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2788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7886A
KR20140027886A KR1020130101229A KR20130101229A KR20140027886A KR 20140027886 A KR20140027886 A KR 20140027886A KR 1020130101229 A KR1020130101229 A KR 1020130101229A KR 20130101229 A KR20130101229 A KR 20130101229A KR 20140027886 A KR20140027886 A KR 20140027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engaging portion
flat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토시 도조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2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8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도전성의 컨택트(5)가 수용된 하우징(3)과, 하우징(3)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으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가능한 삽입구(4)와, 하우징(3)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의해 컨택트(5)를 평판형상 케이블(2)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6)를 구비한다. 그리고, 컨택트(5)는, 하우징(3)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f21, f22)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하우징(3)에 걸어맞춰지는 제1 컨택트(5A)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 레버가 하우징의 전방측(삽입구측)에 설치되는 프론트 록 타입의 것이나, 레버가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백 록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하우징에는,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되어 있다. 컨택트는, 평판형상 케이블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있고, 이 한쌍의 아암간에 평판형상 케이블을 꽂아넣는다. 이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면, 한쌍의 아암은, 이들 양 아암간에 설치된 지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단측이 평판형상 케이블의 상하 양면을 끼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프론트 록 타입의 커넥터는, 레버의 회동력이 아암의 지점부보다도 선단측에 작용하는 한편, 백 록 타입의 커넥터는, 레버의 회동력이 아암의 지점부보다도 후단측에 작용한다. 즉, 프론트 록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커넥터의 선단측을 직접 닫는 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평판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백 록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커넥터의 지점부보다도 후단측이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닫히는 선단측에서 평판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록 타입과 백 록 타입에서는, 레버의 회동력을 컨택트에 작용시키는 위치가 지점의 앞쪽과 뒤쪽에서 상이하게 된다. 그러나, 백 록 타입에서는, 컨택트의 후방에 록 상태에 있는 레버의 수납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프론트 록 타입의 것과 비교해 커넥터의 저배화가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하우징에 컨택트를 압입하여 유지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8-28266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즉, 커넥터는, 압입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와, 이 본체부로부터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컨택트를 압입하는 컨택트 삽입공과, 이 컨택트 삽입공과 연결되어 컨택트의 돌기부를 유지하는 돌기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택트를 하우징의 컨택트 삽입공에 압입하여, 컨택트의 돌기부가 하우징의 돌기 유지부에 도달하여 유지될 때까지 밀어넣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에 컨택트를 압입하면, 그 압입력에 의해 하우징에 큰 부하가 걸린다. 이 때문에, 하우징의 이면에 컨택트 압입에 의한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커넥터의 박형화에 의해 더욱 현저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컨택트 압입에 의한 하우징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로서,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의 상벽 및 하벽으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춰지는 제1 컨택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은, 상기 제1 컨택트가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을 압접하는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직교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면의 상기 압입 방향 중앙에 대하여 상기 압입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이며,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의 상벽 및 하벽에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했을 때에, 당해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제1 컨택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를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었을 때에, 제1 컨택트의 하우징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의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에,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의 상기 삽탈 방향 이탈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컨택트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이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레버에 설치된 캠부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측 아암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측 아암이 연결 스프링부에 의해 연결된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아암은, 상기 가동측 아암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상기 고정측 아암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벽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벽에 있어서의 상기 삽탈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에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고정측 아암의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상측 규제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보호 부재의 부착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른 레버의 언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레버의 록 상태를 