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4858A -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858A
KR20200124858A KR1020190048236A KR20190048236A KR20200124858A KR 20200124858 A KR20200124858 A KR 20200124858A KR 1020190048236 A KR1020190048236 A KR 1020190048236A KR 20190048236 A KR20190048236 A KR 20190048236A KR 20200124858 A KR20200124858 A KR 2020012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overshoes
foot
lace
ribb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009B1 (ko
Inventor
고미화
윤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패션
Priority to KR102019004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0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덧신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와, 발등면을 구성하는 발등부와, 발등의 양 측면을 구성하는 발 후면부와, 발 뒤꿈치에 형성된 리본을 포함하여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발등부와 발 후면부의 개방되어진 그 상단에 발이 인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덮개부를 구성하는 실리콘사가 탄성력에 의해 신축 되어짐으로 밀착형 레이스 덧신을 구성하며, 덧신의 덮개부를 구성하는 레이스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은, 실리콘사를 블로잉(Blowing) 및 니팅(Knitting) 공법으로 레이스원단을 제조하여 발등부와 발 후면부를 구성 함으로서 완성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이 착용자에게 밀착력, 완충력, 건강한 보행활동을 할 수 있게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skinny fit lace oversho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덧신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부와, 발등면을 구성하는 발등부와, 발등의 양 측면을 구성하는 발 후면부와, 발 뒤꿈치에 형성된 리본을 포함하여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발등부와 발 후면부의 개방되어진 그 상단에 발이 인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덮개부를 구성하는 실리콘사가 탄성력에 의해 신축 되어짐으로 밀착형 레이스 덧신을 구성하며, 덧신의 덮개부를 구성하는 레이스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은, 실리콘사를 블로잉(Blowing) 및 니팅(Knitting) 공법으로 레이스원단을 제조하여 발등부와 발 후면부를 구성 함으로서 완성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이 착용자에게 밀착력, 완충력, 건강한 보행활동을 할 수 있게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덧신은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발을 인입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하거나, 편직된 직물을 재단한 후 이를 재봉하여 제작되며, 보행자의 발을 보호함과 함께 신발의 착용감을 향상시켜준다. 이러한 덧신은 착용자가 플랫슈즈(Flat shoes), 하이힐(High heels), 단화 등을 착용했을 때 보행자의 그 신발과 발이 접하는 면적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보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덧신은 상기 덧신을 착용하고 장시간 보행할 때, 발과 덧신과의 마찰력 보다 덧신과 신발과의 마찰력이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덧신이 발에서 쉽게 이탈 되어지며 마찰압력이 발 뒤꿈치로 과하중 됨으로서 착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의 표피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덧신의 그 부족한 보호성은 기본적인 보행조차 불편하게 할 뿐만아니라,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유지하는 데에도 상당한 곤란을 초래하고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덧신의 근본적인 기능인 보호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덧신의 내구성과 안정적인 압력의 그 분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일찍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물로 덧신을 구성하는 그 소재를 진보함으로서 실리콘소재를 사용한 밀착형 덧신이 개발되었다. 