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7397A -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97A
KR20130097397A KR1020120019019A KR20120019019A KR20130097397A KR 20130097397 A KR20130097397 A KR 20130097397A KR 1020120019019 A KR1020120019019 A KR 1020120019019A KR 20120019019 A KR20120019019 A KR 20120019019A KR 20130097397 A KR20130097397 A KR 20130097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ir
piston
rod
air compre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선
Original Assignee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12001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7397A/ko
Publication of KR2013009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9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중앙에 통공(11)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압축실((21a))과 안내공(21b)이 연결 형성된 안내관(20)의 내부에 피스톤(26)을 갖는 로드(25)를 삽입하여 상기 로드의 상부에 스프링(29)으로 탄력 설치된 푸쉬버턴(28)의 탄발 가압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토출수단(20)과;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 중앙의 절결부(31)가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누름작동되어 개방되는 토출밸브(30)와; 상기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분사 안내공(41)을 갖는 분사 안내구(40)로 이루어진 공기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토출수단(20)의 피스톤(26)으로는 푸쉬버튼(28)의 탄발 가압 작동시 외부로 부터 공기가 안내관(2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26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내부로는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외부로 부터 공기가 유입 및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27)를 로드(25)에 억지 끼움 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중앙으로 로드에 끼우기 위한 결합공(27b)이 관통 형성되는 밸브본체(27a)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가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에 따라 피스톤의 내주 벽면(26b)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외기 공급공(26a)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경사 날개부(27c)로 구성하여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짐으로 인해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공기 압축력을 항상 일정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토출 작업을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JET TYPE DISPENSER THAT US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으로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에 의해 파우더나 액상의 내용물을 분사 공급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체크밸브의 본체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개폐 제어판을 이용하여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시 피스톤이 구비된 안내관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 빛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 토출에 따른 일정한 공기 압축력을 제공하여 내용물의 안정된 토출이 가능하도록 한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나 액상의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을 용기에 저장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을 적정량 토출 사용하기 위해서 펌프,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에 의해 내용물을 분사 공급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용기를 특허등록 제775650호, 특허등록 제840590호, 특허등록 제856698호, 특허등록 제840589호로 다수 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기술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1)의 상부에 안내관(2)을 안착 설치하되, 상기 안내구는 내부에 상측으로 공기 압축실(2a), 하측으로 안내공(2b)을 연결 형성하여 상기 공기 압축실에서 압축 작동하는 피스톤(3a)과 상기 안내공(2b) 사이로 미세 간극을 형성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로드(3b)를 일체로 삽입 설치하고, 상기 로드의 상부에는 푸쉬버튼(4)을 탄발스프링에 의해 탄발 가압 작동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는 피스톤(3a)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하는 통공(1a)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하부로 로드(2b) 하단에 의해 누름작동되어 중앙의 절결부(5a)가 개폐되는 토출밸브(5)와, 상기 토출되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분사 안내구(6)를 결합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 안내구(6)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브러쉬나 스펀지와 같은 도구(7)를 결합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선행 특허기술은 사용자가 푸쉬버튼(4)을 탄발 가압작동함에 의해 로드(3b)가 함께 하강하면서 토출밸브(5)의 절결부(5a)를 눌러 개방작동하고, 이와 함께 상기 로드의 피스톤(3a)이 공기 압축실(2a)에서 하강하면서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에 의해 안내관(2)의 안내공(2b)과 로드(3b) 사이의 틈새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개방조작되는 상기 토출밸브(5)의 절결부(5a)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토출밸브(5)의 절결부(5a)를 통해 분사 안내구(6)로 토출 공급되는 내용물은 직접 사용되거나, 또는 내용물의 용도에 맞게 설계되어 분사 안내구(6)의 하부로 결합되어지는 별도의 브러쉬나 스펀지와 같은 도구(7)를 통해 사용되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은 로드(3b)에 구비된 피스톤(3a)이 공기 압축 작동하는 공기 압축실(2a)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 사용시, 점차적으로 상기 공기 압축실(2a)에서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이 저하되는 문제로 인해 공기 분사가 약화되고 이로 인해 내용물의 토출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음은 물론 상기한 공기 분사 약화로 인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특허 제1081470호 에는, 공기 압축을 위한 피스톤의 내부에 판 형태의 체크 밸브판을 구비하여 공기 압축에 따른 공기 압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체크 밸브판이 피스톤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의 단차면을 이용하여 푸쉬버튼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을 차단하고, 푸쉬버튼의 가압 해제시에는 하강하면서 상기 공기 유입공을 개방 조작하도록 되어 있어서, 푸쉬버튼에 의한 공기 압축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판 형태의 체크 밸브판이 로드에 형성된 단차면을 통해 일정거리만큼 승 하강하는 동작이 불규칙하거나 불균형적으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토출 작용에 따른 공기 유입 및 차단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814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선행 기술들이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의 공기 압축력에 의해 내용물을 분사 공급하고,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시 안내관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체크밸브의 본체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날개부가 피스톤의 내 벽면에 대해 상호 개폐 조작되도록 하여 푸쉬버튼의 푸쉬 압력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안정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일정한 공기 압축력의 발생 제공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 압축실과 