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130508A -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508A
KR20230130508A KR1020220094957A KR20220094957A KR20230130508A KR 20230130508 A KR20230130508 A KR 20230130508A KR 1020220094957 A KR1020220094957 A KR 1020220094957A KR 20220094957 A KR20220094957 A KR 20220094957A KR 20230130508 A KR20230130508 A KR 2023013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precursor
pressing member
manufacturing
pro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8377B1 (ko
Inventor
수이-무 왕
Original Assignee
차에이 흐신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에이 흐신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차에이 흐신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8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83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4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9Suction, vacuum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9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06N3/009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inversion technique; by transfer processes
    • D06N3/0097Release surface, e.g. separation sheets; Silicone pap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two layers of different macromole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0Particulate form, e.g. powder, granu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2Permeability or impermeability properties
    • D06N2209/121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D06N2209/123Breath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8Artificial l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유연한 가죽을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가죽 전구체가 제공된다. 이형 부재, 상기 가죽 전구체 및 가압 부재가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며,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된 세트를 가열 및 진공화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가죽 제품이 상기 이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LEATHER ARTICLE}
본 발명은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포(air cell)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 가죽(artificial leather)은 부드러움, 경량성, 방수성, 가공 용이성, 저렴한 가격 등의 장점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인조 가죽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고체 상태의 중합체 재료는 유기 용매 및/또는 분산제와 혼합되어 액체 또는 페이스트 혼합물(paste mixture)을 형성한다. 액체 또는 페이스트 혼합물은 직물 또는 이형지(release paper)와 같은, 기재(substrate)에 균일하게 코팅된다. 그런 다음 액체 또는 페이스트 혼합물이 있는 기재를 가열하여 그 안의 유기 용매 및/또는 분산제를 제거하고 중합체 재료가 열 용융 또는 가교를 통해 연결되어 필름형 또는 시트형의 인조 가죽을 형성한다.
그러나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중합체 재료에 의해 가스가 포획되어 가죽 제품으로부터 돌출된 기포 또는 기포로부터 남은 자국(pit)을 형성하여 인조가죽의 품질 및 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제조사들은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가죽 제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가죽 제품은 유연한 가죽을 포함한다. 상기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가죽 전구체가 제공되며, 상기 가죽 전구체는 중합체 재료(polymer material)를 포함한다. 이형 부재(release member), 상기 가죽 전구체 및 가압 부재(pressing member)를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통기공(vent)이 형성된다. 상기 적층된 세트가 가열 및 진공화되어 상기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이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상기 가죽 제품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중합체 재료 및 기재(substrate)를 포함하는 가죽 전구체가 제공된다. 