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3803A -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3803A
KR20240163803A KR1020230060861A KR20230060861A KR20240163803A KR 20240163803 A KR20240163803 A KR 20240163803A KR 1020230060861 A KR1020230060861 A KR 1020230060861A KR 20230060861 A KR20230060861 A KR 20230060861A KR 20240163803 A KR20240163803 A KR 2024016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type system
corner post
system furnitur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to KR102023006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3803A/ko
Publication of KR2024016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380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진열장, 화장대 등의 가구에는 인테리어 효과나 특정 공간을 비추기 위해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가구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조명 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을 밝힘에 따라 기능적인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선반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전선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선을 통해 선반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시스템 가구는 기둥 내부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삽입하고, 상기 전극을 선반의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둥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기둥에 좌굴이 발생하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하부 고정부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분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 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고정부재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부재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1결합공과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되는 벽면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제1연결공과, 볼트를 통해 상기 제1결합공과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벽면 결합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재에는 타공판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제1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이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보강부재는 ㄱ 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과 상면을 접촉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연장되는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결합 구멍에 2개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후크부를 동시에 끼워지게 함에 따라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고정부의 수평 부재를 통해 수평을 조절한 이후 하부 고정부에 기둥부를 설치함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코너 부분에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 연결부, 선반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의 연결부재가 기둥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의 연결부재,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와 제1선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와 제1선반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의 배면에 설치되는 조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선반이 구비되는 붙박이장, 진열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다양한 가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하부 고정부(110), 기둥부(120), 연결부(130), 선반(16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부재(112)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수평 부재(112)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설치할 때, 지면의 경사에 의해 상기 하부 고정부(110)가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를 통해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조절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를 통해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으면서 상기 기둥부(120)를 상기 하부 고정부(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부(12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는 시스템 가구를 지지하는 기둥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라 함은 바닥에 수직을 형성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121)은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3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가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기둥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후크부(131)는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160)은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160)은 2개의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선반(160)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13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선반(160)은 받침부(161)와 선반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6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받침부(161)는 물건을 받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선반 연결부(162)는 상기 받침부(161)와 상기 연결부(13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 연결부(162)는 상기 받침부(16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연결부(162)를 통해 상기 받침부(161)가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반(160)은 마개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163)는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선반 연결부(162)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개부(16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선반 연결부(162)의 끝단 부분을 마감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제1연결부(140)와 제2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4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14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15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15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130), 상기 제1연결부(140), 상기 제2연결부(15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30), 상기 제1연결부(140), 상기 제2연결부(150)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상기 제1연결부(140)의 상기 제1후크부(141)와 상기 제2연결부(150)의 상기 제2후크부(151)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선반(160)은 2개의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만 결합되면, 인접해 있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기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만 결합되면, 상기 선반(160)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멍(121)이 부족해짐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2개의 상기 연결부(130)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상기 후크부(131)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연결부(140)와 상기 제2연결부(150)에 구비된 상기 제1후크부(141)와 상기 제2후크부(151)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조절 나사로 이루어진 조절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71)를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170)의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170)를 천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2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20)의 중간 부분이라 함은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와 하부의 다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둥부(120)에는 상기 기둥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결합홈(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홈(122)은 상기 기둥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122)은 상기 기둥부(120)의 내측으로 파여지고,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결합홈(12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날개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날개부(213)는 상기 결합홈(122)의 오목한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20)는 판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230)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하나의 판이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상기 연결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홈(122)-상기 연결부재(210)-상기 제1고정부재(230)-상기 제2고정부재(240)-벽면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결합공(211)기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는 제1연결공(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상기 제1연결공(231)은 볼트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는 제2연결공(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에는 제1결합공(2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상기 제2연결공(232)은 볼트를 통해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벽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고정부재(240)에는 벽면 결합공(2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볼트를 통해 벽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일방향의 폭이 볼트 머리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면 결합공(242)이 장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재(240)와 벽면의 고정 지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20)와 벽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과 연결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을 상기 제1연결공(231)에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12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공(232)은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에 연결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공(23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을 상기 제2연결공(232)에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기둥부(120)와 벽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타공판(18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타공판 결합공(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에 구비된 상기 타공판 결합공(212)과 볼트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에 상기 타공판(18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공판(180)은 내부에 타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타공판(180)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2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180) 내부에 구비된 타공은 물건을 결합하거나 물건을 걸어놓을 수 있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타공판(180) 내부에 구비된 타공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10)를 통해 상기 타공판(18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면, 상기 타공판(18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코너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라 함은 벽체와 벽체가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너는 벽체와 벽체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21)이 구비된 제1기둥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상기 기둥부(12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코너에 설치되는 기둥부일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코너에 45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벽체가 형성하는 각도는 45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120a)가 코너에 45도 각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기둥부(120a)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도 45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벽체가 형성하는 각도는 45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160)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160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선반(160a)은 받침부(16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벽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되기 위해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상기 제1선반(160a)의 일면에 대하여 45도 각도를 형성하면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160a)이 결합되는 보강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면,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선반(160a)은 피스, 못 등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에 피스, 못 등을 통해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시키고, 이후 상기 보강부재(132)를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130)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상기 보강부재(130)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시키고, 이후 상기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보강부재(132)를 결합시킴에 따라 공간의 제약 없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구비된 상기 보강부재(132)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각각 결합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서 동일한 높이로 상기 제1선반(160a)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알루미늄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132)는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선반(160a)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132)가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만 결합되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이 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부재(132)를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가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연결부(130)의 상면을 통해서도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선반(160a)은 상기 제1기둥부(120a)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 보다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끝단이 상기 연결부(130)의 끝단 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명(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통해 벽면과 이격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 상기 조명(190)을 구비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서 분사되는 빛이 벽면에 부딪히면서 양측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이라 함은, 상기 기둥부(120)에서 벽면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된 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결합 구멍에 2개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후크부를 동시에 끼워지게 함에 따라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하부 고정부의 수평 부재를 통해 수평을 조절한 이후 하부 고정부에 기둥부를 설치함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코너 부분에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하부 고정부 111...수평 조절부
112...수평 부재 120...기둥부
120a...제1기둥부 121...결합 구멍
122...결합홈 130...연결부
131...후크부 132...보강부재
133...결합나사 140...제1연결부
141...제1후크부 150...제2연결부
151...제2후크부 160...선반
160a...제1선반 161...받침부
162...선반 연결부 163...마개부
170...상부 고정부 171...조절부
180...타공판 190...조명
200...중간 고정부 210...연결부재
211...결합공 212...타공판 결합공
213...날개부 220...고정부재
230...제1고정부재 231...제1연결공
232...제2연결공 240...제2고정부재
241...제1결합공 242...벽면 결합공

