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59402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402A
KR20220059402A KR1020210133694A KR20210133694A KR20220059402A KR 20220059402 A KR20220059402 A KR 20220059402A KR 1020210133694 A KR1020210133694 A KR 1020210133694A KR 20210133694 A KR20210133694 A KR 20210133694A KR 20220059402 A KR20220059402 A KR 2022005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nnet
tractor
attached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 타케이
켄토 아이바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40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05Damping of vibrations; Means for reducing wind-induced fo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9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in or on other locations inside the vehicle or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과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은 엔진(15)과, 엔진(15)을 덮는 보닛(6)과,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40)과,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어 안테나 유닛(40)을 지지하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안테나 프레임(50)은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고, 보닛(6)의 양측방에 설치되는 측방 프레임(51)과, 안테나 유닛(40)이 부착되고, 측방 프레임(5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방 프레임(5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을 보닛의 상부에 부착하는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7-161987호 공보
그러나 보닛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고, 부드러운 소재가 사용되어 있으며, 주행 중에 진동하기 쉬워 안테나 유닛이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그 때문에 상기 작업 차량에서는 안테나 유닛에 의한 측위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은 엔진(15)과, 엔진(15)을 덮는 보닛(6)과,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40)과,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어 안테나 유닛(40)을 지지하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안테나 프레임(50)은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고, 보닛(6)의 양측방에 설치되는 측방 프레임(51)과, 안테나 유닛(40)이 부착되고, 측방 프레임(5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방 프레임(52)을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실시형태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설명도이며, 작업 차량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의 개시하는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인 트랙터(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1)의 설명도이며, 트랙터(1)의 개략 측면도이다.
트랙터(1)는 자주(自走)하면서 포장 등에서 작업을 행하는 농업용 트랙터이다. 또한, 트랙터(1)는 조종자(작업자라고도 한다)가 탑승해서 포장 내를 주행하면서 소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트랙터(1)의 전후 방향이란 트랙터(1)의 직진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트랙터(1)의 전진 방향이란 트랙터(1)의 직진 방향에 있어서 운전석(8)으로부터 스티어링 휠(9)로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그 반대를 후진(후퇴)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트랙터(1)의 전후는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여기에서는 전후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좌우를 규정한다. 즉, 운전자(D)가 운전석(8)에 앉아서 전방을 향한 상태로 왼손측이 「좌」, 오른손측이 「우」이다. 또한,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서로 3차원으로 직교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주행 차체(2)를 구비한다. 또한, 트랙터(1)의 후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가 연결 가능하다. 주행 차체(2)는 차체 프레임(3)과, 전륜(4)과, 후륜(5)과, 보닛(6)과, 조종부(7)와, 미션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3)은 주행 차체(2)의 메인 프레임이다.
전륜(4)은 좌우 1쌍이며,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륜(5)은 좌우 1쌍의 구동륜이며,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륜(4)에 대해서도 구동륜으로 하는 사륜 구동(4WD)으로 할 수도 있다.
후륜(5)의 상부는 펜더(22)로 덮여 있으며, 펜더(22)의 후방부에는 작업자(D)(운전자(D))가 승강 시에 파지할 수 있는 그립(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펜더(22)에 있어서의 그립(28)의 하방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PTO(Power Take-off) 스위치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 PTO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PTO 클러치의 개폐 동작을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후륜(5) 대신에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를 설치해서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장치는 크롤러를 갖는 크롤러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1쌍이며,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위치한다. 주행 장치는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과 복수의 장설륜(張設輪) 사이에 고무 크롤러를 길게 설치하고 있다.
보닛(6)은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닛(6)은 후방부를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개폐) 가능하다. 보닛(6)은 전방부를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도 좋다. 보닛(6)은 폐쇄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3) 상에 탑재된 엔진(15)을 덮는다. 엔진(15)은 트랙터(1)의 구동원이며, 디젤 기관이나 가솔린 기관 등의 열기관이다. 예를 들면 보닛(6)은 수지제이다. 또한, 보닛(6)은 얇은 판형상이다.
