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32077A -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077A
KR20220032077A KR1020227003966A KR20227003966A KR20220032077A KR 20220032077 A KR20220032077 A KR 20220032077A KR 1020227003966 A KR1020227003966 A KR 1020227003966A KR 20227003966 A KR20227003966 A KR 20227003966A KR 20220032077 A KR20220032077 A KR 2022003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antigen
ser
binding frag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73187B1 (ko
Inventor
자오위 진
윤 리
펭 리
나이판 후오
시우메이 진
리 렌
쩌시안 얀
Original Assignee
퓨쳐진 바이오파머쓰티컬 (베이징)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쳐진 바이오파머쓰티컬 (베이징)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퓨쳐진 바이오파머쓰티컬 (베이징)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3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1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84Cells of the urinary tract or kidneys
    • C12N5/0686Kidne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C07K2317/41Glycosylation, sialylation, or fucos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2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07K2317/734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CD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800/00Nucleic acids vectors
    • C12N2800/10Plasmid DNA
    • C12N2800/106Plasmid DNA for vertebrates
    • C12N2800/107Plasmid DNA for vertebrates for mammalia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On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CLDN18.2-결합 항체 및 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가 제공된다. 또한, 항체, 접합체, 및 상기 항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암과 같은 질병의 치료에 있어 이들의 용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본 출원은 2019년 7월 12일에 출원된,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를 발명의 명칭으로 하는 중국 특허 출원 번호 CN 201910628018.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개시는 이의 전문이 본 출원의 일부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면역요법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CLDN18.2 및 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고, 또한, 질병, 특히 암의 치료에 있어 항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위암 및 식도암을 포함한 상부 위장관 종양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악성 종양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위암은 특히 중국에서 발생률이 높고, 전 세계 신규 위암 사건의 거의 42%가 중국에서 발생했다. 조기 진단의 부족으로 인해, 위암 환자의 약 80%는 진단을 받았을 때 이미 진행된 단계에 있다. 위암은 기존의 화학요법 약물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진행된 위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극히 낮고, 중국에서 3번째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몇 년 동안의 연구는 위암에 특이적인 표적화 요법을 찾는데 전념하고 있다.
클라우딘(claudin) 패밀리 단백질은 상피 세포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밀착 접합 구조의 주요 성분이다. 클라우딘 패밀리의 다른 단백질 구조와 유사하게, CLDN18.2는 약 27.8 kd의 분자량을 갖는 막 단백질로서, 4개의 막관통 부위 및 2개의 비교적 짧은 세포외 부위(EC1 및 EC2)를 가진다. 클라우딘 패밀리의 다른 단백질들과 달리, 정상 조직에서, CLDN18.2는 위의 고도로 분화된 상피 세포에서만 매우 특이적으로 발현된다(Tureci O , Gene, 2011). 위 상피 세포에서 유래된 종양 중, 높은 비율의 종양 세포가 표면 상에서 CLDN18.2를 발현한다. 위암 세포의 림프절 및 기타 조직 전이에서도, 높은 수준의 CLDN18.2 발현이 검출될 수 있다(Woll S. , Int. J. Cancer, 2013). 위암 외에, CLDN18.2는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식도암, 췌장암 등으로부터의 종양 세포에서도 높은 비율로 발현된다. 특이적 표면 마커로서, CLDN18.2는 암 치료의 잠재적 표적이 되었다. CLDN18.2에 대한 고효율 항체 약물의 개발은 다양한 암의 치료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며, 응용 가능성과 시장 가치가 크다.
종양 세포를 사멸하는 치료학적 단일클론 항체의 주요 작용 기전 중 하나는 ADCC 효과(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이다. 치료학적 항체의 항원 인식 세그먼트(Fab)가 종양 세포 표면 상의 특정 항원에 결합한 후에, 이펙터 세포의 세포 사멸 활성은 항체 불변 부위(Fc)가 FC 수용체(FcγR)를 발현하는 이펙터 세포에 결합함으로써 활성화되고, 그랜자임(granzyme) 및 퍼포린(perforin)을 포함하는 세포독성 매개체를 분비시켜, 궁극적으로 표적 세포(종양 세포)의 용해 및 파괴를 초래한다. 항원에 대한 항체 결합의 강도, 항원 발현의 풍부도, 및 항체의 FC 부위가 이펙터 세포 표면 상의 FC 수용체에 결합하는 강도는 ADCC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에 대한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Jefferis 및 Lund, 2002).
발명의 요약
본 개시는 신규한 항-CLDN18.2 항체를 제공한다. 상기 항체는 높은 친화도 및 특이도로 CLDN18.2에 결합할 수 있고, 이펙터 세포에 의한 CLDN18.2-발현 표적 세포(예를 들면, 종양 세포)의 사멸을 매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가 생산되었는데, 이는 변형되지 않은 항체보다 FcγRIIa에 더 잘 결합하고 ADCC 효과를 더 잘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CLDN18.2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에 결합하는 항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항체는 하기 중쇄 CDR들 (CDRH들) 및 경쇄 CDR들 (CDRL들)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1에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에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VL)의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f. 서열 번호: 55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0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CDRH들 및 CDRL들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3 내지 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8 내지 1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3 내지 1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8 내지 2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3 내지 2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8 내지 3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3 내지 3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8 내지 4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3 내지 4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8 내지 5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f. 서열 번호: 57 내지 59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2 내지 64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VH 및 VL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b.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c. 서열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d. 서열 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e. 서열 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f. 서열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서열 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 번호: 51에 나타낸 중쇄 불변 부위 서열 및/또는 서열 번호: 53에 나타낸 경쇄 불변 부위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c 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Asn297에서 글리코실 구조 변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넘버링은 EU 넘버링 시스템에 따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글리코실 구조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50%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글리코실 구조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30% 이하, 예를 들면,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항체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0% 내지 1%이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는 CHO 세포 및 HEK293 세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FcγRIIIa 결합 활성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ADCC 활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IgG, IgA, IgM, IgE, 및 IgD 아이소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IgG1, IgG2, IgG3, 및 IgG4 서브클래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임의의 구현예에서, 상기 항원-결합 단편은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d 단편, Fd' 단편, Fv 단편, scFv 단편, ds-scFv 단편, dAb 단편, 단일 사슬 단편, 디아바디 및 선형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핵산 분자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치료제, 진단제 또는 영상화제에 접합된 본 개시의 임의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항체, 화학요법제, 및 소분자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Epirubic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및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5-FU)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접합체,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암은 위암, 담관암종,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additional therapy), 예를 들면, 암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추가 치료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 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면역요법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표적화하는 요법제, CAR-T 세포 요법제, 및 CAR-NK 세포 요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 옥살리플라틴, 및 5-플루오로우라실을 포함하는 병용 화학요법제(combined chemotherapy regimen)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접합체,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CLDN18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접합체,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용도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암은 위암, 담관암종,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서열 번호: 1, 6, 11, 16, 21, 26, 31, 36, 41, 46, 55, 및 60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서열 번호: 2, 7, 12, 17, 22, 27, 32, 37, 42, 47, 56, 및 61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HO, CT26, SNU601 세포 및 작제된 CHO-CLDN18.2, CT26-CLDN18.2, 및 SNU601-CLDN18.2 세포에서 CLDN18.2 발현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HO 세포 및 CHO-CLDN18.2 세포에 대한 1차, 2차 및 3차 스크리닝 후 대조군 M13 파지 및 파지 라이브러리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HO 세포 및 CHO-CLDN18.2 세포에 대한 스크리닝된 파지 클론 A1, A2, A3, A4 및 A5(도 3의 A) 및 A6(도 3의 B)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T26-CLDN18.2 세포의 상이한 농도에서 재조합 항체 18.2-A1, 18.2-A2, 18.2-A3, 18.2-A4, 18.2-A5(도 4의 A), 18.2-A5F 및 18.2-A6F(도 4의 B)의 결합, 및 EC50 값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LDN18.1(18.1-플래그) 또는 CLDN18.2(18.2-플래그)를 발현하는 293t 세포에 대한 CLDN18.2 항체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4℃ 및 37℃의 인큐베이션 조건에서 CLDN18.2 항체의 CLDN18.2를 발현하는 SNU601 세포의 표면에 대한 결합 및 세포에 의한 세포내 이입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CLDN18.2 항체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CT26-CLDN18.2 세포에 대한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Biacore 방법에 의해 테스트된, FcγRIIIa에 대한 CLDN18.2-A1 및 CLDN18.2-A1F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FcγRIIIa에 대한 항체 결합의 피팅된 곡선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FcγRIIIa에 대한 항체 결합의 Ka, Kd, KD 및 tc 값을 나타낸다.
도 9는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세포 표면 상에 발현된 FcγRIIIa에 대한 CLDN18.2 항체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FcγRIIIa-Jurkat 세포에 대한 항체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의 B는 NK92MI 세포에 대한 항체의 결합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루시퍼라제(Luciferase) 보고 시스템에 의해 테스트된, SNU601-CLDN18.2 세포(도 10의 A) 또는 CT26-CLDN18.2(도 10의 B)의 존재 하에서 CLDN18.2 항체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에 의한 FcγRIIIa-Jurkat 세포에서 FcγRIIIa 수용체의 활성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유세포 분석에 의해 테스트된, KATOIII 세포에 대한 CLDN18.2 발현 수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루시퍼라제 보고 시스템에 의해 테스트된, SNU601-CLDN18.2 세포의 존재 하에서 CLDN18.2 항체(도 12a) 및 CLDN18.2 항체와 화학요법 약물 EOF의 병용(combination)(도 12b)에 의한 FcγRIIIa-Jurkat 세포에서 FcγRIIIa 수용체의 활성화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건강한 인간 공여자 1(도 13의 A), 공여자 2(도 13의 A) 또는 공여자(도 13의 C)로부터 PBMC의 존재 하에서 SNU601-CLDN18.2 표적 세포에 대한 CLDN18.2 항체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ADCC 경로의 사멸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보체의 존재 하에서 CHO-CLDN18.2 표적 세포에 대한 CLDN18.2 항체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CDC 경로의 사멸 효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SNU601-CLDN18.2 세포의 마우스 이종이식 모델에서 상이한 용량의 CLDN18.2 항체 18.2-A1F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이종이식 모델에 사용된 CLDN18.2 고발현 KATOIII 세포(KATOIII-18.2High)의 유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KATOIII-18.2High 세포의 마우스 이종이식 모델에서 CLDN18.2 항체 18.2-A1F 및 18.2-A1F와 화학요법 약물 EOF의 병용에 의한 종양 성장 억제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과학적 및 기술적 용어 및 이의 약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일부 용어 및 약어는 하기에 나열되어 있다.
