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677A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곤포체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곤포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3677A KR20220113677A KR1020227015620A KR20227015620A KR20220113677A KR 20220113677 A KR20220113677 A KR 20220113677A KR 1020227015620 A KR1020227015620 A KR 1020227015620A KR 20227015620 A KR20227015620 A KR 20227015620A KR 20220113677 A KR20220113677 A KR 20220113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sheet
- glass
- original plate
- plate
- glass orig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유리 원판(7)과 보호 시트(8)를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하여 적층체를 제작하고, 적층체(9)로부터 유리 원판(7)과 보호 시트(8)를 인출한 후, 보호 시트(8) 상에 유리 원판(7)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유리 원판(7)을 절단하여 유리판(13)과 불요부(14)로 분단하고, 그 후 보호 시트(8) 상으로부터 불요부(14)를 제거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리 원판(7)을 절단할 때에, 보호 시트(8)의 일방측의 형태가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7d)를 당해 보호 시트(8)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일방측이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가 세로 자세로 있었을 때의 양자(7, 8)의 상측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호 시트 상에 유리 원판을 겹쳐서 작업을 행할 때의 보호 시트의 형태의 개량, 및 보호 시트와 유리 원판을 교대로 배열시킨 적층체를 갖는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의 보호 시트 형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의 제조 분야에서는, 다운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 등으로 성형한 유리 리본으로부터 잘라낸 유리 원판을 보호 시트와 함께 적층체로서 팰릿 등에 적재한 후, 그 양자를 인출하여 각종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적층체의 구체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유리판(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를 세로 자세(경사 자세)로 교대로 배열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적층체로부터 한 장씩 보호 시트와 함께 인출한 유리 원판에 대한 각종 작업 중에는 양자의 자세를 세로 자세로부터 수평 배치 자세로 변환해서 행하는 작업이 있다. 그러한 작업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보호 시트 상에 유리 원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로 해서, 유리 원판의 상면에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하고, 그 후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유리 원판을 절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 시트 상에서 유리 원판을 절단하는 공정에서는 유리 원판의 폭 방향 양단부를 불요부로서 절단하고, 절단 후에 그 불요부를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공정을 실행하면, 제품으로서의 유리판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는 보호 시트의 상단 및 폭 방향 양단이 유리 원판의 상측의 양 코너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절단 작업은 이러한 적층체로부터 상기 양자를 그대로의 상태로 인출하고, 양자의 자세를 수평 배치 자세로 변환해서 행해진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유리 원판에 굽힘 변형 등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는 절단 작업, 예를 들면 절할 작업을 행할 때에,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세로 자세였을 경우의 유리 원판의 상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을 스크라이브선을 따라 절할할 때에는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와 보호 시트의 걸림에 의해 원활한 작업이 저해된다. 또한, 절할 후에 흡착 패드나 파지 부재 등의 유지구에 의해 불요부를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들어올려 제거할 때에는 불요부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걸림으로써, 유지구로부터 불요부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유지구로부터의 탈락이 발생하지 않아도, 상기 걸림에 의해 불요부가 부적절하게 변형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품으로서의 유리판 상에 유리 분말이 낙하하여 부착함으로써, 당해 유리판의 품질 저하뿐만 아니라 불량품의 발생 요인으로도 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로부터 양자를 인출한 후에 유리 원판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행할 때에, 양자 사이에서의 걸림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각종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준비 공정 후에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유리 원판과 상기 보호 시트를 인출하는 인출 공정과, 상기 인출 공정 후에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상기 유리 원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유리 원판을 절단해서 유리판과 불요부로 분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절단 공정 후에, 상기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상기 불요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 일방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상기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일방측은 상기 유리 원판 및 상기 보호 시트가 상기 세로 자세로 있었을 때의 그 양자의 상측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로부터 인출한 1세트의 양자를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로 해서 절단 공정을 실행한다. 이 절단 공정을 실행할 때에는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여기서의 「일방측」이란, 유리 원판 및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적층되어 있었을 경우의 양자의 상측이다. 이 경우, 절단 공정에서 실행되는 절단 작업이 절할 등과 같이 유리 원판에 굽힘 변형 등을 발생시키는 작업이라도, 당해 일방측에서 유리 원판이 보호 시트에 걸리는 것이 저지되어, 절단 작업의 원활화가 도모된다. 또한, 절단 공정 후의 제거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흡착 패드나 파지 부재 등의 유지구에 의해 불요부를 들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이 행해지지만, 이 경우에도 불요부의 일방측의 코너부(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였던 부분)가 보호 시트에 걸리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구로부터의 불요부의 탈락, 불요부의 부적절한 변형에 수반하는 파손, 및 제품으로서의 유리판 상에의 유리 분말의 부착 등이 회피된다. 