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10195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195A
KR20210110195A KR1020210020881A KR20210020881A KR20210110195A KR 20210110195 A KR20210110195 A KR 20210110195A KR 1020210020881 A KR1020210020881 A KR 1020210020881A KR 20210020881 A KR20210020881 A KR 20210020881A KR 20210110195 A KR20210110195 A KR 2021011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rinting
unit
print
next p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2393B1 (ko
Inventor
에리카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195A/ko
Priority to KR1020250011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2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23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06F3/1251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for continuous media, e.g. web media, r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021Adaptations for printing on specific media
    • G06K15/022Adaptations for printing on specific media for printing on continuous media, e.g.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롤링된 인쇄 매체 상에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유닛, 및 인쇄 매체를 커팅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반송 유닛은, 인쇄 유닛에 의한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전에 실행되는,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인쇄 매체를 반송하고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1 반송 동작,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에 실행되는,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배출 방향으로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2 반송 동작을 행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내용은 화상 형성 장치의 반송 제어에 관한 것이다.
롤링된 용지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는 경우에, 인쇄 작업을 수신한 후에 먼저 1페이지분의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그후, 용지의 인쇄된 부분이 커팅되고 나머지 용지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를 위해 반송된다. 그후, 다음 페이지가 인쇄된다. 그러나, 용지를 커팅하는 커터가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가 제공된 프린터 캐리지(이하, 캐리지라고도 칭함)로부터 용지 반송 방향의 하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용지가 커팅된 후, 나머지 용지는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해서 캐리지가 인쇄를 개시하는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 페이지의 인쇄를 개시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7-80917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 바로 커팅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용지 반송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용지의 일부가 커터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다음 페이지가 인쇄된다. 그 후, 용지의 일부가 커터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인쇄가 일시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가 커팅되고 그후 인쇄가 재개된다(이하, 이 기술을 "인쇄 중 커팅"이라 칭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기술은 커팅 후에 용지의 동작의 복귀를 제거하여 인쇄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는 경우의 인쇄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롤링된 인쇄 매체에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 인쇄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유닛, 및 인쇄 매체를 커팅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송 유닛은, 인쇄 유닛에 의해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전에 실행되는,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인쇄 매체를 반송하고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1 반송 동작,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에 실행되는,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배출 방향으로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2 반송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와 외부 접속 기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설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반송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6a 및 도 6b의 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에 따른 다수의 카피 인쇄의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동작의 종류와 인쇄중인 카피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8은 페이지 사이의 종래의 처리의 실행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페이지 사이의 처리의 실행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처리의 각 타이밍에서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처리의 각 타이밍에서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페이지의 인쇄의 완료 직후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커팅의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페이지 사이의 여백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7-80917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르면,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용지 반송 동작은 인쇄중 커팅이 실행될지에 관계없이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 즉 용지 반송의 목표 위치가 확정되지 않는 한 개시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인쇄중 커팅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시까지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로부터 소정 기간 동안 대기 상태로 천이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특징 모두의 조합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개시내용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의 다양한 변형 실시형태도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내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성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와 외부 접속 기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4)는 외부 접속 기기를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를 통해 또는 네트워크(3)를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외부 접속 기기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인쇄 작업은 네트워크(3)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1) 및 스마트폰(2) 등의 외부 접속 기기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4)에 전송된다. 네트워크(3)는 네트워크가 유선 또는 무선인지와 관계없이 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4) 및 외부 접속 기기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4)는 CPU(5), ROM(6), RAM(7), 비휘발성 RAM(NVRAM)(8), 하드 디스크(9), 프린터 유닛(10), 컨트롤러(11), 표시-조작 유닛(12), 네트워크 드라이버(13) 및 LAN 유닛(14)을 포함한다.
CPU(중앙 처리 유닛)(5)은 ROM(6) 또는 하드 디스크(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을 RAM(7)에 로딩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4)를 제어한다. RAM(7)은 CPU(5)가 판독한 프로그램의 일시 저장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NVRAM(8)은 화상 형성 장치(4)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의 기록, 인쇄 대상 화상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하드 디스크(9)는 프로그램 및 프린터 유닛(10)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을 저장한다.
표시-조작 유닛(12)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닛, LED(발광 다이오드), 키, 및 터치 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유저는 표시-조작 유닛(12)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4)의 각 기능의 실행 조작 및 설정 조작을 행한다. 컨트롤러(11)는 화상 형성 장치(4)의 조작 상태 및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LAN 유닛(14)은 외부 접속 기기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네트워크(3)를 통해서 외부 접속 기기와 통신한다. CPU(5)는 네트워크 드라이버(13)를 통해 LAN 유닛(14)에 접속된 외부 접속 기기와 실행 명령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 유닛(10)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CPU(5)는 네트워크 드라이버(13)를 통해서 외부 접속 기기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프린터 유닛(10)은 용지의 롤(이하 롤링된 용지라고도 칭함) 등의 인쇄 시트(인쇄 매체) 상에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는 롤링된 용지 또는 천, 플라스틱 필름 등을 포함하는 시트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설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커터 유닛(102), 캐리지(103), 반송 롤러(104) 및 플래튼(105)을 포함한다.
