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119787A -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787A
KR20150119787A KR1020140171962A KR20140171962A KR20150119787A KR 20150119787 A KR20150119787 A KR 20150119787A KR 1020140171962 A KR1020140171962 A KR 1020140171962A KR 20140171962 A KR20140171962 A KR 20140171962A KR 20150119787 A KR20150119787 A KR 2015011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operating
operating portion
movable portion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829B1 (ko
Inventor
히토시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11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01K89/0189Coaxial of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서밍(thumbing) 조작과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클러치 조작 부재에 있어서, 서밍 동작 중이어도, 순시에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클러치 조작 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동 릴(100)의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전동 릴(100)의 릴 본체(1)의 후부(後部)에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가동부(可動部)(50)와, 제1 조작부(52)를 구비한다. 가동부(50)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양단(兩端)이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되고,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가동부를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CLUTCH OPERATING APPARATUS FOR DUAL BEARING REEL}
본 발명은, 조작 부재, 특히,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의 후부에 클러치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부재를 가지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클러치 조작 부재에 있어서, 클러치 온 조작용의 제1 및 제2 조작부와, 클러치 오프 조작용의 제3 조작부를 가지는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클러치 조작 부재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온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제 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를 가진다.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는, 스풀의 양단(兩端)의 외주 측에 간격을 두고 만곡하여 배치된다.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는, 클러치 오프 조작용의 제3 조작부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클러치 조작 부재에 대체로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에서는, 릴을 잡는 손의 엄지손가락의 선단(先端)을 플랜지부에 접촉시켜 서밍(thumbing)을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조작부 및 제2 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을 엄지손가락의 선단에 의하여 압압(押壓)하여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963279호
종래의 클러치 조작 부재에서는, 서밍을 행할 때에, 엄지손가락의 선단을 제1 및 제2 조작부 중 어느 하나와 만곡하여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미끄러지게 하는 것만으로, 스풀의 플랜지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클러치 조작 부재에서는, 손가락을, 서밍하기 위하여, 만곡하여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조작부 혹은 제2 조작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으로, 다시, 미끄러지게 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조작 부재를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리는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서밍 동작 중이어도,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할 수 있는 클러치 조작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는,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의 후부에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는, 가동부(可動部)와, 제1 조작부를 구비한다. 가동부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작부는, 가동부에 양단이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되고,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가동부를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에서는,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여 낚싯줄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가동부를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제1 조작부를 조작하여 가동부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린다. 이 제1 조작부는, 가동부에 양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손가락(엄지손가락)을 제1 조작부에 댄 상태에서, 제1 조작부를 스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서밍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서밍 동작으로부터,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제1 조작부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제(線材製)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 선재를 도립(倒立)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그 양단을 가동부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작부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부를, 예를 들어 도금 가공 등의 장식(裝飾)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관상의 특징을 강조할 수도 있다.
릴 본체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가진다. 가동부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부가 양단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가동부가 좌우로 기울기 어려워진다.
제1 조작부의 길이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간격보다도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제1 조작부는 만곡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양 베어링 릴을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1 조작부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제1 조작부는, 가동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를 이용하지 않고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의 경우에는, 제1 조작부를 떼어낼 수 있어, 낚시꾼의 취향에 맞추어 제1 조작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부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로의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 또는 핸들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 등은, 제1 조작부를 떼어내도 무방하다.
제1 조작부는,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가동부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하고,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백래시(backlash)에 대처하기 쉬워진다.
클러치 조작 부재는 가동부에 설치되고,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부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조작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엄지손가락)을 제1 조작부에 댄 상태에서, 제1 조작부를 스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서밍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서밍 동작으로부터,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배면 단면도.
도 3은 클러치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양 베어링 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클러치 조작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상 절단면 VI에 의하여 절단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함께, 손으로 감는 릴로서 사용할 때의 전원을 내부에 가지는 소형의 전동 릴(100)이다. 또한, 전동 릴(100)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진다.
