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23964A -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964A
KR20200023964A KR1020180100518A KR20180100518A KR20200023964A KR 20200023964 A KR20200023964 A KR 20200023964A KR 1020180100518 A KR1020180100518 A KR 1020180100518A KR 20180100518 A KR20180100518 A KR 20180100518A KR 20200023964 A KR20200023964 A KR 20200023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filter
quantum dot
layer
dot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669B1 (ko
Inventor
김훈식
박슬기
이종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669B1/ko
Priority to US16/550,880 priority patent/US11626453B2/en
Priority to JP2019153983A priority patent/JP6896812B2/ja
Priority to CN201910795391.3A priority patent/CN110865513B/zh
Publication of KR2020002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6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02B5/286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having four or fewer layers, e.g. for achieving a colour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3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on optical devices, e.g. lens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양자점층; 및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에 대하여 단일한 격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광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컬러 필터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생상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컬러 필터를 포함하여 휘도 특성이 개선되어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A COLOR FILTER, A METHOD OF MAKING THEREOF, AND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크게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컬러 형성을 위해 컬러 필터를 사용하며, 상기 컬러 필터는 각각의 화소 사이의 경계부분을 차광하기 위해서 투명 기판 상에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 층 및 각각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색(통상적으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원색을 정해진 순서로 배열한 화소부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컬러 필터는 안료 분산법, 전착법, 인쇄법, 염색법, 전사법, 잉크젯 방식 등에 의하여 3종 이상의 색상을 투명 기판상에 코팅하여 제조한다. 최근에는 품질, 성능면에서 우수한 안료 분산형의 감광성 수지를 이용한 안료 분산법이 주류를 이룬다.
안료 분산법은 흑색 매트릭스가 구비된 투명한 기질 위에 착색제를 비롯하여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에폭시 수지, 용제,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형태의 패턴을 노광한 후, 비노광 부위를 용제로 제거하여 열경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착색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휴대폰,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LCD를 제조하는데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 분산법을 이용할 때, 착색제로서 염료나 안료를 이용하는데, 이 경우 광원의 투과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투과 효율의 저하는 결과적으로 화상표시장치의 색재현성을 낮추게 되어 결국 고품질의 화면 구현을 어렵게 한다. 이에 우수한 패턴 특성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색상 표현, 높은 색재현율과 함께 고휘도 및 고명암비 등 더욱 향상된 성능이 요구됨에 따라 염료나 안료 대신 자체 발광하는 양자점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양자점을 컬러 필터의 발광 물질로 사용할 경우 발광 파형을 좁힐 수 있고 안료에서는 구현하지 못하는 높은 색 구현 능력을 가지게 되며, 우수한 휘도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컬러필터 제조에서 수행하는 양자점의 낮은 안정성으로 인해 표면에 결정 등이 발생하여 양자점의 발광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30353호 에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양자점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자발광형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 중 광효율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편, 발광효율을 향상시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고 높은 휘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뚜렷한 색감을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30353호
본 발명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화소의 광 효율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높은 개구율을 확보함에 따라, 휘도가 향상되어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전력 소모 면에서도 이점이 있는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양자점층; 및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에 대하여 단일한 격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재 상에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이 형성된 기재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층상에 상기 양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는 양자점이 포함된 층과 컬러층에 대하여 단일한 형태인 격벽을 포함함으로써, 외광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컬러 필터 제조 시에 공정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필터를 포함하여 높은 개구율을 확보함에 따라, 휘도가 향상되어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 면에서도 이점이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컬러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양자점층; 및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에 대하여 단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일한 형태의 격벽은,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 각각에 대한 별개의 격벽이 아닌,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 모두에 대한 하나의 단일한 일체형 격벽인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외광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컬러 필터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컬러 필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한 형태의 격벽에 의해 높은 개구율을 확보함에 따라, 휘도가 향상되어 밝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고품위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 면에서도 이점이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래 설명과 도면은 당업자가 설명되는 장치와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논리적으로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구성 요소와 기능은 명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과정의 순서는 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의 부분과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대체될 수 있다.
<컬러 필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컬러층, 양자점층, 격벽을 포함한다.
컬러층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등의 어느 하나 이상의 색을 포함하는 층으로, 착색제,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자점층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층으로 상기 컬러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자점층은 광루미네선스 양자점,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양자점(quantum dot, QD)은 나노 크기의 반도체 물질이다. 원자가 분자를 이루고, 분자는 클러스터라고 하는 작은 분자들의 집합체를 구성하여 나노 입자들이 특히 반도체 특성을 띠고 있을 때 이를 양자점이라고 한다. 양자점은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에 이르면 자체적으로 해당하는 에너지 밴드갭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한다.