예컨데, 종래의 기술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6297호)"이 있으나, 그 발등부에 실리콘이 도포되어진 범위는, 길이6 ~ 8 cm, 폭0.8 ~ 1.0 cm, 이며 그 발 뒤꿈치부에 실리콘이 도포되어진 범위는, 길이13 ~ 15 cm 폭1.1 ~ 1.3 cm 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범위가 비교적 협소하기 때문에, 보행시 발에서 덧신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밀착성은 다소 부족하며, 상기 종래기술를 구성하는 실리콘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소재로서 필요한 그 밀착성, 탄성력, 내구성등이 다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262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덧신의 발등부가 발 부리부를 시작으로 발등의 엄지 발가락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 됨으로서 착용자로 하여금 덧신 겉면이 신발 외부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게하는 깔끔한 이미지를 조성하는 것에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덧신을 구성하는 발 덮개부를 실리콘사로 직조 되어진 레이스원단으로 구성 함으로서 덧신과 발 사이의 밀착력과 완충작용을 형성 하고, 발과 덧신을 밀착력 있게 서포트(Support)해주는 일종의 덧신과 발의 일체감을 형성해주는 덧신을 제조하는 것에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수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이 혼합됨으로 구성된 실리콘 혼합물을 블로잉(Blowing)기법을 통해 코어(Core)형태로 제작하고, 코어(Core)형태의 실리콘 혼합물을 터널형 고온가열기에 투입 시켜 직조 처리하고, 실리콘사(50)의 안정화를 위해 코로나 처리를 한 후, 60~80 ℃의 건조기를 통과시켜 저열경화 시키고, 45~65 ℃의 저온으로 23~25 시간 숙성 시킴 으로서 완성된 실리콘사로 원단을 구성함으로서 발과 덧신을 밀착력 있게 서포트(Support)해 주는 덧신원단을 제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상기 덧신의 발등부 및 발 후면부를 구성하는 레이스원단을 니팅(knitting)공법으로 제작하여 덧신을 제조함으로서, 기존 덧신과의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율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 발명은, 밀착형 레이스 덧신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바닥부와, 바닥부의 개방 되어진 외곽을 따라 접합되며, 발 부리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등 부분까지 밀착되어 형성된 발등부와, 바닥부의 개방 되어진 외곽을 따라 접합되며, 양 측면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복사뼈 부분까지, 뒤 꿈치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목 부분까지 밀착되어 형성되는 발 후면부와, 덧신의 발뒤꿈치 내면에 형성된 발목뒷안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 홈과, 상기 고정 홈의 개방 되어진 양 단의 우측과 좌측으로 각각 제1 리본과 제2 리본이 결합되되, 그 길이는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형성된 제1 리본 및 제2 리본과, 덧신의 상단에 형성되고 발이 인입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되, 입구부로 발을 인입하여 착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2 발명은,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면, 한지, 스판,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되어 바닥원단을 구성하고,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수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이 혼합되어 실리콘사를 제조하는 원단 제조단계;(S101)와, 바닥원단을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하는 바닥 부 재단단계;(S102)와, 발 후면원단과 발등원단을 발 후면부 및 발등부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를 따른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하는 발 덮개부 재단단계;(S103)와, 원단을 길이방향 5 cm 길이로 재단하는 고정 홈 원단 재단단계;(S104)와, 고정 홈 원단의 길이방향으로 긴 양 끝단부가 서로 이어지도록 재봉 함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 되어지고 내부 적재공간이 없는 원기둥의 형태와 유사한 고정 홈이 완성 되어지는 고정 홈 원단 재봉단계;(S105)와, 원단을 길이방향으로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재단하되, 제1 리본과 제2 리본을 구성하도록 두 개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리본 재단단계;(S106)와, 발목뒷안감의 개방되어진 중앙 상단과, 고정 홈의 개방되어지지 않은 한 쪽 단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재봉하는 고정 홈 접합단계;(S107)와, 상기 고정 홈의 개방 되어진 양 단의 우측과, 제1 리본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하는 제1 리본 접합단계;(S108)와, 상기 고정 홈의 개방되어진 양 단의 좌측과, 제2 리본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하는 제2 리본 접합단계;(S109)와, 바닥원단의 개방되어진 외곽 둘레와, 발 후면원단 및 발등원단의 개방되어진 하단부가 각각 대응 되도록 포개어 놓는 발 덮개부 준비단계;(S110)와, 발 후면원단과 발등원단의 개방되어진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재봉하여 고정하는 발 덮개부 고정단계;(S111)와, 발 덮개부 하단의 개방 되어진 외곽둘레과 바닥부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가 각각 대응되는 외곽을 따라 재단하는 덧신 일체화 단계;(S112)와, 재봉선이 보이지 않도록 덧신의 바닥부와 입구부를 중심으로 뒤집기 하는 덧신 완성단계(S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서, 밀착형 레이스 덧신을 구성하는 실리콘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발 후면원단과 발등 원단을 