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672A - 쉐딩 기구 및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자카드 직조기 - Google Patents
쉐딩 기구 및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자카드 직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9672A KR20220089672A KR1020210182809A KR20210182809A KR20220089672A KR 20220089672 A KR20220089672 A KR 20220089672A KR 1020210182809 A KR1020210182809 A KR 1020210182809A KR 20210182809 A KR20210182809 A KR 20210182809A KR 20220089672 A KR20220089672 A KR 202200896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magnet
- housing
- axis
- retaining lever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5294 ferro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93 ceram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02—Single-lift jacquar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0—Electrically-operated jacquar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3/00—Shedd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12—Multiple-shed jacquards, i.e. jacquards which move warp threads to several different heights, e.g. for weaving pile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26—General arrangements of jacquards, or disposition in relation to l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쉐딩 기구는 종방향(X100, X200, X300)을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300), 및 하우징에 부착되고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100)을 포함하는 선택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 후크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 장치는 종방향(X100, X200, X300)에 따라 서로 오프셋되는 제1 극면(S122)과 제2 극면(S124)을 포함하는 강자성 코어(102)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석은 상기 강자성 코어와 일체화된 비자성 부분(104, 108) 및
가동 후크가 상사점 위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가동 후크를 유지하도록 된 유지 레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 레버는 전자석에서 떨어져 있는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A1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진동 축에 대한 유지 레버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극면 및 제 2 극면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강자성 아마추어(202)를 구비한다.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진동 축(A144)을 중심으로 유지 레버(200)의 회전 운동을 위한 안내 표면(S144)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표면은 떨어져 있는 위치와 접촉한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A144),에 반경 방향으로 유지 레버와 상호작동한다. 상기 안내 표면(S144)은 진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가 있는 원통형으로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카드 직기의 쉐딩 기구(shedding mechanism) 및 이를 구비한 자카드 직기에 관한 것이다.
자카드 직기에서 쉐딩 기구는 날실이 통과하는 구멍(eyelet)을 포함하는 종광(healds)을 선택적으로 들어 올린다. 각각의 종광의 상단이 연결되는 후크의 위치에 따라 구멍을 통과하는 얀은 직기에 의해 이동된 씨실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실제로, 쉐딩 기구는 수직으로 왕복하는 나이프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측면 노즈부가 각각 제공된 복수의 이동 가능한 후크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동 후크는 쉐딩 기구의 일부인 선택 장치에 속하는 유지 부재와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는 전자석에 의해 제어된다.
EP-A-141365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은 각 유지 레버에 대한 피봇 샤프트를 정의하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레버와 전자석의 상대 위치, 특히 전자석의 극면에 대한 유지 레버의 인력 표면의 상대 위치는 하우징 내 전자석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조 및 위치 공차에 따라 이러한 상대 위치는 쉐딩 기구 내에서 다양한 선택 장치에 대해 달라질 수 있다. 이 위치는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레버와 전자석의 강자성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 갭 또는 에어 갭의 값은 하우징에서 전자석의 위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전자석이 활성화될 때 레버와 전자석 사이에 가해지는 자기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사한 구조가 EP-A-0823501, EP-A-0851048, EP-A-0899367, EP-A-1619279 및 EP-A-1852531에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만족스럽지만 유지 레버와 전자석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의 변화 측면에서 유사한 문제를 유발한다.
본 발명은 유지 레버와 전자석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고 확실하게 결정되어 이들 요소들 및 전자석으로의 공급 전류 간의 자기 인력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게 하는 쉐딩 기구에 의해 얻어지는 선택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 후크가 선택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곳 또는 그 근처에서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에서 종방향에 따라 나이프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후크를 포함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택 장치는 하우징 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제 1 극면 및 제 2 극면을 포함하는 강자성 코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석을 포함하되, 극면들은 종방향에 따라 서로 오프셋되며 강자성 코어와 일체로 되는 비자성부이다. 또한, 선택 장치는 후크가 상사점 위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가동 후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레버를 포함한다. 유지 레버는 전자석에서 떨어진 위치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극면 및 제2 극면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강자성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진동축에 대하여 유지 레버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진동 축을 중심으로 유지 레버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표면은 떨어진 위치 및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유지 레버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안내 표면은 진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가 있는 원통형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지 레버의 안내 표면이 하우징이 아니라 전자석 상에 형성된다는 사실은 전자석의 극면에 대한 유지 레버의 정확하고 일정한 위치를 보장하므로, 동등하게 정확하고 일정한. 에어 갭을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 레버를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력은 쉐딩 기구의 모든 선택 장치에 대해 동일하므로 직기의 직조 방법을 제어하는 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유리하지만 필수는 아닌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쉐딩 기구는 기술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진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 안내 표면은 유지 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의 외주면이다.
-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이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유지 레버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적은 안내 표면에 의해 진동 축에 방사상 방향에 따라 그리고 플랜지에 의해 진동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구획된다.
- 플랜지는 안내 샤프트의 일단 주위에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 상기 하우징은 선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하프-쉘과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하프-쉘과 커버는 종방향에 수직인 하우징의 제2 방향에 따라 적층되는 한편, 진동 축은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프 쉘 또는 커버는 안내 샤프트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오목한 하우징을 형성하고, 오목한 하우징 주위에 환형 표면이 형성되며, 플랜지의 반대편에 있는 안내 샤프트의 자유 단부는 오목한 하우징에 맞물리고 이 중공 하우징의 바닥에 대해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안착되고, 유지 레버의 일부는 하우징의 제2 방향으로 플랜지와 환형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 제1 극면은 진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실린더의 일부이며, 유지 레버의 아마추어의 일부는 진동축에 방사상으로 안내 표면과 제1 극면 사이에 개재되며, 안내 표면과 유지 레버간의 상호 작동은 유지 레버의 접촉하는 위치와 떨어져 있는 위치 사이의 아마추어와 제 1 극면 사이에 접촉이 없게 되도록 한다.
- 제1 극면은 진동축을 통과하고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 평면의 양쪽으로 연장되며, 한편으로는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제2 극면과 동일한 측면에 안착된 제 1 극면의 일부의 각도 진폭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1 극면의 전체 각도 진폭 간의 비율이 0.2와 0.4 사이, 바람직하게는 0.33으로 된다.
- 유지 레버의 아마추어는 유지 레버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2 극면을 향하는 외부 인력 표면을 포함하며, 유지 레버는 아마추어와 일체로 되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을 가지는 비자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 표면은,
·
외부 인력 표면에 인접하며,
·
외부 인력 표면에 대해 전자석 방향으로 돌출되며,
·
유지 레버가 전자석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에서 떨어져 있으며,
·
유지 레버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과 접촉하며,
전자석과 접촉하는 유지 레버의 위치에서, 외부 인력 표면은 제2 극면에서 떨어져 있다.
-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을 포함하고 강자성 코어에 오버몰딩된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포함한다.
- 전자석은 하우징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따라 중심 홈에 중심 핀을 끼워 하우징에 고정된다.
-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강자성 코어와 조립하기 전에 형성되며, 다량의 중합체 재료가 코어 및 프레임 주위로 연장되어 하우징에서 전자석을 고정한다.
- 선택 장치는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따라 전자석의 양쪽에 하우징의 동일한 종방향 레벨에 배치되고 강자성 코어의 각각 두 개의 하부 극면 중 하나 및 두개의 상부 극면 중 하나와 각각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유지 레버를 포함하되, 유지 레버와 상호작동하는 안내 표면은 서로 인체로 되는 전자석의 일부에 형성된다.
- 플랜지는 하우징에 제공되고 플랜지의 반경 방향 외부 표면에 상보적인 표면에 의해 구획되는 리세스에 맞물리며, 상보적인 표면은 종방향에 따라 플랜지 반대편에 배열되고 기구의 작동 구성에서 플랜지 아래에 배치된다.
- 전자석의 권선은 종방향으로 제1극면과 제2극면 사이에 위치하는 강자성 코어의 중간 부분에 권선되며, 강자성 코어의 적어도 한 측면과 접촉한다.
- 유지 레버의 제 1 종방향 단부의 표면은 원격 위치와 접촉 위치 사이에서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안내 표면과 상호 작동하는 반면, 기구의 작동 구성에서 유지 레버는 종방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제 1 종방향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쉐딩 기구를 포함하는 자카드형 직기에 관한 것이다.
이 직기는 쉐딩 기구과 동일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잘 이해될 것이며, 그 원리와 일치하는 쉐딩 기구 및 직기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예로서만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 설명에 비추어 본 발명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형 직기를 예시하고 본 발명에 따른 쉐딩 기구를 포함하는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기의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어에 절연틀을 끼운 후의 전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 IV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보호 오버몰드를 끼운 후의 전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평면에서 더 큰 규모의 단면이다.
도 7은 도 1의 직기의 흘림기구에 속하는 고정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유지 레버의 도 7의 화살표 VIII 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9는 2개의 국부 단면 AA 및 BB를 갖는 도 6 및 7의 유지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전자석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이 하우징의 영역 및 하우징 커버의 대응하는 부분이 있는 도 1의 쉐딩 기구의 하우징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11은 전자석과 2개의 유지 레버 및 2개의 이동식 후크로 구성된 선택 장치가 장착된 하우징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세 XII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세 XIII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직기의 흘림 기구에 속하는 하우징의 스택에서, 도 11의 XIV-XIV 선에 대응하는 더 큰 규모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의 도 5와 유사한 부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대한 도 11의 하부 좌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의 도 4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에 대한 도 3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의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프레임의 전자석이 장착된 도 20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직기의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어에 절연틀을 끼운 후의 전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 IV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에 보호 오버몰드를 끼운 후의 전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평면에서 더 큰 규모의 단면이다.
도 7은 도 1의 직기의 흘림기구에 속하는 고정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유지 레버의 도 7의 화살표 VIII 방향의 정면도이다.
도 9는 2개의 국부 단면 AA 및 BB를 갖는 도 6 및 7의 유지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전자석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이 하우징의 영역 및 하우징 커버의 대응하는 부분이 있는 도 1의 쉐딩 기구의 하우징의 확대된 상세도이다.