상기 양자점은 광에 의한 자극으로 발광할 수 있는 양자점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Ⅱ-VI족 반도체 화합물; Ⅲ-V족 반도체 화합물; Ⅳ-Ⅵ족 반도체 화합물; Ⅳ족 원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Ⅱ-Ⅵ족 반도체 화합물은 CdS, CdSe, CdTe, ZnS, ZnSe, ZnTe, ZnO, HgS, HgSe, Hg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CdSeS, CdSeTe, CdSTe, ZnSeS, ZnSeTe, ZnSTe, HgSeS, HgSeTe, HgSTe, CdZnS, CdZnSe, CdZnTe, CdHgS, CdHgSe, CdHgTe, HgZnS, HgZnSe, HgZn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CdZnSeS, CdZnSeTe, CdZnSTe, CdHgSeS, CdHgSeTe, CdHgSTe, HgZnSeS, HgZnSeTe, HgZnS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Ⅲ-V족 반도체 화합물은 GaN, GaP, GaAs, GaSb, AlN, AlP, AlAs, AlSb, InN, InP, InAs, InS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GaNP, GaNAs, GaNSb, GaPAs, GaPSb, AlNP, AlNAs, AlNSb, AlPAs, AlPSb, InNP, InNAs, InNSb, InPAs, InPSb, GaAlNP,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GaAlNAs, GaAlNSb, GaAlPAs, GaAlPSb, GaInNP, GaInNAs, GaInNSb, GaInPAs, GaInPSb, InAlNP, InAlNAs, InAlNSb, InAlPAs, InAlPSb,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Ⅳ-Ⅵ족 반도체 화합물은 SnS, SnSe, SnTe, PbS, PbSe, Pb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 SnSeS, SnSeTe, SnSTe, PbSeS, PbSeTe, PbSTe, SnPbS,SnPbSe, SnPb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삼원소 화합물; 및 SnPbSSe, SnPbSeTe, SnPbS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IV족 원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Si, G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화합물; 및 SiC, SiG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원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자점은 균질한(homogeneous) 단일 구조; 코어-쉘(core-shell), 그래디언트(gradient) 구조 등과 같은 이중 구조; 또는 이들의 혼합구조일 수 있다.
상기 코어-쉘(core-shell)의 이중 구조에서, 각각의 코어(core)와 쉘(shell)을 이루는 물질은 상기 언급된 서로 다른 반도체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는 CdSe, CdS, ZnS, ZnSe, CdTe, CdSeTe, CdZnS, PbSe, AgInZnS 및 Zn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쉘은 CdSe, ZnSe, ZnS, ZnTe, CdTe, PbS, TiO, SrSe 및 Hg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양자점은 적색을 나타내는 양자점, 녹색을 나타내는 양자점 및 청색을 나타내는 양자점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층은 상기 컬러층이 나타내는 색과 대응되도록 적색, 녹색, 청색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1종의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청색광이 조사되는 경우, 레드 컬러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양자점층에 청색광이 입사되면, 청색광은 양자점층에 의해 적색광으로 변환되고, 녹색 컬러층과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양자점층에 입사되는 경우에는 청색광이 양자점층에 의해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즉, 본 발명의 양자점층은 입사광을 컬러층이 나타내는 색과 동일한 색으로 변환하는 색변환층이다.
양자점층은 입사광을 산란하는 산란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산란입자가 포함된 양자점층은 입사된 광을 색변환시키지 않고 출사하는데, 위의 예시와 같이 청색광이 산란입자를 포함하는 양자점층에 입사될 경우에는 입사된 청색광이 색변환되지 않고 출사된다.
상기 산란입자로는 통상의 무기 재료를 모두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Li, Be, B, Na, Mg, Al, Si, K, Ca, Sc, V, Cr, Mn, Fe, Ni, Cu, Zn, Ga, Ge, Rb, Sr, Y, Mo, Cs, Ba, La, Hf, W, Tl, Pb,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Ti, Sb, Sn, Zr, Nb, Ce, Ta, I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Mg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양자점은 습식 화학 공정(wet chemical process), 유기금속 화학증착 공정 또는 분자선 에피택시 공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습식 화학 공정은 유기용제에 전구체 물질을 넣어 입자들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결정이 성장될 때 유기 용제가 자연스럽게 양자점 결정의 표면에 배위되어 분산제 역할을 하여 결정의 성장을 조절하게 되므로, 상기 유기금속 화학증착(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이나 분자선 에피택시(MBE, molecular beam epitaxy)와 같은 기상증착법보다 더 쉽고 저렴한 공정을 통하여 나노 입자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종래에 사용하던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를 대체하여 컬러 필터에 다양한 색상 표현, 높은 색재현율, 고휘도, 및 고명암비 등의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양자점은 모든 방향으로 광을 발산하므로, 광의 활용률이 높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컬러층 및 양자점층, 즉 컬러층 상에 양자점층이 적층 배치된 다층구조의 화소 영역에 대하여 단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컬러 필터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격벽은 기재 상에 다층구조의 화소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한다.