조종부(7)는 주행 차체(2)의 상부에 형성되고, 운전석(8)이나 스티어링 휠(9), 플로어 스텝(11) 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조종부(7)는 캐빈 등을 구비하지 않은 해방형이며, 후방부에 안전 프레임(29)이 경도(傾倒)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2) 상에 설치한 캐빈 내에 조종부(7)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운전석(8)은 운전자(D)가 착좌하는 좌석이다. 스티어링 휠(9)은 운전자(D)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전륜(4)을 조타할 수 있다. 또한, 조종부(7)는 스티어링 휠(9)의 전방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다.
또한, 운전석(8)의 하부에는 모터 드라이버나, 메인 하니스, 인터페이스 유닛, 직진 컨트롤러 유닛 등의 각종 제어 장치나 배선 등이 수용된다.
플로어 스텝(11)은 운전자(D)가 발을 두기 위한 수평형상의 부재이며, 조종부(7)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조종부(7)는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크 페달이나, 액셀 페달, 클러치 페달 등의 각종 조작 페달이나, 전후진 레버, 액셀 레버, 주변속 레버, 부변속 레버 등의 각종 조작 레버를 구비한다. 운전자(D)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제동 장치가 작동하고, 전륜(4) 및 후륜(5)의 회전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0)는 운전석(8)의 하방에 위치하고, 트랜스미션(변속 장치)을 수용하고 있다. 트랜스미션은 엔진(15)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회전 동력)을 적당히 감속해서 후륜(5)이나 PTO축으로 전달한다.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는 포장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가 연결되고, 작업기를 구동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PTO축이 미션 케이스(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PTO축은 트랜스미션에 의해 적당히 감속된 회전 동력을 주행 차체(2)의 적어도 후방부에 장착된 작업기로 전달한다. 또한, 작업기는 포장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대지 작업기이며,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 등의 각종 작업기를 교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는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가 설치된다.
승강 장치는 작업기를 상승시킴으로써 작업기를 비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승강 장치는 작업기를 하강시킴으로써 작업기를 대지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승강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와, 리프트 암과, 리프트 로드와, 로어 링크와, 톱 링크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는 밸런스웨이트(3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밸런스웨이트(33)는 차체 프레임(3)의 전단에 부착된다. 밸런스웨이트(33)는 보닛(6)의 하방에 설치된다.
안전 프레임(29)은 트랙터(1)의 전도 시에 운전자(D)를 보호하는 ROPS이다. 안전 프레임(29)의 상단에는 운전석(8)의 상방을 덮는 루프(30)가 설치된다.
또한, 트랙터(1)는 주행 차체(2)의 위치 정보를 측위하는 측위 장치(안테나 유닛)(40)와, 측위 장치(40)를 지지하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측위 장치(40)는, 예를 들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며, 상공을 주회하고 있는 항법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해서 측위 및 계시(計時)를 행할 수 있다. 측위 장치(4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중심축 상에 설치된다.
또한, 측위 장치(40)는 보닛(6)에 수용되는 라디에이터보다 전방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측위 장치(40)에 대한 보닛(6) 내의 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장치(40)는 보닛(6)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상방에 설치된다. 또한, 측위 장치(40)는 등화 장치(35)의 상방에 설치된다. 등화 장치(35)는 주행 차체(2)의 전방 및 비듬히 전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나, 방향 지시기 등을 포함한다.
이어서, 안테나 프레임(50)에 대해서 도 1~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안테나 프레임(50)은 측방 프레임(51)과, 상방 프레임(52)과, 회동 플레이트(53)와, 고정 플레이트(54)와, 고정 부재(55)와, 부착 브래킷(56)을 구비한다.
측방 프레임(51)은 보닛(6)의 양측방에 설치된다. 즉, 측방 프레임(51)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닛(6)을 사이에 두도록 1쌍 설치된다. 측방 프레임(51)의 하단은 부착 브래킷(56)에 부착된다. 측방 프레임(51)은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방 프레임(51)은 부착 브래킷(56) 및 밸런스웨이트(33)를 통해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된다.
측방 프레임(51)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등화 장치(35)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방 프레임(51)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등화 장치(35)와 겹치지 않도록 만곡해서 등화 장치(35)의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측방 프레임(51)의 상단측은 전방을 향해서 만곡한다.
