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0618A - 새로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 Google Patents

새로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18A
KR20180030618A KR1020187004021A KR20187004021A KR20180030618A KR 20180030618 A KR20180030618 A KR 20180030618A KR 1020187004021 A KR1020187004021 A KR 1020187004021A KR 20187004021 A KR20187004021 A KR 20187004021A KR 20180030618 A KR20180030618 A KR 2018003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tensitic stainless
stainless steel
less
content
ph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나 벤베리
토마스 안톤손
라르스 뉘뢰프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03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2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drills; for milling cutters; for machine cutt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shot-peening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Earth Drilling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암용 강 로드들에 적합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도 및 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제품, 특히 드릴 로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로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본 발명은 드릴 로드들에 적합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도 및 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제품, 특히 드릴 로드에 관한 것이다.
착암 중에, 충격파 및 회전이 드릴 리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로드들 또는 튜브들을 통하여 초경합금이 장착된 드릴 비트로 전달된다. 드릴 로드는 심각한 기계적 부하 뿐만 아니라 부식 환경을 받게 된다. 이는, 특히 물을 플러싱 매체로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환경이 습한 지하 드릴링에 적용된다. 부식은 대부분의 응력이 가해지는 부분, 즉 나사산 바닥 및 나사산 간극 (thread clearances) 에서 특히 심각하다.
일반적으로, 저 합금화된 경우에, 경화 강들은 드릴링 적용에 사용된다. 이러한 강들은, 부식 피로로 인한 수명이 비교적 짧아, 동적 부하 및 로드 재료의 내식성 부족으로 인해 유발되는 드릴 로드의 파손을 가속화시키는 한계를 가진다. 드릴 로드들과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드릴 로드들이 마모되고 그리고 드릴링 작동을 위한 총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마멸, 즉 로드 재료의 불충분한 경도로 인해 교체되어야하는 비율이다. 드릴 로드들과 관련된 다른 문제점은, 로드 재료의 강도 및 인성, 특히 충격 인성, 즉 착암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 부하 뿐만 아니라 정적 및 동적 부하를 견디는 드릴 로드의 능력이다. 로드가 파손되면, 드릴 구멍에서 이 로드를 꺼내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로드의 파손은 또한 최적화된 폭파를 위해 계산된 드릴 패턴을 방해할 수 있다. 드릴 로드들 및 드릴 비트들의 파손과 관련된 추가 문제점은, 광산 및 터널링 장비, 예를 들어 분쇄기들 및 시브들 (sieves) 의 손상이다.
WO 0161064 및 WO 2009008798 둘 다에는 착암을 위한 마르텐사이트계 강들이 개시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강들이 부식 피로에 대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거나 감소시킬지라도, 이러한 마르텐사이트계 강들은 착암 동안에 충분히 작동할 만큼 큰 충격 인성을 갖지 않을 것이다. 이는, 상기 강으로 제조된 드릴 구성품들이 착암 동안에 충격 부하를 받을 때 명백하게 쉽게 파손되는 위험을 가지고, 이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N 102586695 및 US 5714114 둘 다는 마르텐사이트계 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본원에 개시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들은 드릴 로드들 이외의 다른 적용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요건 및 중요한 기계적 특성들은 드릴 로드들에 사용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과 비교하여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 및/또는 감소시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양호한 내식성 및 잘 균형잡히고 최적화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드릴 로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미세조직을 가진 개선된 마르텐사이트계 강 조성을 얻어서,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장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드릴 구성품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량% (wt%) 로 다음을 포함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으로서:
C 0.21 ~ 0.27;
Si 0.7 이하;
Mn 0.2 ~ 2.5;
P 0.03 이하;
S 0.05 이하;
Cr 11.9 ~ 14.0;
Ni 0.5 초과 ~ 3.0;
Mo 0.4 ~ 1.5;
N 0.060 이하;
Cu 1.2 이하;
V 0.06 이하;
Nb 0.03 이하;
Al 0.050 이하;
Ti 0.05 이하;
잔부로서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포함하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75 % 이상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2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14 이상의 PRE-값 (내공식성 상응값) 을 가지고, PRE-값은 다음의 식 PRE = Cr + 3.3 * Mo 에 의해 산출되며, Cr 및 Mo 는 중량 백분율 (wt%) 로 원소들의 함량에 대응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Schaeffler)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다이어그램은 다음의 식에 기초로 하고:
Creq = Cr + Mo + 1.5 * Si + 0.5 * Nb (x-축)
Nieq = Ni + 0.5 * Mn + 30 * N + 30 * C (y-축);
Cr, Mo, Si, Nb, Ni, Mn, N 및 C 의 값들은 중량% 이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어떠한 영역은 다음의 좌표로 규정된다:
Figure pct00001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경화 및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을 가지며, 이는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이 마르텐사이트상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둘 다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르텐사이트상은 원하는 경도 및 인장 강도 또한 원하는 내마모성을 제공할 것이다. 마르텐사이트상과 비교하여 보다 더 부드럽고 보다 연성인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의 취성을 감소시켜, 충격 인성과 같은 강의 기계적 특성들에 필요한 개선을 제공할 것이다.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그의 화학적 조성 및 미세조직 둘 다로 인해 경도, 충격 인성, 강도 및 내식성의 독특한 조합을 가질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상부 해머 드릴 로드 및 물 플러싱된 상부 해머 드릴 로드와 같은 드릴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영역과 해당 좌표들이 도시된 셰플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과 동일한 셰플러 다이어그램을 도시하지만 실시예들의 제조된 합금이 다이어그램에 표시되어 있다.