구성하는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나일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을 혼합하여 실리콘 혼합물을 제조하는 실리콘 혼합물 제조단계;(S201)와,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실리콘사로 제조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그 방법은, 가열에 의해 수축되는 실리콘 혼합물을 블로잉(Blowing)기법을 통해 코어(Core)형태로 제작 하는 코어 제작단계;(S202)와, 실리콘 혼합물이 담긴 코어(Core)를 터널형 고온가열기에 투입 시킨 후, 터널형 고온가열기 내에 배치된 직조기구가 코어(Core)를 한 방향으로 회전 시키며 건조 처리 함으로서 미세섬유사를 제조하는 미세섬유사 직조단계;(S203)와, 상기 공정이 완료 됨으로서 초벌이 완료되어진 실리콘사의 안정화를 위해 실리콘사를 코로나 처리하는 코로나 처리단계;(S204)와, 실리콘사를 60~80 ℃의 건조기를 통과시켜 저열경화 시킨 후, 45~65 ℃의 저온으로 23~25 시간 숙성 시킴 으로서 실리콘사의 경화를 완료하는 경화 완료단계;(S205)와, 실리콘사를 니팅(Knitting)공법으로 직조 함으로서 레이스원단을 제조하는 레이스원단 제조단계;(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덧신의 그 발등부는 발 부리부를 시작으로 발등의 엄지 발가락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 됨으로서 착용자로 하여금 덧신 겉면이 신발 외부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게하는 깔끔하고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덧신을 구성하는 발 덮개부를 실리콘사로 직조 되어진 레이스원단으로 구성 함으로서 덧신과 발 사이의 밀착력과 완충작용을 형성 하고, 발과 덧신을 밀착력 있게 서포트(Support)해주는 일종의 덧신과 발의 일체감을 형성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수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자 혼합됨으로 구성된 실리콘 혼합물을 블로잉(Blowing)기법을 통해 코어(Core)형태로 제작하고, 코어(Core)형태의 실리콘 혼합물을 터널형 고온가열기에 투입 시켜 직조 처리하고, 실리콘사(50)의 안정화를 위해 코로나 처리를 한 후, 60~80 ℃의 건조기를 통과시켜 저열경화 시키고, 45~65 ℃의 저온으로 23~25 시간 숙성 시킴 으로서 완성된 실리콘사로 원사로, 덧신의 발등부 및 발 후면부를 구성하는 레이스원단을 니팅(knitting)공법으로 제작하여 덧신을 제조함으로서, 소비자의 구매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사시도.
도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배면도.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분해 평면도.
도4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 덮개부 원단의 평면도.
도5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원단도안.
도6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리본의 매듭을 지은 덧신의 배면도.
도7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8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9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사시도이고, 도2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배면도이고,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4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 덮개부 원단의 평면도이고, 도5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원단도안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리본의 매듭을 지은 덧신의 배면도이고, 도7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8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스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9 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형 레이스 덧신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 및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덧신(10)의 덮개부를 구성하는 레이스원단(40)을 실리콘사(50)로 직조 함으로서, 착용자가 덧신(10)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덧신이 들뜨거나 발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바닥부(21), 발등부(22), 발 후면부(23), 리본부(28)로 분리 구성된다.
덧신(10)을 구성하는 바닥부(21)는 발바닥의 개방되어진 외곽 둘레를 따른 모양으로 원단(30)을 재단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덧신(10)을 구성하는 발등부(22)는 바닥부(21)의 개방 되어진 외곽의 발부리부(29)와 발등원단(41)의 개방되어진 하단부가 결합되되, 발 부리부(29)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등 부분까지 연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덧신(10)을 구성하는 발 후면부(23)는 바닥부(21)의 개방되어진 외곽 둘레를 따라 접합되되, 양 측면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각각의 복사뼈 부분까지 연장됨으로서 측면부를 구성하고, 발 뒤꿈치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목 부분까지 연장됨으로서 발 뒤꿈치부를 구성한다. 상기 측면부와 발뒤꿈치가 연동 됨으로서 발 후면부(23)가 구성된다.
