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혈류 및 표적 조직에서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피하 저장소 및/또는 글루코스 의존성 결합에서의 글루코스 의존적 인슐린 육량체 분해 속도를 통해 향상된 생체 내 혈당 조절을 제공하는 인슐린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이 6개의 신규한 인슐린 유사체가 제조되었다. 각각에 대하여 플루오로-페닐보론산을 글루코스 감지 요소로 사용하였다. 플루오로-PBA 모이어티 및 GlyA1의 α-아미노기 사이의 화학적 연결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응하는 연결은 PheB1의 α-아미노기에서 플루오로-PBA 부가물과 함께 동시에 유사체에 사용되었다(미도시).
2개의 유사체는 하나의 상기 부가물(A 사슬의 α-아미노기에; 표 2A)을 포함하고, 3개의 유사체는 2개의 상기 부가물(A 사슬 및 B 사슬 양측의 α-아미노기에; 표 2B)을 함유한다. 활성 FPA 시약에 의하여 인슐린 단편을 유도체화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아래에 나타나있다. 이러한 유사체는 인간 인슐린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트레오닌(잔기 B27 및/또는 B30)의 위치에 O-결합된 α-D-만노피라노시드(만노스-Oβ-Thr)또는 α-D-글루코피 라노시드(글루코스-Oβ-Thr)를 함유하였다. 예측된 분자량은 질량 분석법에 의해 각 사례별로 확인되었다. 도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만노즈 함유 인슐린 유사체는 WT 인슐린의 것과 유사한 코발트 R6육량체 결합 특성을 보였다(분해 동역학은 상이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노스 함유 인슐린 유사체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당뇨병을 일으킨 수컷 루이스 쥐에게 정맥 볼러스(bolus) 주사한 경우, Humalog®(Eli Lilly)의 활성 성분인 인슐린 리스프로와 비슷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냈다.
A. 단일 PBA 변형 (GlyA1) |
B. 이중 PBA 변형(GlyA1및 PheB1) |
Mannose-ThrB30-LysB28-ProB29-GluB31-GluB32 Glucose-ThrB27-Glucose-ThrB27-LysB28-ProB29-GluB31-GluB32 |
Mannose-ThrB30-LysB28-ProB29-GluB31-GluB32 Mannose-ThrB30-OrnB29-GluB31-GluB32 Glucose-ThrB27-Glucose-ThrB27-LysB28-ProB29-GluB31-GluB32 |
인슐린 유사체
본 발명의 대표 유사체가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높은 친화도를 가짐을 설명하기 위해, 상기 친화도를 경쟁적 치환 섬광 근접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아래). 표준 대조 시료가 OrnB29-인슐린에 의해 제공되었으며, 그 활성은 야생형 인슐린의 활성과 구별되지 않았다. [Glu, Glu]-연장된 리스프로 B 사슬(즉, LysB28및 ProB29치환되고 GluB31및 GluB32C말단 연장된) 환경에서 O-결합된 만노스 ThrB30을 함유하는 인슐린 유사체의 친화도는 (i) GlyA1의 α-아미노기에 부착된 플루오로-PBA 부가물의 존재하에서 (OrnB29-인슐린에 비하여) 50 % 내지 75 % 범위 내에서 관찰되었고, (ii) GlyA1및 PheB1의 양측 α-아미노기에 부착된 플루오로-PBA 부가물의 존재하에서 (OrnB29-인슐린에 비하여) 10 % 내지 30 %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완만한 친화도 감소가 A1 및 B1 부가물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본다. 리스프로 치환(LysB28및 ProB29)및 C 말단 연장(GluB31및 GluB32)이 분리된 인슐린 수용체에 대한 다양한 인슐린 유사체의 친화력에 무시 가능한 정도의 영향을 갖는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개시한 바 있다; 마찬가지로, O-결합된 만노실 모이어티에 의한 ThrB30변형도 용인되기 쉽다.
페놀이 R6육량체로 존재 하는 상태에서 코발트(Co2+)치환된 인슐린 육량체의 가시적 흡수 스펙트럼을 수득하는 분광학 분석을 이용하여 글루코스 반응 분해 속도를 조사하였다. 상기 분석("제제 상태에서 단량체 인슐린 유사체의 자가 결합 특성", Richard, J. P. 외. Pharm. Res. 15: 1434-41, 1998)은, 청색 흡수 대역을 발생시키는 금속 이온의 R-상태-특이적 사면체 배위를 이용한다.