나타낸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보호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관련된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중의 영역 E1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관련된 하우징의 하벽의 이면에 발생한 팽창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영역 E2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커넥터의 제1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의 영역 E3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커넥터의 제2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 중의 영역 E4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1)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커넥터(1)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나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평판형상 케이블(2)을 회로 기판(C)(도 4 참조)에 도통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절연성의 하우징(3)을 가지고 있고, 이 하우징(3)의 전방측(도 2중 하방)에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가능한 삽입구(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 내에는, 삽입구(4)로부터 삽입되는 평판형상 케이블(2)과 도통 접속가능한 복수의 도전성의 컨택트(5)가 가로로 늘어선 상태로 정연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후방측(도 2중 상방)에는, 회동 조작에 의해 컨택트(5)를 평판형상 케이블(2)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접속시키는 레버(6)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3)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5)가 부착되는 홈부(31)가, 하우징(3)의 전후 방향(도 2중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가로 방향(폭 방향: 도 2중 좌우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31)는, 전방측에 개구하여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가능한 절결부(35a)가 형성된 격벽부(35)에 의해 폭방향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홈부(31)에 컨택트(5)가 1개씩 부착됨으로써, 복수의 컨택트(5)가 가로로 늘어선 상태로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삽입구(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하벽(32), 상벽(33) 및 양측벽(34)에 의해 가로로 확대되는 편평한 직사각형상으로 구획형성되어 있다. 즉, 삽입구(4)는,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으로 상하가 구획형성됨과 더불어, 하우징(3)의 양측벽(34)에 의해 폭방향 양단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물론, 삽입구(4)의 개구 면적은, 평판형상 케이블(2)의 두께 및 가로 폭에 알맞은 상하 및 좌우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은, 상벽(33) 및 하벽(32)이 삽입구(4)의 상하를 구획형성하면 되고, 폭방향 양단을 하우징(3)과는 별도 부재로 형성된 측벽(예를 들면, 금속판이나 수지판 등)에 의해 구획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컨택트(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판형상으로 된 도전성 재료를, 예를 들면 프레스 등으로 천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컨택트(5)는, 전후 방향(도 2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봉형상의 고정측 아암(51)과, 이 고정측 아암(51)과 동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평판형상 케이블(2)의 두께 방향에서 고정측 아암(51)과 대향하는 봉형상의 가동측 아암(레버(6)에 설치된 캠부(61)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측 아암)(52)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컨택트(5)는, 고정측 아암(51)이 가동측 아암(52)보다도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3)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측 아암(51)과 가동측 아암(52)은, 각각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끼리 연결 용수철부(53)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연결 용수철부(53)는 가동측 아암(52)이 개폐될 때의 지점이 된다. 또한, 고정측 아암(51)의 후단측에는 회로 기판(C)에 실장되는 단자부(5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자부(51b)에 의해 컨택트(5)는 회로 기판(C)과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한, 가동측 아암(52)의 후단측은 용수철부(52b)로 되어 있다. 컨택트(5)를 하우징(3)에 압입하면, 컨택트(5)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컨택트 걸어맞춤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형상 케이블(2)의 신호 단자(21)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지그재그상의 신호 단자(21)와 끼워맞추도록, 유효 끼워맞춤 길이(연결 용수철부에서 가동측 접점부까지의 아암의 길이)가 상이한 2종류의 컨택트(5A, 5B)가 교호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의 폭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세어 홀수번째의 컨택트(5A)보다도, 일단측으로부터 세어 짝수번째의 컨택트(5B)의 쪽이,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길어지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홀수번째의 컨택트는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짧고, 짝수번째의 컨택트는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실용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5A, 5B)가 교호로 나란히 설치되면서, 하우징(3)의 폭 방향의 양단에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짧은 컨택트(5A)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의 폭방향의 어느쪽측으로부터 세어도, 홀수번째에 컨택트(5A)가, 짝수번째에 컨택트(5B)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5)가, 컨택트(제1 컨택트: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짧은 컨택트)(5A)와, 컨택트(5A)와는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상이한 컨택트(제2 컨택트: 컨택트(5A)보다도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긴 컨택트)(5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의 종류는, 2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종류여도 되고, 3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컨택트(5A)가 전방측(압입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홈부(31)에 삽입(압입)되고, 컨택트(5B)가 후방측(압입 방향의 다른쪽측)으로부터 홈부(31)에 삽입(압입)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5A) 및 컨택트(5B)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홈부(31)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하우징(3)에 압입하고 있다.