도 3 은 실시예들의 일부 합금에 대한 경도 및 충격 인성 곡선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wt% 로 다음의 조성을 가지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관한 것으로서:
C 0.21 ~ 0.27;
Si 0.7 이하;
Mn 0.2 ~ 2.5;
P 0.03 이하;
S 0.05 이하;
Cr 11.9 ~ 14.0;
Ni 0.5 초과 ~ 3.0;
Mo 0.4 ~ 1.5;
N 0.060 이하;
Cu 1.2 이하;
V 0.06 이하;
Nb 0.03 이하;
Al 0.050 이하;
Ti 0.05 이하;
잔부로서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75 % 이상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2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PRE-값이 14 이상이며;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다이어그램은 다음 식에 기초로 하고:
Creq = Cr + Mo + 1.5 * Si + 0.5 * Nb (x-축)
Nieq = Ni + 0.5 * Mn + 30 * N + 30 * C (y-축);
Cr, Mo, Si, Nb, Ni, Mn, N 및 C 의 값들은 중량% 이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어떠한 영역은 다음의 좌표로 규정된다:
Figure pct00002
본원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마르텐사이트상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인장 강도 및 높은 내마모성을 가질 것이다. 하지만, 마르텐사이트상은 취성이다. 본 발명에서, (미세조직이 75 % 이상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2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도록) 어떠한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과 마르텐사이트상을 조합함으로써, 추가로 이를 합금 원소들, 특히 Ni, Mn 및 Mo 의 균형 잡힌 첨가와 조합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충격 인성이 크게 개선됨을 발견하였다. 마르텐사이트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경도 및 인장 강도 또한 원하는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반면, 마르텐사이트상과 비교하여 보다 더 부드럽고 보다 연성인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의 취성을 감소시켜, 기계적 특성들의 필요한 개선을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너무 많은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의 경도를 너무 많이 감소시킴으로, 너무 많은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상의 양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양은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경화 후에 어떠한 페라이트상을 함유하지 않고, 이와 관련하여 부드러운 취성 상으로 여겨진다.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14 이상의 PRE-값을 가진다. 14 이상의 PRE-값을 가짐으로써, 원하는 내공식성이 얻어진다.
