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5546A - 자수기 - Google Patents

자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546A
KR20140145546A KR20140063759A KR20140063759A KR20140145546A KR 20140145546 A KR20140145546 A KR 20140145546A KR 20140063759 A KR20140063759 A KR 20140063759A KR 20140063759 A KR20140063759 A KR 20140063759A KR 20140145546 A KR20140145546 A KR 20140145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cloth
groove
presser plate
cloth pres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6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마츠다
Original Assignee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54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20Movement of the base fabric controlled by the presser feet; Driving arrangement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수기는,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의 양쪽 동작을 1개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자수기에 있어서, 조절판(34)은 액추에이터(2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플랜지(33) 선단면의 편심 핀(36)의 180도 내의 회전으로 거리 a 내에서 상하 위치를 규제한다. 조절판(34)의 L자 홈(43)에 끼움 삽입되는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베어링(51a)은, 자수 실행 중에는 수평 홈(43c)에 결합되어 천 누름판(19)의 하한 위치를 거리 a 내에서 규제한다. 다른 색 실로 전환할 때에는 침봉 구동부(45)는 침봉(18)을 정지시켜 최상 위치로 이동하고,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베어링(51a)도 수평 홈(43c)으로부터 수직 홈(43a)으로 이동하여, 천 누름 구동부(46), 즉 천 누름판(19)과 함께 최상 위치(57)로 끌어올려진다. 액추에이터(23)가 구동되고 훅(28a)이 자수면으로부터 거리 b 상승한 천 누름판(19)의 하방으로 들어가 절단된 윗실을 걸어낸다.

Description

자수기{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을 행하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두기 또는 단두기를 구비한 자수기가 알려져 있다. 자수기에는 아암부와 헤드부가 일체인 것, 또는 별체인 것을 착탈 가능하게 합체시키고 있는 것 등이 있다.
어느 쪽이든, 아암부의 구동계에서 생성되는 상하 구동력에 의해, 헤드부의 침봉, 천 누름판, 실채기 등의 동작을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천 누름판의 상하 이동의 기본 동작은 주축 캠으로부터의 구동 전달에 의해 행해지지만,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하사점 위치)를 자수 대상의 가공 천의 두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미세 조정의 동작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06088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422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06088호 공보는, 다두식 자수기의 복수대의 재봉틀 헤드에 천 누름발(천 누름판)의 하사점 위치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를 설치하고, 각 조정 기구를 연결 축에 의해 연결하고, 연결 축을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42271호 공보는, 봉제 속도에 추종하여 승강하는 천 누르개의 하사점 위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주축의 회전 운동을 천 누름봉의 승강 운동으로 변환하는 승강 기구에 대해 천 누르개의 하사점 위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기구를 설치하고, 그 조절 기구를 스텝핑 모터에 의해 조정 구동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수기는, 작업복에 이름을 넣는 자수와 같이 단색의 실로 자수하는 것은 별개로 하고 일반적으로는, 자수의 모양에 맞추어 다색의 실이 사용된다. 따라서, 재봉틀 헤드에는 자수에 사용하는 실의 색수에 맞춘 수의 침봉이 장착되어 있다.
종래, 색실을 전환할 때에는, 선행하는 윗실을 바늘 구멍으로부터 수 센티미터를 남기고 절단하고, 그 상태에서 재봉틀 아암이 다음 색실의 침봉을 선택하여 자수를 속행한다.