인쇄 시트인 롤링된 용지(101)는 반송 롤러(104) 사이에 끼어지고 반송 롤러(104)의 회전과 함께 급송 또는 되감기된다. 그 동안에, 롤링된 용지(101)는 플래튼(105)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캐리지(103)는 도시되지 않은 인쇄 헤드를 포함하며 롤링된 용지(101)는 인쇄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된다. 한편, 캐리지(103)는 인쇄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103)는 도 3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및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왕복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지(103)가 제공되어 있는 도 3의 우측을 기준측이라고 지칭할 것이며 그 좌측을 비기준측이라고 지칭할 것이다.
커터 유닛(102)은 기준측으로부터 비기준측으로 이동하면서 롤링된 용지(101)를 커팅한다.
캐리지(103)의 이동 방향을 주주사 방향이라고 칭하고, 반송 롤러(104)를 사용하여 롤링된 용지(101)를 급송 및 되감는 방향(즉, 롤링된 용지(101)의 반송 방향)을 부주사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반송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롤링된 용지(101)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롤링된 용지(101)는 반송 롤러(104) 사이에 끼어지고 반송 롤러(104)의 회전에 의해 용지 반송 방향(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급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지 반송 경로 중, 롤링된 용지(101)가 롤링된 상태에서 보유지지되는 장소에 가까운 측을 상류측으로서 규정하며 용지 배출 포트(203)측을 하류측으로서 규정한다. 롤링된 용지(101)는 플래튼(105)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캐리지(103)와 커터 유닛(102)을 더 포함한다. 캐리지(103)에는 인쇄 헤드가 제공되며, 인쇄 헤드에 탑재된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인쇄가 행해진다. 인쇄 헤드에서, 최상류측에 위치되는 노즐을 최상류 노즐(201)이라 지칭하는 한편, 최하류측에 위치되는 노즐을 최하류 노즐(202)이라 지칭한다.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인쇄중 커팅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즉,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기 전에 커팅을 행하는 경우), 롤링된 용지(101)는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에 커터 위치까지 용지 반송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후, 커팅 동작을 실행하고 롤링된 용지(101)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까지 용지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되감긴다). 그후, 다음 페이지의 인쇄가 개시된다.
한편, 인쇄중 커팅이 실행되는 경우(즉, 다음 페이지를 인쇄하는 도중에 커팅을 행하는 경우), 롤링된 용지(101)의 커팅 없이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에 다음 페이지의 인쇄가 계속해서 실행된다. 그리고,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가 제2 페이지의 인쇄에 따라 커터의 위치에 도달하면, 롤링된 용지(101)를 커팅하기 위해 인쇄가 일시정지되고 그후 인쇄가 재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처리를 개시한다. 인쇄 작업은 인쇄 형식 및 인쇄 작업의 정보를 저장하는 인쇄 작업 헤더 섹션 및 인쇄 대상이 되는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섹션을 포함한다.
흐름도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4)의 CPU(5)가 ROM(6) 또는 하드 디스크(9)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게 하여 프로그램을 RAM(7)에 로딩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대안적으로, 흐름도에서의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ASIC 및 전자 회로 등의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흐름도의 설명에서 사용된 기호 "S"는 흐름도에서의 "단계"를 나타낸다. 다른 흐름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먼저, 단계 S301에서 CPU(5)는 1페이지분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5)는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프린터 유닛(10)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지시한다. CPU(5)는, 롤링된 용지(101)를 부주사 방향(즉, 용지 반송 방향)으로 1페이지분의 인쇄 개시 위치까지 반송하고, 잉크가 충전된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103)를 주주사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잉크를 토출시킨다. 그후, 순차적으로 롤링된 용지(101)의 미리결정된 양의 반송과 캐리지(103)의 구동을 반복하면서 롤링된 용지(101)에 1페이지분의 인쇄를 행한다.
1페이지분의 인쇄 처리가 완료된 후, S302에서 CPU(5)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5)는 인쇄 작업이 다음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판정한다.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용지 반송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CPU(5)는 S303으로 진행된다.