상기 대역은 코발트 이온의 채워지지 않은 d-외각 전자에서 발생하며, 사면체 배위 환경의 특수한 특성이다. 에틸렌-디아민-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착화제를 과량으로 첨가하면 (무색 팔면체 복합체에서) 금속 이온의 적극적인 격리를 유도하게 되어, 육량체 분해의 동특성에 대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야생형 인슐린은 25 mM 농도 및 글루코스가 없는 상태에서 R-상태 특이적 d-d 신호에 따른 동일한 손실 속도를 나타낸다(도 8A). 반면에, 표 2A에 열거된 유사체(만노스-ThrB30-LysB28-ProB29-GluB31-GluB32)의 분해는 고혈당 상태에서 현저한 가속을 나타낸다(도 8B). 이러한 글루코스 조절된 분해는 B 사슬에 만노스 부가물이 존재하되 A 사슬의 N 말단에 PBA 부가물은 부존재하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도 8C).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청구된 인슐린 유사체는 혈당 농도가 정상 범위 또는 그 이하일 때 야생형 인슐린에 비해 인슐린 수용체에 대해 낮은 친화도를 나타낸다. 이론에 제한되지 않기를 바라지만, 상기와 같은 친화도의 감소는 B 사슬의 C 말단 또는 그 근처의 당류 변형과 N 말단 또는 그 근처에서 A 사슬에 부착된 페닐보론산 유도체 사이의 가역적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본 발명자들은 생각한다. 이러한 공유적이지만 가역적인 상호 작용은 B 사슬 C 말단 베타-가닥(잔기 B24 내지 B28)의 구조(conformation)를 "폐쇄"함으로써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며, 이는 인슐린 분자의 알파-나선형 코어로부터 상기 베타-가닥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A-사슬 결합된 페닐보론산 유도체를 B-사슬 결합된 당류 모이어티 또는 용액 중의 과량의 외인성 글루코스에 의한 모이어티로부터 경쟁적 치환되어 혈당 농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청구된 인슐린 유사체의 혈당 효능이 야생형 인슐린의 혈당 효능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된다. 글루코스가 5% 내지 100 % 범위에서 200 mg/ml를 초과하는 농도를 갖는 상태에서 수용체 결합 친화도는 당뇨병이 있는 동물에 대하여 본래 또는 거의 본래의 혈당 효능을 부여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본 발명자들은 예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변형들은 실온 이상에서 세동을 야기하고 인슐린의 유사분열촉진을 저하시키는 인슐린의 경향성을 감소시키며, 암 위험 및 암 성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뚜렷한 신호전달 경로를 감소시킨다.
A 사슬이 N 말단 또는 그 근처에서 페닐보론산 유도체에 의해 변형되고, B 사슬의 C 말단 또는 그 근처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측쇄가 O-결합 또는 N-결합된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에 의해 변형되기만 한다면, 인슐린 유사체는 돼지, 소, 말 및 개 인슐린과 같은 동물성 인슐린으로부터 유래된 A 및 B 사슬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무한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간 인슐린 또는 동물성 인슐린으로부터 유도된 이러한 변종 B사슬은 선택적으로 C-말단 디펩티드 연장(각각 B31 및 B32로 지정된 잔기 위치를 가짐)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C-말단 연장 잔기 중 적어도 하나는 O-결합 또는 N-결합된 당류를 포함하는 변형된 아미노산이다. 그리고/또는, 본 발명의 인슐린 유사체는 잔기 B1 내지 B3의 결실을 함유할 수 있거나, B28 위치에서 프롤린이 결여되거나 B29 위치에서 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변이체 B 사슬과 결합될 수 있다(예컨대, Humalog에서와 같은 [LysB28,ProB29];또는, B29 위치에서 리신 또는 프롤린과 결합한 AspB28또는 GluB28).A13위치에서 류신은 트립토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A14 위치에서 티로신은 글루탐산에 의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슐린 유사체는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ciae) 또는 기타 효모 발현종 또는 균주에서 효모 생합성하는 전구체 폴리펩티드의 Lys-유도된 단백질 분해 효소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조작된 tRNA 합성 효소 및 직각 방향의 강한 압력을 이용함으로써 할로겐 변형 페닐알라닌을 B24 위치에 삽입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슐린 유사체의 B-도메인은 B20 및/또는 B23 위치에 D-아미노산과 같은 비표준 치환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열역학적 안정성, 수용체 결합 친화도 및 세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함). B24 위치에서의 상기 할로겐 변형은 PheB24의 2-고리 위치에 있을 수 있다(즉, 오르토-불소-PheB24,오르토-염소-PheB24또는 오르토-브롬-PheB24.선택적으로, 상기 유사체는 TyrB16및/또는 TyrB26의 방향족 고리 내에 요오도-치환을 함유할 수 있으며(3-모노-요오도-Tyr 또는 [3,5]-디-요오도-Tyr); 이는 열역학적 안정성 및 수용체 결합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C-도메인에서의 ThrB27, ThrB30 또는 하나 이상의 세린 잔기가 단당류 부가물에 의해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도 예상된다; 그 예로는, O-결합된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GalNAc-Oβ-Ser또는 GalNAc-Oβ-Thr로 표시), O-결합된 α-D-만노피라노시드(만노스-Oβ-Ser또는 만노스-Oβ-Thr로 표시), 및/또는 α-D-글루코피라노시드(글루코스-Oβ-Ser또는 글루코스-Oβ-Thr로 표시)를 들 수 있다.
