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152A -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5152A KR20160145152A KR1020167031885A KR20167031885A KR20160145152A KR 20160145152 A KR20160145152 A KR 20160145152A KR 1020167031885 A KR1020167031885 A KR 1020167031885A KR 20167031885 A KR20167031885 A KR 20167031885A KR 20160145152 A KR20160145152 A KR 20160145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transmission
- group
- reception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이차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삼차원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코일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4b는, 도 3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코일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4c는, 도 3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코일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5a는, 독립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1)이다.
도 5b는, 독립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2)이다.
도 5c는, 독립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3)이다.
도 5d는, 독립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4)이다.
도 6a는, 부하 또는 전원에 접속된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1)이다.
도 6b는, 부하 또는 전원에 접속된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2)이다.
도 6c는, 부하 또는 전원에 접속된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3)이다.
도 6d는, 부하 또는 전원에 접속된 공진 코일의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그 4)이다.
도 7a는, 복수의 송전기에 의한 자계의 제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7b는, 복수의 송전기에 의한 자계의 제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7c는, 복수의 송전기에 의한 자계의 제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8a는, 복수의 수전기에 대한 이차원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8b는, 복수의 수전기에 대한 이차원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8c는, 복수의 수전기에 대한 이차원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9a는, 복수의 수전기에 대한 삼차원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복수의 수전기에 대한 삼차원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10b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10c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10d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4)이다.
도 10e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1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5)이다.
도 11a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11b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11c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11d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4)이다.
도 11e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5)이다.
도 12a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1)이다.
도 12b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2)이다.
도 12c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3)이다.
도 12d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4)이다.
도 12e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5)이다.
도 12f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6)이다.
도 12g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7)이다.
도 12h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8)이다.
도 12i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처리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그 9)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a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1)이다.
도 14b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2)이다.
도 14c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3)이다.
도 14d는, 본 실시예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4)이다.
1A, 1B : 송전기
2 : 수전기(2차측:수전측)
2A, 2B, 2A1 내지 2A3, 2B1, 2B2, 2C1, 2C2 : 수전기
10A, 10B : 외부 전원
11, 11A, 11B : 와이어리스 송전부
11a, 11aA, 11aB, 11a1, 11a2 : 송전 공진 코일(송전 코일:제2 코일:LC 공진기)
11b : 전력 공급 코일(제1 코일)
12, 12A, 12B : 고주파 전원부
13, 13B : 송전 제어부
13A : 송전 제어부(제어 장치)
14, 14A, 14B : 통신 회로부(제1 통신 회로부)
21, 21A, 21B : 와이어리스 수전부
21a, 21aA, 21aB : 수전 공진 코일(수전 코일:제3 코일:LC 공진기)
21b : 전력 취출 코일(제4 코일)
22, 22A, 22B : 수전 회로부(정류부)
23, 23A, 23B : 수전 제어부
24, 24A, 24B : 통신 회로부(제2 통신 회로부)
25, 25A, 25B : 배터리부(기기 본체, 부하)
Claims (16)
- 복수의 송전 코일 및 복수의 수전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자계 공명 또는 전계 공명을 이용해서 무선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동시에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에 의한,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단체(單體) 송전 효율 및 각각의 상기 수전기가 요망하는 단체 요망 전력을 구하고,
상기 단체 요망 전력을 상기 단체 송전 효율로 제산하여,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단체 송전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제1 수전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수전기에 대한 송전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복수의 송전 코일 및 복수의 수전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자계 공명 또는 전계 공명을 이용해서 무선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송전 효율에 기초하여, 특정한 수전기만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1 전력 전송과,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고, 자계 또는 전계의 방향을 변화시켜서,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2 전력 전송과,
전력을 수취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전체적인 송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수전기의 수전 전력을 저하시켜,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3 전력 전송과,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각각의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제1 수전기에 기초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4 전력 전송을 갖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전력 전송을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전력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전송은,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전환해서 차례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은,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 및 위상을 제어하고, 자계 또는 전계의 방향을 변화시켜서,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전력 전송은, 수전 전력을 저하시키는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의 공진점을 어긋나게 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력 전송은,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에 의한,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단체 송전 효율 및 각각의 상기 수전기가 요망하는 단체 요망 전력을 구하고,