상기 가죽 전구체와 가압 부재가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 부재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적층된 세트가 가열 및 진공화되어 상기 중합체 재료가 상기 기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상기 가죽 제품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다양한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의심할 여지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 및 적층된 세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 및 적층된 세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 및 적층된 세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전구체 및 가죽 제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전구체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가죽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개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 및 달성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면은 단순화된 개략도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의 기본 틀 또는 구현 방법에 대한 더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시와 관련된 구성요소 및 이들의 조합 관계만을 나타냈다. 실제 요소와 구성은 더 복잡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의 구성요소의 개수는 편의상 실제 개수와 다를 수 있고, 구성요소의 형상 및 크기는 실제 형상 및 크기에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비율은 설계 요구사항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단(top), 하단(bottom), 좌측(left), 우측(right), 전방(front) 또는 후방(back)과 같은, 다음 실시예에서의 방향성 용어는 설명되는 도면(들)의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이, 방향성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제한적이지 않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XYZ 직교 좌표계를 기반으로 도시하였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적층된 세트로부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기공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가죽 전구체와 가압 부재 사이의 공기 및/또는 가죽 전구체와 이형 부재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통기공이 제공된다. 통기공은 이형 부재 및/또는 가압 부재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적층된 세트를 가열 및 진공화함으로써,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다. 중합체 재료의 소재에 따라, 물리적인 용융 연결이나 화학적 가교(chemical crosslink)를 통해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속 공정 또는 불연속 공정일 수 있다. 연속 공정은 컨베이어가 있는 장비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완성된 가죽 제품을 묶음(bundle)으로 감는 데 유리하다. 불연속 공정은 단일의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완성된 가죽 제품을 층별로 쌓는 데 유리하다. 연속 공정 및 불연속 공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제품의 제조 방법(1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100)은 단계 110 내지 140을 포함한다. 단계 110에서, 가죽 전구체가 제공되며, 가죽 전구체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단계 120에서, 이형 부재, 가죽 전구체 및 가압 부재가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고, 여기서 이형 부재 및 가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단계 130에서, 적층된 세트는 가열되고 진공화되어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단계 140에서, 가죽 제품은 이형 부재 및 가압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도 2를 더 참조하기 바라며, 도 2는 도 1의 가죽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100)의 단계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각 단계의 시야각이 다를 수 있다. 각 단계의 시야각은 XYZ 직교 좌표계에 의해 정의된 공간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먼저, 가죽 전구체(200)가 제공된다. 여기서, 가죽 전구체(200)는 중합체 재료만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가죽 전구체(200)는 중합체 재료이다. 중합체 재료는 복수의 중합체 입자(221)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 입자(221) 각각의 입자 크기는 0㎛보다 크고 50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완성된 유연한 가죽의 두께는 중합체 입자(221)의 입자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 입자(221)의 입자 크기는 0㎛보다 크고 300㎛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중합체 재료는 단일 종류의 중합체 입자(221)만을 포함한다. 즉, 중합체 입자(221)는 동일한 색상 및 재료를 가지며,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합체 재료는 적어도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중합체 재료의 형상은 입상(粒狀, granular)인 것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합체 재료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재료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중합체 재료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중합체 재료는 시트의 형태일 수 있고, 여기서 시트는 보다 크기가 작은 플레이크(flake) 또는 보다 크기가 큰 시트 재료일 수 있다(도 8에 도시된 중합체 시트(221b-224b) 참조). 중합체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s, TPU)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죽 제품(600)은 우수한 내마모성(wear resistance) 및 가소성(plasticity)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형 부재(300), 가죽 전구체(200) 및 가압 부재(400)를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차례로 쌓아 적층된 세트(500)를 형성한다. 