또한, 인간 인슐린과 동물성 인슐린 간에 유사성이 있고 종래 당뇨병 환자에게 동물성 인슐린을 사용했다는 관점에서, 인슐린의 염기서열에 대한 기타 사소한 변형이 도입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치환은 "보수적인(conservative)" 것으로 간주된다. 예컨대, 아미노산의 추가적인 치환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유사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은 중성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Alanine(Ala 또는 A), 발린(Val 또는 V), 류신(Leu 또는 L), 이소류신(Ile 또는 I), 프롤린(Pro 또는 P), 트립토판(Trp 또는 W), 페닐알라닌(Phe 또는 F) 및 메티오닌(Met 또는 M). 마찬가지로, 중성의 극성 아미노산은 글리신(Gly 또는 G), 세린(Ser 또는 S), 트레오닌(Thr 또는 T), 티로신(Tyr 또는 Y), 시스테인(Cys 또는 C), 글루타민(Glu 또는 Q) 및 아스파라긴(Asn 또는 N) 중에서 서로 치환될 수 있다. 산성 아미노산은 아스파르트산(Asp 또는 D) 및 글루타민산(Glu 또는 E)이다. 염기성 아미노산 치환(리신(Lys 또는 K), 아르기닌(Arg 또는 R) 및 히스티딘(His 또는 H)을 포함)을 도입하는 것은 이러한 부류의 유사체의 증가된 순 음전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별도의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표준 아미노산은 동일한 화학 분류에 속하는 비표준 아미노산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슐린 유사체는, 그 변이체 B 사슬이 하기 서열 번호 7 내지 50에 주어진 폴리펩티드 서열에 따르고 그 변이체 A 사슬이 서열 번호 51 내지 53에 주어진 폴리펩티드 서열을 따르는 인슐린 유사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이체 B 사슬은 네오-C-말단 α-아미노기가 페닐보론산 유도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잔기 B1의 결실, 잔기 B1 및 B2의 결실, 또는 잔기 B1 내지B3의 결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 프로인슐린의 아미노산 서열은 비교 목적으로서 서열 번호 1로 제공된다. 인간 A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비교 목적으로서 서열 번호 2로 제공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인간 B 사슬 및 B 사슬 유사체의 아미노산 서열은 비교 목적으로서 서열 번호 3 내지 6으로 제공된다.
인간 프로인슐린의 아미노산 서열은 비교 목적으로서 서열 번호 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 (인간 프로인슐린)
Phe-Val-Asn-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Phe-Phe-Tyr-Thr-Pro-Lys-Thr-Arg-Arg-Glu-Ala-Glu-Asp-Leu-Gln-Val-Gly-Gln-Val-Glu-Leu-Gly-Gly-Gly-Pro-Gly-Ala-Gly-Ser-Leu-Gln-Pro-Leu-Ala-Leu-Glu-Gly-Ser-Leu-Gln-Lys-Arg-Gly-Ile-Val-Glu-Gln-Cys-Cys-Thr-Ser-Ile-Cys-Ser-Leu-Tyr-Gln-Leu-Glu-Asn-Tyr-Cys-Asn
인간 인슐린의 A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인간 A 사슬)
Gly-Ile-Val-Glu-Gln-Cys-Cys-Thr-Ser-Ile-Cys-Ser-Leu-Tyr-Gln-Leu-Glu- Asn-Tyr-Cys-Asn
인간 인슐린의 B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인간 B 사슬)
Phe-Val-Asn-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Phe-Phe-Tyr-Thr-Pro-Lys-Thr
식이요법용 인슐린 유사체 KP-인슐린의 "KP"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ProB28→Lys및 LysB29→Pro의 치환을 포함한다.
서열 번호 4
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Phe-Phe-Try-Thr-Lys-Pro-Thr
식이요법용 인슐린 유사체 KP-인슐린의 연장된 "KP" B 사슬의 32-잔기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에서 제공된다.
서열 번호 5
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Phe-Phe-Try-Thr-Lys-Pro-Thr-Glu-Glu
B29 위치의 오르니틴을 함유하도록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30-잔기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6에서 제공된다.
서열 번호 6
Phe-Val-Glu-Gln-His-Leu-Cys-Gly-Ser-Xaa4-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Phe-Phe-Try-Thr-Pro-Orn-Thr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27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7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7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Pro-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27-연결된 또는 Oβ-SerB27-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27-연결된 또는 Oβ-SerB27-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27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8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8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Xaa4-Pro-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27-연결된 또는 Oβ-SerB27-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27-연결된 또는 Oβ-SerB27-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27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9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9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Pro-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27-연결된 또는 Nγ-GlnB27-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27-연결된 또는 Nγ-GlnB27-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27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0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0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Xaa4-Pro-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27-연결된 또는 Nγ-GlnB27-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27-연결된 또는 Nγ-GlnB27-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27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1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Pro-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위치 B27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2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Xaa4-Pro-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27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3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Pro-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위치 B27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4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4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Xaa3-Xaa4-Pro-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30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5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5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30-연결된 또는 Oβ-SerB30-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30-연결된 또는 Oβ-SerB30-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0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6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6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AsnB30-연결된 또는 Oβ-GlnB30-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AsnB30-연결된 또는 Oβ-GlnB30-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30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7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7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30-연결된 또는 Nγ-GlnB30-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30-연결된 또는 Nγ-GlnB30-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0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8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8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30-연결된 또는 Nγ-GlnB30-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30-연결된 또는 Nγ-GlnB30-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30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19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19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위치 B30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0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0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30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1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위치 B30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2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Xaa4-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31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3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31-연결된 또는 Oβ-SerB31-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31-연결된 또는 Oβ-SerB31-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를 나타낸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1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4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4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4-Pro-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이당류이다; 또한, Xaa5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31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5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5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1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6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6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4는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31-연결된 또는 Nγ-GlnB31-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잔기 B31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7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7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선택적으로 Glu, Gin, Gly, Ala 또는 Ser이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1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8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8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선택적으로 Glu, Gin, Gly, Ala 또는 Ser이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32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29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29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아르기닌,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잔기 B32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0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0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32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1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Pro-Xaa3-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위치 B29에서의 프롤린의 대안적인 배치와 함께 위치 B32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2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Pro-Thr-Xaa4-Xaa5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B29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3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9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4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4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B29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5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5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9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6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6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B28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7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7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8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8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8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이다.