덧신(10)을 구성하는 발목뒷안감(24)은, 발 후면부(23)가 발을 보호할 때 그 덧신(10)의 내면과 발뒤꿈치가 접하는 부분으로, 그 상단 중앙에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홈(25) 양 단의 우측과 좌측으로 제1리본(26)과 제2 리본(27)이 각각 결합되되, 그 결합 되어진 길이는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리본(26)과 제2 리본(27)은 발목 둘레를 시작으로 발의 정강이 까지 리본을 엮어 덧신(10)을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형성된 고정 홈(25)에 리본을 고정 함으로서 보행 상황에 따라 착용자가 리본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한다. 이는 착용자로 하여금 고정 홈(25)에 고정된 제1리본(26)과 제2 리본(27)이 미관의 우수함과 발목 둘레부터 정강이 까지의 발 표피를 선택적으로 보호 할 수 있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덧신(10)의 내면에 실리콘사(40)가 로 직조된 레이스원단(40)을 사용함 으로서 착용자가 덧신(10)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덧신이 들뜨거나 발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에 관한 것이다.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의 제조방법은,
면, 한지, 스판,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되어 바닥원단(31)을 구성하고,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수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이 혼합되어 실리콘사(50)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각 원단은 덧신(10)과 접합 되어지는 가접 부분을 감안하여 재단되어져야 하므로 본 사이즈의 크기보다 크게 재단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하며, 상기 실리콘사(50)의 구성물이 되는 실리콘 혼합물은 발과의 밀착성, 향균성, 혈액순환 촉진등의 효과를 이룰 수 있게한다. (S101)
바닥원단(31)을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하여 바닥 부(21)를 재단한다. 이 때, 상기 각 원단(30)은 덧신(10)과 접합 되어지는 가접 부분을 감안하여 재단되어져야 하므로 본 사이즈의 크기보다 크게 재단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한다. (S102)
발 후면원단(42)과 발등원단(41)을 발 후면부(23) 및 발등부(22)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를 따른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한다. 이 때, 상기 각 원단(30)은 덧신(10)과 접합 되어지는 가접 부분을 감안하여 재단되어져야 하므로 본 사이즈의 크기보다 크게 재단하는 것이 선행 되어야 하며 재단 되어지는 리본의 외곽은 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로크(Overlock) 처리한다. (S103)
원단(30)을 길이방향 5 cm 길이로 재단한다. 이 때, 상기 고정 홈(25)원단의 너비는 2~3cm 내외로 재단 되어지며, 고정 홈(25)의 개방 되어지는 외곽은 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로크(Overlock) 처리한다. (S104)
고정 홈 원단(30)의 길이방향으로 짧고 개방 되어진 양 끝단부가 서로 이어지도록 재봉 함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 되어지고 내부 적재공간이 없는 원기둥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재봉된다. 재봉 되어지기 전, 고정 홈(30)원단의 양 끝단부는, 그 재봉선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도록 하기위해 고정 홈(30)원단 의 내면이 되어지는 왼쪽 끝단부와, 고정 홈(30)원단의 내면이 되어지는 오른쪽 끝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재봉한 뒤, 뒤집기한다. (S105)
원단(30)을 길이방향으로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재단하되,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을 구성하도록 동일한 두 개의 형상으로 재단한다. 재단 되어지는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의 너비는 고정홈(30)의 홀(Hole) 너비와 비례하며, 그 너비는 중심부에서 바깥부로 갈 수록 넓어질 수 있고, 개방 되어지는 외곽은 올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버로크(Overlock) 처리한다. (S106)
발목뒷안감(24)의 개방되어진 중앙 상단과, 고정 홈(25)의 개방되어지지 않은 한 쪽 단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재봉한다. (S107)