그 결과, 절단 공정 및 제거 공정에서의 작업의 비효율적인 중단이 저지됨과 아울러, 제품으로서의 유리판의 품질 저하나 불량품의 발생이 억지된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보호 시트의 상측의 코너부를 절제하여,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를 제작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준비 공정이 행해질 때까지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보호 시트는 상측의 코너부가 절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보호 시트로 유리 원판의 상측의 전역을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의 반송 시나 수송 시 등에 보호 시트에 의해 유리판의 상측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일방측의 형태는 상기 유리 원판 중 제품 영역의 일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거 공정 후에 있어서는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에 대응하는 유리판의 일방측의 코너부가 의연적으로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거 공정 후에 당해 유리판을 대상으로 해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당해 유리판의 일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거 공정 후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의 타방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타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타방측은 상기 유리 원판 및 상기 보호 시트가 상기 세로 자세로 있었을 때의 그 양자의 하측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원판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를 그 양자의 타방측에 있어서도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절단 작업의 곤란화, 흡착 패드나 파지 부재 등의 유지구로부터의 불요부의 탈락, 불요부의 부적절한 변형에 수반하는 파손, 및 제품으로서의 유리판 상에의 유리 분말의 부착 등을 타방측에 있어서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보호 시트의 하측의 코너부를 절제하여,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를 제작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준비 공정이 행해질 때까지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보호 시트는 하측의 코너부가 절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보호 시트로 유리 원판의 하측의 전역을 덮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의 반송 시나 수송 시 등에 보호 시트에 의해 유리판의 하측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타방측의 형태는 상기 유리 원판 중 제품 영역의 타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거 공정 후에 있어서는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에 대응하는 유리판의 타방측의 코너부가 의연적으로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거 공정 후에 당해 유리판을 대상으로 해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당해 유리판의 타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거 공정 후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공정 후의 공정으로서, 상술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상기 유리 원판 대신에 상기 유리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일방측을 반송 방향 전방측으로 해서 그 양자를 반송하고, 그 반송 도중에서 상기 양자의 진행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의 분리를 개시하여 그 양자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보호 시트 상에 유리판을 겹친 상태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으면, 반송 도중에서 양자의 진행 방향을 다르게 했음에도 유리판과 보호 시트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해 버리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유리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할 수 없어, 유리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다. 여기서의 방법에 있어서의 보호 시트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형태는 유리 원판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코너부를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이면, 유리 원판의 보호 시트에의 돌자는 발생할 수 없다. 이 경우, 유리 원판의 상기 코너부와, 유리판의 상기 코너부에서는 불요부를 제거한만큼 위치가 상위하고 있음에 지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유리판에 대해서도 상기 돌자가 발생할 수 없거나 또는 발생하기 어려워져, 유리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시키는 작업의 원활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를 곤포용 팰릿에 적재한 유리판 곤포체로서, 상기 보호 시트의 상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상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유리판 곤포체에 의하면, 보호 시트와 유리 원판을 그대로의 상태에서 인출하고, 그 양자를 세로 자세로부터 수평 배치 자세로 변환한 후, 유리 원판의 절단 및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의 불요부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돌자되지 않게 되어, 이미 설명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보호 시트 및 유리 원판의 상측을 반송 방향 전방측으로 하면, 유리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시키는 작업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로부터 양자를 인출한 후에 유리 원판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행할 때에, 양자 사이에서의 걸림이 생기기 어려워져 각종 작업의 원활화가 도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유리판 곤포체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유리판 곤포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1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1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2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2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3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3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을 실행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유리판 곤포체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유리판 곤포체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1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1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2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2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3 다른 예를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 곤포체의 제 3 다른 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절단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을 실행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곤포체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곤포용 팰릿 상에 배열된 적층체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1)과, 적층체로부터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를 인출하는 인출 공정(2)을 구비한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은 인출된 보호 시트 상에 유리 원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유리 원판을 절단하여 유리판과 불요부로 분단하는 절단 공정(3)과,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불요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4)과, 유리판으로부터 보호 시트를 분리시키는 분리 공정(5)을 구비한다.
도 2는 준비 공정(1)에서 준비된 유리판 곤포체(6)를 예시하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 곤포체(6)는 유리 원판(7)과 보호 시트(8)가 세로 자세(상세하게는 경사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9)를 곤포용 팰릿(10) 상에 적재한 것이다. 유리 원판(7)은 다운드로우법(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나 플로트법으로 성형된 유리 리본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7)의 폭 방향의 양단부(7a)는 불요부가 되는 부위이다. 이 양단부(7a)는 유리 원판(7)을 절단 공정(3)에서 절단 예정선(7c)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제품 영역(7b)으로부터 분단되도록 되어 있다.
