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상기 분야에 있어서의 종래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상기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는, 침대나 카페트의 청소에 이용되는 종래의 점착 클리너와는 달리, 다양한 포터블 기기의 표시면과 같은 평활한 플레이트의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것에 의해 특징지을 수 있는 클리너이다.
본 발명의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의 사용 대상은,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전형적으로는 유리제 또는 합성 수지제 플레이트의 표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또는 쇼윈도우 글래스, 유리 테이블, 쇼케이스 등의 표면도 여기서 말하는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에 포함되는 예이다.
본 발명의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의 바람직한 사용 대상으로서, 다양한 포터블 기기의 표면(특히 표시면/입력면)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포터블 기기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즉 본 발명의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를 적용 가능한 표면)을 갖는 휴대 가능한 기기를 말하며, 특정의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양한 크기의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전자 수첩 등의 PDA(휴대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 기타의 휴대 전화기, 휴대 게임기, 등이 포터블 기기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의 형상은, 재박리성 점착제를 갖는 점착체를 구비하고,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에 상기 점착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상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특히 인간의 피지나 손때)을 제거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그 형상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점착체와, 상기 점착체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층 형상(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된 시트형 또는 패치형의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지체(권심)를 구비하고, 롤 형상으로 형성된 점착체를 구비한다. 이하, 이러한 바람직한 형태의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10)에 대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는,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2)을 구비한 포터블 기기(1)의 상기 플레이트 표면(여기서는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표시부)(2)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포터블 기기(1)는 여기서는 외면 전체가 알루미노규산 유리 등의 평활한 강화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지체(권심)(20)와, 상기 지지체(20)의 외주면에 감긴 롤 형상의 점착체(점착 시트롤)(30)와, 상기 지지체(20) 및 점착체(30)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파지 부재(40)를 구비한다. 파지 부재(40)의 손잡이(42)측과는 반대측의 회전 가능한 선단 회전축부(44)는 원통형 지지체(20)의 중심 구멍(20A)를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도시하지 않음)가 파지 부재(40)를 파지하여 클리너(1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면, 상기 외력은 파지 부재(40)로부터 선단 회전축부(44)를 통해 지지체(20)에 전해지고, 상기 지지체(2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점착체(점착 시트롤)(30)를 플레이트 표면(2)에 접촉시키고, 적절한 가압력으로 압박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표면(2)을 따라 상기 점착체(30)가 소정의 방향으로 구름 이동한다. 이 때, 점착체(30)의 점착력 등에 의해, 플레이트 표면(2)에 존재하는 먼지 및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 특히 사람의 손때나 피지가 점착체(30)쪽으로 이동, 즉 점착체(30)측에 거두어진다. 이에 의해, 점착체(30)의 구름 이동 방향을 따라서 플레이트 표면(2)의 클리닝(오염 제거)이 효율적으로 신속히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는 포터블 기기(1) 기타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2)에 부착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을 제거(클리닝)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인데, 사용자가 실제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를 사용하는 양태(즉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파지 부재(40)를 파지하여 조작하는 것)는 카페트나 침대의 티끌이나 먼지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롤 형상 클리너를 사용하는 양태와 동일하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체(점착 시트롤)(30)의 대략 일주 길이마다 절단용의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취선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를 연속적으로 사용한 후, 클리닝(오염 제거) 성능이 저하된 점착체 외주면(작업면)을 갱신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한 절단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긴 구멍이나 물결 형상의 슬릿을 배열한 것, 재봉땀 등의 간헐 슬릿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상 점착체(30)를 폭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상기 절취선이 설치된다. 또는 점착체 외주면(작업면)의 갱신은, 상기 절단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재봉땀 등의 간헐 슬릿을 점착 시트롤(30)의 시트 권취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전형적으로는 상기 폭방향에 대하여 30 내지 60°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 두어도 된다. 또, 재봉땀 등의 간헐 슬릿을 대신하여 점착 시트롤(30)을 구성하는 시트상 점착체(30)에 소정 간격으로 슬릿(연속한 절취선)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미리 롤 권취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완전히 절단된 상태의 점착체 외주면(작업면)을 박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작업면을 갱신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의 지지체(20)로서는, 비용, 폐기 처분의 용이성, 쿠션성 등의 관점에서, 종이제(전형적으로는 판지제)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재질(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기타의 합성 수지)을 포함하는 지지체(20)여도 된다.
