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0356B1 -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356B1
KR101630356B1 KR1020140062049A KR20140062049A KR101630356B1 KR 101630356 B1 KR101630356 B1 KR 101630356B1 KR 1020140062049 A KR1020140062049 A KR 1020140062049A KR 20140062049 A KR20140062049 A KR 20140062049A KR 101630356 B1 KR101630356 B1 KR 10163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valve
capsul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92A (ko
Inventor
고준봉
Original Assignee
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원 filed Critical 박상원
Priority to KR102014006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3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3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고압의 에어가 밀봉된 에어캡슐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저장된 미용수나 에어를 전량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진된 미용수나 에어캡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캡슐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에어공급을 차단하여 공기압에 의해 분사모듈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Portable Automatic Mist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 구조를 가지며, 필요시 에어캡슐에 저장된 공기압을 이용하여 미용수를 얼굴이나 피부에 자동분사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스트 장치는 미용수를 미립상태로 분사하여 사용자가 얼굴이나 피부에 미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미용용 분사장치이다.
종래의 미스트 장치는 미용수가 담긴 용기의 상단에 분사모듈을 장착하여 분사모듈의 펌핑동작에 의해 용기의 미용수가 끌어올려지며 분사구를 통해 미세입자로 분사되는 구조로 구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미스트 장치의 경우 분사모듈의 펌핑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분사모듈의 분사스위치를 수차례 가압하는 동작을 취해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며 가압력에 따라 분사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균일한 상태로 미립화된 미용수가 분사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정양의 미용수가 수용된 미용수 봉지를 용기의 내부에 배치하고, 용기의 내부공간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용기 상단의 분사모듈의 분사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공기압이 미용수 봉지를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미용수가 자동공급되는 자동 미스트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동 미스트 장치의 경우 일정크기의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해 용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휴대하기가 제한되어 사용장소에 비치하여 이용해야 하였으며, 사용에 따라 소진된 미용수나 공기압을 재충전하지 못하는 일회용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자동 미스트 장치의 교체주기가 짧아 유지관리 비용이 증대되었다.
또한, 상기 자동 미스트 장치를 사용중에 떨어뜨리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 용기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밀폐부분이 벌어질 경우 주입된 공기압이 외부로 누출되면서 미용수의 잔량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미용수와 에어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소진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잔량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미사용된 잔량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용기와 분사모듈간의 결합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 주입된 공기압에 의해 분사모듈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80호(2008.03.07), 미스트 미용수 발생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에어가 밀봉된 에어캡슐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비되고, 저장된 미용수나 에어를 전량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진된 미용수나 에어캡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캡슐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에어공급을 차단하여 공기압에 의해 분사모듈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되는 에어챔버(110);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캡슐(10)과 연통되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간부(121)가 형성된 밸브챔버(120); 상기 밸브챔버(120)의 내부에 상향 탄발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에어공간부(121)와 연통된 에어유동관로(139)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직립배치된 밸브스위치(131)가 하향 가압되면서 상기 에어유동관로(13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모듈(130); 상기 밸브챔버(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간부(141)에 미용수(20)가 저장되며, 상단에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장착된 미용수챔버(140); 직립배치되어 상단은 상기 공간부(141) 내에 노출되게 관통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스위치(131)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39)와 공간부(14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이송관(151)이 형성된 밸브핀(150);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압력조절공(170); 및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배출되는 미용수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밸브모듈(130)을 가압하여 밸브스위치(131)를 밸브핀(15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압력조절판(160);을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에어챔버(110)는, 내부에 상기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되는 캡슐공간(111)이 마련되고, 상단 둘레에는 밸브챔버 체결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챔버(120)는,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게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에어공급관(128)이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밸브챔버(120)가 