레버(6)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일단부(6a)(도 4중 하방)에, 컨택트(5)의 고정측 접촉부(51a)와 가동측 접촉부(52a)간에 닫히는 방향의 가압력을 부가하는 캠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6b)(도 4중 상방)에는, 레버(6)를 회동 조작하는 조작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6)를, 단자부(51b)나 용수철부(52b)가 설치된 컨택트(5)의 후단측에 배치함과 더불어, 캠부(61)를, 고정측 아암(51) 및 가동측 아암(52)의 각각의 후단부(51c, 52c)간에 위치시킨다. 이 때, 레버(6)에는, 가동측 아암(52)의 후단부(52c)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버(6)가 컨택트(5)의 후단부, 즉, 하우징(3)의 후단부에 배치됨으로써, 백 록 타입의 커넥터(1)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6)는, 도 4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기립하여 언록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구(4)에 삽입시킨 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6)를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시켜서 쓰러뜨림으로써 록 상태로 되고, 이 록 상태에서 평판형상 케이블(2)과 컨택트(5)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즉, 레버(6)의 조작부(62)를 후방으로 회동시켜서 쓰러뜨림으로써, 캠부(61)는, 컨택트(5)의 고정측 아암(51)과 가동측 아암(52)의 후단부(51c, 52c)간을 밀어열도록 작용한다. 그러면, 고정측 아암(51)과 가동측 아암(52)은, 연결 용수철부(53)를 지점으로 하여 각각의 전단부(51d, 52d)가 닫히는 방향으로 거동한다. 이에 따라, 고정측 아암(51)과 가동측 아암(52)의 전단부(51d, 52d)에 설치된 고정측 접촉부(51a)와 가동측 접점부(52a)에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양면을 강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이 끼워넣음에 의해, 컨택트(5)와 평판형상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면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백 록 타입의 커넥터(1)에서는, 레버(6)를 록 상태로 한 경우에, 레버(6)가 컨택트(5)와 겹치지 않고 그 컨택트(5)의 후방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프론트 록 타입의 커넥터와 비교해 저배화를 촉진할 수 있다.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하는 삽입구(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구(4)의 양측벽(34)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 부재(100)는, 도 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상의 부착부(102)를 가지고 있고, 이 부착부(102)의 선단부를 U자형상으로 되꺽어, 그 U자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이 측벽(34)의 전면(34a)을 보호하는 가드부(101)로 되어 있다. 가드부(101)는, 부착부(102)의 일부(선단부)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보호 부재(100)는, 전체가 내마모성이 뛰어난 금속 재료, 예를 들면, 인청동, 황동, 티탄 구리, 베릴륨 구리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측벽(34)의 두께 내에는 소정 두께(t)를 남겨 보호 부재(100)의 부착부(102)를 삽입하는 부착공(3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공(34b)에 부착부(102)를 삽입함으로써, U자형상의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가 측벽(34)의 전면(선단면)(34a)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102)의 하변 중앙부에는, 부착공(34b)에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부(도시 생략)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볼록부(102a)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볼록부(102a)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부착부(102)가 벗겨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호 부재(100)에는, 가드부(101)의 선단부를 삽입구(4)의 안쪽에 연장 설치하고, 평판형상 케이블(2)의 양측에 일정한 탄성 가압력을 부가하는 케이블 유지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호 부재(100)는, 가드부(101), 부착부(102) 및 케이블 유지부(103)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낚시바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호 부재(100)에 케이블 유지부(103)가 설치된 한편, 삽입구(4)의 양측벽(34)의 안쪽에는, 그 케이블 유지부(103)의 수납 스페이스가 되는 홈부(34c)가 깊이(d)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홈부(34c)의 깊이(d)는, 케이블 유지부(103)의 두께와 같거나, 혹은 그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 유지부(103)는, 가드부(101)의 선단으로부터 측벽(34)을 따라 삽입구(4)의 안쪽으로 연장된 후, 그 연장 설치된 선단부(103a)가 삽입구(4)의 폭방향의 중앙부측을 향해서 약간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는, 자연 상태에서는 측벽(34)의 안쪽으로부터 약간 삽입구(4) 내로 돌출된 모습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케이블 유지부(103)는, U자형상으로 만곡된 가드부(101)에 구비되는 탄발력에 의해, 삽입된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을 가압하는 탄성 가압력이 부여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케이블 유지부(103)의 자연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서,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가,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보다도 안쪽으로 돌출된 모습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평판형상 케이블(2)이 삽입구(4)에 삽입된 실제 상태에서는, 평판형상 케이블(2)의 측면에 의해, 그 측면보다도 케이블 유지부(103)의 선단부(103a)가 바깥쪽으로 밀어넣어지는 모습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100)가 측벽(34)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보호 부재(100)의 가드부(101)와 양측벽(34)의 전면(34a)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δ)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보호 부재(100)의 표면에는,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보호 부재(100)는, 삽입구(4)의 양 측벽(34)에 각각 부착되어 있고, 그 한쌍의 보호 부재(100)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에서는, 컨택트(5)의 단자부(51b)가 회로 기판(C)에 실장되어 있다. 