따라서, 자수가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서, 선행하는 절단되어 있었던 윗실이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 다시 그 색실로 자수를 계속하려고 하였을 때, 헛바느질이 발생하여, 그 자수가 불량품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단한 윗실의 단부를,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다음번의 사용시까지 적절한 위치에 눌러놓거나 또는 잘 보관해 둘 필요가 있지만, 그 눌러놓음 또는 보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가 별도로 필요해진다.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하사점 위치)의 조정과, 절단된 윗실의 누름에, 각각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있었던 것에서는, 재봉틀 아암측의 장치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전동 액추에이터는 고가이므로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의 양쪽 동작을 1개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행하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수기는,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의 높이를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자수기에 있어서, 전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동력이 전달 기구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면에 설치된 편심 핀과, 상기 편심 핀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핀의 회전에 따라서 소정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일면에, 수직 홈, 둥근 코너 홈, 수평 홈이 연속하여 형성된 L자 홈과, 침봉 구동부를 지지점으로 천 누름 구동부에 링크하는 링크 롤러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L자 홈에 끼워 넣고, 자수 재봉 실행시에는 상기 수평 홈의 부분을 왕복하여 상기 조절판의 상하 위치에 추종하고, 자수 재봉 비실행시에는 상기 수직 홈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링크 롤러의 상하 위치에 추종하는 천 누름판 구동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해 상기 침봉 구동부의 상기 링크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천 누름판의 상하 이동 하한 위치를 상기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른 높이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자수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로부터 상기 전달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진퇴하는 훅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천 누름판은, 상기 천 누름판 구동 롤러가 상기 자수 재봉 비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L자 홈의 상기 수직 홈의 부분에 있을 때, 상기 편심 핀의 회전과 상기 조절판의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침봉 선단의 바늘과 함께 자수 재봉에 필요한 상한 위치보다도 위의 위치에 있고, 상기 훅 기구의 훅은, 상기 바늘의 윗실의 절단 후의 상기 바늘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상기 윗실을 걸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자수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는, 펄스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므로, 선행하는 절단되어 있었던 윗실이 바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 다시 그 색실로 자수를 계속하려고 하였을 때 헛바느질이 발생하여 자수가 불량품으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해소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의 양쪽 동작을 1개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행하므로, 서로 다른 2개의 동작을 위해 2개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라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자수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자수기의 재봉틀 아암의 일부와 이 재봉틀 아암과 결합되는 재봉틀 헤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자수기의 재봉틀 아암과 재봉틀 헤드의 주요부만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재봉틀 아암의 침봉부 구동부를 좌측으로 90도 회전시켜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도 4의 (c)는 재봉틀 아암의 천 누름 높이 조정판과 편심 핀과 천 누름 구동 링크의 베어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d)∼도 4의 (f)는 천 누름 높이 조정판의 동작에 링크하는 천 누름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g)∼도 4의 (i)는 천 누름판의 동작과 훅의 동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는 1색의 자수 스텝을 종료한 바늘과 윗실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b)는 윗실을 자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c)는 절단 후의 윗실을 훅이 걸어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d)는 걸어낸 윗실 단부를 수납부에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자수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수기(1)는 재봉틀 테이블(2)과, 이 재봉틀 테이블(2)의 중앙부에 크게 확대된 자수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자수 프레임(3)의 내측에는,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하방 셔틀부(4)가 설치되어 있다. 자수 프레임(3)은, 자수 매체가 펼쳐진 후, 자수 지시서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또한, 하방 셔틀부(4)에 대응하는 상방의 위치에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재봉틀 헤드(5)가, 후술하는 헤드 레일이 재봉틀 아암(6)의 레일 안내 유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자수기(1)의 재봉틀 테이블(2) 상에는, 재봉틀 테이블(2)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기립부[7(7a, 7b)]와, 이들 2개의 기립부(7)를 연결하는 교량부(8)로 이루어지는 문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재봉틀 아암(6)은,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에 의해,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재봉틀 아암(6)에는, 1개의 주축(9)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주축(9)은 일단부(도 1에서는 우측 단부)를 문형 프레임의 한쪽(도 1에서는 우측)의 기립부[7(7b)]에 축지지되어 있다. 축지지된 주축(9)의 일단부에는, 도 1에서는 기립부(7b)의 내부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풀리가 고정 설치되고,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풀리와의 사이에 벨트가 걸쳐져 있다. 이 모터에 의해 주축(9)은 회전 구동된다.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재봉틀 아암(6)이 고정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에, 재봉틀 헤드(5)의 복수 침봉을 택일하는 컬러 체인지부(11)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 체인지부(11)는, 4개의 재봉틀 헤드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 컬러 체인지축(12)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선택 대상으로 되는 침봉을 선택한다.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상면에는, 4개 배열된 재봉틀 헤드(5)의 배열 폭과 거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윗실대(13)가 배치되어 있다. 윗실대(13)는, 평판 형상의 관 적재대(14)와 막대 형상의 실 통과부(15)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자수기(1)의 재봉틀 아암(6)의 일부와 이 재봉틀 아암(6)과 결합되는 재봉틀 헤드(5)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재봉틀 헤드(5)는, 9개의 침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자수기(1)는 9색의 실로 이루어지는 자수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침봉부는, 실채기부(16)와, 장설부(17)와, 침봉(18)과, 천 누름판(19)을 구비하고 있다. 침봉(18)의 선단에는 바늘(21)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관 적재대(14)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지관(紙管) 등의 관(管)에 감긴 자수에 사용되는 각 색의 윗실이 적재된다.
