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3803A -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 Google Patents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3803A KR20240163803A KR1020230060861A KR20230060861A KR20240163803A KR 20240163803 A KR20240163803 A KR 20240163803A KR 1020230060861 A KR1020230060861 A KR 1020230060861A KR 20230060861 A KR20230060861 A KR 20230060861A KR 20240163803 A KR20240163803 A KR 202401638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type system
- corner post
- system furnitur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omprising: a lower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to a floor; a column part installed to the lower fixing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long a height direction; a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column part; and a shelf including 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wherein the connecting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column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column part, and wherein the first hook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hook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are simultaneously fitted into one of the joining holes provided in the column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having a corner while forming the height of the shelf to be the same, and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wall by supporting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of the pillar at three points.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진열장, 화장대 등의 가구에는 인테리어 효과나 특정 공간을 비추기 위해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가구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조명 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을 밝힘에 따라 기능적인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Lighting devices are usually installed on furniture such as beds, desks, display cases, and dressing tables to enhance interior effects or illuminate specific spaces. Lighting devices installed on furniture can enhance aesthetic effects, and by illuminating specific spaces through lighting devices, functional effects can also be achieved.
선반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전선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선을 통해 선반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When installing a lighting device on a shelf, one point of the shelf where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One point of the shelf where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via a wire. However, when connecting one point of the shelf to the outside via a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elf by the wir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시스템 가구는 기둥 내부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삽입하고, 상기 전극을 선반의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켰다.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 system furniture has electrodes inserted inside the pillar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o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ing on the shelves.
그러나 이와 같이 기둥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기둥에 좌굴이 발생하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installing system furniture through columns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rmly fix the system furniture to the wall.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column is lo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lumn buckles or vibrates due to external impac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having corners while forming shelves with the same height, and can be firmly installed on a wall by supporting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of a pillar at three point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a pillar part installed on the lower fixing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pillar part; and a shelf including a support part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wherein the connecting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pillar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hook part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joining holes of the pillar par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ok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hook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are fitted simultaneously into one of the joining holes provided in the pillar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하부 고정부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lower fixing part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분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to the ceiling at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part, and an intermediate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to the wall surface may be provided at the middle part of the pillar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 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lumn part having a join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art, and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may include a joining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joining groove, and a fixing membe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while being joined to the joining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고정부재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부재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xing member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formed of a plate,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wall surfa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1결합공과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되는 벽면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제1연결공과, 볼트를 통해 상기 제1결합공과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joining hole, the second fix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joining hole and a wall joining hole connect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 bolt, and the first fix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hole connected to the joining hole through a bolt, and a second connecting hole connected to the first joining hole through a bol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벽면 결합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wall joint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holes and second connecting hol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rst connecting hole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long a direction extending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part extends,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long a direction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part extend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재에는 타공판이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perforated plate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제1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이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lumn part having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long a height direction while being installed at a corner, the shelf comprises a first shelf having a side extending diagonally so as to be installed at a corner, an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column part, reinforcing members to which the first shelf is coupled may be provi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보강부재는 ㄱ 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과 상면을 접촉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연장되는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back surface of the pillar part of the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art extends.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결합 구멍에 2개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후크부를 동시에 끼워지게 함에 따라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rm the same height of a shelf by simultaneously fitting two hook parts provided on each of two connecting parts into one joining hole provided on a pillar part.
또한, 본 발명은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furniture can be firmly installed on a wall by supporting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of the pillar at three points.
또한, 본 발명은 하부 고정부의 수평 부재를 통해 수평을 조절한 이후 하부 고정부에 기둥부를 설치함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furniture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by installing a pillar part on the lower fixing part after adjusting the level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lower fixing part.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코너 부분에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shelf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level at the corner portion by providing reinforcing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pillar portion installed at the cor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 연결부, 선반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와 기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의 연결부재가 기둥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간 고정부의 연결부재,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와 제1선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와 제1선반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의 배면에 설치되는 조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lower fixing part and a pilla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lar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and a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n upper fixing part and a pilla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intermediate fixing part and a pilla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and FIG.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connecting member of an intermediate fix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illar part.
