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304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043A
KR20150013043A KR1020140093059A KR20140093059A KR20150013043A KR 20150013043 A KR20150013043 A KR 20150013043A KR 1020140093059 A KR1020140093059 A KR 1020140093059A KR 20140093059 A KR20140093059 A KR 20140093059A KR 20150013043 A KR20150013043 A KR 2015001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backlash preventing
backlash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657B1 (ko
Inventor
미츠노리 기타지마
시게토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6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걸림 위치에 장착된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측 커넥터(F)(커넥터)는, 하우징(10)에 대하여 단자 금구(50)의 삽입 동작을 허용하는 부분 걸림 위치와, 삽입이 완료된 단자 금구(50)에 걸어 고정하여 단자 금구(50)의 빠짐을 방지하는 완전 걸림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30)와, 리테이너(30) 중 하우징(10)에의 삽입 방향 후단부를 구성하며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장착 구멍(14)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33)와, 기단부(33)와 하우징(10)에 형성되며,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제1 백래시 방지면(21), 제2 백래시 방지면(22),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 내에 단자 금구를 삽입하고, 하우징 내의 장착 구멍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의해 단자 금구의 빠짐을 방지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단자 금구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며, 하우징에 대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허용하는 부분 걸림 위치와, 삽입이 완료된 단자 금구에 걸어 고정하는 완전 걸림 위치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는, 완전 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 기단부의 외면과, 하우징의 장착 구멍의 내면에, 서로 감합(嵌合)되는 감합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23078호 공보
상기 감합 수단은, 리테이너가 완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백래시(backlash) 방지 기능을 발휘하지만,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백래시 방지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 즉, 하우징에 단자 금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하여, 리테이너의 일부가 단자 수용실에 있어서의 단자 금구의 삽입 경로로 진출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단자 금구가 리테이너의 진출 부분과 간섭하여, 단자 금구의 원활한 삽입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부분 걸림 위치에 장착된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허용하는 부분 걸림 위치와, 삽입이 완료된 상기 단자 금구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단자 금구의 빠짐을 방지하는 완전 걸림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 중 상기 하우징에의 삽입 방향 후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장착 구멍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백래시 방지부끼리 접촉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리테이너의 상대 변위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의 상대 변위에 기인하여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리테이너가 완전 걸림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리테이너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리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리테이너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우측면도이다.
(1)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함으로써 감합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측의 상기 백래시 방지부가, 상기 가이드 리브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리브가 백래시 방지부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가 백래시 방지의 기능을 갖지 않는 것에 비하면, 하우징의 형상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 선단측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과 대략 평행한 미끄럼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미끄럼 접촉부가 접촉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미끄럼 접촉부와 가이드부가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의 기울어짐이 방지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암측 커넥터(F)(청구항에 기재된 커넥터)의 감합 대상인 상대측 커넥터(M)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부(60)를 갖는 수형의 커넥터이다. 