장착되면서 돌출된 하단이 에어캡슐(10)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캡슐(10)의 내부와 에어공간부(121)를 상호 연통시키는 캡슐핀(125)을 더 포함하며, 하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미용수(20)가 저장되는 공간부(141)가 마련되고, 상단 둘레에는 분사모듈 체결부(146)가 형성되며, 상기 미용수분사모듈(142)은, 상기 공간부(141)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내부로 미용수(20)를 유입하는 유입관(147)과, 상기 유입관(147)을 통해 유입된 미용수(20)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구(143) 및, 외부가압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유입관(147)과 분사구(143)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분사스위치(144)를 포함하며, 하단 둘레에는 상기 분사모듈 체결부(146)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미용수챔버 체결부(145)가 형성되어 상기 미용수챔버(140)와 미용수분사모듈(142)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고압의 에어가 밀봉된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된 에어챔버(110),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밸브모듈(130)이 장착된 밸브챔버(120) 및, 미용수(20)가 수용된 미용수챔버(140)가 손에 쥐기 쉬운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장착되면서 소형 구조로 구비되며 취급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미용수챔버(140)에 공급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저장된 미용수가 분사력을 제공받는 구조로 구비되되, 상기 에어캡슐(10)에서 미용수챔버(140)에 공급되는 공기압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기준치 이하로 공기압이 저하될 때까지 에어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과도한 공기압에 의해 미용수챔버(140)의 상단에 장착되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에어챔버(1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밸브챔버(120)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를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에어가 소진된 에어캡슐(10)을 새로운 에어캡슐(10)로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미용수챔버(14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분사모듈 체결부(146)와, 미용수분사모듈(14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미용수챔버 체결부(145)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미용수챔버(140)로부터 미용수분사모듈(142)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소진된 미용수(20)를 보충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수(20)로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미용수챔버(140)에 저장된 미용수(20)가 잔류된 상태에서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소진된 경우 새로운 에어캡슐(10)로 교체하여 잔량의 미용수(20)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잔류된 상태에서 미용수챔버(140)에 저장된 미용수(20)가 소진된 경우 미용수(20)를 보충하여 잔량의 에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섯째, 산소가 고압으로 저장된 에어캡슐(10)을 이용할 경우, 미용수분사모듈(142)을 통해 미용수(20)와 함께 일정량의 산소가 사용자의 얼굴이나 피부로 분사되므로, 피부의 산소부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 성분이 피부 깊숙이 침투해 모공을 깨끗하게 청소해주고, 오래묵은 각질들을 자극없이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습성분을 채워주면서 모공 속 박테리아를 살균시켜 주기 때문에 여드름을 완화시키고 과도했던 피지분비가 줄어들어 모공축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분리사사도,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핀 및 밸브모듈의 밸브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100)는, 고압의 에어가 밀봉된 에어캡슐(1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소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저장된 미용수(20)나 에어를 전량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진된 미용수(20)나 에어캡슐(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캡슐(10)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에어공급을 차단하여 공기압에 의해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장치의 내구성 및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용용 미스트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챔버(110), 밸브챔버(120), 밸브모듈(130), 미용수챔버(140), 밸브핀(150), 압력조절공(170) 및 압력조절판(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에어챔버(110)는, 내부에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되는 챔버로서, 내부에는 에어캡슐(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캡슐공간(111)이 마련되며 상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챔버(120)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밸브챔버 체결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챔버 체결부(112)는 도면에서와 같이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캡슐(10)은 미용수(20)를 분사하는데 필요한 에어가 일정 공기압으로 저장된 저장용기로서, 저장되는 에어로는 이산화탄소나 산소와 같이 인체에 무해하거나 유익한 기체가 이용되며, 상단 중앙에는 에어방출구가 얇은 막으로 커버되어 있어 후술되는 밸브챔버(120)의 캡슐핀(125)에 의해 관통되면서 저장된 에어가 에어방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산소가 고압으로 저장된 에어캡슐(10)을 이용할 경우, 미용수분사모듈(142)을 통해 미용수(20)와 함께 일정량의 산소가 사용자의 얼굴이나 피부로 분사되므로, 피부의 산소부족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 성분이 피부 깊숙이 침투해 모공을 깨끗하게 청소해주고, 오래묵은 각질들을 자극없이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습성분을 채워주면서 모공 속 박테리아를 살균시켜 주기 때문에 여드름을 완화시키고 과도했던 피지분비가 줄어들어 모공축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밸브챔버(120)는 밸브모듈(130)을 내부에 수용하는 챔버로서,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캡슐(10)과 연통되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간부(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챔버(120)의 