한편, 평판형상 케이블(2)을 커넥터(1)의 삽입구(4)에 삽입하여 레버(6)를 록 상태로 했을 때에, 평판형상 케이블(2)은 컨택트(5)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따라서,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구(4)에 삽입하여 레버(6)를 록함으로써, 평판형상 케이블(2)과 회로 기판(C)은 컨택트(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된다.
다음에, 컨택트 걸어맞춤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컨택트(5A) 및 컨택트(5B) 중 유효 걸어맞춤 길이가 짧은 컨택트(5A)의 걸어맞춤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컨택트(5A)는, 전방측(압입 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홈부(31)에 압입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에 컨택트(5A)를 삽입하면서, 하벽(32)과, 홈부(3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격벽부(35)끼리 연결하는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의 사이에,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을 압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입의 범위를 하벽(32)과 연결 벽부(36)의 사이에 한정하고 있고, 이와같이 함으로써 컨택트(5A)를 하우징(3)에 압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벽부(36)를 홈부(31)의 안쪽(홈부(31)에 있어서, 당해 홈부(31)에 삽입되는 컨택트(5A)의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5A)를 홈부(31) 내에 압입할 때는, 컨택트(5A)를 어느 정도까지 홈부(31) 내에 삽입하여, 그 상태에서 압입을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컨택트(5A)를 홈부(31) 내에 압입할 때에, 컨택트(5A)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택트(5)를 하우징(3)에 삽입할 때에, 삽입되는 컨택트(5)에 있어서, 최초에 하우징(3)의 홈부(31) 내에 삽입되는 쪽이 컨택트(5)의 삽탈 방향 삽입측이 된다. 즉, 하우징(3)의 전방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컨택트(5A)는, 당해 컨택트(5A)의 후방측(도 10의 우측)이 삽탈 방향 삽입측이 되고, 전방측(도 10의 좌측)이 삽탈 방향 이탈측이 된다. 한편, 하우징(3)의 후방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컨택트(5B)는, 당해 컨택트(5B)의 전방측(도 4의 좌측)이 삽탈 방향 삽입측이 되고, 후방측(도 4의 우측)이 삽탈 방향 이탈측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5B)에 대해서는, 컨택트(5B)를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으로 끼워 지지되도록 압입한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컨택트(5B)가 삽입되는 홈부 내에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를 형성하여, 압입의 범위를 하벽(32)과 연결 벽부의 사이로 한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비교예에 관한 커넥터(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중의 영역 E1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우징(3)에 컨택트(5A)를 압입하면, 그 압입력에 의해 하우징(3)에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5A)의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하벽(32)에는, 돌기부(71)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전방으로부터(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컨택트(5A)를 하우징(3)에 압입하면, 고정측 아암(51)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71)가 하벽(32)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72)에 걸어맞춰지고,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걸어맞춤부(72)의 상면(72a)의 전후 방향 중앙(압입 방향 중앙) 부근에는 상방향(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한쪽측)의 압입력(f11)이 발생하고, 돌기부(71)에는 하방향(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다른쪽측)의 압입력(f12)이 발생한다. 이 압입력(f11과 f12)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직교 방향)에 있어서, 동일 연직선 상에 발생하므로, 고정측 아암(51)이 상하로 밀쳐져, 하우징(3)의 하벽(32)으로의 부하가 커진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하벽(32)의 이면에 컨택트 압입에 의한 팽창(73)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중의 영역 E2의 확대도이다.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컨택트(5A)의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하벽(32)에는, 돌기부(81)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비교예와 다른 점은, 돌기부(81)를 비교예(돌기부(71))보다도 도 11 상에서 우측에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즉, 비교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2)의 상면(72a)의 압입 방향 중앙 부근에서 돌기부(71)가 걸어맞춰지는데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82)의 상면(82a)의 압입 방향 중앙보다 우측(압입 방향 중앙에 대하여 압입 방향 한쪽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돌기부(81)가 걸어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방향의 압입력(f22)은, 비교예(압입력(f12))보다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방향의 압입력(f21)은, 비교예(압입력(f11))와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부(82)의 상면(82a)의 압입 방향 중앙 부근에 발생한다. 