전동 릴(100)은, 릴 본체(1)와, 핸들(2)과, 채비의 수심을 표시 가능한 수심 표시부(4)와, 줄 감기용의 스풀(10)과, 클러치 조작 부재(11)와,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스풀 구동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6)를 구비한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릴 본체(1)의 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스풀(10)을 회전 구동한다. 클러치 기구(16)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프레임(7)과, 제1 측 커버(8a)와, 제2 측 커버(8b)를 구비한다. 프레임(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의 일체(一體) 형성된 부재이다. 프레임(7)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7c)를 가진다. 하부에 배치된 연결 부재(7c)에는, 낚싯대에 전동 릴(100)을 장착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7g)가 설치된다. 제2 측판(7b)은, 제1 측판(7a)과 좌우 방향(도 2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8a)는, 프레임(7)의 핸들(2) 장착 측을 덮는다. 제2 측 커버(8b)는, 프레임(7)의 핸들(2) 장착 측과 반대쪽을 덮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7a)은, 측판 본체(19a)와, 측판 본체(19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종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판(19b)을 가진다. 기구 장착판(19b)은, 측판 본체(19a)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측판 본체(19a)와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스풀 구동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6)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도 3 참조)가 설치된다.
제2 측판(7b)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이 통과 가능한 원형 개구(開口)(7f)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7f)에는, 스풀(10)의 스풀축(14)의 제1단(端)(도 2 좌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7)가 심출(芯出)되어 장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는, 제2 측판(7b)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에는, 스풀축(14)의 제1단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18a)이 수납된다.
제1 측 커버(8a) 및 제1 측판(7a)은, 핸들(2)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30)(도 3 참조)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측 커버(8b)는, 제2 측판(7b)의 외연부(外緣部)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된다.
핸들(2)은, 제1 측 커버(8a) 측에 설치되어 있다. 핸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선단에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가지고 있다.
<스풀>
스풀(10)은, 스풀축(1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4)은, 줄 감기 몸통부(10a)의 내주부에 압입(壓入) 등의 적의(適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1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에 있어서 제1 베어링(18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2단(도 2 우단)은, 제1 측 커버(8a)에 제2 베어링(18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스풀 고정 부분보다 제2 베어링(18b) 측에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클러치 핀(16a)이 직경 방향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 구동 기구>
스풀 구동 기구(13)는,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줄 감기 시에 스풀(10)에 드래그력을 발생시켜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한다. 덧붙여, 스풀 구동 기구(13)의 설명에서는, 모터로부터 스풀(10)로의 구동 기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와, 드래그 기구(23)와, 도시하지 않는 단(段)붙이 기어를 가지고 있다. 핸들(2)의 회전은, 구동축(30), 드래그 기구(23) 및 단붙이 기어를 통하여 중간 기어(61)에 전달된다. 이 중간 기어(61)에 피니언 기어(32)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 본체(19a)에 스풀축(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의하여 제어되어, 도 2에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도 도 2 우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스풀축(14)의 외주 측을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요크(41)에 계합(係合)하여 스풀축(14)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축(30)(도 3 참조)은, 도시하지 않는 원웨이 클러치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기구(23)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핀(16a)과, 피니언 기어(32)의 좌측 단면(端面)에 직경 방향을 따라 십자로 오목하게 형성된 클러치 오목부(16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스풀 구동 기구(13)를 구성한다. 피니언 기어(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클러치 온 위치에서는, 클러치 핀(16a)이 클러치 오목부(16b)에 계합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에 전달되고,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이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4)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는, 클러치 오목부(16b)가 클러치 핀(16a)으로부터 이반(離反)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스풀(10)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사이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요크(41)와, 클러치 플레이트(42)를 가진다. 클러치 캠(40)은, 스풀축(14) 둘레에 제1 위치(클러치 온의 위치)와 제2 위치(클러치 오프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한다.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캠(40)에 계합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연결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캠(40)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클러치 캠(40)은, 기구 장착판(19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 캠(40)은, 회동에 의하여 클러치 요크(41)를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캠부(40a)를 가진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 방향으로 클러치 오프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캠(40)의 캠부(40a)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도시하지 않음)와, 피니언 기어(32)에 계합하는 원호부(41a)를 가진다.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캠(4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스풀축 방향 외방(外方)(도 2 우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가 축 방향 외방(도 2 우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32)와 클러치 핀(16a)의 계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클러치 요크(41)는, 도 2에 도시하는 기구 장착판(19b)에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축(49)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요크(41)는, 가이드축(49)에 장착된 한 쌍의 코일 용수철(44)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를 향하여 압박된다. 