하부에는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게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에어공급관(128)이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밸브챔버(120)가 장착되면서 돌출된 하단이 에어캡슐(10)을 에어방출구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캡슐(10)의 내부와 에어공간부(121)를 상호 연통시키는 캡슐핀(12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캡슐핀(125)의 하부에는 수평배치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캡슐핀(125)의 하부가 관통삽입되는 핀홀(127)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측방향 둘레가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끼워져 장착되는 커버판(123)이 배치되어, 상기 커버판(123)에 의해 캡슐핀(125)을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에어방출구가 개방된 에어캡슐(10)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의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밸브챔버(120)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어챔버 체결부(127)는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밸브챔버 체결부(112)는 수나사산 형태로 형성되고 에어챔버 체결부(127)는 암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수나사산 형태로 형성되고 밸브챔버 체결부(112)는 암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암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123)의 측방향 둘레에 상기 에어챔버 체결부(127)의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124)이 형성된 경우 커버판(123)이 에어챔버 체결부(127)와 치합되면서 상기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회전결합될 수 있으므로, 커버판(123)을 더욱 견고하게 밸브챔버(12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커버판(123)을 나사산을 따라 승강시키면서 상기 에어캡슐(10)의 상단 둘레를 밀폐시키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로 구비된 에어캡슐(10)을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챔버(1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밸브챔버(120)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를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에어가 소진된 에어캡슐(10)을 새로운 에어캡슐(10)로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모듈(130)은, 에어캡슐(10)로부터 미용수챔버(140)에 공급되는 에어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밸브조립체로서, 상기 밸브챔버(120)의 에어공간부(121) 내부에 상향 탄발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에어공간부(121)와 연통된 에어유동관로(139)로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직립배치된 밸브스위치(131)가 상기 밸브핀(15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면서 상기 에어유동관로(13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모듈(130)은 통형상의 상부몸체(132)와 하부몸체(134)가 상하로 체결되어 외부형상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밸브스위치(131)가 장착되는 밸브체(133)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34)와 밸브챔버(120)의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몸체(134)를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135)가 배치되어 상기 밸브모듈(130)이 밸브챔버(120) 내에서 상향 탄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33)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39)와 연통되게 상하로 관통형상의 에어관로(137)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스위치(131)는 상기 에어관로(137)의 내경과 일정간격 이격된 외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관로(137)에 관통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위치(131)의 일측과 상기 밸브체(133)의 내벽 사이에는 상기 내벽에 지지되면서 밸브스위치(131)를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138)이 배치되어 상기 밸브스위치(131)가 에어관로(137) 내에서 상향 탄발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스위치(131)의 하부에는 밸브스위치(131)의 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밸브스위치(131)의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에어관로(1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판(131a)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챔버(120)의 상단에는 상기 밸브모듈(130)의 상향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냅링(126)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모듈(130)의 탄성부재(13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밸브모듈(130)이 상향되더라도 상기 스냅링(126)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면서 상향이동이 제한되어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용수챔버(140)는, 외부로 분사되기 위한 미용수(20)를 수용하는 챔버로서, 상기 밸브챔버(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간부(141)에 미용수(20)가 저장되며, 상단에는 공간부(141)에 저장된 미용수(20)를 외부로 분사하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미용수(20)로는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비타민, 허브성분이 첨가된 용액 등과 같이 수분공급이나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액체이면 상기 미용수(20)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미용수분사모듈(142)은 상기 공간부(141)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내부로 미용수(20)를 유입하는 유입관(147)과, 상기 유입관(147)을 통해 유입된 미용수(20)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구(143) 및, 외부가압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유입관(147)과 분사구(143)를 상호 연통시키는 분사스위치(14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상단 둘레에는 분사모듈 체결부(146)가 형성되며, 상기 미용수분사모듈(142)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분사모듈 체결부(146)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미용수챔버 체결부(145)가 형성되어 상기 미용수챔버(140)와 