FIG. 7 is a drawing showing an intermediate fix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 first fixing memb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of an intermediat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pillar and a first shelf installed at a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pillar and a first shelf installed at a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rawing showing that reinforcing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a first pilla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showing a light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a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or "may include", which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disclosed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and do not limit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s" or "has"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aid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said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also be other new components between said component and said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new components exist between said component and said 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코너가 구비된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having a corner while forming the height of the shelf to be the same, and which can be firmly installed on a wall by supporting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of the pillar at three poin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선반이 구비되는 붙박이장, 진열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다양한 가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uilt-in cabinet or display cabinet equipped with a shelf.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types of furniture.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하부 고정부(110), 기둥부(120), 연결부(130), 선반(1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ixing part (110), a pillar part (120), a connecting part (130), and a shelf (160).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2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ower fixing part (1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Referring to Fig. 2, the lower fixing part (11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part (120). The lower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illar part (120), or the lower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pillar part (12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부재(112)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수평 부재(112)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lower fixing memb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member (112)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The horizontal member (112)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and the pillar member (12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112).
상기 하부 고정부(110)는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 조절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설치할 때, 지면의 경사에 의해 상기 하부 고정부(110)가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The lower fixing member (110) may include a horizontal adjustment member (111) for adjusting the level. When the lower fixing member (110)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lower fixing member (110) may not be installed horizontally due to the slope of the ground.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를 통해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1) can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lower fixing unit (110) including the horizontal member (112). Through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1), the lower fixing unit (110) including the horizontal member (112)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조절부(111)는 조절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devices as long as it can adjust the horizontality of the lower fixing unit (110), and the abov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1) may be formed of an adjustment screw.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평 조절부(111)를 통해 상기 수평 부재(112)를 포함하는 상기 하부 고정부(110)를 바닥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으면서 상기 기둥부(120)를 상기 하부 고정부(1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 above pillar part (120) can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fixing part (110). When the lower fixing part (110) including the horizontal member (112) 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through the horizontal adjustment part (111), the pillar part (120) can be easily installed to the lower fixing part (110) without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illar part (120).
상기 기둥부(12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는 시스템 가구를 지지하는 기둥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방향이라 함은 바닥에 수직을 형성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above pillar part (12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pillar part (120) may be a pillar supporting system furniture. Here, the heigh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orming a perpendicular to the floo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121)은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illar por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1)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coupling holes (121) are holes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coupl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31)가 구비된 것이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131)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21) of the pillar portion (120).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가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기둥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후크부(131)는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질 수 있다. As the hook portion (131)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21) of the pillar portion (120), the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coupled to the pillar portion (120). One hook portion (131)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fitted into one coupling hole (121) provided in the pillar portion (12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160)은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160)은 2개의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선반(160)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130)가 각각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shelf (160)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s (130). The shelf (160) can be connected between two connecting parts (130), and the connecting parts (130) are connected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shelf (160).
상기 선반(160)은 받침부(161)와 선반 연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6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받침부(161)는 물건을 받칠 수 있는 부분이다. The above shelf (160)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161) and a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The support portion (16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upport portion (161) is a portion that can support an object.
상기 선반 연결부(162)는 상기 받침부(161)와 상기 연결부(13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 연결부(162)는 상기 받침부(16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연결부(162)를 통해 상기 받침부(161)가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connects the support portion (16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161), and the support portion (16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rough the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상기 선반(160)은 마개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163)는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선반 연결부(162)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개부(16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선반 연결부(162)의 끝단 부분을 마감처리할 수 있게 된다. The shelf (160)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163). The stopper (163)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Through the stopper (163), the end portion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shelf connecting portion (162) may be finish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제1연결부(140)와 제2연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4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141)가 구비된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ok portions (141)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21) of the pillar portion (120).
상기 제2연결부(15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151)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130), 상기 제1연결부(140), 상기 제2연결부(15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30), 상기 제1연결부(140), 상기 제2연결부(150)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hook portions (151)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nnecting hole (121) of the pillar portion (120).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have the same shape,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상기 제1연결부(140)의 상기 제1후크부(141)와 상기 제2연결부(150)의 상기 제2후크부(151)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hook part (141)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140) and the second hook part (151)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150) can be simultaneously fitted into one of the connecting holes (121) provided in the pillar part (120).