그 결과, 압입력(f21, f22)이 동일 연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진다. 이 때문에, 상하의 밀쳐짐이 경감되어, 하우징(3)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압입력(f21, f2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f10)가 작용한다. 이 때문에, 납땜부(컨택트(5))가 부상하는 것이 방지되어, 조립 치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부(81)가 형성된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을 하우징(3)에 압입한 경우, 돌기부(81)는, 걸어맞춤부(82)의 상면(82a)에 있어서의 압입 방향 중앙에서 우측 상부를 하방 또한 좌측에 가압한 상태에서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춰진다. 이러한 돌기부(81)와 걸어맞춤부(82)의 걸어맞춤에 의해, 컨택트(5A)의 하우징(3)으로의 고정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컨택트(5A)의 하우징(3)으로부터의 탈락 막음이 이루어진다. 즉, 돌기부(81)를 걸어맞춤부(82)보다도 컨택트(5A)의 삽탈 방향 삽입측으로부터 걸리도록 압입함으로써,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면 상에서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컨택트(5A)를 하우징(3)에 압입하고, 걸어맞춤부(82)의 우측에 돌기부(81)가 배치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부(82)의 상면 중앙보다 우측에서 돌기부(81)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을 예시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부(82)의 좌측에 돌기부(81)가 배치될 경우는, 걸어맞춤부(82)의 상면 중앙보다 좌측에서 돌기부(81)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우징(3)의 상하 방향으로 압입력(f21, f22)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압입력(f21, f22)의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이면 되고, 직교 방향은, 어떠한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컨택트(5) 중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짧은 컨택트(5A)를 하우징(3)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지는 구조가 되도록 한 것을 예시했는데,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긴 컨택트(5B)에 있어서,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복수 종류의 컨택트를 이용하는 커넥터의 경우, 적어도 1종류의 컨택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컨택트의 종류수에 상관없이(컨택트의 종류가 1종류거나 2종류 이상이어도), 컨택트가, 하우징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하우징에 걸어맞춰지는 제1 컨택트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컨택트(5A)가 복수 배치되는 경우에, 복수의 컨택트(5A) 중의 일부 컨택트(5A)가, 하우징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하우징에 걸어맞춰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에 의하면, 컨택트(5)(컨택트(5A))를 하우징(3)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컨택트(5)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진다. 즉, 컨택트(5)가, 하우징(3)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하우징(3)에 걸어맞춰지는 컨택트(제1 컨택트)(5A)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밀쳐짐이 경감되어, 하우징(3)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은, 컨택트(5)(컨택트(5A))가 평판형상 케이블(2)을 압접하는 방향이다. 즉, 컨택트(5)가 평판형상 케이블(2)을 압접하는 방향에 발생하는 압입력(f21, f22)이 동일 연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컨택트(5)를 하우징(3)에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컨택트(5)(컨택트(5A))는,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81)를 구비하고, 하우징(3)은, 돌기부(81)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82)를 구비하고, 걸어맞춤부(82)의 상면(82a)의 압입 방향 중앙보다 우측(압입 방향 중앙에 대하여 압입 방향 한쪽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돌기부(81)가 걸어맞춰진다. 즉, 돌기부(81)를 걸어맞춘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컨택트 걸어맞춤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81)에 의해 컨택트(5)가 걸어맞춰지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컨택트 걸어맞춤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커넥터(1A)로 할 수 있다.
도 12는, 커넥터(1)의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1A)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중의 영역 E3의 확대도이다.
커넥터(1A)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커넥터(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커넥터(1A)는, 도전성의 컨택트(5)가 수용되는 하우징(3)과, 하우징(3)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당해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에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2)을 삽입가능한 삽입구(4)와, 하우징(3)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의해 컨택트(5)를 평판형상 케이블(2)에 압접시켜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6)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4)는,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에서 상하가 구획형성됨과 더불어, 하우징(3)의 양 측벽(34)에 의해 폭 방향 양단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폭방향 양단을 하우징(3)과는 별도 부재로 형성된 측벽(예를 