이형 부재(300)와 가압 부재(400)는 독립적으로 연질 편(soft piece)이거나 또는 경질 편(hard pie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 편은 유연하고 구부릴 수 있는 시트일 수 있고, 경질 편은 단단하고 구부러지지 않는 판(plate)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형 부재(300)에는 도 3에 도시된 통기공(V)와 같은,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형 부재(300)의 가죽 전구체(200)를 향하는 면은 오목하여 복수의 홈(groove)(310)을 형성하고, 복수의 통기공(V)은 홈(310)의 단부(end)(311)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310)의 특정 패턴 또는 텍스처를 나타낼 수 있다. 가압 부재(400)는 기밀성 재료(airtight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400)는 기밀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전체가 기밀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압 부재(400)는 도 4에 도시된 기밀 층(420a), 도 5에 도시된 기밀 층(420b), 및 도 6에 도시된 기밀 층(420b')과 같이, 가죽 전구체(200)와 인접하거나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적층된 세트(500)는 장치(700)에 놓인다. 장치(700)는 열 가압 모듈(heat pressing module)(710) 및 진공 모듈(vacuum module)(720)을 포함한다. 열 가압 모듈(710)은 복수의 가열 유닛(711)을 포함한다. 열 가압 모듈(710)은 적층된 세트(500)의 가열에 사용된다. 진공 모듈(720)은 복수의 가스 유동 채널(gas flow channel)(721)을 포함한다. 진공 모듈(720)은 적층된 세트(500)를 진공화하거나 적층된 세트(500)로부터 가스를 배출하는 데 사용된다. 가스의 흐름 방향을 예시하기 위해, 장치(700)는 단면으로 제시되어, 가열 유닛(711) 및 그 내부에 배치된 가스 유동 채널(721)을 보여주며; 적층된 세트(500)는 단면(end surface)에 있는 것으로 제시되어, 가압 부재(400)의 측면(430)과 이형 부재(300)의 측면(330)을 보여준다. 또한, 진공모듈(720)의 상면(upper surface)(722)의 면적은 이형 부재(300)의 하면(lower surface)(320)의 면적보다 넓어서, 가스 유동 채널(721) 중 적어도 하나는 이형 부재(300)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적층된 세트(500) 내의 가스가 이형 부재(300)의 측면(330)을 통해 이형 부재(300)에 의해 덮이지 않은 가스 유동 채널(721)을 통해 흐르는 것이 유리하므로, 적층된 세트(500)가 진공화될 수 있다. 적층된 세트(500)를 진공화함으로써, 가압 부재(400)가 가죽 전구체(2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가죽 전구체(200)의 융점을 낮추어 공정 온도를 낮추는데 유리하다. 다음으로, 적층된 세트(500)가 가열 및 진공화되어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가죽 전구체(200)가 가죽 제품(600)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된 세트(500)의 가열 및 진공화는 다음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80℃ ∼ 250℃ 범위이고, 가열 지속 시간이 180초 이하이며, 가압 부재(400)에 의해 가죽 전구체(200)에 가해지는 압력은 0bar보다 크고 5bar 이하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된 세트(500)의 가열 및 진공화는 다음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140℃ ∼ 200℃이고, 가열 시간이 90초 ∼ 180초이며, 가압 부재(400)에 의해 가죽 전구체(200)에 가해하는 압력은 1bar ∼ 2bar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죽 전구체(200)가 중합체 재료만을 포함하므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 유연한 가죽이 가죽 제품(600)이다. 최종적으로 가죽 제품(600)이 이형 부재(300) 및 가압 부재(400)로부터 분리되어, 가죽 제품(600)의 제조를 완료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X축은 종이 면에 수직이고, 홈(310)의 연장 방향(D1)은 X축과 평행하고, 진공 모듈(720)의 가스 유동 채널(721)의 연장 방향(D2)은 Z축과 평행하다. 적층된 세트(500)가 장치(700)에 의해 가열되고 진공화될 때, 적층된 세트(500) 내의 공기와 같은 가스는 먼저 홈(310)의 연장 방향(D1)을 따라 흐르고 통기공(V)를 통해 홈(310)을 떠날 것이다. 그러면 가스는 화살표 A11 및 A12의 방향을 따라 흐르는 것과 같이, 이형 부재(300)의 측면(330) 아래로 흐를 것이고, 최종적으로 가스 유동 채널(721)로 흘러들어 화살표 A2의 방향을 따라 멀리 배출된다. 적층된 세트(500) 내부의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용융된 중합체 재료에 가스가 포획되어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완성된 유연한 가죽의 표면이 불균일한 것을 방지한다. 유연한 가줄의 표면이 불균일하면, 유연한 가죽을 다른 제품에 접착하는 데 바람직하지 못하고, 이는 후속 공정에의 접근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기포가 있는 유연한 가죽은 찢어지는 경향이 있어, 인장 강도의 부족 및 수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방법에 따르면, 가죽 전구체는 고체 재료일 수 있다. 즉, 유기 용매나 분산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페이스트 혼합물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중간 생성물(예: 유독 가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환경 보호에 유리하다. 