CPU(5)는 S303, S304, S305 및 S306에서 4 종류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 4 종류의 판정 처리는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을 롤링된 용지(101) 상에 제공된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즉, 용지의 커팅 위치)를 캐리지의 최하류 노즐까지 반송하는 처리에 필요한 반송 시간(T2)과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반송 목표 위치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용지의 커팅 위치는 현재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 더 구체적으로는 현재 페이지의 용지 길이에 기초하여 확정될 수 있다. S307에서의 처리 Y는 반송 목표 위치가 확정되기 전의 기간 동안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한편, S308에서의 처리 X는 반송 목표 위치가 확정되기 전의 기간 동안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와 제1 용지 반송 처리를 병행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이 병행 처리는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서 병행해서 처리되면 되고, 반송 처리와 데이터 생성 처리의 개시 지점과 종료 지점이 항상 서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에 유의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1 용지 반송 처리에 대해서 후술한다. 반송 목표 위치를 확정하는 처리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S303 내지 S306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CPU(5)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반송 목표 위치를 확정하는 처리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S303 내지 S306에서의 판정 결과를 취득한 후에 개시된다.
반송 목표 위치를 확정하기 전의 시간(T1)과 반송 시간(T2) 사이의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CPU(5)는 처리 X 및 처리 Y 중 어느 것이 실행될지를 판정한다. 처리 X에서의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 생성 처리는 처리 Y에서의 데이터 생성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다. 여기서, 4 종류의 판정의 실행 순서는 임의의 순서일 수 있다. 한편, S303, S304, S305, 및 S306에서의 1개 이상의 종류의 판정은 생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PU(5)는 이러한 종류의 판정을 하나도 실행하지 않고 처리 X 또는 처리 Y 중 임의의 것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중 커팅을 실행하는 경우에,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처리 X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인쇄중 커팅 모드에서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항상 처리 X를 실행하는 경우에도, S303 내지 S306의 판정을 실행하지 않고 대기 시간을 저감시킴으로서 인쇄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303에서, CPU(5)는 용지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a)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미리결정된 값(a)은 예를 들어 76.2 mm/초로 설정되지만, 이 값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6.2 mm/초의 속도는 상술한 특정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통상의 용지 반송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이다. 한편, 예를 들어 용지 반송 속도로서 용지의 종류, 동작 타이밍 등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 미리설정된 용지 반송 속도가 값을 취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규정값 또는 실제 계측값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용지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a)보다 낮은 경우(즉, 용지 반송 속도가 느릴 경우), 제1 용지 반송 처리(S308)에 필요한 시간(T2)은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왜냐하면 용지 반송 속도가 느릴수록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S303에서 용지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a)보다 낮은 경우(즉, 용지 반송 속도가 느릴 경우), CPU(5)는 S307로 진행하여 처리 Y를 행한다. 한편, 용지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즉, 용지 반송 속도가 높은 경우), CPU(5)는 S304로 진행하여 다음 처리를 행한다.
S304에서, CPU(5)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여백 설정(즉, 설정된 여백량)이 미리결정된 값(b)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여백 설정은 인쇄 작업에 포함되어 있고, 인쇄될 모든 페이지 각각에 대해 공통의 값 또는 개별 값이 설정된다. 여백 설정에 관해서는, CPU(5)는 표시-조작 유닛(12)이 후술하는 도 14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게 하여, 표시-조작 유닛(12)을 조작함으로써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미리결정된 값(b)은 예를 들어 20 mm로 설정되지만, 이 값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0 mm의 값은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의 표시-조작 유닛(12)에 의해 설정가능한 값의 일례를 나타낸다. 한편, 여백은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해서 설정될 수 있다. 여백 설정이 미리결정된 값(b)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용지 반송 처리(S308)에 필요한 시간(T2)은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왜냐하면 여백 설정이 길어질수록 용지를 반송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S304에서 여백 설정이 미리결정된 값(b) 이상 경우(즉, 반송 시간이 긴 경우), CPU(5)는 S307로 진행하여 처리 Y를 행한다. 한편, 인쇄될 페이지의 여백 설정이 미리결정된 값(b) 미만인 경우, CPU(5)는 S305로 진행하여 다음 처리를 행한다.
S305에서, CPU(5)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c)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는 인쇄 작업에 포함되며 CPU(5)에 의해 취득된다. 미리결정된 값(c)은 예를 들어 600 dpi로 설정되지만, 이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00 dpi의 값은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인쇄가능한 해상도의 일례이다.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c) 미만인 경우, 제1 용지 반송 처리(S308)에 필요한 시간(T2)은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왜냐하면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는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에 영향을 미치고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S305에서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c) 미만인 경우(즉,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이 짧은 경우), CPU(5)는 S307로 진행하여 처리 Y를 행한다. 한편,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CPU(5)는 S306로 진행하여 다음 판정 처리를 행한다.