미모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용수챔버(14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분사모듈 체결부(146)와, 미용수분사모듈(142)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미용수챔버 체결부(145)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미용수챔버(140)로부터 미용수분사모듈(142)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소진된 미용수(20)를 보충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미용수(20)로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핀(150)은, 미용수챔버(140)의 하향이동에 따라 밸브모듈(130)의 밸브스위치(131)를 하향 가압하여 밸브모듈(130)를 개방구동시킴과 동시에 밸브모듈(130)의 에어유동관로(139)로 유입된 에어를 미용수챔버(140)의 공간부(141)로 주입하는 핀부재로서, 상기 밸브챔버(120)와 미용수챔버(140) 사이에 직립배치되어 상단은 상기 공간부(141) 내에 노출되게 관통삽입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모듈(130)의 상부에 관통삽입되면서 밸브스위치(131)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39)와 공간부(14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이송관(151)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핀(150)의 상부에는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치합되어 회전결합되는 수나사산 형상의 챔버체결부(153)이 형성되어 상단이 공간부(141)에 관통삽입된 상태에서 미용수챔버(140)에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핀(150)은 미용수챔버(140)에 고정체결되기 때문에 밸브챔버(120)을 기준으로 승강동작하는 미용수챔버(140)와 함께 승강동작하며 밸브모듈(130)의 밸브스위치(131)를 하향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핀(150)의 하단에는 에어이송관(151)의 하단과 연통되어 측방향으로 개구된 유입홈부(156)가 형성되므로, 상기 밸브핀(150)이 밸브스위치(131)를 하향 가압하면서 에어이송관(151)의 하단이 밸브스위치(131)의 상부면에 의해 커버되더라도 상기 유입홈부(156)를 통해 에어유동관로(139)으로 주입된 에어를 에어이송관(151)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밸브핀(150)의 둘레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씰링링(154,15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위치에 배치된 씰링링(154)은 상기 압력조절판(60)의 밸브핀홀(161)과의 사이를 밀폐시키고, 하부 위치에 배치된 씰링링(155)은 밸브모듈(130)의 상부몸체(132)의 내경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압력조절공(170)은,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개구공으로서, 미용수챔버(140)의 공간부(141)에 저장된 미용수(20)의 일부가 하부로 배출되면서 압력조절판(16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나의 압력조절공(170)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미용수챔버(140)에 주입되는 적정 공기압의 기준치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조절판(160)은,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배출된 미용수(20)의 수압에 의해 가압되면서 밸브스위치(131)와 밸브핀(150)을 상호 이격시키는 판부재로서,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배출되는 미용수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밸브모듈(130)을 가압하여 밸브스위치(131)를 밸브핀(150)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판(160)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모듈(13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압력조절판(160)을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163)가 배치되어 압력조절판(160)을 가압하는 미용수압이 제거되면 압력조절판(16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반발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판(160)의 둘레에는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형성된 홈부의 내경과 압력조절판(160)의 외경 사이를 밀폐하는 씰링링(162)이 배치되어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배출되는 미용수(20)가 미용수챔버(140)와 압력조절판(16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압력조절판(160)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핀(15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는 밸브핀홀(161)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압력조절판(160)이 밸브핀(15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하로 승강동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수(20)를 분사하기 위해 사용자가 미용수분사모듈(142)의 분사스위치(144)를 누르게 되면 가압력이 미용수챔버(140)로 전달되어 밸브챔버(120)를 기준으로 미용수챔버(140)가 하향하게 되며, 이로 인해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고정장차된 밸브핀(150)이 함께 하향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고수하는 밸브모듈(130)의 밸브스위치(131)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이에 밸브스위치(131)가 가압되면서 밸브모듈(130)의 탄성부재(138)가 압축되면서 밸브스위치(131)의 개폐판(131a)이 하향하여 커버된 에어관로(137)의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에어관로(137)를 통해 에어유동관로(139)에 공급된 에어가 유입된다. 유입된 에어는 에어유입관(137)를 거쳐 상단으로 이송되며 밸브핀(150)의 하단에 형성된 유입홈부(156)를 통해 내부의 에어이송관(151)으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이송관(151)의 단부에 배치된 분사공(152)을 통해 미용수챔버(140)의 공간부(141)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 공급은 사용자가 분사스위치(144)를 누르고 있는 중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공간부(141)의 내부로 주입된 에어의 공기압에 의해 공간부(141)에 저장된 미용수(20)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의 유입관(147)을 거쳐 분사구(143)를 통해 미립화된 상태로 고압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분사스위치(144)에서 손을 떼게 되어 밸브핀(150)이 밸브스위치(131)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밸브체(133)의 탄성부재(13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폐판(131a)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에어관로(137)의 하단을 커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에어캡슐(10)로부터 공급되어 에어유동관로(139)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개폐판(13a)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상부로 이송되지 않게 된다.