상기 격벽은, 일 예로서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 필터에서 기재는, 도 1과 같이 컬러 필터 자체 기판일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컬러 필터가 위치되는 부위일 수도 있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은 유리, 실리콘(Si),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일으며, 상기 고분자 기판은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기재 상에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 사이에 잉크젯법 또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컬러층 및 양자점층이 형성되는데, 컬러층 상에 양자점층 형성시 잉크젯법을 이용할 경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재료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5 내지 15 ㎛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벽의 높이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컬러층과 양자점층이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없어 특성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5 ㎛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정상 컬러층과 양자점층의 균일한 도막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 필터는 양자점층의 두께가 컬러층 두께의 6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다. 양자점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로 형성되면 컬러 필터의 광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컬러 필터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컬러를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컬러 필터는, 영상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표시부의 복수의 화소 영역에 각 컬러 필터 영역이 대응되게 배치되어, 컬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예를 들어, 투과형이나 반사형 액정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패널일 수 있다.
<컬러 필터 제조 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컬러 필터는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층상에 상기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 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고, 컬러층을 형성하기 전에 양자점층을 형성하고 컬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은 기재 상에 단일한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이 형성된 기재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층상에 상기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 필터제조 방법은 백라이트 유닛 상에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상에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상에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다른 컬러 필터는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가지고 양자점층과 컬러층을 동시에 가진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 제조 방법은 종래 컬러필터에 포함되는 격벽 형성 방법에 따라 제조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격벽은 기판 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적어도 한쪽에, 착색제, 알칼리 가용성 수지, 광중합성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층을 패턴상으로 노광하고 현상함으로써 양자점층과 컬러층을 격리하는 격벽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킹 처리하는 등의 다른 공정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격벽에 종래의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컬러층과 양자점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형태가 상이할 뿐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추가적인 도입 방법으로 격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핀 코팅이 아닌 잉크젯 방식으로 격벽에 컬러층 내지 양자점층을 잉크젯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잉크젯 공정을 통한 공정은 사용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통상의 액정 표시장치뿐만 아니라, 전계발광 표시장치, 플라스마 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등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양자점층 및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에 대하여 단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표시장치에 적용시 광원의 방출광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보다 우수한 색 재현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광 효율이 우수하여 높은 휘도를 나타내고, 색 재현성이 우수하며, 넓은 시야각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컬러 필터의 제조
가로, 세로 각각 10 센티미터의 유리 기판(이글 2000; 코닝사 제조)을 중성 세제, 물 및 알코올로 순차 세정한 후 건조하였다. 상기 유리 기판 상에 격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동우화인켐사의 SY-LR1001 제품을 스핀 코팅한 다음 클린오븐에서 90℃로 3 분간 프리베이크 하였다. 상기 프리베이크한 기판을 상온으로 냉각 후 석영 유리제 포토마스크와의 간격을 200㎛로 하여 노광기(TME-150RSK; 톱콘 (주) 제조)를 사용하여 각각 60mJ/㎠의 노광량(365㎚ 기준)으로 광을 조사하였다. 이 때의 조사는, 초고압 수은등으로부터의 방사광을 사용하였다. 이때 포토마스크는 패턴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였다. 기존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는 내부에 직사각형의 형태로 차단부(미노광부)를 가지며 투광부 (패턴)는 직선의 형태가 서로 가로지르는 형태를 가진다. 투광부의 패턴의 크기는 15㎛ 이었다. 광조사 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2 중량%와 수산화칼륨 0.04 중량%를 함유하는 수계 현상액에 상기 도막을 25℃ 에서 100초간 침지하여 현상하고, 수세 후 오븐 중에서, 220℃로 20분간 포스트베이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막 두께는 13㎛이었다. 막두께는 막두께 측정장치(DEKTAK 6M; Veeco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구조로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구조로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구조로 격벽과 컬러층을 형성하고 격벽과 양자점층을 형성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컬러필터는 컬러층과 양자점층을 위한 격벽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시험예: 컬러 필터의 특성 평가