원통형의 지지체(20)의 크기는, 사용 대상품(예를 들면 포터블 기기)이 구비하는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의 형상이나 크기(예를 들면 A4 크기, A5 크기, A6 크기, B4 크기, B5 크기 또는 B6 크기의 표시부)에 따라서 다를 수 있는 것이며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지지체의 직경(외경을 말한다. 이하 동일하다.)은 적어도 4 mm 이상이 적당하고, 10 mm 이상 예를 들면 20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를 소형(예를 들면 펜 크기)으로 하는 경우, 지지체의 직경은 4 mm 미만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1 내지 3 mm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의 외주면에 배치된 점착체(점착 시트롤)를 합한 롤의 직경은 50 mm 이하가 적당하고, 35 mm 이하가 바람직하다(단, 롤 직경으로서 50 mm보다 큰 직경의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치 범위에 있는 직경의 원통형 지지체(20) 및 점착체(점착 시트롤)(30)를 채용함으로써, 도 1에 예시하는 것과 같은 포터블 기기(1)가 구비하는 휴대 크기(예를 들면 A4 내지 A6 또는 B5 내지 B6 크기)의 유리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전형적으로는 표시면/입력면)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클리닝(오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권심)(20)를 사용하지 않고 점착체(30)만을 롤 형상으로 감아 이루어지는 소위 코어리스 타입의 점착 시트롤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점착체(30)를 포함하는 롤의 중심에 상기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를 배치하면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의 점착체(점착 시트롤)(30)는, 긴 시트형(띠형) 기재(36)와, 상기 기재(36)의 한쪽면(36A)에 점착제가 보유 지지되어서 형성된 점착제층(32)을 구비하는 2층 구조이며, 그 점착제층(32)의 외표면(즉 점착면)(32A)이 외측(즉 롤의 외주측)을 향하도록 하여, 지지체(20)의 주위에 롤 형상으로 감아서 구성되어 있다.
기재(36)는 전형적으로는, 다양한 합성 수지, 부직포, 또는 종이로 구성된다. 또한, 천, 고무 시트, 발포체 시트,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등이어도 된다.
합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기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서는, 일본 종이, 크래프트지, 글라신지, 상질지, 합성지, 톱코트지, 등이 예시된다. 천의 예로서는, 각종 섬유상 물질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상 물질로서는, 면, 스테이플 파이버, 마닐라삼,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등이 예시된다. 고무 시트의 예로서는, 천연 고무 시트, 부틸 고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체 시트의 예로서는,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발포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박의 예로서는, 알루미늄박, 동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36)에는, 필요에 따라서,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도 된다.
또한, 기재(36)의 배면(36B)에는, 실리콘계 박리제의 도포 부착 등, 점착 시트롤(30)의 되감기 힘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표면 처리(전형적으로는, 되감기 힘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36)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기재(36)의 두께를 대략 20 ㎛ 내지 200 ㎛(전형적으로는 대략 30 ㎛ 내지 100 ㎛)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10)의 점착체(30)(점착제층(32))로서는, 사용자가 적당한 가압력(예를 들면 작업자가 클리너에 대하여 100 내지 1200 g(전형적으로는 200 g 내지 500 g)의 가압력)을 가하면서 클리너(10)를 클리닝 대상인 플레이트 표면(2)에 접촉시키고, 예를 들면 0.1 m 내지 0.5 m/초인 적당한 이동 속도(롤 형상 클리너인 경우에는 구름 이동 속도)로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플레이트 표면(2)에 부착되는 먼지나 오염(특히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을 점착체(30)측으로 거두어들일 목적에 적합한 점착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체는 JIS Z0237에 규정된 180°박리 시험에 기초하는 측정값으로 1 내지 7 N/25 mm 정도가 적당하고, 1.3 내지 6.5 N/25 mm 정도의 점착력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력을 가짐으로써, 플레이트 표면(2) 상에서의 원활한 클리너(10)(즉 점착체(30))의 이동(구름 이동)과, 안정적인 오염 제거 능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는 조작성(전형적으로는 저구름 저항성)을 중시하여, 상기 점착력을 0.05 N/25 mm 이상 예를 들면 0.1 N/25 mm 이상, 전형적으로는 0.5 N/25 mm 이상) 정도로 해도 된다. 이러한 레벨보다도 너무 낮은 점착력이면 클리너(10)에 본래 요구되는 오염이나 먼지의 제거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점착력이 상기 레벨보다도 너무 높으면, 대상으로 하는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 상에서의 클리너(10)(점착체(30))의 이동이나 상기 플레이트 표면(2)으로부터의 탈리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점착체(점착 시트롤)(30)에서는, 점착체(점착 시트롤)(30)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예를 들면 알루미노규산 유리 등의 유리나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표면)(2) 상에서의 레일 끌림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점착력(예를 들면 상기 180°박리 시험에 기초하는 측정값이 1 내지 7 N/25 mm)으로 되감기 힘이 조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되감기 힘이란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롤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힘(즉 되감기에 대한 저항력, 기재(36)의 배면(36B)에 대한 점착력으로서도 파악된다.)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점착력에 비해 되감기 힘이 너무 낮은 설정이면, 점착 시트롤(30)을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2) 상에서 굴릴 때에 되감기 힘이 점착체(30)와 플레이트 표면(2)의 사이의 점착력을 이기지 못하고 레일 끌림 현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되감기 힘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원활한 인출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되감기 힘은 다음과 같이 하여 평가할 수 있다. 