더욱이,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Cr- 및 Ni-등가물 (도 1 참조) 에 따라서 셰플러 다이어그램에서 특정 좌표들에 의해 규정된 영역으로 나타낸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셰플러 다이어그램은, 고온에서 급속 냉각한 후 강의 미세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상 (A), 페라이트상 (F) 및 마르텐사이트상 (M) 의 존재 및 양을 예측하는데 사용되고 그리고 강의 화학적 조성에 기초로 한다. 셰플러 다이어그램에서 본 발명의 영역의 특정 좌표들은 Cr- 및 Ni- 등가물 (Creq 및 Nieq) (도 1 참조) 을 다음의 식들에 따라서 산출함으로써 결정된다:
Creq = Cr + Mo + 1.5 * Si + 0.5 * Nb (x-축)
Nieq = Ni + 0.5 * Mn + 30 * N + 30 * C (y-축)
Cr, Mo, Si, Nb, Ni, Mn, N 및 C 의 값들은 중량% 이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영역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좌표들로 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경도와 높은 충격 인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식성의 독특한 조합을 가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화학적 조성 및 미세조직을 가진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서, 이러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대상물에 전체 대상물에 걸쳐 내식성 및 경도 및 충격 인성의 최적의 조합을 부여하여 비용 효율 뿐만 아니라 작동 수명을 대폭 향상시키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80 ~ 95 % 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5 ~ 20 %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합금 원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량" 및 "wt%" 라는 용어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탄소 (C): 0.21 ~ 0.27 wt%
C 는 강한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다. C 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필요하여, 상기 강은 열처리에 의해 경화 및 강화되는 능력을 가진다. 따라서, C-함량은 전술한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도록 적어도 0.21 wt% 이 되도록 설정된다. 하지만, 과잉의 C 는 크롬 탄화물을 형성할 위험을 증가시키고, 이는 그에 따라서 다양한 기계적 특성들 및 연성, 충격 인성 및 내식성과 같은 다른 특성들을 감소시킨다. 기계적 특성들은 또한 경화 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양에 영향을 받으며, 이 양은 C-함량에 따른다. 이에 따라서, C-함량은 최대 0.27 wt% 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서 본원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탄소 함량은 약 0.21 ~ 0.27 wt%, 예를 들어 0.21 ~ 0.26 wt% 이다.
규소 (Si) : 최대 0.7 wt%
Si 는 강한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고, 그리하여 그 함량은 또한 Cr 및 Mo 와 같은 다른 페라이트 형성 원소들의 양에 따른다. Si 는 주로 용융 정제 동안 탈산제 (deoxidizer agent) 로서 사용된다. Si-함량이 과도하면, 페라이트상 뿐만 아니라 금속간 석출물이 미세조직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기계적 특성들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서, Si-함량은 최대 0.7 wt%, 예를 들어 최대 0.4 wt% 가 되도록 설정된다.
망간 (Mn) : 0.2 ~ 2.5 wt%
Mn 은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다. Mn 은 오스테나이트상에서 C 및 N 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고 변형 경화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Mn 은 또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열처리할 때 경화성을 증가시킨다. Mn 은 MnS 석출물을 형성함으로써 황의 해로운 영향을 더욱 감소시킬 것이며, 이는 또한 고온 연성 및 충격 인성을 향상시킬 것이지만, MnS 석출물은 또한 내공식성을 다소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저 Mn-함량은 0.2 wt% 로 설정된다. 하지만, Mn-함량이 과도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양이 너무 많아지고, 다양한 기계적 특성들 뿐만 아니라 경도 및 내식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너무 많은 Mn 함량은 열간 가공 특성들을 저하시키고 또한 표면 품질을 열하시킨다. 그에 따라서, Mn-함량은 최대 2.5 wt% 로 설정된다. 따라서, Mn 의 함량은 0.2 ~ 2.5 wt%, 예를 들어 0.3 ~ 2.4 wt% 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포함되는 Mn, Ni 및 Mo 의 함량은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원하는 특성들을 얻기 위해 함께 균형을 이룬다.
크롬 (Cr) : 11.9 ~ 14.0 wt %
Cr 은 스테인리스 강의 기본 합금 원소들 중 하나이며 강에 내식성을 제공하는 원소이다.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공기 또는 물 중에서 Cr-산화물 층 및/또는 강의 표면의 패시베이션 (passivation) 을 얻기 위해 적어도 11.9 wt% 를 포함하여, 기본적인 내식성을 얻는다. Cr 은 또한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다. 하지만, Cr 이 과도한 양으로 존재하면, 충격 인성이 감소될 수 있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페라이트상 및 크롬 탄화물이 경화시 형성될 수 있다. 크롬 탄화물의 형성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기계적 특성들을 감소시킬 것이다. 강 표면을 패시베이션하기 위한 레벨 이상의 Cr-함량의 증가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내식성에 약한 영향만을 줄 것이다. 따라서, Cr-함량은 최대 14.0 wt% 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Cr 의 함량은 11.9 ~ 14.0 wt%, 예를 들어 12.0 ~ 13.8 wt% 이다.