또한, 본 개시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죽 제품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원재료 비용 및 환경 안전성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400)는 가열 유닛(711)(미도시)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400)가 열 가압 모듈(710)을 대신하여 적층된 세트(500)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700)는 열 가압 모듈(710)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형 부재(300)의 위치는 가압 부재(400)의 위치와 교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가압 부재(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압 부재(400c)로 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400)의 가죽 전구체(200)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도 2의 이형 부재(300)와 유사). 즉, 가압 부재(400)에는 이형 해제(300) 대신에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400)는 이형 부재(3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400)는 도 10의 가압 부재(400c)와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조치될 수 있고, 이형 부재(300)는 도 2의 이형 부재(300)와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400)와 이형 부재(300)의 가죽 전구체(200)를 향하는 면에는 모두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즉, 가압 부재(400)와 이형 부재(300) 모두에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그 결과, 적층된 세트(500) 내의 가스 배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기 바라며,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400a) 및 적층된 세트(500a, 500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가압 부재(400a)는 통기성 층(air-permeable layer)(410a)과 기밀 층(420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기성 층(410a)은 내열성 섬유 직물(heat resistant fiber fabric)일 수 있고, 내열성 섬유 직물은 합성 섬유 직물(synthetic fiber fabric), 직포(woven fabric), 편물(knitted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열성 섬유 직물"은 가죽 전구체/가죽 제품과 반응하지 않거나 단계 130(도 1 참조)의 온도에서 녹지 않아, 가죽 전구체/가죽 제품을 오염시키지 않는 섬유 직물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내열성 섬유 직물은 씨실(weft yarn)(411a)과 날실(warp yarn)(412a)을 포함하며, 내열성 섬유 직물은 씨실(411a)과 날실(412a) 사이의 갭(라벨 미부여)으로 인해 통기성을 갖는다. 통기성 층(410a)과 기밀 층(420a)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밀 층(420a)은 접착제 재료(glue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밀 층(420a)은 통기성 층(410a)을 코팅 또는 침투함으로써 접착되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접착 필름은 순응하고 통기성 층(410a)의 표면 기복(surface undulation)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밀 층(420a)은 고르지 못한 요철 표면(421a)을 가질 수 있고, 표면(421a) 상의 서로 연통되는 오목한 공간은 가스를 흐르도록 하는 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기성 층(410a)의 기복에 의해 기밀 층(420a)의 표면(421a)이 오목하여 복수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홈(V)의 단부에는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적층된 세트(500a)를 형성하기 위해, 통기성 층(410a)은 가죽 전구체(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기밀 층(420a)은 가죽 전구체(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기성 층(410a)은 도 4의 좌측 아랫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 섬유 직물의 단부에 위치한 갭으로 인해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적층된 세트(500b)를 형성하기 위해, 기밀 층(420a)은 가죽 전구체(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통기성 층(410a)은 가죽 전구체(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밀 층(420a)에는 면(421a)의 단부에 위치한 오목한 공간으로 인해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공(V)은 도 4의 우측 아랫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의 단부에 유사하게 위치하다.
도 5를 참조하기 바라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400b) 및 적층된 세트(500c)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가압 부재(400b)는 통기성 층(410b)과 기밀 층(420b)을 포함한다. 통기성 층(410b)은 내열성 섬유 직물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열성 섬유 직물은 씨실(411b)과 날실(412b)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기밀 층(420b)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부재(400b)와 가압 부재(400a)의 차이점은 통기성 층(410b)과 기밀 층(420b)이 2개의 독립된 구성요소라는 점이다. 