즉, 점착 시트롤(30)을 소정의 인장 시험기에 세트하고, 대기압 조건(예를 들면 온도 23C, 상대습도 50%의 공기 중)에서, 감긴 점착 시트의 외주측 선단을 시험기의 척에 장착하고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300 mm/분)로 인장함으로써 점착 시트롤(30)을 접선 방향으로 되감고, 이 때의 되감기 힘을, 점착제층(32)의 소정폭(예를 들면 150 mm)당의 값(N/150 mm)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되감기 힘이 0.5 내지 2.5 N/150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2)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점착제층(32)의 두께를 대략 30 ㎛ 내지 300 ㎛(전형적으로는 대략 50 내지 150 ㎛)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점착제층(3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포착한 피지 등의 성분을 점착제층에 거두어들일 수 있는 양이 많아지져서,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는 점착제층(32)을 얇게했을 경우, 경량화, 소형화가 실현되어, 조작성이나 운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점착제층(32)은 기재(36)의 한쪽의 표면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20)의 폭방향의 양끝을 따라, 점착제층(3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점착부(드라이 엣지)(37, 38)를 가져도 된다. 점착제층(32)은 전형적으로는, 기재(36)의 전체 범위,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점착부(37, 38)를 제외한 범위에 균일하게 연속하여 형성(베타 도포)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는, 대략 구 형상의 점착체(30)와, 점착체(30)의 일부(전형적으로는 상측)를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지지체(20)와 접속하고 있는 파지 부재(40)를 구비한다. 점착체(30)는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여도 되고, 중공 또는 중실의 구 형상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지지체(20)는 점착체(30)의 구 형상을 따르는 곡면을 갖고 있고, 점착체(30)를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체(20)의 형상은 공기 그릇 형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파지 부재(40)는 막대 형상의 긴 부재이고, 그 일단은 지지체(2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손잡이(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도시하지 않음)가 클리너(10)의 손잡이(42)를 갖고, 구 형상의 점착체(30)를 포터블 기기(1)의 플레이트 표면(2) 상의 원하는 방향(도 5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구름 이동)시키면, 점착체(30)는 플레이트 표면(2)에 존재하는 먼지나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을 포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트 표면(2)의 클리닝(오염 제거)이 효율적으로 신속히 행해진다. 구 형상을 갖는 점착체(30)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mm 내지 50 mm(예를 들면 10 mm 내지 40 mm, 전형적으로는 20 mm 내지 30 mm)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는, 예를 들면, 점착체만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러한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로서는, 예를 들면 구 형상이나 원주 형상, 육면체상(예를 들면 직방체상) 등의 점착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리너를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구 형상 등의 점착체와, 상기 점착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지지체는 상기 점착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연결 또는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로서는, 예를 들면 막대 형상의 지지체의 일단에 원주 형상이나 직방체상의 점착체가 고정된 것을 들 수 있다. 또, 평면 형상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그 한쪽면에 점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면에, 홀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의 홀드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끝이 지지체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작업자는 홀드와 지지체로 형성된 환에 손의 적어도 일부(전형적으로는 몇개의 손가락)를 삽통하여 유지함으로써,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를 조작할 수 있다. 또, 시트상의 점착제층을 복수 적층한 적층물(점착체)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적층물을 지지체에 의해 지지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적층물은 적어도 제1층과 제2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에 따르면, 사용의 결과, 최외부에 위치하는 점착제층(제1층)의 오염 제거 성능이 저하되었을 경우, 이 점착제층(제1층)을 박리하여, 제1층과는 상이한 점착제층(제2층)을 노출시켜, 이 제2층에 의해 오염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착제층(제1층)의 배면에는, PET 필름 등을 포함하는 시트상의 기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기재의 한쪽의 표면(예를 들면 제2층의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에 실리콘계의 박리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바람직한 점착력을 구비하고, 또한,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2)에 부착된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예를 들면 사람의 손때나 피지 오염, 또는 화장품 성분의 부착)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데 적합한 한에 있어서, 점착체(30)(점착제층(32))를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합한 점착제로서는, 다양한 용제계 점착제, 수계(에멀전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의 피지 오염을 제거할 목적으로는, 특히 용제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베이스 중합체별로는, 적합한 점착제로서,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는, 베이스 중합체(중합체 성분 중의 주성분, 주된 점착성 성분)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크릴계 중합체」란 전형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주단량체로서 포함하고, 이 주단량체와 공중합성을 갖는 부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단량체 원료(단일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를 중합함으로써 합성된 중합체(공중합체)이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타)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식:
CH2=CR1COOR2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 중의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R2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하, 이와 같은 탄소 원자수의 범위를 「C1 -20」이라고 표시하는 경우가 있음)이다.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 등의 관점에서, R2가 C1 -14(예를 들면 C1 -10)의 알킬기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일 수 있다.