도 11은 전자석과 2개의 유지 레버 및 2개의 이동식 후크로 구성된 선택 장치가 장착된 하우징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세 XII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상세 XIII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직기의 흘림 기구에 속하는 하우징의 스택에서, 도 11의 XIV-XIV 선에 대응하는 더 큰 규모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의 도 5와 유사한 부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대한 도 11의 하부 좌측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의 도 4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에 속하는 전자석에 대한 도 3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쉐딩 기구의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프레임의 전자석이 장착된 도 20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자카드형 직기(M)에서 경사(1) 시트는 날실 빔(2)에서 유래한다. 각 날실(1)은 보빈(4)에 감기는 직물(T)을 형성하기 위해 씨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쉐드를 개방하여 설계된 종광(3)의 아이(3a: eye)을 통과한다. 2개의 종광(3, 3')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종광(3)은 상부 위치에 있고 종광(3')은 하부 위치에 있다. 각 종광의 하단은 인장 스프링(5)에 의해 직기(M)의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은 요크(6)와 통합된다.
그것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8)과 관련된 쉐딩 기구(7)은 스프링(5)에 의해 가해지는 복귀력에 대항하여 각각의 요크(6)를 다소나마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종광(3)과 관련된 요크(6)에 대해서만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요크는 쉐딩 기구(7)의 하우징(10)과 일체인 단부(6a)를 가지며, 이 요크는 2개의 단부가 도 1의 화살표 F1 에 이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의 반대편으로 수직 진동을 교번하는 운동에 의해 움직이는 나이프(14)에 의해 선택적으로 들어올려지도록 된 2개의 가동 후크(13)와 각각 일체로 되는 코드(12)로부터 현수된 머플(11)을 통과한다. 요크, 코드 및 머플의 다른 구성이 가능한다.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쉐딩 기구(7)의 구성 요소의 일부만이 도 1에 나타나 있다.
쉐딩 기구(7)은 또한 "자카드 모듈"로 지칭될 수 있고 여러 개의 단일 하우징, 예를 들어 8개의 하우징의 스택을 포함한다. 전자석과 두 개의 유지 레버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가 각 유닛 하우징에 배치된다. 또한, 두 개의 후크(13)는 종방향 방향으로, 즉 직기(M)에 장착된 쉐딩 기구(7) 내에서 이 하우징의 설치된 구성에서 수직인 하우징(10)의 가장 긴 치수에 따라 각 유닛 하우징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들 2개의 가동 후크는 바람직하게는 요크(6)가 통과하는 머플(11)이 현수되는 도 1에 도시된 코드(12)와 같은 단일 코드와 일체화된다.
쉐딩 기구(7)의 각 전자석(100)은 도 2에 단독으로 도시된 강자성 코어(102), 비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프레임(104), 코어(102)의 중간 부분에 감긴 권선(106), 케이싱(108) 및 전기 제어 유닛(8)에 그것을 연결하지만 전자석(100)의 선택적인 전력 공급을 허용하는 도시되지 않은 두개의 전기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된 전기 접점(1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4)과 케이싱(108)은 함께 전자석(100)의 비자성 부분을 형성한다. 권선(106) 및 전기 접점(110)은 또한 전자석(100)의 비자성 부분에 속한다. "비자성"의 용어는 비자성 부분이 강자성 부분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없는 매우 낮은 자기 민감도를 의미한다.
종방향 축은 도 2에서 위에서 아래로 배향된 전자석(100)의 X100으로 표시된다. 도 4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향된 전자석(100)의 횡방향 축은 Y100으로 표시된다. 전자석(100)의 두께 또는 깊이를 나타내는 축은 전자석(100)의 가장 작은 치수의 축이기도 한 Z100으로 표기한다. 축(X100, Y100 및 Z100)은 함께 직접 지향된 직교 기준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6은 각각 도 3의 X100 축 방향 및 도 5의 X100 축과 반대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코어(102)는 일정한 축(Z100)에 평행하게 측정된 두께(e102)를 나타낸다. 코어(102)는 일반적으로 축 X10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 및 중앙 스템(120)과 주로 축 Y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횡방향 분기부(122, 124)를 갖는 I-형상이다. 종방향 및 중앙 스템(120)은 횡방향 분기부(122, 124) 사이의 중간 부분이다.
상부 횡방향 분기부(122)의 측면 단부는 전자석(100)의 2개의 상부 극면(S122)을 형성하고, 이들 제1 극면은 코어(102)의 에지에 정의되고, 오목하며, 코어(102)의 주 평면 표면에 수직인 축(A12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단면 형태로 된다. 축 A122는 축 Z100에 나란하다. 한편, 하부 횡방향 분기부(124)의 측단부는 전자석(100)의 2개의 하부 극면(S124)을 형성한다. 이들 제2 극면(S124)은 코어(102)의 에지에 평평하고 축 X100 및 Z100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1 극면(S122)은 축(X100)을 따라 제2 극면(S124)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중심 노치(centering notch)(126)는 중앙 스템(120)에 대향하는 이 하부 분기부의 에지에서 하부 분기부(124)의 중간 부분에 제공된다. 중심 노치는 축(Y100)을 따라 하부 극면(S124) 사이에 그리고 그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한다.
프레임(104)은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코어(102) 주위에 오버몰딩된다. "오버몰딩"이란, 프레임(104)의 재료가 코어(102)가 이전에 배치된 몰드에 주입되어 프레임(104)의 재료가 이 코어(102)를 둘러싸고 경화 후에 이 코어에 부착됨을 의미한다. 프레임(104)은 예를 들어 섬유로 강화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 유형의 비자성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프레임(104)은 코어(102)와 통합되고 코어(102)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표면(S122)과 같은 높이로 코어(102)의 상부 가로 분기부(122)를 둘러싼다. 상기 프레임(104)은 플랜지(142)와 각각의 축(A144)을 중심으로 하는 안내 샤프트(144)에 의해 상부 가로 분기부(122)의 양측에서 연장된다. 2개의 플랜지(142) 및 2개의 샤프트(144)는 프레임(104)의 나머지 부분, 특히 상부 가로 분기부(122) 주위에 위치된 이 프레임의 부분과 일체인 프레임(104)의 일부이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는 프레임(104), 특히 인접한 플랜지(142)에 제거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축(A144)은 축(Z100)에 평행한다. 각각의 축(A144)은 인접한 상부 극면(S122)의 중심축(A122)과 일치한다. 따라서, 각각의 축(A144)은 인접한 상부 극면(S122)과 동일한 종방향 레벨에 있다.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며, 그 외주면을 S144로 표시되고 있다.
프레임(104)은 또한 상부 분기부(122)의 중간 부분에 대향하여 연장되고 축(A144) 및 축(Z100)에 평행한 축(A146)에 중심이 맞춰지는 중심 핀(146)을 정의한다. 중심 핀(146)은 또한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이다. 중실 구조인 안내 샤프트(144)와 달리 중심 핀은 중공 구조이다.
프레임(104)은 중심 스템(120)의 에지(120A 및 120B)를 덮는 2개의 스트립(148)을 포함하며, 이들은 축(Y100)에 수직이지만 축(Z100)에 수직인 이 중심 스템의 측면(120C 및 120D)은 아니다.
프레임(104)은 또한 스템(120)과 분기부(124) 및 슬랫(152) 사이의 접합 영역을 덮는 푸트부(150)를 포함한다.
하부 횡방향 분기부(124)는 축(X100)에 평행한 강자성 코어(102)의 길이 방향에 따라 그리고 축(Y100)에 평행한 이 코어의 횡방향 방향에 따라 프레임(104)으로부터 돌출한다. 특히, 프레임(104)은 하부 극면(S124)의 높이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플랜지(142)는 각 안내 샤프트(144)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 주위의 링으로 연장되는 한편, 그 샤프트를 프레임(104)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한다. 플랜지(142)는 전자석(100)의 비자성 부분에 형성된다. 축(Z100)에 수직이고 이 플랜지가 둘러싸는 안내 샤프트(144)의 측면을 향하는 환형인 각 플랜지(142)의 표면은 S142로 표시된다. 이 표면(S142)은 인접한 안내 샤프트(144)의 축(A144)에 수직이고 이 안내 샤프트 주위에서 링으로, 즉, 360° 이상 연장된다. 표면(S142 및 S144)는 서로 인접하고 수직이다.
플랜지(142)의 외주면은 S'142로 표기된다. 이 표면은 인접한 안내 샤프트(144)의 축(A14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를 가진 실린더의 일부이다. 따라서, 플랜지(142)의 외주면(S'142)은 인접한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S144)과 동축이다.
플랜지(142)의 표면(S142)은 인접한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S144)과 이를 향하는 상부 극면(S122)과 함께 도 7 내지 도 9에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된 유지 레버(2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적(V1)을 정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면(S144)은 축을 향해 수렴하는 방향으로 축(A14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체적(V1)을 정의한다. 표면(S122)은 그 축으로부터 쉐딩하는 방향으로 축(A144)에 대해 방사상으로 체적(V1)을 정의한다. 표면(S142)은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로부터 인접한 플랜지(142)를 향하는 방향, 즉 여기서 축(Z100)의 방향과 반대 방향에 따라 축방향으로 체적(V1)을 정의한다.
전자석(100)에 의해 정의되는 체적(V1)은 유지 레버(200)를 위한 부분 수용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가 전자석(100)의 일부에 의해, 특히 프레임(104)과 일체로 형성된다는 사실은 강자성 코어(102)에 대한 이 안내 샤프트의 위치 공차, 보다 정확하게는 표면(S144, S122) 사이의 위치 공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이것은 체적(V1)의 기하학적 정의의 정밀도 및 강자성 코어(102)에 대한 유지 레버(200)의 안내 정밀도에 기여한다.
권선(106)은 스트립(148)이 장착된 강자성 코어(102)의 중앙 스템(120) 주위에 코일 형태의 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권선은 프레임(104)이 강자성 코어(102) 상으로 오버몰딩된 후에 생성되어 권선(106)이 중심 스템(120)의 측면(120C 및 120D)과 접촉하지만 스트립(148)에 의해 에지(120A 및 120B)로부터 분리된다. 권선(106)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각 단부는 2개의 전기 접점(110) 중 하나에 연결된다. 그 다음, 프레임(104)은 2개의 전기 접점(110) 사이에 전기 절연을 제공하고, 권선(106)에 대한 연결을 포함하여 코어(102)와 2개의 전기 접점(110) 사이에 전기 절연을 제공한다. 권선(106)이 중앙 스템(120)의 제자리에 있고 전기 접점(110)에 연결되면, 커버(108)는 저압 오버몰딩에 의해 부품(102, 104, 106)에 적용되고 특히 권선(106)을 위한 보호 층을 형성한다. 커버(108)의 기하학적 구조는 도 3 및 도 5의 비교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커버(108), 권선(106) 및 전기 접점은 코어(102)와 일체화 된다.