관으로부터 당겨내어진 실은, 실 통과부(14)에 걸쳐진 후 더 당겨내어져, 도 2에 도시하는 재봉틀 헤드(5)의 실채기부(16)의 실채기 구멍에 통과되고, 침봉부를 따라 더 당겨내어져 장설부(17)에 끌어당겨져 장설되고, 최종적으로 침봉(18)의 선단의 바늘(21)의 바늘 구멍에 통과된다.
이 재봉틀 헤드(5)는, 배면의 헤드 레일(22)에 의해, 재봉틀 아암(6)의 도면에서는 뒤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레일 안내 보유 지지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재봉틀 아암(6)은,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도 1의 주축(9)에 고정되어 있는 주축 캠과 실채기 캠의 회전을, 각각의 캠 팔로워와 캠 팔로워에 연동되는 아암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의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그 상하 구동력을 침봉부의 침봉(18)과 실채기(16)에 전달하여 침봉(18)과 실채기(16)를 상하 운동시킨다.
천 누름판(19)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침봉부의 침봉(18)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침봉(18)의 상하 이동에 링크하여 상하 이동함과 함께, 전동 액추에이터(23)에 구동되는 후술하는 조정 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의 하한 위치가 제어된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한 자수기(1)의 도 2에 도시한 재봉틀 아암(6)과 재봉틀 헤드(5)의 주요부만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재봉틀 아암(6)의 침봉부 구동부를 좌측으로 90도 회전시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도 4의 (c)는 재봉틀 아암(6)의 천 누름 높이 조정판과 편심 핀과 천 누름 구동 링크의 베어링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d)∼(f)는 천 누름 높이 조정판의 동작에 링크하는 천 누름판(19)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의 (g)∼(i)는 천 누름판(19)의 동작과 훅의 동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재봉틀 아암(6)의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는 동작의 양쪽을 1개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하는 주요부의 구성으로서, 구동원계(24)와 침봉부 구동부(25)를 나타내고, 재봉틀 헤드(5)의 주요부 구성으로서, 침봉부(26)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원계(24)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스텝핑 모터로 이루어지는 전동 액추에이터(23), 이붙이 벨트(27), 훅 보유 지지부(28), 훅(29), 지지점 지지판(31), 편심 핀 축(32), 편심 핀 플랜지(33), 조절판(34)으로 구성된다.
이붙이 벨트(27)는, 도면에서는 뒤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전동 액추에이터(23)의 회전축의 이붙이 풀리와 편심 핀 축(32)의 이붙이 풀리(35)에 걸쳐져 왕복 회전 구동된다.
훅 보유 지지부(28)는, 벨트 끼움부(26a)에 의해 이붙이 벨트(27)에 고정되고, 이붙이 벨트(27)의 왕복 회전에 수반되어 훅(29)을 진퇴시킨다.
지지점 지지판(31)은, 역ㄷ자형의 배면이 재봉틀 아암(6)의 도시하지 않은 케이싱에 고정되고, 역ㄷ자형의 양 아암에 의해 편심 핀 축(32)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다. 편심 핀 축(32)의 편심 핀 플랜지(33)의 단부면에는, 도 4의 (a),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심 핀(3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 핀(36)은, 조절판(34)의 하부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긴 홈(3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편심 핀 축(32), 즉, 편심 핀 플랜지(33)가 회전하면 편심 핀(36)이 편심 회전한다.
편심 핀(36)의 편심 회전에 의해, 조절판(34)은 도 3의 (a)에 도시하는 안내 홈(38)과 이 안내 홈(38)에 끼워 맞추어지는 안내 핀(39)에 의해 횡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하 위치(41)와 최상 위치(42) 사이의 거리 a를 소정의 제어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거리 a는, 예를 들어 5∼7㎜이다.
조절판(34)은, 천 누름판의 천 누름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부재로, 자수 실행시에는 도 4의 (d),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리 a의 사이를 자수 대상인 직물(이하, 자수 매체라고도 함)의 두께에 대응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이 조절판(34)에는, 도 3의 (a) 및 도 4의 (a),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면에, 수직 홈(43a), 둥근 코너 홈(43b), 수평 홈(43c)이 연속하여 형성된 L자 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한 한쪽의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침봉부 구동부(25)는, 아암 샤프트(44)와, 이 아암 샤프트(44)의 외측에 끼워 맞추어지는 침봉 구동부(45)와 천 누름 구동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침봉 구동부(45)는, 전방면에 침봉 피구동부의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결합구(45a)를 구비하고, 그 배면에는, 침봉 구동부 구동 아암(47)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침봉 구동부 구동 아암(47)은, 도 1에 도시하는 주축(9)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주축 캠의 주위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캠 팔로워에 힘점 축(47a)을 연결하고, 하단부를 아암 축에 의해 재봉틀 아암(6)의 케이싱에 축지지하고 있다.