상기 C1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s-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이소펜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n-노닐, (메타)아크릴산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n-데실, (메타)아크릴산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운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산펜타데실, (메타)아크릴산헥사데실, (메타)아크릴산헵타데실, (메타)아크릴산옥타데실, (메타)아크릴산노나데실, (메타)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n-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노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것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합계 50 질량%를 초과하는(예를 들면 6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70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의) 비율로 공중합된 아크릴계 중합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중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단량체 원료는, 저구름 저항성 등의 여러가지 성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주단량체 외에 주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부단량체를 공단량체 단위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부단량체는 단량체뿐만아니라 올리고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부단량체로서는,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이하, 관능기 함유 단량체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도입하고,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높일 목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중합체에 가교점을 적절하게 도입할 수가 있고,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 산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의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류,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 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의 불포화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상술한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이용할 경우, 아크릴계 중합체를 중합하기 위한 단량체 원료 중에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1 내지 10 질량%(예를 들면 2 내지 8 질량%, 전형적으로는 3 내지 7 질량%)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단량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의 응집력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 관능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를 포함해도 된다. 그러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계 단량체; 스티렌, 치환 스티렌(α-메틸스틸렌 등),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중합체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노닐, 등의 여러가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메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고, 상기 메인 단량체 성분에, 아크릴산,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 성분, 또 아세트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메틸, 스티렌, 등의 단량체 성분(예를 들면 응집력의 조정에 기여함)을 혼합,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산2-에틸헥실을 메인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을 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된 단량체 공급 방법, 중합 조건(온도, 시간, 압력 등), 단량체 이외의 사용 성분(중합 개시제,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량체 공급 방법으로서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을 한번에 반응 용기에 공급(일괄 공급)해도 되고, 서서히 적하하여 공급(연속 공급)해도 되고, 몇회분으로 분할하여 소정 시간마다 각 분량을 공급(분할 공급)해도 된다. 상기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은, 일부 또는 전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물에 유화시킨 분산액으로서 공급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벤조일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 등이 예시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단량체의 종류(단량체 혼합물의 조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은 전체 단량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05 질량부 내지 1 질량부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적당하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면 20℃ 내지 100℃(전형적으로는 40℃ 내지 80℃) 정도로 할 수 있다.
기타, 음이온계 유화제, 비이온계 유화제 등의 유화제(계면 활성제)나, 종래 공지된 각종 연쇄 이동제를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 대해서, 사용하는 단량체에 따라서 적당한 가교제를 이용하여 베이스 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 기술과 전혀 다를 바 없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의 가교제로서는,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바륨 등의 유기 금속염,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등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옥사졸린계 가교제나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와 적절하게 가교할 수가 있고, 또한 양호한 조작성(전형적으로는 저구름 저항성)을 얻기 쉽고, 또한 내산성도 우수한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적합한 수치 범위의 점착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총 단량체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질량부(예를 들면 0.05 내지 5 질량부, 전형적으로는 0.1 내지 5 질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1종의 단독 사용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병용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은 용제계 점착제를 채용하는 경우,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헥산, 헵탄, 미네랄 스피리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나프타, 테트랄린, 디펜텐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시클로헥실알코올, 2-메틸시클로헥실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등의 알코올,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사용(합성)하는 베이스 중합체의 분자량(MW: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략 30만 내지 100만 정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인 중합체(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바람직한 점착제에는, 그 물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아크릴계 중합체, 천연 고무계 중합체, 등의 베이스 중합체 성분 외에, 다양한 부성분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점착력의 조정을 위해 여러가지의 점착 부여 수지(태키파이어)가 사용된다. 일반적인 로진계, 테르펜계, 탄화수소계(예를 들면 C5계 석유 수지, C9계 석유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에폭시계,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계, 페놀계, 케톤계,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부여제로서, 테르펜페놀 수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적합한 수치 범위의 점착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베이스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1 내지 40 질량부, 전형적으로는 2 내지 20 질량부 정도(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질량부)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부성분으로서, 가소제, 공정 오일 등의 여러가지의 연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의 오염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소제를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이소노닐, 프탈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부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또는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이소노닐 등의 아디프산에스테르, 또는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등의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세박산에스테르 등을 가소제의 적합예로서 들 수 있다. 