B28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29, 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39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39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B28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0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0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8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1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4는 리신, 프롤린,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이다.
B28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29, 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2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B29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3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9 위치의 염기성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4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4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프롤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이고, 그 측쇄 아미노기는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ProB28를 유지하면서 B29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5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5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B29 위치의 황 함유 잔기에서 디올 함유 시약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des-B30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6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6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리신, 오르티닌, 아르기닌,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노르류신, 아미노부티르산, 아미노프로피온산,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3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시스테인 또는 호모시스테인의 D 또는 L 입체이성체의 유도체로서, 그 측쇄 황 원자가 디올 함유 시약에 연결된다.
잔기 B28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7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7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28-연결된 또는 Oβ-SerB28-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28-연결된 또는 Oβ-SerB28-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롤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잔기 B28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8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8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28-연결된 또는 Nγ-GlnB28-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28-연결된 또는 Nγ-GlnB28-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4는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롤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잔기 B29에서 O-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49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49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롤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Oβ-ThrB29-연결된 또는 Oβ-SerB29-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Oβ-ThrB29-연결된 또는 Oβ-SerB29-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잔기 B29에서 N-결합된 당화에 의해 변형된 변이체 B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0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50
Xaa1-Phe-Val-Glu-Gln-His-Leu-Cys-Gly-Ser-His-Leu-Val-Glu-Ala-Leu-Tyr-Leu-Val-Cys-Gly-Glu-Arg-Gly-Xaa2-Phe-Tyr-Thr-Xaa3-Xaa4-Thr-Xaa5-Xaa6
이때, Xaa1은 PheB1의 천연 α-아미노기이거나, 선택적으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 또는 PheB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페닐알라닌, 펜타-플루오로-Phe, 2-클로로-Phe, 2-브로모-Phe, 4-클로로-Phe, 2-메틸-Phe 또는 사이클로헥사닐알라닌이다; 이때, Xaa3은 아르기닌,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디-아미노프로피온산, 프롤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4는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Nβ-AsnB29-연결된 또는 Nγ-GlnB29-연결된 단당류 피라노시드이거나, Xaa3은 하나 이상의 상기 단당류 아단위를 함유하며 Nβ-AsnB29-연결된 또는 Nγ-GlnB29-연결된 이당류이다; 이때, Xaa5및 Xaa6은 B 사슬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잔기 연장을 선택적으로 나타내는데, Xaa5(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Glu, Gin, Gly, Ala 또는 Ser일 수 있고 Xaa5및 Xaa6(선택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은 동일한 아미노산 세트로부터 추출되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위치가 글루탐산이다.
GlyA1의 α-아미노기에서 페닐보론산에 의해 변형된 인간 인슐린의 변이체 A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1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51
Xaa1-Gly-Ile-Val-Glu-Gln-Cys-Cys-Xaa2-Ser-Ile-Cys-Ser-Xaa3-Xaa4-Gln-Leu-Xaa5-Asn-Tyr-Cys-Xaa6
이때, Xaa1은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이거나, GlyA1의 α-아미노기에 대한 펩티드 연결이나 선택적인 아실 링커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트레오닌, 알라닌, 히스티딘,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3은 Leu 또는 Trp이다; 이때, Xaa4는 티로신,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는 글루탐산,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이다; 이때, Xaa6은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또는 글리신이다.
A4 위치의 염기성 잔기의 측쇄 아미노기에서 페닐보론산에 의해 변형된 인간 인슐린의 변이체 A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2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52
Gly-Ile-Val-Xaai-Gln-Cys-Cys-Xaa2-Ser-Ile-Cys-Ser-Xaa3-Xaa4-Gln-Leu-Xaa4-Asn-Tyr-Cys-Xaa5
이때, Xaa1은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이거나, 리신, 오르니틴, 디-아미노부티르산, 또는 디-아미노프로피온산의 측쇄 아미노기에 의해 연결된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의 할로겐 유도체이다; 이때, Xaa2는 트레오닌, 알라닌, 히스티딘,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3은 Leu 또는 Trp이다; 이때, Xaa4는 티로신,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는 글루탐산,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이다; 이때, Xaa6은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또는 글리신이다.
인간 인슐린의 변이체 A 사슬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번호 53으로 제공된다.
