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9015A -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 Google Patents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015A
KR20190109015A KR1020180030833A KR20180030833A KR20190109015A KR 20190109015 A KR20190109015 A KR 20190109015A KR 1020180030833 A KR1020180030833 A KR 1020180030833A KR 20180030833 A KR20180030833 A KR 20180030833A KR 20190109015 A KR20190109015 A KR 20190109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s
patterns
output
input
ch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107B1 (ko
Inventor
구정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107B1/ko
Priority to US16/138,324 priority patent/US10840175B2/en
Priority to TW107144424A priority patent/TWI773855B/zh
Priority to CN201910159798.7A priority patent/CN110277377B/zh
Publication of KR2019010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1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5Flexi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the same subclas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3001Core members of the bump connector
    • H01L2224/13099Material
    • H01L2224/13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1310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400°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2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via metallisation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8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3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5Shape
    • H01L2924/15153Shape the die mounting substrate comprising a recess for host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17Multilayer substrate
    • H01L2924/15172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 H01L2924/15173Fan-out arrangement of the internal vias in a single layer of the multilayer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45Polyester,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Wire Bond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필름 패키지가 제공된다.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필름 기판과, 상기 필름 기판 상의 출력 패턴들 및 입력 패턴들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 패턴들은 제 1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인접한 제 2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과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된다.

Description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Film packages, Chip on film packages and Package modules}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사용하는 패키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의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플렉서블(flexible) 필름 기판을 이용한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패키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COF 패키지 기술은 반도체 칩이 플립 칩 본딩 방식으로 필름 기판에 직접 실장되고, 짧은 리드 배선에 의해 외부 회로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COF 패키지는 셀룰러 폰 및 피디에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 랩탑 컴퓨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소형화된 필름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형화된 패키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필름 기판; 상기 필름 기판 상의 출력 패턴들 및 입력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패턴들은 제 1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인접한 제 2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과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필름 기판; 상기 제 1 면 상의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력 패턴들, 상기 출력 패턴들은 출력 라인 패턴들 및 이들의 단부에 배치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및 상기 반도체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 패턴들, 상기 입력 패턴들은 입력 라인 패턴들 및 이들의 단부에 배치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과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은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모듈은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에지를 포함하는 필름 기판; 상기 제 1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필름 기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칩; 상기 필름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반도체 칩과 연결되는 출력 패턴들 및 입력 패턴들; 상기 제 2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출력 패턴들과 연결되는 표시 소자; 및 상기 입력 패턴들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패키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외부 모듈 영역의 크기를 확보하여 소형화된 패키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도 2a 및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들이다.
도 1b, 도 2b 및 도 3b는 각각 도 1a, 도 2a 및 도 3a의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들이다.
도 1c, 도 2c 및 도 3c는 각각 도 1a, 도 2a 및 도 3a의 필름 패키지의 제 2 면의 평면도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제 1 에지 측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 3 도전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필름 패키지의 제 2 면의 평면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FP1)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은 고분자 물질,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의 제 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상기 제 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2)으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름 기판(100)는 제 1 에지(S1) 및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제 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 2 에지(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은 제 1 면(100a) 및 이의 반대 면인 제 2 면(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 상 및/또는 내에 복수의 도전 패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면(100a) 상에 제 1 도전 패턴(L1)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면(100b)에 제 2 도전 패턴(L2)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기판(100)을 관통하는 제 1 비아(V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과 상기 제 1 비아(V1)는 출력 패턴들(OS)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과 상기 제 1 비아(V1)는 각각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일부인 출력 패드들(OP), 출력 라인 패턴들(OL) 및 제 1 칩 패드들(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들(OP) 및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은 제 1 보호층(410)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노출된 부분들일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층(410)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솔더 레지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도 1b 및 도 1c에서 출력 라인 패턴들(OL) 및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라인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도 1c에서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일부만 도시되었다.