유리 원판(7)은 판 두께가 100∼2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 변의 길이가 1500∼4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8)는 두께가 100∼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이 폴리에틸렌 등의 발포 수지 시트 또는 발포되어 있지 않은 수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의 형태의 설명을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a 내지 도 6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에 대해서 공통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각각 동일 부호를 첨부한다. 동일 부호를 첨부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는 상측의 형태가 유리 원판(7)의 상측의 양코너부(7d)를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호 시트(8)는 직사각형을 기본 형상으로 해서 직사각형의 상측의 양 코너부를 결락시킨 것이다. 그리고, 직사각형을 이루는 유리 원판(7)의 상측의 코너부(7d)는 보호 시트(8)의 상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 치수(L1)는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 원판(7)의 상측의 코너부(7d)는 도 3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의 결락부(일점 쇄선의 평행 사선을 첨부한 부위)(8b) 중에 수용되고, 또한 결락부(8b)의 바깥 가장자리(8c)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보호 시트(8)의 상단부(8d) 및 폭 방향 양단부(8e)는 유리 원판(7)의 상측의 변(7e) 및 폭 방향 양측의 변(7f)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측의 변(7e)으로부터의 돌출 치수(L2)는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방향 양측의 변(7f)으로부터의 돌출 치수(L3)는 5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 원판(7)의 상측의 변(7e)과 절단 예정선(7c)이 이루는 코너부(제품 영역(7b)의 상측의 코너부)(7g)는 보호 시트(8)의 상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 코너부(7g)의 최상부로부터 당해 단부 가장자리(8a)까지의 이격 치수 (L4)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과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은 곤포용 팰릿(10)의 적재면(10a)에 접촉 또는 대략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동일 위치 또는 대략 동일 위치에 있다. 이 경우, 도시예에서는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과 접촉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환언하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을 포함하는 하단부가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와는 반대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을 포함하는 하단부가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준비 공정 1에서 직사각형을 이루는 보호 시트의 코너부를 절제함으로써 당해 코너부를 결락시키고 있다. 따라서, 유리판 곤포체(6)의 반송 시나 수송 시에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보호 시트의 상단부 전역과 폭 방향 양단부 전역이 유리 원판(7)의 상측의 변(7e) 및 폭 방향 양측의 변(7f)으로부터 각각 돌출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판(7)의 전역이 보호 시트에 의해 덮인 상태가 되어, 유리 원판(7)의 보호가 적정하게 행해진다.
또한, 인출 공정(2)을 실행하고 있을 때, 또는 인출 공정(2) 후에 또한 절단 공정(3) 전에 직사각형을 이루는 보호 시트의 코너부를 절제해도 좋다. 이 절제 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행해도 좋고, 또는 로봇 핸드 등을 사용해서 행해도 좋다. 또한, 적층체(9)를 제작할 때에, 직사각형을 이루는 보호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부가 결락되어 있는 보호 시트(8)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보호 시트(8)의 상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는 도시예에서는 일직선을 따른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물결 형상이나 톱니 형상, 원호 형상 등이어도 좋다.