서열 번호 53
Xaa1-Ile-Val-Glu-Gln-Cys-Cys-Xaa2-Ser-Ile-Cys-Ser-Xaa3-Xaa4-Gln-Leu-Xaa4-Asn-Tyr-Cys-Xaa5
Xaa1은 D-리신, L-리신, D-오르니틴, L-오르니틴, D-디-아미노프로피온산, L-디-아미노-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잔기로서, 그 측쇄 아미노기는 할로겐 변형을 포함하는 페닐보론산 모이어티에 의해 유도되거나 아실 링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이때, Xaa2는 트레오닌, 알라닌, 히스티딘,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3은 Leu 또는 Trp이다; 이때, Xaa4는 티로신, 알라닌 또는 글루탐산이다; 이때, Xaa5는 글루탐산, 글루타민 또는 아르기닌이다; 이때, Xaa6은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또는 글리신이다.
트레오닌의 Οβ-연결된 부가물로서 α-D-만노피라노시드, α-D-글루코피라노시드 및/또는 N-아세틸-β-D-갈락토피라노시드를 함유한 인슐린 유사체를 트립신 매개된 반합성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반합성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N 말단 글리신(옥타펩티드, 노나펩티드 또는 데카펩티드) 및 ThrB27및/또는 ThrB30에서의 단당류 부가물을 함유하는 합성 펩티드와 함께, 인간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의 des-옥타펩티드[B23-B30] 단편을 이용하였다. 상기 des-옥타펩티드[B23-B30] 단편은 야생형 인슐린의 3개의 천연 이황화물 가교를 함유한다; 상기 단편, 펩티드 및 생성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로 정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프로토콜은 기재된 내용의 변형이다(Mirmira, R.G., 및 Tager, H.S., 1989. J. Biol. Chem. 264: 6349-6354). 상기 프로토콜은 (i) 단당류 피라노시드 부가물을 함유하는 합성 펩티드(서열 번호 53 내지 65) 및 (ii) 절단된 des-트리펩티드[B1-B3]-des-옥타펩티드[B23-B30]-인슐린 유사체 또는 경우에 따라 [HisA4,HisA8,GlyA21]-인슐린 유사체, [HisA4,HisA8,GlyA21]-des-트리펩티드[B1-B3]-des-옥타펩티드[B23-B30]-인슐린 또는 경우에 따라 GlnB13인슐린 유사체, GlnB13-des-트리펩티드[B1-B3]-des-옥타펩티드[B23-B30]-인슐린 또는 경우에 따라 HisA8 인슐린 유사체를 이용하였다. 하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험 및 분석 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인용된 것이다.
페닐보론산의 NHS 활성화:
GlyA1의 α-아미노기가 FPA에 의해 변형된 인슐린 유사체를 제조하기 위해, 프로토콜이 3단계로 전개되었다.
(i) 1단계: PBA 시약의 활성화.
커플링이 가능한 종에 대한 4-카르복시-3-플루오로-페닐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PBA; Combi-Blocks, San Diego, CA로부터 구입)의 활성화는 N- 하이드록시숙신아미드(NHS. Sigma Aldrich, St. Louis, MO)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단계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이를 위해, PBA(300 mg, 1.126 몰)를 4.4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켜 4℃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NHS 131 mg(1.14 몰)과 디사이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DCC; Sigma Aldrich, St. Louis, MO) 247 mg(1.86 몰)을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N,N'-디사이클로헥실 우레아 부산물을 Eppendorf®의 마이크로퓨지에서 13,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제거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PBA-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아세톤 및 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시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에서 30 mg/ml로 생성하였다.
(ii) 2단계: 활성화된 PBA을 인슐린 단편의 N-말단(termini) 또는 N-말단(terminus)에 커플링.
des[B23-B30]-옥타펩티드 인슐린(DOI; pH 7.6에서 0.1 M 탄산나트륨의 100 ㎕ 중 5 mg)을 아세토 니트릴 중 PBA (30 mg/ml)의 NHS-에스테르 100 ㎕와 결합하였다. 상기 용액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단일 유도된 DOI 분자 및 이중 유도된 DOI 분자 모두가 존재하는 단계에서 반응을 정지시켰다.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이들을 분리 및 개별 정제하였다. Higgins Analytical® Proto 300 C4 컬럼(10 ㎛, 250x20 mm)과 함께 Waters® 2535 4채널 기울기용리(quaternary-gradient)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했다. 2완충액 이동상을 정제에 사용하였다: 수성 0.1%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FA; 완충액 A) 및 아세토니트릴(완충액 B)중의 0.1% TFA를 5 % 내지 95 % 완충액 B의 기울기로 40분 초과하여 처리했다. 단백질 용리 시간은 Waters 2489 UV/Vis 검출기를 사용하여 215 nm 및 280 nm에서의 UV 흡광도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였다. 단일 및 이중 결합된 분자들은 각각 18분 및 19.5분에 용리되었다. 단백질 생성물의 동질성은 Applied Biosystems® 4700 Proteomics Analyzer를 사용하여 MALDI-TOF 질량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50% 아세토니트릴 0.1 % TFA 중의 α-시아노-4-하이드록시신남산(α-CHCA; Sigma-Aldrich, St. Louis, MO)의 포화 용액을 매트릭스로 사용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바와 같이(Hoeg-Jensen 외), 질량은 레이저 탈착시의 무수물 형성과 관련된 2개의 수산기의 손실을 나타냈다(단일 결합된 DOI의 질량: 4997, 이중 결합된 DOI의 질량: 5127). 상기 반응에 의하면, B-사슬에 결합되기 전에 PBA를 A-사슬의 N-말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일 결합된 유사체의 동일성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1x PBS pH 7.4에서 50 mM 디티오트레이톨(DTT)로 환원시킨 후에 확인되었다. Millipore C18 ZipTip® 스포이드 팁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탈염시키고, α-CHCA 매트릭스 5㎕에 용리시켰다. 개별 폴리펩티드 사슬의 질량은 MALDI-TOF 질량 분광기 (질량 PBA-결합된 A 사슬: 2515, 질량 B 사슬: 2488)를 이용하여 확인되었다. 시료는 Labconco® Freezezone 6®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 건조했다.