한편, 미용수분사모듈(142)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배출량보다 밸브핀(150)의 분사공(152)을 통해 공간부(141)의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공급량이 적거나, 상기 밸브스위치(131)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미용수챔버(140)가 하향 가압되는 경우 공간부(141) 내부의 공기압의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41)의 내부 공기압에 의해 미용수압이 밸브모듈(130)의 탄성부재(135)의 탄성반발력보다 커지게 되면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형성된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미용수(20)의 일부가 유입되면서 압력조절공(170)의 하부에 배치된 압력조절판(160)이 하강하게 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압력조절판(160)이 밸브모듈(130)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미용수챔버(140)에 고정장착된 밸브핀(150)과 밸브모듈(130)의 밸브스위치(131)는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와 같이 밸브핀(150)의 하부와 밸브스위치(131)의 상부가 이격된 거리에 의해 사용자가 분사스위치(144)를 누르면서 밸브핀(150)이 하강하더라도 밸브스위치(131)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에어캡슐(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밸브모듈(130)에 의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공간부(141)에 저장된 미용수(20)가 외부로 분사되면서 공간부(141)의 내부 공기압이 적정 기준치 이하로 감소하여 상기 밸브모듈(130)의 탄성부재(135)의 탄성반발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밸브모듈(130)의 상부가 압력조절판(160)의 하부면을 상향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와 압력조절판(16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미용수(20)는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공간부(141) 내부로 다시 주입되어 압력조절판(160)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분사스위치(144)를 가볍게 누르는 것만으로도 분사구(143)를 통해 미용수(20)가 미립화된 상태로 자동분사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에어가 밀봉된 에어캡슐(10)이 장착되고, 상기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된 에어챔버(110), 에어공급을 조절하는 밸브모듈(130)이 장착된 밸브챔버(120) 및 미용수(20)가 수용된 미용수챔버(140)가 손에 쥐기 쉬운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상하 장착되면서 소형 구조로 구비되며 취급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미용수챔버(140)에 공급되면서 공기압에 의해 저장된 미용수(20)가 분사력을 제공받는 구조로 구비되되, 상기 에어캡슐(10)에서 미용수챔버(140)에 공급되는 공기압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기준치 이하로 공기압이 저하될 때까지 에어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과도한 공기압에 의해 미용수챔버(140)의 상단에 장착되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미용수챔버(140)에 저장된 미용수(20)가 잔류된 상태에서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소진된 경우 새로운 에어캡슐(10)로 교체하여 잔량의 미용수(20)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에어캡슐(10)에 저장된 에어가 잔류된 상태에서 미용수챔버(140)에 저장된 미용수(20)가 소진된 경우 미용수(20)를 보충하여 잔량의 에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에어캡슐 20...미용수
100...미스트 장치 110...에어챔버
120...밸브챔버 130...밸브모듈
140...미용수챔버 150...밸브핀
160...압력조절판 170...압력조절공

Claims (3)

  1. 내부에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되는 에어챔버(110);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캡슐(10)과 연통되어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간부(121)가 형성된 밸브챔버(120);
    상기 밸브챔버(120)의 내부에 상향 탄발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에어공간부(121)와 연통된 에어유동관로(139)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직립배치된 밸브스위치(131)가 하향 가압되면서 상기 에어유동관로(13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모듈(130);
    상기 밸브챔버(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의 공간부(141)에 미용수(20)가 저장되며, 상단에는 미용수분사모듈(142)이 장착된 미용수챔버(140);
    직립배치되어 상단은 상기 공간부(141) 내에 노출되게 관통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스위치(131)의 직상방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39)와 공간부(14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이송관(151)이 형성된 밸브핀(150);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압력조절공(170); 및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조절공(170)을 통해 배출되는 미용수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밸브모듈(130)을 가압하여 밸브스위치(131)를 밸브핀(15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압력조절판(160);을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110)는, 내부에 상기 에어캡슐(10)이 삽입장착되는 캡슐공간(111)이 마련되고, 상단 둘레에는 밸브챔버 