실험예 1. 휘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그리고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컬러필터는 OLED 패널과 함께 조립되어 발생하는 휘도를 현미분광 광도계(Olympus Corporation 제품; OSP100)를 사용하여, 핀홀 직경 100㎛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개구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그리고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컬러필터를 빛이 나오는 부분의 면적을 전체면적으로 계산하여 개구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휘도 (Y) 개구율(%)
실시예 1 87 88
실시예 2 89 88
비교예 1 78 8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와 같이 격벽이 형성된컬러 필터는 컬러 필터에서 측정되는 휘도가 높은 것을 알수 있으며 또한 단일한 형태의 격벽으로 컬러층과 양자점층을 형성하는데 있어 개구율 손실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과 같이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포함하지 않는 컬러 필터의 경우에는 휘도 특성이 좋지 못하고, 실시예들 대비 개구율 손실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양자점층; 및
    상기 컬러층 및 양자점층에 대하여 단일한 격벽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5㎛ 내지 15㎛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 및 상기 양자점층은 잉크젯법 공정으로 형성되는, 컬러 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층은 잉크젯법으로 형성되는 것인, 컬러 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인접한 양자점 층의 두께는 상기 격벽과 인접한 컬러층의 두께의 60% 내지 90%인, 컬러 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층은 산란입자를 더 포함하는, 컬러 필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l2O3, SiO2, ZnO, ZrO2, BaTiO3, TiO2, Ta2O5, Ti3O5, ITO, IZO, ATO, ZnO-Al, Nb2O3, SnO 및 MgO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재 상에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이 형성된 기재 상에 상기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층상에 상기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제조 방법.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백라이트 유닛 상에 단일한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벽이 형성된 백라이트 유닛 상에 상기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상에 하나 이상의 색으로 형성된 컬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80100518A 2018-08-27 2018-08-27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Active KR10228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18A KR102285669B1 (ko) 2018-08-27 2018-08-27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16/550,880 US11626453B2 (en) 2018-08-27 2019-08-26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19153983A JP6896812B2 (ja) 2018-08-27 2019-08-26 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を含む画像表示装置
CN201910795391.3A CN110865513B (zh) 2018-08-27 2019-08-27 滤色器及其制造方法以及包括滤色器的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18A KR102285669B1 (ko) 2018-08-27 2018-08-27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64A true KR20200023964A (ko) 2020-03-06
KR102285669B1 KR102285669B1 (ko) 2021-08-04

Family

ID=6958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18A Active KR102285669B1 (ko) 2018-08-27 2018-08-27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6453B2 (ko)
JP (1) JP6896812B2 (ko)
KR (1) KR102285669B1 (ko)
CN (1) CN1108655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9040B2 (en) 2021-04-22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0425B (zh) * 2020-04-03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CN113759661B (zh) * 2020-06-03 2024-10-22 新应材股份有限公司 感光性树脂组合物、隔壁、光转换层以及光发射装置
TWI732580B (zh) * 2020-06-03 2021-07-01 新應材股份有限公司 感光性樹脂組成物、隔壁、光轉換層以及光發射裝置
KR102815702B1 (ko) * 2020-06-05 2025-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731962B1 (ko) * 2020-09-08 2024-1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2133734B (zh) * 2020-09-29 2022-08-30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30063964A (ko) * 2021-11-01 2023-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28B1 (ko) * 2008-07-10 2012-12-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6335A (ko) * 2014-11-10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70061765A (ko) * 2015-11-26 2017-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170261849A1 (en) * 2015-11-16 2017-09-1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KR20170110950A (ko) * 2016-03-24 201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123600A (ko) * 2017-10-27 2017-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80031910A1 (en) * 2015-12-02 2018-02-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color filter substrate
US20180045866A1 (en) * 2016-08-11 2018-02-15 Samsung Display Co., Ltd. Color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30353A (ko) 2016-09-13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 필터
JP2018132662A (ja) * 2017-02-15 2018-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912B1 (ko) 1994-09-06 1997-10-27 정종득 베타(β)Ⅲ형 티탄무수석고 또는 탈황석고 첨가 석고보드 시공재의 조성물
MXPA06005650A (es) * 2003-11-18 2006-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etodo para fabricar dispositivo electroluminiscente que incluye filtro de color.