몰리브덴 (Mo) : 0.4 ~ 1.5 wt%
Mo 는 강한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고 그리하여 소둔 또는 열간 가공 중에 페라이트상의 형성을 향상시킨다. Mo 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내공식성에 강하게 기여한다는 것이다. Mo 는 마르텐사이트계 강의 템퍼링 취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기계적 특성들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Mo 는 값비싼 원소이고, 낮은 양에서도 내식성에 대한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Mo 의 최저 함량은 0.4 wt% 이다. 더욱이, 과도한 양의 Mo 는 경화 동안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에 영향을 주고 결국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 함량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Mo 의 상한은 1.5 wt% 로 설정된다. 따라서, Mo 의 함량은 0.4 ~ 1.5 wt%, 예를 들어 0.5 ~ 1.4 wt% 이다.
니켈 (Ni) : 0.5 초과 ~ 3.0 wt%
Ni 는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며, 그리하여 경화 열처리 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킨다. Ni 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인성 이외에 훨씬 개선된 충격 인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또한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Ni, Mn 및 Mo 의 양을 균형잡음으로써, 경도, 충격 인성 및 내식성의 최상의 조합이 제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질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0.5 wt % 초과의 Ni 가 필요하다. 하지만, Ni-함량이 과도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의 양이 너무 높고 그 후에 경도가 충분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Ni 의 최대 함량은 3.0 wt% 로 제한된다. 따라서, Ni 의 함량은 0.5 ~ 3.0 wt%, 예를 들어 0.5 ~ 2.4 wt% 이다.
텅스텐 (W) : 0.5 wt% 이하
W 는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고, 존재한다면, 유사한 화학적 특성들로 인해 합금 원소로서 Mo 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다. W 는 내공식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그 영향은, 용해된 매트릭스 함량을 비교하면 Mo 의 영향보다 훨씬 약하고, 이는 통상적으로 W 가 PRE-제형에서 제외된 이유이다. 따라서, Mo 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높은 W 함량이 필요하게 된다. W 는 또한 탄화물 형성 원소이고 높은 W 함량에서 내마모성 뿐만 아니라 경도 및 강도가 향상된다. 하지만, 상기 특성들이 개선된 W-함량에서, W-탄화물들의 양은 강의 충격 인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다. 필요한 W-함량은 또한 탄화물의 온도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매트릭스에 용해된 W 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훨씬 더 높은 경화 온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W 의 함량은 0.5 wt% 이하, 예를 들어 0.05 wt% 이하로 설정된다.
코발트 (Co) : 1.0 wt% 이하,
코발트는 강한 고용체 효과를 가지며 더 높은 온도에서 또한 유지되는 강화 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Co 는 고온 강도 뿐만 아니라 경도 및 승온에서 내마멸성을 향상시키는 합금 원소로서 종종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들에 대한 영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Co-함량에서, Co-함량은 또한 열간 가공 특성들에 역효과를 가져서, 더 높은 변형력을 유발한다. Co 는 오스테나이트상을 불안정하게 하는 유일한 합금 원소이므로 냉각시 오스테나이트 뿐만 아니라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상 또는 페라이트 함유 상으로 변태시키는 것을 촉진시킨다. Co 의 복잡한 효과로 인하여, 하지만 또한 Co 가 독성인 사실로 인하여, 원자 에너지 적용을 위해 의도된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에 사용되는 폐재료 (scrap material) 에서의 불순물로 여겨지므로, Co 의 함량은, 존재한다면, 1.0 wt% 이하, 예를 들어 0.10 wt% 이하로 설정된다.
알루미늄 (Al) : 0.050 wt% 이하
Al 은 선택적인 원소이고 강 제조 중에 산소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탈산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Al 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기계적 특성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Al 의 함량은 0.050 wt% 이하이다.
질소 (N) : 0.060 wt % 이하
N 은 선택적인 원소이고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며 그리고 매우 강한 침입형 (interstitial) 고용체 강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N 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고온에서 열간 가공 특성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본원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위한 실온에서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N-함량은 0.060 wt% 이하, 예를 들어 0.035 wt% 이하로 설정된다.