각 유지 레버(200)와 관련된 직교 기준 프레임(X200, Y200, Z200)이 레버(200)의 최대 치수에 나란한 축(X200)에 대하여 정의되는데, 즉 그것은 레버의 두께에 나란한 깊이 축(Z200) 및 레버의 폭에 나란한 횡방향 축(Y200), 레버에 대한 종방향 축을 형성한다. 유지 레버(200)가 쉐딩 기구(7) 내에 장착될 때 축(X200)은 아래쪽을 향한다.
레버(200)는 강자성 재료, 예를 들어 순철로 만들어진 아마추어(202), 및 상기 아마추어(202)와 일체인 비자성체(204)를 포함한다. 상기 아마추어(202)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극면(S122, S124)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상기 아마추어(202)는 제1 종방향 단부(206)와 제2 종방향 단부(208) 사이에서 축(X20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종방향 단부(206)는 두께에 따라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통과하고 축(Z200)에 평행한 축(A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제1 하우징(210)을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주변 표면은 제1 단부(206)의 내부 표면인 S210으로 표시된다. 단부(206)의 외주면은 S206으로 표시된다. 상기 외주면(S206)의 일부분(S206A)은 축(A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를 갖고, 상기 일부분(S206A) 자체로 제1 종방향 단부(206)의 외면을 형성한다.
상기 아마추어(202)의 제2 종방향 단부(208)는 두께에 따라 이 아마추어를 통과하는 제2 하우징(212)을 정의하며, 비자성체(204)는 비자성체(204)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이며 하우징(21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통과하는 바(214)에 의해 고정된다.
실제로, 비자성체(204)는 합성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머 유형으로 형성되며, 섬유로 강화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하우징(212)을 충전함으로써 금속 아마추어(202) 상에 오버몰딩되고, 따라서 바(21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비자성체(204)는 아마추어(202)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며 아마추어(202)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비자성체(204)는 아마추어(202)의 단부(208)를 둘러싸고, 이를 종축(X200)의 방향으로, 즉 제1 종방향 단부(20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비자성체(204)는 선택 노즈부(216), 안내 램프(218) 및 칼라(222)에 의해 전체 외주에 걸쳐 둘러싸인 핀(220)을 형성한다. 아마추어(202) 및 제1 단부(206)를 향하는 선택 노즈부의 표면(S216)은 가동 후크의 구멍을 맞물림으로써 가동 후크(13)가 상사점 위치에 또는 그 근처에 유지되도록 한다.
축(Y200)에 평행한 비자성체(204)의 횡방향에 따르면, 노즈부(216)와 램프(218)는 몸체의 한쪽 면에 위치하고 핀(220)과 플랜지(222)는 몸체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표면 부분(S206A)은 핀(220)과 같은 유지 레버(200)의 동일한 측에 위치된다.
본체(204)는 또한 유지 레버의 위치에 따라 전자석(1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의도된 접촉 표면(S204)을 포함한다. 선택 노즈부(216), 안내 램프(218) 및 핀(220)은 접촉 표면(S204)과 일체로 형성된다.
레버(2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즉 축(X200)을 따라, 접촉 표면(S204)은 아마추어(202)의 제2 단부(208)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비자성체(204)에 의해 덮이지 않는 이러한 제2 단부의 일부(208A)의 슬라이스에 의해 형성된 외부 인력 표면(S208)에 인접한다. 접촉 표면(S204)은 접촉 표면(S204)과 외부 인력 표면(S208)이 공통 경계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외부 인력 표면(S208)에 인접한다.
표면(S206A 및 S208)은 아마추어(202)가 이들 표면 사이에서 매끄럽게 연장됨에 따라 전기적 연속성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이 예에서 아마추어(202)가 일체형이라는 사실로부터 이어진다.
외부 인력 표면(S208)을 정의하는 단부(208)의 부분(208A)은 제1 단부(206)로부터 가장 먼 아마추어(202)의 부분이다.
아마추어(202)는 축(X200)의 방향으로 제1 단부(206)로부터 접촉 표면(S204)과 외부 인력 표면(S208)의 접합부까지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아마추어(202)는 부분(208A)을 넘어 비자성체(204) 내에서 상당한 길이로 연장하지 않는다.
접촉 표면(S204)은 일반적으로 평평하고 축(X200, Z200)에 평행하며, 축(X200)에 평행한 레버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병치된 축(Z200)에 평행한 횡방향 그루브(224)를 구비한다. 이러한 그루브(224)는 표면(S204)이 매끄럽지 않지만 그루브(224)에 의해 분리된 재료 스트립의 병치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노치가 있는 효과가 있다.
편향기(deflector)는 비자성체(204)에 의해 형성되고 이 본체의 나머지 부분과 통합된다. 제1 편향기(226)는 인접면(S204)과 동일한 높이로 종방향으로 비자성체(204) 주위로 연장되지만 횡방향 축(Y200) 방향으로 이 면의 반대편에 있다. 2개의 다른 편향기(228, 230)는 접촉 표면(S204)과 동일한 면에서 비자성체(204)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 축(X200)에 따라 이 표면의 어느 한 쪽에서 종축(X200)을 따라 다른 레벨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향기(228)는 제1 종방향 단부(206)와 접촉 표면(S204) 사이의 축(X200)을 따라 위치되는 반면, 제2 편향기(230)는 접촉 표면(S204)과 핀(220) 사이의 축(X200)을 따라 위치된다. 결합 스트립(232)은 유지 레버(2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편향기(228, 230)를 연결한다. 이러한 결합 스트립(232)은 축(Z200)을 따라 표면(S204 및 S208)의 양쪽에 위치된다. 상기 편향기(226)는 결합 스트립(232)에 연결된다.
따라서, 편향기(226, 228, 230)는 서로 연속된다. 특히, 편향기(228, 230)와 결합 스트립(232)은 도 7에서 화살표 VIII 방향으로 보았을 때 표면(S204, S208) 주위에 연속적인 에지를 형성하며, 상기 편향기(226)는 선택 노즈부(216)처럼 비자성체의 동일한 측에 위치하며, 한 쌍의 편향기(228, 230)는 접촉 표면(S204) 및 외부 인력 표면(S208)과 동일한 쪽에 위치한다. 또한, 편향기(226)는 편향기(228, 23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즉 축(X200)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쉐딩 기구(7)는 또한 하우징(10)의 일부인 하나 이상의 단일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쉐딩 기구(7)의 일부인 하우징(300)의 갯수는 전자석(100)의 갯수에 따라 다르게 된다. 실제로, 많은 단일 하우징(300)이 전자석(100)으로 제공된다.
직교 기준 프레임(X300, Y300, Z300)은 각각의 단일 하우징(300)과 관련되며, 이는 각각 단일 하우징(300)의 종축 X300, 횡축 Y300 및 깊이 축 Z300에 의해 정의된다.
각각의 단일 하우징(300)은 도 10의 상부에서 전체적으로 볼 수 있고 전자석(100) 및 2개의 관련된 유지 레버(200)에 의해 형성된 선택 장치(400)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304)을 한정하는 하프-쉘(302), 및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되도록 의도된 2개의 가동 후크(13)를 위한 안내 부분(306)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단일 하우징(300)은 두 쌍의 제1 및 제2 극면을 포함하는 전자석(100)과 축 Y100을 따라 전자석의 양쪽에 위치한 두 개의 유지 레버(200)와 함께 소위 "평평한" 직물을 짜는 데 사용되는 2-위치 자카드 유형의 쉐딩 기구에 사용된다.
수용 부분(304)은 도 10의 하부 우측 부분에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나 있는 반면, 상기 부분(304)에 대응하는 커버(308)의 일부는 도 10의 하부 좌측 부분에 나타나 있다. 하프-쉘(302)과 커버(308)는 함께 단일 하우징(300)을 구성한다.
축(X300 및 Y300)에 평행한 하프-쉘(302)의 바닥(303)은 가동 후크(13)에 속하는 블레이드(504)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종방향 그루브(310)를 제공한다. 이 바닥은 또한 하우징(1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함께 형성하는 쉐딩 기구(7)의 단일 하우징 스택에 속하는 여러 하우징(300)을 결합하기 위한 로드 또는 나사의 통과를 위한 구멍(312)으로 관통된다.
이 부분(304)에서, 단일 하우징(300)은 바닥(303)을 통과하고 전자석(100)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한정하는 리세스(314), 및 전자석(100)과 관련된 2개의 유지 레버(200)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구역(316)을 정의한다.
하프-쉘(302)의 바닥(303)은 단일 하우징(300)의 전자석(100)의 장착된 구성에서 중심 핀(146)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원형의 중심 하우징(320)에 의해 축(Z300)의 방향으로 일 측에서 다른 측으로 횡단된다. 이 중심 하우징은 중심 핀(146)의 기하학과 상보적인 기하학을 가지고 있다.
상기 중심 핀(322)은 축(Z300)에 평행하게 바닥(303)으로부터 돌출하고, 리세스(314)와 안내 부분(306) 사이의 축(X300)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중심 핀(322)은 리세스(314)에 대해 중심 하우징(320)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중심 핀은 단일 하우징(300)에서 전자석(100)의 장착된 구성에서 강자성 코어(102)의 중심 노치(126)에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상기 단일 하우징(300)은 또한 유지 레버(200)를 수용하기 위해 각 구역(316)에 배플(324)을 형성한다.
횡방향(Y300)에 따른 중심 하우징(320)의 양쪽에서, 단일 하우징(300)은 전자석(100)의 플랜지(142)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단면을 갖는 실린더 부분의 형태로 하우징(326)을 정의한다. 각각의 하우징(326)은 환형 표면(328) 및 리브(330)에 의해 정의되며, 그 내부 표면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 형상이고 전자석(100)의 플랜지(142)의 외부 주변 표면(S'142)에 상보적이다.
도 10에 그 면이 보이는 커버(308)는 일반적으로 하프 쉘(302)의 바닥(303)을 향하는 것으로, 고정 핀 또는 나사의 통과를 위한 홀(332)을 정의하며, 이러한 홀(332)은 하프-쉘(302)에 커버(308)의 장착된 구성에서 홀(312)과 정렬된다. 상기 커버(308)는 또한 하프-쉘(302) 상의 커버(308)의 장착된 구조에서 중심 리세스(320)와 정렬되는 중심 리세스(334)를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버(308)는 중심 리세스(33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버(308)는 환형 평면 표면(338) 및 리브(339)에 의해 각각 형성된 2개의 리세스된 하우징(336)을 추가로 정의한다. 이러한 리세스된 하우징(336)은 하프-쉘(302) 상의 커버(308)의 장착된 구성에서 하우징(326) 중 하나와 각각 정렬된다.