침봉 구동부 구동 아암(47)은, 캠 팔로워로부터 힘점 축(47a)에 전달되는 상하 이동을 확대하여 선단부로부터 침봉 구동부(45)에 전달한다. 이 침봉 구동부(45)에는,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상단부가 볼트(4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베어링[51(51a, 51b)]이 동축에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51b)은, 천 누름 구동부(46)의 일측면의 수평 홈(46a)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천 누름 구동부(46)의 전방면에는, 침봉부의 천 누름 피구동부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베어링(51) 중 다른 쪽 베어링(51a)은, 도 4의 (a), (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절판(34)의 L자 홈(43)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도 3의 (a)에서는, 조절판(34)의 L자 홈(43)의 형상과, 조절판(34)과 편심 핀 축(32)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조절판(34)과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베어링(51a)을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재봉틀 헤드(5)의 침봉부(26)는, 침봉(18), 침봉 피구동부(52), 천 누름 피구동부(53), 천 누름판 보유 지지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침봉 피구동부(52)는, 침봉(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침봉 피구동부(52)는 결합 돌기부(52a)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돌기부(52a)는 재봉틀 아암(6)의 침봉부 구동부(25)의 침봉 구동부(45)의 결합구(45a)에 결합된다.
천 누름 피구동부(53)는, 침봉 피구동부(52)보다도 하방에 있어서 침봉(1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천 누름 피구동부(53)는, 재봉틀 아암(6)과의 대항면의 상단부에 결합구(53a)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구(53a)는 재봉틀 아암(6)의 침봉부 구동부(25)의 천 누름 구동부(46)의 결합 돌기부(46b)에 결합된다.
또한, 천 누름 피구동부(53)는, 상단부의 결합구(53a)와는 반대측에 회전 금지축(55)과의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회전 금지축(55)은, 상단부를 침봉 피구동부(52)에 고정하고, 하단부를 천 누름 피구동부(53)과의 걸림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천 누름 피구동부(53)의 침봉(18) 주위의 회전을 금지하고 있다.
천 누름판 보유 지지부(54)는 짧은 샤프트(56)를 통해 천 누름 피구동부(53)에 고정하여 연결되고, 하단부에 천 누름판(19)을 보유 지지하여, 천 누름 피구동부(53)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침봉부 구동부(25)의 침봉 구동부(45)는, 다른 색실로 전환하기 위해 침봉(18)을 정지시킬 때는, 최상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천 누름 구동 링크(48)도 천 누름 구동부(46)와 함께 최상 위치로 끌어올려진다.
이때, 조절판(34)이 전술한 바와 같이 편심 핀(36)의 회전 편심차[최하 위치(41)와 최상 위치(42) 사이의 거리 a]만큼밖에 상하 이동할 수 없는 것에 반해,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하단부의 베어링(51a)은,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하 위치(41)로부터 거리 a보다도 큰 거리 b만큼 이격된 베어링 최상 위치(57)로 끌어올려진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판(34)이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최하 위치(41)와 최상 위치(42) 사이의 거리 a밖에 상하 이동할 수 없으므로, 베어링(51a)은 자수 실행시의 조절판(34)의 L자 홈(43)의 수평 홈(43c)의 부분에 머물러 있을 수 없고,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둥근 코너 홈(43b)을 따라 수직 홈(43a)의 부분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서, 천 누름판(19)도, 베어링(51a), 베어링(51b), 수평 홈(46a), 천 누름 구동부(476), 천 누름 구동부(53)를 통해, 도 4의 (d), (e)에 도시하는 최하 위치(58)와 최상 위치(59)의 거리 a 내의 이동 위치로부터, 크게 위로 이격된 거리 b의 자수 비실행 위치(61)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액추에이터(23)가 구동되고, 이붙이 벨트(27)가 왕복 회전하여 편심 핀 축(32)이 회전해도, 즉, 편심 핀 플랜지(33)에 장착되어 있는 편심 핀(36)이 편심 회전해도, 즉, 조절판(34)이 상하 이동해도, 베어링(51a)은 L자 홈(43)의 수직 홈(43a)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천 누름 피구동부(52), 즉, 천 누름판(19)은 도 4의 (f)에 도시하는 최상 위치(61)로부터 움직이는 일은 없다.