안내공이 연결 형성된 안내관의 내부에 피스톤을 갖는 로드를 삽입하여 상기 로드 상부의 푸쉬버튼을 탄발 가압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토출수단과;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누름작동되어 개방되는 절결부를 갖는 토출밸브와; 상기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분사 안내구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으로는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시 안내관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내부로는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및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로드에 억지 끼움 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중앙으로 로드에 끼우기 위한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가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에 따라 피스톤의 내 벽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외기 공급공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경사 날개부로 구성된 점에 그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크밸브의 경사 날개부는 피스톤의 내주 벽면에 대한 개폐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향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시 외부 공기가 안내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용물토출수단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으로 발생되는 피스톤의 공기 압축력을 항상 일정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내용물의 토출 작업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체크밸브의 본체로 구비되는 경사 날개부부가 하향으로 경사지게 박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경사 날개부가 피스톤의 내주 벽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외기 공급공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이 효과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내용물 토출에 따른 외기의 유입 및 차단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로드에 대해 실리콘 소재의 체크밸브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지지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로드에 단차면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제작 및 조립상의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분사식 용기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식 용기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측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발췌 사시도 및 측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출밸브 구조를 보여주는 발췌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푸쉬버튼이 가압 및 해제된 상태의 작동 상태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중앙에 통공(11)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 압축실((21a))과 안내공(21b)이 연결 형성된 안내관(20)의 내부에 피스톤(26)을 갖는 로드(25)를 삽입하여 상기 로드의 상부에 스프링(29)으로 탄력 설치된 푸쉬버턴(28)의 탄발 가압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토출수단(20)과;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중앙의 절결부(31)가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누름 작동되어 개방되는 토출밸브(30)와;
상기 내용물토출수단의 누름 작동에 의해 토출밸브(3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분사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밸브의 하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분사 안내공(41)을 갖는 분사 안내구(40) 및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50)으로 대별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토출수단(20)의 피스톤(26)으로는 푸쉬버튼(28)의 탄발 가압 작동시 안내관(21)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26a)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공(26a)은 체크밸브(27)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적절히 차단 또는 개방 조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27)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본체(27a)와, 밸브 본체(27a)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로드(25)에 끼워지는 결합공(27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 본체의 외주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박판(薄板)으로 이루어지는 경사 날개부(2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경사 날개부(27c)는 하향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외기 유입 및 차단 동작시 피스톤(26)의 내주 벽면(26b)에 대한 개폐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27)는 로드(25)에 대한 안정된 결합 및 경사 날개부(27c)의 안정된 개폐 작용을 고려하여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기타 대체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27)는 피스톤(26)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로드(25)에 밸브 본체(27a)로 형성된 결합공(27b)이 상호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지지 되되, 경사 날개부(27c)가 피스톤(26)의 내주 벽면(26b)과 밀착 또는 이격되어 지면서 외기의 유입 및 차단이 효과적으로 제어되도록 조립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부에는 토출밸브(30)와 분사 안내구(40)를 지지하기 위한 인너 캡(60)을 결합하되, 상기 인너 캡 하부로는 분사 안내구(40)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을 흡수하도록 브러쉬나 스펀지와 같은 도구(65)가 결합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구(65)는 상기 브러쉬나 스펀지를 비롯하여 공기 압축력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설계 및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2는 용기본체와 안내구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체, 19는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캡, 70은 용기본체와 하부 캡(50) 사이로 결합되어 인너 캡(60)을 지지하는 중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분사식 용기는 푸쉬버튼(28)을 누름 작동함에 의해 안내관(21)의 공기 압축실(21a)에서 발생되는 피스톤(26)의 공기압축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 토출수단에 있어서, 내용물 토출 동작시 피스톤(26)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기 압축실(21a)로 유입되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일정한 공기 압축력의 제공을 통해 내용물 토출 작업이 매우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체크밸브(27)를 피스톤(26)의 내부에 배치시켜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수납된 파우더나 액상의 내용물을 공기 압축력으로 토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푸쉬버튼(28)을 스프링(29)에 의해 탄발 가압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28)의 탄발 가압시 이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피스톤(26)이 안내관(21)의 공기 압축실(21a)을 따라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압축실(21a)에는, 푸쉬버튼(28)이 가압되기 전에 이미 피스톤(26)의 공기 유입공(26a)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28)이 강제로 눌려져 피스톤(26)이 공기 압축실(21a)을 따라 하강하면, 체크밸브(27)의 경사 날개부(27c)는 하부로 확관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관(21)의 공기 압축력에 의해 로드(25)와 함께 하강 이동하면서 가장자리가 상부로 들려지는 작용을 통해 상기 피스톤(26)의 내주 벽면(26b)과 