후드부(60)를 구성하는 좌우 양측벽부의 내면에는 각각 양 커넥터(M, F)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가이드홈(61)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암측 커넥터(F)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10)과, 복수의 단자 금구(50)와, 합성 수지제의 리테이너(30)를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씩의 가이드 리브(1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11)는, 전후 방향[암측 커넥터(F)와 상대측 커넥터(M)의 감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암측 커넥터(F)와 상대측 커넥터(M)의 감합 과정에서는, 가이드 리브(11)가 가이드홈(61)에 감합됨으로써, 양 커넥터(M, F)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12)이 상하 2단으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수용실(12) 내에는, 각각 하우징(10)의 후방(도 3에서의 우측)으로부터 단자 금구(50)가 삽입되고 랜스(lance; 13)의 걸림 작용에 의해 빠짐 방지된다. 또한, 단자 수용실(12)에 삽입된 단자 금구(50)는, 후술하는 리테이너(30)의 걸림 작용에 의해서도 빠짐 방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그 좌우 양측면에 개구되는 장착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장착 구멍(14)의 개구 영역은, 하우징(10)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장착 구멍(14)의 개구 영역보다도 크다. 장착 구멍(14)에는, 하우징(10)의 우측으로부터 리테이너(30)가 장착되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수용된 리테이너(30)는, 부분 걸림 위치(도 4 및 도 5를 참조)와 완전 걸림 위치(도 1 및 도 2를 참조)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4)은, 상하 양단부가 단자 수용실(12)에 연통(連通)된 제1 실(室; 15)과, 제1 실(15)보다도 높이 위치하며 치수가 작은 제2 실(16)과, 제2 실(16)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제3 실(1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실(15)은,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까지 연통되어 있다. 제1 실(15)의 단면 형상, 즉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세로로 긴 사각형이다. 제1 실(15) 내에는, 리테이너(30)의 본체부(31)와 빠짐 방지부(32)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15)의 상단은 상측의 가이드 리브(11)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고, 제1 실(15)의 하단은 하측의 가이드 리브(11)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우측면에 있어서는, 상하 양 가이드 리브(11)가, 제1 실(15)을 경계로 하여 전방부 리브(11F)와 후방부 리브(11R)로 분단되어 있다. 전방부 리브(11F)의 후단면은, 제1 실(15)의 전면(前面)과 동일 평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다. 후방부 리브(11R)의 전단면은, 제1 실(15)의 후면과 동일 평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16)은, 제1 실(15)의 후면에 연통되며,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2 실(16)의 우단은 하우징(10)의 우측면에 개구되며, 제2 실(16)의 좌단은, 하우징(10)의 외벽부로 폐색되어 있다. 제2 실(16)의 단면 형상, 즉 하우징(10)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개구 형상은 세로로 긴 사각형이다. 제1 실(15)의 높이 방향 중심과 제2 실(16)의 높이 방향 중심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제2 실(16)의 상면은, 상단의 단자 수용실(12)의 저벽부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실(16)의 하면은, 하단의 단자 수용실(12)의 상벽부에 의해 구성된다.
이 제2 실(16)의 상면 및 하면 중 우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은,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18)로서 기능한다. 가이드부(18)는, 좌우 방향[즉,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16)에는, 리테이너(30)의 미끄럼 접촉부(37)가 가이드부(18)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17)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영역은, 하우징(10)의 우측의 단부로만 한정되어 있다. 제3 실(17)은 제2 실(16)의 후면에 연통되어 있다. 제3 실(17)의 우단부는, 하우징(10)의 우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3 실(17) 내에는, 리테이너(30)의 조작부(34)와 탄성 로크편(elastic lock piece; 36)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3 실(17)의 상면 및 하면 중 우단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각각 좌우로 간격을 둔 한 쌍씩의 걸림 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14)의 우단부의 내면에는, 부분 걸림 위치 및 완전 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제1 백래시 방지면(21)(청구항에 기재된 백래시 방지부)과, 부분 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제2 백래시 방지면(22)(청구항에 기재된 백래시 방지부)과, 완전 걸림 위치에 있는 리테이너(30)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한 제3 백래시 방지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16)의 우단부의 상면과 제3 실(17)의 우단부의 상면은, 상측의 후방부 리브(11R)의 하면에 대하여 동일 평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고, 제2 실(16)의 우단부의 하면과 제3 실(17)의 우단부의 하면은, 하측의 후방부 리브(11R)의 상면에 대하여 동일 평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다. 그리고, 제2 실(16)의 우단부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후방부 리브(11R)의 하면에 걸친 영역과, 제2 실(16)의 우단부에 있어서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의 후방부 리브(11R)의 상면에 걸친 영역은,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면(21)으로서 기능한다.