상기 선반(160)은 2개의 상기 연결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만 결합되면, 인접해 있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기 어렵게 된다. The above shelf (160) is provided between two of the above connecting parts (130), and if only the hook part (131) of one of the above connecting parts (130) is connected to one of the above connecting holes (121) provided in the above pillar part (120), it becomes difficult to install a plurality of adjacent shelves (160) at the same height.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하나의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후크부(131)만 결합되면, 상기 선반(160)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멍(121)이 부족해짐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없게 된다. Specifically, when only one hook part (131) of the connecting part (130) is connected to one connecting hole (121) provided in the pillar part (120), the connect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shelf (160) becomes insufficient to be connected, and therefore, two adjacent shelves (160) cannot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2개의 상기 연결부(130)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상기 후크부(131)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hook parts (131) provided in each of two connecting parts (130)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connecting hole (121) provided in the pillar part (120) to install a plurality of adjacent shelves (160) at the same height.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1연결부(140)와 상기 제2연결부(150)에 구비된 상기 제1후크부(141)와 상기 제2후크부(151)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인접하는 복수 개의 상기 선반(160)을 동일한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hook part (141) and the second hook part (151)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ng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150),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of the connecting holes (121) provided in the pillar part (120). Through this,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 plurality of adjacent shelves (160)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An upper fixing part (1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part (120)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upper fixing part (1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part (120)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ceiling.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를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fixing member (170) can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120) to the ceiling. The upper fixing member (170) can include various devices as long as it can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120) to the ceil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고정부(170)는 조절 나사로 이루어진 조절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71)를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170)의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고정부(170)를 천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ixing part (170) may include an adjustment part (171) formed of an adjustment screw. The end of the upper fixing part (170) can be moved through the adjustment part (171), and through this, the upper fixing part (17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2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20)의 중간 부분이라 함은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부와 하부의 다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intermediate fixing member (200)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120)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The middle portion of the pillar member (120) may b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ar member (120), and the intermediate fixing member (20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int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ar member (1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둥부(120)에는 상기 기둥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1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고정부(200)는 상기 결합홈(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art (120) may be provided with a joining groove (12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120). Referring to FIG. 6(a) and FIG. 6(b),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joining member (210)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joining groove (122), and a fixing member (220)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while being joined to the joining member (210).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홈(122)은 상기 기둥부(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122)은 상기 기둥부(120)의 내측으로 파여지고,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a) and FIG. 7, the joining groove (122) of the pillar part (120)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 part (120). The joining groove (122) is dug into the inside of the pillar part (120) and extends to both sides to form a concave groove.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결합홈(12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날개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날개부(213)는 상기 결합홈(122)의 오목한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2), and the connecting member (210) may be provided with wing parts (213) that are spread out to both sides. The wing parts (213)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may b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s of the coupling groove (122), and through this, the connecting member (21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pillar part (12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20)는 판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230)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fixing member (220)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230) formed of a plate and a second fixing member (240)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하나의 판이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상기 연결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부(120)의 상기 결합홈(122)-상기 연결부재(210)-상기 제1고정부재(230)-상기 제2고정부재(240)-벽면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230) is formed of a single plate.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is formed by bending a single plate into an L-shape.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230) and the wall surface. Specifically, the coupling can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pillar member (120) - the connecting member (210) - the first fixing member (230) -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 the wall surfac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결합공(211)기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는 제1연결공(231)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first fixing member (230), a connecting hole (211)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a first connecting hole (23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member (230).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상기 제1연결공(231)은 볼트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onnected via a bolt, and the first connecting hole (231) of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onnected to the joining hole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via a bol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는 제2연결공(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에는 제1결합공(241)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in order to connect the first fix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the first fixing member (23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hole (232),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hole (241).
상기 제1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의 상기 제2연결공(232)은 볼트를 통해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can be connected via a bolt,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232) of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4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via a bol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벽면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고정부재(240)에는 벽면 결합공(2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240)는 볼트를 통해 벽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in order to connect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to a wall surface,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may be provided with a wall surface joining hole (242).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may be join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 bolt, and the wall surface joining hole (242)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may be connect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 bol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벽면 결합공(242)은 일방향의 폭이 볼트 머리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벽면 결합공(242)이 장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재(240)와 벽면의 고정 지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제2고정부재(24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joint hole (242)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Referring to FIG. 8, the wall joint hole (242)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whose width in one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lt head. Since the wall joint hole (242) is formed as a long hole,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can be fixed to the wall while adjusting the distan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and the fixing point of the wal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20)와 벽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hole (23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232)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hole (23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232), the intermediate fixing part (2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wall surfac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 part (120) and the wall surface changes.