상기 단체 요망 전력을 상기 단체 송전 효율로 제산하여,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단체 송전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상기 제1 수전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수전기에 대한 송전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단체 송전 전력에 대하여 소정 비율 이상의 단체 송전 전력의 수전기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때, 단체 송전 전력이 상기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소정 비율 이상의 상기 수전기와 상기 제1 수전기를 수전기 그룹으로서 그룹화하고,
상기 수전기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수전기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해서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기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수전기에 대하여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면, 소정의 수전 효율 이상의 효율이 얻어지지 않을 때, 상기 수전기 그룹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기 그룹의 분할은, m을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상기 송전 코일이 m개일 때, m개의 상기 송전 코일을 m차원의 벡터로서 처리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차원의 벡터는, m개의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의 위상을, 동상 및 역상만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차원의 벡터 중, 어느 1개의 벡터와 다른 벡터가 이루는 각도로 벡터각을 계산하고,
n을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상기 수전기 그룹을 n 분할할 때, n이 커짐에 따라서 각도가 좁아지는 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벡터각의 수전기를, 분할된 수전기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기 그룹을 n 분할할 때, 90°을 n으로 제산한 각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벡터각의 수전기를, 분할된 수전기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각각의 수전 전력이, 그 수전기가 요망하는 요망 전력을 초과하는 수전기에서는, 그 수전 공진계의 Q값을 가변해서 수전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각각의 수전 전력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지 않은 수전기에서는, 수전 공진계를 오프해서 수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 복수의 송전 코일 및 복수의 수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자계 공명 또는 전계 공명을 이용해서 무선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송전 효율에 기초하여, 특정한 수전기만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1 전력 전송과,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고, 자계 또는 전계의 방향을 변화시켜서,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2 전력 전송과,
전력을 수취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전체적인 송전 효율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수전기의 수전 전력을 저하시켜,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3 전력 전송과,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 각각의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제1 수전기에 기초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4 전력 전송을 갖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전력 전송을 제어하여, 복수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전력 전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전송은,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시분할적으로 전환해서 차례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전력 전송은,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의 전류 및 위상을 제어하고, 자계 또는 전계의 방향을 변화시켜서,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전력 전송은, 수전 전력을 저하시키는 상기 수전기에 있어서의 수전 공진 코일의 공진점을 어긋나게 하여, 적어도 2개의 상기 수전기에 대하여 동시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전력 전송은,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에 의한,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단체 송전 효율 및 각각의 상기 수전기가 요망하는 단체 요망 전력을 구하고,
상기 단체 요망 전력을 상기 단체 송전 효율로 제산하여,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단체 송전 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상기 제1 수전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수전기에 대한 송전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복수의 송전 코일과, 복수의 수전기와, 상기 송전 코일로부터의 전력을, 자계 공명 또는 전계 공명을 이용해서 무선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에,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에 의한, 각각의 상기 수전기에 대한 단체 송전 효율 및 각각의 상기 수전기가 요망하는 단체 요망 전력을 구하는 공정과,
상기 단체 요망 전력을 상기 단체 송전 효율로 제산하여, 각각의 상기 수전기의 단체 송전 전력을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단체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최대 단체 송전 전력의 제1 수전기를 규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수전기에 대한 송전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복수의 상기 송전 코일을 제어하는 공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4/063323 WO2015177860A1 (ja) | 2014-05-20 | 2014-05-20 | 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5152A true KR20160145152A (ko) | 2016-12-19 |
Family
ID=5455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1885A Ceased KR20160145152A (ko) | 2014-05-20 | 2014-05-20 |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70063167A1 (ko) |
EP (1) | EP3151376A4 (ko) |
JP (1) | JPWO2015177860A1 (ko) |
KR (1) | KR20160145152A (ko) |
CN (1) | CN106464020A (ko) |
WO (1) | WO201517786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354A (ko) * | 2018-06-29 | 2020-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09557B2 (ja) * | 2016-01-27 | 2021-07-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給電装置、及び受給電装置 |
US9985481B2 (en) * | 2016-03-28 | 2018-05-29 | Intel IP Corporation | Dynamic power adjustment mechanism for mitigating wireless power interference |
JP6778906B2 (ja) * | 2016-05-30 | 2020-11-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
JP2018125815A (ja) * | 2017-02-03 | 2018-08-09 | 株式会社東芝 | 無線送電装置および無線給電システム |
JP6710650B2 (ja) * | 2017-03-01 | 2020-06-17 | 株式会社東芝 | ワイヤレス給電制御装置、送電器および受電器 |