따라서 클러치 캠(40)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오고, 피니언 기어(32)가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온다. 덧붙여, 클러치 캠(40)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 동작은,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후술하는 제1 조작부(52)를 이용한 조작, 또는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의 핸들(2)의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 동작하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60)의 동작에 의하여 실현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되돌림 기구(60)는, 클러치 캠(40)에 연결된 클러치 멈춤쇠(62)와,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래칫 휠(ratchet wheel)(64)에 의하여 구성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요동에 의하여 클러치 캠(4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꺾어 구부려 형성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캠(40)에 계합하는 계합부(42a)와, 계합부(42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향하여 꺾이는 장착부(42b)를 가진다. 계합부(42a)는, 클러치 캠(4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장착부(42b)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에, 예를 들어 나사 부재에 의하여 고정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적어도 클러치 오프 상태와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사이에서 릴 본체(1)의 후부에 낚싯대 장착부(7g)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스풀축(14)의 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도 낚싯대 장착부(7g)에 접근한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클러치 온 위치로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조작하면,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클러치 오프 위치로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조작하면,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제1 측판(7a)의 후부 및 제2 측판(7b)의 후부의 내측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이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은, 클러치 플레이트(42)의 장착부(42b)가 관통 또한 요동 가능한 원호상(圓弧狀)의 통과 구멍(43c)을 각각 가진다.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은, 폴리아세탈 등의 접동성(摺動性)이 높은 합성수지제의 부재이다.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은,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에 각각 별도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양 단부(端部)가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에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릴 본체(1)에 양단 지지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50)와, 제1 조작부(52)와, 제2 조작부(54)를 가진다. 가동부(50)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양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조작부(54)는 가동부(50)에 설치된다. 가동부(50)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부(50)는,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에 각각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면(50a) 및 제2 접촉면(50b)을 양 단부에 가진다. 또한, 가동부(50)는, 클러치 플레이트(42)의 장착부(42b)에 고정되는 직사각형 단면(斷面)의 관통 구멍(50c)을 가진다. 관통 구멍(50c)은, 제1 접촉면(50a)과 제2 접촉면(50b)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 구멍(50c)은, 클러치 플레이트(42)의 장착부(42b)의 두께 및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의 장착부(42b)는, 제1 접촉판(43a), 관통 구멍(50c), 및 제2 접촉판(43b)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것으로부터, 가동부(50)가 장착부(42b)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가동부(50)는, 양단이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에 의하여 끼어 장착부(42b)에 장착되어 있고,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가동부(50)의 상면(上面)에는, 중앙부가 약간 오목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된 제2 조작부(54)가 설치된다. 제2 조작부(54)는,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가동부(50)를 하방(下方)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양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가동부(50)를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제의 부재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부(52)는, 용수철 선재를 만곡시켜 형성된다. 제1 조작부(52)의 길이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간격보다도 길다. 제1 조작부(52)는, 예를 들어, 도립 U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배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하는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보다도 스풀(10)에 가까워진 서밍 가능한 요동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양단이 가동부(50)에 연결된다. 요동 위치는, 조작하는 손가락 끝(예를 들어 전동 릴(100)을 잡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의 손가락 끝)에 힘을 주어, 제1 조작부(52)를 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한, 제1 조작부(5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조작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로 축심(C) 둘레에 회동 가능하다. 축심(C)은, 후술하는 제1 환상(環狀) 홈(50d)의 원형의 저부(底部)의 중심을 통과하고, 스풀축(14)과 평행한 축심이다.
제1 조작부(52)를 회동 가능하게, 요동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가동부(50)의 제1 접촉면(50a) 및 제2 접촉면(50b)의 축 방향의 내측 부분에는, 제1 환상 홈(50d) 및 제2 환상 홈(50e)이 설치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환상 홈(50d) 및 제2 환상 홈(50e)은 저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홈이다. 제1 환상 홈(50d) 및 제2 환상 홈(50e)의 저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와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가 각각 형성된다.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는, 제1 조작부(52)를 조작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오목부이다.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는, 제2 조작부(54)를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오목부이다.