도 6(a)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and FIG. 8,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holes (23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along a direction extending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ortion (120) extends.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과 연결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을 연결시킬 수 있다. The above first connecting hole (23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pillar part (120). The connecting hole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can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holes (2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결합공(211)을 상기 제1연결공(231)에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23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necting hole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31).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120)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1연결공(231)은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necting member (210)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pillar part (120).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can b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pillar part (12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holes (231) are provided along a direction extending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art (120) extends.
상기 제2연결공(232)은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에 연결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공(23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을 연결시킬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hole (23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hole (24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The first connecting hole (24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can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holes (23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부재(240)의 상기 제1결합공(241)을 상기 제2연결공(232)에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member (23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connecting hole (24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232).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holes (231)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s (232) in this way,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23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hanged.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과 상기 제2연결공(232)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230)가 돌출되는 위치와,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240)가 돌출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기둥부(120)와 벽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230) protrudes relative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fixing member (240) protrudes relative to the first fixing member (230) can be chan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holes (231) and second connecting holes (232), the intermediate fixing member (2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wall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 member (120) and the wall surface is chang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타공판(18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타공판 결합공(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0)에 구비된 상기 타공판 결합공(212)과 볼트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210)에 상기 타공판(18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ated plate (18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Referring to FIG. 6(a) and FIG. 7, a perforated plate coupling hole (212)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210). The perforated plate (18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coupling hole (212) and the bolt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210).
상기 타공판(180)은 내부에 타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타공판(180)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재(21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180) 내부에 구비된 타공은 물건을 결합하거나 물건을 걸어놓을 수 있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타공판(180) 내부에 구비된 타공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erforated plate (180) has perforations formed inside, and the connecting members (210) can be respectively joined to both sides of the perforated plate (180). The perforations formed inside the perforated plate (180) can be holes for joining objects or hanging objects. The perforations formed inside the perforated plate (18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연결부재(210)는 상기 기둥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10)를 통해 상기 타공판(18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공(231)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230)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결합위치를 변경하면, 상기 타공판(18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above connecting member (21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pillar member (120), the position of the perforated plate (180) can be chang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10) as needed. Specifically, by chang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to the first fixing member (230) through a plurality of the first connecting holes (231), the position of the perforated plate (180) can be chang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코너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라 함은 벽체와 벽체가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너는 벽체와 벽체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일 수 있다.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rner. The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art where a wall and a wall are connected while forming an angle. Specifically, the corner may be a point where a wall and a wall are connected vertical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21)이 구비된 제1기둥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llar part (120)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illar part (120a) that is installed at a corner and has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121) along the height direc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상기 기둥부(12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코너에 설치되는 기둥부일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120a)는 코너에 45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벽체가 형성하는 각도는 45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pillar part (120a)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pillar part (120), and the first pillar part (120a) may be a pillar part installed at a corner. The first pillar part (120a) may be installed at a 45 degree angle at the corner. Specifically, the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of the first pillar part (120a) faces and the wall may be 45 degrees.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는 상기 연결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둥부(120a)가 코너에 45도 각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기둥부(120a)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도 45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상기 결합 구멍(121)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가 연장되는 방향과 벽체가 형성하는 각도는 45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ng par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21) of the first pillar part (120a). Since the first pillar part (120a) is installed at a 45 degree angle at the corner, the connect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part (120a) can also be installed at a 45 degree angle. Specifically, the angle formed by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art (13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21) of the first pillar part (120a) extends and the wall can be 45 degre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160)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160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선반(160a)은 받침부(16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helf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helf (160a) having a side extending diagonally so as to be installed at a corner.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first shelf (160a) includes a support portion (161), and the side of the first shelf (160a)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벽체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연장되는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되기 위해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측면은 상기 제1선반(160a)의 일면에 대하여 45도 각도를 형성하면서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helf (160a) may be extended diagonally to be join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extending at a 45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wall. Specifically,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helf (160a) may be extended diagonally to form a 45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elf (160a).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160a)이 결합되는 보강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coupled to the first pillar portion (120a), a reinforcing member (132) to which the first shelf (160a) is coupled may be provided. Referring to Fig. 11, the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a member provided to couple the first shelf (160a)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보강부재(132)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면,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하기 어렵게 된다. If the reinforcing member (132) is not provided,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the first shelf (160a)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Specifically, if the first shelf (160a)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no space is created to attach the first shelf (160a)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king it difficult to attach the first shelf (160a)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선반(160a)은 피스, 못 등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에 피스, 못 등을 통해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시키고, 이후 상기 보강부재(132)를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first shelf (160a)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rough a piece, a nail, or the like. The first shelf (160a)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rough a piece, a nail, or the like, and then the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rough a coupling screw (133).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130)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상기 보강부재(130)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결합시키고, 이후 상기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보강부재(132)를 결합시킴에 따라 공간의 제약 없이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 상기 제1선반(160a)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first shelf (160)a) is connected to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130)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n the reinforcing member (132)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rough the connecting screw (133), thereby enabling the first shelf (160a) to be easi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without spatial constraints.