상기 출력 패드들(OP)이 제공되는 영역은 출력 패드 영역(OR)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이 제공되는 영역은 제 1 칩 패드 영역(CR1)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들(OP)은 상기 제 2 방향(D2)을 따라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출력 패드들(OP)은 복수의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은 상기 제 2 방향(D2)을 따라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상기 출력 패드들(OP)과 다른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L2)의 일부인 입력 패드들(IP), 입력 라인 패턴들(IL) 및 제 1 연결 패드들(M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상기 제 1 비아들(V1) 및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일부인 제 2 칩 패드들(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아들(V1)은 상기 제 1 연결 패드들(M1)과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제 2 보호층(420)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L2)의 노출될 부분들일 수 있다.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 및 상기 제 1 연결 패드들(M1)은 상기 제 2 보호층(420)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드들(IP)이 제공되는 영역은 입력 패드 영역(IR)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이 제공되는 영역은 제 2 칩 패드 영역(CR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상기 제 2 방향(D2)을 따라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복수의 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은 상기 제 2 방향(D2)을 따라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기판(100) 상에 칩 배치 영역(DR)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도 1d에 도시된 반도체 칩(CH)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제 1 면(100a)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상기 제 1 보호층(410)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노출된 부분들 일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에 칩 패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칩 패드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C1)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상기 제 1 에지(S1)에 인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칩 패드 영역(CR2)은 상기 제 1 칩 패드 영역(CR1)보다 상기 제 1 에지(S1)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은 상기 제 2 에지(S2)에 인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보호층(410)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제 1 면(100a)의 양 단부 중 일 측에는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이 제공되고, 타 측에는 상기 칩 배치 영역(DR)이 제공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입력 패드 영역(IR)은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과 상기 칩 배치 영역(D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과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 사이의 제 2 거리(d2)는 상기 칩 배치 영역(DR)과 상기 입력 패드 영역(IR) 사이의 제 1 거리(d1) 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드 영역(IR)은 상기 제 2 에지(S2) 보다 상기 제 1 에지(S1)에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출력 패턴들(OS)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필름 기판(100)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상기 필름 기판(100)의 두께 방향인 제 3 방향(D3)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은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hip on Film package)는 상기 필름 패키지(FP1)에 실장된 반도체 칩(CH)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기 반도체 칩(CH)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display driver IC)과 같은 구동 소자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도체 칩(CH)은 상기 제 1 면(100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CH)은 상기 칩 배치 영역(DR)에서 상기 제 1 칩 패드들(C1)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C2)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도체 칩(CH)은 연결 단자들(250)을 통하여 상기 제 1 칩 패드들(C1)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C2)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단자들(250)은 범프 또는 솔더볼일 수 있다.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반도체 칩(CH)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상기 반도체 칩(CH)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력 패턴들(OS)도 상기 반도체 칩(CH)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반도체 칩(CH)과 상기 제 2 에지(S2) 사이에 한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반도체 칩(CH)과 상기 제 1 에지(S1) 사이에는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출력 패턴들(OS)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 및 비아들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필름 패키지(FP1)의 상기 제 1 방향(D1)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CH)과 상기 출력 패드들(OP)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반도체 칩(CH)과 상기 입력 패드들(IP)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드들(OP)은 상기 반도체 칩(CH)이 배치되는 면인 상기 제 1 면(10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의 형성은 쏘잉 전의 필름 상에 상기 반도체 칩들(CH)을 부착 한 후, 필름을 쏘잉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쏘잉 전의 필름은 쏘잉 후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이 되는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쏘잉 공정 동안 상기 도전층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모듈(PM1)은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에 연결되는 표시 소자(30) 및 회로 기판(P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3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패널 기판(30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PB)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30)는 출력 패턴들(OS)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칩(CH)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30)의 