즉, 통기성 층(410b)과 기밀 층(420b)은 탈착 가능하며,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으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층된 세트(500c)를 형성하기 위해, 통기성 층(410b)은 가죽 전구체(20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기밀 층(420b)은 가죽 전구체(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기성 층(410b)에만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400b') 및 적층된 세트(500d)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의 차이점은 기밀 층(420b')의 통기성 층(410b)과 반대되는 면(421b')이 오목하여 복수의 홈(422b')을 형성하고, 복수의 홈(422b')의 단부에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적층된 세트(500d)를 형성하기 위해, 기밀 층(420b')이 가죽 전구체(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홈(422b')이 형성된 면(421b')은 가죽 전구체(200)를 향하고, 통기성 층(410b)은 가죽 전구체(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밀 층(420b')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기밀 층(420b')의 표면(421b') 상에 홈(422b')을 형성하는 데 편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밀 층은 여러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밀 층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접착제 재료 등 중 두 가지 재료로 형성된 복합 구조일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서, 이형 부재(300a)의 가죽 전구체(200)를 향하는 면(340a)은 전체적으로 평탄하다. 즉, 복수의 통기공(V)은 가압 부재(400a, 400b, 400b')에만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형 부재(300a)는 이형 부재(300)(도 2 참조)로 교체되어, 가압 부재(400a, 400b, 400b') 및 이형 부재(300)에 복수의 통기공(V)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이형 부재(300a)의 표면(340a)에 특별한 질감이나 문양이 형성되어, 가죽 제품에 특별한 질감이나 문양이 각인되어, 가죽 제품에 원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전구체(200a) 및 가죽 제품(600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가죽 전구체(200a)는 중합체 재료(220a) 및 기재(210a)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기 위해, 기재(210a)는 이형 부재(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중합체 재료(220a)는 가압 부재(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계 130(도 1 참조) 후에, 가죽 전구체(200a)는 가죽 제품(6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죽 제품(600a)은 유연한 가죽(610a)과 기재(210a)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체(composite structure)이다. 가죽 제품(600)(도 2 참조)을 가죽 제품(600a)과 비교하면, 가죽 제품(600)은 후속 적용을 위해 가죽 제품(600)을 다른 기재에 부착하기 위한 추가 단계를 추가로 필요로 한다. 대조적으로, 가죽 제품(600a)은 필요한 기재(210a)를 이미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후속 적용에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중합체 재료(220a)는 복수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입자는 적어도 한 종류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합체 입자는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 즉 복수의 제1 중합체 입자(221a)와 복수의 제2 중합체 입자(222a)를 포함한다. 중합체 재료(220a)가 적어도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므로, 적어도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는 각각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는 모두 열가소성 중합체 입자 또는 모두 열경화성 중합체 입자이다. 한편, 적어도 두 종류의 중합체 입자는 상이한 색상, 상이한 재료 및/또는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섬세한 배합(arrangement)으로, 가죽 제품(600a)은 놀라운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폴리머 입자(221a)와 제2 폴리머 입자(222a)는 서로 다른 색상, 유사한 물성(material characteristic) 및 유사한 입자 크기를 갖는다. 단계 130(도 1 참조) 이후에는, 제1 중합체 입자(221a)와 제2 중합체 입자(222a)가 모두 용융된 다음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도 7에 도시된 가죽 제품(600a)의 좌측 부분의 색상이 가죽 제품(600a)의 우측 부분의 색상과 다르다. 다른 예로, 제1 중합체 입자(221a)의 색상 및 재료는 제2 중합체 입자(222a)의 색상 및 재료와 다르지만, 제1 중합체 입자(221a)의 입자 크기는 제2 중합체 입자(222a)의 입자 크기와 유사하다. 이 경우, 제1 폴리머 입자(221a)의 용융 온도는 제2 폴리머 입자(222a)의 용융 온도보다 예시적으로 높으며, 제1 폴리머 입자(221a)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배열된 제2 폴리머 입자(222a)에 흩어져 있다. 단계 130(도 1 참조) 이후에는 용융 온도가 낮은 제2 중합체 입자(222a)가 완전히 녹아 제1 중합체 입자(221a)를 감싼다. 이로써, 가죽 제품(600a)과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폴리머 입자(221a)의 색상 및 입자 크기는 제2 폴리머 입자(222a)의 색상 및 입자 크기와 다르지만, 제1 폴리머 입자(221a)의 재료는 제2 폴리머 입자(222a)의 재료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1 중합체 입자(221a)의 입자 크기는 제2 중합체 입자(222a)의 입자 크기보다 예시적으로 크며, 제1 중합체 입자(221a)는 제2 중합체 입자(222a)에 흩어져 있다. 130단계(도 1 참조) 이후에 130단계의 가열 온도와 지속 시간을 조절하여, 각각의 제1 폴리머 입자(221a)는 외부만 녹고 내부는 녹지 않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제2 폴리머 입자(222a)가 완전히 용융된다. 