바나듐 (V) : 0.06 wt% 이하
V 는 선택적인 원소이고 C 및 N 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진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다. V 는 석출 경화 원소이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마이크로-합금 원소로 여겨지며 결정립 미세화 (grain refinement) 에 사용될 수 있다. 결정립 미세화는 미세조직에 작은 석출물을 도입함으로써 고온에서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결정립계의 이동성을 제한하여 열간 가공 또는 열처리 중에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감소시킬 것이다. 작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경화시 형성된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의 기계적 특성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V 의 과도한 양은 미세조직에서 너무 많은 분율의 석출물을 생성할 것이며, 특히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의 이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서 더 조대한 V 석출물의 형성 위험을 증가시켜, 연성, 특히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V 의 함량은 0.06 wt% 이하이다.
니오븀 (Nb) : 0.03 wt% 이하
Nb 는,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며 그리고 C 및 N 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지는 선택적인 원소이다. 따라서, Nb 는 석출 경화 원소이고 결정립 미세화에 사용될 수 있지만, Nb 는 또한 조대한 석출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Nb 의 과도한 양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연성 및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Nb 의 함량은 0.03 wt% 이하이다.
지르코늄 (Zr) : 0.03 wt% 이하
Zr 은 C 및 N 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가진 선택적인 원소이다. 지르코늄 질화물 및 탄화물은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결정립 미세화에 사용될 수 있다. Zr 함량이 너무 높으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되어,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Zr 의 함량은 0.03 wt% 이하이다.
탄탈륨 (Ta) : 0.03 wt% 이하
Ta 은 C 및 N 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가진 선택적인 원소이다. 탄탈륨 질화물 및 탄화물은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결정립 미세화에 사용될 수 있다. Ta 함량이 너무 높으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될 수 있어서,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Ta 의 함량은 0.03 wt% 이하이다.
하프늄 (Hf) : 0.03 wt% 이하
Hf 은 C 및 N 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가진 선택적인 원소이다. 하프늄 질화물 및 탄화물은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결정립 미세화에 사용될 수 있다. Hf-함량이 너무 높으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될 수 있어서,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Hf 의 함량은 0.03 wt% 이하이다.
인 (P) : 0.03 wt% 이하
P 는 선택적인 원소이고 불순물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유해한 원소로 여겨진다. 따라서, 0.03 wt% 미만의 P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 (S) : 0.05 wt% 이하
S 는 선택적인 원소이고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S 는 결정립계 편석 및 개재물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열간 가공 특성들을 제한할 것이고, 또한 기계적 특성들 및 내식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S 의 함량은 0.05 wt% 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티타늄 (Ti) : 0.05 wt% 이하
Ti 은, 페라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고 그리고 C 및 N 에 대해 매우 높은 친화성을 가진 선택적인 원소이다. 티타늄 질화물 및 탄화물은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결정립 미세화에 사용될 수 있다. Ti-함량이 너무 높으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될 수 있어서, 충격 인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Ti 의 함량은 0.05 wt% 이하이다.
구리 (Cu) : 1.2 wt% 이하
Cu 는 오스테나이트상 안정화 합금 원소이고 소량으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대해 다소 제한된 효과를 가진다. Cu 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서 오스테나이트상 안정제로서 Ni 또는 Mn 을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지만, 그 후 연성은 예를 들어 Ni 의 첨가에 비교하여 감소될 것이다. Cu 는 강의 일반적인 내식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Cu 의 양이 많아지면 열간 가공 특성들에 악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Cu 의 함량은 1.2 wt% 이하, 예를 들어 0.8 wt%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소량의 다른 합금 원소들이 예를 들어 고온 연성과 같은 열간 가공 특성들의 기계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원소들의 예로서는 Ca, Mg, B, Pb 및 Ce 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소들의 양은 최대 0.05 wt% 이다.
용어 "최대" 또는 "이하" 가 사용되면, 당업자는 다른 숫자가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범위의 하한이 0 wt% 임을 알 수 있다.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나머지 원소들은 철 (Fe) 및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이다.