패드들(30a)과 상기 출력 패드들(OP)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소자(30)의 패드들(30a)과 상기 출력 패드들(OP) 사이에 접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접착성 고분자층 내에 제공되는 도전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PB)은 입력 패턴들(IS)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칩(CH)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PB)의 패드들(PBa)과 상기 입력 패드들(IP)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 기판(PB)의 패드들(PBa)과 상기 입력 패드들(IP) 사이에 접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접착성 고분자층 내에 제공되는 도전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패키지(FP1)의 일 단부는 상기 표시 소자(3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시 소자(30)의 패널 기판(30S) 아래로 가변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패키지 모듈(PM1)이 전자 장치 내에 실장되는 경우, 상기 필름 패키지(FP1)의 일 단부가 상기 표시 소자(30) 아래로 휘어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CH)과 상기 패널 기판(30S) 사이에 접착 보호층(A2)이 제공되어, 상기 반도체 칩(CH)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 보호층(A2)은 고무 또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패키지(FP1)의 제 1 에지(S1)와 상기 패널 기판(30S)의 하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외부 모듈 영역(A1)은 상기 패키지 모듈(PM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모듈 영역(A1)은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가 제공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필름 패키지(FP1)의 크기를 줄여 상기 영역(A1)을 확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고용량의 배터리 또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필름 패키지의 제 2 면의 평면도이다. 도 2d는 도 2a의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FP2)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00a) 상에 제 1 도전 패턴(L1)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면(100b)에 제 2 도전 패턴(L2)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과 제 1 비아(V1)는 출력 패턴들(OS)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일부인 출력 패드들(OP), 출력 라인 패턴들(OL), 제 1 연결 패드들(M1), 상기 제 1 비아(V1), 및 제 1 칩 패드들(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아들(V1)은 상기 제 1 연결 패드들(M1)과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 및 상기 제 1 연결 패드들(M1)은 제 1 보호층(410)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상기 출력 패드들(OP)과 다른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L2)의 일부인 입력 패드들(IP), 입력 라인 패턴들(IL) 및 제 2 칩 패드들(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제 2 보호층(420)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칩 배치 영역(DR)은 제 2 면(100b)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상기 제 2 보호층(420)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L2)의 노출된 부분들 수 있다.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상기 제 1 에지(S1)에 인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칩 패드 영역(CR1)은 상기 제 2 칩 패드 영역(CR2)보다 상기 제 1 에지(S1)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은 상기 제 2 에지(S2)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드 영역(IR)은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과 상기 칩 배치 영역(D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패턴들(OS)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필름 기판(100)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상기 필름 기판(100)의 두께 방향인 제 3 방향(D3)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패드들(IP)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hip on Film package)는 상기 필름 패키지(FP2)에 실장된 반도체 칩(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반도체 칩(CH)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CH)은 상기 제 2 면(100b)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드들(OP)은 상기 반도체 칩(CH)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인 상기 제 1 면(10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모듈(PM2)은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에 연결되는 표시 소자(30) 및 회로 기판(P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반도체 칩(CH)과 동일한 상기 제 2 면(10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PB)의 두께는 상기 반도체 칩(CH)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반도체 칩(CH)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반도체 칩(CH)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칩(CH)의 상부는 상기 리세스 영역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제 1 에지(S1)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PB)과 상기 반도체 칩(CH) 사이에는 상호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쉴딩층(115)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쉴딩층(115)은 EMI 테이프 또는 PI 테이프일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필름 패키지의 제 2 면의 평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FP3)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도전 패턴들(L1, L2)과 제 1 및 제 2 비아(V1, V2)는 출력 패턴들(OS)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출력 패드들(OP), 상기 제 2 비아들(V2), 제 2 연결 패드들(M2), 출력 라인 패턴들(OL), 제 1 연결 패드들(M1), 상기 제 1 비아들(V1), 및 제 1 칩 패드들(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비아들(V2)은 상기 출력 패드들(OP)과 상기 제 2 연결 패드들(M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아들(V1)은 상기 제 1 연결 패드들(M1)과 상기 제 1 칩 패드들(C1)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IP)은 상기 출력 패드들(OP)과 같은 면인 제 1 면(100a)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상기 제 2 도전 패턴들(L1)의 일부인 입력 패드들(IP), 입력 라인 패턴들(IL) 및 제 2 칩 패드들(C2)을 포함할 수 있다.