S306에서, CPU(5)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인쇄 품질이 미리결정된 값(e) 이상인지를 판정한다. 인쇄 품질은 인쇄 작업에 포함되며, "빠름", "표준", 및 "높음" 모드 등이 존재한다. 미리결정된 값(e)은 예를 들어 "표준" 모드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되지만, 이 값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모드에 대응하는 인쇄 품질의 값은, "빠름", "표준", 및 "높음" 모드의 순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인쇄 품질이 미리결정된 값(e) 미만인 경우(본 예에서는 "빠름" 모드의 인쇄 품질에 대응함), 제1 용지 반송 처리(S308)에 필요한 시간(T2)은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왜냐하면 인쇄 품질의 값이 작아질수록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은 짧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S306에서 인쇄 품질이 미리결정된 값(e) 미만인 경우(즉,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이 짧은 경우), CPU(5)는 S307로 진행하여 처리 Y를 행한다. 한편, 인쇄 품질이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본 예에서는 "표준" 또는 "높음" 모드의 인쇄 품질의 경우), CPU(5)는 S308로 진행하여 처리 X를 행한다.
S308에서 CPU(5)는 처리 X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5)는 제1 용지 반송 처리와 병행하여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1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용지 반송 방향에서, 롤링된 용지(101)의 미리결정된 길이가 반송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미리결정된 길이란, 용지 반송 방향에서,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헤드의 위치에 도달하는 지점까지의 반송 길이(반송 거리)보다 짧은 길이이다. 즉, 이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쇄 헤드의 위치가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상정되는 길이(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헤드의 상류에 위치된다고 상정되는 반송 길이)이다. 이 길이에서는, 롤링된 용지(101)를 반대 방향으로 반송할 필요가 없다. 이 길이는 미리설정되거나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는데,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는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롤링된 용지(101)는 예를 들어 롤링된 용지(101)의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가 인쇄 헤드에 도달하는 위치로 반송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롤링된 용지(101)는 롤링된 용지(101)의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가 캐리지의 최하류 노즐에 도달하는 위치로 반송될 수 있다.
상술한 4 종류의 판정 처리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예를 들어 인쇄 작업의 송신의 회선 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회선 속도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수신 지점으로부터 다음 데이터 수신 지점까지의 시간을 계측해서 판정에 사용할 수 있다. 회선 속도가 느려지면,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T1)이 길어진다.
한편, 인쇄 용지의 설정에 따라서는 경계없는 인쇄가 이용가능하거나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용가능성을 고려하여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없는 인쇄에서는, 통상의 연속 인쇄의 커팅 동작과 달리, 용지는 2개의 위치, 즉 제1 페이지의 인쇄 종료 위치(도 12의 참조 부호 m) 및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도 12의 참조 부호 g)에서 커팅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를 실행할 수 없다. 대안적으로, 경계있는 인쇄에서의 용지 반송 동작에서는, 용지는 경계를 고려한 위치까지 반송될 수 있다.
CPU(5)는 처리 X 또는 처리 Y의 완료 후에 S309로 진행한다.
S309에서, CPU(5)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를 개시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롤링된 용지(101)의 반송 동작(이하, 제2 용지 반송 처리라고 칭함)에서 반송 목표 위치(즉,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확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반송 목표 위치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에 기초하여 CPU(5)에 의해 결정된다. 본 단계의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반송 목표 위치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CPU(5)는 반송 목표 위치가 확정될 때까지 이러한 판정을 반복한다. 반송 목표 위치가 확정된 경우에는, CPU(5)는 S310으로 진행하여 롤링된 용지(101)를 반송 목표 위치까지 반송하는 제2 용지 반송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롤링된 용지(101)는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헤드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반송된다. 제2 용지 반송 처리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어서, 용지 반송 처리는 S301로 되돌아가고 이 처리를 반복한다.
상술한 4 종류의 판정 처리는 다음 페이지가 인쇄될 때마다 실행될 수 있거나 한 번만 실행되고 이후의 페이지에 대해서는 그 판정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1페이지분의 인쇄 처리의 완료 후 및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 전에 제1 단계의 반송으로서 후술하는 위치로 용지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계의 반송으로서, 롤링된 용지(101)는 롤링된 용지(101) 상의 미리결정된 위치(예를 들어, 현재 페이지의 커팅 위치)가 인쇄 헤드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반송될 수 있다. 즉, 용지는 다음 페이지의 반송 목표 위치가 확정하기 전에 다음 페이지의 인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로 반송된다. 따라서, 종래의 대기 시간을 저감하고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 후의 용지의 반송에 필요한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6a 및 도 6b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수의 카피 인쇄에서의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는 다수의 카피 인쇄에 대응하는 인쇄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본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본 흐름도에서, S401 및 S403 내지 S410의 처리는 도 5의 S301 및 S303 내지 S310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1페이지분에 대응하는 인쇄 처리의 완료 후, CPU(5)는 S402에서 용지 반송 처리가 제1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CPU(5)는 용지 반송 처리가 제1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S411로 진행한다. 한편, CPU(5)는 용지 반송 처리가 제1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는 경우 S403으로 진행하고, 이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S408을 실행하는 경우를 A 루트라 칭하고, S407을 실행하는 경우를 B 루트라 칭한다.