불순물의 예로서는,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원료 또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제조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합금 원소들에서 불순물로서 일반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완전히 피할 수 없는 원소 및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의 좌표들에 의해 규정된 셰플러 다이어그램에서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의 좌표들에 의해 규정된 셰플러 다이어그램에서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의 좌표들에 의해 규정된 셰플러 다이어그램에서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 참조) :
Figure pct00005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및 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드릴 로드는 종래의 강 제조 및 강 가공 공정들 및 종래의 드릴 로드 제조 및 드릴 로드 가공 공정들에 의해 제조된다. 원하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 위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경화 및 템퍼링되어야 한다. 표면의 유도 가열에 의해 또는 쇼트 피닝 (이에 제한되지 않음) 과 같은 표면 처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표면의 기계적 특성들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수득된 마르텐사이트계 강 및/또는 이 마르텐사이트계 강으로 제조된 대상물은 높은 경도,내 마모성 및 내마멸성, 높은 인장 강도 및 높은 충격 인성과 같은 최적화되고 균형 잡힌 기계적 특성들과 조합하여 우수한 내식성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부 해머 드릴 로드들과 같은 드릴 로드들의 제조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높은 경도, 내마모성과 내마멸성, 높은 인장 강도, 높은 충격 인성 및 우수한 내식성을 가진 드릴 로드를 제공할 것이고,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드릴 로드들이 없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모든 특성들을 가진, 즉 양호한 내식성 및 최적화되고 균형 잡힌 기계적 특성들의 조합을 가진 전술 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는 드릴 로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들
실시예 1
실시예 1 의 합금은 고주파로 (high frequency furnace) 에서 용해시킨 후 9" 강 몰드를 사용하여 잉곳 주조되었다. 잉곳의 중량은 약 270 kg 이었다. 잉곳은 650 ℃ 에서 4 시간 동안 소프트 소둔 (soft annealing) 에 의해 열처리된 후 실온으로 공랭된 다음 잉곳 표면을 연삭하였다.
열처리 후, 잉곳은 해머에서 약 145 mm 의 둥근 치수를 가진 바아들로 단조되었다. 수득된 둥근 바아들은 그 후에 압연기에서 1200 ℃ 로 열간 압연되어 육각형 35 mm 치수의 중실체 (solid) 로 되었다.
이러한 바아들로부터의 샘플들은 부식 및 기계적 시험에 사용되었다.
상이한 합금의 화학적 조성 및 이의 해당 합금 번호는 표 1 에 나타낸다. 본원의 범위 밖의 합금들은 모든 표들에서 "x" 로 표시된다.
실시예들의 모든 합금에 대한 Cr- 및 Ni-등가물들, 즉 Creq 및 Nieq 값은 표 2 및 도 2 에 도시된다. Creq 및 Nieq 값들은 본 발명에서 전술된 공식에 따라서 산출되었다. 각 합금의 PRE-값들은 다음 식에 따라서 산출되었다 : PRE = Cr (wt %) + 3.3 * Mo (wt %).
10 mV/min 의 전압 스캔 속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NaCl-용액 (600 mg/ℓ) 에 샘플을 침지시킴으로써 (Corr 1) 또는 75 mV/min 의 전압 스캔 속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NaCl-용액 (600 mg/ℓ) 에 샘플을 침지시킴으로써 (Corr 2) 동적 편광 측정 (dynamic polarization measurements) 에 의해 부식 시험이 실시되었다. 그 후, 강 표면 상의 수동 산화물 막의 브레이크스루 전위 (breakthrough potential) Ep (V) 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각 합금에 대해 2 개의 샘플들의 평균을 기준으로 한다. 부식 시험 이전에, 모든 샘플들은 1030 ~ 1050 ℃/0.5h 에서 경화되었고 오일로 켄칭되었으며, 200 ~ 225 ℃/1h 에서 템퍼링되었다. 부식 시험 결과는 표 2 에 나타낸다.
경도 시험 (HRC) 형태의 기계적 시험과 10x10x55 mm 치수의 노치된 샤르피-V 샘플들에 대한 충격 인성 시험이 모든 합금에 대해 실온에서 실시되었다. 샘플들은 1030 ℃/0.5h1) 또는 1050 ℃/1h2) 에서 경화되었고, 오일로 켄칭된 후, 175 ~ 275 ℃ 에서 1 시간 동안 상이한 온도에서 템퍼링되었다. 강화된 그대로의 조건의 결과는 2 개의 샤르피-V 샘플들의 평균을 기초로 하는 반면, 템퍼링된 조건의 결과는 3 개의 샤르피-V 샘플의 평균을 기초로 한다.
기계적 시험 결과는 표 3a 및 표 3b 에 나타낸다.
표 4 는 실시예의 합금의 제조 및 시험 동안의 경험에 기초로 하여 열간 가공 특성, 기계적 특성들 및 내식성의 상대 순위를 요약한다.