제1 조작부(52)의 양 단부에는, 제1 환상 홈(50d)에 계합하는 제1 취부부(取付部)(52a)와, 제2 환상 홈(50e)에 계합하는 제2 취부부(52b)가 형성된다. 제1 취부부(52a) 및 제2 취부부(52b)는, 원호상으로 대체로 180도를 넘는 범위(예를 들어 240도 정도의 범위)에서 만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취부부(52a) 및 제2 취부부(52b)의 선단부는 열려 있다.
제1 취부부(52a)의 선단부에는,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 및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에 계합하여 제1 조작부(52)를 조작 위치와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치 결정부(52c)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된다. 제2 취부부(52b)의 선단부에도,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 및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에 계합하여 제1 조작부(52)를 조작 위치와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된다. 덧붙여,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와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 및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를 양측이 아니라 편측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에 계합하면, 제1 조작부(52)는,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조작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에 계합하면, 제1 조작부(52)는,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제1 조작부(52)가 조작 위치에 배치되면, 전동 릴(100)을 잡는 손(예를 들어 오른쪽 핸들의 경우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의 손가락 끝으로 제1 조작부(52)의 만곡한 중간부(52e)(도 4 및 도 5 참조)를 요동 위치로 요동시켜 서밍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서밍 조작에 연속하여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양 베어링 릴의 조작>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릴(100)에서는, 낚시를 행할 때는, 낚시꾼은 낚싯대를 잡는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예를 들어 제2 조작부(54)를 눌러서 밑으로 내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스풀(10)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채비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하고, 채비를 물고기가 군집하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까지 내린다. 이 낚싯줄의 방출 시에, 스풀(10)에 대하여 서밍 조작을 행하는 경우, 제1 조작부(52)를 향하여 엄지손가락을 뻗는다. 그러면, 엄지손가락의 선단부가 제1 조작부(52)의 중간부(52e)에 접촉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손가락 끝에 힘을 주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작부(52)가 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조작부(52)를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요동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1 조작부(52)가 요동 위치로 요동하면, 제1 조작부(52)의 중간부(52e)가 스풀(10)에 접근한다. 이 결과, 제1 조작부(52)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선단부보다도 근원(根元) 측이 스풀(10)에 감긴 낚싯줄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도달하면, 서밍하고 있던 엄지손가락의 선단부로 제1 조작부(52)의 중간부(52e)를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서밍 동작으로부터,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다. 이 상태에서 어획물이 걸리면, 핸들(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을 감아올려 어획물을 낚아 올릴 수 있다.
또한, 백래시한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를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제1 조작부(5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에 위치 결정된 제1 조작부(52)의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제1 위치 결정 오목부(50f)로부터 빠진다. 그리고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에 도달하면, 탄성에 의하여 제1 위치 결정부(52c) 및 제2 위치 결정부(52d)가 제2 위치 결정 오목부(50g)에 계합하고, 개방 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이 개방 위치에서는, 스풀(10)의 줄 감기 부분에 방해인 부재가 없어지기 때문에, 스풀(10)을 액세스하기 쉬워지고, 백래시에 대처하기 쉬워진다. 나아가, 제1 조작부(52)를 이용하지 않는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를 떼어낼 수도 있다. 제1 조작부(52)를 떼어내는 경우는, 조작 위치에 배치된 제1 조작부(52)를 비스듬히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취부부(52a) 및 제2 취부부(52b)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제1 환상 홈(50d) 및 제2 환상 홈(50e)으로부터 제1 조작부(52)가 빠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부(52)를 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시키고 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심(C) 둘레에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작부(152)를 스풀(10)에 가까워지도록 한다. 도 7에 있어서, 가동부(150)는, 도시하지 않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환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취부 오목부(150h) 및 제2 취부 오목부(150i)를 가진다. 제1 취부 오목부(150h) 및 제2 취부 오목부(150i)에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으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계지(係止) 홈(150j) 및 제2 계지 홈(150k)이 형성된다.