칩 배치 영역(DR)은 제 1 면(100a)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칩 배치 영역(DR)은 상기 제 1 보호층(410)에 의하여 덮이지 않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들(L1)의 노출된 부분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칩 패드 영역(CR1)은 상기 제 2 칩 패드 영역(CR2)보다 상기 제 1 에지(S1)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 상기 출력 패턴들(OS)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필름 기판(100)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IL)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상기 필름 기판(100)의 두께 방향인 제 3 방향(D3)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패드들(IP)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C2)은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OL)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hip on Film package)는 상기 필름 패키지(FP3)에 실장된 반도체 칩(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턴들(IS)과 상기 출력 패턴들(OS)은 상기 반도체 칩(CH)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칩(CH)은 상기 제 1 면(100a)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 패드들(OP)은 상기 반도체 칩(CH)이 배치되는 면과 동일한 면인 상기 제 1 면(10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모듈(PM3)은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에 연결되는 표시 소자(30) 및 회로 기판(P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반도체 칩(CH)과 동일한 상기 제 1 면(100a)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 기판(PB)은 상기 반도체 칩(CH)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제 1 에지(S1) 측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 3 도전 패턴(L3)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름 기판(100) 표면 및 내부에 제공되는 도전 패턴들은 2층, 3층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 패턴(L1)과 제 2 도전 패턴(L2) 사이에 제 3 도전 패턴(L3)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은 출력 패턴들(OS)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출력 패턴들(OS)과 상기 입력 패턴들(IS) 사이의 신호 간섭을 완화하는 쉴딩 도전 패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L1)과 상기 제 2 도전 패턴(L2)이 오버랩되는 영역(OLR)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b에는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이 출력 패드 영역(OR)을 덮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은 상기 출력 패드 영역(OR)을 덮도록 제 2 에지(S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은 칩 배치 영역(DR)을 덮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칩 배치 영역(DR)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도전 패턴(L3)은 제 1 칩 패드 영역(CR1)을 덮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PM4)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패키지(FP4)는 한 층의 도전 패턴으로 출력 패턴들(OS)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층 이상의 도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패키지(FP4)의 제 1 에지(S1)는 회로 기판(PB)이 필름 기판(100)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칩(CH)과 제 3 방향(D3)으로 이격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패키지 모듈(PM4)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외부 모듈 영역(A1)이 확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패키지의 제 1 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기판(100) 상에 바이패스 패턴들(BPP)이 제공되는 바이패스 영역들(BR)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BPP)은 출력 패드 영역(OR)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바이패스 패드들(BP1) 및 입력 패드 영역(IR)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바이패스 패드들(B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BP1)은 출력 패드들(OP)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패드들(BP2)은 입력 패드들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BP1)과 상기 제 2 바이패스 패드들(BP2)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들(BL)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BP1)과 상기 제 2 바이패스 패드들(BP2)이 서로 다른 면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라인들(BL)은 이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 기판(100)을 관통하는 비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BP1)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패드들(BP2)은 칩 패드 영역(DR),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칩 패드들(C1)로부터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BPP)은 상기 칩 패드 영역(DR)과 수평적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방향(D2) 및 이의 반대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BPP)은 상기 반도체 칩(CH)을 통하지 않고 표시 소자(30, 도 1d참조)와 회로 기판(BP, 도 1d참조)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BPP)은 상기 칩 패드 영역(DR)과 제 2 에지(S2) 사이에 한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BPP)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P1)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P1)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CP1)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하는 필름 패키지에 실장된 반도체 칩(CH)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도전 패턴들(L1, L2, L3)과 비아들(V1, V3, V4)는 출력 패턴들(OS1, OS2)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도전 패턴들(L3)은 제 1 도전 패턴들(L1)과 제 2 도전 패턴들(L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출력 패턴들(OS1)은 제 1 출력 패드들(OP1), 제 1 출력 라인 패턴들(OL1), 및 제 1 칩 패드들(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 패턴들(OS2)은 제 2 출력 패드들(OP2), 제 2 출력 라인 패턴들(OL2), 제 3 칩 패드들(C3), 및 비아들(V3, V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 패턴들(OS1)과 상기 제 2 출력 패턴들(OS2)은 각각 반도체 칩(CH)의 제 1 단자들 및 제 2 