상기 고정 홈(25)의 개방 되어진 양단 중 우측과, 제1 리본(26)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하고, 상기 고정 홈(25)의 개방되어진 양 단중 좌측과, 제2 리본(27)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한다. 고정 홈(25)과 리본을 각각 고정할 때,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이 덧신(10)의 표면과 고정 홈(25)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포개어둔 뒤 재봉함으로서 그 재봉부가 겉으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게 한다. (S108), (S109)
바닥원단(31)의 개방되어진 외곽 둘레와, 발 후면원단(42) 및 발등원단(41)의 개방되어진 하단부가 각각 대응 되도록 포개어 놓는다. (S110)
발 후면원단(42)과 발등원단(41)의 개방되어진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재봉한다. 발 후면원단(42)과 발등원단(41)이 각각 재봉되어 이어짐으로서, 발등 전면을 보호하는 발 덮개부가 완성된다. (S111)
발 덮개부(20) 하단의 개방 되어진 외곽둘레과 바닥부(21)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가 각각 대응되는 외곽을 따라 재단한다. 상기 발 덮개부(20)원단의 하단부 외곽 으로부터 약3cm 여유있는 시접선 부위와, 바닥원단의 외곽둘레가 서로 대응되어지도록 재봉한다. (S112)
재봉선이 보이지 않도록 덧신(10)의 바닥부(21)와 입구부를 중심으로 뒤집기 하는 덧신 완성단계(S113)를 실행 함으로서 덧신(10)을 착용하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늘어나거나 들뜨는 현상을 예방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의 제조방법이 완료된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사(50) 로 직조된 레이스원단(40)을 사용함 으로서 착용자가 덧신(10)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덧신이 들뜨거나 발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하는 실리콘사(50)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의 발 후면원단(33)과 발등 원단(32)을 구성하는 레이스원단(40)은,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나일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을 혼합하여 실리콘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때, 실리콘사(50)의 구성물이 되는 실리콘 혼합물은 발과의 밀착성, 향균성, 혈액순환 촉진 등의 효과를 이룰 수 있게한다. (S201)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실리콘사(50)로 제조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그 방법은, 가열에 의해 수축되는 실리콘 혼합물을 블로잉(Blowing)기법을 통해 코어(Core)형태로 제작 한다.
이 때, 블로잉(Blowing)기법이란, 주물의 대상이 되는 섬유를 압축 공기와 함께 주형 내에 불어넣어서 섬유사를 제조하는 기법으로, 실리콘 혼합물의 특성에 따라 각기다른 가공설비의 종류 및 온도, 압력, 시간 등 으로 생산제품의 상태가 가변적 일 수 있다. (S202)
실리콘 혼합물이 담긴 코어(Core)를 터널형 고온가열기에 투입 시킨 후, 터널형 고온가열기 내에 배치된 직조기구가 코어(Core)를 한 방향으로 회전 시키며 건조 처리 함으로서 미세섬유사를 제조한다.
주물의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주형을 코어(Core)라 하며, 코어를 만들기 위한 모형은 Core box, 코어를 지지하는 부분은 Core print이라고 한다. 코어용 주물사는 상기 실리콘 배합물이 사용되며, 산화성 공정과정 중에서 200~250 ℃로 2~3시간 건조시킴 으로서 경화성을 가지며 상기 공정과정은 상황과 재료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S203)
상기 공정이 완료 됨으로서 초벌이 완료되어진 실리콘사(50)의 안정화를 위해 실리콘사(50)를 코로나 처리한다. (S204)
실리콘사(50)를 60~80 ℃의 건조기를 통과시켜 저열경화 시킨 후, 45~65 ℃의 저온으로 23~25 시간 숙성 시킴 으로서 실리콘사(50)의 경화를 완료한다. (S205)
실리콘사(50)를 니팅(Knitting)공법으로 직조 함으로서 레이스원단(40)이 제조되며, 레이스편물을 직조하는 그 방법은 유행과 재료에 따라 가변적 일 수 있다. S206)
상기 레이스원단(40)의 제조공정에 포함되는 일 실시 예에서, 레이스원단(40)을 염색 하고자 할 경우에, 완성 되어진 레이스원단(40)을 염색기에 투입하여 레이스원단(40)을 가염하고, 염료가 흡수된 레이스원단(40)을 240 ℃~ 260 ℃ 온도로 가열하는 중숙 가열공정을 실행 함으로서, 레이스원단(40)에 흡수된 염료를 고착시킨다. 상기 단계를 반복실행 함으로서 레이스원단(40)의 염색이 선택적으로 실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제조방법.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덧신
20: 발 덮개부 21: 바닥부 22: 발등부 23: 발 후면부
24: 발목뒷안감 25: 고정 홈 29: 발부리부
26: 제1 리본 27: 제2 리본 28: 리본부
30: 원단 31: 바닥원단 32: 고정홈 원단
40: 레이스원단 41: 발등원단 42: 발후면원단
50: 실리콘사

Claims (3)