항체: Ab; 이뮤노글로불린: Ig;
중쇄: HC; 경쇄: LC;
중쇄 가변 도메인: VH;
중쇄 불변 도메인: CH;
경쇄 가변 도메인: VL;
경쇄 불변 도메인: CL;
상보성 결정 부위: CDR;
Fab 단편: 항원-결합 단편, Fab;
Fc 부위: 단편 결정화 부위, Fc;
단일클론 항체: mAb;
항체-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 ADCC;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CDC.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CLDN18.2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항체는 하기 중쇄 CDR들 (CDRH들) 및 경쇄 CDR들 (CDRL들)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1에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에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VL)의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f. 서열 번호: 55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0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결합(binding)" 또는 "특이적 결합(specific binding)"은 항체 및 항체가 지시되는 항원 사이의 반응과 같은, 2개의 분자들 사이의 비-무작위 결합 반응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특정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또는 특정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는 약 10-5 M 미만, 예를 들면, 약 10-6 M, 10-7 M, 10-8 M, 10-9 M, 또는 10-10 M 이하의 친화도(KD)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KD"는 특정 항체-항원 상호작용의 해리 평형 상수를 지칭하고, 항체와 항원 사이의 결합 친화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해리 평형 상수가 작을 수록, 항체-항원 결합이 더 단단해지고, 항체와 항원 사이의 친화도가 높아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antibody)"는 하나 이상의 항원 인식 위치를 포함하고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를 지칭한다. 용어 "항원(antibody)"는 단백질, 폴리펩티드, 펩티드, 탄수화물, 폴리뉴클레오티드, 지질, 합텐(hapten)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지칭한다. 항체와 항원의 결합은 수소 결합, 반데르발스 힘, 이온 결합 및 소수성 결합을 포함하여, 둘 사이에 형성된 상호 작용에 의해 매개된다.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 표면의 부위는 "항원 결정인자(antigenic determinant)" 또는 "에피토프(epitope)"이고, 일반적으로 각 항원은 다중 에피토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에피토프"는 단백질의 접힘(folding)에 의해 병치되는 인접 아미노산 또는 비-인접 아미노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에피토프는 전형적으로 독특한 공간적 형태에서 적어도 3개, 보다 흔히 적어도 5개, 약 9개, 또는 약 8-10개의 아미노산들을 포함한다. "에피토프"는 이뮤노글로불린 VH/VL 쌍에 의해 정상적으로 결합된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에피토프는 항체의 가장 작은 결합 부위를 정의하므로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에 특이적인 표적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이의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며, 단일클론 항체(전장 단일클론 항체 포함), 다중클론 항체, 항체 단편,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항원-결합 구조 도메인을 포함하는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또한 마우스-유래 항체, 인간화된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 항체, 및 기타 공급원으로부터의 항체를 포함한다. 항체는 비천연 아미노산, Fc 이펙터 기능 돌연변이, 및 글리코실화 위치 돌연변이와 같은, 추가 변경을 함유할 수 있다. 항체는 또한 번역 후 변형된 항체, 항체의 항원 결정인자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항원 인식 위치에 대한 임의의 다른 변형을 포함하는 이뮤노글로불린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단, 이 항체들이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 다시 말해서, 이뮤노글로불린 분자 및 이뮤노글로불린 분자의 면역학적 활성 단편, 즉 적어도 하나의 항원-결합 도메인을 함유하는 분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가변 부위(variable region)"(중쇄 가변 부위 VH 및 경쇄 가변 부위 VL)는 항체와 항원의 결합에 직접 참여하는, 쌍을 이루는 경쇄 및 중쇄 도메인 부분을 지칭한다. 각 VH 및 VL 영역은 3개의 고도로 가변적인 부위들 또는 상보적 결정 부위들(CDRs)로 이루어지고 하기 순서로 N-말단에서 C-말단까지 배열된 4개의 프레임워크 부위들(FRs)로 구성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CDR"은 항체의 가변 서열 내의 상보성 결정 부위를 지칭한다. 각 가변 부위에 대해, 중쇄 및 경쇄의 각 가변 부위에는 3개의 CDR들이 있으며, 이들을 CDR1, CDR2 및 CDR3이라고 한다. 이 CDR들의 정확한 경계는 시스템마다 상이하게 정의된다. Kabat (Kabat ,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1987) 및 (1991))에 의해 설명된 시스템은 항체 가변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명확한 잔기 넘버링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3개의 CDR들을 정의하는 잔기 경계를 제공한다. 이 CDR들을 Kabat CDR들이라고 할 수 있다. 각 상보성 결정 부위는 Kabat에 의해 정의된 "상보성 결정 부위"의 아미노산 잔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Chothia (Chothia & Lesk, J. Mol. Biol, 196:901-917 (1987) 및 Chothia , Nature 342:877-883 (1989))은 Kabat CDR들 내의 특정 하위부분들(subparts)이 아미노산 서열 수준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펩티드 골격 구조를 채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하위부분들을 각각 L1, L2 및 L3 또는 H1, H2 및 H3이라고 하며, 이때, "L" 및 "H"는 각각 경쇄 및 중쇄 부위를 나타낸다. 이 부위들을, Kabat CDR들과 중첩되는 경계를 갖는 Chothia CDR들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엄격하게 따르지 않을 수 있지만, 여전히 Kabat CDR들과 중첩되는 다른 CDR 경계 정의가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방법은 이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의된 CDR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구현예는 Kabat 또는 Chothia에 의해 정의된 CDR들을 사용한다.
CDR 서열들을 정의하기 위해 Kabat 시스템이 사용될 때, 서열 번호: 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3(SSWLI), 서열 번호: 4(TIVPSDSYTNYNQKFKD) 및 서열번호: 5(FRT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6에 나타난 것과 같은,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8(KSSQSVLNSGNQKNYLT), 서열 번호: 9(WAVARQS) 및 서열 번호: 10(QNSIAY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1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13(SFWVG), 서열 번호: 14(NVSPSDSYTNYNQKFKD) 및 서열 번호: 15(LSS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1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18(KSSQSVLNSGNQKNYLT), 서열 번호: 19(WSSTKQS) 및 서열 번호: 20(QNAFSF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2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23(SYWLN), 서열 번호: 24(SMYPSDSYTNYNQKFKD) 및 서열 번호: 25(FSR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2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28(KSSQSLLESGNQKNYLT), 서열 번호: 29(WSWAKNS) 및 서열 번호: 30(QNAYAF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3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33(SFWIS), 서열 번호: 34(NILPSDSYTNYNQKFKD) 및 서열 번호: 35(YWR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3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38(KSSQSIINSGNQKNYLT), 서열 번호: 39(WGGTRHS) 및 서열 번호: 40(QNGYYS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4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43(SSWVG), 서열 번호: 44(NSYPSDSYTNYNQKFKD) 및 서열 번호: 45(LGR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4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48(KSSQSLIHSGNQKNYLT), 서열 번호: 49(WGLSKNS) 및 서열 번호: 50(QNSIYY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55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은 각각 서열 번호: 57(SYWLG), 서열 번호: 58(IIYPSDSYTNYNQKFKD) 및 서열 번호: 59(FWRGNSFDY)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서열 번호: 60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은 각각 서열 번호: 62(KSSQSLLESGNQKNYLT), 서열 번호: 63(WAAGKES) 및 서열 번호: 64(QNGYSHPFT)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CDRH들 및 CDRL들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3 내지 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8 내지 1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3 내지 1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8 내지 2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3 내지 2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8 내지 3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3 내지 3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8 내지 4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3 내지 4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8 내지 5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f. 서열 번호: 57 내지 59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2 내지 64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VH 및 VL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b.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c. 서열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d. 서열 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e. 서열 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또는
f. 서열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VH 및 VL을 가진다:
a.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b.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c.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d.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e.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또는
f.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을 갖는 서열 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항체의 CDR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즉,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가변 부위의 프레임워크 부위(FR)에서 수행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형은 1 내지 10개의 아미노산 변형 또는 1 내지 5개의 아미노산 변형, 예를 들면,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아미노산 변형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결실, 추가 및/또는 삽입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아미노산 치환이며, 예를 들면, 보존적 치환이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하기 VH 및 VL을 가진다:
a.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b.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c. 서열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d. 서열 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e. 서열 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또는
f. 서열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0%의 서열 동일성, 예를 들면, 적어도 90%, 적어도 95%,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아미노산 서열들 사이 또는 2개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서열 동일성" 파라미터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2개의 서열들 사이의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예를 들면,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2개의 서열들 사이의 서열 동일성 백분율은, 예를 들면,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적 알고리즘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Myers 및 Miller(1988) CABIOS 4:11-17의 알고리즘, Smith , (1981) Adv. Appl. Math. 2:482의 국부 상동성 알고리즘, Needleman 및 Wunsch (1970) J. Mol. Biol. 48:443- 453의 상동성 비교 알고리즘, Pearson 및 Lipman (1988) Proc. Natl. Acad. Sci. 85:2444-2448의 상동성을 검색하는 방법, 및 Karlin 및 Altschu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5873-5877에 기술된 Karlin 및 Altschul (1990) Proc. Natl. Acad. Sci. USA 87:2264의 변형된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학적 알고리즘에 기초한 프로그램들을 사용함으로써, 서열 동일성을 결정하기 위한 서열 비교(즉, 정렬)가 구현될 수 있다. 이 프로그램들은 컴퓨터에서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예시는 PC/Gene 프로그램의 CLUSTAL, ALIGN 프로그램(버전 2.0), Wisconsin Genetics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GAP, BESTFIT, BLAST, FASTA 및 TFASTA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프로그램들을 사용한 정렬은, 예를 들면, 초기 매개변수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서열 번호: 51에 나타낸 중쇄 불변 부위 서열 및/또는 서열 번호: 53에 나타낸 경쇄 불변 부위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c 부위를 가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Asn297에서 글리코실 구조 변형을 가지며, 상기 넘버링은 Eu 넘버링 시스템에 따른다. 본 개시에 따른 "Asn297"은 Eu 넘버링 시스템에 따른 항체의 Fc 부위에서 위치 297에 위치한 아스파라긴을 의미한다. Asn297은 또한 특정 항체의 미묘한 서열 변화에 기초하여 위치 297의 상류 또는 하류에 있는 몇 개의 아미노산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의 Fc 부위(Fc region of an antibody)" 또는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Fc 부위(human immunoglobulin Fc region)"는 중쇄 불변 부위 1(CH1) 이외의 항체의 불변 부위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IgA, IgD, IgG의 중쇄 불변 부위의 카복실 말단에서의 2개의 불변 부위 도메인(CH2 및 CH3), 인간 이뮤노글로불린 IgE 및 IgM의 중쇄 불변 부위의 카복실 말단에서의 3개의 불변 부위 도메인(CH2, CH3 및 CH4), 및 이 도메인들의 아미노 말단에서의 가요성 힌지 부위(flexible hinge region)를 포함한다. Fc 부위의 경계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인간 IgG의 중쇄 Fc 부위는 일반적으로 A231에서 시작하여 카복시 말단까지의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뮤노글로불린의 Fc 부위는 항체의 면역 효과를 발휘하는 기능적 도메인이다. IgG 항체의 Fc는 다양한 수용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Fcγ 수용체(FcγR) 패밀리이다. 종양 세포를 사멸하기 위한 치료학적 단일클론 항체의 주요 작용 기전은 ADCC 효과(항체 의존성 세포 매개 세포독성)이다. 치료학적 항체의 항원 인식 부위가 종양 세포 표면 상의 특정 항원에 결합하면, 항체의 Fc 부위가 FcγR을 발현하는 킬러 세포와 결합하고 이펙터 세포의 세포 사멸 활성을 활성화시켜, 그랜자임, 퍼포린 등을 포함하는 세포독성 매개체를 분비하고, 궁극적으로 표적 세포(예를 들면, 종양 세포)의 용해 및 파괴를 초래한다. 또한, Fc는 보체 단백질 C1q에 결합하여 CDC 효과(보체 의존성 세포독성, CDC)를 생성할 수 있다.