요소(302, 308)는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섬유로 강화된 전기 절연성 폴리머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요소(302, 308)는 비자성이다.
전자석(100) 상의 유지 레버(200)의 장착 구성에서, 금속 아마추어(202)의 제1 종방향 단부(206)는 안내 샤프트(144) 중 하나 주위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축(A144, A210)은 일치하고, 표면(S144, S210)은 축(A144)에 대해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하며, 표면(S144, S210)의 각 치수는 각 유지 레버(200)가 진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선택되며 이러한 회전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안내한다.
선택 장치(400)의 장착된 구조에서, 직교 기준 좌표계(X100, Y100, Z100) 및 각 직교 기준 좌표계(X200, Y200, Z200)는 일반적으로 일치하며, 유지 레버(200)가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A144)에 대한 유지 레버(200)의 진동량은 무시된다.
상기 단일 하우징(300) 내의 선택 장치(400)의 장착된 구조에서, 각각의 유지 레버(200)는 일반적으로 단일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즉 축 X300에 평행하게 유지 레버의 제1 단부(206)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직교 기준 프레임(X100, Y100, Z100, X200, Y200, Z200 및 X300, Y300, Z300)은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도 11 이하에 도시된 이러한 장착 구조에서, 각 유지 레버(200)의 외부 인력 표면(S208)은 축(Y100)에 평행한 전자석(100)의 하부 극면(S124) 중 하나를 향한다.
각각의 유지 레버(200)는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144)의 축(A144)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 예를 들어, 강자성 코어9102)의 하부 분기부(124)와 접촉하는 위치와, 전자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 사이에서 아마추어(202)의 제 1 종방향 단부(206)는 축(X100, Y100, Z100)에 따른 0이 아닌 치수의 빈 공간(E)이 전자석, 예를 들어 하부 분기부(124) 및 레버(200) 사이에 존재한다. 특히, Y축에 따라 측정된 빈 공간(E)의 깊이는 전자석(100)에 대한 유지 레버(200)의 원격 위치에서 0이 아니다. 실제로, 전자석에 대한 유지 레버의 위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떨어져 있는"(이격된) 및 "접촉하는"이라는 용어는 전자석에 대한 접촉 표면(S204)의 이격 또는 접촉에 관한 것이다.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유지 레버(200)는 전자석과 접촉하고 있는 반면,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레버(200)는 전자석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전자석(100)과 접촉하는 레버(200)의 구조에서, 레버(200)가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144)의 축(A144)에 대한 삼각 방향에서,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레버(200)의 회동 운동을 제한하는 정도로 상기 표면(S204)이 하부 극면(S124)과 접촉한다.
이 접촉 위치에서, 외부 인력 표면(S208)은 하부 극면(124)와 접촉하지 않지만 하부 극면(124)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으며, 표면(S208 및 S124) 사이에 0이 아닌 치수의 횡방향 갭(J1)이 존재한다. 간격(J1)의 치수는 축(Y100, Y200 및 Y300)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축(X100)을 따라 표면(S208)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그리고 축(Z100, Z200, Z300)에 따라 취해진 표면(S208)의 전체 두께를 따라, 0이 아닌 치수의 간극(J1)이 존재한다는 것은 표면(S124 및 S208)사이에 에어 갭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지 레버(200)에서, 접합 표면(S204)이 외부 인력 표면(S208)에 대해 전자석(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접합 표면(S204)은 Y200축에 평행하고 유지 레버(200)의 장착된 구조에서 전자석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외부 인력 표면(S208)에 대해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촉 표면(S204)은 레버(200)이 전자석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전자석에 접촉하는 표면으로 회전할 때 제2 극면(S124)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외부 인력 표면(S208)을 유지하는 제 2 극면(S124)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표면(S208)은 레버(200)가 전자석(100)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전자석이 활성화될 때, 강자성 코어(102)와 금속 아마추어(202) 사이의 자기 인력은 이 표면(S208)을 통해 가해지도록 된 외부 인력 표면이다.
도 9에서 아마추어(202), 특히 단부(208)의 부분(208A)이 전체 인접 표면(S204)을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외부 인력 표면(S208)은 지지 표면(S204)과 축(A210) 사이에서, 즉 축(X200)을 따라 유지 레버(200)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열된다. 외부 인력 표면(S208)의 길이(l8)는 유지 레버(200)의 접촉 위치에서 하부 극면(S124)을 향하고 표면(S204 및 S124) 사이의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접촉 표면(S204)의 길이(l4)보다 크다. 상기 길이(l4 및 l8)는 축(X200)에 나란하게 측정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접촉 표면(S204)은 유지 레버(200)의 접촉 위치에서 하부 극면(S124)을 향한다. 그러나, 상기 표면(S204)의 일부만이 하부 극면(S124)과 접촉하거나 하부 극면(S124)과 마주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그것은 극면(S124)과 접촉하는 표면(S204)의 이 부분의 길이(l4)이며, 길이(l8)보다 작도록 선택되는 표면(S204와 S124) 사이의 접촉 영역도 형성한다.
l48은 축(X200)에 평행하게 측정된 길이로, 유지 레버(200)의 금속 아마추어(202)가 도 8의 평면에 나란한 평면에서 표면(S208과 S204) 사이의 경계를 정하는 선(L1)을 넘어 단부(206)에서 시작하여 연장된다. 상기 선(L1)은 도 12의 평면에 수직이고, 도 8에 도시된 유지 레버(200)의 면에서 부품(202 및 204) 사이의 접합 영역(Z1)을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l48)는 접촉 표면(S204)에 의한 제2 종방향 단부(208)의 겹침 길이에 대응한다. 비율(l48/ l4) 는 0.2 미만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접촉 표면(S204)은 접촉 표면(S204)의 가용 부분의 길이(l4)의 1/5 미만에서 아마추어(202)와 중첩되며, 이는 전자석에 대해 접촉 표면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접촉 표면(S204), 선택 노즈부(216), 안내 램프(218), 및 하부 인력 표면 아래에 금속 아마추어가 실질적으로 없는 유지 레버(200)의 하단을 형성하는 핀(220)을 구성하는 비자성체(204)의 부분을 초래한다.
단일 하우징(300)에 선택 장치(200)를 장착한 구조에서, 편향기(226, 228, 230)는 배플(324)에 의해 형성된 수용 영역(Z226, Z228, Z230)에 맞물린다. 따라서, 편향기와 배플의 상호작용은 선택 장치(400)가 장착된 단일 하우징(300)의 특정 내부 부품을 안내 부분(306)으로부터 격리시켜 이러한 부품들을 먼지, 슬러지 또는 그리스의 축적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단일 하우징(300)에 선택 장치(400)가 장착된 구성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340)은 하우징(300)의 중앙 리브(342)와 유지 레버(200)의 비자성체(204) 사이에 개재된다. 각각의 스프링(340)은 기본적으로 전자석(10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밀어내는 유지 레버(200)를 복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비자성체의 측면에서, 핀(220)은 스프링(340) 내부에 맞물려 상기 스프링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반면, 칼라(222)는 지지 핀(220) 주위에 스프링의 단자 코일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칼라(222)가 그 전체 주변부에서 핀(220)을 둘러싸기 때문에, 스프링(340)의 단부 코일은 이 단부 코일이 핀(220)의 측면에서 미끄러질 위험 없이 반드시 이 칼라(222)에 놓이게 되며, 이는 스프링(340)의 복원력의 반복성을 보장한다.
각각의 가동 후크(13)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본체(502)와 본체(502)에 장착된 가요성 블레이드(50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인 가요성 블레이드는 유지 레버(200)의 안내 램프(218)에 대해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도 11에서 점선으로 보여지고 그 자체로 해당 유지 레버(200)의 선택 노즈부(216)가 연결되게 되는 개구(508)를 포함한다. 여기서, EP-A-1852531 또는 EP-A-1413657에 설명된 가동 후크의 특징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에서, 각각의 본체(502)는 머플(11)을 지지하는 코드(12)의 단부 상에 오버몰딩된다. 각각의 본체(502)는 나이프(14) 상에 지지 브래킷(506)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지지 브래킷(506)은 이동식 후크(13)가 나이프의 상부면에 형태 맞춤 방식으로 안착되는 단일 하우징(30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1 내지 도 15의 장착 구성에서, 제1 종방향 단부(206)는 체적(V1)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1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부분(S206A)은 강자성 코어(102)에 의해 형성된 제1 극면(S122)의 반대편에 위치되며, 이러한 반대 표면은 축(A122, A144 및 A21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를 갖는 실린더 부분의 형태로 되고 이후 병합된다. 이러한 표면은 축(A122, A144 및 A210)에 대해 방사상으로 갭(J2) 사이를 구분한다. 이 방사상 갭(J2)은 0이 아닌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은 축(A122, A144 및 A210)에 대해 방사상으로 측정된다. 상기 방사상 갭(J2)은 표면(S122 및 S206A) 사이의 에어 갭을 정의하는데, 실제로, 갭(J2)에 의해 정의된 에어 갭의 방사상 폭은 0.1 내지 0.2 밀리미터(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15 mm일 수 있다.
P144는 한편으로는 축(Y100, Y200 및 Y300)에 평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Z100, Z200 및 Z300)에 평행하고 축(X100, X200 및 X300)에 수직이고 축(A122, A144, A210)를 포함하는 횡방향 평면이다.
방사상 갭(J2)에 의해 정의된 에어 갭은 정점(α)에서 각도의 전체 각도 섹터에 걸쳐 축(A122) 주위로 연장된다. 상기 전체 각도 섹터의 제1 부분은 횡방향 평면(P144) 아래, 그 평면에 대한 제2 극면(S124)의 측면에 위치하고 정점(α1)에서 각도를 나타낸다. 이 전체 각도 섹터의 제2 부분은 횡방향 평면(P144) 위에, 즉 제2 극면(S124) 반대편에 위치하고 정점(α2)에서 각도를 나타낸다. 각 α1과 α2의 합은 각 α와 같다. 각도 α, α1 및 α2는 각각 전체 각도 섹터와 제1 및 제2 부분의 각도 크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전자석(100)의 각각의 제1 극면(S122)은 횡방향 평면(P144)의 어느 한 측면에서 연장되고, 이 평면에 대해 제2 극면(S124)과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고각도 진폭(α1) 나타내는 제1 부분(S122A), 및 이 평면에 대해 제2 극면(S124)의 반대쪽에 위치되고 각도 진폭(α2)를 나타내는 제2 부분(S122B)을 포함한다.
비율 α1/α는 0.2와 0.4 사이이고 바람직하게는 0.33 이다. 이 바람직한 경우, 비율 α1/α2는 0.5이다.