(iii) 3단계: 트립신 매개된 반합성.
바람직한 인슐린 유사체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트립신 매개된 반합성에 의해 제조되었다.
인슐린 유사체 육량체의 분해와 관련된 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문헌 [Richards, J. P 외]에 설명된 바와 같은 흡광도 분광법이 이용되었다("제제 조건 하에서 단량체 인슐린 유사체의 자가 결합 특성", Pharm. Res. 15: 1434-41, 1998). 요약하면, 시각적 흡광도 분광법은 페놀 안정화된 R6Co2 +치환 인슐린 육량체의 형성 및 분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간편한 탐침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인슐린 유사체는 글루코스의 부재하에 또는 25 mM 글루코스의 존재하에 50 mM Tris-HCl(pH 7.4), 50 mM 페놀, 0.2 mM CoCl2 및 2 mM NaSCN을 함유하는 완충액에서 0.6 mM이 되도록 하였다. 시료의 pH는 각각 7.4였고, 시료들은 구조적(conformational) 평형에 도달하는 것을 연구하기 전에 실온에서 밤새 배양했다. 스펙트럼(400-750 nm)은 574 nm 또는 그 근처에서 d-d 흡광도 대역의 사면체 Co2 +배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수득하였다. 육량체로부터 Co2 +방출 속도를 판단하기 위해, EDTA 모액(pH 7.4에서 50 mM)의 분액을 최종 EDTA 농도 2 mM(즉, 코발트 이온의 총 농도를 초과)에 첨가함으로써 (피하 온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33 ℃에서 금속 이온 격리를 시작하였다. 수 초에서 수 시간의 시간 척도로 574-nm 흡광도 대역의 감쇠가 모니터링 되었다. 해리 후 흡광도 스펙트럼(400-750 nm)을 수집하여 d-d 흡광도 대역의 완전한 감쇠를 확인하였다. 동적 데이터는 해리 속도(또는 등가적으로 조정된 변이체 인슐린 R6육량체의 Co2 +반감기)를 판단하기 위한 단일 지수 감쇠 함수에 부합했다.
설치류 분석 - 수컷 루이스 쥐(평균 체중 300 g)를 [0035]문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렙토조토신(STZ)으로 처리하여 당뇨병을 발생시켰다. OrnB29-인슐린 또는 NleB29-인슐린과 관련하여 인슐린 유사체의 생체 내 효력을 시험하기 위해, 인슐린 유사체를 함유하는 단백질 용액을 16 mg 글리세린, 1.6 mg 메토-크레졸, 0.65 mg 페놀 및 3.8 mg 인산나트륨으로 조성된 완충액(pH 7.4)에 구성하였다. 인슐린 유사체를 300 g 쥐당 완충액 100 μl당 10 μg의 양으로 꼬리 정맥에 정맥(IV) 주사를 놓았다. 혈당 농도의 변화는 임상 혈당 미터기(EasyMax 음성 혈당 미터기)를 사용하여 이후 수 시간 동안 연속 측정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인슐린 유사체를 각각 역상 HPLC로 재정제하고, 분말로 건조킨 후, 동일한 최대 단백질 농도로 희석액에 용해시키고, 분석적인 C4 역상 HPLC을 이용하여 재정량하였다; 희석은 상기 완충액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간 t = 0에 쥐에게 정맥 주사했다. 혈액은 클립핑된 꼬리 끝에서 시간 t = 0에 수득하였고, 첫 1시간동안 10 분마다, 2 시간부터 20 분마다, 3 시간부터 30 분마다, 이후 360 분까지 매 시간 수득하였다. 고친화성 천연 유사체의 연구의 규모가 제한적이었지만(N = 5 마리의 쥐), 요오드-TyrB26 변형의 영향은 더 충실히 평가되었다. 따라서, 쥐의 군집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란 변수를 피하기 위해, 3-I-TyrB26-NleB29-인슐린에 관한 연구는 6 개월에 걸쳐 주별로 4회의 날짜에 (NleB29-인슐린과 관련하여) 반복되었다. 각 날짜(N = 4 또는 5)에 연구된 쥐는 대형 군집(50 마리)에서 무작위로 수득했다. 기준선에서의 평균 혈당 수치는 각 그룹과 각 날짜별로 유사했다. 유사한 개별 동향이 각 날짜에 관찰되었다. 혈당 농도를 감소시키데 있어서 인슐린 작용의 효능은 (a) 첫 시간 동안의 농도 변화(d[포도당]/dt), (b) 시작 혈당 농도에서 최종 농도까지 글루코스 시간 의존성 및 대략적인 수평선 사이의 통합 면적; 및, (c) 첫 0-80 분에서 동일한 곡선의 통합 면적과 이와 대조적인 80-360 분 간격에서 관찰된 곡선의 통합 면적(후자는 인슐린 작용의 지연된 "꼬리"를 나타냄)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기준선 아래와 고혈당 기준선 위의 면적 및 관찰된 혈당 농도를 나타내는 상기 곡선 위의 면적은 사다리꼴 근사법에 의해 평가되고 AOC로 표시된다. 통계적 유의성 평가는 학생 t테스트(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발명자의 체외 인슐린 수용체 결합 분석은 인슐린 수용체 아형을 나타내는 93PEAK 세포주를 다클론성 안정화 감염시킨 세제 용해물로부터 순차적 밀-배아 응집소(WGA) 및 스트랩탁틴(Streptactin)-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 C-말단 스트렙타아비딘 결합 단백질 태그를 갖는 가용 인슐린 수용체(아형 B)를 이용하였다. 인슐린 유사체의 일련의 희석(11개의 희석, 각각 최대 최종 농도 2 μM의 5배)은 100 ㎕ 결합 완충액(100 mM HEPES (pH 7.8), 100 mM NaCl, 10 mM MgS04, 0.025% (v/v) 트윈 20 and 0.5% (w/v) 소의 혈청 알부민)에서 96-웰플레이트(well plate; Costar)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분석은 100㎕ 결합 완충액의 웰에 (i) WGA 섬광 근접 분석(SPA) 구슬(Perkin Elmer), (ii) 가용화된 수용체, 및 (iii) 방사성 동위 원소 표지물질로서 기능하는 125I-TyrA14-인슐린을 보충하여 첨가함으로써 개시하였다. [125I]표지된 리간드의 최종 농도는 7.5 pM이었고, 첨가된 수용체의 양은 리간드 소모 아티팩트를 방지하기 위해 경쟁자가 부재인 상태에서 표지된 리간드 결합은 총 부가 횟수의 15 % 미만으로 조정되었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완만하게 진탕 배양하고, 원심 분리하였고, 웰마다 12-검출기용 Trilux 섬광 계수기 (Perkin Elmer/Wallac)에서 5분 동안 계수하였다. 유사체 해리 상수를 얻기 위해,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경쟁적 결합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EQUENCE LISTING
<110>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120> INSULIN ANALOGUES CONTAINING A GLUCOSE-REGULATED CONFORMATIONAL
SWITCH
<130> 20051200321
<140> PCT/US16/022390
<141> 2016-03-14
<150> US 62/133,251
<151> 2015-03-13
<150> US 62/133,704
<151> 2015-03-13
<160> 5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86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Thr Arg Arg
20 25 30
Glu Ala Glu Asp Leu Gln Val Gly Gln Val Glu Leu Gly Gly Gly Pro
35 40 45
Gly Ala Gly Ser Leu Gln Pro Leu Ala Leu Glu Gly Ser Leu Gln Lys
50 55 60
Arg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65 70 75 80
Leu Glu Asn Tyr Cys Asn
85
<210> 2
<211> 2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3
<211> 3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3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Thr
20 25 30
<210> 4
<211> 30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Phe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Lys Pro Thr
20 25 30
<210> 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5
Phe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Lys Pro Thr Glu Glu
20 25 30
<210> 6
<211> 30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0)..(10)
<223> Xaa is an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Ornithine
<400> 6
Phe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Xaa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Xaa Thr
20 25 30
<210> 7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 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 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 fluoro Phe, 2 chloro Phe, 2 bromo
Phe, 4 chloro Phe, 2 methyl 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 mannopyranoside, alpha-D glucopyranoside, N
acetyl b D 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 amino butyric acid, di
amino 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7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8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 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 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 fluoro Phe, 2 chloro Phe, 2 bromo