항체의 Fc 부위에서 글리코실화 변형의 수준 및 형태는 Fc 부위의 수용체 FcγR에 대한 결합 능력에 영향을 미쳐, 항체의 ADCC 효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항체의 Fc 부위의 글리코실화 변형은 일반적으로 Asn297에서의 글리코실화 변형을 지칭한다. 항체가 생산되는 동안, 세포의 ER 및 Golgi 세포 네트워크에서 글리코실화가 진행된다. 항체 글리코실화에 대한 연구에서, 항체의 푸코실화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FcγRIIIa에 대한 Fc 부위의 결합 증가를 촉진시켜, 항체의 ADCC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항체-발현 세포에서 글리코실화의 대사 경로를 변경하는 것은 발현된 항체에서 푸코실화 수준을 효과적으로 변경하여, 항체-매개 ADCC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Jefferis R. 2009, NAT. REV. Drug. DISC).
따라서,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감소된 수준의 푸코실화를 가진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Asn297의 글리코실 구조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60% 이하, 예를 들면,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0%-10%, 예를 들면, 0%-5%, 0%-2%, 또는 0%-1%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0.1% 이하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Asn297의 글리코실 구조에서 검출 가능한 푸코스가 없다.
이러한 탈푸코실화된 항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항체는 푸코실화 능력이 없거나 결핍된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면,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주는 감소된 수준의 푸코실화를 갖는 항체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푸코스 함량이 감소되거나 없는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편은, 예를 들면, 하기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i) 푸코실화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조건 하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ii) 번역 후 푸코스를 제거하는 단계(예를 들면, 푸코시다제로); (iii) 번역 후, 예를 들면, 글리코실화되지 않은 당단백질의 재조합 발현 후, 원하는 탄수화물을 첨가하는 단계; 또는 (iv) 푸코실화되지 않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선택하기 위해 당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되어 감소된 수준의 푸코실화를 갖는 항체를 얻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는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 예컨대 CHO-K1 세포, CHOS 세포, 또는 다른 CHO-유래 세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CHO 세포이다.
일부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는 인간 배아 신장(HEK) 293 세포, 예컨대 HEK293, HEK293A, HEK293T, HEK293F, 또는 다른 HEK293-유래 세포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HEK 293 세포이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되고, 이때,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항체, 예를 들면, 동일한 서열을 갖는 대조군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FcγRIIIa 결합 활성을 가진다. 일부 구현예에서,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된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 예를 들면, 동일한 서열을 갖는 대조군 항체와 비교하여 FcγRIIIa 활성을 유도하는 능력이 증가된다. 예를 들면, 일부 구현예에서,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된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예를 들면, 적어도 5배 또는 적어도 10배, 예를 들면, 10배 내지 20배의, FcγRIIIa 활성 유도하기 위한 증가된 EC50 값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EC50"은 최대 효과의 50%를 유도하는 항체의 농도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되고, 이때,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 예를 들면, 동일한 서열을 갖는 대조군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ADCC 활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일부 구현예에서,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된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적어도 2배, 예를 들면, 적어도 5배 또는 적어도 10배, 예를 들면, 10배 내지 20배의 증가된 ADCC 활성을 가진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집단으로부터 얻어진 항체를 지칭하는데, 즉 집단을 구성하는 각 항체는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한 자연 발생 돌연변이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단일클론 항체는 고도로 특이적이며 단일 항원에 대해 지시된다. 또한, 전형적으로 상이한 결정인자들(에피토프들)에 대해 지시되는 상이한 항체들을 포함하는 다중클론 항체 제제와 대조적으로, 단일클론 제제에서 각 항체는 항원 상의 동일한 단일 결정인자에 대해 지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항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식어 "단일클론 항체"는 임의의 특정한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이다.
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는 CLDN 18.2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제1 항원-결합 부위, 및 또 다른 항원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제2 항원-결합 부위를 가지고, 이때, 상기 제1 항원-결합 부위는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본 개시에 기재된 항원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VH 및 VL 서열을 가지고, 상기 제2 항원-결합 부위는 제1 항원-결합 부위와 상이한 항원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2 항원-결합 부위는 CLDN18.2 분자 상의 또 다른 항원-결합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2 항원-결합 부위는 또 다른 항원에 결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또 다른 항원은 종양-관련 항원 및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암과 관련된 많은 종양-관련 항원들이 당업계에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종양-관련 항원(tumor-associated antigen)"은 암세포에 의해 차등적으로 발현되어 암세포를 표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항원을 지칭한다. 종양-관련 항원은 잠재적으로 상당한 종양-특이적 면역 반응을 자극할 수 있는 항원이다. 이 항원들 중 일부는 정상 세포에 의해 인코딩되지만, 반드시 정상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것은 아니다. 이 항원들은 정상 세포에서 일반적으로 침묵하는(즉, 발현되지 않는) 것들, 분화의 특정 단계에서만 발현되는 것들, 및 배아 및 태아 항원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현되는 것들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암 항원들은 종양 유전자(예: 활성화된 ras 종양 유전자), 억제 유전자(예를 들면, 돌연변이 p53), 및 내부 결실 또는 염색체 전위에 의해 생산된 융합 단백질과 같은 돌연변이 세포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된다. 다른 암 항원은 바이러스 유전자, 예컨대 RNA 및 DNA 종양 바이러스에 보유된(carried) 것들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 많은 다른 종양-관련 항원 및 이들에 대한 항체는 알려져 있고/있거나 상업화되어 있으며, 또한 당업자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면역 체크포인트 단백질 수용체 및 이들의 리간드(본 명세서에서 총괄적으로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로 지칭됨)는 T 세포-매개 세포독성의 억제를 매개하고, 전형적으로 종양에 의해 발현되거나 종양 미세환경에서 비반응성 T 세포 상에서 발현되고, 종양이 면역 공격을 회피하도록 한다. 면역억제성 체크포인트 단백질 수용체의 활성 억제제들 및 이들의 리간드는 면역억제성 종양 환경을 극복하여 종양의 세포독성 T-세포 공격을 허용할 수 있다. 면역 체크포인트 단백질의 예시는 PD-1, PD-L1, PD-L2, CTLA4, OX40, LAG3, TIM3, TIGIT 및 CD103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백질의 활성 조절(억제 포함)은 면역 체크포인트 조절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체크포인트 단백질, 앱타머(aptamer), 소분자 및 가용성 형태의 체크포인트 수용체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PD-1, PD-L2, CTLA4, OX40, LAG3, TIM3, TIGIT 및 CD103에 특이적인 항체는 알려져 있고/있거나 상업화되어 있으며, 또한 당업자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항체의 중쇄 불변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이뮤노글로불린은 5개의 클래스(아이소타입)로 나눌 수 있다: IgA, IgD, IgE, IgG 및 IgM(이들은 IgG1, IgG2, IgG3, IgG4, IgA1, IgA2 등과 같은 상이한 서브클래스로 더 나눌 수 있음). 경쇄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경쇄는 λ쇄 또는 κ쇄로 분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항체는 앞서-언급된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개시의 항체는 IgG, IgA, IgM, IgE, 및 IgD 아이소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개시의 항체는, 예를 들면, IgG1, IgG2, IgG3, 및 IgG4 서브클래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IgG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원-결합 단편"은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VL, CL, VH 및 CH1 도메인을 갖는, Fab 단편; CH1 도메인의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 Fab 단편인, Fab' 단편; VH 및 CH1 도메인을 갖는, Fd 단편; VH 및 CH1 도메인 및 CH1 도메인의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갖는, Fd' 단편; 항체의 단일 팔(arm)의 VL 및 VH 도메인을 갖는, Fv 단편 및 scFv; VH 또는 VL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dAb 단편; 분리된 CDR 부위; 힌지 부위에서 이황화 가교에 의해 연결된 2개의 Fab' 단편들을 포함하는 2가 단편인, F(ab')2 단편; 단일 사슬 항체 분자(예를 들면, 단일 사슬 Fv; scFv); 동일한 폴리펩티드 사슬에서 경쇄 가변 도메인(VL)에 연결된 중쇄 가변 도메인(VH)을 포함하고, 2개의 항원 결합 위치들을 갖는 "디아바디(diabody)"; 상보적인 경쇄 폴리펩티드와 함께 한 쌍의 항원 결합 부위를 형성하는 한 쌍의 탠덤 Fd 단편(VH-CH1-VH-CH1)을 포함하는, "선형 항체"; 및 항원 결합 활성을 유지하는 임의의 전술한 물질의 변형된 형태.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일부 구현예에서, 항원-결합 단편은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d 단편, Fd' 단편, Fv 단편, scFv 단편, ds-scFv 단편, dAb 단편, 단일 사슬 단편, 디아바디 및 선형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본 개시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삽입될 수 있는 핵산 전달 비히클을 지칭한다. 벡터가 삽입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의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벡터를 발현 벡터라고 한다. 벡터는, 형질전환, 형질도입 또는 형질주입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숙주 세포에 도입될 수 있고, 이후 벡터가 보유한 유전 물질 인자는 숙주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다. 벡터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고, (1) 플라스미드; (2) 파지 입자; (3) 코스 플라스미드(Coase plasmids,
Figure pct00001
); (4) 효모 인공 염색체, 박테리아 인공 염색체 또는 P1-유래 인공 염색체와 같은, 인공 염색체; (5) λ 파지 또는 M13 파지와 같은, 파지, 및 (6) 레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스포로바이러스(sporoviruses), 폭스바이러스 및 배큘로바이러스와 같은, 동물 바이러스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벡터는 프로모터 서열, 전사 개시 서열, 인핸서 서열, 선택 인자(selection elements) 및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발현을 조절하는 다양한 인자들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벡터는 복제 개시 위치들을 함유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핵산 분자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숙주 세포는 CHO 세포, 예를 들면, CHO-K1 세포, CHOS 세포, 또는 다른 CHO-유래 세포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숙주 세포는 HEK 293 세포, 예를 들면, HEK293, HEK293A, HEK293T, HEK293F, 또는 다른 HEK293-유래 세포이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치료제, 진단제, 또는 영상화제에 접합된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세포독소 및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진단제 또는 영상화제는 형광 마커, 발광 물질, 발색 물질 및 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어구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pharmaceutically acceptable)"는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형태를 지칭하며, 합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합당한 이익/위험 비에 상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구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and/or diluents)"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매질, 캡슐화 물질, 제조 보조제 또는 용매 캡슐화 물질을 지칭하며,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의 안정성, 용해도 또는 활성을 유지하는데 관여한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대상체에 투여하기 위해 고체, 액체 또는 겔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지속 방출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피하, 근육내, 정맥내 또는 경막외 주사에 의한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체, 화학요법제, 및 소분자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종양-관련 항원, 예를 들면, 앞서 기재된 종양-관련 항원을 표적화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 예를 들면, 앞서 기재된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표적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는 비정상적인 세포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치료에서 치료학적 유용성을 갖는 임의의 화학 작용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화학요법제는 화학적 및 생물학적 제제를 모두 포함한다. 이 제제들은 암 세포가 지속적인 생존을 달성하기 위해 의존하는 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화학요법제의 범주에는 알킬화/알칼로이드제, 항대사물질, 호르몬 또는 호르몬 유사체, 및 다양한 항신생물제가 포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추가 치료제는 화학요법제이며,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 옥살리플라틴, 및 5-플루오로우라실(5-FU)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상체에게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접합체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treatment)"는 질병 또는 병태와 관련된 증상의 진행 또는 중증도를 역전, 감소, 개선, 억제, 지연 또는 정지시키는 것이 목적인 치료학적 치료를 지칭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 또는 병태의 적어도 하나의 부작용 또는 증상을 감소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는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임상 지표(clinical marker)를 감소시키면 일반적으로 "효과적"이다. 대안적으로, 치료는 질병의 진행이 감소되거나 중단되면 "효과적"이며, 즉, "치료"가 증상의 개선뿐만 아니라 치료 없이 예상되는 증상의 진행 또는 악화를 중지하거나, 적어도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유익하거나 원하는 임상 결과는, 검출 가능하든 아니든, 하나 이상의 증상 완화, 질병의 정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즉, 악화 없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감속,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완화, 및 경감(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subject)", "환자(patient)" 및 "개체(individual)"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며, 동물, 예를 들면, 인간을 지칭한다. 용어 대상체는 또한 "인간이 아닌 포유동물(non-human mammal)", 예를 들면, 쥐, 마우스, 토끼, 양, 고양이, 개, 소, 돼지 및 인간이 아닌 영장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 대상체이다.