제1 조작부(152)의 양 단부에는, 제1 취부 오목부(150h) 및 제2 취부 오목부(150i)에 장착되는 제1 취부부(152a) 및 제2 취부부(152b)가 형성된다. 제1 취부부(152a) 및 제2 취부부(152b)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태엽 용수철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취부부(152a) 및 제2 취부부(152b)는, 이중(二重)의 소용돌이 용수철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취부부(152a) 및 제2 취부부(152b)의 선단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꺾어 구부러져 형성된 제1 계지부(152c) 및 제2 계지부(152d)가 설치된다. 제1 계지부(152c)는, 제1 계지 홈(150j)에 의하여 계지되고, 제2 계지부(152d)는, 제2 계지 홈(150k)에 의하여 계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부(152)가, 휘어 요동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조작부(152)의 중간부(152e)에 손가락 끝으로 힘을 가하여 제1 조작부(152)를 스풀(10)에 가까이 하면, 제1 취부부(152a) 및 제2 취부부(152b)의 태엽 용수철이 늘어나 중간부(152e)가 실질적으로 축심(C) 둘레에 요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클러치 조작 부재(111)이어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으로 양단 지지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러치 조작 부재를 제1 측판 측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b)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스풀축(14) 둘레에 요동하였지만, 클러치 조작 부재는, 낚싯대 장착부(7g)와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면 어떻게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클러치 조작 부재를 스풀축과 다른 축 둘레에 요동시켜도 무방하고, 또한, 상하로 직선적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c)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제의 제1 조작부(52)를 개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제의 부재에 의하여 제1 조작부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탄성을 가지지 않는 금속 또는 비금속에 의하여 제1 조작부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탄성 부재를 따로 설치하여 탄성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d)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양 베어링 릴로서 전동 릴(100)을 예시하였지만, 통상의 손으로 감는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e)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부(52)를 가동부(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조작부를 가동부에 대하여 착탈 불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f)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조작부(52)를 조작 위치와 개방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회동 불가능하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전동 릴(100)의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전동 릴(100)의 릴 본체(1)의 후부에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가동부(50)와, 제1 조작부(52)를 구비한다. 가동부(50)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양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가동부(50)를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전동 릴(100)의 클러치 조작 부재(11)에서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여 낚싯줄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가동부(50)를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릴 때에는, 제1 조작부(52)를 조작하여 가동부(50)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린다. 이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양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손가락(엄지손가락)을 제1 조작부(52)에 댄 상태에서, 제1 조작부(52)를 스풀(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시켜 서밍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서밍 동작으로부터, 클러치 되돌림 조작을 순시에 행할 수 있도록 된다.
(B) 제1 조작부(52)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제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금속 선재를 도립 U자 형상으로 만곡시키고, 그 양단을 가동부(5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조작부(52)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부(52)를, 예를 들어 도금 가공 등의 장식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외관상의 특징을 강조할 수도 있다.
(C) 릴 본체(1)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을 가진다. 가동부(50)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부(50)가 양단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가동부(50)가 좌우로 기울기 어려워진다.
(D) 제1 조작부(52)의 길이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간격보다도 길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E) 제1 조작부(52)는 만곡하여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전동 릴(100)을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1 조작부(52)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F) 제1 조작부(52)는, 가동부(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를 이용하지 않고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의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를 떼어낼 수 있어, 낚시꾼의 취향에 맞추어 제1 조작부(52)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부(50)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로의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 또는 핸들(2)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행하는 낚시꾼 등은, 제1 조작부를 떼어내도 무방하다.
(G) 제1 조작부(52)는,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가동부(5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조작부(52)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온 조작을 행하고, 후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백래시에 대처하기 쉬워진다.
(H)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가동부(50)에 설치되고,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54)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조작부(54)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조작하기 쉬워진다.