들면, 금속판이나 수지판 등)에 의해 구획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컨택트(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봉형상의 고정측 아암(51)과, 이 고정측 아암(51)과 동 방향에 연장 설치되고, 평판형상 케이블(2)의 두께 방향에서 고정측 아암(51)과 대향하는 봉형상의 가동측 아암(레버(6)에 설치된 캠부(61)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측 아암)(5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고정측 아암(51)과 가동측 아암(52)은, 각각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끼리 연결 스프링부(53)로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컨택트(5)는, 고정측 아암(51)이 가동측 아암(52)보다도 하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3)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5)는, 컨택트(제1 컨택트: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짧은 컨택트)(5A)와, 컨택트(5A)와는 유효 끼워맞춤 길이가 상이한 컨택트(제2 컨택트:컨택트(5A)보다도 유효 끼워 맞춤 길이가 긴 컨택트)(5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컨택트의 종류는, 2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종류여도 되고, 3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그리고, 컨택트(5A)가 전방측으로부터 홈부(31)에 삽입되고, 컨택트(5B)가 후방측으로부터 홈부(31)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의 하벽(31)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5A)의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이며, 고정측 아암(51)의 하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81)가 하벽(32)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걸어맞춰진다. 또한,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는, 하우징(3)의 하벽(32)에 있어서의 삽탈 방향 중앙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A)의 컨택트(5)는, 하우징(3)에 삽입했을 때에, 하우징(3)의 하벽(31)에 형성되어, 상방에 돌출하는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추는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형성된 컨택트(제1 컨택트)(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택트의 종류수에 상관없이(컨택트의 종류가 1종류거나 2종류 이상이어도), 컨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제1 컨택트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를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추었을 때에,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의 후면(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82b)에,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의 전면(삽탈 방향 이탈측의 면)(81a)이 맞닿음으로써,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의 후면(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82b)과,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의 전면(삽탈 방향 이탈측의 면)(81a)의 맞닿음은, 본 변형예에서는 면접촉이 되는데, 면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컨택트(제1 컨택트)(5A)가 삽입되는 홈부(31)의 후방측에는, 인접하는 격벽부(35)끼리 연결하는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에 의해, 고정측 아암(51)의 후방측(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이 상방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즉, 하우징(3)에는, 고정측 아암(51)의 삽탈 방향 삽입측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의 후면(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82b)과,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의 후면(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36a)은, 동일한 평면 내에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복잡한 금형을 이용하지 않고 하우징(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변형예에서는,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를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컨택트(제1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압입되지 않고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구조에서도,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으로의 삽입시에,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하벽(32)과 연결 벽부(36)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컨택트(제1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압입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는, 하우징(3)에 압입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는,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삽입측으로의 상대 이동(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이동)은, 단자부(51b)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하측으로의 상대 이동은, 하벽(31)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컨택트(5A)는, 삽탈 방향의 양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하우징(3)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3)에 압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라도, 컨택트(5A)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택트(5B)에 대해서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컨택트(5B)가 