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21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0821A KR20220010821A KR1020200089406A KR20200089406A KR20220010821A KR 20220010821 A KR20220010821 A KR 20220010821A KR 1020200089406 A KR1020200089406 A KR 1020200089406A KR 20200089406 A KR20200089406 A KR 20200089406A KR 20220010821 A KR20220010821 A KR 202200108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 toothbrush
- groups
- teeth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MEYZYGMYMLNUHJ-UHFFFAOYSA-N tunicamyc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O)NC1C(O)C(O)C(CC(O)C2OC(C(O)C2O)N3C=CC(=O)NC3=O)OC1OC4OC(CO)C(O)C(O)C4NC(=O)C MEYZYGMYMLNUH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111)를 가지는 칫솔프레임(110)과, 상기 헤드부(111)에 구비되는 치모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치모부(120)는 헤드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1211)으로 이루어지는 제1치모부(121)와, 헤드부(111)의 폭 방향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1231)으로 이루어지는 제2치모부(123)를 포함하는 칫솔(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를 구석구석까지 닦을 수 있으며 치약나 음식물 찌꺼기가 잔존하지 않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 산업에서는 다양한 치모의 형태나 재질의 칫솔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치모의 재질로서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가 성형성이 좋고, 생산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칫솔의 치모는 성형성이 좋아야 하는 것은 물론, 치아나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부드러워야 하며, 강도면에서도 강성이 있어야 한다. 현재 치모의 재질로서, 인조모에 가까운 부드러움을 가지고 있으면서 성형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진 PBT(Poly Buthyle Telephthalate; 폴리 부틸 텔레프탈레이트, 이하 간단히 PBT라 함)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7-0003230호 공개특허공보의 도 5 참조), 종래의 칫솔(10)은 칫솔프레임(11)의 헤드부(11-1) 일면 전체에 치모그룹(12-1)이 분포된 치모부(12)를 구비한다. 하나의 치모그룹(12-1)은 복수의 치모가 원형, 사각형 등과 같은 형태로 그룹을 이루어 형성된다. 복수의 치모그룹(12-1)은 서로 이격되어 거의 일정한 간격(d1, 2㎜ 내외)으로 헤드부(11)의 일면 전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칫솔(10)은 사용 시 헤드부(11-1)의 일면 전체에 구비된 복수의 치모그룹(12-1)의 간섭에 의하여 탄력을 충분하게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치아(T)의 안쪽면인 설면(혀쪽 부분, T3), 바깥쪽 면인 협면(볼쪽 부분, T1), 교합면(씹는 부분, T2), 치아 사이 부분인 인접면을 닦을 경우에 골고루 닦아내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헤드부(11-1)의 전체에 분포된 치모로 인하여 중앙부 치모 사이에 치약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부(11-1)를 둘레를 따라 정렬된 치모그룹을 제외하고 내측의 치모그룹이 모두 제거된 형태의 칫솔이 제안되고 있으나, 교합면(씹는 부분, T2)이 닦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측면인 설면(혀쪽 부분, T3)과 치아 잇몸 가까운 부분이 잘 닦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골고루 닦이며 치약이나 음식물이 잔존하지 않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를 가지는 칫솔프레임과,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치모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모부는 헤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1치모부와, 헤드부의 폭 방향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모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2치모부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치모부의 폭 방향 양측으로 제1치모부와 제2치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치모부에는 헤드부의 전방쪽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1개 이상의 치모그룹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모부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와 후방제1치모부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치모부에는 헤드부의 전방 쪽에서 1개의 이상의 치모그룹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제2치모부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2치모부와 후방제2치모부로 분할되어; 폭 방향으로 전방제1치모부와 후방제1치모부 사이를 지나고, 전방제2치모부와 후방제2치모부 사이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후방제1치모부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은 "U"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방제2치모부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은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거나 후방제1치모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후방제1치모부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열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방제2치모부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후방제1치모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를 가지는 칫솔프레임과,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는 치모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모부는 헤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제1치모부와, 제1치모부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군집을 이루는 복수의 내측치모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내측치모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치모그룹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는 제1치모부의 치모그룹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보다 짧은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칫솔(100)은 치아의 안쪽면인 설면(T3), 바깥쪽 면인 협면(T1), 교합면(T2), 치아 사이 부분인 인접면을 골고루 구석구석까지 닦을 수 있으며, 양치 후 치약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거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칫솔로 치아를 닦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칫솔로 치아를 닦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칫솔로 치아를 닦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칫솔로 치아를 닦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칫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칫솔로 치아를 닦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칫솔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의 오른쪽을 후방으로, 왼쪽을 전방으로, 상하 방향을 폭 방향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100)은 칫솔프레임(110)과 치모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프레임(110)은 막대 형태로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111)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111)의 반대쪽을 파지하고 치아를 닦는다. 