Phe, 4 chloro Phe, 2 methyl 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 mannopyranoside, alpha-D glucopyranoside,
N acetyl b D 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Arginine, Ornithine, di aminobutyric acid, di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8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9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 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 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 fluoro Phe, 2 chloro Phe, 2 bromo
Phe, 4 chloro Phe, 2 methyl 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 mannopyranoside, alpha-D glucopyranoside, N
acetyl b D 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 amino butyric acid, di
amino 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9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10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 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 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 fluoro Phe, 2 chloro Phe, 2 bromo
Phe, 4 chloro Phe, 2 methyl 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 mannopyranoside, alpha-D glucopyranoside, N
acetyl b D 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Arginine, Ornithine, di aminobutyric acid, di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0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11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n Arginine,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1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12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rginine,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2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13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n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3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14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7)..(27)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4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Xaa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1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5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Xaa Xaa Xaa
20 25 30
<210> 16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6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Xaa Xaa Xaa
20 25 30
<210> 17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7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Xaa Xaa Xaa
20 25 30
<210> 18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8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Xaa Xaa Xaa
20 25 30
<210> 19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19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Xaa Xaa Xaa
20 25 30
<210> 20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20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Xaa Xaa Xaa
20 25 30
<210> 21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21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Xaa Xaa Xaa
20 25 30
<210> 22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22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Xaa Xaa Xaa
20 25 30
<210> 23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eta-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Glu, Gln, Gly, Ala, or Ser
<400> 23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24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 Beta-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Glu, Gln, Gly, Ala, or Ser
<400> 24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2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 Beta-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Glu, Gln, Gly, Ala, or Ser
<400> 25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26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 Beta-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Glu, Gln, Gly, Ala, or Ser
<400> 26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27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or
is Glu, Gln, Gly, Ala, or Ser
<400> 27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28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or
Glu, Gln, Gly, Ala, or Ser
<400> 28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29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rginine,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29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30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0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31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1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Pro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32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1)
<223> Xaa is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2)..(32)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2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Pro Thr Xaa Xaa
20 25 30
<210> 33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33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34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4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210> 3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35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36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6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210> 37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Proline, Argin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37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38
<211> 30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5)..(25)
<223> Xaa can be any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Proline, Argin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0)..(30)