하우징(3)의 상벽(33) 및 하벽(32)으로 끼워 지지되도록 압입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컨택트(5B)에 본 변형예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를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컨택트(제1 컨택트)(5A)가 하우징(3)에 압입되지 않고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3)에 컨택트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하우징(3)으로의 부하를 한층 더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은, 본 변형예와 같이, 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 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가, 하우징(3)의 하벽(32)에 있어서의 삽탈 방향 중앙부보다도 삽탈 방향 삽입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와 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의 걸어맞춤 부분이 하우징(3)의 비교적 변형되기 쉬운 부위로 되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걸어맞춤부(하우징측 걸어맞춤부)(82)의 후면(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82b)에, 돌기부(컨택트측 걸어맞춤부)(81)의 전면(삽탈 방향 이탈측의 면)(81a)이 맞닿음으로써,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컨택트(제1 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컨택트(5A)의 하우징(3)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하우징(3)에, 고정측 아암(51)의 삽탈 방향 삽입측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를 형성하고 있다. 즉,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36)에 의해, 고정측 아암(51)의 삽탈 방향 삽입측이 상방으로 이동해버리는 것이 규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부(51b)가 하방에 이동하는 방향으로 컨택트(5A)가 회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A)가 회로 기판(C)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컨택트측 걸어맞춤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단차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의 형상도, 예를 들면, 단차상, 오목형상, 관통구멍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도 14, 도 15에 나타내었듯이,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의 형상을 관통구멍(82)으로 하면, 걸어맞춤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다, 걸어맞춤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측 걸어맞춤부는, 하벽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벽부(상측 규제부)나 하우징의 그 외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컨택트측 걸어맞춤부의 형성 장소도, 고정측 아암의 하부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컨택트의 다른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상벽 및 하벽으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 접속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압입했을 때에 압입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발생하는 압입력이 동일 직선상이 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춰지는 제1 컨택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은, 상기 제1 컨택트가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을 압접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직교 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상면의 상기 압입 방향 중앙에 대하여 상기 압입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도전성의 컨택트가 수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상벽 및 하벽으로 상하가 구획형성되어, 평판형상 케이블을 삽입가능한 삽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컨택트를 상기 평판형상 케이블에 압접시켜 상호 도통접속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제1 컨택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를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췄을 때에, 제1 컨택트의 하우징에 대한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의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의 면에,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의 상기 삽탈 방향 이탈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컨택트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삽탈 방향 이탈측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상기 레버에 설치된 캠부에 의해 구동되는 가동측 아암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측 아암이 연결 스프링부에 의해 연결된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스프링부보다도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의 부위에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아암은, 상기 가동측 아암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컨택트측 걸어맞춤부가 상기 고정측 아암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벽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측 걸어맞춤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벽에 있어서의 상기 삽탈 방향 중앙부보다도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고정측 아암의 상기 삽탈 방향 삽입측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상측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101229A 2012-08-27 2013-08-26 커넥터 Withdrawn KR20140027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86113A JP6021058B2 (ja) 2012-08-27 2012-08-27 コネクタ