앞서 기재된 방법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이다. 암의 특정 예시는 기저 세포 암종, 담관암종; 방광암; 골암; 유방암; 복막암; 자궁 경부암; 담관암; 융모막암종; 결장 및 직장암; 결합 조직 암; 소화기 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안암; 두경부암; 위암; 교모세포종; 간 암; 신장암; 후두암; 백혈병; 간 암; 폐암(예를 들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폐 선암종 및 편평 세포 폐암); 호지킨 림프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을 포함하는, 림프종; 흑색종; 골수종; 신경 모세포종; 구강암; 난소 암; 췌장암; 전립선암; 망막모세포종; 횡문근육종; 직장암; 호흡기암; 침샘암; 육종; 피부암; 편평 세포 암종; 고환암; 갑상선 암; 자궁 또는 자궁내막암; 비뇨기계 암; B 세포 림프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모세포 백혈병(hairy cell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암은 위암, 담관암종,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앞서 기재된 방법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치료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 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면역요법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표적화하는 요법제, CAR-T 세포 요법제, 및 CAR-NK 세포 요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면,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는 PD-1, PD-L1, PD-L2, CTLA4, OX40, LAG3, TIM3, TIGIT 및 CD10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 옥살리플라틴, 및 5-플루오로우라실을 포함하는 병용 화학요법제로부터 선택된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접합체,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 본 개시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접합체, 또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앞서 기재된 용도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 예를 들면, 앞서 기재된 암 유형들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암은 위암, 담관암종,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앞서 기재된 용도의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이다.
한 양태에서, 본 개시는 서열 번호: 1, 6, 11, 16, 21, 26, 31, 36, 41, 46, 55, 및 60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서열 번호: 2, 7, 12, 17, 22, 27, 32, 37, 42, 47, 56, 및 61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핵산 분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앞서-언급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성은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해질 것이다. 하지만, 이 실시예들은 예시적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세부사항 및 형태에 수정 또는 대체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 및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천연 파지 라이브러리의 작제
항체 약물의 개발은 현재 주로 다른 종 유래의 항체를 인간화하거나, 형질전환 동물 및 인비트로(in vitro) 스크리닝 기술을 통해 완전한 인간 항체를 직접 스크리닝함으로써 달성되며, 이는 인간에서 항체의 면역원성을 더욱 감소시키고, 약물 가능성(drugability)을 개선하며, 항체 의약품 개발의 중요한 트렌드이다.
인비트로 스크리닝 기술 중, 파지 디스플레이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은 완전한 인간 항체를 얻는 주요 방법들 중 하나이다.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은 분자 생물학 방법들을 사용하여 gIII과 같은 파지-특정 단백질의 유전자에 외인성 유전자 단편을 삽입하고, 파지에 의해 외인성 유전자-인코딩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발현시키고,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상대적인 공간 구조 및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면서 파지 표면 상에 이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작제된 다양한 파지 라이브러리를 표적 단백질과 함께-배양하고, 비표적 단백질 결합 파지 균주를 바이오패닝(biopanning)으로 제거한다. 파지 라이브러리 용량이 충분하면, 여러 번의 수집, 증폭 및 농축(enrichment)을 통해 친화도 및 특이도가 높은 파지 클론을 얻을 수 있다. 추가 연구를 위해 이 파지 클론들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 서열들을 식별하기 위해 유전자 시퀀싱을 사용할 수 있다.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는 항체 유전자의 파지 디스플레이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파지 라이브러리이다.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의 품질은 주로 이의 용량과 다양성에 의해 결정된다. 고친화성 항체를 얻기 위해,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는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최대한 늘려야 한다. 파지 표면 상에 표시되는 항체 단편의 수는 라이브러리 용량의 크기를 나타내고, 표시되는 단편의 다양성은 항체 라이브러리의 다양성을 나타낸다. 이론적으로,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의 라이브러리 용량이 클수록 스크리닝에 의해 얻어진 항체의 친화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개체의 차이로 인한 항체 라이브러리의 편향을 방지하고 가능한 많은 라이브러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개체의 말초 혈액 및 비장 및 신생아의 탯줄 혈액으로부터 추출하여 단핵세포의 총 RNA의 120개의 샘플을 얻고 수집했다. RNA를 역전사하여 단일 가닥 cDNA를 합성한 다음, VH, Vκ 및 Vλ 유전자를 각각 항체의 상이한 하위 그룹에 대한 가변 부위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했다. 증폭 산물을 일정 비로 혼합하고, 중쇄 및 경쇄 유전자를 각각 PCR로 연결하여 단일 사슬 항체(scFv)를 형성하고, 이중 효소 절단으로 파지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였다. scFv 유전자를 보유하는 파지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여 SS320 E. coli 컴피턴트 세포를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하였다. SS320이 대수기(log phase)로 증식된 후, 감염시키기 위해 헬퍼 파지(helper phage)를 첨가하였다.
라이브러리 용량이 1.2Х1012이고 양성률(positive rate)이 88%인 천연 항체 파지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무작위로 선택된 클론을 시퀀싱하여, 항체 라이브러리의 유전자 패밀리는 자연 분포에 가깝고, CDR3 부위의 아미노산 수는 3-20개인 것을 알아냈다. 시퀀싱 동안에 항체 반복부(antibody repeats)가 발견되지 않았고, 유전자 서열의 88%가 올바른 리딩 프레임을 갖고 있었다. 상기 결과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가 우수한 다양성을 갖고 높은 유효 라이브러리 용량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CLDN18.2-안정 발현 세포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CLDN18.2(CHO-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주를 세포-기반 파지 디스플레이 스크리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절차는 하기와 같다. 인간 CLDN18.2의 cDNA 서열을 pCDH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클로닝한 다음, 렌티바이러스 패키징 벡터로 293t 세포에 함께-형질주입하였다. 48시간 또는 7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렌티바이러스 입자가 풍부한 세포 상층액을 수집하고 CHO 세포, CT26 세포 또는 SNU601 세포에 직접 감염시키키는데 사용하였다. 렌티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퓨로마이신(puromycin)을 사용하여 스크리닝 및 배양하였고, 2-3주 후 CLDN18.2 특이적 항체(IMAB362, Ganymed)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으로 CLDN18.2 발현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난다.
상기 결과는 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 세포(CHO-CLDN18.2 세포주로 명명), CT26 세포(CT26-CLDN18.2) 및 SNU601 세포(SNU601-CLDN18.2)가 렌티바이러스 형질주입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3. 항체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부터 항-CLDN18.2 항체의 스크리닝
CHO-CLDN18.2 안정 발현 세포주를 사용하여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 패닝을 3회 수행하였다. 실험 절차는 주로 하기 문헌을 참조한다. Targeting membrane proteins for antibody discovery using phage display Jones ML et al., Scientific Reports 2016.
그 과정은 하기에서 간략히 설명된다. 파지 라이브러리를 CHO-K1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팅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였다. 그 다음, 상층액을 CHO-CLDN18.2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팅하여 CLDN18.2 특이적 파지가 세포에 결합하도록 하였다. 원심분리 후 세포 침전물을 수집하였고, 세포를 세척하고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에 결합된 파지 라이브러리를 75mM 시트르산 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하여 용출시켰다. 파지 라이브러리를 중화한 후, 스크리닝 후 파지 라이브러리를 M13K07-도움 파지(M13K07-assisted phage)를 사용하여 100배 증폭시켰고, 이어서, 1차 스크리닝과 유사한 방식으로 2차 및 3차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파지의 농축은 각 차수의 스크리닝의 초기 파지의 양, 및 스크리닝 후 수집된 파지의 역가에 의해 모니터링되었고, 파지 라이브러리 및 CHO 또는 CHO-CLDN18.2 안정 발현 세포주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다. 도 2에 나타난 결과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가 2차 농축 스크리닝부터 CHO-CLDN18.2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스크리닝 횟수에 따라 결합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3회의 스크리닝 후에 농축된 파지 라이브러리를 얻었다. 라이브러리에 감염시킨 후, 배양을 위해 박테리아를 아가로스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단일클론 콜로니를 채취하여 앰피실린(ampicillin) 및 카나마이신(kanamycin)을 함유하는 2YT 배지를 갖는 96-웰 딥웰 플레이트에 배치하였고 37℃에서 진탕하면서 배양하여 단일클론 파지를 함유하는 상층액을 얻었다. 단일클론 파지 상층액을 1시간 동안 4℃에서 CHO-CLDN18.2 세포 또는 CT26-CLDN18.2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팅한 후, 1mM EDTA 및 0.5% BSA를 함유하는 PBS(유세포 분석 완충액)로 세척하였다. PE-라벨링된 항-M13 항체(Yiqiao Shenzhou에서 구입)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팅했다. 이어서, 세포에 대한 파지의 결합을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난다.
상기 결과는 스크리닝된 단일클론 파지 A1 내지 A6이 모두 CHO-CLDN18.2 세포에는 잘 결합할 수 있지만 CHO 대조군 세포에는 결합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재조합 항체의 제조
단일클론 파지의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의 cDNA 서열을 각각 이미 항체 불변 부위를 함유하는 pcDNA3.4 벡터(Invitrogen)에 클로닝하고, 단일클론 항체 중쇄 및 경쇄를 발현하는 총 6개의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플라스미드들을 7-10일 동안 PEI 방법을 사용하여 EXPI-293 세포(Invitrogen)에 일시적으로 형질주입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상층액을 단백질 A로 정제하여 정제된 항체들을 얻었다. 상기 6개의 단일클론 항체를 18.2-A1(A1), 18.2-A2(A2), 18.2-A3(A3), 18.2-A4(A4), 18.2-A5(A5) 및 18.2-A6(A6)으로 명명했다. 이 항체들의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의 아미노산 서열 및 코딩 서열을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나고, Kabat CDR 시스템에 따라 결정된 항체의 CDR 서열은 표 3에 나타난다. 재조합 항체의 중쇄 및 경쇄 불변 부위의 서열은 표 4에 나타난다.