또한,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구비된 상기 보강부재(132)에 상기 제1선반(160a)을 각각 결합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에서 동일한 높이로 상기 제1선반(160a)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first shelf (160a) to the reinforcing members (1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first shelf (160a)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알루미늄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연결부(130)의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bove reinforcing member (132) can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nd for this purpose, the reinforcing member (132) can be made of aluminum or met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inforcing member (132)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it can supplement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보강부재(132)는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2)는 상기 결합나사(133)를 통해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선반(160a)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1, the reinforcing member (13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L-shaped cross-section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reinforcing member (132) can support the first shelf (160a) by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rough the connecting screw (133).
상기 보강부재(132)가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에만 결합되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이 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부재(132)를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If the reinforcing member (132) is connected only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force supporting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wea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orce supporting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reinforcing member (132)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상기 보강부재(132)가 ㄱ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130)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연결부(130)의 상면을 통해서도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보강부재(132)를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above reinforcing member (132) is formed with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and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reinforcing member (132)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Accordingly, the force supporting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선반(160a)은 상기 제1기둥부(120a)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130) 보다 상기 제1기둥부(120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기둥부(12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선반(160a)의 끝단이 상기 연결부(130)의 끝단 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elf (160a)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column portion (120a) more than the connecting portion (130) coupled to the first column portion (120a). Referring to Fig. 9, the end of the first shelf (160a)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 based on the first column portion (120a).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의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120)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명(190)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on the back surface of the pillar part (120) of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190)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art (120) extends may be provided.
상기 기둥부(120)는 상기 중간 고정부(200)를 통해 벽면과 이격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 상기 조명(190)을 구비하면,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에서 분사되는 빛이 벽면에 부딪히면서 양측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The above pillar part (120) can be install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above intermediate fixing part (200). If the light (19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illar part (120),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illar part (120) can spread to both sides when it hits the wall surfac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부(120)의 배면이라 함은, 상기 기둥부(120)에서 벽면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된 면일 수 있다. Through this, the aesthetic sense of the user using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Here, the back surface of the pillar part (120) may be a surface provided in the direction from the pillar part (120) toward the wall surfac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결합 구멍에 2개의 연결부 각각에 구비된 2개의 후크부를 동시에 끼워지게 함에 따라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shelves can be formed the same by simultaneously fitting two hook parts provided in each of two connecting parts into one joining hole provided in the pillar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상부, 하부, 중간부를 3점 지지함에 따라 벽체에 시스템 가구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furniture can be firmly installed on a wall by supporting the upper, lower, and middle parts of the column at three poi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하부 고정부의 수평 부재를 통해 수평을 조절한 이후 하부 고정부에 기둥부를 설치함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furniture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wall by installing a pillar part on the lower fixing part after adjusting the level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lower fixing part.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는 코너에 설치되는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양측면에 보강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코너 부분에서 선반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shelf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level at the corner portion by providing reinforcing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joined to the first pillar portion installed at the corn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10...하부 고정부 111...수평 조절부
112...수평 부재 120...기둥부
120a...제1기둥부 121...결합 구멍
122...결합홈 130...연결부
131...후크부 132...보강부재
133...결합나사 140...제1연결부
141...제1후크부 150...제2연결부
151...제2후크부 160...선반
160a...제1선반 161...받침부
162...선반 연결부 163...마개부
170...상부 고정부 171...조절부
180...타공판 190...조명
200...중간 고정부 210...연결부재
211...결합공 212...타공판 결합공
213...날개부 220...고정부재
230...제1고정부재 231...제1연결공
232...제2연결공 240...제2고정부재
241...제1결합공 242...벽면 결합공110...
112...
120a...
122...
131...
133...Coupling
141...
151...
160a...
162...Shelf joint 163...Closet
170...
180...perforated
200...middle
211...
213...