각각의 제1 중합체 입자(221a)의 용융 비율(예: 50%)과 각각의 제2 중합체 입자(222a)의 용융 비율(예: 100%)이 다르기 때문에, 가죽 제품(600a)은 다른 시각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전구체(200b)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가죽 제품(600b)의 단면도이다. 가죽 전구체(200b)는 중합체 재료(220b) 및 기재(210b)를 포함한다. 단계 130(도 1 참조) 후에, 가죽 전구체(200b)는 가죽 제품(600b)을 형성한다. 이 경우, 가죽 제품(600b)은 유연한 가죽(610b)과 기재(210b)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이다. 실시예에서, 중합체 재료(220b)는 복수의 중합체 시트(221b-224b)이다. 여기서, 중합체 시트(221b-224b)는 예시적인 직사각형 시트이다. 복수의 중합체 시트(221b-224b)의 여러 가장자리 부분은 서로 중첩되어 중첩 영역(M)을 형성한다. 단계(130) 후에, 중합체 시트(221b-224b)는 중첩 영역(M)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형의 유연한 가죽(610b)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재(210b)는 이형 부재(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중합체 재료(220b)는 가압 부재(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거나, 완제품의 필요에 따라, 중합체 재료(220b)는 이형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기재(210b)는 가압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합체 시트(221b-224b)는 유연한 가죽일 수 있고, 유연한 가죽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 시트(221b-224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에 의해 제조된 유연한 가죽일 수 있다. 즉, 가죽 전구체가 중합체 재료만을 포함하는 경우, 가죽 제품은 유연한 가죽이다. 그 결과, 더 작은 면적을 갖는 복수의 유연한 가죽이 결합되어 더 큰 면적을 갖는 유연한 가죽(610b)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210a, 210b)은 독립적으로 연질 편 또는 경질 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질 편은 유연하고 구부릴 수 있는 시트, 필름 또는 직물일 수 있고, 경질 편은 단단하고 구부러지지 않는 판 또는 쉘(shell)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기 바라며,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 제품의 제조 방법(800)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800)은 단계 810 ∼ 단계 840을 포함한다. 단계 810에서, 가죽 전구체가 제공되며, 여기서 가죽 전구체는 중합체 재료 및 기재를 포함한다. 단계 820에서, 가죽 전구체와 가압 부재가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고, 가압 부재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단계 830에서, 적층된 세트는 가열되고 진공화되어 중합체 재료가 기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한다. 단계 840에서, 가죽 제품은 가압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도 10을 참조하기 바라며, 도 10은 도 9의 가죽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800)의 단계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각 단계의 시야각이 다를 수 있다. 각 단계의 시야각은 XYZ 직교 좌표계에 의해 정의된 공간 방향을 참조할 수 있다. 먼저, 가죽 전구체(200c)가 제공된다. 가죽 전구체(200c)는 중합체 재료(220c) 및 기재(21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합체 재료(220c)은 단일 종류의 중합체 입자(221c)만을 포함하며, 이는 예시적이다. 중합체 재료(220c) 및 중합체 입자(221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중합체 재료 및 중합체 입자(221)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가죽 전구체(200c)는 실제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죽 전구체(200a)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죽 전구체(200b)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죽 전구체(200c)와 가압 부재(400c)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차례로 쌓여 적층된 세트(500e)를 형성한다. 가압 부재(400c)는 연질 편 또는 경질 편일 수 있다. 가압 부재(400c)에는 복수의 통기공(V)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400c)는 기밀 층(라벨 미표시)을 포함할 수 있다. 기밀 층은 가죽 전구체(200c)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기밀 층의 가죽 전구체(200c)를 향하는 표면은 오목하여 복수의 홈(440c)을 형성하고, 복수의 통기공(V)은 복수의 홈(440c)의 단부(441c)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홈(440c)은 특정 패턴 또는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400c)는 기밀 층만을 포함한다. 즉, 가압 부재(400c)는 기밀 층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가압 부재(400c)는 실제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가압 부재(400a), 도 5에 도시된 가압 부재(400b) 또는 도 5에 도시된 가압 부재(400b')와 유사한 가압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그 후, 적층된 세트(500e)는 장치(700)에 놓인다. 그 다음, 적층된 세트(500e)가 가열 및 진공화되어 중합체 재료(220c)가 유연한 가죽(610c)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가죽 전구체(200c)가 가죽 제품(600c)을 형성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가죽 제품(600c)을 가압 부재(400c)에서 분리하여, 가죽 제품(600c)의 제조를 완료한다.