  1.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에 있어서,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바닥부;(21)
    바닥부(21)의 개방 되어진 외곽을 따라 접합되며, 발 부리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등 부분까지 밀착되어 형성된 발등부;(22)
    바닥부(21)의 개방 되어진 외곽을 따라 접합되며, 양 측면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복사뼈 부분까지, 뒤 꿈치부의 외곽을 시작으로 발목 부분까지 밀착되어 형성되는 발 후면부;(23)
    덧신(10)의 발뒤꿈치 내면에 형성된 발목뒷안감(24)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 홈;(25)
    상기 고정 홈(25)의 개방 되어진 양 단의 우측과 좌측으로 각각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이 결합되되, 그 길이는 길이방향으로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형성된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
    덧신(10)의 상단에 형성되고 발이 인입되는 입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
  2. 면, 한지, 스판,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되어 바닥원단(31)을 구성하고,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이 혼합되어 실리콘사(50)를 제조하는 원단 제조단계;(S101)
    바닥원단(31)을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하는 바닥 부 재단단계;(S102)
    발 후면원단(42)과 발등원단(41)을 발 후면부(23) 및 발등부(22)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를 따른 유사한 형상으로 재단하는 발 덮개부 재단단계;(S103)
    원단(30)을 길이방향 5 cm 길이로 재단하는 고정 홈 원단 재단단계;(S104)
    고정 홈 원단(30)의 길이방향으로 짧고, 개방 되어진 양 끝단부가 서로 이어지도록 재봉 함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 되어지고 내부 적재공간이 없는 원기둥의 형태와 유사한 고정 홈(25)이 완성 되어지는 고정 홈 원단 재봉단계;(S105)
    원단(30)을 길이방향으로 발 바닥에서 정강이 까지의 길이로 재단하되, 제1 리본(26)과 제2 리본(27)을 구성하도록 두 개의 형상으로 재단하는 리본 재단단계;(S106)
    발목뒷안감(24)의 개방되어진 중앙 상단과, 고정 홈(25)의 짧은 쪽 단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재봉하는 고정 홈 접합단계;(S107)
    상기 고정 홈(25)의 개방 되어진 우측 단과, 제1 리본(26)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하는 제1 리본 접합단계;(S108)
    상기 고정 홈(25)의 개방되어진 좌측 단과, 제2 리본(27)의 한 쪽 끝단이 서로 대응 되어지도록 재봉하는 제2 리본 접합단계;(S109)
    바닥원단(31)의 개방되어진 외곽 둘레와, 발 후면원단(42) 및 발등원단(41)의 개방되어진 하단부가 각각 대응 되도록 포개어 놓는 발 덮개부 준비단계;(S110)
    발 후면원단(42)과 발등원단(41)의 길이 방향으로 짧고 개방 되어진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재봉하여 고정하는 발 덮개부 고정단계;(S111)
    발 덮개부(20) 하단의 개방 되어진 외곽둘레와 바닥부(21)의 개방되어진 외곽둘레가 각각 대응되는 외곽을 따라 재단하는 덧신 일체화 단계;(S112)
    재봉선이 보이지 않도록 덧신(10)의 바닥부(21)와 입구부를 중심으로 뒤집기 하는 덧신 완성단계;(S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제조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밀착형 레이스 덧신(10)의 발 후면원단(33)과 발등 원단(32)을 구성하는 레이스원단(40)은, 실리콘, 천연황토분말, 폴리우레탄, 나일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 토르마린분말, 음이온석분말, 피톤치드분말을 혼합하여 실리콘 혼합물을 제조하는 실리콘 혼합물 제조단계;(S201)
    상기 실리콘 혼합물을 실리콘사(50)로 제조하기 위해 열처리를 하는 그 방법은, 가열에 의해 수축되는 실리콘 혼합물을 블로잉(Blowing)기법을 통해 코어(Core)형태로 제작 하는 코어 제작단계;(S202)
    실리콘 혼합물이 담긴 코어(Core)를 터널형 고온가열기에 투입 시킨 후, 터널형 고온가열기 내에 배치된 직조기구가 코어(Core)를 한 방향으로 회전 시키며 건조 처리 함으로서 미세섬유사를 제조하는 미세섬유사 직조단계;(S203)
    상기 공정이 완료 됨으로서 초벌이 완료되어진 실리콘사(50)의 안정화를 위해 실리콘사(50)를 코로나 처리하는 코로나 처리단계;(S204)
    실리콘사(50)를 60~80 ℃의 건조기를 통과시켜 저열경화 시킨 후, 45~65 ℃의 저온으로 23~25 시간 숙성 시킴 으로서 실리콘사(50)의 경화를 완료하는 경화 완료단계;(S205)
    실리콘사(50)를 니팅(Knitting)공법으로 직조 함으로서 레이스원단(40)을 제조하는 레이스원단 제조단계;(S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레이스 덧신의 제조방법.