US20070003743A1 (en) * 2004-08-27 2007-01-04 Masaaki Asano Color filter substrate for organic EL element
KR100635575B1 (ko) * 2004-11-17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 칼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569B1 (ko) * 2004-12-10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필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US7791271B2 (en) * 2006-02-24 2010-09-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Top-emitting OLED device with light-scattering layer and color-conversion
JP4529988B2 (ja) * 2007-03-08 2010-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CN201825649U (zh) 2010-10-26 2011-05-11 山东天正起重机械有限公司 用于起重机的工字形的导轨
JP6064411B2 (ja) * 2011-09-28 2017-01-25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JP6323507B2 (ja) 2012-12-19 2018-05-1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情報コードの生成方法、情報コード、情報コード読取装置、及び情報コード利用システム
CN107315209B (zh) 2013-08-07 2020-01-14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膜
WO2016017468A1 (ja) * 2014-07-28 2016-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5963814B2 (ja) 2014-08-01 2016-08-03 日清紡ブレーキ株式会社 摩擦材
CN104297984A (zh) * 2014-09-26 2015-01-21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装置
KR101879016B1 (ko) * 2014-11-21 2018-07-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170094166A (ko) 2014-12-15 2017-08-17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 소자, 경화성 수지 조성물, 파장 변환부의 형성 방법 및 유기 el 장치
JP6179569B2 (ja) * 2015-08-20 2017-08-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54898A1 (en) 2015-09-29 2017-04-06 Merck Patent Gmbh A photosensitive composition and color converting film
JP2017094818A (ja) 2015-11-20 2017-06-0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ラゲッジボックス
CN105353554A (zh) * 2015-12-04 2016-02-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膜基板的制作方法及液晶显示装置
CN105404046B (zh) * 2015-12-04 2018-06-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量子点彩膜基板的制作方法
CN106200103A (zh) * 2016-09-19 2016-12-07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彩膜基板及制造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811580B2 (ja) 2016-10-20 2021-01-13 株式会社 日立パワーデバイス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
KR101941573B1 (ko) * 2016-11-28 2019-01-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발광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3861760B (zh) * 2016-12-28 2023-05-05 Dic株式会社 分散体
JP2018189920A (ja) 2017-05-11 2018-11-29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19000801A (ja) 2017-06-15 2019-01-10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塗布方法
US10692417B2 (en) * 2017-06-23 2020-06-23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523976B1 (ko) * 2017-11-21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79111A (ja) * 2018-03-30 2019-10-17 Jsr株式会社 表示素子用積層体、及び隔壁形成用組成物
KR102432033B1 (ko) 2018-07-05 2022-08-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차광막, 차광막의 제조 방법 및 격벽 구비 기판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28B1 (ko) * 2008-07-10 2012-12-0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6335A (ko) * 2014-11-10 2016-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70261849A1 (en) * 2015-11-16 2017-09-1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substrate
KR20170061765A (ko) * 2015-11-26 2017-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20180031910A1 (en) * 2015-12-02 2018-02-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color filter substrate
KR20170110950A (ko) * 2016-03-24 201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80045866A1 (en) * 2016-08-11 2018-02-15 Samsung Display Co., Ltd. Color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80018945A (ko) * 2016-08-11 2018-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30353A (ko) 2016-09-13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 필터
JP2018132662A (ja) * 2017-02-15 2018-08-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20170123600A (ko) * 2017-10-27 2017-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9040B2 (en) 2021-04-22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12164193B2 (en) 2021-04-22 2024-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34913A (ja) 2020-03-05
US11626453B2 (en) 2023-04-11
JP6896812B2 (ja) 2021-06-30
CN110865513B (zh) 2024-05-24
KR102285669B1 (ko) 2021-08-04
CN110865513A (zh) 2020-03-06
US20200066803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669B1 (ko) 컬러 필터,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US115370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P3693999B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737791B (zh) 彩色濾光片、其製造方法,以及包含其的顯示設備
US11194083B2 (en) Color filter including quantum dots and metal nanoparticle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556949A (zh) 颜色转换面板和包括该颜色转换面板的显示装置
KR102771029B1 (ko)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84304B1 (ko)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009617A (zh) 自发光显示装置
EP3893284A1 (en) Display panel
CN116711476A (zh) 显示面板和彩膜基板
KR20250028317A (ko) 전자 장치
CN110865482B (zh) 滤色器及包含其的图像显示装置
KR102774702B1 (ko) 표시패널
KR102555989B1 (ko) 적층식 색변환 표시장치
KR102177480B1 (ko) 색변환 패널
KR102513834B1 (ko) 색상 변환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15496785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6096158A (zh) 显示面板
EP4550990A1 (en) Display device
KR20190036107A (ko) 색상 변환 필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126888A (ko) 표시 장치
CN113241419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6031347A (zh) 光转换装置、背光单元及显示器
KR20210040778A (ko) 색변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