표면(S122와 S206A) 사이에 정의된 에어 갭에서 얻은 우수한 기하학적 정밀도로 인해 이러한 표면의 크기가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표면(S122)의 직경과 표면(S144)의 직경 사이의 비는 1.4보다 크도록, 바람직하게는 1.5 정도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우수한 정밀도는 전자석의 길이 방향 치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축(X100 또는 축 X300)에 평행한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극면(S122 및 S124)이 이격되도록 허용한다. 그 결과, 진동축(A144)을 중심으로 한 유지 레버(200)의 각도 선회 운동의 진폭은, 하부 극면(S124)의 에어 갭이 외부 인력 표면(S208)의 길이를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는 축(Y100, Y200, Y300)에 대해 측정된 폭을 가지는 수준으로, 원격 위치와 접촉 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우수한 정확도는 안내 샤프트(144)의 외경 및 이에 따른 제1 종방향 단부(206)의 외부 치수가 감소되도록 하여 금속 아마추어(202)의 제조 동안 금속 손실을 감소시킨다.
쉐딩 기구(7)의 제조 동안, 프레임(104)은 강자성 코어(102) 상에 오버몰딩되고, 이어서 권선(106)의 설치, 접점(110) 및 이러한 접점과 권선(106) 사이의 연결 와이어의 설치, 커버(108)의 오버몰딩이 뒤따르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전자석(100)은 안내 샤프트(144)와 함께 단일 하우징(300)의 하프-쉘(3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자석(100)은 중심 핀(146)을 단일 하우징(300)의 중심 리세스(320)에 삽입함으로써 축(Z30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리세스(314)에 삽입된다. 2개의 상부 극면(S122) 사이에 그리고 그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중심 핀(146)은 단일 하우징(300)의 하프-쉘(302)의 바닥(303)에 끼워맞춤을 통해 축(X300) 및 축(Y300)에 각각 평행한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단일 하우징(300)에서 전자석의 위치를 확실히 하도록 한다.
또한, 강자성 코어(102)의 중심 노치(126)는 하프-쉘(302)에 위치된 상보적으로 형성된 중심 핀(322) 주위에 축 Y300에 평행한 측방향으로 유격 없이 위치된다.
전자석(100)의 권선(106)은 그 다음 축(Z100)에 평행한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제공된 리세스(314)와 정렬된다.
그 다음, 전자석(100)의 프레임(104)은 하프-쉘(302)의 바닥(303)의 2개의 지지 표면에 지지되는데, 하나는 하부 극면(S124) 사이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상부 극면(S122) 사이에 배열된다.
플랜지(142)의 외주면(S'142)은 축(A122)과 일치하는 샤프트(144)를 중심으로 하는 실린더 부분의 방사상 외부 표면이다. 전자석(100)을 단일 하우징(300)에 장착하는 동안, 전자석(100)의 각 플랜지(142)는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하우징(300)의 하우징(326)에 결합된다. 플랜지(142)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S'142)은 수직 및 하향인 축(X100, X200, X300)에 평행한 길이 방향에 따라 도 15의 평면에서 대응하는 리브(330)와 마주한다. 따라서 리브(330)의 일부는 길이 방향에 따라 표면(S'142)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감소된 종방향 갭(J3)은 도 15의 평면에서 외주면(S'142)과 리브(330) 사이에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갭(J3)은 수직이고, 실제로 전자석(100)이 단일 하우징(300)에 배치될 때 이 배치가 정전기적 상황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은 0이 아니도록 된다. 간격(J3)의 너비는 축(X300)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갭(J3)의 폭은 0.5mm 이하이다.
전자석(100)을 하프-쉘(302)에 장착하고 기구(7)의 작동 구조에 장착 한 후에, 진동 축(A144)은 하프-쉘(302) 및 전자석(100)에 대해 고정된다.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는 하프-쉘(302)의 바닥(303)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즉, 2개의 안내 샤프트(144)는 축(Z300)에 평행한 축(A144)으로 연장되고 이 하프-쉘의 바닥(303)에 수직이다.
유지 레버(200)는 안내 샤프트(144)를 둘러싸는 각 유지 레버(200)의 제1 종방향 단부(206)와 함께 프레임(104)의 안내 샤프트(144) 주위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각 유지 레버(200)의 축(A210)은 축(A122, A144)과 정렬되고, 플랜지(142) 중 하나의 표면(S142)에 맞닿을 때까지 아마추어(202)의 제1 종방향 단부(206)는 축(A122, A144)에 평행한 축 병진 운동에 의해 체적(V1)에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이것은 유지 레버를 단일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있는 전자석에 고리 연결하는 것과 같다. 유지 레버의 방향은 각각의 제1 종방향 단부(206)의 외부 표면(S206)의 부분(S206A)이 상부 극면(S122)을 향하도록 선택된다. 한편, 이러한 배치로 인해, 각각의 외부 인력 표면(S208)은 축(Y100, Y200, Y300)에 평행한 가로 방향에 따라 전자석(100)의 하부 극면(S124)을 향한다.
제1 극면(S122)과 제2 극면(S124)은 길이 방향에 따라 오프셋되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유지 레버(200)의 금속 아마추어(202)의 길이 부분은 제1 극면(S122)을 향하지 않고 제2 극면(S124)을 향하지도 않지만 코어(102)와 권선(106)의 중앙 스템(120)의 높이에 종방향으로 위치된다.
전자석이 장착된 단일 하우징(300)에 유지 레버(200)를 장착할 때, 비자성체(204)의 편향기(226, 228, 230)는 전술한 축 방향 병진 운동 동안 배플(324)에 의해 정의된 영역(Z226, Z228 및 Z230)에 맞물리게 된다.
전자석(100)에 2개의 유지 레버(200)를 설치한 후, 이러한 유지 레버는 선택 장치(40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100)은 단일 하우징(300)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단일 하우징(300)에 대하여 고정되는 축(A14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안내 샤프트(144)의 외측 반경방향 표면(S144)은 진동축(A144)을 중심으로 하는 피봇 운동에서 유지 레버(2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의 표면(S210)과 감소된 유격으로 함께 작동하는 원통형 안내 표면을 형성한다. 감소된 갭은 갭(J2)보다 엄격하게 작은 진동축(A144)에서의 방사상 갭을 의미하며, 표면(S206) 및 인접한 제1 극면(S122) 사이에 0이 아닌 에어 갭을 보장하고, 따라서 레버(200)의 아마추어(202) 및 극면(S122) 의 사이, 유지 레버에서 떨어진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 접촉이 없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에는 안내면(S144)이 형성된다.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는 하우징(300)에 레버(200)를 위한 부착 지점을 형성하고, 부착 지점은 전자석(100)에 대해 고정된다.
배플(324)에 의해 정의된 영역(Z226 및 Z228)과 편향기(226 및 228)의 상호작동은 각 레버의 아마추어(202)의 제1 종방향 단부(206) 및 관련 안내 샤프트(144)를 포함하는 하우징 영역을 분리하되, 이 영역은 전자석(100)에 대한 레버(200)의 관절에 전속적이다. 이것은 윤활될 수 있는 표면(S144와 S210) 사이에 만들어진 피벗 연결부의 윤활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배플(324)에 의해 정의된 영역(Z228 및 Z230)과 편향기(228 및 230)의 상호작동은 또한 한편으로는 하부 극면(S124)과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인력 표면(S208) 및 접촉 표면(S204) 사이에 형성된 인력 영역을 고립시킬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이 흡착 영역에 구리스와 먼지가 없도록 유지하여, 유지 레버(200)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하부 극면(S124)과 외부 흡착 표면(S208) 사이에 만족스러운 공기 갭을 보장하게 된다.
그 다음, 두 유지 레버(200)는 각각 도 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표시된 원격 위치와 접촉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를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이것은 전기 접점(110)에 의한 전자석(100)에 대한 명령에 기초하여 가동 후크(13)가 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가동 후크(13) 및 코드(12)는 그 다음 하프-쉘(302)의 안내 부분(306)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동 후크(13) 및 코드(12)는 요소(100 및 200) 앞에 하프-쉘 형태로 배치된다.
유지 레버(200)가 단일 하우징(300)에서 일정 위치에 있는 전자석(100)에 배치된 후,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는 축(Z100, Z200, Z3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 레버(200)로부터 돌출된다. 그 다음 하프-쉘(302)은 커버(308)로 덮일 수 있고, 하프-쉘(302) 및 커버(308)는 그 다음 홀(332)을 홀(312)에 정렬하고 하우징(336)을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와 정렬함으로써 축 Z300을 따라 적층된다. 그런 다음 연결 막대 또는 나사가 홀(312 및 332)에 배치된다.
선택 장치(400)가 장착된 각각의 하프 쉘(302)을 인접한 하프-쉘에 대한 커버로서 기능하는 하프-쉘 중 하나의 바닥(303)과 중첩시키고, 커버(308)를 마지막 하프-쉘에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4 및 도 15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하프-쉘(302)의 홀(312)이 중첩되고 커넥팅 로드 또는 나사가 이 홀에 배치된다.
제1 단일 하우징(300)의 일부인 제1 하프-쉘(302)에 장착된 전자석(100)을 고려하면, 이 경우 이러한 전자석의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는 인접한 제 2 하프-쉘(302)의 바닥 표면(303)에 제공된 상응하는 형상의 하우징(344)에 결합되며, 이는 축(Z300)을 따라 2개의 하프-쉘(302)을 적층함으로써 제1 하프-쉘(302)을 커버하게 된다. 본원에서, 상기 하우징(344)은 커버(308)의 하우징(336) 대신에 사용된다. 제1 단일 하우징은 제1 하프-쉘 및 제2 하프-쉘의 바닥(303)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308)로 덮인 마지막 하우징을 제외하고 다른 단일 하우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리세스된 하우징(344)은 하프-쉘에 놓인 전자석(100)의 반대편의 제2 하프-쉘(302)의 저부(303) 측면에 배치된다. 제2 하프-쉘의 리세스된 하우징(344)의 바닥(346)은 축(Z3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와 접촉한다. 또한, 하우징(344)을 형성하는 원통형 벽(348)은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S144)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이어서, 각각의 안내 샤프트를 제2 단일 하우징(300)의 제2 하프-쉘(302)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도 14 및 도 15는 유닛 하우징 스택의 제1 하프-쉘의 바닥에 불필요한 오목한 하우징(344)이 제공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편, 제2 하프-쉘(302)의 바닥(303)에 의해 구성되고 리세스된 하우징(344)을 둘러싸는 평평한 환형 표면(338)은 제1 하프-쉘에 수용된 전자석의 플랜지(142)를 향한다. 아마추어(202)의 제1 단부(206)는 축(Z3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는 표면(S142, 338) 사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표면(338)은 아마추어(202)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체적(V1)에 대한 커버의 역할을 한다.