이 타이밍에 액추에이터(23)가 구동되고, 이붙이 벨트(27)가 왕복 회전하여, 훅 보유 지지부(28), 즉, 훅(28a)이 진퇴 구동된다. 이에 의해, 훅(28a)은 도 4의 (f), (i)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 누름판(19)의 바늘 삽입 관통 구멍(58)의 하방 거리 b의 간극에 잠입하도록 동작하여 절단된 윗실의 바늘(21)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부를 걸어 취한다.
도 5의 (a)는 1색의 자수 스텝을 종료한 바늘(21)과 윗실(62)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윗실(62)을 하방 셔틀부(4)의 가동날(63)로 절단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c)는 절단 후의 윗실(62)을 훅(28a)이 걸어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의 (d)는 걸어낸 윗실 단부(62a)를 실 단부 수납부(64)에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훅(28a)은 걸어낸 윗실 단부를 실 단부 수납부에 수납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침봉부(26)가 자수 실행 중에는,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침봉부 구동부(25)의 침봉 구동부(45)는 하방으로 내려가 상하 이동하고 있다. 베어링(51a)은,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 홈(43)의 수평 홈(43c)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천 누름판(19)은 조절판(34)의 상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한 위치를 규제하여 자수 매체를 억제하고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23)가 자수 매체의 두께에 대응하여 제어 기구에 의해 구동되면, 그 구동에 따른 이붙이 벨트(27)의 회전 거리, 즉, 편심 핀 축(32)의 회전 각도, 즉, 편심 핀(36)의 편심 회전량에 따른 상하 이동이 조절판(34)에 전달된다.
조절판(34)의 상하 이동은, L자 홈(43)의 수평 홈(43c), 천 누름 구동 링크(48)의 베어링(51a, 51b), 천 누름 구동부(46)의 수평 홈(46a), 천 누름 구동부(46), 결합 돌기부(46b), 결합구(53a), 천 누름 피구동부(53)를 통해 천 누름판(19)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천 누름판(19)의 하한 위치를 임의의 타이밍에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의 양쪽 동작을 1개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행하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천 누름판의 하한을 변화시키는 동작과 절단 후의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동작을 행하는 자수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자수기
2 : 재봉틀 테이블
3 : 자수 프레임
4 : 하방 셔틀부
5 : 재봉틀 헤드
6 : 재봉틀 아암
7(7a, 7b) : 기립부
8 : 교량부
9 : 주축
11 : 컬러 체인지부
12 : 컬러 체인지축
13 : 윗실대
14 : 관 적재대
15 : 실 통과부
16 : 실채기부
17 : 장설부
18 : 침봉
19 : 천 누름판
21 : 바늘
22 : 헤드 레일
23 : 액추에이터
24 : 구동원계
25 : 침봉부 구동부
26 : 침봉부
27 : 이붙이 벨트
28 : 훅 보유 지지부
28a : 벨트 끼움부
29 : 훅
31 : 지지점 지지판
32 : 편심 핀 축
33 : 편심 핀 플랜지
34 : 조절판
35 : 이붙이 풀리
36 : 편심 핀
37 : 긴 홈
38 : 안내 홈
39 : 안내 핀
41 : 최하 위치
42 : 최상 위치
43 : L자 홈
43a : 수직 홈
43b : 둥근 코너 홈
43c : 수평 홈
44 : 아암 샤프트
45 : 침봉 구동부
45a : 결합구
46 : 천 누름 구동부
46a : 수평 홈
46b : 결합 돌기부
47 : 침봉 구동부 구동 아암
47a : 힘점 축
48 : 천 누름 구동 링크
49 : 상단부가 볼트
51(51a, 51b) : 베어링
52 : 침봉 피구동부
52a : 결합 돌기부
53 : 천 누름 피구동부
53a : 결합구
54 : 천 누름판 보유 지지부
55 : 회전 금지축
56 : 샤프트
57 : 베어링 최상 위치
58 : 최하 위치
59 : 최상 위치
61 : 자수 비실행 위치
62 : 윗실
63 : 가동날
64 : 실 단부 수납부

Claims (3)

  1. 천 누름판의 하한 위치의 높이를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자수기에 있어서,
    전동 액추에이터와,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동력이 전달 기구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선단면에 설치된 편심 핀과,
    상기 편심 핀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 핀의 회전에 따라서 소정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일면에, 수직 홈, 둥근 코너 홈, 수평 홈이 연속하여 형성된 L자 홈과,
    침봉 구동부를 지지점으로 천 누름 구동부에 링크하는 링크 롤러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L자 홈에 끼워 넣어, 자수 재봉 실행시에는 상기 수평 홈의 부분을 왕복하여 상기 조절판의 상하 위치에 추종하고, 자수 재봉 비실행시에는 상기 수직 홈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링크 롤러의 상하 위치에 추종하는 천 누름판 구동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라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 기구를 통해 상기 침봉 구동부의 상기 링크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천 누름판의 상하 이동의 하한 위치를 상기 자수 대상으로 하는 가공 천의 두께에 따른 높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로부터 상기 전달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진퇴하는 훅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천 누름판은, 상기 천 누름판 구동 롤러가 상기 자수 재봉 비실행시에 있어서 상기 L자 홈의 상기 수직 홈의 부분에 있을 때, 상기 편심 핀의 회전과 상기 조절판의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침봉 선단의 바늘과 함께 자수 재봉에 필요한 상한 위치보다도 위의 위치에 있고,