[표 1] CLDN18.2 항체의 VH 및 VL 서열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표 2] CLDN18.2 항체의 VH 및 VL의 코딩 서열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3] 항체의 Kabat CDR 서열
Figure pct00007
[표 4] 재조합 항체의 중쇄 및 경쇄 불변 부위의 서열
Figure pct00008
실시예 5. 재조합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 활성에 대한 테스트
CLDN18.2에 대한 재조합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 활성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CT26-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잘 성장한 세포주를 취하였다.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배수-희석된(fold-diluted) 항체와 혼합하고 1시간 동안 4℃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세포를 유세포 분석 완충액으로 1회 세척하고, PE-라벨링된 항-인간 IgG 항체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원심분리로 상층액을 제거하고, 유세포분석 완충액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세포 표면 상의 형광 강도를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다. 각 항체의 상대적인 결합 활성을 평균 형광 강도를 사용하여 계산했다.
18.2-A1(A1), 18.2-A2(A2), 18.2-A3(A3), 18.2-A4(A4) 18.2-A5(A5) 및 18.2-A6(A6) 항체는 대조군 CT26 세포주에 결합하지 않았지만(결과를 나타내지 않음),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CLDN18.2를 발현하는 CT26 세포주에 잘 결합할 수 있었다. CT26-CLDN18.2의 평균 형광 강도는 항체의 희석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상기 CLDN18.2 항체의 상대적인 결합 활성(EC50) 또한 도 4에 나타난다.
실시예 6. 재조합 항체의 결합 특이성에 대한 테스트
인간 Claudin18 단백질은 2개의 동족체, 즉, CLDN18.1 및 CLDN18.2를 포함하고, 이들은 엑손 1 이외의 다른 엑손들을 공유하며, 상기 CLDN18.1 및 CLDN18.2의 엑손 1 서열들은 매우 유사하고 제1 세포외 부위에서 오직 8개의 상이한 아미노산들을 가진다. CLDN18.1의 엑손 1과 CLDN18.2의 엑손 1은 상이한 프로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상이한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이들 중, CLDN18.1은 폐 상피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반면에, CLDN18.2는 위 상피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스크리닝된 CLDN18.2 항체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 CLDN18.1 및 CLDN18.2에 대한 항체의 결합을 테스트했다.
구체적으로, 잘 성장한 293t 세포를 취하여 플래그-태깅된 CLDN18.1(CLDN18.1-Flag) 또는 CLDN18.2(CLDN18.2-Flag)를 일시적으로 발현시켰다. 형질주입 48시간 후에, 세포를 트립신으로 분해하였다. 유세포 분석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에, 세포를 200㎕의 유세포 분석 완충액에서 10㎍/ml의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 또는 상기 5개의 CLDN18.2 항체들 중 하나와 혼합하고, 1시간 동안 4℃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유세포 분석 완충액으로 1회 세척하고, PE-라벨링된 항-인간 IgG 항체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4℃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원심분리로 상층액을 제거하고, 유세포분석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1%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0.5% triton-X100를 함유한 고정액에 세포를 고정하고 세포막을 투과화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30분 동안 APC-라벨링된 항-플래그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팅하였고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난다. 플래그-양성 세포 집단은 CLDN18.1-플래그 또는 CLDN18.2-플래그를 외인성으로 발현하는 293t 세포에서 검출될 수 있었고, 이는 형질주입된 CLDN18.1 또는 CLDN18.2 단백질이 세포에서 잘 발현되고, 약 20%의 양성 발현율을 갖는 것을 나타냈다. CLDN18.2 항체 18.2-A1, 18.2-A2, 18.2-A3, 18.2-A4, 18.2-A5 및 18.2-A6은 CLDN18.2-플래그 형질주입된 양성 293t 세포에 잘 결합할 수 있지만, 6개 항체들 중 어느 것도 CLDN18.1-양성 세포에 결합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6개의 CLDN18.2 항체 모두가 CLDN18.2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지만, CLDN18.1에 결합할 수 없음을 나타냈다.
실시예 7. 세포 결합 후 CLDN18.2 항체의 세포내 이입에 대한 테스트
세포 표면 항원에 대한 일부 항체의 결합은 항원 및 항체 복합체의 세포내 이입을 유발하여,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고 인비보(in vivo) 항체 대사를 가속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chrama D . 2006, Nat Rev Drug Discov). 본 실시예에서, 세포에 의해 항체 18.2-A1, 18.2-A3, 18.2-A4 및 18.2-A6가 세포내 이입되는 능력을 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SNU601 세포에서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10㎍/ml 농도의 CLDN18.2 항체 18.2-A1, 18.2-A3, 18.2-A4, 18.2-A6 또는 IMAB362 항체(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같음), 블랭크 대조군(PBS) 및 아이소타입 대조군(ISO)을 각각 4℃ 또는 37℃에서 4시간 동안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팅하였다. 이어서, 이들을 4℃에서 세척하고 PE-라벨링된 항-인간 IgG 항체로 염색했다. 4%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에, 세포 표면 상의 항체 결합을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했다.
도 6의 결과에 나타낸 것과 같이, IMAB362 항체와 18.2-A1, 18.2-A3, 18.2-A4 및 18.2-A6 항체 모두 4℃인큐베이션 조건에서 CLDN18.2를 발현하는 SNU601 세포에 잘 결합하였다. 하지만, 37℃인큐베이션 조건 하에서, IMAB362 항체는 세포에 의해 세포내 이입되고 세포 표면 상의 항체 염색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18.2-A1, 18.2-A3, 18.2-A4 및 18.2-A6 항체는 유의한 세포내 이입을 겪지 않았고 37℃ 조건 하에서 여전히 세포에 잘 결합하였다.
상기 결과는 IMAB362 항체가 세포내 이입을 유도할 수 있고, 세포 표면 상에서 CLDN18.2 항원의 발현 수준을 하향-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인비보에서, 세포내 이입은 또한 항체 대사에서 변경을 유발하고, 인비보 항체 제거율을 가속화할 수 있었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의 CLDN18.2 항체는 유의한 세포내 이입을 유발하지 않아 세포 표면 상의 표적 항원 CLDN18.2의 수준을 하향 조절하지 않았고, 인비보 항체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시예 8.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제조 및 정제
CLDN18.2 항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를 추가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체의 중쇄 및 경쇄 코딩 서열을 인정한 발현이 가능한 포유동물 GS 발현 벡터로 클로닝하였고, 이들은 CMV 프로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중쇄 및 경쇄 코딩 서열 둘 모두를 가졌다. 발현 벡터를 무혈청 및 현탁 배양액에 순응된(domesticated) CHO-K1 세포 및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순응된 CHO-K1 세포주에 형질주입하였다. MSX를 사용하여 안정한 발현 세포주를 스크리닝하고 선택했다. 안정한 발현 세포주를 얻은 후에, 이들을 12-14일 동안 진탕 플라스크에 배양시키고, 필요에 따라 중간에 보충 배지(supplemental medium)를 보충했다.
이어서, 배양 상층액을 수집하고, 여과 후에, 발현된 항체를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통해 포획하였다. 항체를 용출하고 PBS로 투석하여 정제된 항체를 얻었다. 이들 중,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CHO-K1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18.2-A1, 18.2-A2, 18.2-A3, 18.2-A4, 18.2-A5 및 18.2-A6 항체를 18.2-A1F, 18.2-A2F, 18.2-A3F, 18.2-A4F, 18.2-A5F 및 18.2 A6F로 명명했다.
실시예 9.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글리코실화 변형의 특성화
이어서,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CHO-K1 세포주에서 발현된 탈푸코실화된 항체 및 CHO-K1 세포에서 생산되는 일반적인 항체의 글리코실화 변형을 분석하였다. 100㎍의 항체를 트립신 및 글리코펩티다아제로 분해한 다음, 정제하여, 항체의 글리코실을 얻었고, 형광 탠덤 질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글리코실의 식별은 질량 대 전하 비 m/z에 의존하고, 글리코실기의 백분율을 형광에 의해 테스트된 면적 백분율로부터 계산하였다.
글리코실 명명법:
Figure pct00009
글리코실 넘버링의 정의: 5개의 숫자들은 각각 하기 다양한 당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6탄당(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또는 글루코스), N-아세틸헥소사민(GlcNA 또는 GalNAc), 푸코스(FUC로 약칭), N-아세틸뉴라민산(Neu5Ac) 및 N-하이드록시아세틸뉴라민산(Neu5Gc). 이 중 세 번째 숫자는 푸코스의 개수를 나타낸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 4] 글리코실 넘버링 및 이와 대응하는 탄수화물 사슬
Figure pct00010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Claudin18.2-A1 항체의 탄수화물 사슬의 분석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난다.
[표 5] Claudin18.2 항체의 탄수화물 사슬의 분석 결과
Figure pct00011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가진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탈푸코실화된 Claudin18.2 항체(18.2-A1 및 18.2-A4)의 3개 배치의 탄수화물 사슬의 분석 결과는 표 6에 나타난다.
[표 6] 탈푸코실화된 18.2-A1 및 18.2-A4 항체의 탄수화물 사슬의 분석 결과
Figure pct00012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일반적인 Claudin18.2 항체의 글리코실 구조의 91.0%가 푸코스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탈푸코실화된 Claudin18.2 항체의 3개 배치는 글리코실기에서 검출 가능한 푸코스를 본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았다.
실시예 10.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결합 활성에 대한 테스트
CLDN18.2에 대한 18.2-A1, 18.2-A3 및 18.2-A4의 결합 활성과 비교한, CLDN18.2에 대한 탈푸코실화된 항체 18.2-A1F, 18.2-A3F 및 18.2-A4F의 결합 활성을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다. 그 방법은 실시예 5에 기재된 것과 같고, 실험 결과는 도 7에 나타난다.
상기 결과는 탈푸코실화된 CLDN18.2 항체와 CLDN18.2에 대한 일반적인 항체의 생물학적 결합 활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나타냈다.
실시예 11. FcγRIIIa에 대한 CLDN18.2 항체들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의 결합 활성에 대한 테스트
이어서, CLDN18.2 항체 및 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의 FcγRIIIa에 대한 결합 활성을 Biacore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FcγRIIIa(Sino Biological Inc, 10389-H08C1)를 리간드로서 HBS-EP 완충액에 0.1㎍/ml로 희석하고, 18.2-A1F 및 18.2-A1 항체 샘플들을 분석물로서 각각 360㎍/ml, 120㎍/ml, 40μg/ml, 13.3μg/ml 및 4.4μg/ml로 희석하였다. 리간드 FcγRIIIa를 간접 포획 방법(indirect capture method)을 사용하여 고정화(immobilized)했다. 먼저, 50 μg/ml의 Anti-His IgG를 아미노 커플링을 통해 CM5 칩 표면에 공유결합시킨 후, 리간드와 분석물을 결합시켰다. FcγRIIIa를 리간드로 하고 18.2-A1F 및 18.2-A1 항체 샘플을 분석물로 하여, 친화도 분석 실험을 다중-주기 접근법(multi-cycle approach)을 사용하여 Biacore Wizard 모드에서 수행했다.