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도체 칩(CH)의 제 1 단자들은 일 열로 배치될 수 있고, 제 2 단자들은 상기 제 1 단자들을 따라 일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패턴들(IS)은 입력 패드들(IP), 입력 라인 패턴들(IL), 제 1 연결 패드들(M1), 제 1 비아들(V1) 및 제 2 칩 패드들(C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키지 모듈은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에 연결되는 표시 소자 및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P2)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칩 온 필름 패키지(CP2)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 패키지(CP2)는 필름 기판(100)을 포함하는 필름 패키지에 실장된 반도체 칩(CH)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도전 패턴들(L1, L2, L3)과 비아들(V1, V3, V4)는 출력 패턴들(OS1, OS2) 및 입력 패턴들(IS)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출력 패턴들(OS1)은 제 1 출력 패드들(OP1), 제 1 출력 라인 패턴들(OL1), 제 2 비아들(V2) 및 제 1 칩 패드들(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 패턴들(OS2)은 제 2 출력 패드들(OP2), 제 2 출력 라인 패턴들(OL2), 제 3 칩 패드들(C3), 및 비아들(V3, V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 패턴들(OS1)과 상기 제 2 출력 패턴들(OS2)은 각각 반도체 칩(CH)의 제 1 단자들 및 제 2 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필름 기판;
    상기 필름 기판 상의 출력 패턴들 및 입력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패턴들은 제 1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인접한 제 2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패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입력 패턴들과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되는 필름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판은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칩 패드들 및 상기 제 2 칩 패드들은 상기 제 1 에지에 인접하는 필름 패키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 2 에지에 인접하고,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출력 패드들과 상기 제 2 칩 패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 패키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 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제 2 면 상에 배치되는 필름 패키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드들 및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 1 면 상에 배치되는 필름 패키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칩 패드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보다 상기 제 1 에지에 더 가까운 필름 패키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들은 상기 제 1 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칩 패드들과 상기 출력 패드들을 연결하는 출력 라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제 2 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칩 패드들과 상기 입력 패드들을 연결하는 입력 라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과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은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되는 필름 패키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판 내에서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과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쉴딩 도전 패턴을 더 포함하는 필름 패키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판 상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은:
    상기 출력 패드들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바이패스 패드들; 및
    상기 입력 패드들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바이패스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패드들은 상기 제 1 칩 패드들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필름 패키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패턴들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패드들과 상기 제 2 바이 패스 패드들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필름 패키지.
  11. 서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필름 기판;
    상기 제 1 면 상의 반도체 칩;
    상기 반도체 칩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력 패턴들, 상기 출력 패턴들은 출력 라인 패턴들 및 이들의 단부에 배치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및
    상기 반도체 칩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입력 패턴들, 상기 입력 패턴들은 입력 라인 패턴들 및 이들의 단부에 배치되는 입력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라인 패턴들과 상기 입력 라인 패턴들은 상기 필름 기판을 사이에 두고 오버랩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판은 상기 반도체 칩과 인접한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패턴들 및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제 2 에지 사이에 한정되어 제공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출력 패드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입력 패드들 사이의 거리보다 먼 칩 온 필름 패키지.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 1 면 상에 제공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드들은 상기 제 2 면 상에 제공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16. 제 1 에지 및 상기 제 1 에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에지를 포함하는 필름 기판;
    상기 제 1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필름 기판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칩;
    상기 필름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반도체 칩과 연결되는 출력 패턴들 및 입력 패턴들;
    상기 제 2 에지에 인접하여 상기 출력 패턴들과 연결되는 표시 소자; 및
    상기 입력 패턴들과 연결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들 및 상기 입력 패턴들은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제 2 에지 사이에 한정되어 제공되는 패키지 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필름 기판의 제 1 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 1 면의 반대면인 상기 필름 기판의 제 2 면 상에 제공되는 패키지 모듈.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필름 기판의 제 1 면 상에 제공되는 패키지 모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반도체 칩의 상면을 덮는 패키지 모듈.