특히, 아디프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한 연화 성분(전형적으로는 가소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5 내지 50 질량부 정도가 적당하고, 10 내지 40 질량부 정도(예를 들면 20 내지 30 질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화 성분(전형적으로는 가소제)의 배합량이 많아질수록, 점착제의 오염 제거 성능(오염 포착 능력)이 회복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연화 성분(전형적으로는 가소제)의 배합량은 베이스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 질량부 이상(전형적으로는 20 내지 70 질량부)이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상(전형적으로는 30 내지 50 질량부)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또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 필수 성분이 아닌 첨가제의 종류나 배합량은 이 종류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통상적인 종류 및 배합량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점착제는,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를 사용한 결과, 사람의 손때나 피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의 제거 성능(오염 포착 능력)이 저하되어도,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분, 바람직하게는 몇시간) 경과하면, 상기 오염의 제거 성능(오염 포착 능력)이 회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회복 작용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모식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체(30)는 점착제층(32)을 포터블 기기 등의 플레이트 표면(2)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표면(2)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50)을 포착한다. 이 점착제층(32)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50)을 포착할뿐만아니라, 층 내로 이행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그로 인해, 점착제층(32)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50)은 경시적으로 점착제층(32) 내로 이행하여, 점착제층(32)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50)은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점착제층(32)의 표면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50)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즉, 플레이트 표면용 점착 클리너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회복 작용」이란 점착제가 오염을 포착하여 오염 포착 능력이 일단 저하된 경우에, 소정 시간(예를 들면 수 분, 바람직하게는 몇 시간)을 거침으로써, 오염 포착 능력이 부활하여, 점착제가 다시 오염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작용을 말하며,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짧은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의 점착체(30)는 종래 공지된 수법을 적절하게 채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의 점착체(30)는 종래의 롤 형상 클리너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여러가지의 코팅 기법에 의해 긴 시트형의 기재(36)의 표면(36A) 상에 점착제를 코팅하고, 이어서 건조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점착제층(32)을 형성한다. 또한, 점착제층(32)이 외주면이 되도록 점착체(30)를 지지체(20)에 감음으로써 롤 형상의 점착체(즉 점착 시트롤)(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얻어진 점착 시트롤(30)을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탈착 가능 또한 구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리너(10)가 구축된다. 또한,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대한 점착 시트롤(30)의 부착 구조 자체는 종래의 롤 형상 클리너와 동일한 구조여도 되고, 본 발명을 전혀 특징짓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예 1>
점착제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과 아크릴산(AA)을 질량비로 2-EHA: AA=95:5로 되도록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용제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산화벤조일을 첨가하고, 60℃로 승온시켜서 2시간 반응시키고, 또한 80℃로 승온해서 1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대략 50만 내지 60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이러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의 중합체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태키파이어(테르펜페놀 수지: 「타마놀(등록상표) 803L」, 아라카와 가가꾸 고교(주) 제품) 5 질량부, 가소제(아디프산디이소노닐: 「모노사이저(등록상표) W-242」, DIC(주) 제품) 30 질량부 및 가교제(에폭시계 가교제: 「TETRAD(등록상표) C」,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 0.2 질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두께 38 ㎛의 PET제의 시트형 기재(폭: 약 8 cm)의 표면에 도포 부착하고, 80 내지 120℃의 오븐을 통과시키는 건조 처리를 행하여, 두께(풀 두께)가 약 80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점착체를, 직경(외경)이 4 mm, 20 mm, 35 mm 및 50 mm인 총 4 종류의 보드지제의 원통형 지지체의 표면에, 각각, 적어도 5주 이상 감기도록 점착체를 감아, 지지체의 직경이 상이한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본 예 1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2>
상기 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여, 시판되는 동종의 용제형 아크릴계 점착제(메인 단량체 성분이 2-EHA인 점착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 점착체(두께 38 ㎛의 PET제 기재+두께 약 80 ㎛의 점착제층)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직경(4 mm, 20 mm, 35 mm, 50 mm)이 서로 다른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예 1과 같이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예 2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3>
상기 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여, 시판되는 용제형의 천연 고무계 점착제(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100만인 천연 고무를 주고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고무계 감압 접착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 점착체(두께 38 ㎛의 PET제 기재+두께 약 80 ㎛의 점착제층)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직경(4 mm, 20 mm, 35 mm, 50 mm)이 서로 다른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예 1과 같이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예 3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4>
상기 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여, 시판되는 우레탄계 점착제(폴리올과 다가 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재박리·재점착성의 양면 테이프용 점착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 점착체(두께 38 ㎛의 PET제 기재+두께 약 80 ㎛의 점착제층)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직경(4 mm, 20 mm, 35 mm, 50 mm)이 서로 다른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예 1과 같이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예 4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5>
상기 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여, 시판되는 합성 고무계 점착제(부틸 고무를 메인 중합체(엘라스토머)로 하는 인공 잔디 고정용 양면 테이프의 점착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 점착체(두께 38 ㎛의 PET제 기재+두께 약 8O ㎛의 점착제층)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직경(4 mm, 20 mm, 35 mm, 50 mm)이 서로 다른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예 1과 같이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예 5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6>
상기 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대신하여, 시판되는 핫멜트형 점착제(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를 메인 중합체 아세트산비닐 함유량 25%)로 하는 감열성 접착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 점착체(두께 38 ㎛의 PET제 기재+두께 약 80 ㎛의 점착제층)를 사용하여, 지지체의 직경(4 mm, 20 mm, 35 mm, 50 mm)이 서로 다른 총 4 종류의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예 1과 같이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본 예 6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7>
종래품인 플로어링용 롤 형상 클리너(상품명 「코로코로(등록상표)」: 가부시끼가이샤 니톰즈 제품)를 예 7로서 사용하였다.