KR20190060531A (ko) * | 2017-11-24 | 2019-06-0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수의 소형 전력 전송 코일로 구성된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패드의 구동 장치 및 방법 |
KR20190064914A (ko) * | 2017-12-01 | 2019-06-1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
US20190245388A1 (en) | 2018-02-06 | 2019-08-08 | Kabushiki Kaisha Toshiba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
CN111752332B (zh) * | 2020-06-29 | 2022-04-22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输入装置和家用电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0399A (ja) | 2003-09-30 | 2005-04-21 | Sharp Corp | 非接触電力供給システム |
JP2012034454A (ja) | 2010-07-29 | 2012-02-16 | Sony Corp | 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
JP2013034367A (ja) | 2011-06-30 | 2013-02-14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非接触給電装置 |
WO2013035873A1 (ja) | 2011-09-08 | 2013-03-14 | 富士通株式会社 |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型充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44339B2 (ja) * | 2008-04-28 | 2010-09-15 | ソニー株式会社 | 送電装置、送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
US9312924B2 (en) * | 2009-02-10 | 2016-04-12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
CN102362408B (zh) * | 2009-03-30 | 2015-01-21 | 富士通株式会社 | 无线供电系统、无线送电装置及无线受电装置 |
JP5362037B2 (ja) * | 2009-12-24 | 2013-12-11 | 株式会社東芝 | 無線電力伝送装置 |
JP2011199975A (ja) * | 2010-03-18 | 2011-10-06 | Nec Corp |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送電方法 |
KR101859191B1 (ko) * | 2011-03-23 | 2018-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
KR101253670B1 (ko) * | 2011-09-05 | 2013-04-11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3828190B (zh) * | 2011-09-21 | 2016-11-02 | 日本电气株式会社 | 无线电力馈送系统和无线电力馈送方法 |
KR20130033867A (ko) * | 2011-09-27 | 2013-04-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KR101349551B1 (ko) * | 2011-11-02 | 2014-01-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
SG11201405961XA (en) * | 2012-03-28 | 2014-10-30 | Fujitsu Lt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
JP5976385B2 (ja) * | 2012-05-07 | 2016-08-23 | ソニー株式会社 | 検知装置、受電装置、送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
KR101848303B1 (ko) * | 2012-07-10 | 2018-04-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력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력 송신기 |
GB2526444C (en) * | 2013-02-15 | 2020-09-23 | Murata Manufacturing Co |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
JP6092017B2 (ja) * | 2013-06-25 | 2017-03-08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送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
2014
- 2014-05-20 CN CN201480078897.8A patent/CN106464020A/zh active Pending
- 2014-05-20 EP EP14892722.1A patent/EP315137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4-05-20 WO PCT/JP2014/063323 patent/WO201517786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5-20 KR KR1020167031885A patent/KR20160145152A/ko not_active Ceased
- 2014-05-20 JP JP2016520839A patent/JPWO2015177860A1/ja active Pending
-
2016
- 2016-11-15 US US15/351,711 patent/US20170063167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0399A (ja) | 2003-09-30 | 2005-04-21 | Sharp Corp | 非接触電力供給システム |
JP2012034454A (ja) | 2010-07-29 | 2012-02-16 | Sony Corp | 給電システム、給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
JP2013034367A (ja) | 2011-06-30 | 2013-02-14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非接触給電装置 |
WO2013035873A1 (ja) | 2011-09-08 | 2013-03-14 | 富士通株式会社 |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非接触型充電方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우치다 아키라요시 외(UCHIDA Akiyoshi, et al.), "Phase and Intensity Control of Multiple Coil Currents in Resonant Magnetic Coupling," IMWS-IWPT2012, THU-C-1, pp.53-56, May 10-11, 2012 |
이시자키 도시오 외(ISHIZAKI Toshio, et al.), "3-D Free-Access WPT System for Charging Movable Terminals," IMWS-IWPT2012, FRI-H-1, pp.219-222, May 10-11, 2012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354A (ko) * | 2018-06-29 | 2020-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464020A (zh) | 2017-02-22 |
EP3151376A4 (en) | 2017-06-28 |
US20170063167A1 (en) | 2017-03-02 |
JPWO2015177860A1 (ja) | 2017-04-20 |
WO2015177860A1 (ja) | 2015-11-26 |
EP3151376A1 (en) | 2017-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45152A (ko) |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
KR101891426B1 (ko) |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
KR101869636B1 (ko) | 수전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kQ값 산출 방법 | |
CN104253491B (zh) | 电力发送设备、非接触供电系统及控制方法 | |
US997923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 |
US9130389B2 (en) |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ulti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1971452B (zh) | 具有多个线圈初级的感应电源系统 | |
US9865391B2 (en) |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 |
JP2011142559A (ja) |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 |
KR101846058B1 (ko) | 송전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 |
JP6001355B2 (ja) | 非接触給電装置 | |
US20080051043A1 (en) | RF power transmission network and method | |
JP2011223739A (ja) |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 |
CN102484397A (zh) | 无线电力传输装置 | |
US20230369895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ring | |
Dai et al. | Reconfigurable receiver with adaptive output voltag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 |
KR102672310B1 (ko) | 무선 전력 송신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 |
KR20140142006A (ko) | 무선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Park et al. | The Study of the Controlling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