또한, 측방 프레임(51)은 보닛(6)을 회동(개폐)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된다. 즉, 측방 프레임(51)은 보닛(6)이 회전될 경우에 보닛(6)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방 프레임(52)은 1쌍의 측방 프레임(51)의 상부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방 프레임(52)은 고정 플레이트(54), 회동 플레이트(53), 및 고정 부재(55)를 통해 1쌍의 측방 프레임(51)의 상부를 연결한다.
상방 프레임(5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방 프레임(52)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2개 설치된다.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일방의 단부는 고정 플레이트(54)에 연결된다.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타방의 단부는 회동 플레이트(53)에 연결된다.
상방 프레임(52)은 보닛(6)의 전방 부근에 설치된다. 상방 프레임(52)에는 측위 장치(40)가 부착된다.
회동 플레이트(53)는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단부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회동 플레이트(53)는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각 우단을 연결한다. 회동 플레이트(53)는 일방의 측방 프레임(51), 예를 들면 우측 방향의 측방 프레임(51)의 상방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고정 플레이트(54)는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단부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회동 플레이트(53)는 2개의 상방 프레임(52)의 각 좌단을 연결한다. 고정 플레이트(54)는 고정 부재(55)에 의해 타방의 측방 프레임(51), 예를 들면 좌측 방향의 측방 프레임(51)의 상방측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고정 부재(55)는, 예를 들면 부착 나사이며, 고정 플레이트(54)와, 타방의 측방 프레임(51)의 연결 상태를 스위칭한다. 고정 부재(55)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54)가 측방 프레임(51)에 고정됨으로써 상방 프레임(52)은 타방의 측방 프레임(51)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55)에 의한 고정 플레이트(54)의 측방 프레임(51)의 고정이 해제되면 회동 플레이트(53)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방 프레임(52)을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4)가 일방의 측방 프레임(51)보다 우측 방향측이 되도록 상방 프레임(52)을 상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보닛(6)을 개방할 수 있다.
부착 브래킷(56)은 밸런스웨이트(33)의 양 측면 및 전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부착 브래킷(56)은 밸런스웨이트(33)의 후방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부착부와, 밸런스웨이트(33)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부착부를 구비한다. 부착 브래킷(56)은 밸런스웨이트(33)의 전방면, 하면, 및 후방면에 볼트(60a, 60b, 60c)에 의해 부착된다. 부착 브래킷(56)은 복수의 부재, 예를 들면 3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부착 브래킷(56)은 1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부착 브래킷(56)에는 전면에 복수의 부착 구멍(56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의 전방면에 작업기를 부착할 수 있다. 트랙터(1)의 전방면에 부착되는 작업기는, 예를 들면 약제 살포기의 약제 탱크 등이다.
이어서,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랙터(1)는 엔진(15)과, 엔진(15)을 덮는 보닛(6)과,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측위 장치(40)와,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어 측위 장치(40)를 지지하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안테나 프레임(50)은 차체 프레임(3)에 고정되고, 보닛(6)의 양측방에 설치되는 측방 프레임(51)과, 측위 장치(40)가 부착되고, 측방 프레임(5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방 프레임(5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강성이 높은 차체 프레임(3)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트랙터(1)는 주행 중에 안테나 프레임(50) 및 측위 장치(4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측위 장치(40)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고, 주행 차체(2)의 흔들림에 대한 측위 장치(40)의 진동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트랙터(1)는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방 프레임(52)은 보닛(6)의 전방 부근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엔진(15)의 열에 대한 측위 장치(40)의 영향을 억제하고,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트랙터(1)는 보닛(6)의 하방에 설치되고, 차체 프레임(3)에 부착되는 밸런스웨이트(33)를 구비한다. 측방 프레임(51)은 밸런스웨이트(33)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중량이 크고, 흔들리기 어려운 밸런스웨이트(33)에 안테나 프레임(50)을 부착함으로써 진동을 억제하고,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트랙터(1)는 측방 프레임(51)이 부착되고, 밸런스웨이트(33)의 전방면, 하면, 및 후방면에 부착되는 부착 브래킷(5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1)에서는 밸런스웨이트(33)에 3방향으로부터 부착 브래킷(56)이 부착됨으로써 밸런스웨이트(33)에 대하여 부착 브래킷(56)이 강고하게 부착된다. 그 때문에 트랙터(1)는 안테나 프레임(50)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안테나 프레임(50)의 진동 및 측위 장치(40)의 진동을 억제하고,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방 프레임(52)은 일방의 측방 프레임(5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방의 측방 프레임(51)과의 연결을 해제 가능한 고정 부재(55)에 의해 타방의 상기 측방 프레임(5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에서는 상방 프레임(52)이 상방으로 회동됨으로써 보닛(6)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트랙터(1)는 측위 장치(40)에 의한 측위 정밀도를 향상하면서 보닛(6)이 개폐 가능해진다.