도 1에 도시된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100)과 비교하면, 가죽 제품의 제조 방법(800)은 이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는 가죽 제품의 공정 절차 및 제조 비용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한 방법(800)에 의해 제조된 가죽 제품(600c)은 이미 기재(210c)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죽 제품(600c)을 바로 후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의 편의성에 유리하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개시의 가압 부재 및/또는 이형 부재에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적층된 세트를 진공화함으로써 용융 또는 본딩 공정 시에 중합체 재료에 의해 가스가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가죽 제품으로부터 돌출된 기포 또는 기포로 인한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죽 제품의 품질 및 생산 수율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관찰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유연한 가죽을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중합체 재료(polymer material)를 포함하는 가죽 전구체(leather precursor)를 제공하는 단계;
    이형 부재(release member), 상기 가죽 전구체 및 가압 부재(pressing member)를 차례로 쌓아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이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통기공(vent)이 형성되어 있음 -;
    상기 중합체 재료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된 세트를 가열 및 진공화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상기 가죽 제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성 층(air-permeable layer); 및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이격 배치된 기밀 층(airtight layer)을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인접하여 배치된 기밀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층의 상기 가죽 전구체를 향하는 면은 오목하여 복수의 홈(groove)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단부(end)에 상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부재의 상기 가죽 전구체를 향하는 면은 오목하여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단부에 상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복수의 중합체 입자(polymer particle)이고, 각각의 중합체 입자의 입자 크기는 0㎛보다 크고 500㎛ 이하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합체 입자는 복수의 제1 중합체 입자 및 복수의 제2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세트의 가열 및 진공화는, 0bar보다 크고 5bar 이하의 압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가죽 전구체에 인가되도록, 상기 적층된 세트를 진공화하면서 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층은 내열성 섬유 직물(heat resistant fiber fabric)로 이루어지는, 제조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층은 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접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 전구체는 기재(substr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죽 제품은 상기 유연한 가죽과 상기 기재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composite structure)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세트에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상기 이형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기재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4.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중합체 재료 및 기재를 포함하는 가죽 전구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죽 전구체와 가압 부재를 차례로 쌓아 적층된 세트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가압 부재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음 -;
    상기 중합체 재료가 상기 기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된 세트를 가열 및 진공화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상기 가죽 제품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성 층; 및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이격 배치된 기밀 층을 포함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가죽 전구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기밀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밀 층의 상기 가죽 전구체를 향하는 면은 오목하여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의 단부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복수의 중합체 입자이고, 각각의 중합체 입자의 입자 크기는 0㎛보다 크고 500㎛ 이하인,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세트의 가열 및 진공화는 상기 복수의 중합체 입자가 유연한 가죽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죽 전구체가 가죽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는 유연한 가죽이고, 상기 유연한 가죽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세트의 가열 및 진공화는, 0bar보다 크고 5bar 이하의 압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가죽 전구체에 인가되도록, 상기 적층된 세트를 진공화하면서 8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20094957A 2022-03-03 2022-07-29 인조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2768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1107661A TWI831141B (zh) 2022-03-03 2022-03-03 皮件的製作方法
TW111107661 2022-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508A true KR20230130508A (ko) 2023-09-12
KR102768377B1 KR102768377B1 (ko) 2025-02-13

Family

ID=8261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957A Active KR102768377B1 (ko) 2022-03-03 2022-07-29 인조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5285B2 (ko)
EP (1) EP4239122A1 (ko)
JP (1) JP2023129209A (ko)
KR (1) KR102768377B1 (ko)
CN (1) CN116732787A (ko)
TW (1) TWI831141B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1261A (en) * 1982-08-04 1986-04-08 Microplastic Rop. Dressed split leather
JPH02234986A (ja) * 1989-03-09 1990-09-18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成形体
JP2000000908A (ja) * 1998-06-16 2000-01-07 Shiina Kasei:Kk プラスチック発泡複合体