JPJP-P-2012-186113 2012-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86A true KR20140027886A (ko) 2014-03-07

Family

ID=5014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229A Withdrawn KR20140027886A (ko) 2012-08-27 2013-08-26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5503B2 (ko)
JP (1) JP6021058B2 (ko)
KR (1) KR20140027886A (ko)
CN (1) CN103633462B (ko)
TW (1) TWI5957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8705B2 (ja) * 2012-09-11 2016-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1926B2 (ja) * 2014-10-03 2017-05-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332046B2 (ja) * 2015-01-14 2018-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342B2 (ja) * 2015-01-26 2018-06-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92995B2 (ja) * 2015-07-08 2019-10-2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553973B2 (en) 2015-09-08 2020-02-04 Fci Usa Llc Electrical power connector
JP6533151B2 (ja) * 2015-11-18 2019-06-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4498109B (zh) * 2017-08-03 2024-10-11 安费诺有限公司 用于高速互连的线缆连接器
CN115632285A (zh) 2018-04-02 2023-01-20 安达概念股份有限公司 受控阻抗线缆连接器以及与其耦接的装置
CN113474706B (zh) 2019-01-25 2023-08-29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被配置用于线缆连接至中间板的i/o连接器
US11101611B2 (en) 2019-01-25 2021-08-24 Fci Usa Llc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d connection to the midboard
WO2021055584A1 (en) 2019-09-19 2021-03-25 Amphenol Corporation High speed electronic system with midboard cable connector
CN113258325A (zh)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4391A (en) * 1990-09-27 1991-11-12 Amp Incorporated Asymmetrical high density contact retention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WO2006016482A1 (en) * 2004-08-10 2006-02-16 Ddk Ltd. Connector
JP4672485B2 (ja) * 2005-08-25 2011-04-20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2008066245A (ja) * 2006-09-11 2008-03-21 Molex Inc 中継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282668A (ja) 2007-05-10 2008-11-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10049999A (ja) * 2008-08-22 2010-03-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817466B2 (ja) *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558040B2 (ja) * 2009-07-29 2014-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JP5739104B2 (ja) * 2010-01-29 2015-06-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JP5123975B2 (ja) * 2010-04-08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004072A (ja) * 2010-06-21 2012-01-05 Omron Corp コネクタ
US7931492B1 (en) * 2010-07-29 2011-04-26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Structure of conductive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CN201887191U (zh) * 2010-08-31 2011-06-29 帏翔精密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2076456U (zh) * 2011-05-03 2011-12-14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33462A (zh) 2014-03-12
TWI595707B (zh) 2017-08-11
JP6021058B2 (ja) 2016-11-02
US20140057475A1 (en) 2014-02-27
JP2014044849A (ja) 2014-03-13
TW201409850A (zh) 2014-03-01
US9735503B2 (en) 2017-08-15
CN103633462B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7886A (ko) 커넥터
JP4760683B2 (ja) コネクタ
US6716069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retainer held securely on the housing
EP3573189B1 (en) Connector
JP5298227B1 (ja) コネクタ
JP200625301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2021326B2 (en) Connector having a movable member
WO2018070197A1 (ja) コネクタ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JP6176544B2 (ja) コネクタ
KR20140034080A (ko) 커넥터
JP6686140B2 (ja) コネクタ
KR100446796B1 (ko) 커넥터
US7695325B2 (en) Connector
JP5336679B1 (ja) コネクタ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WO2022255068A1 (ja) コネクタ
JP4274570B2 (ja) コネクタ
JP4134236B1 (ja) 電気コネクタ
JP5565184B2 (ja) コネクタ
US20200083632A1 (en) Connector
JP6491008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WO2024241945A1 (ja) コネクタ
JP564627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8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