보호 시트(8)의 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여도 좋다. 즉, 도 4a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는 상측의 양 코너부에 추가하여, 하측의 양 코너부도 결락시킨 것이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형태는 그 결락부(일점 쇄선의 평행 경사선을 첨부한 부위)(8g)의 하단부가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코너부(7i)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h)의 하단(8i)이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코너부(7i)의 최상부와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예에서는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h)가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코너부(7i)의 최상부에 접하여 있다. 또한, 도시예와는 반대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보호 시트(8)의 단부 가장자리(8h)의 하단(8i)이 유리 원판(7)의 하단부의 폭 방향 일방측의 변(7f)에 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상측의 형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코너부를 결락시키는 방법, 결락시키는 시기 및 단부 가장자리(8h)의 형상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의 상측의 코너부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도 5a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는 상측의 형태가 유리 원판(7)의 제품 영역(7b)의 상측의 양 코너부(7g)를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7)의 상측의 코너부(7d)와 제품 영역(7b)의 상측의 코너부(7g) 양쪽이 보호 시트(8)의 상측의 결락부(8b)(일점 쇄선의 평행 경사선을 첨부한 부위) 중에 수용되고, 또한 결락부(8b)의 외부 가장자리(8c)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 제품 영역(7b)의 상측의 코너부(7g)의 돌출 치수(L5)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은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은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와는 반대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과 접촉하여 있어도 좋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이 보호 시트(8)는 하측의 코너부(8j)를 결락시키고 있지 않지만,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코너부(8j)를 결락시켜도 좋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상측의 코너부를 결락시키는 방법, 결락시키는 시기, 및 단부 가장자리(8a)의 형상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의 상측의 코너부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도 6a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는 상측의 형태에 추가하여, 하측의 형태도 유리 원판(7)의 제품 영역(7b)의 하측의 양 코너부(7j)를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코너부(7i)와 제품 영역(7b)의 하측의 코너부(7j)의 양쪽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결락부(8g)(일점 쇄선의 평행 경사선을 첨부한 부위) 중에 수용되고, 또한 결락부(8g)의 외부 가장자리(8k)에 도달하고 있지 않다. 제품 영역(7b)의 하측의 코너부(7j)의 당해 단부 가장자리(8h)로부터의 돌출 치수(L6)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형태는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코너부(7i)만을 돌출시키는 형태여도 좋다. 그 경우의 하측의 코너부(7i)의 돌출 치수는 5∼2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측의 코너부(7i)로부터 당해 단부 가장자리(8h)까지의 이간 치수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예에서는, 이 보호 시트(8)의 상측의 형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와 동일하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상측의 형태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와 동일해도 좋다. 여기서는,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과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은 동일 위치 또는 대략 동일 위치에 있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와는 반대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이 적재면(10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이 적재면(10a)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대신에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도 좋다. 즉, 이 보호 시트(8)를 인출 공정(2)의 실행 시 또는 인출 공정(2) 후에 또한 절단 공정(3) 전에, 유리 원판(7)에 대하여 보호 시트(8)를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어긋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판(7)의 상측의 변(7e)뿐만 아니라, 유리 원판(7)의 하측의 변(7h)도 보호 시트(8)에 의해 확실하게 덮이게 된다. 여기서, 설명한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에 대한 「상측」 및 「하측」이란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경우의 상측 및 하측을 의미한다. 또한, 이 보호 시트(8)의 하측의 코너부를 결락시키는 방법 및 단부 가장자리(8h)의 형상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보호 시트(8)의 상측의 코너부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다.
인출 공정(2)은 유리 원판(7)과 보호 시트(8)를 한 세트로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 예를 들면 선단에 양자(7, 8)를 흡착 유지하는 흡착 패드를 갖는 장치나, 선단에 양자(7, 8)를 파지하는 파지 부재를 갖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는 적층체(9)로부터 유리 원판(7)과 보호 시트(8)를 인출하고, 이들의 자세를 변환하여 보호 시트(8) 상에 유리 원판(7)이 수평 배치 자세로 겹쳐진 상태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절단 공정(3)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공정(3)에서는 적재부(11)의 작업면(11a) 상에, 보호 시트(8) 상에 유리 원판(7)이 수평 배치 자세로 겹쳐진 상태로 적재된다. 탑재부(11)는, 예를 들면 반송 컨베이어, 또는 당해 컨베이어 상의 작업용 팰릿, 또는 작업용 정반 등으로 구성된다. 도 7a에 있어서,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에 있어서의 부호 B로 나타내는 일방측은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때의 양자(7, 8)의 상측이다. 또한,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에 있어서의 부호 C로 나타내는 타방측은 보호 시트(8) 및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때의 양자(7, 8)의 하측이다. 여기서의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는 도 3a 및 도 3b에 기초하여 설명한 적층체(9)로부터 인출된 것이며, 양자(7, 8)의 상대 위치 관계는 그 적층체(9)에 배열되어 있던 그대로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과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변(7h)이 동일 위치 또는 대략 동일 위치에 있지만, 도 3a에 기초하여 이미 설명한 형태와 동일해도 좋다. 즉,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을 포함하는 단부가 유리판(7)의 타방측의 변(7h)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변(7h)을 포함하는 단부가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도 7a는 유리 원판(7)의 표면(상면)에 절단 예정선(7c)을 따르는 스크라이브선을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원판(7)의 절단 예정선(7c)을 따라 스크라이브휠(12)을 이동시킴으로써 절단 예정선(7c)을 따르는 스크라이브선(7k)을 형성한다. 도시예에서는, 스크라이브선(7k)은 유리 원판(7)의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을 향하여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스크라이브선(7k)은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단부 및 일방측의 단부를 제외한 부위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그 후, 유리 원판(7)의 스크라이브선(7k)의 형성 영역에 굽힘 응력을 작용시켜 유리 원판(7)을 스크라이브선(7k)을 절할함으로써,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7)을 유리판(제품으로서의 유리판)(13)과 불요부(14)로 분단한다.