S411에서, CPU(5)는 용지 반송 처리가 최종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는지를 판정한다. 용지 반송 처리가 최종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CPU(5)는 S412로 진행한다. 최종 카피의 인쇄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각 페이지의 반송 목표 위치는 이전 카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확정되어 있다. 따라서, CPU(5)는 반송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전 카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확정된 반송 목표 위치로의 반송 처리를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와 병행해서 실행한다. 즉, CPU(5)는 반송 목표 위치로의 반송 동안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병행 처리는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서 병행해서 실행되면 되고, 반송 처리 및 데이터 생성 처리의 개시 지점과 종료 지점이 항상 서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이 병행 처리를 처리 Z로서 규정한다. 또한, 이 병행 처리를 C 루트라 칭한다. 반송 목표 위치는 1페이지분의 인쇄 처리의 완료 직후 명확하기 때문에, S412의 반송 처리는 반송 목표 위치로의 반송 처리를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데이터의 생성과 병행해서 완료할 수 있다. 처리 Z의 완료 후, CPU(5)는 S401로 되돌아간다.
한편, CPU(5)는 용지 반송 처리가 S411에서 최종 카피의 인쇄에 대응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S413으로 진행한다. S413에서, CPU(5)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용지 반송 처리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종료된다. 이것을 D 루트라고 칭한다. 한편, 인쇄될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CPU(5)는 S412로 진행하고 처리 Z를 행한다. CPU(5)는 처리 Z의 완료 후 S401로 되돌아간다.
본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인쇄될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인쇄 개시 위치)가 미리 확정된다. 따라서, 처리 Z를 실행함으로써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에 필요한 반송 시간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수의 카피 인쇄에서의 인쇄중인 카피와 인쇄 페이지 사이에서의 용지 반송 동작의 종류(즉, 상술한 도 6의 A 루트, B 루트, C 루트 및 D 루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부호 N(3 이상의 정수)은 최종 카피를 나타낸다. 본 테이블에서는, 현재 인쇄중인 카피(501)는 제1 카피(502), 제2 내지 제(N-1) 카피(503), 및 제N 카피(504)의 3개의 분류 중 임의의 것으로 분류된다.
제1 카피(502)의 인쇄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도 6의 A 루트 또는 B 루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6의 A 루트 또는 B 루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제2 내지 제(N-1) 카피(503)의 인쇄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도 6의 C 루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6의 C 루트에 따른 동작을 행한다.
제N 카피(504)의 인쇄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처리에서는,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도 6의 C 루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다음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도 6의 D 루트에 따른 동작을 실행한다.
도 8은 종래의 페이지 사이의 처리의 실행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페이지 사이에서는,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604)의 완료 후(601),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까지의 용지 반송 동작(606)을 실행하고, 그 후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607)을 실행한다. 종래의 용지 반송 동작(606)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러나, 용지 반송 동작(606)은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602)에 개시된다. 따라서,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전에 대기 시간(605)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개시(603)가 지연되고, 따라서 인쇄 스루풋의 저하로 이어진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페이지 사이의 처리의 실행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페이지 사이에서는,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611)의 완료 후, 2 단계의 용지 반송 동작(제1 용지 반송 동작(612) 및 제2 용지 반송 동작(613))을 실행하고, 그 후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614)을 실행한다. 종래의 처리에서는,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후의 지점(608)으로부터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의 지점(609)까지는 대기 상태가 존재한다. 이는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개시(610)의 지연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롤링된 용지(101)는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후의 지점(608)으로부터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까지의 기간 동안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길이란 용지 반송 방향에서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인쇄 헤드의 위치에 도달하는 지점까지의 반송 길이(반송 거리)보다 짧은 길이이다. 이 길이는 미리 설정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길이는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더 정확하게는,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즉, 제2 페이지의 선단 위치)까지 용지를 반송하는 동작(612)(즉, 제1 용지 반송 동작)을 실행한다. 그 후,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609)에 용지를 반송하는 동작(613)(즉, 제2 용지 반송 동작)을 실행한다. 도 5 및 도 6의 처리 X에서의 용지 반송 처리는 제1 용지 반송 동작(제1 매체 반송 동작)에 대응한다. 도 5의 S310 및 도 6의 S410의 용지 반송 처리는 제2 용지 반송 동작(제2 매체 반송 동작)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용지 반송 동작 및 제2 용지 반송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래의 용지 반송 동작(606)을 제1 용지 반송 동작(612)과 제2 용지 반송 동작(613)으로 분할하고, 제1 용지 반송 동작(612)을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직후에 실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개시(610)를 종래의 처리보다 빨리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도 10은 도 8의 페이지 사이의 종래의 처리의 각 처리 타이밍에서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방법에서,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후(601)에는 화상 형성 장치(701)로부터 제1 페이지가 인쇄된 롤링된 용지(702)가 배출되고, 제1 페이지의 마지막 인쇄 행에 캐리지(703)가 위치한다. 한편, 캐리지(703)의 하류에는 커터(704)가 존재한다. 이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701)는 정지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701)는,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602), 캐리지(703)의 최하류측이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에 접근하도록 용지 반송 동작(606)을 실행한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701)는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607)을 개시한다.