상기 치모부(120)는 헤드부(111)의 일면에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헤드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모부(120)는 제1치모부(121)와 제2치모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치모부(121)는 헤드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모그룹(12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치모부(123)는 헤드부(111)의 폭 방향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서로 이격되된 복수의 치모그룹(12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모그룹(1211, 1231)은 복수의 치모가 군집을 이루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치모부(123)의 폭 방향 양측으로 제1치모부(121)와 제2치모부(123)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S1)의 폭은 종래의 칫솔(10)에서 폭 방향으로 1개 이상의 치모그룹이 제거된 크기(5㎜∼7㎜ 내외)이다. 따라서 공간(S1)의 폭은 제2치모부(123)를 이루는 치모그룹(1231) 사이의 간격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된다. 또한, 공간(S1)의 폭 방향 간격은 제1치모부(121)를 이루는 치모그룹(1211) 사이의 간격보다 2배 이상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치모부(121)와 제2치모부(123) 사이에 충분한 폭 방향 간격이 형성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안쪽면인 설면(혀쪽 부분, T3), 바깥쪽 면인 협면(볼쪽 부분, T1)을 닦을 때, 제2치모부(123)를 이루는 치모그룹(1231)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제1치모부(121)가 안쪽면인 설면(혀쪽 부분, T3)과 바깥쪽 면인 협면(볼쪽 부분, T1)은 물론 치아 사이 부분인 인접면(치아 사이)도 골고루 닦을 수 있다. 또한, 치아(T)의 잇몸 가까운 부분까지 닦을 수 있다. 제1치모부(121)의 내측으로, 제2치모부(123)와 제1치모부(121) 사이에 폭 방향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는 공가(S1)이 형성되어, 양치 후 치약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잔존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 잔존하고 이를 쉽게 발견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교합면(씹는 부분, T2)을 닦을 때에도, 헤드부(111)의 중심부에 정렬된 제2치모부(123)를 이루는 치모그룹(1231)이 간섭을 받지 않고 교합면(씹는 부분, T2)의 오목한 부분을 구석구석 닦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치모부(121)에는 헤드부(111)의 전방쪽으로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1개 이상의 치모그룹(121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121S)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모부(121)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로 분할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종래의 칫솔에서 치모그룹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며, "×"로 표시된 부분에 치모그룹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제1치모부(121)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로 분할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2개의 치모그룹(121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할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121S)은 헤드부(111)의 전방 단부에 가까이 형성된다. 분할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121S)은 5㎜∼7㎜ 범위 내외일 수 있다.
앞니 부분의 안쪽은 칫솔(100)이 세워져서 전방제1치모부(121-2)로 닦아지며,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의 간격(121S)에 의해서 후방제1치모부(121-1)의 간섭을 받지 않거나 간섭을 적게 받아 전방제1치모부(121-2)가 더 밀착되어 닦을 수 있게 된다. 치아(T)의 잇몸 가까운 부분까지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다. 칫솔(100)을 비스듬하게 세워서 어금니 부분의 안쪽을 닦을 때 때도 마찬가지로, 후방제1치모부(121-1)의 간섭없이 전방제1치모부(121-2)가 골고루 닦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치모부(123)에는 헤드부(111)의 전방 쪽에서 1개의 이상의 치모그룹(123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123S)이 형성되어, 상기 제2치모부(123)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로 분할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로 표시된 부분은 종래의 칫솔에서 치모그룹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며, "×"로 표시된 부분에 치모그룹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제2치모부(123)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로 분할된다. 분할된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사이의 간격(121S)은 5㎜∼7㎜ 범위 내외일 수 있다.
폭 방향으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를 지나고,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 사이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에 가까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제1치모부(121-1)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U"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방제2치모부(121-2)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제1치모부(121-1)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후방제1치모부(121-1)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도 5 및 도 6에서 "◎"로 표시한 치모그룹이 제거된 형태와 같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모부(121)가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로 분할되고, 제2치모부(123)가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로 분할되며, 폭 방향으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를 지나고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 사이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그리고 통로는 헤드부(111)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칫솔(100)을 세우거나 비스듬하게 하여 안쪽면인 설면(혀쪽 부분, T3)을 닦을 때 후방 쪽 치모그룹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전방 쪽 치모부에 의하여 구석구석 잇몸 가까운 면까지 닦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칫솔(10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 치모부(120)는 헤드부(111) 전체에 치모그룹이 분포된 형태로, 제1치모부(121)와 내측치모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치모부(121)는 헤드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모그룹(12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치모부(124)는 제1치모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내측치모그룹(1241)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치모그룹(1241)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는 치모그룹(1211)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1치모부(121)에는 헤드부(111)의 전방 쪽에서 1개의 이상의 치모그룹(121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121S)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모부(121)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로 분할될 수 있다.