그 후에 있어서는 제거 공정(4)이 실행된다. 제거 공정(4)에서는 흡착 패드나 파지 부재 등의 유지구로 불요부(14)를 유지한 후, 유지구가 불요부(14)를 들어 올려 이동시킴으로써, 보호 시트(8) 상으로부터 불요부(14)를 제거한다. 또한, 이 대신에, 제거 공정(4)에서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는 등해서 수작업으로 불요부(14)를 보호 시트(8) 상으로부터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절단 공정(3) 및 제거 공정(4)을 실행하는 경우의 작용 효과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즉, 절단 공정(3)에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원판(7)의 제품 영역(7b)의 일방측의 코너부(7g)가 보호 시트(8)의 일방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절단 예정선(7c)의 일방측의 단부는 하방으로부터 보호 시트(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절단 예정선(7c)의 타방측의 단부도 하방으로부터 보호 시트(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판(7)의 절단 예정선(7c)을 따라 스크라이브휠(12)을 이동시켜 갈 때에는, 단차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정확하게 스크라이브선(7k)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작용 효과는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단부가 유리판(7)의 타방측의 7h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또한,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단부가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단부 및 일방측의 단부를 제외한 부위에 스크라이브선(7k)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유리 원판(7)을 절할할 때에는 스크라이브선(7k)의 형성 영역에 굽힘 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유리 원판(7)을 굽힘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7d)가 보호 시트(8)의 일방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7d)가 보호 시트(8)에 돌자될 우려가 없고, 당해 일방측에서 양자(7, 8)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절할 작업의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회피된다. 또한, 제거 공정(4)에서 보호 시트(8) 상으로부터 불요부(14)를 제거할 때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요부(14)의 일방측의 코너부(14a)(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였던 부위)와, 보호 시트(8)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불요부(14)의 유지구로부터의 탈락, 불요부(14)의 부적절한 변형에 수반되는 파손, 및 유리판(13) 상에의 유리 분말의 부착 등이 회피된다. 그 결과, 절단 공정(3) 및 제거 공정(4)에서의 작업의 비효율적인 중단이 회피됨과 아울러, 유리판(13)의 품질 저하나 불량품의 발생이 억지된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변(7h)과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이 동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코너부(7i)와 보호 시트(8) 사이에 걸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작용 효과는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단부가 보호 시트(8)의 타방측의 변(8f)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에는 당해 타방측에 있어서도 유리 원판(7)의 절할 작업이나 불요부(14)의 제거 작업에 지장이 발생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8은 제거 공정(4) 후에 분리 공정(5)을 실행하고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분리 공정에서는 반송 컨베이어(15)가 보호 시트(8) 및 유리판(13)을 화살표(D)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양자(7, 8)가 반송 컨베이어(15)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15a)에 도달한 시점에서는 유리판(13)은 의연적으로 화살표(D)로 방향으로 진행하여, 반송 컨베이어(15)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이재부(16)에 이재된다. 이것에 반해, 보호 시트(8)는 부압의 흡인력에 의해 진행 방향이 하방으로 변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재부(16)는 화살표(D) 방향으로 일직선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1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8)에 부압의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반송 컨베이어(15)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15a)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 롤러(18)와 그 하방 부분이 보호 시트(8)에만 부압의 흡인력을 작용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서, 「반송 방향 전방측」이란 제거 공정(4)에서의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이다. 이 분리 공정(5)에서는 유리판(13) 및 보호 시트(8)의 진행 방향이 화살표(D) 방향으로의 반송 도중에서 달라지므로,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13a)로부터 보호 시트(8)의 분리가 개시된다. 