각 샘플에 대한 테스트는 3개의 Start up, 1개의 0 농도 대조군(zero concentration control), 5개의 구배 농도 샘플 및 1개의 복제 샘플(기준)을 포함한다. 각 주기 이후에 칩을 10mM 글리신-HCl, pH 1.5 재생 용액으로 재생하였다. 분석물의 각 농도 주기를 하기와 같이 설정했다: 60s의 포획 시간 및 10μl/min의 리간드 용액의 유속; 180s의 리간드 및 분석물의 결합 시간; 30μl/min의 분석물 용액의 유속; 및 180s의 해리 시간. Anti-His IgG와 커플링된 CM5 칩을 검출 및 분석을 위해 슬롯에 배치했다. 원시 데이터를 BIACORETM X100 분석 소프트웨어로 가져오고 0 농도 대조군의 값을 빼고, 참조 채널의 값을 빼서 부피 효과를 제거하였고, 친화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정상-상태 모드(steady-state mode)로 피팅하고 데이터를 정렬했다.
도 8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듯이, 18.2-A1 항체 및 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 18.2-A1F 모두 FcγRIIIa에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었다. FcγRIIIa에 대한 18.2-A1F 항체 결합의 KD 값은 18.2-A1 항체의 KD 값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상기 결과는 FcγRIIIa에 대한 탈푸코실화된 18.2-A1F 항체의 결합 활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탰다.
실시예 12. 세포 표면 상의 FcγRIIIa에 대한 CLDN18.2 항체 및 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의 결합 활성에 대한 테스트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세포 표면 상에 발현된 FcγRIIIa에 대한 CLDN18.2 항체들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의 결합 활성을 추가로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FcγRIIIa(V158, 높은 FC 결합 서브타입) 유전자를 퓨로마이신 스크리닝 마커를 보유한 포유동물 세포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고 Jurkat 세포주에 형질주입하였다. FcγRIIIa(FcγRIIIa-Jurkat)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를 퓨로마이신으로 스크리닝하였다. 또한, NK92MI는 FcγRIIIa 수용체(F158, 낮은 FC 결합 서브타입)를 자연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NK 세포주이다. FcγRIIIa-jurkat 세포 및 NK92MI 세포의 표면 상에 발현된 FcγRIIIa에 대한 CLDN18.2 항체들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의 결합 능력을 유세포 분석으로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인 유세포 분석법은 실시예 6에 기재된 것을 참조한다.
유세포 분석의 결과는 도 9에 나타난다. CLDN18.2 항체인 18.2-A1 및 18.2-A4 둘 모두,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인 18.2-A1F 및 18.2-A4F는 FcγRIIIa-jurkat 세포에 결합할 수 있었지만 형질주입되지 않은 Jurkat 세포에는 결합할 수 없었다(결과를 나타내지 않음). 또한, 탈푸코실화된 18.2-A1F 및 18.2-A4F 항체는 CLDN18.2 항체 18.2-A1 및 18.2-A4 항체보다 훨씬 더 작은 EC50으로 FcγRIIIa-Jurkat 세포 및 NK92MI 세포에 더 잘 결합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탈푸코실화된 CLDN18.2 항체가 Fc 수용체 FcγRIIIa에 대한 결합 능력을 상당히 개선하는 것을 나타냈다.
실시예 13. CLDN18.2 항체들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들에 의한 FcγRIIIa 수용체의 활성화
FcγRIIIa 수용체는 항체의 FC 부위에 결합할 때 이펙터 세포에서 NF-AT 전사 인자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NF-AT-매개 보고 유전자 강도의 검출은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의 강도를 반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NF-AT 결합 위치를 함유하는 프로모터를 루시퍼라제 보고 유전자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Jurkat 세포주에 안정적으로 형질주입하였다. 동시에, FC 결합이 높은 FcγRIIIa(V158) 또한 Jurkat 세포에 안정적으로 형질주입하여,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적 세포주(FcγRIIIa-Jurkat)를 작제하였다.
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SNU601 위암 세포(SNU601-CLDN18.2)를 취하여, 4x105/ml로 희석하고, FcγRIIIa-Jurkat 세포와 1:6의 비로 혼합하였다. 100 ㎕의 혼합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배수-희석된 항체를 각각 첨가하였고, 6시간 동안 37℃에서 정적으로 인큐베이팅하였다. 이어서, 루시퍼라제 활성을 One-Glo 키트 (promega)로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난다. CHO-K1 세포에서 생산된 18.2-A1 및 18.2-A4 항체와 비교하여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CHO 세포주에서 발현된 항체 18.2-A1F 및 18.2-A4F는 FcγRIIIa 수용체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대략 10 내지 20배 더 높은 EC50 값을 가졌다.
실시예 14. 병용된 화학요법 약물 EOF에 의한 CLDN18.2 항체 유도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의 향상
EOF(Epirubicin; Oxaliplatin; 5-FU)를 포함하는 병용 화학요법은 위암에 대해 이용가능한 주요 치료 방법이다. EOF에 민감한 세포주는 EOF 처리 후 다양한 정도의 세포 분열 주기 차단,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을 겪는다.
KATOIII 세포는 매우 낮은 수준의 CLDN18.2를 발현하는 인간 위 상피 암 세포주이며, 세포의 약 5.2%만이 유세포 분석에서 유의한 양성을 나타낸다(도 11). CLDN18.2 발현의 낮은 수준으로 인해, KATOIII 세포 및 FcγRIIIa-Jurkat 세포를 함께-인큐베이팅한 항체-유도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 실험(실시예 13에 기재된 것과 같은 실험 방법)에서, 18.2-A1F 및 18.2-A6F 항체는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를 유발하지 않았다(도 12a).
또한, KATOIII 세포를 준치사량의 EOF(에피루비신: 300nM; 옥살리플라틴: 130 nM; 5-플루오로우라실: 561.3 nM)로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현미경 관찰 및 유세포 분석은 세포 부피가 증가하고, 둥글어지며(rounding), 분열기의 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세포가 분열기에 머물었음을 나타냈다. 하지만, 세포는 여전히 살아 있었고 명백한 세포 사멸을 나타내지 않았다(결과를 나타내지 않음). EOF-처리된 KATOIII 세포를 FcγRIIIa-Jurkat 세포 및 상이한 농도의 CLDN18.2 항체와 함께 배양했다. 결과는 18.2-A1F 및 18.2-A6F 항체가 아이소타입 대조군(ISO)과 비교하여 유의한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도 12b).
상기 결과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 EOF가 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EOF 처리 후에, 이는 CLDN18.2 항체-유도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를 향상시켰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 효과는 세포에 대한 항원 발현의 상향 조절 및 기타 기전을 통해 CLDN18.2 항체의 ADCC 효과를 촉진하는 화학요법 약물 치료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5. 항체에 의한 CLDN18.2-발현 종양 세포의 사멸
건강한 인간(공여자 1 및 공여자 2)의 말초 혈액 백혈구(PBMC)를 Ficoll-Paque Plus(GE Healthcare)로 분리하고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SNU601 위암 세포(SNU601-CLDN18.2)를 취하여 1x105/ml로 희석하고, PBMC를 5x106/ml로 희석하였고, 이 둘을 동일한 부피로 혼합하였고, 50:1의 이펙터 세포 대 표적 세포의 비를 가졌다. 100㎕의 혼합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배수-희석된 항체를 별도로 첨가하였고 24시간 동안 37℃에서 정적으로 배양했다. 이어서, 마이크로플레이트 피더에 의해 OD490에서 흡광도를 결정하는 젖산 탈수소효소 (LDH) 분석 (promega)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테스트했다. 사멸률(killing rate)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최소 방출군: 표적 세포의 단일 배양
최대 방출군: 표적 세포 + 용해물
실험군: 표적 세포 + 효과기 세포 + CLDN18.2 항체
대조군: 표적 세포 + 효과기 세포 + 음성 대조군 항체
사멸률(%) = (실험군 - 최소 방출군) / (최대 방출군 - 최소 방출군) % Х 100 %
결과는 도 13에 나타난다. 음성 대조군 항체는 유의한 세포 사멸을 나타내지 않았고(결과를 나타내지 않음), 모든 CLDN18.2 항체 18.2-A1 및 탈푸코실화된 항체 18.2-A1F 및 18.2-A4F는 CLDN18.2를 발현하는 표적 세포의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최대 사멸률은 80-90%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한, 탈푸코실화된 항체를 일반적인 항체와 비교함으로써, 탈푸코실화된 항체의 표적 세포에 대한 최대 사멸률 및 IC50 값이 일반 항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시예 16. CLDN18.2 항체의 CDC 활성
CLDN18.2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HELA 세포를 취하여 비활성화된 보체를 갖는 1%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 재현탁시켰고, 카운팅하였고, 세포 농도를 90% 초과의 세포 생존율을 가진 2x105/ml로 조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50㎕의 세포를 첨가한 후, 배수-희석된 항체를 각각 첨가하고 50㎕의 희석된 인간 혈청을 첨가하였다. 세포를 2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이어서, 세포 용해율을 CCK8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 용해율을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최소 방출군: 표적 세포
최대 방출군: 표적 세포 + 용해물
실험군: 표적 세포 + CLDN18.2 항체 + 보체
음성 대조군: 표적 세포 + 음성 대조군 항체 + 보체
사멸률(%) = (실험군 - 최소 방출군) / (최대 방출군 - 최소 방출군) Х 100 %
결과는 도 14에 나타난다. 모든 CLDN18.2 항체 18.2-A1 및 18.2-A4 및 이들의 탈푸코실화된 형태 18.2-A1F 및 18.2-A4F는 유의한 CDC 활성을 가졌고, 표적 세포에 대한 >95%의 최대 사멸률을 가졌다. 또한, 항체의 탈푸코실화된 형태 및 정상 항체 사이의 CDC 활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17. CLDN18.2 항체의 인비보 종양 사멸 활성
NPG 면역결핍 마우스에 SNU601-CLDN18.2 세포 및 Ficoll 분리된 인간 PBMC 세포(SNU601-CLDN18.2 세포: PBMC는 1:0.8)를 피하 접종함으로써 SNU601 세포의 마우스 이종이식 모델을 확립했다. 이어서, SNU601 종양 세포를 접종한 NPG 면역 결핍 마우스에 10 mg/kg 또는 5 mg/kg의 용량의 18.2-A1F 항체 18.2-A1F, 또는 블랭크 대조군(PBS) 또는 IgG 아이소타입 대조군(ISO)을 복강 내 주사하였다. 그룹당 n=15 마우스. 종양 접종 후 3일마다 약물을 투여하고, 마우스의 종양 부피를 측정했다.