KR1020180030833A 2018-03-16 2018-03-16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Active KR10249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33A KR102491107B1 (ko) 2018-03-16 2018-03-16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US16/138,324 US10840175B2 (en) 2018-03-16 2018-09-21 Film package, chip-on-film package, and package module
TW107144424A TWI773855B (zh) 2018-03-16 2018-12-11 薄膜基板結構、覆晶薄膜封裝以及封裝模組
CN201910159798.7A CN110277377B (zh) 2018-03-16 2019-03-04 膜基底结构、膜上芯片封装件和封装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33A KR102491107B1 (ko) 2018-03-16 2018-03-16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15A true KR20190109015A (ko) 2019-09-25
KR102491107B1 KR102491107B1 (ko) 2023-01-20

Family

ID=6790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33A Active KR102491107B1 (ko) 2018-03-16 2018-03-16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0175B2 (ko)
KR (1) KR102491107B1 (ko)
CN (1) CN110277377B (ko)
TW (1) TWI7738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43A (ko) * 2019-10-04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185A (ko) * 2018-07-26 2020-02-06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패키지 제조 방법
US11037915B2 (en) * 2019-02-14 2021-06-15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isplay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595A (ko) * 2015-01-26 201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1672A (ko) * 2016-06-24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패키지, 패키지 모듈, 및 패키지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6374B2 (en) 2008-02-18 2011-03-15 Himax Technologies Limited COF packaging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F packag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river IC and the COF packaging structure thereof
US9118324B2 (en) * 2008-06-16 2015-08-25 Silicon Works Co., Ltd. Driver IC chip and pad layout method thereof
KR20110082643A (ko) * 2010-01-12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의 실장 기판 및 이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KR101838736B1 (ko) * 2011-12-20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이프 배선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101942918B1 (ko) 2012-05-03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어셈블리
KR101383085B1 (ko) 2012-06-25 2014-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7158B1 (ko) 2013-03-04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144378B1 (ko) 2013-08-27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58746B1 (ko) 2014-08-13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부를 갖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102339969B1 (ko) 2014-10-10 202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온-필름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71358B1 (ko) * 2015-01-23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사용하는 패키지 모듈
JP6448391B2 (ja) 2015-01-28 2019-0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モジュール
KR102611499B1 (ko) * 2015-12-15 2023-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37441B1 (ko) * 2016-06-23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066085B (zh) * 2016-07-22 2023-06-23 Lg伊诺特有限公司 柔性电路板、柔性电路板封装芯片和包括柔性电路板的电子设备
KR102631989B1 (ko) * 2016-10-31 2024-01-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28314B1 (ko) * 2017-09-15 2021-1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전계 발광 표시 장치용 드라이버 ic 필름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595A (ko) * 2015-01-26 201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1672A (ko) * 2016-06-24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패키지, 패키지 모듈, 및 패키지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143A (ko) * 2019-10-04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77377A (zh) 2019-09-24
TW201939692A (zh) 2019-10-01
TWI773855B (zh) 2022-08-11
CN110277377B (zh) 2024-03-08
US20190287888A1 (en) 2019-09-19
US10840175B2 (en) 2020-11-17
KR102491107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5417B2 (en) Mainboard assembly including a package overlying a die directly attached to the mainboard
US10903127B2 (en) Film for a package substrate
TWI614865B (zh) 用以與上ic封裝體耦合以形成封裝體疊加(pop)總成的下ic封裝體結構,以及包含如是下ic封裝體結構的封裝體疊加(pop)總成
KR102258746B1 (ko) 벤딩부를 갖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101695846B1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US7049696B2 (en) IC packag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heat-radiating mechanism,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JP2003133518A (ja) 半導体モジュール
KR20190135322A (ko)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
US20130271924A1 (en) System in package assembly
KR20150038842A (ko) 구동 칩,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구동 칩 제조 방법
US20170295649A1 (en)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491107B1 (ko) 필름 패키지, 칩 온 필름 패키지 및 패키지 모듈
TWI615934B (zh) 半導體裝置、顯示面板總成、半導體結構
CN210692527U (zh) 薄膜覆晶封装结构及其软性电路板
KR101166069B1 (ko)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위한 테이프 배선 기판
US20070253148A1 (en) Printed wiring board, semiconductor package with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KR20140071561A (ko) 회로 기판과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20063202A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KR101008973B1 (ko) 테이프 배선 기판, 그를 이용한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를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230111246A (ko) 패키징 모듈 및 전자 디바이스
US20100132991A1 (en) Electronic devic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KR100658648B1 (ko) 칩 패키지
US20240096909A1 (en)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216061B1 (ko) 반도체 패키지
KR102400533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