KR1020190048236A 2019-04-25 2019-04-25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25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36A KR102255009B1 (ko) 2019-04-25 2019-04-25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36A KR102255009B1 (ko) 2019-04-25 2019-04-25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58A true KR20200124858A (ko) 2020-11-04
KR102255009B1 KR102255009B1 (ko) 2021-05-24

Family

ID=7357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36A Expired - Fee Related KR102255009B1 (ko) 2019-04-25 2019-04-25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0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663A (en) * 1949-05-17 1950-10-24 Sonja S Holland Sock
US20140041099A1 (en) * 2012-08-08 2014-02-13 Cynthia BOYD Sock with ankle straps
JP3194010U (ja) * 2014-08-20 2014-10-30 荘三郎 三好 浅履き靴下
JP2017066563A (ja) * 2015-09-30 2017-04-06 あゆ 岩貞 足先装具
KR101726297B1 (ko) 2014-12-12 2017-04-12 주식회사 제이패션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2885A (ko) * 2015-10-12 2017-04-20 심현우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발찌 덧신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010B2 (ja) 1996-03-08 2001-07-30 経済産業省産業技術総合研究所長 高反応性活性種が表面に固定されている改質された固体表面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663A (en) * 1949-05-17 1950-10-24 Sonja S Holland Sock
US20140041099A1 (en) * 2012-08-08 2014-02-13 Cynthia BOYD Sock with ankle straps
JP3194010U (ja) * 2014-08-20 2014-10-30 荘三郎 三好 浅履き靴下
KR101726297B1 (ko) 2014-12-12 2017-04-12 주식회사 제이패션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66563A (ja) * 2015-09-30 2017-04-06 あゆ 岩貞 足先装具
KR20170042885A (ko) * 2015-10-12 2017-04-20 심현우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발찌 덧신
KR101875726B1 (ko) * 2016-12-29 2018-07-06 고미화 밀림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개선된 덧버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009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8919A1 (en) Leg cover applied to a shoe or a foot providing warmth, protection, ankle support, and fashion style
KR101726297B1 (ko) 착용감이 우수하고 봉제를 최소화한 덧버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532461A (ja) 収縮靴または靴下デバイス
US6381755B2 (en) Notched toe panty hose and method of use
KR20170006877A (ko) 덧신양말
EP4093232B1 (en) Structure and procedure for making a shoe with knitted upper
KR100919969B1 (ko) 봉제선이 없는 덧신양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덧신양말
JP6972451B2 (ja) フットカバー
CN109219362B (zh) 鞋面
KR102226958B1 (ko) 척추와 휜다리를 교정하는 레이스 덧신
KR102255009B1 (ko) 밀착형 레이스 덧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6959B1 (ko) 여성 구두용 실리콘 코팅 레이스 덧신
JP3227574U (ja) 二重編地の履物
US20090265954A1 (en) Shoe and Sandal Footwear Combination
KR101280532B1 (ko) 벗겨지는 것이 방지되는 양말
US9101172B2 (en) Wrap boot for a wearer's foot
TWM630173U (zh) 具有異彈性鞋面的透濕防水鞋
KR101377031B1 (ko) 덧신 및 그 제조방법
KR102048503B1 (ko) 양말과 양털 원단을 이용한 보온 덧신의 제조 방법
KR101552570B1 (ko)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KR20250000048U (ko) 보강된 밴드부를 갖는 덧신 양말
KR20110010605U (ko) 양말
JPWO2019163480A1 (ja)
KR102001180B1 (ko) 덧신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덧신
KR102008010B1 (ko) 신축성 원단을 이용한 긴 양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