제1 실(15)의 전면에 있어서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그 우단부에 있어서 상하 양 전방부 리브(11F)의 후단면과 동일 평면 형상으로 연속해 있다. 제1 실(15)의 전면의 상하 양단부 중 우단부는, 후방에 면하는 상하 한 쌍의 제2 백래시 방지면(22)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실(15)의 우단부에 있어서의 상면 및 하면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백래시 방지면(23)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3 실(17)의 우단부에 있어서의 후면은, 제2 백래시 방지면(22)과 전후로 대향하는 제4 백래시 방지면(24)으로서 기능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는,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이하, 「장착 방향」이라고 함)과 평행한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본체부(31)를 갖고 있다. 본체부(3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빠짐 방지부(32)가, 단자 수용실(12)과 대응하도록 좌우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의 하면에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빠짐 방지부(32)가, 단자 수용실(12)과 대응하도록 좌우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0) 중 하우징(10)에의 장착 방향 후단부는, 장착 조작 등을 행할 때에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기단부(33)로 되어 있다. 이 기단부(33)에는, 본체부(31)의 우단부로부터 후방[즉,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의 조작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34)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며, 조작부(34)의 우측면은 리테이너(30)를 하우징(10)에 장착할 때에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기 위한 평탄한 조작면(35)으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는, 리테이너(30)를 하우징(10)에 대하여 장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수단(lock means)으로서, 상하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탄성 로크편(36)이 배치되어 있다. 탄성 로크편(36)은, 조작부(34)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리테이너(30)에 있어서의 장착 방향 선단측의 영역에는, 상하 한 쌍의 미끄럼 접촉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부(37)는, 본체부(3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좌우 방향[즉,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미끄럼 접촉부(37)의 형성 영역은, 리테이너(30)[본체부(31)]의 좌단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리테이너(30)[본체부(31)]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이르는 범위이다. 미끄럼 접촉부(37)의 본체부(31)로부터의 연장 방향은, 조작부(34)의 본체부(31)로부터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는,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청구항에 기재된 백래시 방지부)와,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청구항에 기재된 백래시 방지부)와, 제3 백래시 방지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는, 조작부(34) 중 본체부(31)에 가장 가까운 전단부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는, 서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는, 본체부(31)의 전면에 있어서의 우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는, 모두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의 우단부에는, 상하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판 형상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의 판 형상 돌출부(44)의 상면과 하측의 판 형상 돌출부(44)의 하면에, 한 쌍의 제3 백래시 방지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백래시 방지 돌기(43)의 돌출 방향은,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와 마찬가지로, 서로 상하 반대 방향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우징(10)에 단자 금구(50)를 장착할 때에는, 미리 리테이너(30)를 하우징(10)에 장착하여 부분 걸림 위치에 유지해 둔다. 장착 시에는, 본체부(31)의 좌단부를 앞으로 향하게 하여, 하우징(10)의 우측으로부터 리테이너(30)를 장착 구멍(14) 내에 삽입한다. 이때, 본체부(31)와 빠짐 방지부(32)를 제1 실(15)에 끼워 넣고, 상하 한 쌍의 미끄럼 접촉부(37)를 제2 실(16)에 끼워 넣는다.
그리고, 조작면(35)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리테이너(30)의 장착 공정을 진행시켜 간다. 리테이너(30)의 장착 과정에서, 상측의 미끄럼 접촉부(37)가 상측의 가이드부(18)에 미끄럼 접촉하고, 하측의 미끄럼 접촉부(37)가 하측의 가이드부(18)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리테이너(30)는, 하우징(10)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 및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테이너(30)는, 바른 자세를 유지한 채로 평행 이동한다.
리테이너(30)의 장착이 진행되면, 조작부(34)와 탄성 로크편(36)이 제3 실(17)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가까워지면, 상하의 양 탄성 로크편(36)이, 걸림 돌기(19)와 간섭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도달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탄성 로크편(36)이 탄성 복귀하여 좌우로 인접하는 걸림 돌기(19) 사이에 감합된다. 이 걸림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30)는, 부분 걸림 위치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억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는 장착 구멍(14)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부(32)가 단자 금구(50)에 대하여 우측으로 떨어진 비대응 위치에 있다. 따라서, 각 단자 수용실(12)에 단자 금구(5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는, 상측의 단자 수용실(12)과 하측의 단자 수용실(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데, 만약에 리테이너(30)가 상하 방향으로 백래시를 일으킨 경우에는, 본체부(31)의 일부가 단자 수용실(12) 내에 진출하여 삽입 과정의 단자 금구(50)와 간섭하는 것이 염려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의 리테이너(30)의 상하 방향으로의 백래시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 있어서, 리테이너(30)에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를, 하우징(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면(21)에 대하여 상하로 떠받치도록 압박 상태로 접촉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의 미끄럼 접촉부(37)를, 하우징(10)의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18) 사이에 감합시키는 구조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접촉 구조와 감합 구조에 의해, 부분 걸림 위치의 리테이너(30)가 상하로 백래시를 일으키거나 상하로 기울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리테이너(30)의 상하의 백래시에 기인하여 단자 금구(50)의 삽입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또한,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 있어서, 리테이너(30)의 전면의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가, 하우징(10)의 제2 백래시 방지면(22)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압박 상태로 접촉하고, 리테이너(30)의 조작부(34)의 후단면이 하우징(10)의 제4 백래시 방지면(24)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압박 상태로 접촉한다. 또한,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 선단측(좌단측)에서는, 본체부(31)의 전면과 후면이, 제1 실(15)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한다. 이들의 접촉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30)는, 하우징(10)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억제된다. 한편, 제3 백래시 방지 돌기(43)는, 장착 구멍(14)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3 백래시 방지면(23)에 대하여 우측으로 떨어진 비대응 위치에 있다.