커버(308)가 사용되는 경우, 체적(V1)을 폐쇄하는 것은 오목한 하우징(336)의 평평한 환형 표면(338)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적층 구성에서, 하우징(300)은 축(X300 및 Y300)에 평행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중심에 있고 축(Z300)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고 있다.
작동시, 각각의 전자석(100)은 이와 관련된 2개의 유지 레버(200)에 의해 동일한 단일 하우징(300)에서 전자석의 양쪽에 배열된 2개의 이동식 후크(13) 중 하나의 유지 또는 해제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도 11에서, 2개의 가동 후크(13)는 궤적의 사점(dead center) 부근에 도시되고 있다. 도 11의 상부에 도시된 가동 후크(13)는 이 유지 레버의 선택 노즈부(216)를 가동 후크의 블레이드(504)의 홀(508)에 삽입함으로써 대응하는 유지 레버(200)에 걸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유지 레버(200)는 전자석(10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도 11의 하부에 도시된 이동식 후크(13)는 선택 노즈부(216)가 상기 가동 후크의 블레이드의 단부 단부의 경로에 있지 않은 정도로 접촉 위치에 유지되는 대응하는 유지 레버의 선택 노즈부(216)가 없다.
그 궤적의 상사점 부근에서, 각 가동 후크(13)의 블레이드(504)는 대응하는 유지 레버(200)의 안내 램프(218)와 접촉하게 되며, 이 레버에 축(Y100)에 나란하게 전자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횡력을 유지 레버의 핀(200) 주위에 맞물린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가한다. 이 횡력은 유지 레버가 진동축(A144)을 중심으로 도 11의 상단에 표시된 원격 위치에서 도면의 하단에 표시된 접촉 위치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작업은 유지 레버(200)을 레벨링하게 한다.
각각의 유지 레버(200)의 이러한 변위 동안, 전자석(10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이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방사상 갭(J2)에 의해 정의된 상부 에어 갭은 0이 아닌 값으로 유지된다. 이 변위 동안, 외부 인력 표면(S208)과 하부 극면(S124) 사이에 정의된 하부 에어 갭은 도 12의 갭(J1)만큼 0이 아닌 폭을 나타낼 때까지 감소한다. 하부 에어 갭의 0이 아닌 값은 표면(S204 및 S208)이 모두 유지 레버(200)에 의해 지지되고 접촉 표면(S204)이 전자석에 접촉함으로써, 외부 인력 표면(S208)이 배치되는 반대편에 하부 극면(S124)의 레벨에서 양호하게 제어된다.
갭(J1)의 값은 무엇보다도 아마추어(202)의 자기적 특성 및 스프링(340)의 강성 계수에 따라 전자석(100)에 대하여 접촉 위치에 있게 하도록 유지 레버(200) 에 가해지는 자기력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실제로, 갭(J1)의 값은 0.01 내지 0.06mm,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0.0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4mm이다.
유지 레버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100)이 활성화되면, 표면(S124 및 S208) 사이에 자기 인력이 인가된다. 상부 및 하부 에어 갭을 통과하고 유지 레버(200)의 금속 아마추어(206)를 통과하는 자기 회로는 스프링(34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대해 하부 극면(S124)과 접촉하여 이 레버를 유지한다. 이 경우, 유지 레버(200)의 노즈부(216)는 나이프(14)의 하향 이동을 따르는 가동 후크(13)의 블레이드(504)의 하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반대로, 전자석이 여기되지 않으면, 상기 유지 레버가 전자석 간의 접촉 위치에 있을 때, 유지 레버는 전자석과 접촉 상태에서 유지되지 않으며, 스프링(34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 하에서, 이러한 유지 레버는 가동 후크가 나이프로써 하강할 때 하부 극면(S124)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선택 노즈부(216)는 블레이드(504)에 제공된 홀(508)에 맞물려서, 나이프(14)의 하향 이동에도 불구하고 궤적의 상사점에 가까운 상부 위치에서 가동 후크(13)를 표면(S216)에 의해 유지한다.
따라서, 각 유지 레버(200)의 금속 아마추어(202)는 전자석에 대한 이 유지 레버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이 전자석의 활성화에 따라 진동 축(A144)을 중심으로 전자석(100)의 극면(S122 및 S124)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나이프(14)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나이프(14)에 놓여 있는 가동 후크(13)를 선택, 즉 위쪽 위치에 유지하거나 해제, 즉 내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전자석(100)은 유지 레버(200)가 전자석과 접촉된 위치에 유지되는지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유지 레버(200)에 의해 가동 후크(13)가 파지된 상태라면, 해당 나이프(14)기 다시 그 궤적의 상사점 부근에 도달하면, 나이프(14)은 다시 본체(502)와 가동 후크의 블레이드(504)를 위쪽으로 밀고, 상기 블레이드는 레벨링의 일부로서 전자석(100)의 하부 극면(S124)과 접촉하는 유지 레버를 유지하기 위해 안내 램프(218)에 대해 다시 지지되게 된다. 가동 후크(13)는 전자석(1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전자석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거나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동 후크는 전자석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 레버를 유지하지 않고 원격 위치에서 접촉 위치로 유지 레버의 이동을 보장하며, 접촉 위치로의 유지 레버의 나머지 이동은 전자석의 활성화("호출")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 유지 레버(200)의 진동 축(A144)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는 단일 접촉 표면(S204)이 사용되어, 금속 아마추어(202)의 길이를 제1 극면 및 제 2 극면 사이에 자기 회로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최소 길이로 줄이게 된다. 특히, 금속 아마추어는 라인(L1)에 의해 표시되는 접촉 표면(S204)과 외부 인력 표면(S208) 사이의 접합부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아마추어(202)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유지 레버(200)의 관성 및 그 제조 단가를 낮추게 된다.
도 16 이하에 도시된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하, 이들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구별하는 것 위주로 설명된다.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일부에 대해 대응하는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는 도면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그 도면부호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전자석(100)의 강자성 코어(10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극면(S122)은 전자석(100)의 하부에 위치한 코어(102)의 하부 횡방향 분기부(122)에 위치하는 반면, 제2 극면(S124)은 이 전자석(10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코어(102)의 상부 횡방향 분기부(124)에 위치된다. 상기 전자석(100)이 속하는 쉐딩 기구의 작동 구조에서, 축(X100)에 평행한 이 전자석(100)의 종방향에 따라 제2 극면(S124)이 제1 극면(S122) 위에 배열된다. 전자석(100)의 프레임(104)은 쉐딩 기구의 본체(300)에 제공된 위치 설정 부재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2개의 위치 설정 리세스(145)로 관통된다. 제2 극면(S124)에는 제1 실시예의 표면(S204) 상에 형성된 스트립 및 그루브(224)에 필적하는 방식으로, 축(Z100)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들 사이의 별도의 재료 스트립을 한정하는 횡방향 그루브(125)가 노치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2개의 접촉 표면(S204)은 축(X200)에 평행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레버의 아마추어(202)에 의해 정의된 외부 인력 표면(S208)의 양측에 있는 유지 레버(200)상에서 구획된다.
또한, 레버(200)의 중간 영역에는 안내 샤프트(144)의 둘레에 개구(210)가 맞물리는 아마추어(200)의 부분(206)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아마추어(202)는 상기 부분(206)에 더하여 이 부분(206)으로부터 반대편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축(X200)에 평행하고 상기 유지 레버(200)의 비자성체(204)의 제1 부분(204A) 및 제2 부분(204A)을 각각 지지하는 두개의 분기부(205, 207)를 포함한다.
제1 부분(204A)은 선택 노즈부(216) 및 안내 램프(218)를 정의한다. 제2 부분(204B)은 2개의 접촉 표면(S204)을 정의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340)은 기본적으로 접촉 표면(S204)을 전자석(10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레버(200)가 전자석(100)과 접촉할 때, 이들 접촉 평면(S204) 중 하나, 즉 진동축(A144)에 가장 가까운 접촉 평면은 제2 극면(S124)에 대해 접촉되는 반면, 제2 진동축(A144)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접촉 평면(S204)은 프레임(104)에 의해 정의된 표면(S104)에 대해 접촉된다. 상기 표면(S104)은 단순화를 위해 전자석(100)의 일부가 생략된 도 18의 우측에만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비자성체(204)의 일 부분(204A, 204B)은 일체형이 아니기 때문에, 부분(204A)을 디스펜싱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선택 노즈부 및 유지 램프는 아마추어(202)에 직접 형성되고, EP-A-0823501에서 고려되는 바와 같이 합성 재료의 성형 후크와 상호작동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안내 샤프트(144)는 강자성 코어(102)와 일체화된 전자석(100)의 비자성 부분에 형성되지만 전자석(100)의 비자성 프레임(104)과 일체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랜지(142)를 포함하는 프레임(104)의 재료와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이러한 안내 샤프트(14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안내 샤프트(144)는 전자석(100)의 비자성 프레임(104)에 부착되고, 비자성 프레임(104) 및 플랜지(142)에 불가분하게 연결된다. 그 다음, 비자성 프레임(104)은 샤프트(144)와 코어(102)를 연결한다. 안내 샤프트(144)의 재료는 금속 또는 비자성이며 기계적 특성이 그 기능에 특히 적합한 합성 재료, 예를 들어 비자성 프레임(104) 이 아닌 세라믹 재료 또는 폴리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안내 샤프트 인서트는 코어(102)에 대한 오버몰딩 작업 동안 프레임(104)에 연결된다.
도 19 이하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비자성 프레임(104)은 중합체 재료로 사출 성형되고 강자성 코어(102)와의 조립 전에 형성된다. 실제로, 비자성 프레임(104)은 강자성 코어(102)를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정의하고, 강자성 코어는 프레임(104)의 일부이고 강자성 코어(102)에 제공된 2개의 대응하는 형상의 홀(134)을 통과하는 2개의 핀(154)에 의해 이 수용 체적의 중심에 위치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주입된 프레임은 일체형이고 그들 각각의 표면(S144, S142)에 의해 제 1 극면(S122)과 함께 제1 실시예의 것에 동일한 두개의 지지 레버의 아마추어의 부분 수용을 위한 체적(V1)을 정의하는 두 개의 안내 샤프트(144)와 두 개의 플랜지(142)를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안내 표면(S144)은 서로 일체형인 전자석의 부분(144) 상에 형성된다.