더욱 밀착되어 지고, 피스톤(26)의 내주 벽면(26b)에 대한 경사 날개부(27c)의 밀착 동작을 통해 피스톤에 형성된 공기유입공(26a)을 통한 외기의 유입은 차단되어지고, 동시에 상기 하강하는 피스톤(26) 작용에 의해 공기 압축실(21a)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일정한 공기 압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외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로 피스톤의 하강 작용에 의해 상기 안내관(21)의 공기 압축실(21a)에서 발생되는 강한 공기 압축력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토출밸브(30)의 중앙에 형성된 절결부(31)가 로드(25)의 하강에 의해 강제로 개방되어 지고, 상기와 같이 강제로 개방되는 토출밸브(30)의 절결부(31)와 분사 안내구(40)의 분사 안내공(41)을 통해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이 신속하게 토출되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 안내구(40)를 통해 공기 압축력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은 직접 사용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용기본체 하부의 인너캡(60)에 결합되는 브러쉬나 스펀지와 같은 도구(65) 내부로 토출하여 사용되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푸쉬버튼(28)을 탄발 가압 작동함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한 후 도 8과 같이 상기 푸쉬버튼(28)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푸쉬버튼(28) 및 안내관(21)은 탄발 스프링(29)의 신장력에 의해 탄발 상승 복귀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피스톤(26)의 내주벽면(26b)에 밀착되어 있던 체크밸브(27)의 경사 날개부(27c)는 역으로 공기 유입공(26a)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압에 의해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눌려져 피스톤(26)의 내주 벽면(26b)과 이격 개방 조작되면서 틈새를 발생시키게되어 공기 유입공(26a)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어짐에 따라 안내관(21)의 공기 압축실(21a) 내부로는 외부 공기가 재유입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6)의 가압 및 해제 조작시 토출밸브(30)의 절결부(31)는 푸쉬버튼의 가압시에는 로드에 의해 강제로 눌려져 개방 조작되고, 해제시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오므려져 닫혀지는 동작을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부터 내용물의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버튼(28)을 1회 탄발 가압함과 동시에 공기 압축실(21a)로는 피스톤(26)의 내주 벽면과 밀착 또는 해제되는 체크밸브의 경사 날개부 구성에 의해 푸쉬버튼의 가압력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공기 유입공(26a)을 통한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스톤(26) 작용시 일정한 공기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일정량의 내용물을 안정되게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용물을 토출시키켜 사용하고자 하는 계속적으로 상기 푸쉬버튼(28)을 탄발 가압작동함에 의해 일정하게 내용물을 분사 안내구(40) 방향으로 안정되게 토출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용기본체 11: 통공
20: 내용물토출수단 21: 안내관
21a: 공기압축실 25: 로드
26: 피스톤 26a: 공기 유입공
26b: 피스톤의 내주 벽면 27: 체크밸브
27a: 밸브 본체 27b: 결합공
27c: 경사 날개부 28: 푸쉬버튼
30: 토출밸브 31: 절결부
40: 분사 안내구

Claims (2)

  1. 하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고 내부에 공기 압축실과 안내공이 연결 형성된 안내관의 내부에 피스톤을 갖는 로드를 삽입하여 상기 로드 상부의 푸쉬버튼을 탄발 가압 작동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으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내용물토출수단과; 상기 용기본체 하부에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누름작동되어 개방되는 절결부를 갖는 토출밸브와; 상기 내용물토출수단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분사 안내구;로 이루어진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으로는 푸쉬버튼의 누름 조작시 안내관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유입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내부로는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시 상기 공기 유입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및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로드에 억지 끼움 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중앙으로 로드에 끼우기 위한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둘레 가장자리가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 및 해제 동작에 따라 피스톤의 내주 벽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외기 공급공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차단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경사 날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경사 날개부는 하향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1020120019019A 2012-02-24 2012-02-24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Ceased KR20130097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9A KR20130097397A (ko) 2012-02-24 2012-02-24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9A KR20130097397A (ko) 2012-02-24 2012-02-24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97A true KR20130097397A (ko) 2013-09-03

Family

ID=4944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019A Ceased KR20130097397A (ko) 2012-02-24 2012-02-24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73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3421A (zh) * 2015-09-17 2015-12-23 陈超 多剂量滴眼剂无菌给药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3421A (zh) * 2015-09-17 2015-12-23 陈超 多剂量滴眼剂无菌给药系统
CN105173421B (zh) * 2015-09-17 2017-05-10 陈超 多剂量滴眼剂无菌给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145854B2 (ja) 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KR10106199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248363B1 (ko)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KR101630356B1 (ko)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KR20100099385A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JP2017512520A (ja) 真空ポンプを具備する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US20180050360A1 (en) Fixed nozzle and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KR100996439B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101081470B1 (ko)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100840590B1 (ko) 화장도구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화장도구
KR200455888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20100022603A (ko) 펌핑 노즐을 일체로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30097397A (ko) 공기 압축력을 이용한 내용물 분사식 용기
KR101097770B1 (ko) 긴밀한 개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5253267B2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JP3889557B2 (ja) スプレー容器
KR2016010270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0855445B1 (ko) 좌우대칭의 버튼식 에어리스펌핑구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WO2012081060A1 (ja) 液体貯蔵容器の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