    상기 훅 기구의 훅은, 상기 바늘의 윗실의 절단 후의 상기 바늘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상기 윗실을 걸어내어 실 수납 기구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는, 펄스 모터 또는 서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KR20140063759A 2013-06-13 2014-05-27 자수기 Abandoned KR20140145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4254 2013-06-13
JP2013124254A JP6151979B2 (ja) 2013-06-13 2013-06-13 刺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546A true KR20140145546A (ko) 2014-12-23

Family

ID=5222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3759A Abandoned KR20140145546A (ko) 2013-06-13 2014-05-27 자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1979B2 (ko)
KR (1) KR20140145546A (ko)
CN (1) CN104233662A (ko)
HK (1) HK12029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6944A (zh) * 2021-03-10 2021-06-29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乱针绣用布帛支撑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068B (zh) * 2019-01-28 2023-11-10 浙江坤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机的缝线装置
CN109505071B (zh) * 2019-01-28 2023-07-14 浙江坤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机及其加工方法
CN111501234B (zh) * 2020-04-27 2023-09-08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梭箱高度降低后的绣花机机头改进结构及绣花机
CN113235240B (zh) * 2021-06-23 2025-01-28 丹阳德顺刺绣机械有限公司 一种绣花机上的多金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782U (ja) * 1992-12-22 1994-07-19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ワイパー装置
JPH0919585A (ja) * 1995-07-06 1997-0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3652794B2 (ja) * 1996-06-14 2005-05-25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における布押え装置
JPH1099573A (ja) * 1996-09-30 1998-04-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3953203B2 (ja) * 1998-07-28 2007-08-08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布押え機構
JP4492179B2 (ja) * 2004-03-29 2010-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2006102396A (ja) * 2004-10-08 2006-04-20 Juki Corp ミシン
JP4919714B2 (ja) * 2006-06-29 2012-04-18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頭式刺繍機
KR20080068504A (ko) * 2007-01-18 2008-07-23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승,하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6944A (zh) * 2021-03-10 2021-06-29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乱针绣用布帛支撑架
CN113046944B (zh) * 2021-03-10 2022-06-28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一种乱针绣用布帛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0082A (ja) 2015-01-05
CN104233662A (zh) 2014-12-24
JP6151979B2 (ja) 2017-06-21
HK1202903A1 (en) 2015-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290B2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刺繍ミシン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KR20140145546A (ko) 자수기
US10407811B2 (en) Sewing machine
JPH05192464A (ja) 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20130071399A (ko) 미싱
JP2006187417A (ja) ミシン
KR100691200B1 (ko) 이중환 재봉 미싱
US4459925A (en) Cycle sewing machine
JP5700990B2 (ja) ミシンの被縫製物切断装置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JP2004222919A (ja) ミシン
KR20210044869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 컷 장치
KR20210044870A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미싱 및 코드재를 공급하는 장치 그리고 코드 안내체
KR20060066638A (ko) 재봉기
JPH09140971A (ja) ミシン
CN108425187B (zh) 缝纫机
US20070101916A1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4467487B2 (ja) ミシンの布端切断装置
JP4017737B2 (ja) 糸端保持手段を備えた多針ミシン
KR20060052107A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2001200465A (ja) タフトミシン
JP5854478B2 (ja) 縫製装置の下糸繰出し装置
WO2025158973A1 (ja) ミシンにおける紐状素材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09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