제4 실시예의 단일 하우징(3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권선을 지지하는 전자석(100)의 부분이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314) 및 2개의 유지 레버 수용 영역(316)을 정의한다. 플랜지(142) 및 안내 샤프트(144)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하우징(326)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의된 축(Y300)에 평행한 단일 하우징(300)의 횡방향에 따라 직교 기준 좌표계(X300, Y300, Z300) 내에서 리세스(314)의 양쪽에 제공된다. 나머지에 대해, 상기 하우징은 그 기하학적 구조가 도 19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전자석(100)의 기하학적 구조에 적응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하우징과 유사하다. 특히, 각각의 하우징(326)은 하우징(300) 내에 전자석이 장착된 구조에서 전자석(100)의 플랜지(142)를 둘러싸는 리브(330) 및 평면(328)에 의해 정의된다.
전자석(100)이 도 19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중간 부분(120) 주위를 감고 측면(120C, 120D)과 접촉하고 제1 실시예에서와 정의된 같이 스트립(148) 주위에 감긴 권선으로 귄취 되었을 때, 하우징(300)에 배치된 후 덮개(108)를 형성하는 다량의 폴리머 재료는 권선을 보호하고 하우징(300)의 전자석(100)을 분리할 수 없는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오버몰딩에 의해 하우징에 도입되고 전자석을 부분적으로 커버하게 된다. 하우징(300)에서의 오버몰딩 동안, 커버(108)는 극면(S122, S124)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탑재된다. 이것은 제1 실시예에 대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안내 샤프트(144) 주위의 각각의 아마추어에 제공된 홀을 맞물림으로써, 유지 레버가 하우징(300)에 위치될 수 있는 도 21의 구성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권선은 측면(120C 또는 120D) 중 하나와 스트립(148) 주위에만 접촉하고, 종방향 분기부 및 중심 스템(120) 주위에서 감겨지고, 상기 프레임은 축(Z100)을 따라 두개의 스트립(148) 사이에서 측방면(120C, 120D) 중 다른 것의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도 16 내지 도 21의 실시예에서, 전자석(100)과 접촉하는 유지 레버(200)의 접촉 구조에서,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표면(S208, S124) 또는 등가물 사이에 0이 아닌 폭의 에어 갭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유지 레버의 진동축이 제1 극면의 종방향 레벨에 배열된다는 사실은 전자석과 떨어진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 사이의 유지 레버의 어느 위치에서도, 축(A122, A144)에 방사상으로, 0 이 아닌 갭(J2)인 반경방향 폭을 가진 제 1 극면 및 가동 유지 레버의 아마추어 사이에서 상기 에어 갭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보장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갭(J2)은 아마추어와 제1 극면 사이의 에어 갭의 각도 범위에 걸쳐 가변적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접촉 표면은 유지 레버가 전자석에 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유지 레버와 제2 극면 사이에서 축(Y100, Y200 및 Y300)에 평행하게 측정된 갭(J1)과 동일한 폭의 에어 갭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접촉 평면이 전자석이 아닌 유지 레버에 있기 때문에 안내 램프 및 선택 노즈부에 대한 위치가 전자석에 상기 표면이 제공된 경우보다 특히 더 정확하며 매우 정밀하게 정의된다. 또한 유지 레버에 접촉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유지 레버 자체보다 제작이 더 번거롭고 복잡한 부품인 전자석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플랜지(142)를 전자석(100)의 비자성 하우징(104)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축(Z100, Z200, Z300)과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 레버(200)와 강자성 코어(102) 사이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것은 유지 레버(200)와 전자석(100) 사이의 에어 갭을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전자석(100)에 안내 표면(S144)을 정의함으로써, 전자석을 일체형 하우징(300)에 설치하기 전에 테스트 홀드-다운 레버에 의해 전자석이 적절한 작동에 대해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전자석(100)의 제1극면(S122)을 진동축(A144)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각 유지 레버(200)와 강자성 코어(102) 사이의 공극을 제어하여, 각도 α, α1 및 α2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횡방향 평면(P144)에 대하여 실린더의 일부분을 분배함으로써 제 1 극면(122)을 형성하는 실린더의 일부분의 각도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이 레벨에서 달성된 에어 갭의 기하학적 정밀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됨에 따라, 실린더의 일부 및 안내 샤프트(144)의 외경에서 에어 갭의 각도 진폭이 감소될 수 있다.
커버(108)가 제공된 전자석(100)이 일체형 하우징(300)에 끼워지는 본 발명의 처음 3가지 실시예에서, 하우징에서 오버몰딩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는 쉐딩 기구(7)의 이 부분의 제조를 단순화하고, 하우징(300)이 상대적으로 얇고 장형의 부분이기 때문에 더욱 유리하게 더 넓은 공차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처음 3가지 실시예에서, 최소의 또는 전혀 간극 없이 형상 체결 상호 작동에 의해 단일 하우징(300)에 전자석(100)을 장착하는 것은 구현하기 쉽고 쉐딩 기구의 분해와도 양립가능하다. 따라서, 안내 샤프트(144)가 마모되는 경우, 단일 하우징(300) 또는 그 내부에 포함된 다른 부재를 변경하지 않고도 그것이 속하는 전자석(10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리세스(314)의 존재 및 권선(106)이 강자성 코어(102)의 중앙 스템(120)의 측면(120C, 120D)과 직접 접촉한다는 사실은 축(Z300)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전자석(100)이 장착된 각각의 단일 하우징(300)에 대해 우수한 콤팩트 형태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일 하우징의 각 측면 상의 편향기의 오프셋은 이들이 유지 레버의 각각의 횡방향 측면 상에서 상대적으로 긴 에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얻어진 밀봉성을 개선하게 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쉐딩 기구(7)의 선택 장치(400)의 장착된 구성에서, 서로 일치하는 축(X100, X300)에 나란한 쉐딩 기구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극면(S122)이 제2 극면(S124)에 대해 오프셋된다. 권선은 길이 방향으로 제1 극면(S122)과 제2 극면(S124) 사이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전자석(100) 상에 형성되고 유지 레버(200)와 상호작동하는 안내 표면은 이러한 유지 레버(200)의 외부에 배열된 표면, 즉 이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면이다. 이러한 안내 표면은 진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예를 들어 전자석(100)의 코어 반대편을 중심으로 하는 레버(200)의 원통형 외부 반경방향 표면을 향하 실린더의 일부 형태의 오목한 표면일 수 있다. 이것은 도에 표시된 것과 같은 미러 구조이다. 모든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내 표면은 전자석의 임의의 극면으로부터 분리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4)에 위치된다. 레버의 진동 축이 제1 극면의 레벨에 있을 때, 안내 표면과 레버의 원통형 외부 반경 방향 표면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제1 극면과 레버의 마주보는 표면 사이의 에어 갭의 크기보다 훨씬 작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석(100)은 그 안내 샤프트(144)가 플랜지(142)로부터 전자석(100)을 수용하는 하프-쉘(302)의 바닥(303)을 향해 연장하도록 단일 하우징(300)에 장착될 수 있다. 유지 레버(200)의 종방향 단부(206)는 플랜지(142)와 전자석(100)을 수용하는 하프쉘(302)의 바닥(302) 사이에 수용된다. 각각의 안내 샤프트(144)의 샤프트의 자유 단부(144E)는 제1 실시예의 리세스된 하우징(344)에 비교되는 리세스된 하우징과 상호작동하며, 이는 제2 인접한 하우징이 아니라 전자석(100)이 수용되는 하우징(300)의 바닥(303)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중심 핀(146)에 비교하는 중심 핀이 단일 하우징(300)에 제공되는 반면, 리세스(320)에 비교하는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는 전자석, 바람직하게는 비자성 프레임(104)에 제공된다. 이것은 제1 실시예에서 요소(146, 320)의 협력과 유사하게 하우징(300)에 전자석(10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진동 축(A144)은 축(Z100)에 평행한 방향이 아니라 축(Y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142)는 바람직하게는 축(X100 및 Z100)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2-위치 기구 연결에서, 하우징은 각각 2개의 안내 샤프트를 정의하는 2개의 전자석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전자석은 예를 들어 EP-B-161927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중첩되어, 직조되는 소위 "평평한" 직물이 아닌 직물을 가능하게 하도록 종광의 3개 또는 4개의 위치를 허용하게 된다. 선택 장치는 2개 이상의 가동 후크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동 후크는 쌍으로 단일 코드와 일체로 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하나의 가동 후크(13) 또는 2개 이상의 가동 후크가 하우징(30)에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고려된 실시예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7: 쉐딩 기구
13: 가동 후크
100: 전자석
102: 강자성 코어
200: 유지 레버
202: 아마추어
13: 가동 후크
100: 전자석
102: 강자성 코어
200: 유지 레버
202: 아마추어
Claims (16)
- 종방향(X100, X200, X300)을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300), 및 후크가 선택 장치(400)에 의해 유지되는 곳 또는 그 근처에서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종방향을 따라 나이프(14)에 의해 하우징으로 이동하게 되는 가동 후크(13)를 포함하는 자카드형 직기(M)의 쉐딩 기구(7)로서, 상기 선택 장치는, 적어도,
- 하우징(30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전자석(100)으로서, 상기 전자석은,
o 종방향(X100, X200, X300)에 따라 서로 오프셋되는 제1 극면(S122)과 제2 극면(S124)을 포함하는 강자성 코어(102); 및
o 상기 강자성 코어와 일체화된 비자성 부분(104, 106, 108, 110);을 포함하는, 전자석;
- 가동 후크가 상사점 위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을 때 가동 후크를 유지하도록 된 유지 레버(200)로서, 상기 유지 레버는 전자석에서 떨어져 있는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A14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진동 축에 대한 유지 레버의 각도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극면 및 제 2 극면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강자성 아마추어(202)를 구비하는, 유지 레버;를 포함하는 자카드 형 직기의 쉐딩 기구에 있어서,
-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진동 축(A144)을 중심으로 유지 레버(200)의 회전 운동을 위한 안내 표면(S144)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표면은 떨어져 있는 위치와 접촉한 위치 사이에서 진동 축(A144)에 반경 방향으로 유지 레버와 상호작동하며,