이 때,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코너부(13b)(도 7b 참조)가 보호 시트(8)에 돌자되어 있었다면, 유리판(13)과 보호 시트(8)의 진행 방향을 다르게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13a)가 보호 시트(8)와 함께 이재부(16)의 롤러(17)에 충돌하는 등해서 유리판(13)이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코너부(13b)는 보호 시트(8)의 전방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7d)가 당해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되어 있었다고 하는 사정에 의해, 상기 돌자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 결과, 유리판(13)으로부터 보호 시트(8)를 분리시키는 작업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적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절단 공정(3)부터 분리 공정(5)까지의 설명은 절단 공정(3)을 실행할 때에 도 3a 및 도 3b에 의거해서 설명한 적층체(9)로부터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를 그대로의 상태로 인출하여 적재부(11)의 작업면(11a)에 적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그 이외에도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즉, 제 1 다른 예는 절단 공정(3)을 실행할 때에 도 4a 및 도 4b에 의거해서 설명한 적층체(9)로부터 양자(7, 8)를 그대로의 상태로 인출하여 적재부(11)의 작업면(11a)에 적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원판(7)을 절할할 때의 그 타방측의 코너부(7i)와 보호 시트(8)의 걸림이 보다 한층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불요부(14)를 제거할 때의 그 타방측의 코너부(14b)(도 7b 참조)와 보호 시트의 걸림도 보다 한층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제 2 다른 예는 절단 공정(3)을 실행할 때에 도 5a 및 도 5b에 의거해서 설명한 적층체(9)로부터 양자(7, 8)를 그대로의 상태로 인출하여 적재부(11)의 작업면(11a)에 적재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분리 공정(5)에서,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코너부(13b)가 보호 시트(8)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8a)로부터 돌출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13a)가 보호 시트(8)에 돌자되는 것이 확실하게 저지되기 때문에, 유리판(13)으로부터 보호 시트(8)를 분리하는 작업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제 3 다른 예는 절단 공정(3)을 실행할 때에 도 6a 및 도 6b에 의거해서 설명한 형태로 유리 원판(7) 및 보호 시트(8)를 탑재부(11)의 작업면(11a)에 적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원판(7)을 절할할 때, 및 불요부(14)를 제거할 때, 및 유리판(13)으로부터 보호 시트(8)를 분리시킬 때에, 제 2 다른 예와 마찬가지의 이점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이점도 얻어진다. 즉, 절단 공정(3) 및 제거 공정(4)을 실행할 때에,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코너부(7d)뿐만 아니라,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코너부(7i)에 대해서도 보호 시트(8)에 돌자되는 것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보호 시트(8)를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어긋나게 한 경우에는, 절단 공정(3) 및 제거 공정(4)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유리 원판(7)의 일방측의 변(7e)을 따르는 끝면이 보호 시트(8)에 의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유리 원판(7)의 타방측의 변(7h)을 따르는 끝면도 보호 시트(8)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분리 공정(5)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변(13c)을 따르는 끝면이 보호 시트(8)에 의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유리판(13)의 반송 방향 후방측의 변(13d)을 따르는 끝면도 보호 시트(8)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보호 시트(8)는 기본 형상이 직사각형인 보호 시트의 소정 개소가 결락되어 있거나, 또는 직사각형의 보호 시트의 소정 개소를 절제한 것이지만, 보호 시트(8)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결락이나 상기 절제를 함으로써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그 밖의 다각형을 이루는 보호 시트(8)여도 좋고, 그러한 형상의 경우라도, 유리 원판(7)의 코너부나 제품 영역(7b)의 코너부 또한 유리판(13)의 코너부를 이미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돌출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변(8f)은 곤포용 팰릿(10)의 적재면(10a)에 접촉 또는 대략 접촉하고 있지만, 적재면(10a)과 이간시켜도 좋다. 이 경우, 보호 시트(8)는 하측의 형태가 유리 원판(7)의 하측의 양 코너부(7i)를 돌출시키는 형태, 및 유리 원판(7)의 제품 영역(7b)의 하측의 양 코너부(7j)를 돌출시키는 형태가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품 영역(7b)의 하측의 코너부(7j)의 당해 단부 가장자리(8h)로부터의 돌출 치수(L6)를 확보하기 위해서 보호 시트(8)의 하측의 결락부(8g)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4a 및 도 4b 및 도 6a 및 도 6b에 의한 보호 시트(8)에서는 상측의 결락부(8b)와, 하측의 결락부(8g)를 독립적으로 설치했지만, 상측의 결락부(8b)와, 하측의 결락부(8g)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즉,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경우에, 상하 방향에 따르는 결락부를 보호 시트(8)에 설치함으로써, 유리 원판(7)의 상측의 양 코너부(7d) 및 하측의 양 코너부(7i)를 돌출시켜도 좋다. 또는,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경우에, 상하 방향을 따르는 결락부를 보호 시트(8)에 설치함으로써 유리 원판(7)의 제품 영역(7b)의 상측의 양 코너부(7g) 및 하측의 양코너부(7j)를 돌출시켜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한 절단 공정(제 1 절단 공정) 및 제거 공정(제 1 제거 공정) 후에서 분리 공정을 실행하지만, 제 1 제거 공정과 분리 공정 사이에 제 2 절단 공정 및 제 2 제거 공정이 설치되어도 좋다. 제 2 절단 공정에서는 유리 원판(7)이 세로 자세였을 경우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불요부로서 분단한다. 제 2 제거 공정에서는 제 2 절단 공정에서 발생한 불요부를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제거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원판으로부터 한 장의 유리판을 잘라내거나, 유리 원판으로부터 복수장의 유리판을 잘라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거 공정과 분리 공정 사이에 분할 공정을 설치하면 좋고, 분할 공정에서는 유리판을 복수장의 유리판으로 분할하면 좋다.