모든 단자 수용실(12)에 단자 금구(50)를 삽입한 후에는, 걸림 돌기(19)와 로크 돌기의 걸림력을 상회하는 누름 조작력을 조작면(35)에 부여한다. 그러면, 탄성 로크편(36)이 탄성 변형하여, 리테이너(30)는 부분 걸림 위치로부터 완전 걸림 위치로 이동한다. 리테이너(30)가 완전 걸림 위치로 이동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로크편(36)이 좌측의 걸림 돌기(19)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걸려 고정되고, 이 걸림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30)가 완전 걸림 위치에 유지된다. 리테이너(30)가 완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빠짐 방지부(32)가 단자 금구(50)의 각통부(角筒部; 51)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걸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 걸림 작용에 의해, 단자 금구(50)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단자 금구(50)는, 랜스(13)에 의한 일차 걸림 작용과, 리테이너(30)에 의한 이차 걸림 작용에 의해, 확실히 빠짐 방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로부터 완전 걸림 위치로 이동할 때에도, 미끄럼 접촉부(37)가 가이드부(18)에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리테이너(30)의 상하로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리테이너(30)가 완전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부분 걸림 위치일 때와 마찬가지로,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 있어서, 상하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가 한 쌍의 제1 백래시 방지면(21)에 대하여 상하로 떠받치도록 압박 상태로 접촉하기 때문에,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백래시가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에서는, 리테이너(30)에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제3 백래시 방지 돌기(43)가, 하우징(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백래시 방지면(23)에 대하여 상하로 떠받치도록 압박 상태로 접촉한다. 이들의 압박 상태의 접촉 작용에 의해,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의 상하 방향으로의 백래시가 억제된다. 또한, 미끄럼 접촉부(37)와 가이드부(18)의 접촉에 의해, 리테이너(30)의 장착 방향 선단측의 상하 방향으로의 백래시도 억제된다. 또한,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는, 제2 백래시 방지면(22)으로부터 떨어진다.
본 실시예의 암측 커넥터(F)는, 하우징(10)에 대하여, 단자 금구(50)의 삽입 동작을 허용하는 부분 걸림 위치와, 삽입이 완료된 단자 금구(50)에 걸어 고정하여 단자 금구(50)의 빠짐을 방지하는 완전 걸림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30)를 갖는다. 리테이너(30) 중 하우징(10)에의 삽입 방향 후단부는,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장착 구멍(14)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33)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30)의 기단부(33)와 하우징(10)에는,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 백래시 방지부[제1 백래시 방지면(21), 제2 백래시 방지면(22),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리테이너(30)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백래시 방지 돌기(41)와 제2 백래시 방지 돌기(42)가, 각각 제1 백래시 방지면(21)과 제2 백래시 방지면(22)에 접촉함으로써, 하우징(10)에 대한 리테이너(30)의 상대 변위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30)의 상대 변위에 기인하여 단자 금구(50)의 삽입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상대측 커넥터(M)와 감합함으로써 감합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리브(1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측의 제1 백래시 방지면(21)이 가이드 리브(11)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리브(11)가 제1 백래시 방지면(21)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11)가 백래시 방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지 않는 것에 비하면, 하우징(10)의 형상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리브가 백래시 방지부(제1 백래시 방지면)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하였으나, 가이드 리브가 백래시 방지부의 기능을 겸비하지 않는 형태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 선단측에 형성된 미끄럼 접촉부를, 하우징의 가이드부에 미끄럼 접촉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미끄럼 접촉부와 가이드부의 미끄럼 접촉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해도 좋다.