안내 표면(S144)은 진동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베이스가 있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S144)은 상기 유지 레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S144)이 연장되는 플랜지(142)를 포함하고, 유지 레버의 일 부분(206)을 수용하기 위한 체적(V1)은 안내 표면(S144)에 의해 진동 축(A144)에 반경방향을 따라 그리고 플랜지(142)에 의해 진동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S144)은 상기 유지 레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이며, 상기 플랜지(142)는 안내 샤프트(144)의 일단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표면(S144)은 상기 유지 레버(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 샤프트(144)의 외주면이며, 상기 하우징(300)은 선택 장치(400)를 수용하기 위한 하프-셸(302) 및 커버(308)로 형성되며, 상기 하프-셸과 커버는 종방향에 수직인 하우징의 제2 방향(Z300)으로 적층되고, 진동축(A144)은 하우징의 제2 방향(Z300)으로 연장되며, 하프-쉘(302) 또는 커버(308)는 안내 샤프트(144)에 상보적인 형태의 리세스된 하우징(344, 336) 및 중공의 하우징 주위에 형성된 환형 표면(338)을 형성하며, 플랜지(142)의 맞은편의 안내 샤프트(144)의 자유 단부(144E)는 중공의 하우징(344) 내에서 맞물리고 하우징의 제 2 방향(Z300)에 따라 중공의 하우징의 바닥(346)에 대하여 가압되며, 유지 레버(200)의 일 부분(206)은 상기 하우징의 제 2 방향(Z300)에 따라 플랜지 및 환형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자성 코어(102)의 제1 극면(S122)은 진동 축(A144)에 중심이 맞추어진 실린더의 일부이며, 유지 레버의 아마추어(202)의 일부는 진동 축(A144)에 반경방향으로 제1 극면(S122) 및 안내 표면(S144) 사이에 개재되며, 안내 표면(S144) 및 유지 레버의 상호 작동시에 유지 레버의 접촉한 위치와 떨어져 있는 위치 사이에서 제 1 극면(S122) 및 아마추어 간에 접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면(S122)은 상기 진동축(A144)을 통과하고 종방향(X100, X200, X300)에 수직인 횡방향 평면(P144)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한편으로 제2 극면(S124)과 동일한 측 상에서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위치된 제 1 극면의 일부(S122A)의 각도 진폭(α1) 및 다른 한편으로 제 1 극면의 전체 각도 진폭(α) 간의 비율은 0.2 내지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 6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제2 극면(S124)과 동일한 측 상에서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위치된 제 1 극면의 일부(S122A)의 각도 진폭(α1) 및 다른 한편으로 제 1 극면의 전체 각도 진폭(α) 간의 비율은 0.3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레버(200)의 아마추어(202)는 유지 레버가 전자석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2 극면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인력 표면(S208)을 포함하며, 유지 레버(200)는 아마추어와 일체로 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 표면(S204)을 포함하는 비자성체(204)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 표면은,
·외부 인력 표면S208)에 인접하며,
·외부 인력 표면에 대해 전자석(100) 방향으로 돌출되며,
·유지 레버가 전자석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에서 떨어져 있으며,
·유지 레버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과 접촉하며,
유지 레버가 전자석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인력 표면(S208)은 제2 극면(S12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S144)을 포함하고 강자성 코어(102) 상에 오버몰딩된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진 프레임(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은 종방향(X300)에 수직인 하우징의 방향(Z300)에 따라 중심 하우징(320)에 중심 핀(146)의 끼워맞춤한 형태의 상호작동에 의해 하우징(3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의 비자성 부분은 안내 표면(S144)을 구비하는 프레임(104)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강자성 코어(102)와 조립되기 이전에 형성되며, 소정의 량의 중합체 재료(108)는 하우징(300)에 전자석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및 프레임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 장치(400)는 하우징(300)의 동일한 종방향 레벨로 종방향(X100, X200, X300)에 수직한 방향(Y300)에 따라 전자석의 각 측면에 배치되고, 강자성 코어(102)의 두개의 하부 극면(S124) 중 하나 그리고 상부 극면(S122) 중 하나와 각각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유지 레버(200)를 포함하며, 유지 레버와 상호작동하는 안내면(S144)은 서로 일체로 된 전자석의 부분(144)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100)의 권선(106)이 제1 극면 및 제2 극면 사이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강자성 코어(102)의 중간 부분(120) 주위에 권취되고, 강자성 코어(10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20C, 120D)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레버의 제1 종방향 단부(206)의 표면(S210)은 떨어져 있는 위치와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서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안내 표면(S144)과 상호작동하며, 기구의 작동 구조에서, 유지 레버(200)는 종방향(X100, X200, X300)에 따라 제1 종방향 단부(206)로부터 일반적으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의 쉐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쉐딩 기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카드형 직기(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2013853 | 2020-12-21 | ||
FR2013853A FR3118070B1 (fr) | 2020-12-21 | 2020-12-21 |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de type jacqu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9672A true KR20220089672A (ko) | 2022-06-28 |
Family
ID=7466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2809A Pending KR20220089672A (ko) | 2020-12-21 | 2021-12-20 | 쉐딩 기구 및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자카드 직조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702771B2 (ko) |
EP (1) | EP4015687B1 (ko) |
KR (1) | KR20220089672A (ko) |
CN (1) | CN114645362A (ko) |
FR (1) | FR3118070B1 (ko) |
PT (1) | PT4015687T (ko) |
TW (1) | TW20223392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77372B2 (ja) * | 2020-06-04 | 2024-05-01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 |
JP7384747B2 (ja) * | 2020-06-04 | 2023-11-21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 |
JP7401397B2 (ja) * | 2020-06-04 | 2023-12-19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 |
JP2024075012A (ja) * | 2022-11-22 | 2024-06-03 | 津田駒工業株式会社 | 織機における経糸ビームの中受け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473251A (de) * | 1967-04-21 | 1969-05-31 | App Fabrik Ag | Verfahren zum Betätigen von Platinen einer Jaquardmaschine oder von Stanznadeln einer Jaquardkartenschlagmaschine |
FR2249196B1 (ko) * | 1973-10-29 | 1977-05-27 | Verdol Sa | |
GB8827141D0 (en) * | 1988-11-21 | 1988-12-29 | Bonas Machine Co | Heald control device |
GB8902849D0 (en) * | 1989-02-09 | 1989-03-30 | Bonas Machine Co | Heald rod retention system for use with an electronic jacquard system |
IT1238334B (it) * | 1990-01-23 | 1993-07-12 | Dispositivo elettromagnetico a struttura modulare, attuabile tramite elaboratore, per la selezione programmata e la relativa alzata dei fili di ordito nella produzione di tessuti operati | |
US5275211A (en) * | 1990-09-07 | 1994-01-04 |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 Electromagnetically activated jacquard control arrangement |
DE4116164A1 (de) * | 1991-03-13 | 1992-09-17 | Textilma Ag | Fachbildevorrichtung fuer eine textilmaschine |
JPH0784688B2 (ja) * | 1993-11-30 | 1995-09-13 | 伊藤忠テクスマック株式会社 | ジャカード機の経糸選択制御装置 |
FR2752246B1 (fr) | 1996-08-06 | 1998-10-09 | Staubli Lyon | Procede et dispositif de selection des crochets mobiles d'un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du type jacquard |
FR2756574B1 (fr) | 1996-11-29 | 1999-01-08 | Staubli Lyon | Dispositif de selection, mecanique d'armure a trois position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d'armure |
FR2767843B1 (fr) | 1997-09-01 | 1999-10-22 | Staubli Lyon | Dispositif de selection, mecanique d'armure a trois position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d'armure |
BE1013788A3 (nl) * | 2000-10-25 | 2002-08-06 | Wiele Michel Van De Nv | Takelloze gaapvormings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
FR2846343B1 (fr) | 2002-10-25 | 2004-12-17 | Staubli Lyon |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mecanisme |
FR2873131B1 (fr) * | 2004-07-19 | 2006-09-08 | Staubli Lyon Sa |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mecanique d'armure a trois positions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mecanique |
FR2900666B1 (fr) | 2006-05-03 | 2008-06-20 | Staubli Lyon Soc Par Actions S |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metier a tisser equipe d'un tel mecanisme et procede de selection des crochets mobiles d'un tel mecanisme |
-
2020
- 2020-12-21 FR FR2013853A patent/FR3118070B1/fr active Active
-
2021
- 2021-12-15 US US17/551,583 patent/US11702771B2/en active Active
- 2021-12-16 TW TW110147125A patent/TW202233922A/zh unknown
- 2021-12-20 KR KR1020210182809A patent/KR20220089672A/ko active Pending
- 2021-12-21 PT PT212165815T patent/PT4015687T/pt unknown
- 2021-12-21 CN CN202111586172.8A patent/CN114645362A/zh active Pending
- 2021-12-21 EP EP21216581.5A patent/EP4015687B1/fr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645362A (zh) | 2022-06-21 |
US11702771B2 (en) | 2023-07-18 |
PT4015687T (pt) | 2023-10-30 |
FR3118070A1 (fr) | 2022-06-24 |
TW202233922A (zh) | 2022-09-01 |
EP4015687B1 (fr) | 2023-10-18 |
EP4015687A1 (fr) | 2022-06-22 |
US20220195641A1 (en) | 2022-06-23 |
FR3118070B1 (fr) | 2022-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89672A (ko) | 쉐딩 기구 및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자카드 직조기 | |
US4593723A (en) | Heald control apparatus | |
KR100643213B1 (ko) | 제직기상에 셰드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 회전 액추에이터, 제직시스템 및 제직기 | |
KR101132252B1 (ko) | 쉐드 형성 기구 및 이러한 기구가 장착된 직기 | |
KR20220089674A (ko) | 쉐딩 기구 및 이러한 기구를 구비한 자카드 직조기 | |
US11538647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H06104942B2 (ja) | ヘルド制御システム | |
CA1299619C (en) |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
US20030016104A1 (en) | Relay | |
US9394635B2 (en) | Weft feeder for weaving looms | |
US4139027A (en) | Jacquard machine for a weaving machine | |
CN101469484B (zh) | 横机的选针装置 | |
KR19980026544A (ko) | 편향요크의 코일 권형 | |
CN218786691U (zh) | 分绞机用分线机构 | |
CN105887307A (zh) | 一种可独立安装的压电贾卡梳 | |
CN102099518B (zh) | 提花机的针钩的选针和引导主体 | |
EP1271593A2 (en) | Relay | |
KR20010028662A (ko)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
KR200172171Y1 (ko) |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 |
CN119686020A (zh) | 一种基于薄型滑轮组的高密度选针装置及其组件 | |
KR20240054755A (ko) | 솔레노이드 밸브 | |
KR820001402Y1 (ko) | 전자 접촉기 | |
JPH03180545A (ja) | 織機の緯糸係止ピン装置 | |
HK1010566B (en) | Hook selection device for a weaving loom dobby head | |
JPH0629118A (ja) | 揺動式アクチュエ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