WO2009145089A1 (ja) * 2008-05-30 2009-1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金型及び樹脂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
US20150183137A1 (en) * 2013-12-31 2015-07-02 Lear Corporation Seat foam tool lid groove venting
EP3338581A1 (en) * 2016-12-22 2018-06-27 Chaei Hsin Enterprise Co., Ltd. Sole structure having distinguished three-dimensional patterns
US20180274168A1 (en) * 2017-03-27 2018-09-27 Giuseppe V. Tambasco Novel aqueous polymer disper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adhering textile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2321B (de) * 1957-05-24 1964-02-06 Du Pont íÀAtmenderíÂ, kunstlederartiger Verbundstoff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mHerstellen
DE2009338C3 (de) * 1969-03-17 1979-09-13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Toki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äßrigen, Luftblasen enthaltenden Dispersion und deren Verwendung
JPS60224880A (ja) 1984-04-19 1985-11-09 Kanebo Ltd 擬革の製造法
JP4690621B2 (ja) * 1999-09-16 2011-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工程用剥離紙
US7179538B2 (en) * 2003-01-22 2007-02-20 Panolam Industries International, Inc. Flexible leather laminate
CN1741901B (zh) * 2003-01-22 2010-09-29 潘诺拉姆工业国际公司 皮革层压的装饰性面板
WO2010007042A1 (de) * 2008-07-17 2010-01-21 Basf Se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ehrschichtigen verbundkörpern
CN103332003B (zh) * 2012-11-30 2016-06-22 尾崎正博 卷筒状转印膜的印刷标签转印系统
CN103437194B (zh) * 2013-08-16 2015-04-08 东莞市雄林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免车缝的热熔胶tpu皮革及其制备方法
TWI583617B (zh) 2015-05-29 2017-05-21 捷欣企業股份有限公司 功能性皮料合成方法
CN206666907U (zh) * 2017-02-21 2017-11-24 江西省新天汇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合成革加工的除气泡装置
WO2019175893A1 (en) * 2018-03-13 2019-09-19 K H Exports India Private Limited Edge imprinting of leather substrates and method thereof
CN209397416U (zh) * 2018-11-07 2019-09-17 南京宇杰环境科技有限公司 皮革
EP3883762A4 (en) * 2018-11-19 2022-07-27 Bright Lite Structures LLC HIGH RESISTANCE AND LOW THERMAL EMISSION COMPONENTS HAVING A RESIN LAYER WITH MATERIAL CONTAINING SP CARBON
DE202019006021U1 (de) * 2018-12-13 2024-03-11 Philipp Schaefer Schichtmaterial
CN110130118A (zh) * 2019-05-13 2019-08-16 浙江禾欣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不失厚且柔软的吸纹超纤革的制备方法
CN113939603B (zh) * 2020-01-14 2022-09-20 美多绿汽车皮革株式会社 皮革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1261A (en) * 1982-08-04 1986-04-08 Microplastic Rop. Dressed split leather
JPH02234986A (ja) * 1989-03-09 1990-09-18 Mitsui Petrochem Ind Ltd 積層成形体
JP2000000908A (ja) * 1998-06-16 2000-01-07 Shiina Kasei:Kk プラスチック発泡複合体
WO2009145089A1 (ja) * 2008-05-30 2009-1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金型及び樹脂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
US20150183137A1 (en) * 2013-12-31 2015-07-02 Lear Corporation Seat foam tool lid groove venting
EP3338581A1 (en) * 2016-12-22 2018-06-27 Chaei Hsin Enterprise Co., Ltd. Sole structure having distinguished three-dimensional patterns
US20180274168A1 (en) * 2017-03-27 2018-09-27 Giuseppe V. Tambasco Novel aqueous polymer disper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adhering textile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65285B2 (en) 2024-04-23
JP2023129209A (ja) 2023-09-14
KR102768377B1 (ko) 2025-02-13
EP4239122A1 (en) 2023-09-06
TWI831141B (zh) 2024-02-01
US20230279611A1 (en) 2023-09-07
CN116732787A (zh) 2023-09-12
TW202336317A (zh) 202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3411C (en)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495748C (en)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the molded article
JP5705254B2 (ja) 封止材
EP3604409B1 (en) Prepre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kin material-provided unitary layer,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 molded from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rticle molded from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11974633B2 (en) Multi-layer textile
EP3812118B1 (en) Prepre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orm
JP2009113369A (ja) 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成形品の成形方法
CA2453513A1 (en)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230130508A (ko) 가죽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US8215360B2 (en) Vacuum bag frame assembly for the manufacturing of fibre-reinforced composite panels
TWI530387B (zh) 熱塑性複合材的成型方法
US20140353883A1 (en) Method for Forming Thermoplastic Composites
US9180623B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ballistic shielding
JP6084901B2 (ja) 熱可塑性複合材の成型方法
US9944041B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ballistic shielding
CN107108915A (zh) 增强纤维复合材料
US11785124B2 (en) Housing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200136327A (ko) 더블라셀 원단 신발의 열 승화전사 인쇄방법
JP4146817B2 (ja) 繊維強化積層材の製造方法
TWI723847B (zh) 轉印方法及裝飾產品
CN114589906B (zh) 一种新型凹凸感吸塑产品及吸塑工艺
CN113550171A (zh) 金色高光纸的生产工艺
CN119058206A (zh) 一种高强气密材料及其制备方法
JP6917504B2 (ja) 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JP2018094836A (ja) 立体複合材の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