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924A -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6924A KR20160076924A KR1020140187559A KR20140187559A KR20160076924A KR 20160076924 A KR20160076924 A KR 20160076924A KR 1020140187559 A KR1020140187559 A KR 1020140187559A KR 20140187559 A KR20140187559 A KR 20140187559A KR 20160076924 A KR20160076924 A KR 201600769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dget
- job
- displayed
- button
- image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9—Print job monitoring, e.g. job st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the user being informed about print result after a job submiss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이용하여 카피 작업을 시작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설정값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 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 항목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이용하여 스캔 작업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설정값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 설정값이 표시되는 옵션 항목을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수행을 위한 위젯이 화상형성장치의 조작 패널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이용하여 스캔 작업을 시작하면, 작업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 미리보기로 보여주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작업 완료 후 표시된 미리보기를 통해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수행을 위한 위젯이 화상형성장치의 조작 패널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 표시된 안내 화면에 따라서 ID 카피 작업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에서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200: 제어부 1300: 저장부
1400: 스캔부 1500: 인쇄부
1600: 통신부
Claims (20)
- 위젯(widget)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작업의 시작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위젯에서, 상기 버튼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위젯에 작업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위젯은 초기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단계는,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작업의 시작을 위한 버튼을 작업의 중지를 위한 버튼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버튼에 상기 작업의 완료율(completion rate)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수행과 관련된 옵션 항목의 설정값을 표시하는 설정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 포함된 설정 표시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설정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상기 설정값의 변경을 위한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는 상기 작업의 수행과 관련된 옵션 항목들 중 미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수행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안내 화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작업인 경우,
상기 작업의 어느 하나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안내 화면에는 상기 작업의 다음 단계의 수행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상기 작업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미리보기 화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서 추가 작업의 수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GUI 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
상기 GUI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 패널을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 화면에 미리 결정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젯을 표시하고, 상기 위젯을 통해 작업 시작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작업 수행부에 작업 수행 명령을 전송하고 작업의 진행 상황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은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시작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작업의 시작을 위한 버튼을 작업의 중지를 위한 버튼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버튼에 상기 작업의 완료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수행과 관련된 옵션 항목의 설정값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에 표시된 설정값이 표시된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수행과 관련된 옵션 항목들 중 미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옵션 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의 수행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화면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작업이 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작업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어느 하나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작업의 다음 단계의 수행 방법을 안내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화면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위젯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미리보기 화면상에 추가 작업의 수행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559A KR102289808B1 (ko) | 2014-12-23 | 2014-12-23 |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US14/790,320 US10298786B2 (en) | 2014-12-23 | 2015-07-02 | Method for performing job by using widg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559A KR102289808B1 (ko) | 2014-12-23 | 2014-12-23 |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924A true KR20160076924A (ko) | 2016-07-01 |
KR102289808B1 KR102289808B1 (ko) | 2021-08-13 |
Family
ID=5613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7559A Expired - Fee Related KR102289808B1 (ko) | 2014-12-23 | 2014-12-23 |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298786B2 (ko) |
KR (1) | KR1022898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257510A1 (en) * | 2016-03-04 | 2017-09-07 | Ricoh Company,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
JP2018007008A (ja) * | 2016-07-01 | 2018-01-11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
CN114415893B (zh) * | 2022-01-25 | 2024-06-11 | Tcl通讯科技(成都)有限公司 |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0610A (ja) * | 2000-04-05 | 2001-10-19 | Seiko Epson Corp |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 |
US20080077620A1 (en) * | 2006-09-21 | 2008-03-27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US20110055720A1 (en) * | 2009-09-03 | 2011-03-03 | David Potter | Comprehensive user control system for therapeutic wellness devices |
KR20130040636A (ko) * | 2011-10-14 | 2013-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빠른 부팅을 위한 부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부트 이미지를 이용하여 빠른 부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
KR20130076426A (ko) * | 2011-12-28 | 2013-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옵션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
US20130290902A1 (en) * | 2010-12-30 | 2013-10-31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
KR20140028334A (ko) * | 2012-08-28 | 2014-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JP2014130576A (ja) * | 2012-11-28 | 2014-07-10 | Ricoh Co Ltd |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87132B2 (ja) * | 2008-10-10 | 2010-11-24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制御機器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11034137A (ja) * | 2009-07-29 | 2011-02-17 | Toshiba Corp | 分散処理装置及び分散処理方法 |
JP5192019B2 (ja) * | 2010-09-22 | 2013-05-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24620B2 (ja) * | 2013-09-11 | 2019-06-05 | 株式会社リコー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20150057341A (ko) * | 2013-11-19 | 2015-05-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US9887949B2 (en) * | 2014-05-31 | 2018-02-06 | Apple Inc. | Displaying interactive notifications on touch sensitive devices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7559A patent/KR10228980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7-02 US US14/790,320 patent/US1029878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0610A (ja) * | 2000-04-05 | 2001-10-19 | Seiko Epson Corp |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 |
US20080077620A1 (en) * | 2006-09-21 | 2008-03-27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US20110055720A1 (en) * | 2009-09-03 | 2011-03-03 | David Potter | Comprehensive user control system for therapeutic wellness devices |
US20130290902A1 (en) * | 2010-12-30 | 2013-10-31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
KR20130040636A (ko) * | 2011-10-14 | 2013-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빠른 부팅을 위한 부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부트 이미지를 이용하여 빠른 부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
KR20130076426A (ko) * | 2011-12-28 | 2013-07-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옵션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
KR20140028334A (ko) * | 2012-08-28 | 2014-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쇄 제어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JP2014130576A (ja) * | 2012-11-28 | 2014-07-10 | Ricoh Co Ltd |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9808B1 (ko) | 2021-08-13 |
US10298786B2 (en) | 2019-05-21 |
US20160182748A1 (en) | 2016-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1061B2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設定方法 | |
US90213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utput image including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4787779B2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方法 | |
JP4828338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US11647131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9363395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9325868B2 (en) | Image processor displaying plural function keys in scrollable state | |
JP2007160922A (ja) |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仕上がりデータ移動方法 | |
US20090237730A1 (en) | Printing control apparatus | |
JP5967376B2 (ja) |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
JP5494872B1 (ja) | 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8203439A (ja) | 画像処理装置、プレビュー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プログラム | |
US10511728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9195915B2 (en) |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hanging layout, and storage medium | |
KR102289808B1 (ko) | 위젯을 이용한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 |
JP5609450B2 (ja) | 表示制御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
JP5871606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20090002735A1 (en) |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 |
EP3865944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system | |
JP6237817B2 (ja) | 表示制御装置、サービ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18055697A (ja) |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5891856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6115666B2 (ja) | 表示制御装置、サービ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6242427B2 (ja) | 印刷装置、レイアウト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929985B2 (ja) | 表示制御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