed device of scroll fluidic machine
JPS57203801A (en) * 1981-06-09 1982-12-14 Nippon Denso Co Ltd Scroll type hydraulic machine
US4415318A (en) * 1981-12-10 1983-11-15 The Trane Company Rolling thrust bearing for use in a scroll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45684C2 (ko) 1988-06-01
JPH0119076B2 (ko) 1989-04-10
JPS59115488A (ja) 1984-07-03
DE3345684A1 (de) 1984-07-05
KR840007150A (ko) 1984-12-05
US4551082A (en) 1985-11-05
USRE33236E (en) 199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225B1 (ko)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KR880000934B1 (ko) 스크롤(scroll) 유체기계의 급유장치
KR880001895B1 (ko) 스크로울 유체기계의 급유장치
US4878820A (en) Screw compressor
KR0146704B1 (ko) 윤활능력이 개선된 스크롤 압축기
US4818198A (en) Scroll fluid machine with oil feed passages
JP3731068B2 (ja) 回転式圧縮機
US4997349A (en) Lubrication system for the crank mechanism of a scroll compressor
US4473343A (en) Bearing device for scroll-type compressor
KR960001626B1 (ko) 스크롤유체기계의 급유장치
JPH0372840B2 (ko)
JPH0922896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73756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7109195B2 (ja) スクロ−ル気体圧縮機
JPH0828485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256356B2 (ko)
JPH0735062A (ja) 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S59194128A (ja) 冷凍機用圧縮機の軸受
JPH0831995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690645B2 (ja) ヘリウム用密閉形スクロール圧縮機
JPH04203377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給油装置
JP2708537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給油装置
JPH044476B2 (ko)
KR940000191Y1 (ko)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KR20000041604A (ko)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5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1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801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8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3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3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