도 11은, 도 9의 본 실시형태의 페이지 사이의 처리의 각 처리 타이밍에서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후(608)에는 화상 형성 장치(706)로부터 제1 페이지가 인쇄된 롤링된 용지(707)가 배출되고, 제1 페이지의 마지막 인쇄 행에 캐리지(709)가 위치한다. 한편, 캐리지(709)의 하류에 커터(708)가 존재한다. 화상 형성 장치(706)는, 제1 페이지의 인쇄 동작의 완료 후의 지점(608)으로부터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까지의 기간 동안 미리결정된 위치(본 예에서는 제1 페이지의 커팅 위치(즉, 제2 페이지의 선단 위치))로의 제1 용지 반송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것은 캐리지(709)의 최하류 노즐(후술하는 도 12의 참조 부호 h)의 위치가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도 12의 참조 부호 g)의 상류에 위치되지 않는 위치로의 용지의 반송과 동등하다. 이 반송은, 후속하는 제2 용지 반송 동작에서 롤링된 용지(707)를 용지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할 필요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인쇄 헤드를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상류에 위치시키지 않도록 하는 제어의 일례로서, 캐리지(709)의 최하류 노즐(도 12의 참조 부호 h)은 제2 페이지의 선단(도 12의 참조 부호 f)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어는 전술한 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의 처리 X에서, 반송 위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제1 용지 반송 동작 및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609), 캐리지(709)의 최하류 노즐(도 12의 참조 부호 h)이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도 12의 참조 부호 g)에 위치되도록 제2 용지 반송 동작을 실행한다. S309 및 S409에서의 판정 방법 및 S310 및 S410에서의 반송 위치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706)는 제2 페이지의 인쇄 동작(614)을 개시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페이지의 인쇄 완료 직후의 용지의 반송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1 페이지의 인쇄 완료 직후 화상 형성 장치(801)로부터 롤링된 용지(804)가 배출되고, 캐리지(802)가 제1 페이지의 마지막 인쇄 행에 위치된다. 한편, 캐리지(802)의 하류에는 커터(803)가 존재한다. 참조 부호 e는 커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f는 제2 페이지의 선단 위치(즉, 커팅 위치)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g는 제2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h는 캐리지(802)의 최하류 노즐의 위치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i는 캐리지(802)의 최상류 노즐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 부호 j는 제1 페이지와 제2 페이지 사이의 여백량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k는 롤링된 용지(804)의 선단 위치를 나타내며, 참조 부호 m은 제1 페이지의 인쇄 종료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팅의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입력 화면(901)은 표시-조작 유닛(12)에 표시된다. 유저는 각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될 때마다 커팅 동작을 실행하는 설정을 확립하는 경우, 즉 인쇄중 커팅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버튼(903)을 선택한다. 한편, 유저는 페이지의 인쇄 도중에 커팅 동작을 실행하는 설정을 확립하는 경우, 즉 인쇄중 커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버튼(902)을 선택한다. 유저는, 버튼(902) 또는 버튼(903)을 선택한 후, 설정값을 확정하기 위해서 OK 버튼(904)을 누른다. OK 버튼(904)이 눌러진 경우, 설정값은 NVRAM(8)에 저장된다. 한편, 설정을 확립하지 않는 경우, 유저는 캔슬 버튼(905)을 누른다. 버튼 중 임의의 것이 눌러지는 경우, 표시-조작 유닛(12)은 입력 화면(901)의 표시를 종료한다. 여기서, 인쇄중 커팅을 실행할지 또는 실행하지 않을지의 설정은 대신에 PC 등의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용지의 종류, 화질 등에 따라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페이지 사이의 여백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입력 화면(1001)은 표시-조작 유닛(12)에 표시된다. 입력 화면(1001)은 설정 여백량(1002)을 표시하고, 유저가 버튼(1003 및 1004)을 누르면 설정 여백량(1002)의 값이 변경된다. 현재 설정 여백량이 디폴트량으로서 표시된다. 현재 설정 여백량은 NVRAM(8)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입력 화면(1001)은 최초에 NVRAM(8)로부터 현재 설정 여백량을 취득하고 취득량을 표시한다. 버튼(1003)이 눌러지는 경우 설정 여백량(1002)은 증가하고, 버튼(1004)이 눌러지는 경우 설정 여백량(1002)은 감소한다. 설정 여백량을 변경한 후, 유저는 설정값을 확정하기 위해서 OK 버튼(1005)을 누른다. OK 버튼(1005)이 눌러진 경우, 설정값이 NVRAM(8)에 저장된다. 한편, 캔슬 버튼(1006)이 눌러진 경우, 설정값은 NVRAM(8)에 저장되지 않는다. 버튼 중 임의의 것이 눌러진 경우, 표시-조작 유닛(12)은 입력 화면(1001)의 표시를 종료한다. 여기서, 여백의 설정은 예를 들어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1페이지분의 인쇄 완료 후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전에, 미리결정된 위치까지 용지를 반송한다. 이어서,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확정되자마자,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까지 용지를 반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인쇄중 커팅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는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인쇄중 커팅을 실행할지 또는 실행하지 않을지의 설정은 도 13에 나타낸 입력 화면(901)을 표시-조작 유닛(12)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쇄중 커팅을 실행할지 또는 실행하지 않을지의 설정은 예를 들어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용지의 종류, 화질 등에 따라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동작을 2개의 세션(session)으로 분할함으로써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한다. 그러나, 분할수는 2개의 세션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용지 반송 동작의 도중에 용지를 커팅할 위치가 커터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제2 용지 반송 동작은 "커터 위치로의 반송" 및 "반송 목표 위치로의 반송"의 2개의 세션으로 분할됨으로써, 페이지 사이의 반송 동작은 전체적으로 3개의 세션으로 분할된다. 한편, PDF 형식 등의 화상 데이터는 단계적 화상 해석을 받는다. 따라서, 인쇄의 선단 위치는 단계적으로 결정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화상은 각 선단 위치가 결정될 때마다 용지 반송이 수행된다. 이 경우, 페이지 사이의 반송 동작은 3개 이상의 세션으로 분할된다. 본 모드에서도 상술한 구성과 같이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전에 다음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는 경우,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는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직후에 확정된다. 따라서, 페이지 사이의 용지 반송 동작을 분할하지 않고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직후에 단일 반송 동작에서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로 용지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모드에서도 상술한 구성과 같이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직후에 처리 X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로부터 처리 X의 완료까지의 시간이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로부터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까지의 시간 이하인 한은, S308 또는 S408의 처리를 개시하는 타이밍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모드에서도 상술한 구성과 같이 인쇄 스루풋의 향상이 기대된다.