1: 릴 본체
2: 핸들
7a: 제1 측판
7b: 제2 측판
11: 클러치 조작 부재
16: 클러치 기구
50: 가동부
52: 제1 조작부
54: 제2 조작부

Claims (8)

  1.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이고,
    상기 클러치 기구를 상기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 상기 클러치 온 상태로 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可動部)와,
    상기 가동부에 양단(兩端)이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클러치 온 위치로 상기 가동부를 되돌리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 조작부
    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제(線材製)인,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가지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의 간격보다도 긴,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만곡하여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가동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상기 클러치 오프 위치로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KR1020140171962A 2014-04-16 2014-12-03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Active KR102329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4915 2014-04-16
JP2014084915A JP6368525B2 (ja) 2014-04-16 2014-04-16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787A true KR20150119787A (ko) 2015-10-26
KR102329829B1 KR102329829B1 (ko) 2021-11-22

Family

ID=5432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62A Active KR102329829B1 (ko) 2014-04-16 2014-12-03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1838B2 (ko)
JP (1) JP6368525B2 (ko)
KR (1) KR102329829B1 (ko)
CN (1) CN105028358B (ko)
MY (1) MY183972A (ko)
TW (1) TWI6328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3120B1 (ko) * 2024-02-07 2024-11-25 최희영 손가락 보호 덮개를 구비한 낚시용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24116B2 (ja) * 2017-10-25 2021-08-25 株式会社シマノ クラッチ操作部及び両軸受リール
JP7082868B2 (ja) * 2017-11-07 2022-06-0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65598B2 (ja) * 2017-12-27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37952B2 (ja) * 2018-03-29 2022-09-15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122167B2 (ja) * 2018-06-11 2022-08-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JP7709406B2 (ja) * 2022-04-27 2025-07-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7709405B2 (ja) * 2022-04-27 2025-07-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532A (ja) * 1985-04-18 1986-10-28 株式会社 オリムピツク 両軸受リ−ル
JPH08112051A (ja) * 1994-10-17 1996-05-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8000065A (ja) * 2006-06-22 2008-01-1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9247291A (ja) * 2008-04-08 2009-10-2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963279B2 (ja) 2007-08-06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5135U (ja) * 1981-12-04 1983-06-09 株式会社東芝 換気扇等のグリル取付装置
JPS59192031A (ja) * 1983-04-13 1984-10-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クラツチ操作兼サミング指当て装置
JPS6094048A (ja) * 1983-10-28 1985-05-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クラツチ着脱装置
JPH0246294Y2 (ko) * 1985-02-15 1990-12-06
US5222995A (en) * 1988-12-09 1993-06-29 Shimano, Inc. Fishing reel with seesaw operating clutch control member
JPH073860Y2 (ja) * 1989-07-11 1995-02-01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繰出し装置
US5228639A (en) * 1990-12-19 1993-07-20 Shimano, Inc. Fishing reel with clutch control member
JP2966583B2 (ja) * 1991-06-27 1999-10-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563276U (ja) * 1992-02-06 1993-08-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US5996919A (en) * 1994-08-23 1999-12-0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balance and ergonomic properties
JP3031909U (ja) * 1996-05-31 1996-12-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2002084936A (ja) * 2000-09-18 2002-03-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7159427A (ja) * 2005-12-09 2007-06-28 Shimano Inc 釣り用部品
JP5746841B2 (ja) * 2010-09-22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4981958B2 (ja) * 2010-09-29 2012-07-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532A (ja) * 1985-04-18 1986-10-28 株式会社 オリムピツク 両軸受リ−ル
JPH08112051A (ja) * 1994-10-17 1996-05-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8000065A (ja) * 2006-06-22 2008-01-10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4963279B2 (ja) 2007-08-06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2009247291A (ja) * 2008-04-08 2009-10-2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3120B1 (ko) * 2024-02-07 2024-11-25 최희영 손가락 보호 덮개를 구비한 낚시용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8358B (zh) 2019-12-20
JP6368525B2 (ja) 2018-08-01
JP2015202101A (ja) 2015-11-16
KR102329829B1 (ko) 2021-11-22
CN105028358A (zh) 2015-11-11
MY183972A (en) 2021-03-17
TW201540181A (zh) 2015-11-01
US20150296762A1 (en) 2015-10-22
TWI632851B (zh) 2018-08-21
US9591838B2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9787A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JP2015202101A5 (ko)
KR10118829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JP617755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JP2014176360A5 (ko)
US10470448B2 (en) Dual-bearing reel
KR20150146382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KR102138734B1 (ko) 양 베어링 릴
JP6284306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20180036518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및 양 베어링 릴
JP2014217341A5 (ko)
JP2014212739A5 (ko)
JP5855954B2 (ja) 両軸受リール
KR101946285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JP2013153659A5 (ko)
JP2011177154A (ja) 魚釣用リール
JP2011024527A (ja) 魚釣用リール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103070U (ja) 両軸受けリール
JP3840017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6748598B2 (ja) 発音機構を備えた両軸受型リール
JP6389689B2 (ja) 両軸受リール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JP2020099254A (ja) 魚釣用リール
JPH0668450U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