Claims (13)

  1.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분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 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부재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1결합공과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되는 벽면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제1연결공과, 볼트를 통해 상기 제1결합공과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결합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타공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제1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이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ㄱ 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과 상면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연장되는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KR1020230060861A 2023-05-11 2023-05-11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Pending KR20240163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61A KR20240163803A (ko) 2023-05-11 2023-05-11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61A KR20240163803A (ko) 2023-05-11 2023-05-11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3803A true KR20240163803A (ko) 2024-11-19

Family

ID=936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861A Pending KR20240163803A (ko) 2023-05-11 2023-05-11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63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5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US20050045787A1 (en) Suspension system
US7226027B1 (en) Device for mounting an object at the corner of a room
KR20240163803A (ko)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JP2008079784A (ja) サイドパネル付き机
JP2009097280A (ja) 棚板付補助壁の構造
JP4798111B2 (ja) 補助壁の取付構造
JP4388508B2 (ja) 収納棚
JP6899310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什器
JP2004016401A (ja) 棚付き机
JP2017000487A (ja) 什器
JP2007021003A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JP2002153330A (ja) 天板の後端縁における配線受け樋装置
KR200316973Y1 (ko) 선반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진열대
JP3118499U (ja) 棚受け用支柱
JP2004223152A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装置
JP4800005B2 (ja) 家具の脚体
KR20200134535A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JP6685104B2 (ja) 天板付き家具及び家具
KR20220087761A (ko)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