[표 1]
Figure pct00006
[표 1 계속]
Figure pct00007
[표 2]
Figure pct00008
[표 3a]
Figure pct00009
[표 3b]
Figure pct00010
[표 4]
Figure pct00011

Claims (15)

  1.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으로서, 중량% (wt%) 로,
    C 0.21 ~ 0.27;
    Si 0.7 이하;
    Mn 0.2 ~ 2.5;
    P 0.03 이하;
    S 0.05 이하;
    Cr 11.9 ~ 14.0;
    Ni 0.5 초과 ~ 3.0;
    Mo 0.4 ~ 1.5;
    N 0.060 이하;
    Cu 1.2 이하;
    V 0.06 이하;
    Nb 0.03 이하;
    Al 0.050 이하;
    Ti 0.05 이하;
    잔부로서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75 % 이상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2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고,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PRE-값이 14 이상이며;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Schaeffler)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다이어그램은 다음 식에 기초로 하고:
    Creq = Cr + Mo + 1.5 * Si + 0.5 * Nb (x-축)
    Nieq = Ni + 0.5 * Mn + 30 * N + 30 * C (y-축);
    Cr, Mo, Si, Nb, Ni, Mn, N 및 C 의 값들은 중량% 이고;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영역은 다음의 좌표로 규정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igure pct0001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80 ~ 95 % 의 마르텐사이트상 및 5 ~ 20 %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상을 포함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i 의 함량은 0.4 wt% 이하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의 함량은 0.035 wt% 이하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u 의 함량은 0.8 wt% 이하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의 함량은 0.21 ~ 0.26 wt% 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r 의 함량은 12 ~ 13.8 wt% 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n 의 함량은 0.3 ~ 2.4 wt% 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i 의 함량은 0.5 ~ 2.4 wt% 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o 의 함량은 0.5 ~ 1.4 wt% 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영역은 다음의 식에 의해 규정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igure pct00013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영역은 다음의 식에 의해 규정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igure pct00014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셰플러 다이어그램에 형성된 영역 내에 있으며, 상기 영역은 다음의 식에 의해 규정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Figure pct00015
  14. 드릴 로드를 제조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용도.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는 드릴 로드.
KR1020187004021A 2015-07-16 2016-07-14 새로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Ceased KR20180030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6999 2015-07-16
EP15176999.9 2015-07-16
PCT/EP2016/066808 WO2017009435A1 (en) 2015-07-16 2016-07-14 New martensitic stainless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18A true KR20180030618A (ko) 2018-03-23

Family

ID=537732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21A Ceased KR20180030618A (ko) 2015-07-16 2016-07-14 새로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KR1020187004022A Withdrawn KR20180025971A (ko) 2015-07-16 2016-07-14 드릴 구성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022A Withdrawn KR20180025971A (ko) 2015-07-16 2016-07-14 드릴 구성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941469B2 (ko)
EP (2) EP3322830B1 (ko)
JP (2) JP6797181B2 (ko)
KR (2) KR20180030618A (ko)
CN (2) CN107849669A (ko)
AU (1) AU2016293463A1 (ko)
ES (1) ES2790637T3 (ko)
MX (1) MX2018000576A (ko)
PL (2) PL3322831T3 (ko)
WO (2) WO2017009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469B2 (en) * 2015-07-16 2021-03-09 Ab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Martensitic stainless steel
CN108486481B (zh) * 2018-06-11 2019-12-31 江苏大学 一种铝电解槽打壳复合锤头的制备方法
WO2020054540A1 (ja) * 2018-09-13 2020-03-1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地下掘削用ドリル部品
JP7298382B2 (ja) * 2018-09-13 2023-06-27 大同特殊鋼株式会社 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地下掘削用ドリル部品
CN116144895A (zh) * 2018-11-14 2023-05-23 育材堂(苏州)材料科技有限公司 高强度不锈钢、热处理工艺及成形构件