1: 준비 공정 2: 인출 공정
3: 절단 공정 4: 제거 공정
5: 분리 공정 6: 유리판 곤포체
7: 유리 원판
7d: 유리 원판의 일방측(상측)의 코너부
7g: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의 일방측(상측)의 코너부
7i: 유리 원판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7j: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8: 보호 시트
8a: 보호 시트의 일방측(상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
8b: 보호 시트의 일방측(상측)의 결락부
8g: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결락부
8h: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
8j: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9: 적층체 10: 곤포용 팰릿
13: 유리판 13b: 유리판의 일방측의 코너부
14: 불요부 14a: 불요부의 일방측의 코너부
14b: 불요부의 타방측의 코너부 15: 반송 컨베이어
3: 절단 공정 4: 제거 공정
5: 분리 공정 6: 유리판 곤포체
7: 유리 원판
7d: 유리 원판의 일방측(상측)의 코너부
7g: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의 일방측(상측)의 코너부
7i: 유리 원판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7j: 유리 원판의 제품 영역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8: 보호 시트
8a: 보호 시트의 일방측(상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
8b: 보호 시트의 일방측(상측)의 결락부
8g: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결락부
8h: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결락된 단부 가장자리
8j: 보호 시트의 타방측(하측)의 코너부
9: 적층체 10: 곤포용 팰릿
13: 유리판 13b: 유리판의 일방측의 코너부
14: 불요부 14a: 불요부의 일방측의 코너부
14b: 불요부의 타방측의 코너부 15: 반송 컨베이어
Claims (8)
-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준비 공정 후에,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유리 원판과 상기 보호 시트를 인출하는 인출 공정과,
상기 인출 공정 후에,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상기 유리 원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유리 원판을 절단해서 유리판과 불요부로 분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절단 공정 후에, 상기 보호 시트 상으로부터 상기 불요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의 일방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일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일방측은 상기 유리 원판 및 상기 보호 시트가 상기 세로 자세로 있었을 때의 그 양자의 상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세로 자세로 있는 보호 시트의 상측의 코너부를 절제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일방측의 형태는 상기 유리 원판 중 제품 영역의 일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는 상기 보호 시트의 타방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타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타방측은 상기 유리 원판 및 상기 보호 시트가 상기 세로 자세로 있었을 때의 그 양자의 하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세로 자세로 있는 보호 시트의 하측의 코너부를 절제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의 상기 타방측의 형태는 상기 유리 원판 중 제품 영역의 타방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상기 제거 공정 후의 공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절단 공정에서 사용하는 상기 보호 시트 상에, 상기 유리 원판 대신에 상기 유리판을 수평 배치 자세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일방측을 반송 방향 전방측으로 해서 그 양자를 반송하고, 그 반송 도중에 상기 양자의 진행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유리판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의 분리를 개시하여 그 양자를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 유리 원판과 보호 시트가 세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된 적층체를 곤포용 팰릿에 적재한 유리판 곤포체로서,
상기 보호 시트의 상측의 형태가 상기 유리 원판의 상측의 코너부를 당해 보호 시트로부터 돌출시키는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230438 | 2019-12-20 | ||
JP2019230438 | 2019-12-20 | ||
PCT/JP2020/043432 WO2021124799A1 (ja) | 2019-12-20 | 2020-11-20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梱包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3677A true KR20220113677A (ko) | 2022-08-16 |
Family
ID=7647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5620A Pending KR20220113677A (ko) | 2019-12-20 | 2020-11-20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곤포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615525B2 (ko) |
KR (1) | KR20220113677A (ko) |
CN (1) | CN114728433B (ko) |
TW (1) | TWI811591B (ko) |
WO (1) | WO2021124799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90255A (ja) | 2016-04-12 | 2017-10-1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JP2019104566A (ja) | 2017-12-11 | 2019-06-2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27700B2 (ja) * | 2002-03-26 | 2007-12-26 |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 スクライブ・ブレーク兼用装置 |