(다른 실시형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들)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다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는 경우에 인쇄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롤링된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상기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및
    상기 인쇄 매체를 커팅하도록 구성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1 반송 동작 - 상기 제1 반송 동작은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한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 및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전에 실행됨 - , 및
    상기 인쇄 개시 위치가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쇄 매체를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2 반송 동작 - 상기 제2 반송 동작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에 실행됨 - 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매체가 상기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반송되는 경우, 상기 인쇄 유닛의 하류측의 노즐의 위치는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인쇄 개시 위치의 하류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닛은 잉크를 토출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노즐이 제공된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 유닛이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경우의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매체 반송 방향의 하류에 위치되는 노즐의 위치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인쇄 유닛에 대해 매체 반송 방향의 하류에 위치되며,
    상기 인쇄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인쇄 동안 상기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가 상기 커팅 유닛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인쇄를 중지시키고, 상기 커팅 유닛이 상기 인쇄 매체를 커팅한 후에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인쇄를 재개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카피를 인쇄하는 경우, 상기 반송 유닛은 이전 카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확정된 상기 인쇄 개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가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비된 반송 시간 및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할지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인쇄 매체의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페이지 사이의 여백량이 미리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인쇄 품질을 나타내는 값이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롤링된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페이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상기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유닛; 및
    상기 인쇄 매체를 커팅하도록 구성되는 커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유닛은
    다음 페이지의 선단 위치가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반송을 정지시키는 제1 반송 동작 - 상기 제1 반송 동작은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한 1페이지분의 인쇄의 완료 후에 실행됨 - , 및
    상기 다음 페이지의 인쇄 개시 위치가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배출 방향으로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2 반송 동작 - 상기 제2 반송 동작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인쇄 개시 위치의 확정 후에 실행됨 - 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닛은 잉크를 토출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노즐이 제공된 캐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 유닛이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경우의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노즐 중 매체 반송 방향의 하류에 위치되는 노즐의 위치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유닛은 상기 인쇄 유닛에 대해 매체 반송 방향의 하류에 위치되며,
    상기 인쇄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인쇄 동안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선단 위치가 상기 커팅 유닛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인쇄를 중지시키고 상기 커팅 유닛이 상기 인쇄 매체를 커팅한 후에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인쇄를 재개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카피를 인쇄하는 경우, 상기 반송 유닛은 이전 카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확정된 상기 인쇄 개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매체를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상기 선단 위치가 상기 인쇄 유닛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비된 반송 시간 및 반송 목표 위치의 확정까지 소비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할지를 결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인쇄 매체의 반송 속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페이지 사이의 여백량이 미리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해상도가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유닛은, 상기 다음 페이지의 인쇄 품질을 나타내는 값이 미리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반송 동작을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10020881A 2020-02-28 2021-02-17 화상 형성 장치 Active KR10276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50011521A KR20250020564A (ko) 2020-02-28 2025-01-24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33414 2020-02-28