[점착력의 평가 시험]
공시체(피착체)로서 SUS304를 사용하여, 상기 SUS의 표면에 대한 점착력을 JIS Z0237에 규정된 180°박리 시험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 1 내지 예 7에 따른 클리너에 구비되는 점착체(폭 25 mm로 재단한 것)를 SUS304제의 판재에 첩부하고, 23℃, RH50%의 측정 환경에서, 인장 속도 300 mm/분의 조건에서 180°박리 점착력(N/25 mm)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피지 오염 제거 성능 평가 시험]
공시체로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를 사용하여, 상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알루미노규산 유리제)에 부착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구체적으로는 인간의 피지 오염)을 제거하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자의 안면 기타의 피부에 부착되는 피지 성분을 손가락에 문지르고, 상기 손가락에 부착되어 있는 피지 성분이나 땀을 상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의 일부에 문질러서 전사하였다. 이러한 피지나 땀의 전사량은 (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품: 핸디 광택계 「글로스 체커(상표) IG-331」을 측정각 60°에서 사용하여, 광택도(측정값)가 약 60이 되는 양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예 1 내지 예 7에 따른 클리너를 사용하여, 피지 오염이 부착된 플레이트 표면(상기 광택도: 약 60)) 상에서 상기 클리너의 점착체(점착 시트롤)를 1 회전하였다. 굴리기 속도는 약 0.5 m/초로 하였다. 또한, 굴릴 때의 작업자의 가압력은 약 300 g으로 하였다. 그렇게 하여, 1회전 한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고, 측정한 광택도에 의해, 피지 오염 제거 성능의 지표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의 결과,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예 1 및 예 2의 클리너, 점착제가 천연 고무계 점착제인 예 3의 클리너 및 점착제가 우레탄계 점착제인 예 4의 클리너에 대해서는, 광택도가 90 이상이라고 하는 높은 피지 오염 제거 성능을 갖는 것이 인정되었다. 특히 예 1의 클리너에 대해서는, 광택도가 평균값 95라고 하는 높은 클리닝 성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예 1 내지 예 4의 클리너에 대해서는, 상기 180°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점착력이 1 내지 7 N/25 mm 정도(보다 구체적으로는 1.3 내지 6.5 N/25 mm)였다. 따라서, 예 1 내지 예 4의 클리너는, 사용자가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을 적절한 구름 저항(회전 저항)을 가지면서 이동(구름 이동)시킬 수 있는 매우 사용하기 좋은 롤 형상 클리너이다. 또한, 여기서는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구름 저항(회전 저항)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대기압 조건(예를 들면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공기 중)에서, 시험자가 손잡이(42)를 잡고, 플레이트 표면(2)과 파지 부재(40)(손잡이(42))의 사이의 각도가 일정(예를 들면 55°)하게 되도록 하여,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725 mm/초)로 플레이트 표면(2) 상을 굴리고, 이 때 손잡이(42)에 걸리는 힘(회전 저항값)을 디지털 포스게이지로 측정하고, 점착제층(32)의 소정폭(예를 들면 150 mm)당의 값(N/150 mm)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한편, 예 5 내지 예 7의 클리너에 대해서는, 광택도가 90 미만(평균값으로 66 내지 86))으로서, 충분한 피지 오염 제거 성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예 5 내지 예 7의 클리너에 대해서는, 상기 180°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점착력이 거의 10 내지 60 N/25 mm로서, 사용자가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을 이동(구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저항이 있어, 이 종류의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인정되었다.
<예 8 내지 예 13>
점착제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과 아크릴산(AA)을 질량비로 2-EHA: AA=95:5로 되도록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용제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질소 기류 하에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산화벤조일을 첨가하고, 60℃로 승온시켜서 2시간 반응시키고, 또한 80℃로 승온해서 1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대략 50만 내지 60만인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이러한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의 중합체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는 비율의 가소제(아디프산디이소노닐: 「모노사이저(등록상표) W-242」, DIC(주) 제품)와, 0.1 질량부의 가교제(에폭시계 가교제: 「TETRAD(등록상표) C」,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주) 제품)를 혼합하여, 예 8 내지 13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두께 38 ㎛의 PET제의 시트형 기재(폭: 약 8 cm)의 표면에 도포 부착하고, 오븐에서 110℃에서 3분간의 건조 처리를 행하여, 두께(풀 두께)가 약 50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점착체를, 직경(외경)이 20 mm인 판지제의 원통형 지지체의 표면에, 각각, 적어도 5 바퀴 이상 감도록 점착체를 감아, 예 8 내지 13에 따른 점착 시트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각 점착 시트롤을 상술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지 부재(40)의 선단 회전축부(44)에 구름 이동(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예 8 내지 13에 따른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오염 제거 성능 평가 시험]
(광택도)
가소제의 배합량과 광택도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자의 안면 기타의 피부에 부착되는 피지 성분을 손가락에 문지르고, 상기 손가락에 부착되어 있는 피지 성분이나 땀을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알루미노규산 유리제)의 일부에 문질러서 전사하였다. 이러한 피지나 땀의 전사량은 (주)호리바 세이사꾸쇼 제품: 핸디 광택계 「그로스 체커(상표) IG-331」을 측정각 60°에서 사용하여, 광택도(측정값)가 약 60이 되는 양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예 8 내지 13에 따른 클리너를 사용하여, 피지 오염이 부착된 플레이트 표면(상기 광택도: 약 60) 상에서 상기 클리너의 점착체(점착 시트롤)를 1 회전하였다. 굴리기 속도는 약 0.5 m/초로 하였다. 또한, 굴릴 때의 작업자의 가압력은 약 700 g으로 하였다. 그렇게 하여, 1회전한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고, 측정한 광택도에 의해, 피지 오염 제거 성능의 지표로 하였다. 상기 평가 시험은 2명의 시험자로 각각 행하고, 그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또한, 상기 피지 성분을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카오사 제조, 상품명 「레오돌(등록상표) MO-60」)로 바꾸어서 상기와 동일한 시험을 2회 행하고, 그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또한, 상기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는 피지에 대체하는 것으로서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오염 제거율)
클리닝 횟수와 오염 제거율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지 오염 제거 성능 평가 시험과 마찬가지로, 피지 성분이나 땀을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의 일부에 문질러서 전사하였다. 이러한 피지나 땀의 전사량은 상기 핸디 광택계를 측정각 60°에서 사용하여, 광택도(측정값)가 약 60이 되는 양으로 하였다.