측방 프레임(51)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등화 장치(35)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등화 장치(35)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측방 프레임(51)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방 프레임(51)은 등화 장치(35)를 따라 만곡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등화 장치(35)의 형상에 맞춰 측방 프레임(51)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측방 프레임(51)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추가적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작업 차량)
2: 주행 차체
3: 차체 프레임
6: 보닛
15: 엔진
33: 밸런스웨이트
35: 등화 장치
40: 측위 장치(안테나 유닛)
50: 안테나 프레임
51: 측방 프레임
52: 상방 프레임
53: 회동 플레이트
54: 고정 플레이트
55: 고정 부재
56: 부착 브래킷

Claims (7)

  1. 엔진과,
    상기 엔진을 덮는 보닛과,
    위성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과,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안테나 유닛을 지지하는 안테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보닛의 양측방에 설치되는 측방 프레임과,
    상기 안테나 유닛이 부착되고, 상기 측방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방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프레임은 상기 보닛의 전방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 부착되는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 프레임은 상기 밸런스웨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밸런스웨이트의 전방면, 하면, 및 후방면에 부착되는 부착 브래킷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프레임은 일방의 상기 측방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방의 상기 측방 프레임과의 연결을 해제 가능한 고정 부재에 의해 타방의 상기 측방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은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등화 장치와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은 상기 등화 장치를 따라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210133694A 2020-11-02 2021-10-08 작업 차량 Pending KR202200594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3857 2020-11-02
JP2020183857A JP7517084B2 (ja) 2020-11-02 2020-11-02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402A true KR20220059402A (ko) 2022-05-10

Family

ID=8136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694A Pending KR20220059402A (ko) 2020-11-02 2021-10-08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517084B2 (ko)
KR (1) KR20220059402A (ko)
CN (1) CN1144475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17485B1 (ja) 2023-01-06 2024-07-17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987A (ja) 2016-03-07 2017-09-1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走行領域形状登録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8265B2 (ja) 2014-06-26 2018-10-17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
JP6512764B2 (ja) 2014-07-17 2019-05-15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6960865B2 (ja) 2017-12-18 2021-11-05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JP7193379B2 (ja) 2018-03-23 2022-12-2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田植機
JP7314006B2 (ja) 2019-09-26 2023-07-25 株式会社クボタ 乗用管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987A (ja) 2016-03-07 2017-09-1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走行領域形状登録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47562A (zh) 2022-05-06
JP7517084B2 (ja) 2024-07-17
JP2022073704A (ja)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9402A (ko) 작업 차량
JP2021094964A (ja) 作業車両
JP2009083525A (ja) 作業車両
JP2012051517A (ja) トラクタ
US11370289B2 (en) Work vehicle
US11607955B2 (en) Work vehicle
JP2021165064A (ja) 作業車
JP7396234B2 (ja) 作業車両
JP2024033196A (ja) 作業車両
JP2022095323A (ja) 作業車両
JPH09254833A (ja) 無限軌道走行体を備えた歩行、乗用兼用型の作業車輌
JP3425789B2 (ja) 乗用管理機
WO2006132124A1 (ja) 乗用型田植機
JP2024070660A (ja) 作業車
JP2024140228A (ja) 作業車両
JP4598571B2 (ja) 乗用田植機
JP6766729B2 (ja) 作業車両
JP2024070661A (ja) 作業車
CN116946241A (zh) 作业车辆
CN117048707A (zh) 作业车辆
JP2000255465A (ja) トラクター
JPS621789Y2 (ko)
JP2020199791A (ja) 作業車両
JPH0345900Y2 (ko)
JPS61202950A (ja) 移動農機のステ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