DE102018133251A1 (de) * 2018-12-20 2020-06-25 Schoeller-Bleckmann Oilfield Technology Gmbh Bohrstrangkomponente mit hoher Korrosionsbeständigkeit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6503523B1 (ja) * 2019-01-25 2019-04-17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ドリルツ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304550A (zh) * 2020-03-12 2020-06-19 艾诺克(成都)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高尔夫球具球捍头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322981B (zh) * 2020-11-06 2022-03-15 首钢贵阳特殊钢有限责任公司 一种凿岩用h22及h25钎杆中空钢
CN113462859B (zh) * 2021-06-24 2022-06-17 重庆欣天利智能重工有限公司 一种钎杆硝盐热处理工艺
CN116356208A (zh) * 2023-03-30 2023-06-30 武汉科技大学 一种微合金低成本马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516A (en) 1976-09-06 1978-03-24 Nippon Kokan Kk <Nkk> Production of support material
JPS58199850A (ja) 1982-05-15 1983-11-21 Kobe Steel Ltd 酸性油井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S61207550A (ja) 1985-03-11 1986-09-13 Kawasaki Steel Corp 酸性油井用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968844B2 (ja) 1995-01-13 1999-11-02 日立金属株式会社 耐孔食性の優れた高硬度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MY114984A (en) * 1995-01-13 2003-03-31 Hitachi Metals Ltd High hardness martensitic stainless steel with good pitting corrosion resistance
SE522352C2 (sv) 2000-02-16 2004-02-03 Sandvik Ab Avlångt element för slående bergborrning och användning av stål för detta
SE532138C2 (sv) * 2007-07-11 2009-11-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vlångt element för slående bergborrning,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därav samt användning därav
CN101638750A (zh) * 2008-07-28 2010-02-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刀具用马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US10329649B2 (en) * 2012-01-20 2019-06-25 Solu Stainless Oy Austenitic stainless steel produ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2586695A (zh) 2012-02-24 2012-07-18 南京中船绿洲机器有限公司 碟式分离机转鼓用2Cr13MoNi不锈钢
CN103614649B (zh) 2013-12-06 2015-09-30 东北大学 一种高强韧性高强塑性马氏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04328353B (zh) * 2014-12-01 2017-08-11 什邡新工金属材料有限公司 一种稀土型0Cr17Ni4Cu4Nb马氏体沉淀硬化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04711482A (zh) * 2015-03-26 2015-06-17 宝钢不锈钢有限公司 一种控氮马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US10941469B2 (en) 2015-07-16 2021-03-09 Ab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2831A1 (en) 2018-05-23
EP3322830B1 (en) 2020-03-18
ES2790637T3 (es) 2020-10-28
JP6854275B2 (ja) 2021-04-07
JP2018527458A (ja) 2018-09-20
MX2018000576A (es) 2018-08-21
PL3322830T3 (pl) 2020-08-24
CN107923022A (zh) 2018-04-17
EP3322831B1 (en) 2020-03-18
JP6797181B2 (ja) 2020-12-09
US20180209023A1 (en) 2018-07-26
CN107849669A (zh) 2018-03-27
US11047028B2 (en) 2021-06-29
JP2018524473A (ja) 2018-08-30
CN107923022B (zh) 2019-11-08
EP3322830A1 (en) 2018-05-23
US10941469B2 (en) 2021-03-09
WO2017009436A1 (en) 2017-01-19
AU2016293463A1 (en) 2018-02-08
WO2017009435A1 (en) 2017-01-19
US20180209024A1 (en) 2018-07-26
KR20180025971A (ko) 2018-03-09
PL3322831T3 (pl)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181B2 (ja) 新規の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9982331B2 (en) Abrasion resistant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excellent corrosive wear resistance
JP6225874B2 (ja) 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4045552A1 (ja) 低温靱性および耐腐食摩耗性に優れた耐摩耗鋼板
JP2010001525A (ja) 熱処理用鋼
KR101894426B1 (ko) 고강도이며 내식성이 우수한 스태빌라이저용 강과, 그것을 이용한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및 그의 제조방법
JP7016345B2 (ja) マイクロ合金鋼およびその鋼の生産方法
US10669604B2 (en) Bolt
JP7135465B2 (ja) 耐摩耗厚鋼板
JP7370992B2 (ja) 高抗張力鋼および高靭性鋼
JP2017066460A (ja) 時効硬化性鋼
JP6459704B2 (ja) 冷間鍛造部品用鋼
JP2016160513A (ja) 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02445B1 (ko) 경화능이 우수한 유압브레이커 로드용 강 및 그 제조방법
US20210032730A1 (en) Sulphide stress cracking resistant steel, tubular product made from said steel,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product and use thereof
JPS61272316A (ja) 耐応力腐蝕割れ性のすぐれた超高張力鋼の製造法
WO2021224423A1 (en) A new bainitic st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