상기 예 11에 따른 클리너를 사용하여, 피지 오염이 부착된 플레이트 표면(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 표면의 왼쪽 절반분) 상에서 상기 클리너의 점착체(점착 시트롤)를 1회 굴렸다(1회째 클리닝). 굴리기 속도는 약 0.5 m/초로 하였다. 또한, 굴릴 때의 작업자의 가압력은 약 700 g으로 하였다. 굴린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1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로 하였다.
하기 식으로부터, 예 11에 따른 클리너에 의한 상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오염 제거율(%)=(C-A)/(B-A)×1OO
A: 피지 성분과 땀을 전사한 상태의 광택도
B: 미리 측정해 둔 깨끗한 상태의 광택도
C: 1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
1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를 측정한 후, 상기 클리너의 점착 시트롤을 다시 플레이트 표면(1회째 클리닝과 동일한 영역) 상에서 1회 굴렸다(2회째 클리닝). 굴리기 속도 및 가압력은 1회째와 동일하게 하였다. 굴린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2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로 하였다. 이 측정값을 상기 화학식의 C에 대입하고, 1회째 클리닝 후와 마찬가지로, 2회째 클리닝 후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1회째 클리닝, 2회째 클리닝과 동일한 요령으로 3회째 이후의 클리닝을 행하고, 광택도의 측정을 행하고, 2회째 클리닝 후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3회째 이후의 클리닝 후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이것을 오염 제거율이 100%가 될때까지 반복하였다.
또한, 상기 피지 성분을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카오사 제조, 상품명 「레오돌(등록상표) MO-60」)로 바꾸어서 상기와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트 표면의 각회에 있어서의 클리닝 상태를 도 7 내지 9에 도시하였다. 도 7 내지 9에 있어서, 플레이트 표면의 왼쪽 절반이 예 11에 따른 클리너에 의한 클리닝 상태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지 오염을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광택도(측정값)를 약 60로 한 플레이트 표면을 갖는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를 준비하였다. 상기 예 11에 따른 클리너를 대신하여 TV용 클리닝 클로스(히타치 맥셀사 제조, 대화면 텔레비전 클리닝 클로스: 드라이 타입)를 사용하여, 피지 오염이 부착된 플레이트 표면(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 표면의 오른쪽 절반분) 상에서, 상기 예 11에 따른 클리너에 의한 구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와이핑을 1회 행하였다(1회째 클리닝). 와이핑 속도는 약 0.5 m/초로 하였다. 또한, 와이핑 시의 작업자의 가압력은 약 700 g으로 하였다. 와이핑한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1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로 하였다. 이 측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으로부터, 상기 클리닝 클로스에 의한 상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1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를 측정한 후, 상기 클리닝 클로스로 다시 플레이트 표면(1회째 클리닝과 동일한 영역) 상을 1회째 동일 방향으로 와이핑하였다(2회째 클리닝). 와이핑 속도 및 가압력은 1회째와 동일하게 하였다. 와이핑한 후의 플레이트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핸디 광택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값을 2회째 클리닝 후의 광택도로 하였다. 이 측정값을 상기 화학식의 C에 대입하고, 1회째 클리닝 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2회째 클리닝 후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1회째 클리닝, 2회째 클리닝과 동일한 요령으로 3회째 이후의 클리닝을 행하고, 광택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2회째 클리닝 후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3회째 이후의 클리닝 후의 오염 제거율(%)을 구하였다. 이것을 오염 제거율이 100%가 될때까지 반복하였다.
또한, 상기 피지 성분을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카오사 제조, 상품명 「레오돌(등록상표) MO-60」)로 바꾸어서 상기와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트 표면의 각회에 있어서의 클리닝 상태를 도 7 내지 9에 도시하였다. 도 7 내지 9에 있어서, 플레이트 표면의 오른쪽 절반이 클리닝 클로스에 의한 클리닝 상태이다.
