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40000191Y1 -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191Y1
KR940000191Y1 KR2019910020329U KR910020329U KR940000191Y1 KR 940000191 Y1 KR940000191 Y1 KR 940000191Y1 KR 2019910020329 U KR2019910020329 U KR 2019910020329U KR 910020329 U KR910020329 U KR 910020329U KR 940000191 Y1 KR940000191 Y1 KR 940000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turning
compressor
lubricator
annular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284U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0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191Y1/ko
Publication of KR9300112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19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57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29/0071Couplings between rotors and input or output shafts acting by interengaging or mat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of rotor and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중간압실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도는 종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윤활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종래 선회스크롤을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선회스크롤을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회스크롤 2b : 경판
2c : 환형의 홈 2d : 급유공
본 고안은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시에 선회스크롤의 자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올담링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올담링의 마모로 인해 압축된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는 제1도와 같은 구조로서, 인볼류트 곡선으로 이루어진 랩(1a), (2a)을 가진 고정스크롤(1)과 선회스크롤(2)이 180°위상차를 가지며 각각의 중심이 선회반경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포개어져 압축실(3)을 구성하여 냉매가스가 상기 스크롤사이에 형성된 압축실내에서 압축되는데, 이때 고정스크롤(1)은 프레임(4)에 고정되어 외주부에는 흡입실(5)을, 그리고 중심부에는 토출구(6)를 가지게 된다.
한편, 선회스크롤(2)은 전동기구부(7)의 로우터(8)와 일체로 결합된 크랭크축(9)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핀(10)의 편심량을 반경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선회스크롤(2)이 선회운동을 할때 선회스크롤(2)의 자전을 방지하기 위해 선회스크롤(2)과 프레임(4)사이에 올담링(11)이 결합됨으로써 공전운동, 즉 선회운동만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스크롤(1)의 외주부에 형성된 흡연실(5)로 흡입된 냉매가스는 선회스크롤(2)의 선회운동에 의해 점차 그 용적이 축소되면서 각 스크롤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압축된 후 토출구(6)를 통해 토출실(12)로 토출된다.
첨부된 도면 제2도는 선회스크롤(2)의 저면측에 형성된 중간압실(13)로 선회스크롤(2)에 형성된 중간압구멍(13a)을 통해 압축과정의 중간 입력인 냉매가스를 유입시켜 상기 냉매가스압력에 의해 선회스크롤(2)을 고정스크롤(1)에 밀착시킬 때 선회스크롤(2)에 작용되는 축방향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압축실(3)내의 냉매가스 압력에 의해 선회스크롤(2)은 고정스크롤(1)로 부터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함과 동시에 경방향력(經方向力)에 의해 기울어지는 모멘트가 발생하나 중간압실(13)에서 작용되는 중간 압력에 의한 밀찰력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힘과 모멘트에 대항됨으로써 선회스크롤(2)이 고정스크롤(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각 스크롤랩과 상대 스크롤 경판과의 틈새를 조립공차에 의하지 않고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고정스크롤(1)에의 밀착력도 운전압력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의 윤활구조를 살펴 보면, 밀폐용기(14) 하부에 윤활유(15)가 고여있고 크랭크축(9)의 하부는 윤활유(15)에 잠겨져 있으며 크랭크축(9)의 상단은 크랭크핀(10)이 형성되어 크랭크핀(10)이 선회베어링(16)을 통해 선회스크롤(2)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축(9)과 크랭크핀(10)에는 급유를 위한 오일통로(17)가 서로 통하여 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윤활유(15)내에 잠겨져 있는 크랭크축(9)의 하단은 고압의 토출압력(Pd)이고, 선회베어링(16)의 둘레는 중간압력(Pm)이 작용하게 되므로 이 압력차(Pd-Pm)에 의해 압축기의 구동시에 윤활유는 상승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승된 윤활유는 보조베어링(18)→주베어링(19)→크랭크축(9)→선회베어링(16)을 차례로 거치면서 급유를 한후 각각의 베어링 틈새를 통해 중간압실(13)로 유입되므로 중간압구멍(13a)을 통해 압출실(3)내로 주입되어 압축실(3)내에서 냉매가스와 혼합된다.