230...First fixing
232...2nd connecting
241...1st joint 242...Wall joint
Claims (13)
상기 하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1후크부가 구비된 제1연결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제2후크부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에 구비된 하나의 상기 결합 구멍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제1후크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상기 제2후크부가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Lower fixing member that is fixed to the floor;
A column part installed on the lower fixed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above pillar portion;
A shelf including a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above connecting parts;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ok portion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pillar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hook portions formed in a hook shape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pillar portion.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ok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hook part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 are simultaneously fitted into one of the connecting holes provided in the pillar part.
상기 하부 고정부는,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the first paragraph,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fixing member includes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분에는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the first paragraph,
The upper part of the above pillar is provided with an upper fixing part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ceiling.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art of the above pillar part is provided with a middle fixing par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상기 기둥부에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중간 고정부는, 상기 결합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면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illar part is provided with a join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pillar part,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fix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and a fixing member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a wal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는 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고정부재와, ㄱ 자형 단면을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재와 벽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paragraph 4,
The above-mentioned fixed member includes a first fixed member formed of a plate, and a second fixed member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a wall surface.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제1결합공과 볼트를 통해 벽면에 연결되는 벽면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볼트를 통해 상기 결합공과 연결되는 제1연결공과, 볼트를 통해 상기 제1결합공과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paragraph 5,
The abov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joining hole,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joining hole and a wall joining hole connected to the wall through a bolt.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hole connected to the joining hole via a bolt, and a second connecting hole connected to the first joining hole via a bolt.
상기 벽면 결합공은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Article 6,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wall joint is formed of a long hole.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제2연결공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Article 6,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hole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ar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Article 8,
The first connecting hole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long a direction extending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column section extends.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ng hole is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long a direction extend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art extends.
상기 연결부재에는 타공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paragraph 4,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erforated plate is joined to the above connecting member.
상기 기둥부는 코너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제1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코너에 설치되도록 사선으로 연장되는 측면이 구비된 제1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둥부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선반이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illar part includes a first pillar part that is installed at a corner and has a plurality of joining hol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e above shelf comprises a first shelf having sides extending diagonally to be installed in a corner;
A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member to which the first shelf is couple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pillar portion.
상기 보강부재는 ㄱ 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과 상면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Article 11,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reinforcing member has an L-shaped cross-sec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기둥부의 배면에는, 상기 기둥부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을 연장되는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포스트형 시스템 가구.
In the first paragraph,
A corner post-type system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a light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illar portion, the light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n which the pillar portion exten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861A KR20240163803A (en) | 2023-05-11 | 2023-05-11 |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861A KR20240163803A (en) | 2023-05-11 | 2023-05-11 |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3803A true KR20240163803A (en) | 2024-11-19 |
Family
ID=936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0861A Pending KR20240163803A (en) | 2023-05-11 | 2023-05-11 |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3803A (en) |
-
2023
- 2023-05-11 KR KR1020230060861A patent/KR20240163803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71528B2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 |
US20050045787A1 (en) | Suspension system | |
US7226027B1 (en) | Device for mounting an object at the corner of a room | |
KR20240163803A (en) | Corner post type system furniture | |
KR20170034061A (en) | Assembly type container box with mounted accessary | |
KR100951363B1 (en) | Lower support for a partition | |
JP4798111B2 (en) | Auxiliary wall mounting structure | |
JP4968777B2 (en) | Desk with side panel | |
JP2009097280A (en) | Auxiliary wall structure with shelves | |
JP4388508B2 (en) | Storage rack | |
JP6899310B2 (en) | Display support fixtures | |
JP2004016401A (en) | Desk with shelf | |
JP2007202910A (en) | Desk | |
JP2017000487A (en) | Fixtures | |
JP2007021003A (en) | Storage cabinet | |
KR102657308B1 (en) | Assembly furniture | |
JP2006081922A (en) | Storage device at desk | |
KR200324319Y1 (en) | A support frame of a sectional furniture | |
JP2002153330A (en) | Wiring receiver gutter device on rear end edge of top board | |
KR200316973Y1 (en) | An exhibition display stand enabling shelves to widen | |
JP3118499U (en) | Shelf support column | |
JP2004223152A (en) | Workstation | |
JP4800005B2 (en) | Furniture legs | |
KR20200134535A (en) | A shelf for desks used at internet cafe | |
KR200256410Y1 (en) | Fastener of metal for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