[점착력의 평가 시험]
또한, 예 8, 9, 11 및 13에 따른 점착제에 대해서, 공시체(피착체)로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를 사용하여, JIS Z0237에 준거하여, 상기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트 표면(알루미노규산 유리제)에 대한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예에 따른 클리너에 구비되는 점착체(폭 25 mm로 재단한 것)를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트 표면에 첩부하고, 23℃, RH50%의 측정 환경에서, 인장 속도 30O mm/분 및 100O mm/분의 조건에서 180°박리 점착력(N/25 m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 인장 속도로 2회씩 행하고,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계 점착제 중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배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광택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지만, 가소제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이용한 예 9 내지 13에 따른 점착 시트롤은,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예 8의 점착 시트롤에 비해 구름 저항(회전 저항)이 작고, 조작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지만, 가소제의 함유량이 적어질수록 투묘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소제의 배합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점착력은 저하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 11에 따른 점착 시트롤을 이용하여 구축된 클리너는, 3회의 굴리기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의 플레이트 표면 상의 오염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있었다. 한편, 시판되고 있는 클리닝 클로스를 이용한 경우, 오염을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5 내지 7회의 와이핑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도 7 내지 9로부터, 클리닝 클로스로는 오염을 번지게 하는 형태의 와이핑이 되어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클리너가 실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오염 제거 성능 회복성 평가 시험]
(오염 포착량)
(1) 충분량의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카오사 제조, 상품명 「레오돌(등록상표) MO-60」)가 공급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알루미노규산 유리제)에, 예 11에 따른 클리너의 점착 시트롤을 3분간 굴려서,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를 상기 클리너의 점착체에 전사시켰다. 가압력은 약 700 g으로 하였다.
(2) 이 때의 상기 클리너의 중량을 측정하고, 초기 중량과의 차를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포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것을 1회째 포착량으로 하였다.
(3) 3분간 굴린 직후부터 1분 간격으로, 상기와 다른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깨끗한 상태)에 상기 클리너의 점착 시트롤을 압박력 약 1 kg으로 약 1/4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 표면으로의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전사 레벨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회 연속하여 전사가 보이지 않은 시점에서, 상기 (1)의 조작을 다시 행하고, 이 때의 상기 클리너의 중량을 측정하고, 1회째 포착량과의 차를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포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것을 2회째 포착량으로 하였다.
상기 전사 레벨의 육안 관찰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행하였다. 즉,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전사의 정도를 상대 평가로서 5단계로 나누어서 채점하였다. 점수가 낮을수록 전사가 많고, 점수가 높을수록 전사가 적은 것을 나타낸다.
1점: 전사가 많이 보였다.
2점: 전사가 보였다.
3점: 소량의 전사가 보였다.
4점: 약간의 전사가 보였다.
5점: 전사는 보이지 않았다.
(4) 상기 (1), (3)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3회째 포착량을 구하였다.
(5) 상기 (1), (3)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고, 4회째 포착량을 구하였다. 단, 4회째는 전사 레벨의 육안 관찰은 행하지 않았다.
포착량(mg)에 대해서는, 상기의 평가를 3개의 샘플을 이용하여 행하고, 그의 평균값을 채용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롤의 점착체의 표면적을 제산함으로써 단위면적 환산의 포착량(mg/cm2)도 구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전사 레벨의 육안 관찰의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성)
가소제의 배합량과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충분량의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카오사 제조, 상품명 「레오돌(등록상표) MO-60」)가 공급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알루미노규산 유리제)에, 예 8, 9, 11 및 13에 따른 클리너 및 예 7에 따른 종래의 플로어링용 롤 형상 클리너의 점착 시트롤을 각각 3분간 굴려서,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를 상기 클리너의 점착체에 전사시켰다. 가압력은 약 700 g으로 하였다.
(2) 이 때의 상기 클리너의 중량을 측정하고, 초기 중량과의 차를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포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것을 1회째 포착량으로 하였다.
(3) 상기 3분간 굴린 직후부터 1분 간격으로, 상기와 다른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iPad(등록상표): 애플사 제품)의 평활한 플레이트 표면(깨끗한 상태)에 상기 클리너의 점착 시트롤을 가압력 약 1 kg으로 약 1/4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 표면으로의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전사 레벨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회 연속하여 전사가 보이지 않은 시점에서, 상기 (1)의 조작을 다시 행하고, 이 때의 상기 클리너의 중량을 측정하고, 1회째 포착량과의 차를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의 포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것을 2회째 포착량으로 하였다.
상기 전사 레벨의 육안 관찰은 상술한 기준으로 행하였다. 포착량(mg)에 대해서는, 점착 시트롤의 점착체의 표면적을 제산함으로써 단위 면적 환산의 포착량(mg/cm2)도 구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전사 레벨의 육안 관찰의 결과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 11에 따른 클리너의 글리세롤모노올레에이트 포착량은 최대로 20 mg이었다. 인간의 피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표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너는 특히 포착물을 제거하지 않아도 오염 포착 능력이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 상의 피지나 땀을 제거한 후, 잠시 시간을 두는 것에 의해 몇번이라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 내에 가소제를 배합함으로써, 오염의 포착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 중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배합량이 증가할수록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가소제를 점착제에 배합함으로써, 피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염을 포착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렇게 포착량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가소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염 포착 능력의 회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