도 15의 결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5 mg/kg 및 10 mg/kg 용량에서 18.2-A1F 항체 처리군은 PBS군 및 IgG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군에 비해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5 mg/kg 및 10 mg/kg 그룹 사이에 명백한 효과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18. CLDN18.2 항체 및 화학요법 약물의 병용의 인비보 종양 사멸 활성
실시예 14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인비트로 EOF 병용 화학요법은 CLDN18.2 항체 유도 FcγRIIIa 수용체 활성화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KATOIII는 IMDM 배지에서 인비트로 배양했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의 CLDN18.2를 발현시켰으며, 오직 약 5.2%의 세포만이 유세포 분석에서 명백한 양성을 나타냈다(도 11). 유세포 분석 분류 후에, 높은 CLDN18.2 발현을 갖는 KATOIII 세포(KATOIII-18.2High)를 선택하여 이종이식 모델 실험을 위해 NPG 면역결핍 마우스에 접종하였다(도 16).
NPG 면역결핍 마우스에 KATOIII-18.2High 세포 및 Ficoll 분리된 인간 PBMC 세포(KATOIII-18.2High 세포: PBMC는 1:0.8)을 피하 접종하여 KATOIII-18.2High 세포 이종이식 모델을 확립했다. 이어서, KATOIII-18.2High 종양 세포를 접종한 NPG 면역결핍 마우스에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ISO), EOF(에피루비신: 1mg/kg; 옥살리플라틴: 3 mg/kg; 5-플루오로우라실: 30 mg/kg), 10 mg/kg 용량의 18.2-A1F 항체, 또는 EOF 및 18.2-A1F를, 그룹당 n=6 마우스에 복강 내 주입했다. 종양 접종 후 3일마다 약물을 투여하고, 마우스의 종양 부피를 측정했다.
도 17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18.2-A1F는 EOF 그룹 및 대조군 항체 그룹과 비교하여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18.2-A1F와 EOF의 병용은 종양 성장을 더욱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는 암의 임상 치료에서 18.2-A1F와 화학 요법제의 병용의 가능성을 나타냈다.
Sequence Listing <110> FUTUREGEN BIOPHARMACEUTICAL (BEIJING) CO.,LTD. BEIJING FUTUREGEN BIOTECHNOLOGY CO.,LTD. <120> CLDN18.2 Antibody And Use Thereof <130> C20W7116 <150> CN 2019106280189 <151> 2019-07-12 <160> 6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VH <400> 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Ser 20 25 30 Trp Leu Ile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hr Ile Val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Phe Arg Thr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VH <400> 2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cttggc tcat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ct atcgtc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tcagg 300 accggt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H1 <400> 3 Ser Ser Trp Leu Ile 1 5 <210> 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H2 <400> 4 Thr Ile Val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H3 <400> 5 Phe Arg Thr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VL <400> 6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Ser Val Gly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Val Leu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Val Ala Arg Gln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Ser Ile Ala Ty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7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VL <400> 7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agcgtcg g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gtcctc aat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gc cgtggccagg 180 cag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tag catagcctat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L1 <400> 8 Lys Ser Ser Gln Ser Val Leu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L2 <400> 9 Trp Ala Val Ala Arg Gln Ser 1 5 <210> 1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1 CDR L3 <400> 10 Gln Asn Ser Ile Ala Tyr Pro Phe Thr 1 5 <210> 1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VH <400> 1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Phe 20 25 30 Trp Val Gly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sn Val Se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Leu Ser Ser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VH <400> 12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tttggg tcgg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at gtctcc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tatca 300 agcggt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1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H1 <400> 13 Ser Phe Trp Val Gly 1 5 <210> 1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H2 <400> 14 Asn Val Se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1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H3 <400> 15 Leu Ser Ser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1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VL <400> 16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Ser Val Ser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Val Leu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Ser Ser Thr Lys Gln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Ala Phe Ser Phe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17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VL <400> 17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agcgtca g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gtcctc aat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ag ctcgaccaag 180 cag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tgc cttttcgttc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1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L1 <400> 18 Lys Ser Ser Gln Ser Val Leu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1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L2 <400> 19 Trp Ser Ser Thr Lys Gln Ser 1 5 <210> 2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2 CDR L3 <400> 20 Gln Asn Ala Phe Ser Phe Pro Phe Thr 1 5 <210> 2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VH <400> 2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Tyr 20 25 30 Trp Leu Asn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Ser Met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Phe Ser Arg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2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VH <400> 22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attggc tcaa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gt atgtat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tcagc 300 cgcggc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2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H1 <400> 23 Ser Tyr Trp Leu Asn 1 5 <210> 2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H2 <400> 24 Ser Met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2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H3 <400> 25 Phe Ser Arg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2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VL <400> 26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Thr Val Ala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Glu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Ser Trp Ala Lys Asn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Ala Tyr Ala Phe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27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VL <400> 27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accgtcg c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ctcctc gag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ag ctgggccaag 180 aat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tgc ttatgcattt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2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L1 <400> 28 Lys Ser Ser Gln Ser Leu Leu Glu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2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L2 <400> 29 Trp Ser Trp Ala Lys Asn Ser 1 5 <210> 3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3 CDR L3 <400> 30 Gln Asn Ala Tyr Ala Phe Pro Phe Thr 1 5 <210> 3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VH <400> 3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Phe 20 25 30 Trp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sn Ile Leu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Tyr Trp Arg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3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VH <400> 32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tttgga tcag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ac attctc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actgg 300 cgcggc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3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H1 <400> 33 Ser Phe Trp Ile Ser 1 5 <210> 3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H2 <400> 34 Asn Ile Leu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3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H3 <400> 35 Tyr Trp Arg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3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VL <400> 36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Leu Ala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Ile Ile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Gly Gly Thr Arg His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Gly Tyr Tyr Se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37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VL <400> 37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gccctcg c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atcatc aat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gg cgggaccagg 180 cat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tgg ctattactct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3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L1 <400> 38 Lys Ser Ser Gln Ser Ile Ile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3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L2 <400> 39 Trp Gly Gly Thr Arg His Ser 1 5 <210> 4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4 CDR L3 <400> 40 Gln Asn Gly Tyr Tyr Ser Pro Phe Thr 1 5 <210> 4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VH <400> 4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Ser 20 25 30 Trp Val Gly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sn Ser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Leu Gly Arg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4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VH <400> 42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cttggg tcgg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at agctac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tgggg 300 cgcggc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4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H1 <400> 43 Ser Ser Trp Val Gly 1 5 <210> 44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H2 <400> 44 Asn Ser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4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H3 <400> 45 Leu Gly Arg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46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VL <400> 46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Thr Val Ala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Leu Ile His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Gly Leu Ser Lys Asn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Ser Ile Tyr Ty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47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VL <400> 47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accgtcg c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ctcatc cat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gg cttgagcaag 180 aat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tag catttactat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4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L1 <400> 48 Lys Ser Ser Gln Ser Leu Ile His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4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L2 <400> 49 Trp Gly Leu Ser Lys Asn Ser 1 5 <210> 5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5 CDR L3 <400> 50 Gln Asn Ser Ile Tyr Tyr Pro Phe Thr 1 5 <210> 51 <211> 3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Constant Region <400> 51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1 5 10 15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20 25 30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35 40 45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50 55 60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65 70 75 80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85 90 95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100 105 110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115 120 125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130 135 140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145 150 155 160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165 170 175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180 185 190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195 200 205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210 215 220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225 230 235 240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245 250 255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260 265 270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275 280 285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290 295 300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305 310 315 320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325 330 <210> 52 <211> 99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eavy Chain Constant Region <400> 52 gcgagcacca agggcccatc ggtcttcccc ctggcaccct cctccaagag cacctctggg 60 ggcacagcgg ccctgggctg cctggtcaag gactacttcc ccgaaccggt gacggtgtcg 120 tggaactcag gcgccctgac cagcggcgtg cacaccttcc cggctgtcct acagtcctca 180 ggactctact ccctcagcag cgtggtgact gtgccctcta gcagcttggg cacccagacc 240 tacatctgca acgtgaatca caagcccagc aacaccaagg tggacaagaa agttgagccc 300 aaatcttgtg acaaaactca cacatgccca ccgtgcccag cacctgaact cctgggggga 360 ccgtcagtct tcctcttccc cccaaaaccc aaggacaccc tcatgatctc ccggacccct 420 gaggtcacat gcgtggtggt ggacgtgagc cacgaagacc ctgaggtcaa gttcaactgg 480 tacgtggacg gcgtggaggt gcataatgcc aagacaaagc cgcgggagga gcagtacaac 540 agcacgtacc gtgtggtcag cgtcctcacc gtcctgcacc aggactggct gaatggcaag 600 gagtacaagt gcaaggtctc caacaaagcc ctcccagccc ccatcgagaa aaccatctcc 660 aaagccaaag ggcagccccg agaaccacag gtgtacaccc tgcccccatc ccgggaagag 720 atgaccaaga accaggtcag cctgacctgc ctggtcaaag gcttctatcc cagcgacatc 780 gccgtggagt gggagagcaa tgggcagccg gagaacaact acaagaccac gcctcccgtg 840 ctggactccg acggctcctt cttcctctac agcaagctca ccgtggacaa gagcaggtgg 900 cagcagggga acgtcttctc atgctccgtg atgcatgagg ctctgcacaa ccactacacg 960 cagaagagcc tctccctgtc tccgggtaaa tga 993 <210> 