F: 암측 커넥터(커넥터) M: 상대측 커넥터
10: 하우징 11: 가이드 리브
14: 장착 구멍 18: 가이드부
21: 제1 백래시 방지면(하우징의 백래시 방지부)
22: 제2 백래시 방지면(하우징의 백래시 방지부)
30: 리테이너 33: 리테이너의 기단부
37: 미끄럼 접촉부
41: 제1 백래시 방지 돌기(리테이너의 백래시 방지부)
42: 제2 백래시 방지 돌기(리테이너의 백래시 방지부)
50: 단자 금구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을 허용하는 부분 걸림 위치와, 삽입이 완료된 상기 단자 금구에 걸어 고정하여 상기 단자 금구의 빠짐을 방지하는 완전 걸림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 중 상기 하우징에의 삽입 방향 후단부를 구성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장착 구멍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 백래시(backlash)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嵌合)함으로써 감합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측의 상기 백래시 방지부가 상기 가이드 리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삽입 방향 선단측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과 평행한 미끄럼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장착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부분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미끄럼 접촉부가 접촉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093059A 2013-07-26 2014-07-23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595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55980 2013-07-26
JP2013155980A JP6124134B2 (ja) 2013-07-26 2013-07-2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43A true KR20150013043A (ko) 2015-02-04
KR101595657B1 KR101595657B1 (ko) 2016-02-18

Family

ID=5233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5657B1 (ko) 2013-07-26 2014-07-23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7773B2 (ko)
JP (1) JP6124134B2 (ko)
KR (1) KR101595657B1 (ko)
CN (1) CN104348031B (ko)
FR (1) FR3009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316B2 (ja) * 2013-08-28 2015-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19201A (ja) * 2015-05-19 2016-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51248B2 (ja) * 2016-01-29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01242B2 (ja) * 2016-01-29 2019-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3592B2 (ja) * 2016-02-25 2017-10-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70446B2 (ja) * 2016-06-15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667107B2 (ja) 2016-06-15 2020-03-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431883B2 (ja) * 2016-10-11 2018-11-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063848B2 (ja) * 2019-06-04 2022-05-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JP7352184B2 (ja) * 2020-02-20 2023-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61251B6 (ja) * 2021-03-03 2023-05-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32A (ja) * 1999-04-22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87895A (ja) * 2001-12-19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23078A (ja) 2003-10-17 2005-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5440B2 (ja) * 1997-08-22 200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388154B2 (ja) * 1997-10-01 2003-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1239548B1 (en) * 2001-03-09 2007-05-0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Retainer for connector
JP3755431B2 (ja) * 2001-06-22 2006-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415140B1 (ja) * 2002-07-04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320665B4 (de) * 2002-05-23 2008-11-1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JP3960431B2 (ja) * 2003-10-16 2007-08-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238746B2 (ja) * 2004-03-09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7602B2 (ja) * 2008-04-23 2013-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08516A (ja) * 2011-06-23 2013-01-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32A (ja) * 1999-04-22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3187895A (ja) * 2001-12-19 2003-07-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5123078A (ja) 2003-10-17 2005-05-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031B (zh) 2017-01-11
JP6124134B2 (ja) 2017-05-10
US9257773B2 (en) 2016-02-09
KR101595657B1 (ko) 2016-02-18
FR3009137A1 (fr) 2015-01-30
CN104348031A (zh) 2015-02-11
US20150031250A1 (en) 2015-01-29
JP2015026538A (ja) 2015-02-05
FR3009137B1 (fr)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657B1 (ko) 커넥터
JP5810980B2 (ja) コネクタ
US9231342B2 (en) Connector
KR101652162B1 (ko) 커넥터
JP200625301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3187117A (ja) コネクタ
JP2013214495A (ja) コネクタ
JP2005216813A (ja) 分割コネクタ
JP6176544B2 (ja) 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US10903604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that restricts excessive deflection of the lock arm
KR101048462B1 (ko) 커넥터
JP2005216810A (ja) コネクタ
JP6852812B2 (ja) コネクタ
KR20190105500A (ko) 커넥터
JP2007012352A (ja) コネクタ
JP5125410B2 (ja) コネクタ
CN111355102B (zh) 连接器
JP4737543B2 (ja) コネクタ
JP2005141985A (ja) コネクタ
KR20200051491A (ko) 슈라우드 래치용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5565184B2 (ja) コネクタ
JP7178879B2 (ja) コネクタ
JP2009259686A (ja) コネクタ
JP200620253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