치아(T)의 안쪽면인 설면(혀쪽 부분, T3), 바깥쪽 면인 협면(볼쪽 부분, T1)을 닦을 때는 내측치모부(124)의 간섭없이 또는 간섭이 최소화되어 제1치모부(121)로 골고루 닦을 수 있다. 또한 교합면(씹는 부분, T2)을 닦을 때는 내측치모부(124)로 닦을 수 있다.
100: 칫솔
110: 칫솔프레임
120: 치모부
120: 치모부
Claims (7)
-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111)를 가지는 칫솔프레임(110)과, 상기 헤드부(111)에 구비되는 치모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치모부(120)는 헤드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1211)으로 이루어지는 제1치모부(121)와, 헤드부(111)의 폭 방향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모그룹(1231)으로 이루어지는 제2치모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치모부(123)의 폭 방향 양측으로 제1치모부(121)와 제2치모부(123) 사이에는 공간(S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모부(121)에는 헤드부(111)의 전방쪽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1개 이상의 치모그룹(121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121S)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모부(121)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치모부(123)에는 헤드부(111)의 전방 쪽에서 1개의 이상의 치모그룹(1231)이 제거된 크기의 간격(123S)이 형성되어, 상기 제2치모부(123)는 전후방으로 서로 이격된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로 분할되어;
폭 방향으로 전방제1치모부(121-2)와 후방제1치모부(121-1) 사이를 지나고, 전방제2치모부(123-2)와 후방제2치모부(123-1) 사이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제1치모부(121-1)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U"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전방제2치모부(121-2)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거나 후방제1치모부(121-1)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제1치모부(121-1)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열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전방제2치모부(121-2)를 이루는 복수의 치모그룹(1211)은 폭 방향으로 배열되거나 후방제1치모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칫솔.
- 길이 방향 일측에 헤드부(111)를 가지는 칫솔프레임(110)과, 상기 헤드부(111)에 구비되는 치모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치모부(120)는 헤드부(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정렬된 복수의 치모그룹(1211)으로 이루어지는 제1치모부(121)와, 제1치모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군집을 이루는 복수의 내측치모그룹(1241)으로 이루어지는 내측치모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치모그룹(1241)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는 제1치모부(121)의 치모그룹(1211)을 이루는 치모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406A KR20220010821A (ko) | 2020-07-20 | 2020-07-20 | 칫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406A KR20220010821A (ko) | 2020-07-20 | 2020-07-20 | 칫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821A true KR20220010821A (ko) | 2022-01-27 |
Family
ID=8004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9406A Pending KR20220010821A (ko) | 2020-07-20 | 2020-07-20 | 칫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0821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3230A (ko) | 2005-07-01 | 2007-01-05 | 최낙임 | 중앙이 개구되어진 칫솔 |
JP2012232091A (ja) | 2011-05-06 | 2012-11-29 | Soichi Miyazaki | 歯ブラシ |
KR20150039450A (ko) | 2013-10-02 | 2015-04-10 | 김성윤 | 치간칫솔 겸용 개량형 칫솔 |
-
2020
- 2020-07-20 KR KR1020200089406A patent/KR20220010821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3230A (ko) | 2005-07-01 | 2007-01-05 | 최낙임 | 중앙이 개구되어진 칫솔 |
JP2012232091A (ja) | 2011-05-06 | 2012-11-29 | Soichi Miyazaki | 歯ブラシ |
KR20150039450A (ko) | 2013-10-02 | 2015-04-10 | 김성윤 | 치간칫솔 겸용 개량형 칫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2440B2 (en) |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 |
US4051571A (en) | Toothbrush | |
JPH08214947A (ja) | 歯及び身体の手入れのためのブラシ | |
KR20140003031U (ko) | 원형 후방경사모다발과 원형 전방경사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 |
JP4076403B2 (ja) | 歯ブラシ | |
US20130185881A1 (en) | Toothbrush | |
KR20210092900A (ko) |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 |
KR101780003B1 (ko) |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 |
KR101481532B1 (ko) | U자형 칫솔 | |
KR20220010821A (ko) | 칫솔 | |
WO2020051512A1 (en) | Tongue brush having bristles emanating from one surface and a tongue scraper emanating from an opposing surface | |
JPH1142116A (ja) | 歯ブラシ | |
JP5922439B2 (ja) | 歯ブラシ | |
US10624724B2 (en) | Bristled dental floss | |
KR200467406Y1 (ko) | 칫솔 | |
KR200219014Y1 (ko) | 칫솔 | |
CN1050987C (zh) | 牙周牙刷 | |
AU1975897A (en) | Toothbrush | |
WO1997031555A9 (en) | Toothbrush | |
KR100968599B1 (ko) | 치솔 | |
KR102107528B1 (ko) | 교정용 칫솔 | |
KR20090106182A (ko) | 칫솔 | |
KR0180105B1 (ko) | 치솔 | |
KR200210811Y1 (ko) |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 |
JPH0975135A (ja) | 歯ブラ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