<223> Xaa can be any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
<400> 38
Xaa Phe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1 5 10 15
Tyr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30
<210> 39
<211> 28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39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20 25
<210> 40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ny amino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0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41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Lysine, Proline, Argin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400> 41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210> 42
<211> 28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42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20 25
<210> 43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3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44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Proline,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whose
side chain amino group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44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210> 45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5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46
<211> 29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Lysine, Ornithine, Argin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Norleucine, aminobutyric acid,
aminopropion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a derivative of the D or L stereoisomer of Cysteine or
Homocysteine whose side-chain sulfur atom is linked to a
diol-containing reagent
<400> 46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20 25
<210> 47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Proline,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7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48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Proline,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8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49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Proline,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Thr or Ser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49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50
<211> 32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Phe or Phe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24)..(24)
<223> Xaa is Phenylalanine, penta-fluoro-Phe, 2-chloro-Phe,
2-bromo-Phe, 4-chloro-Phe, 2-methyl-Phe, or Cyclohexanyl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8)..(28)
<223> Xaa is Argin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di-aminopropionic acid, Proline,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29)..(29)
<223> Xaa is Asn or Gln linked to one or more saccharide subunits
selected from alpha-D-mannopyranoside, alpha-D-glucopyranoside,
N-acetyl-b-D-galactopyranoside
<220>
<221> MISC_FEATURE
<222> (31)..(32)
<223> Xaa Xaa is 0-2 amino acids selected from Glu, Gln, Gly, Ala, or
Ser and if present, at least one amino acid is Glutamic Acid
<400> 50
Xaa Val Glu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Xaa Phe Tyr Thr Xaa Xaa Thr Xaa Xaa
20 25 30
<210> 51
<211> 2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Gly or Gly modified with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peptide linkage or optional acyl linker to the a-amino group of
Gly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Xaa is Threonine, Alanine, Histidine, Glutamine, Argi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3)..(13)
<223> Xaa is Leu or Trp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Tyrosine,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7)..(17)
<223> Xaa is Glutamic Acid, Glutamine or Argi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Xaa is Asparagine, Aspartic Acid, Alanine or Glycine
<400> 51
Xaa Ile Val Glu Gln Cys Cys Xaa Ser Ile Cys Ser Xaa Xaa Gln Leu
1 5 10 15
Xaa Asn Tyr Cys Xaa
20
<210> 52
<211> 2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Xaa is a phenylboronic-acid moiety or halogenic derivative of a
phenylboronic-acid moiety connected by to the side-chain amino
group of Lysine, Ornithine, di-aminobutyric acid or
di-aminopropion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Xaa is Threonine, Alanine, Histidine, Glutamine, Argi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3)..(13)
<223> Xaa is Leu or Trp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Tyrosine,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7)..(17)
<223> Xaa is Glutamic Acid, Glutamine or Argi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Xaa is Asparagine, Aspartic Acid, Alanine or Glycine
<400> 52
Gly Ile Val Xaa Gln Cys Cys Xaa Ser Ile Cys Ser Xaa Xaa Gln Leu
1 5 10 15
Xaa Asn Tyr Cys Xaa
20
<210> 53
<211> 2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is a basic residu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
or L-Lys, D- or L-Orn, D- or L-di-aminopropionic acid derivatized
by a phenylboronic acid moiety optionally including a halogenic
modification and optionally attached via an acyl linker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Xaa is Threonine, Alanine, Histidine, Glutamine, Argi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3)..(13)
<223> Xaa is Leu or Trp
<220>
<221> MISC_FEATURE
<222> (14)..(14)
<223> Xaa is Tyrosine, Alanine or Glutamic Acid
<220>
<221> MISC_FEATURE
<222> (17)..(17)
<223> Xaa is Glutamic Acid, Glutamine or Argi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21)..(21)
<223> Xaa is Asparagine, Aspartic Acid, Alanine or Glycine
<400> 53
Xaa Ile Val Glu Gln Cys Cys Xaa Ser Ile Cys Ser Xaa Xaa Gln Leu
1 5 10 15
Xaa Asn Tyr Cys Xaa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