이와같이 냉매가스의 혼합된 윤활유는 압축작용을 받으며 각 스크롤 사이의 윤활작용을 한 후 토출구(6)→토출실(12)→연통로(20)를 거쳐 전동기실(21)에 이르러 다시 밀폐용기(14)의 저부에 고이게 되므로 계속해서 윤활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고정스크롤(1)의 토출구(6)를 통해 토출된 윤활유의 일부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홈(1b)에 정체된 후 고정스크롤(1)에 형성된 유통공(1c)을 통해 선회스크롤의 경판(2b)에 형성된 환형의 홈(2c)으로 공급되므로 선회스크롤(2)의 경판부에 윤활작용을 하게 되지만, 선회스크롤(2)의 자전을 방지하기 위한 올담링(11)에는 급유가 거의 되지 않게 되어있어 압축기의 운전중에 올담링(11)가 선회스크롤(2) 그리고 프레임(4) 사이에서는 심한 마찰이 발생하여 올담링 키홈(22)에 마모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인해 상기 각 스크롤사이의 위치 규제가 불가능해져 압축도중 축방향 틈새에 의한 반경방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없게 되고, 이에따라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축방향의 틈새에 위한 반경방향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고정스크롤의 상부에 요입홈을 형성함과 함께 선회스크롤의 경판에는 환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에 정체된 윤활유가 유통공을 통해 환형의 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것에 있어서, 환형의 홈과 선회스크롤의 저면 사이에 결합된 올담링이 서로 통하여지도록 상기 환형의 홈상에 다수개의 급유공을 형성하여서 된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6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제6도는 본고안 장치의 선회스크롤을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써, 고정스크롤(1)의 상부 외주면에 요입홈(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1)과 접속된 채 크랭크축(9)의 회전운동에 따라 올담링(11)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2)의 경판에는 환형의 홈(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의 홈(2c)의 소정위치에는 선회스크롤(2)의 저면에 결합되어 선회스크롤(2)의 자전운동을 제어하는 올담링(11)으로 윤활유를 급유하기 위한 다수개의 급유공(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급유공(2d)의 갯수나 크기는 압축기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크랭크축(9)의 회전에 따라 선회스크롤(2)이 고정스크롤(1)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관(5)을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시킬때 크랭크축(9)의 토출압력과 선회베어링 둘레의 중간 압력차에 의해 밀폐용기(14) 하부에 고여있던 윤활유는 크랭크축(9)과 크랭크핀(10)에 형성된 오일통로(17)를 통해 상승하여 윤활작용을 한후 토출 냉매가스와 함께 토출구(6)와 토출실(12)로 토출되므로 고정스크롤(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홈(1b)내에 정체된다.
이에따라 요입홈(1b)에 정체된 윤활유는 고정스크롤(1)에 형성된 유통공(1c)을 따라 선회스크롤(2)의 경판(2b)에 형성된 환형의 홈(2c)내로 급유되므로 상기 각 스크롤의 윤활작용을 하게 됨과 동시에 일부의 윤활유는 환형의 홈(1c)에 형성된 급유공(2d)을 통해 올담링(11)으로 급유되므로 선회스크롤(2)과 올담링(11) 그리고 프레임(4) 사이의 윤활 작용을 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선회스크롤(2)의 경판(2b)에 형성된 환형의 홈(2c)으로 부터 하방에 설치된 올담링(11)과 관통되게 급유공(2d)을 형성해주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선회스크롤(2)과 올담링(11) 그리고 프레임(4) 사이를 윤활작용시켜줄 수 있게 되어 이들 사이의 마모로 인해 축방향 틈새를 통한 압축 냉매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선회스크롤(2)의 경판(2b)에 형성된 환형의 홈(2c)과 올담링(11)이 서로 통하여지도록 상기 환형의 홈(2c)상에 다수개의 급유공(2d)을 형성하여서 된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KR2019910020329U 1991-11-25 1991-11-25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Expired - Lifetime KR940000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329U KR940000191Y1 (ko) 1991-11-25 1991-11-25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329U KR940000191Y1 (ko) 1991-11-25 1991-11-25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284U KR930011284U (ko) 1993-06-24
KR940000191Y1 true KR940000191Y1 (ko) 1994-01-19

Family

ID=1932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329U Expired - Lifetime KR940000191Y1 (ko) 1991-11-25 1991-11-25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1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353A (ko) 2022-10-28 2024-05-08 이민규 홈이 파여있는 C-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284U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225B1 (ko) 밀폐형 스크로울 압축기의 축받이 장치
KR880000934B1 (ko) 스크롤(scroll) 유체기계의 급유장치
KR0146704B1 (ko) 윤활능력이 개선된 스크롤 압축기
KR970000338B1 (ko) 스크롤형 압축기
KR100916554B1 (ko) 올덤 커플링을 위한 클리어런스를 가진 스크롤 압축기
US4997349A (en) Lubrication system for the crank mechanism of a scroll compressor
KR20000062137A (ko) 방출밸브를 갖춘 스크롤 머신
KR20070030111A (ko) 플랜지 슬리브 가이드
US4473343A (en) Bearing device for scroll-type compressor
KR960001626B1 (ko) 스크롤유체기계의 급유장치
JPH0372840B2 (ko)
US5489198A (en) Scroll machine sound attenuation
KR101212993B1 (ko) 모터 압축기 윤활
JPS63131889A (ja) スクロ−ル気体圧縮機
KR940000191Y1 (ko)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올담링 윤활장치
KR0163121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JPH0849681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023476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토출량 저감 및 윤활구조
KR10039077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급유구조
JP257459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548488B1 (ko) 스크롤압축기의 오일 공급구조
KR10036023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 부쉬
JPH0678756B2 (ja) スクロ−ルコンプレツサ
KR100299589B1 (ko) 유체기계
JPH0444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11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4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404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