JP2020033414A JP7493958B2 (ja) 2020-02-28 2020-02-28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11521A Division KR20250020564A (ko) 2020-02-28 2025-01-24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195A true KR20210110195A (ko) 2021-09-07
KR102762393B1 KR102762393B1 (ko) 2025-02-05

Family

ID=747327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81A Active KR102762393B1 (ko) 2020-02-28 2021-02-17 화상 형성 장치
KR1020250011521A Pending KR20250020564A (ko) 2020-02-28 2025-01-24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11521A Pending KR20250020564A (ko) 2020-02-28 2025-01-24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35043B2 (ko)
EP (1) EP3871891A1 (ko)
JP (3) JP7493958B2 (ko)
KR (2) KR102762393B1 (ko)
CN (2) CN11812428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184A (ja) * 1996-02-23 1997-09-02 Nec Corp レシート印字方式
JP2011131492A (ja) * 2009-12-24 2011-07-07 Canon Finetech Inc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20150314618A1 (en) * 2014-05-02 2015-11-0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70030443A (ko) * 2015-09-09 2017-03-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7007B2 (ja) * 2003-07-31 200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7203626A (ja) * 2006-02-02 2007-08-16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2009179048A (ja) 2008-02-01 2009-08-13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
JP5072886B2 (ja) * 2009-03-04 2012-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225907B2 (ja) * 2009-03-26 2013-07-03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JP5532836B2 (ja) * 2009-11-11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80489A (ja) 2012-03-01 2013-09-1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6008639B2 (ja) 2012-07-31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5970709B2 (ja) * 2012-08-08 2016-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連続用紙の搬送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ー
JP6200228B2 (ja) * 2013-07-16 2017-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JP6274850B2 (ja) * 2013-12-16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8286B2 (ja) * 2014-08-05 2018-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JP6397268B2 (ja) * 2014-08-25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6097548A (ja) * 2014-11-20 2016-05-30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JP6478658B2 (ja) * 2015-01-27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398937B2 (ja) 2015-09-30 2018-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プログラム
JP2017080917A (ja) 2015-10-23 2017-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6428698B2 (ja) 2016-03-31 2018-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855400B2 (ja) * 2018-01-31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547051B2 (ja) * 2020-01-30 2024-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184A (ja) * 1996-02-23 1997-09-02 Nec Corp レシート印字方式
JP2011131492A (ja) * 2009-12-24 2011-07-07 Canon Finetech Inc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20150314618A1 (en) * 2014-05-02 2015-11-0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70030443A (ko) * 2015-09-09 2017-03-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3649A (ja) 2021-09-13
JP2024100922A (ja) 2024-07-26
CN113320300B (zh) 2024-04-16
US11535043B2 (en) 2022-12-27
KR20250020564A (ko) 2025-02-11
CN113320300A (zh) 2021-08-31
US20210268812A1 (en) 2021-09-02
EP3871891A1 (en) 2021-09-01
JP7571335B2 (ja) 2024-10-22
KR102762393B1 (ko) 2025-02-05
JP7493958B2 (ja) 2024-06-03
JP2024177539A (ja) 2024-12-19
CN118124283A (zh) 202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544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24011B2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for processing print jobs
JP2009040007A (ja) 画像記録装置
US101228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with continuous printing
JP638407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217793A1 (en) Image processor, print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721370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02863A1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206333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76239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7155935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8256866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9862211B2 (en)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1485151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250074090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7342567B2 (ja) 画像記録装置
US11243727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a standy stat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1201213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50036325A1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50077147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707118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99222A (ja) 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
JP202004970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14651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1588A (ja)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