체결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챔버(120)는,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게 밸브챔버(120)의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에어공급관(128)이 상하로 개구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의 상부에 밸브챔버(120)가 장착되면서 돌출된 하단이 에어캡슐(10)을 관통하여 상기 에어캡슐(10)의 내부와 에어공간부(121)를 상호 연통시키는 캡슐핀(125)을 더 포함하며, 하단 둘레에는 상기 밸브챔버 체결부(112)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에어챔버 체결부(127)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챔버(110)와 밸브챔버(120)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수챔버(14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미용수(20)가 저장되는 공간부(141)가 마련되고, 상단 둘레에는 분사모듈 체결부(146)가 형성되며,
    상기 미용수분사모듈(142)은, 상기 공간부(141)를 향해 연장형성되어 내부로 미용수(20)를 유입하는 유입관(147)과, 상기 유입관(147)을 통해 유입된 미용수(20)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구(143) 및, 외부가압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유입관(147)과 분사구(143)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분사스위치(144)를 포함하며, 하단 둘레에는 상기 분사모듈 체결부(146)와 치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미용수챔버 체결부(145)가 형성되어 상기 미용수챔버(140)와 미용수분사모듈(142)은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KR1020140062049A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3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9A KR101630356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49A KR101630356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92A KR20150134792A (ko) 2015-12-02
KR101630356B1 true KR101630356B1 (ko) 2016-06-14

Family

ID=5488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0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0356B1 (ko) 2014-05-23 2014-05-23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60A (ko) 2018-05-02 2019-11-12 동현정공(주) 휴대용 미스트 장치용 앰플 설치 구조
KR20190126559A (ko) 2018-05-02 2019-11-12 동현정공(주) 휴대용 미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769B1 (ko) 2016-02-15 2016-08-01 이상혁 미스트 발생신호모듈 또는 피부수분량 신호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미스트 발생장치
KR101870631B1 (ko) * 2017-09-15 2018-06-25 윤가람 고온 기후에서 유용한 화장수 분사용기
KR102155937B1 (ko) * 2018-09-11 2020-09-14 안시은 친환경 산소미스트 용기
KR102206941B1 (ko) * 2019-06-25 2021-01-25 주식회사 더엘케이 화장품 용기
KR102180202B1 (ko) * 2019-07-23 2020-11-18 김성열 화장품용 에어 브러쉬
KR200492756Y1 (ko) * 2019-07-24 2020-12-04 노예우 산소 혼합 화장품 용기
CN111924344A (zh) * 2020-07-31 2020-11-13 广州市联惠科技有限公司 一种喷雾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7012A1 (en) 2008-04-04 2009-10-07 Wella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80Y1 (ko) 2006-12-15 2008-03-14 주식회사 까만콩 미스트 미용수 발생기
JP3175446U (ja) * 2012-02-23 2012-05-10 株式会社渡久クリエイト パーソナルケア用スプレ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7012A1 (en) 2008-04-04 2009-10-07 Wella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60A (ko) 2018-05-02 2019-11-12 동현정공(주) 휴대용 미스트 장치용 앰플 설치 구조
KR20190126559A (ko) 2018-05-02 2019-11-12 동현정공(주) 휴대용 미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92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356B1 (ko) 휴대용 자동 미스트 장치
ES2565232T3 (es) Dispositivo de pulverización de uso doméstico
AU2014409667B2 (en) Airbrush
WO2018094864A1 (zh) 气泵式顶部加水加湿器
KR101930255B1 (ko) 휴대용 충전식 산소미스트 용기
KR102046089B1 (ko) 휴대용 미스트 장치
KR20150007187A (ko)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CN108498911A (zh) 一种气泵式美容喷雾仪
KR102105377B1 (ko) 역립형 미스트 분무기
JP4871937B2 (ja) 美顔器
CN112407623A (zh) 一种充气式喷雾器
JP2012223688A (ja) ドライミスト噴霧方法および装置
JP2013233957A (ja) 噴霧装置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KR20130117027A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CN110329653B (zh) 带有呼吸片的泡沫泵
KR101900025B1 (ko) 압축 토출장치
CN116421828B (zh) 眼科术后雾化护理设备
JP2013236777A (ja) 美顔器
JP2010235134A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CN214165958U (zh) 一种充气式喷雾器
JP2013233958A (ja) 噴霧装置における気体容器の取付構造
KR20160040870A (ko) 앰플과 봄베를 포함하는 탄산 미스트기
JP3175446U (ja) パーソナルケア用スプレー
JP2012250427A (ja) 指濡らし器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9