JP4775755B2 (ja) * | 2003-12-05 | 2011-09-21 | 旭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梱包箱とガラス板梱包方法及びガラス板開梱方法並びにガラス板開梱装置 |
JP4924982B2 (ja) * | 2006-12-07 | 2012-04-25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梱包方法及びガラス板梱包体 |
KR20120061991A (ko) * | 2009-11-25 | 2012-06-13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표시패널 보호용 시트 |
JP2013100116A (ja) * | 2010-03-03 | 2013-05-23 | Asahi Glass Co Ltd | 板状体積層体 |
JP2014031301A (ja) * | 2012-08-06 | 2014-02-20 | Asahi Glass Co Ltd | ガラス積層体用支持基板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
TWI659001B (zh) * | 2014-05-19 | 2019-05-11 | 日商Agc股份有限公司 | 玻璃板用間隔紙之清潔裝置及清潔方法、玻璃板積層體、玻璃板捆包體、及玻璃板用間隔紙之製造方法 |
JP6260869B2 (ja) * | 2014-06-13 | 2018-01-1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このガラスフィルムを含む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
JP2016033098A (ja) * | 2014-07-31 | 2016-03-10 | AvanStrate株式会社 | ガラス板積層体 |
US20180016179A1 (en) * | 2015-01-06 | 2018-01-18 | Corning Incorporated | A glass-carrier assembly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flexible glass sheet |
JP2017100933A (ja) * | 2015-11-20 | 2017-06-08 | 旭硝子株式会社 | ガラス基板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 |
JP6897000B2 (ja) * | 2016-03-25 | 2021-06-30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保護フィルム付き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及び梱包体 |
JP7235506B2 (ja) * | 2016-10-14 | 2023-03-08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 |
JP7230816B2 (ja) * | 2017-09-27 | 2023-03-0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9099379A (ja) | 2017-12-01 | 2019-06-24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装置 |
-
2020
- 2020-11-20 CN CN202080079987.4A patent/CN114728433B/zh active Active
- 2020-11-20 JP JP2021565397A patent/JP7615525B2/ja active Active
- 2020-11-20 WO PCT/JP2020/043432 patent/WO202112479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1-20 KR KR1020227015620A patent/KR20220113677A/ko active Pending
- 2020-12-01 TW TW109142135A patent/TWI811591B/zh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90255A (ja) | 2016-04-12 | 2017-10-1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JP2019104566A (ja) | 2017-12-11 | 2019-06-27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811591B (zh) | 2023-08-11 |
TW202126592A (zh) | 2021-07-16 |
WO2021124799A1 (ja) | 2021-06-24 |
JPWO2021124799A1 (ko) | 2021-06-24 |
CN114728433A (zh) | 2022-07-08 |
CN114728433B (zh) | 2024-05-03 |
JP7615525B2 (ja) | 2025-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9817B1 (ko) | 유리판 적층체 및 유리판의 취출 방법 | |
JP2694585B2 (ja) | 断裁装置、空気抜き装置及びシート重なり防止装置 | |
JP6926824B2 (ja) | 包装容器の成形及び充填装置 | |
CN105217310A (zh) | 刻划装置 | |
KR20150006338A (ko) | 접합 기판의 가공 장치 | |
JP6357915B2 (ja) | スクライブ装置 | |
US10138078B2 (en) | De-stacking device for de-stacking layers of transport pallets with or without intermediary layers | |
KR20220113677A (ko)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곤포체 | |
JP5918157B2 (ja) | 積層体の供給装置 | |
JP2009035300A (ja) | スペーサ及び板状物梱包体 | |
JP2019104566A (ja)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 |
TWI481576B (zh) | 切割玻璃之方法及切割設備 | |
JPWO2021124799A5 (ko) | ||
JP5546075B1 (ja) | Ptpシート積み上げ装置 | |
KR20230104646A (ko) | 유리판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 |
CN210366097U (zh) | 处理具有多个平面下料的堆垛的平面下料的设备 | |
CN114502477A (zh) | 玻璃板捆包体 | |
JP2017114039A (ja) | ダイカッタによる罫線加工方法及びストリッピング型 | |
JP4516249B2 (ja) | マルチパック用アンケーサ | |
KR101570395B1 (ko) | 괘선 보강부를 가진 골판지로 이루어진 포장용기 제조장치 | |
WO2023100865A1 (ja)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原板梱包体 | |
JP4058962B2 (ja) | セパレートシートの縁辺部折り曲げ成形方法及び装置 | |
JP6451928B2 (ja) | ブランクの製造装置およびブランクの製造方法 | |
JP2005047541A (ja) | フィルム包装品の開梱装置及び開梱方法 | |
KR20230104647A (ko) | 유리판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