53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햐졍뷩땍혐 <400> 53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 5 10 1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20 25 3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35 40 45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50 55 60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65 70 75 8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85 90 9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100 105 <210> 54 <211> 3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ght Chain Constant Region <400> 54 cggaccgtgg cagcaccaag tgtcttcatc ttcccgccat ctgatgagca gttgaaatct 60 ggaactgctt ctgttgtgtg cctgctgaat aacttctatc ccagagaggc caaagtacag 120 tggaaggtgg ataacgccct ccaatcgggt aactcccagg agagtgtcac agagcaggac 180 agcaaggaca gcacctacag cctcagcagc accctgacgc tgagcaaagc agactacgag 240 aaacacaaag tctacgcctg cgaagtcacc catcagggcc tgagctcgcc cgtcacaaag 300 agcttcaaca ggggagagtg ttaa 324 <210> 55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VH <400> 55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Ser Tyr 20 25 30 Trp Leu Gly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Ile Ile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50 55 60 Lys Asp Arg Ala Thr Leu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Phe Trp Arg Gly Asn Se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56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VH <400> 56 gaggtccaac tcgttcaatc tggagcagag gtaaaaaagc ctggagccag cgtcaaggtt 60 agttgtaagg catctggtta cacctttacc agctattggc tcggttgggt gcgccaggca 120 cctggtcagg gattggaatg gattggcatt atatacccct ctgactctta caccaactac 180 aatcagaaat ttaaagatcg cgccactttg acagtcgata agtctacgag tacggcttat 240 atggagctca gttccctgcg cagcgaggac acagccgtct attactgcac ccgcttctgg 300 cgcggtaaca gctttgacta ctggggacaa ggtacattgg ttacggtcag ctct 354 <210> 5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H1 <400> 57 Ser Tyr Trp Leu Gly 1 5 <210> 5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H2 <400> 58 Ile Ile Tyr Pro Ser Asp Ser Tyr Thr Asn Tyr Asn Gln Lys Phe Lys 1 5 10 15 Asp <210> 5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H3 <400> 59 Phe Trp Arg Gly Asn Ser Phe Asp Tyr 1 5 <210> 60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VL <400> 60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Thr Ile Gly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Th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Trp Ala Ala Gly Lys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Gly Tyr Ser His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100 105 110 Lys <210> 61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VL <400> 61 gacatcgtta tgactcagtc tcccgactcc ctcaccatcg gcttgggtga acgcgccact 60 atcaattgta agtccagtca gtccctcctc aattccggga atcagaagaa ctaccttaca 120 tggtatcagc agaaacctgg tcagccacca aaattgctca tctattgggc cgcgggcaag 180 gagagcggcg tgcccgaccg ctttagtggg agcggctctg gcacagattt tacacttact 240 attagtagtc ttcaggccga ggatgtcgcg gtatattact gtcagaacgg gtattcccat 300 ccctttacct tcggtcaggg aacgaaggtt gaaatcaag 339 <210> 62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L1 <400> 62 Lys Ser Ser Gln Ser Leu Leu Glu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Thr <210> 6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L2 <400> 63 Trp Ala Ala Gly Lys Glu Ser 1 5 <210> 6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2-A6 CDR L3 <400> 64 Gln Asn Gly Tyr Ser His Pro Phe Thr 1 5

Claims (39)

  1. CLDN18.2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으로서, 상기 항체는 하기 중쇄 CDR들(CDRH들) 및 경쇄 CDR들(CDRL들)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a. 서열 번호: 1에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에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VL)의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1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6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또는
    f. 서열 번호: 55에 나타낸, VH의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0에 나타낸, VL의 CDRL1, CDRL2 및 CDRL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하기 CDRH들 및 CDRL들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a. 서열 번호: 3 내지 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8 내지 1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b. 서열 번호: 13 내지 1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18 내지 2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c. 서열 번호: 23 내지 2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28 내지 3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d. 서열 번호: 33 내지 3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38 내지 4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e. 서열 번호: 43 내지 45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48 내지 50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f. 서열 번호: 57 내지 59에 나타낸, CDRH1, CDRH2 및 CDRH3, 및 서열 번호: 62 내지 64에 나타낸, CDRL1, CDRL2 및 CDRL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하기 VH 및 VL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a.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b. 서열 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c. 서열 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d. 서열 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e. 서열 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4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f. 서열 번호: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H, 및 서열 번호: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VL.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Fc 부위를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Asn297에서 글리코실 구조 변형을 가지며, 상기 넘버링은 EU 넘버링 시스템에 따르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실 구조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50% 이하인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실 구조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30% 이하, 예를 들면,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인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에서 푸코스를 갖는 글리코실 구조의 비는 0% 내지 1%인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을 갖는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CHO 세포 및 HEK293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FcγRIIIa-결합 활성을 갖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Fut8 유전자 녹아웃이 없는 세포에서 생산된 항체와 비교하여 증가된 ADCC 활성을 갖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일클론 항체인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인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IgG, IgA, IgM, IgE, 및 IgD 아이소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IgG1, IgG2, IgG3, 및 IgG4 서브클래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결합 단편은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d 단편, Fd' 단편, Fv 단편, scFv 단편, ds-scFv 단편, dAb 단편, 단일 사슬 단편, 디아바디(diabody) 및 선형 항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19. 제18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20. 제18항의 핵산 분자 또는 제19항의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21. 치료제, 진단제 또는 영상화제에 접합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접합체.
  22.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21항의 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제는 항체, 화학요법제, 및 소분자 약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Epirubic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및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5-FU)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26.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상체에게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제21항의 접합체, 또는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암인 것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하나 이상의 추가 치료제(additional therapy)를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치료제는 화학요법제, 방사선 요법제, 면역요법제 및 수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제는 면역 체크포인트 분자를 표적화하는 요법제, CAR-T 세포 요법제, 및 CAR-NK 세포 요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제는 에피루비신, 옥살리플라틴, 및 5-플루오로우라실을 포함하는 병용 화학요법제(combined chemotherapy regimen)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3.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제21항의 접합체, 또는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34. 대상체에서 CLDN18.2의 발현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제21항의 접합체, 또는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용도.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암인 것인, 용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위암, 담관암종,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37. 서열 번호: 1, 6, 11, 16, 21, 26, 31, 36, 41, 46, 55, 및 60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38. 서열 번호: 2, 7, 12, 17, 22, 27, 32, 37, 42, 47, 56, 및 61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핵산 분자.
  39. 제38항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KR1020227003966A 2019-07-12 2020-07-10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Active KR102773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28018.9 2019-07-12
CN201910628018 2019-07-12
PCT/CN2020/101383 WO2021008463A1 (zh) 2019-07-12 2020-07-10 Cldn18.2抗体及其用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077A true KR20220032077A (ko) 2022-03-15
KR102773187B1 KR102773187B1 (ko) 2025-02-27

Family

ID=7421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966A Active KR102773187B1 (ko) 2019-07-12 2020-07-10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35129A1 (ko)
EP (1) EP3992209A4 (ko)
JP (1) JP7440122B2 (ko)
KR (1) KR102773187B1 (ko)
CN (3) CN116041512A (ko)
AU (1) AU2020314119B2 (ko)
CA (1) CA3147122A1 (ko)
WO (1) WO2021008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217012A1 (en) 2019-02-01 2021-08-19 Novarock Biotherapeutics, Ltd. Anti-claudin 18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1409801A1 (en) 2020-12-21 2023-06-22 Allogene Therapeutics, Inc. Protease-activating cd45-gate car
IL303853A (en) 2021-01-29 2023-08-01 Allogene Therapeutics Inc KNOCKDOWN OR KNOCKOUT OF ONE OR MORE OF TAP2, NLRC5, β2m, TRAC, RFX5, RFXAP AND RFXANK TO MITIGATE T CELL RECOGNITION OF ALLOGENEIC CELL PRODUCTS
EP4305067A1 (en) 2021-03-09 2024-01-17 Xencor, Inc. Heterodimeric antibodies that bind cd3 and cldn6
JP2024519650A (ja) * 2021-05-31 2024-05-21 シージャツァング イーリング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CLDN18.2に対するモノクローナル抗体及びそのFc操作されたバージョン
WO2022266219A1 (en) * 2021-06-15 2022-12-22 Xencor, Inc. Heterodimeric antibodies that bind claudin18.2 and cd3
CN119173534A (zh) * 2021-12-17 2024-12-20 信达生物制药(苏州)有限公司 靶向Claudin18.2的抗体-药物偶联物
CN114539410B (zh) * 2022-03-15 2023-09-05 苏州量化细胞生物科技有限公司 Cldn18.2结合抗体、探针及在cldn18.2表达细胞的单细胞测序中的应用
CN114790243B (zh) * 2022-06-07 2023-04-28 威海见生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dc瘤苗及其制备的药物组合物
CN119654406A (zh) 2022-07-29 2025-03-18 艾洛基治疗公司 具有降低的基因表达以减轻免疫细胞识别的经工程化的细胞
WO2024067759A1 (zh) * 2022-09-29 2024-04-04 北京诺诚健华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结合cldn18.2的抗体或其抗原结合片段及其应用
WO2024131683A1 (zh) * 2022-12-19 2024-06-27 华润生物医药有限公司 结合cldn18.2的抗体和抗体药物偶联物及其用途
WO2025076113A1 (en) 2023-10-05 2025-04-10 Capstan Therapeutics, Inc. Ionizable cationic lipids with conserved spacing and lipid nanoparticles
WO2025076127A1 (en) 2023-10-05 2025-04-10 Capstan Therapeutics, Inc. Constrained ionizable cationic lipids and lipid nanoparticles
WO2025096560A1 (en) 2023-10-30 2025-05-08 Allogene Therapeutics, Inc. Engineered cel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196A (ko) * 2008-09-26 2011-07-21 유레카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다양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가진 세포계 및 단백질
CN109762067A (zh) * 2019-01-17 2019-05-17 北京天广实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结合人Claudin 18.2的抗体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4403A1 (en) * 2012-05-23 2013-11-28 Ganymed Pharmaceuticals Ag Combination therapy involving antibodies against claudin 18.2 for treatment of cancer
WO2014105810A1 (en) * 2012-12-24 2014-07-03 Abbvie Inc. Prolactin receptor binding proteins and uses thereof
WO2015113576A1 (en) * 2014-01-29 2015-08-06 Biontech Ag Peptide mimotopes of claudin 18.2 and uses thereof
WO2016180468A1 (en) * 2015-05-11 2016-11-17 Biontech Cell & Gene Therapies Gmbh Claudin-18.2-specific immunoreceptors and t cell epitop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196A (ko) * 2008-09-26 2011-07-21 유레카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다양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가진 세포계 및 단백질
CN109762067A (zh) * 2019-01-17 2019-05-17 北京天广实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结合人Claudin 18.2的抗体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26125A (zh) 2022-02-08
AU2020314119B2 (en) 2024-09-19
AU2020314119A1 (en) 2022-02-17
CN116063504A (zh) 2023-05-05
EP3992209A1 (en) 2022-05-04
US20220235129A1 (en) 2022-07-28
WO2021008463A1 (zh) 2021-01-21
JP7440122B2 (ja) 2024-02-28
KR102773187B1 (ko) 2025-02-27
CN116041512A (zh) 2023-05-02
JP2022540524A (ja) 2022-09-15
EP3992209A4 (en) 2023-01-18
CA3147122A1 (en) 2021-01-21
CN114026125B (zh)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73187B1 (ko) Cldn18.2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583190B1 (ko) 항-lag-3 항체 및 조성물
CN111094352B (zh) B7-h4抗体及其使用方法
CN113474372B (zh) 一种抗ceacam5的单克隆抗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453462B1 (ko)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EA031069B1 (ru)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ИНТЕГРИНОВ αVβ6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AU2020362827A1 (en) Anti-human Trop-2 antibody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478986B1 (ko) 암 치료용 항-ck8 항체
CN106795223B (zh) 针对Fcγ受体IIB及Fcε受体的抗体
CN114685660A (zh) 抗cldn18.2抗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131082A (ko) Lg1-3에 특이적인 항-라미닌4 항체
CN113166242B (zh) 用于癌症的组合疗法
KR20200123169A (ko) B7-h4 항체 투약 섭생법
CN113135994A (zh) 一种激活型抗ox40抗体、生产方法及应用
KR20210068065A (ko) 안타고니스트
KR20160022857A (ko)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KR20240019295A (ko) 인간화 항-clec-1a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이의 모방체
TW202222838A (zh) 一種抗ceacam5的人源化抗體及其製備方法和用途
KR101608301B1 (ko)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HK40063815A (en) Cldn18.2 antibody and use thereof
HK40063815B (en) Cldn18.2 antibody and use thereof
KR20170012754A (ko) Egf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HK40076013A (en) Anti-cldn18.2 antibody,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HK40027698A (en) B7-h4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